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7943A - 휴대단말기에서 수화 화상통화의 수행방법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에서 수화 화상통화의 수행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7943A
KR20070027943A KR1020050079923A KR20050079923A KR20070027943A KR 20070027943 A KR20070027943 A KR 20070027943A KR 1020050079923 A KR1020050079923 A KR 1020050079923A KR 20050079923 A KR20050079923 A KR 20050079923A KR 20070027943 A KR20070027943 A KR 200700279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xt
data
database
character
text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9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35378B1 (ko
Inventor
김환
김정훈
임채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799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5378B1/ko
Publication of KR20070027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79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53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53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image or video messag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text messaging, e.g. short messaging services [SMS] or e-m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7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specially adapted for disabled users
    • H04M1/7247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specially adapted for disabled users for hearing-impaired us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4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using speech recogn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50Telephonic communication in combination with video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74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with voice recognition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서 수화 화상통화의 수행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기 휴대단말기의 화상통화모드에서 수화를 통해 대화를 수행하는 휴대단말기의 수화 화상통화 수행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휴대단말기의 화상통화모드에서 수화를 통해 화상통화를 수행하는 방법이, 상기 휴대단말기의 수화 화상통화모드에서 입력모드의 종류를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입력모드의 종류가 문자입력모드로 선택되면, 상기 문자입력모드로 전환하여 입력되는 제1문자데이터에 대응되는 제2문자데이터를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입력모드의 종류가 음성입력모드로 선택되면, 상기 음성입력모드로 전환하여 입력되는 음성데이터에 대응되는 제2문자데이터를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입력모드를 통해 제2문자데이터가 추출되면, 상기 추출된 제2문자데이터의 출력모드의 종류를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출력모드의 종류가 문자출력모드로 선택되면, 상기 제2문자데이터를 이미지로 처리하며, 상기 이미지로 처리된 제2문자데이터를 전송버퍼에 저장하여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출력모드의 종류가 이미지출력모드로 선택되면, 상기 제2문자데이터를 수화 이미지로 구성하며, 상기 수화 이미지를 전송버퍼에 저장하여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화 화상통화모드, 문자입력모드, 음성입력모드, 문자출력모드. 이미지출력모드

Description

휴대단말기에서 수화 화상통화의 수행방법{METHOD FOR PERFORMING VIDEO TELEPHONE OF SIGN LANGUAGE IN WIRELESS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구성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화상통화모드에서 수화 화상통화를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3a- 도 3c는 상기 도 2a 및 도 2b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서 수화 화상통화의 수행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기 휴대단말기의 화상통화모드에서 수화를 통해 대화를 수행하는 휴대단말기의 수화 화상통화 수행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휴대 이동통신 단말기는 음성 통신 기능 이외에 고속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구조로 변환하고 있다. 즉, IMT 2000 규격의 이동통신 망을 구현하면, 상기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음성통신 이외에 고속의 데이터 통신을 구현할 수 있 다. 상기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휴대 단말기에서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들은 패킷 데이터 및 영상데이터들이 될 수 있다. 또한 휴대단말기에 카메라나 TV수신기 등을 부가하여 동영상신호를 표시할 수 있는 기능이 구현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카메라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는 영상화면을 촬영하여 동영상(moving picture) 및 정지영상(still picture)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또한 촬영된 영상 화면을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TV수신기를 구비하는 상기 휴대단말기는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화상통화 기능을 구비하는 상기 휴대단말기는 오디오송수신과 함께 비디오송수신을 수행하면서, 사용자의 비디오데이터를 송신하고 상대측의 비디오데이터를 수신하여 표시하면서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화상통화기능을 구비한 휴대단말기에서 수화를 통해 대화가 이루어진다면, 보다 편리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단말기의 화상통화모드에서 수화를 통해 대화를 수행하는 휴대단말기의 수화 화상통화 수행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휴대단말기의 화상통화모드에서 수화를 통해 화상통화를 수행하는 방법이, 상기 휴대단말기의 수화 화상통화모드에서 데이터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데이터에 대응되는 문자를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추출된 문자를 이미지로 처리하여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휴대단말기의 