KR20070028726A - 액체용기 - Google Patents

액체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8726A
KR20070028726A KR1020050082994A KR20050082994A KR20070028726A KR 20070028726 A KR20070028726 A KR 20070028726A KR 1020050082994 A KR1020050082994 A KR 1020050082994A KR 20050082994 A KR20050082994 A KR 20050082994A KR 20070028726 A KR20070028726 A KR 200700287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liquid
refrigerant
heat exchange
exchange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29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세영
Original Assignee
김세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세영 filed Critical 김세영
Priority to KR10200500829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28726A/ko
Publication of KR20070028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87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00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 F25D3/10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using liquefied gases, e.g. liquid air
    • F25D3/107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using liquefied gases, e.g. liquid air portable, i.e. adapted to be carried person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출되는 액체와 열교환수단이 열교환되는 시간과 공간을 최대화하고 이를 통하여 냉각효과를 극대화 하는 것이며, 액체와 열교환수단이 접촉되는 공간 중 가장 최적의 공간을 선택하여 냉각효과를 최대화하는 효과가 있다.
용기

Description

액체용기{liquid vessel}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액체용기의 단면도
본 발명은 액체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용기 내에 담겨진 액체가 분출되면서 냉각될 수 있도록 하는 액체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중에 있는 액체용기, 예를 들어, 화장품용기, 샴프 용기, 식용액체 예를 들어 참기름, 시럽 등을 담을 수 있는 액체용기는 내용물을 시원하게 배출할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최근에는 화장품등에 이용되는 용기는 액체형태의 화장품 예를 들어, 스킨로션 등의 경우에는 스킨로션을 시원하게 하여 사용하므로서 시원한 액체가 피부를 수축시켜서 피부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할 필요성이 있다.
한편, 본 발명자는 이와 관련한 출원으로서, 10-2002-0060373호를 출원한바 있으나, 이 발명의 경우에는 냉매의 효율성이 매우 높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어서 본 발명을 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용기 내에 담겨진 액체가 분출되면서 냉각될 수 있도록 하는 액체용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액체와 열교환되는 시간과 공간을 최대화하고 이를 통하여 냉각효과를 극대화 하는 것이며, 액체와 열교환수단이 접촉되는 공간 중 가장 최적의 공간을 선택하여 냉각효과를 최대화하는 것이 그 기술적 사상이며 목적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액체용기의 단면도로서, 도 1에 나타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나타내기 위한 예로서 도시한 것이고, 본 발명은 일 측에 냉매통(10)을 가지는 용기(20)와, 상기 냉매통(10)으로부터 분출된 냉매가 이동되는 열교환수단(50)을 포함한다. 여기서 열교환수단이라고 함은 냉매가 냉매통(10)으로부터 분출된 후 증발 잠열에 의하여 주위의 온도를 낮추게 되는데 이때, 기화된 냉매가 이동하면서, 예를 들어, 얇은 배관, 또는 협소한 이동로를 이동하면서 주위의 열을 효과적으로 뺏을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말한다. 그러나, 열교환수단은 굳이 위에서 지적한 얇은 배관이나 협소한 이동로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한편, 일측에 냉매통을 가지는 용기는 위에서 언급한 본 발명자의 출원(10-2002-0060373호의 도 8)에 나타난 공지의 구조이다. 