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6223A - Machine tool - Google Patents

Machine too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6223A
KR20070026223A KR1020060083934A KR20060083934A KR20070026223A KR 20070026223 A KR20070026223 A KR 20070026223A KR 1020060083934 A KR1020060083934 A KR 1020060083934A KR 20060083934 A KR20060083934 A KR 20060083934A KR 20070026223 A KR20070026223 A KR 200700262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wall
trough member
machine tool
discharge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393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845998B1 (en
Inventor
후미오 가메야마
Original Assignee
브라더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라더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브라더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262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622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59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599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08Protective coverings for parts of machine tools; Splash gu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08Protective coverings for parts of machine tools; Splash guards
    • B23Q11/0825Relatively slidable coverings, e.g. telescop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08Protective coverings for parts of machine tools; Splash guards
    • B23Q11/0891Protective coverings for parts of machine tools; Splash guards arranged between the working area and the oper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PSAFETY DEVICES IN GENERAL; SAFETY DEVICES FOR PRESSES
    • F16P3/00Safety devices acting in conjunction with the control or operation of a machine; Control arrangements requiring the simultaneous use of two or more parts of the bod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chine Tool Units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achine Tools (AREA)

Abstract

A machine tool is provided to prevent a cooling fluid inside a receipt portion from leaking out from a base by lessening a force of the cooling fluid passing through a labyrinthine path even in a case of the cooling fluid to enter into labyrinth sealing portion strongly. In a machine tool, a machine main body is installed on a base(2). A splash cover(3) covers an upper part of the base and a portion or the whole of the machine main body with being fixed to the upper part of the base. The splash cover comprises a front wall(3a), a right wall(3b), a left wall, a ceiling wall(3d), a right ground wall protruded from the upper part of the base toward a right inclination direction, and a left ground wall(3f) protruded from the upper part of the vase to a left inclination direction. A labyrinth sealing unit is installed between a ground part of a sunken receipt unit and a lower part of the splash cover. A control box(9) including a control device to control an operation of a machining center(1) is placed on a rear part of the splash cover. A leg unit(2a) is formed on lower four edge parts of the base capable of adjusting a height thereof.

Description

공작 기계{MACHINE TOOL}Machine tool {MACHINE TOOL}

도1은 머시닝 센터(1)의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achining center 1.

도2는 머시닝 센터(1)의 우측면도. 2 is a right side view of the machining center 1.

도3은 도2에 나타내는 A-A선 화살표 방향 단면도.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along the arrow A-A in FIG. 2; FIG.

도4는 베이스(2)의 사시도[우측 홈통 부재(70), 좌측 홈통 부재(80) 없음].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ase 2 (without the right trough member 70 and the left trough member 80).

도5는 베이스(2)의 사시도[우측 홈통 부재(70), 좌측 홈통 부재(80) 있음].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ase 2 (the right trough member 70 and the left trough member 80 are present).

도6은 우측 홈통 부재(70)의 사시도.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ight trough member 70.

도7은 연결 부재(90)의 사시도.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necting member 90.

도8은 베이스(2)의 우측의 주위판(22) 근방의 라비린스 밀봉부(60)의 구성을 도시하는 베이스(2)의 상부 우측 주변의 횡단면도. Fig. 8 is a cross sectional view of the upper right periphery of the base 2,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labyrinth seal 60 in the vicinity of the peripheral plate 22 on the right side of the base 2;

도9는 베이스(2)의 전방측의 주위판(22) 근방의 라비린스 밀봉부(60)의 구성을 도시하는 베이스(2)의 상부 전방측 주변의 종단면도. Fig. 9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upper front side periphery of the base 2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labyrinth sealing portion 60 in the vicinity of the peripheral plate 22 on the front side of the base 2;

도10은 제1 변형예인 라비린스 밀봉부(160)의 구성을 도시하는 베이스(2)의 상부 우측 주변의 횡단면도. Fig. 10 is a cross sectional view of the upper right periphery of the base 2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labyrinth seal 160 as a first modification.