화상통화모드에서 수화를 통해 화상통화를 수행하는 방법이, 상기 휴대단말기의 수화 화상통화모드에서 입력모드의 종류를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입력모드의 종류가 문자입력모드로 선택되면, 상기 문자입력모드로 전환하여 입력되는 제1문자데이터에 대응되는 제2문자데이터를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입력모드의 종류가 음성입력모드로 선택되면, 상기 음성입력모드로 전환하여 입력되는 음성데이터에 대응되는 제2문자데이터를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입력모드를 통해 제2문자데이터가 추출되면, 상기 추출된 제2문자데이터의 출력모드의 종류를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출력모드의 종류가 문자출력모드로 선택되면, 상기 제2문자데이터를 이미지로 처리하며, 상기 이미지로 처리된 제2문자데이터를 전송버퍼에 저장하여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출력모드의 종류가 이미지출력모드로 선택되면, 상기 제2문자데이터를 수화 이미지로 구성하며, 상기 수화 이미지를 전송버퍼에 저장하여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으로써, 화상통화기능을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RF부123은 휴대 단말기의 무선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RF부123은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변환하는 RF수신기등을 포함한다. 모뎀(MODEM)120은 상기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 및 상기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는 수신기 등을 구비한다. 오디오 처리부125는 코덱을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코덱은 패킷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을 구비한다. 상기 오디오 처리부125는 상기 모뎀120에서 수신되는 디지털 오디오신호를 상기 오디오코덱을 통해 아날로그신호 변환하여 재생하거나 또는 마이크로부터 발생되는 송신되는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를 상기 오디오코덱을 통해 디지털 오디오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모뎀120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코덱은 별도로 구비거나 또는 제어부110에 포함될 수 있다.
메모리130은 프로그램 메모리,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는 휴대 단말기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들 및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화상통화모드에서 수화로 화상통화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메모리는 상기프로그램들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들을 일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메모리13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음성데이터베이스, 문자데이터베이스 및 수화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다.
상기 음성데이터베이스는 수화 화상통화모드의 음성입력모드에서 입력되는 음성데이터에 대응되는 문자데이터(이하 "제1문자데이터"라 칭함)를 저장한다.
또한 상기 문자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음성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출력되는 제1 문자데이터에 대응되는 문자데이터(이하, "제2문자데이터"라 칭함) 즉, 수화 화상통화를 위한 문자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상기 문자데이터베이스는 수화 화상통화모드의 문자입력모드에서 입력되는 문자데이터(이하 "제1문자데이터"라 칭함)에 대응되는 제2문자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상기 수화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문자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출력되는 제2문자데이터에 대응되는 수화이미지가 저장된다. 상기 수화 데이터베이스는 손 위치, 손 모양 및 손 동작에 대한 각각의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다.
제어부110은 휴대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모뎀120 및 코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수화 화상통화모드에 입력되는 문자데이터 또는 음성데이터에 대응되는 문자데이터를 추출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수화 화상통화모드에서 입력된 문자데이터 또는 음성데이터에 대응되는 문자데이터를 이미지로 처리하여 화상통화 중인 상대방에게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수화 화상통화모드에서 입력된 문자데이터 또는 음성데이터에 대응되는 문자데이터를 수화이미지로 구성하여 화상통화 중인 상대방에게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카메라부(camera module)140은 영상 데이터를 촬영하며, 촬영된 광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 센서와, 상기 카메라센서로부터 촬영되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신호처리부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 센서는 CCD센서라 가정하며, 상기 신호처리부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 DSP)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 센서 및 신호처리부는 일체형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또한 분리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영상처리부150은 상기 카메라부14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표시하기 위한 화면 데이터를 발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영상처리부150은 상기 카메라부4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처리하며, 상기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상기 표시부160의 특성 및 크기에 맞춰 출력한다. 또한 상기 영상처리부150은 영상코덱을 구비하며, 상기 표시부160에 표시되는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설정된 방식으로 압축하거나, 압축된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원래의 프레임 영상데이터로 복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영상코덱은 JPEG 코덱, MPEG4 코덱, Wavelet 코덱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영상처리부150은 OSD(On Screen Display) 기능을 구비한다고 가정하며,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하여 표시되는 화면크기에 따라 온스크린 표시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처리부150은 화상통화모드에서 상기 카메라부140을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의 비디오데이터를 압축하며, 화상통화를 위해 연결된 상대방의 비디오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상기 표시부160에 출력한다.