따라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일측에 냉매통(10)을 가지는 용기(20)와, 상기 용기에 장착되는 배출수단(70), 상기 냉매통으로부터 분출된 냉매가 이동되는 열교환수단(50)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더욱 바람직하게는 일측에 냉매통(10)을 가지는 용기(20)와, 상기 용기에 장착되는 배출수단(70), 상기 냉매통으로부터 분출된 냉매가 이동되는 열교환수단(50)을 포함하되, 상기 열교환수단은 상기 용기 내의 액체가 배출되는 이동로(60)를 따라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이동로(6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매가 펌핑되어 이동되는 배출수단(70) 내의 이동로(60)를 의미하거니와, 또는 배출수단(70)의 맨하단부(60a)를 의미하기도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이동로는 굳이 도면에 나타난 내용에 한정하지 않고, 용기 내의 액체가 이동되는 경로의 주변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냉매통(10)은 용기(20)의 일측에 구비되는데, 단속수단(11)을 구비한다. 단속수단(11)은 파이프(11a)와, 상기 파이프(11a)를 통하여 배출되는 냉매를 단속할수 있도록 상기 파이프에 장착되되, 개구(13a)를 가지는 로드(13)와, 로드(13)단부에 장착되는 탄지수단(12)으로 이루어져 있다. 냉매통(10)에는 냉매가 충진된다.
배출수단(70)은 하부에 유입구(40a)를 가지는 펌핑부(40)와, 펑핑부(40)상단에 장착되어 상하로 이동되된 누름판(31)을 가지는 누름부(30), 펌핑부(40)내의 스프링(41), 스프링(41)하부의 개폐수단으로서 체크볼(43), 누름부(30) 입구의 체크 볼(34)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체크볼(43) 외측에는 개구(42)를 가지는 체크볼 안착부재가 형성된다. 또한, 체크볼(34) 주위에도 체크볼 이탈을 방지하는 돌출턱(36)이 형성되고, 돌출턱(36)사이에는 분출구(35)가 형성된다.
열교환수단(50)은 상기 파이프(11a)에서 연장되어 냉매이동로(60)를 따라서 연장된 후 배출구(32)를 통하여 배출된다. 한편, 열교환수단(50)은 바람직하게는 펌핑부(40)내에서 상기 누름판(31)이 상하로 이동하는데 지장이 없도록 펌핑부(40)의 측벽에 붙어 있거나 매립되는 구조도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작동 및 기능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냉매통(10)내의 액체형태의 압축냉매는 로드(130를 작동시킴에 따라 열교환수단(50)으로 이동되는데, 로드(13)의 개구를 통하여 이동된다. 냉매는 로드(13)의 작동에 의하여 분출되면서 기화되면서 증발잠열에 의하여 온도를 저하시키면서 열교환수단(50)내를 이동하여 배출구로 배출된다. 한편, 사용자가 누름부(30)를 누르면 누름판(31)이 내려가면서 펌핑부(40)내을 압축시킨다. 이후, 사용자가 누름부(30)를 가하는 힘을 빼면 다시 스프링(41)의 힘에 의하여 원래로 복귀되는데, 이때 마치 주사기의 원리처럼 용기내의 액체는 40 내부로 흡입되어 올라온다. 이러한 동작을 반복하게 되면, 40내부의 액체는 이동로(60)을 타고 올라가 분출구(35)로 배출된다. 또한, 배출되는 용기내의 액체는 이동로를 이동하면서 열교환수단(50)내부를 이동하는 냉매에 의하여 열교환되어 냉각된 상태에서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체크볼 34, 43은 시중에 있는 공지의 역지변(한방향으로만 액체가 흐르고 반대방향으로는 액체가 흐르지 못하게 하는 기계부품)으로서 이에 대한 구체 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액체와 열교환되는 시간과 공간을 최대화하고 이를 통하여 냉각효과를 극대화 하는 것이며, 액체와 열교환수단이 접촉되는 공간중 가장 최적의 공간을 선택하는데 그 기술적 사상이 있다.
본 발명은 분출되는 액체와 열교환수단이 열교환되는 시간과 공간을 최대화하고 이를 통하여 냉각효과를 극대화 하는 것이며, 액체와 열교환수단이 접촉되는 공간 중 가장 최적의 공간을 선택하여 냉각효과를 최대화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일 측에 냉매통(10)을 가지는 용기(20)와,
    상기 냉매통(10)으로부터 분출된 냉매가 이동되는 열교환수단(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용기
  2. 일측에 냉매통(10)을 가지는 용기(20)와,
    상기 용기에 장착되는 배출수단(70),
    상기 냉매통으로부터 분출된 냉매가 이동되는 열교환수단(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용기
  3. 일측에 냉매통(10)을 가지는 용기(20)와,
    상기 용기에 장착되는 배출수단(70),
    상기 냉매통으로부터 분출된 냉매가 이동되는 열교환수단(50)을 포함하되, 상기 열교환수단은 상기 용기 내의 액체가 배출되는 이동로(60)를 따라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용기.
  4. 일측에 냉매통(10)을 가지는 용기(20)와,
    상기 용기에 장착되는 배출수단(70),
    상기 냉매통으로부터 분출된 냉매가 이동되는 열교환수단(50)을 포함하되, 상기 열교환수단은 상기 용기 내의 액체가 배출되는 이동로(60)를 따라서 설치되며, 상기 열교환수단은 상기 배출수단(70)내부의 액체와 직접접촉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용기
  5. 일 측에 냉매통(10)을 가지는 용기(20)와,
    상기 냉매통(10)으로부터 분출된 냉매가 이동되는 열교환수단(50)을 포함하되, 상기 열교환수단은 상기 액체가 담겨지는 용기 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용기
KR1020050082994A 2005-09-07 2005-09-07 액체용기 KR200700287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2994A KR20070028726A (ko) 2005-09-07 2005-09-07 액체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2994A KR20070028726A (ko) 2005-09-07 2005-09-07 액체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8726A true KR20070028726A (ko) 2007-03-13