도11은 제2 변형예인 라비린스 밀봉부(260)의 구성을 도시하는 베이스(2)의 상부 우측 주변의 횡단면도. Fig. 11 is a cross sectional view of the upper right periphery of the base 2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labyrinth sealing portion 260 as the second modifica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머시닝 센터1: Machining Center

2 : 베이스2: Base

3, 31 : 스플래시 커버3, 31: splash cover

5 : 컬럼5: column

8 : 테이블8: table

9 : 제어 상자9: control box

10, 14 : 개구부10, 14: opening

11 : 개폐 도어11: opening and closing door

20 : 수납부20: storage

50 : 이동체50: moving object

60 : 라비린스 밀봉부60: labyrinth seal

70 : 우측 홈통 부재70: right gutter member

80 : 좌측 홈통 부재80: left trough member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2-205542호 공보[Document 1] 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02-205542

본 발명은 공작 기계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베이스 상으로부터 주위로 냉각액이나 칩이 비산하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를 구비한 공작 기계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chine too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achine tool having a cover which prevents coolant or chips from scattering from the base to the surroundings.

종래부터 공작 기계의 일종인 머시닝 센터는 토대가 되는 베이스 상에 워크를 절삭 공구로 가공하는 기계 본체를 구비하고, 그 베이스 상에 기계 본체의 일부 또는 전부를 덮기 위한 스플래시 커버를 구비하고 있다. 이 스플래시 커버는 베이스의 상부에 설치한 테이블이나, 기계 본체로부터 비산되는 칩이나 냉각액이 외부 주위로 비산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Machining centers, which are a type of machine tool, have a machine body for machining a work with a cutting tool on a base to be a base, and have a splash cover for covering part or all of the machine body on the base. This splash cover prevents the table or upper surface of the base, chips or coolant from the machine body from scattering around the outside.

이와 같은 스플래시 커버를 구비하는 머시닝 센터는 베이스의 상부에 오목형 수납부를 갖고, 그 수납부의 바닥면에 대해 스플래시 커버의 하단부를 직접 나사 고정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 구조만으로는 베이스의 수납부의 바닥면과 스플래시 커버의 하단부 사이에 간극이 생기고, 그 간극으로부터 냉각액이 외측으로 누출될 우려가 있었다. It is common for a machining center having such a splash cover to have a concave accommodating portion at the top of the base, and to screw the lower end of the splash cover directly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However, with this structure alone, a gap is formed between the bottom face of the base housing portion and the bottom end of the splash cover, and there is a fear that the coolant leaks outward from the gap.

그래서, 예를 들어 스플래시 커버의 하부와, 수납부의 주위판 사이에 공간부를 형성하고, 그 공간부 내에 스플래시 커버의 외측으로부터 냉각액 등의 누설을 방지하는 고무제의 패킹을 압입하는 구성의 공작 기계가 이미 알려져 있다. 이 밖에도 일본 특허 공개 제2002-205542호 공보에 기재한 공작 기계에서는 베이스 상의 수납부에 있어서, 공작 기계를 둘러싸는 측에 개구부를 마련하고, 그 개구부 내에 수납부의 바닥면과 스플래시 커버의 하부 사이를 막는 패킹을 배치하고 있다. 이 공작 기계에서는 스플래시 커버의 내측에서 패킹의 착탈이 가능하므로, 패킹의 착탈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패킹이 스플래시 커버의 내측에 가려지므로, 미관도 향상시킬 수 있다.Thus, for example, a machine tool having a configuration in which a space portion is formed between the lower portion of the splash cover and the peripheral plate of the housing portion, and a rubber packing is pressed into the space portion to prevent leakage of coolant or the like from the outside of the splash cover. Is already known. In addition, in the machine tool described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2-205542, an opening portion is provided in the housing portion on the base, the side surrounding the machine tool, and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portion and the bottom of the splash cover in the opening portion. I place a packing preventing it. In this machine tool, since the packing can be attached or detached from the inside of the splash cover, the attachment and detachment operation of the packing can be facilitated. Since the packing is hidden inside the splash cover, the aesthetics can also be improved.