상기 표시부160은 상기 영상처리부15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화면으로 표시하며, 상기 제어부110에서 출력되는 사용자 데이터를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160은 LCD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상기 표시부160은 LCD제어부(LCD controller), 영상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및 LCD표시소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LCD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방식으로 구현하는 경우, 입력 부로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16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수화 화상통화모드의 문자입력모드에서 문자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문자입력부가 표시될 수 있으며, 상기 문자입력부는 터치스크린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16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수화 화상통화모드에서 문자이미지 또는 수화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키입력부127은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 및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키들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키 입력부12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수화 다자간의 화상통화를 제어하기 위한 키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휴대단말기와 화상통화모드에 수화를 통해 대화를 수행하는 동작을 도 2a 및 도 2b와 도 3a-도 3c를 통해 상세히 살펴본다.
상기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화상통화모드에서 수화 화상통화를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며, 상기 도 3a- 도 3c는 상기 도 2a 및 도 2b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 1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상기 휴대단말기의 화상통화모드인 201단계에서 수화가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10은 202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수화입력모드의 종류를 표시한다. 상기 도 3a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화상통화모드에서 상대방의 화상이 표시되는 화면161과 상기 휴대단말기 사용자의 자신의 화상이 표시되는 화면162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수화입력모드의 종류 중 문자입력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10은 204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문자입력모드로 전환한다. 상기 휴대단말기의 사용자가 205단계에서 문자데이터 즉, 제1문자데이터를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이를 감지하고 상기 입력된 제1문자데이터에 대응되는 제2문자데이터가 존재하는지 상기 메모리130의 문자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는 206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문자입력모드에서 사용자는 키 입력부127 통해 또는 터치스크린을 통해 제1문자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상기 문자데이터베이스 검색 결과, 상기 제1문자데이터에 대응되는 제2문자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110은 207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사용자에 의해 제2문자데이터를 선택하여 추출하는 208단계를 진행하다. 상기 208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표시부160을 제어하여 상기 문자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제2문자데이터의 종류를 표시하며, 상기 표시된 제2문자데이터의 종류들 중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제2문자데이터를 추출한다.
또는 상기 문자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제1문자데이터에 대응되는 제2문자데이터가 존재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207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제1문자데이터에 대응되는 제2문자데이터의 동음이의어가 존재하는지 판단한다.
상기 제1문자데이터에 대응되는 제2문자데이터의 동음이의어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문자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된 제2문제데이터를 버퍼에 저장하는 211단계를 진행한다.
그러나, 상기 제1문자데이터에 대응되는 제2문자데이터의 동음이의어가 존재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21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표시부160을 제어하여 상 기 제1문자데이터에 대응되는 제2문자데이터의 동음이의어들을 표시한다. 상기 표시된 적어도 두 개의 동음이의어 중에서 해당 제2문자데이터가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10은 209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선택된 제2문제데이터를 추출하여 버퍼에 저장하는 211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수화입력모드의 종류 중 음성입력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10은 212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음성입력모드로 전환한다. 상기 휴대단말기의 사용자가 213단계에서 음성데이터를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이를 감지하고 상기 입력된 음성데이터를 파싱하여 분석하는 214단계를 진행하다.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214단계에서 분석된 음성데이터에 대응되는 문자데이터가 상기 메모리130의 음성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는지 검색하는 215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음성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음성데이터에 대응되는 문자데이터 즉, 제1문자데이터가 존재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이를 감지하고 상기 음성데이터에 대응되는 제1문자데이터를 추출하는 216단계를 진행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216단계에서 추출된 제1문자데이터가 상기 메모리130의 문자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는지 검색하는 206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문자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제1문자데이터에 대응되는 제2문자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110은 207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사용자에 의해 제2문자데이터를 선택하여 추출하는 208단계를 진행하다. 상기 208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표시부160을 제어하여 상기 문자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제2문자데이터의 종류를 표시하며, 상기 표시된 제2문자데이터의 종류들 중 상기 사용자에 의 해 선택된 제2문자데이터를 추출한다.