Family

ID=38101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2994A KR20070028726A (ko) 2005-09-07 2005-09-07 액체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2872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6080B1 (ko) * 2009-09-15 2010-01-12 (주) 쁘레 병 주둥이 탈부착형 냉각 노즐
KR200477737Y1 (ko) * 2013-11-29 2015-07-16 (주)아모레퍼시픽 내용물 누출 방지 노즐이 구비된 화장품 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6080B1 (ko) * 2009-09-15 2010-01-12 (주) 쁘레 병 주둥이 탈부착형 냉각 노즐
KR200477737Y1 (ko) * 2013-11-29 2015-07-16 (주)아모레퍼시픽 내용물 누출 방지 노즐이 구비된 화장품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52029B2 (en) Pump dispenser with bypass back flow
CN106103334B (zh) 包括冷却单元的饮料分配器具
JP2009154064A (ja) 液滴塗布ディスペンサ
EP1716934A3 (en) Dispenser having an improved inlet valve
IL188441A0 (en) Spray device for dispensing a cooling fluid
KR101436566B1 (ko) 화장품 용기
CN110045801B (zh) 冷却液补充机构及具有其的冷却循环系统及电子设备
WO2007024387A3 (en) Liquid dispensing pump with shifting liquid piston
JP2005172206A (ja) 逆止弁
FR3041061B1 (fr) Reservoir de stockage de fluide liquefie
KR20070028726A (ko) 액체용기
KR101141317B1 (ko) 펌프 디스펜서
KR20080063534A (ko) 소형 수동식 분사펌프
US20190293066A1 (en) Metering mechanism for a proportioning pump, and associated pump and usage method
EP3730878B1 (en) Water storage device and refrigerator having same
KR200450883Y1 (ko) 펌프 디스펜서
KR200450736Y1 (ko) 토출량이 조절되는 디스펜서 용기
EP3730879B1 (en) Water storage device and refrigerator having same
EP3152440B1 (en) Single piston foundation bag-in-box (bib) pump
KR200417822Y1 (ko) 유체 분배기용 펌프장치
UA90328C2 (ru) Распыл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аппликации охладительного флюида
JP7244668B2 (ja) 液体残量消費のための双方向ポンピング器
KR200250680Y1 (ko) 역류방지 밸브
JP2012101801A (ja) 倒立用ポンプディスペンサー
KR20210000616A (ko) 디스펜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