그러나, 이 공작 기계에서는 베이스의 수납부의 바닥면과 스플래시 커버의 하부 사이의 간극을 막기 위해 패킹을 사용하고 있고, 그 패킹은 고무제나 스폰지제인 것이 많으므로, 내구성이 떨어진다. 그로 인해, 일정 시기에서의 패킹의 교환이 필요해지고, 패킹의 교환에 수반하는 착탈 작업이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 패킹은 개구부로부터 벗어나지 않도록 판금으로 상부로부터 압박하여 고정하므로, 그 판금을 고정하기 위한 볼트나 너트에 칩이 걸리고, 그곳을 기점으로 하여 칩이 퇴적된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However, in this machine tool, a packing is used to prevent a gap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housing portion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splash cover, and the packing is often made of rubber or sponge, and thus has poor durability.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eplacement of the packing at a certain time is required, and the detachable work accompanying the replacement of the packing is cumbersome. Since the packing is pressed and fixed from the top with sheet metal so as not to escape from the opening, there is a problem that chips are caught in bolts and nuts for fixing the sheet metal, and chips are deposited from there.

본 발명은 베이스 상에 낙하한 냉각액이 베이스 밖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베이스 상에 칩이 퇴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공작 기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achine tool which can prevent the coolant dropped on the base from leaking out of the base and can prevent the chip from being deposited on the bas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구항 1에 관한 공작 기계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상에 설치된 워크를 가공하는 기계 본체와, 상기 베이스 상에 고정하는 동시에 상기 베이스의 상부 및 상기 기계 본체의 일부 또는 전부를 덮는 상자형으로 형성한 커버를 구비한 공작 기계이며,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는 상기 커버의 하부를 내측에 수납하여 지지하는 오목형 수납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납부의 바닥부와 상기 커버의 하부 사이에 라비린스 밀봉부를 구비하고 있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machine tool according to claim 1 includes a base, a machine body for processing a work provided on the base, and a part or all of the upper part of the base and the machine body while being fixed on the base. A machine tool having a cover formed in a box shape,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having a concave receiving portion for receiving and suppor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cover inside, between the bottom of the receiving portion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cover It has a labyrinth seal.

청구항 1에 관한 공작 기계에 따르면, 수납부에 낙하한 냉각액이 기세 좋게 라비린스 밀봉부로 침입해도 이 미로형의 통로를 통과하는 동안에 냉각액의 기세를 약하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수납부 내의 냉각액이 베이스 밖으로 누출되는 것 을 방지할 수 있다. 종래와 같은 패킹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라비린스 밀봉부 내에는 패킹을 압박하는 판금을 고정하기 위한 나사나 너트 등의 고정구나, 장해물 등이 존재하지 않는다. 이에 의해, 냉각액에 칩을 포함하고 있어도 라비린스 밀봉부 내에서 칩이 장해물 등에 걸려 퇴적되는 일이 없다. According to the machine tool of Claim 1, even if the coolant which fell to the accommodating part penetrates into the labyrinth sealing part prematurely, the momentum of the coolant can be weakened while passing through this labyrinth | path | path. Thereby, it can prevent that the cooling liquid in an accommodating part leaks out of a base. Since the conventional packing is not used, there are no fasteners or obstacles such as screws or nuts for fixing the sheet metal pressing the packing in the labyrinth sealing portion. Thereby, even if a chip is contained in a cooling liquid, a chip | tip does not get caught by an obstacle etc. in a labyrinth sealing part.

청구항 2에 관한 공작 기계에서는, 상기 베이스의 측벽을 따라서 상기 수납부의 바닥부로부터 상방을 향해 연장되는 판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커버의 하부와 상기 판 부재로 라비린스 밀봉부를 구성하고 있다. In the machine tool of Claim 2, the board member extended upward from the bottom part of the said accommodating part along the side wall of the said base is provided, and the labyrinth sealing part is comprised by the lower part of the said cover and the said plate member.

청구항 2에 관한 공작 기계에서는, 베이스의 측벽을 따라서 수납부의 바닥부로부터 상방을 향해 연장되는 판부재를 설치하는 것만으로 그 판부재와 커버의 하부로 용이하게 라비린스 밀봉부를 구성할 수 있다. In the machine tool according to claim 2, the labyrinth seal can be easily configur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plate member and the cover simply by providing a plate member extending upward from the bottom of the housing portion along the sidewall of the base.