또는 상기 문자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제1문자데이터에 대응되는 제2문자데이터가 존재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207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제1문자데이터에 대응되는 제2문자데이터의 동음이의어가 존재하는지 판단한다.
상기 제1문자데이터에 대응되는 제2문자데이터의 동음이의어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문자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된 제2문제데이터를 버퍼에 저장하는 211단계를 진행한다.
그러나, 상기 제1문자데이터에 대응되는 제2문자데이터의 동음이의어가 존재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21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표시부160을 제어하여 상기 제1문자데이터에 대응되는 제2문자데이터의 동음이의어들을 표시한다. 상기 표시된 적어도 두 개의 동음이의어 중에서 해당 제2문자데이터가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10은 209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선택된 제2문제데이터를 추출하여 버퍼에 저장하는 211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211단계에서 제2문자데이터가 추출되어 버퍼에 저장되면, 상기 제어부110은 수화출력모드의 종류를 표시한다.
상기 수화출력모드의 종류 중 문자출력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10은 217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211단계의 제2문자데이터를 이미지로 처리하는 218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218단계에서 이미지로 처리된 제2문자데이터를 전송버퍼인 RGB버퍼에 저장하여 화상통화 중인 상대방의 휴대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219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도 3b는 상기 상대방 휴대단말기의 수화 화상통화모드에서 수화를 위한 문자데이터의 표시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도 3b에서 상대방의 화상 즉, 상기 휴대단말기 사용자의 화상이 표시되는 화면161에는 수화를 위한 문자데이터 즉, 상기 219단계에서 전송된 문자데이터가 표시되고, 화면162에는 상기 상대방 휴대단말기의 사용자 자신의 화상이 표시되고 있다.
상기 수화출력모드의 종류 중 이미지출력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10은 220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수화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는 221단계를 진행하다. 상기 수화데이터베이스의 검색을 통해 상기 제어부110은 에 상기 221단계의 제2문자데이터와 대응되는 수화이미지를 구성 및 랜더링하는 222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222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수화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된 손위치 데이터베이스 , 손모양 데이터베이스 및 손동작 데이터베이스를 각각 검색하여 해당 데이터를 추출한 후 상기 제2문자데이터에 대응되는 수화이미지를 구성 및 랜더링한다.
상기 222단계에서 구성 및 랜더링된 수화이미지는 전송버퍼인 RGB버퍼에 저장하여 화상통화 중인 상대방의 휴대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219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도 3c는 상기 상대방 휴대단말기의 수화 화상통화모드에서 수화이미지데이터의 표시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도 3c에서 상대방의 화상 즉, 상기 휴대단말기 사용자의 화상이 표시되는 화면161에는 수화이미지 데이터 즉, 상기 222단계에서 전송된 문자데이터가 표시되고, 화면162에는 상기 상대방 휴대단말기의 사용자 자신의 화상이 표시되고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휴대 단말기와 같은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 할 수 있 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서 수화 화상통화의 수행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휴대단말기의 화상통화를 통해 청각장애인들이 대화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7)

  1. 휴대단말기의 화상통화모드에서 수화를 통해 화상통화를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의 수화 화상통화모드에서 데이터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데이터에 대응되는 문자를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추출된 문자를 이미지로 처리하여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를 추출하는 과정이,
    상기 수화 화상통화모드에서 입력되는 제1문자데이터가 문자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는지 검색하는 과정과,
    상기 제1문자데이터가 상기 문자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면, 상기 제1문자데이터에 대응되는 제2문자데이터를 상기 문자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문자데이터가 상기 문자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면, 상기 제1문자데이 터에 대한 동음이의어가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동음이의어가 존재하면, 상기 문자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제1문자데이터와 대응되는 적어도 두 개의 제2문자데이터들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된 제2문자데이터들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제2문자데이터를 추출하는 과정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문자데이터가 상기 문자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문자데이터베이스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제2문자데이터를 추출하는 과정이 더 포함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를 추출하는 과정이,
    상기 수화 화상통화모드에서 음성데이터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음성데이터를 파싱하여 분석하는 과정과,
    상기 분석된 음성데이터가 음성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분서된 음성데이터가 상기 음성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면, 상기 음성데이터에 대응되는 제1문자데이터를 검색하는 과정과,
    상기 제1문자데이터가 문자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제1문자데이터가 상기 문자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면, 상기 제1문자데이터에 대응되는 제2문자데이터를 상기 문자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문자데이터가 상기 문자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면, 상기 제1문자데이터에 대한 동음이의어가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동음이의어가 존재하면, 상기 문자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제1문자데이터와 대응되는 적어도 두 개의 제2문자데이터들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된 제2문자데이터들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제2문자데이터를 추출하는 과정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문자데이터가 상기 문자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문자데이터베이스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제2문자데이터를 추출하는 과정이 더 포함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된 문자를 이미지로 처리하여 전송하는 과정이,
    상기 추출된 문자의 출력모드의 종류를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출력모드의 종류가 문자출력모드로 선택되면, 상기 추출된 문자를 이미지로 처리하며, 상기 이미지로 처리된 문자를 전송버퍼에 저장하여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출력모드의 종류가 이미지출력모드로 선택되면, 상기 추출된 문자를 수화 이미지로 구성하며, 상기 수화 이미지를 전송버퍼에 저장하여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된 문자를 수화 이미지로 구성하는 과정이,
    상기 추출된 문자가 수화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추출된 문자가 수화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면, 상기 추출된 문자에 대응되는 수화 이미지로를 구성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화데이터베이스에는 수화이미지를 구성하기 위한 손 위치, 손 모양 및 손 동작에 대한 각각의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1. 휴대단말기의 화상통화모드에서 수화를 통해 화상통화를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의 수화 화상통화모드에서 입력모드의 종류를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입력모드의 종류가 문자입력모드로 선택되면, 상기 문자입력모드로 전환하여 입력되는 제1문자데이터에 대응되는 제2문자데이터를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입력모드의 종류가 음성입력모드로 선택되면, 상기 음성입력모드로 전환하여 입력되는 음성데이터에 대응되는 제2문자데이터를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입력모드를 통해 제2문자데이터가 추출되면, 상기 추출된 제2문자데이터의 출력모드의 종류를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출력모드의 종류가 문자출력모드로 선택되면, 상기 제2문자데이터를 이미지로 처리하며, 상기 이미지로 처리된 제2문자데이터를 전송버퍼에 저장하여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출력모드의 종류가 이미지출력모드로 선택되면, 상기 제2문자데이터를 수화 이미지로 구성하며, 상기 수화 이미지를 전송버퍼에 저장하여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입력모드에서 상기 제2문자데이터를 추출하는 과 정이,
    상기 문자입력모드에서 입력되는 제1문자데이터가 문자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제1문자데이터가 상기 문자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면, 상기 제1문자데이터에 대응되는 제2문자데이터를 상기 문자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제1문자데이터가 상기 문자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문자데이터베이스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제2문자데이터를 추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문자데이터가 상기 문자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면, 상기 제1문자데이터에 대한 동음이의어가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동음이의어가 존재하면, 상기 문자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제1문자데이터와 대응되는 적어도 두 개의 제2문자데이터들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된 제2문자데이터들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제2문자데이터를 추출하는 과정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입력모드에서 상기 제2문자데이터를 추출하는 과 정이,
    상기 음성입력모드에서 음성데이터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음성데이터를 파싱하여 분석하는 과정과,
    상기 분석된 음성데이터가 음성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분서된 음성데이터가 상기 음성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면, 상기 음성데이터에 대응되는 제1문자데이터를 검색하는 과정과,
    상기 제1문자데이터가 문자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제1문자데이터가 상기 문자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면, 상기 제1문자데이터에 대응되는 제2문자데이터를 상기 문자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제1문자데이터가 상기 문자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문자데이터베이스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제2문자데이터를 추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문자데이터가 상기 문자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면, 상기 제1문자데이터에 대한 동음이의어가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동음이의어가 존재하면, 상기 문자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제1문자데이터와 대응되는 적어도 두 개의 제2문자데이터들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된 제2문자데이터들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제2문자데이터를 추 출하는 과정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출력모드에서 상기 제2문자데이터를 수화 이미지로 구성하는 과정이,
    상기 제2문자데이터가 수화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제2문자데이터가 상기 수화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면, 상기 제2문자데이터 대응되는 수화 이미지로를 구성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수화데이터베이스에는 수화이미지를 구성하기 위한 손 위치, 손 모양 및 손 동작에 대한 각각의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KR1020050079923A 2005-08-30 2005-08-30 휴대단말기에서 수화 화상통화의 수행방법 KR1007353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9923A KR100735378B1 (ko) 2005-08-30 2005-08-30 휴대단말기에서 수화 화상통화의 수행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9923A KR100735378B1 (ko) 2005-08-30 2005-08-30 휴대단말기에서 수화 화상통화의 수행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7943A true KR20070027943A (ko) 2007-03-12
KR100735378B1 KR100735378B1 (ko) 2007-07-04

Family

ID=38100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9923A KR100735378B1 (ko) 2005-08-30 2005-08-30 휴대단말기에서 수화 화상통화의 수행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53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8715B1 (ko) * 2006-09-29 2007-11-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홈서버에 장착되고, 서비스 모드별로 홈서버 및홈오토메이션과 연동하여 다자간 화상통화 및 방문자확인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1001B1 (ko) * 2008-03-17 2015-01-09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음성인식 기반의 영상제공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적용되는 서버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3616A (ko) * 1998-12-29 2000-07-15 윤종용 음성 인식 화상 전화 통신 장치
KR20020041379A (ko) * 2002-05-07 2002-06-01 이금용 텍스트 기반 지화 및 수화 애니메이션 자동 생성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8715B1 (ko) * 2006-09-29 2007-11-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홈서버에 장착되고, 서비스 모드별로 홈서버 및홈오토메이션과 연동하여 다자간 화상통화 및 방문자확인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5378B1 (ko) 2007-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8206B1 (ko) 휴대단말기의 화상통화모드에서 감정표시 방법
KR100678209B1 (ko) 휴대단말기의 이미지 제어방법
KR100735290B1 (ko) 휴대단말기의 화상통화모드에서 영상데이터 제어방법
KR100606076B1 (ko) 휴대단말기의 이미지 처리방법
KR100735289B1 (ko) 휴대단말기의 통화수행 방법
KR100678214B1 (ko) 휴대단말기의 화상통화모드에서 프리젠테이션 수행 방법
KR100703354B1 (ko) 휴대단말기의 화상통화모드에서 영상데이터 전송방법
KR100735415B1 (ko) 휴대단말기의 다자간 화상통화수행방법
KR100584390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기능 수행 방법
KR100735378B1 (ko) 휴대단말기에서 수화 화상통화의 수행방법
KR20050054751A (ko) 휴대용 단말기의 섬네일 영상 데이터 서비스 방법
KR100678104B1 (ko) 휴대단말기에서 외부장치의 리소스 제어방법
KR100678130B1 (ko) 휴대단말기의 통화수행 방법
KR100630165B1 (ko) 휴대단말기의 전화번호 검색방법
KR100617736B1 (ko) 휴대 단말기에서 사진 확대 및 축소 방법
KR100606079B1 (ko) 휴대단말기의 이미지 확대/축소 방법
KR100678261B1 (ko) 휴대단말기의 멀티태스킹 수행방법
KR20060136235A (ko) 휴대단말기의 통화수행 방법
KR100557096B1 (ko) 양방향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서 영상데이터표시방법
KR20070044426A (ko) 휴대단말기의 화상통화모드에서 영상데이터 제어방법
KR100547769B1 (ko) 휴대 단말기에서 통화 중 전화번호 전송방법
KR20060115197A (ko) 휴대단말기의 발신자정보 표시방법
KR100640348B1 (ko) 휴대단말기의 통화목록 표시방법
KR100663531B1 (ko) 휴대 단말기의 시간 표시방법
KR100605956B1 (ko) 휴대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