청구항 3 및 4에 관한 공작 기계에서는, 상기 베이스의 상기 수납부의 상기 바닥부에 형성한 칩 및 냉각액을 상기 수납부 밖으로 배출하기 위한 오목형의 배출 통로와, 상기 배출 통로의 내측에 설치된 상기 배출 통로를 따라서 연장되는 동시에, 상기 배출 통로의 폭 길이보다도 짧은 폭 길이를 구비하고, 바닥벽과, 상기 바닥벽의 폭방향 양단부로부터 기립하는 한 쌍의 측벽으로 구성된 오목형의 홈통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판 부재를 상기 홈통 부재의 상기 한 쌍의 측벽 중, 상기 수납부의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 측벽으로 구성하고 있다. In the machine tool according to Claims 3 and 4, a concave discharge passage for discharging the chip and the coolant formed in the bottom portion of the storage portion of the base out of the storage portion, and the discharge passage provided inside the discharge passage. A concave trough member extending along the passage and having a width length shorter than the width length of the discharge passage, the bottom wall and a pair of side walls standing up from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ottom wall; The said board member is comprised by the outer side wall located in the outer side of the said accommodating part among the said pair of side walls of the said trough member.

청구항 3 및 4에 관한 공작 기계에서는 배출 통로의 내측에 상기 배출 통로보다도 짧은 폭 길이를 구비하는 홈통 부재를 배치함으로써 라비린스 밀봉부를 구성하는 판부재를 홈통 부재의 외측 측벽으로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냉각액을 홈통 부재의 내측으로 흐르게 함으로써 냉각액이 홈통 부재로부터 넘쳐도 배출 통로 내로 흐름으로써 냉각액을 베이스 밖으로 배출할 수 있다. 홈통 부재의 폭 길이가 배출 통로의 폭 길이보다도 짧으므로, 홈통 부재와 배출 통로 사이에 간극이 생기고, 홈통 부재의 내측을 흐르는 냉각액이 홈통 부재로부터 넘쳐도 그 간극으로부터 배출 통로 내로 냉각액을 흐르게 할 수 있다.In the machine tool according to Claims 3 and 4, the plate member constituting the labyrinth sealing portion can be easily configured as the outer sidewall of the trough member by arranging the trough member having a width length shorter than the discharge passage inside the discharge passage. By allowing the coolant to flow inside the trough member, the coolant can be discharged out of the base by flowing into the discharge passage even if the coolant overflows from the trough member. Since the width length of the trough member is shorter than the width length of the discharge passage, a gap is formed between the trough member and the discharge passage, and even if the coolant flowing inside the trough member overflows from the trough member, the coolant can flow from the gap into the discharge passage. .

청구항 5에 관한 공작 기계는 상기 커버의 상기 하부에 두갈래형으로 형성된 두갈래부를 갖고, 상기 판 부재를 상기 두갈래부로 끼우고 있다. The machine tool according to claim 5 has a bifurcated portion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cover in a bifurcated shape, and the plate member is sandwiched by the bifurcated portion.

청구항 5에 관한 공작 기계에서는 커버의 하부에 형성한 두갈래부를, 판부재를 끼우도록 배치함으로써 판부재와 커버의 하부로 구성한 라비린스 밀봉부를 더 복잡화하여 연장할 수 있다. 따라서, 라비린스 밀봉부에 침입하는 냉각액 흐름의 기세를 더 약하게 할 수 있다.In the machine tool according to claim 5, the bifurcation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cover can be extended so that the labyrinth sealing part composed of the plate member and the lower part of the cover can be extended by disposing the plate member. Thus, the momentum of the coolant flow entering the labyrinth seal can be weakened further.

청구항 6 및 7에 관한 공작 기계는 상기 수납부의 상기 바닥부에 상기 워크를 고정하기 위한 테이블을 지지하는 지지대를 구비하고, 상기 외측 측벽에 대향하는 내측 측벽의 상단부가 상기 지지대에 접촉하고 있다. The machine tool which concerns on Claim 6 and 7 is equipped with the support which supports the table for fixing the said workpiece | work to the said bottom part of the said accommodating part, and the upper end part of the inner side wall facing the said outer side wall contact | connects the said support stand.

청구항 6 및 7에 관한 공작 기계에서는 홈통 부재의 외측 측벽에 대향하는 내측 측벽의 상단부가 지지대에 접촉되어 있으므로, 지지대가 지지하는 테이블로부터 낙하하는 냉각액을 홈통 부재로 흐르게 할 수 있다. 홈통 부재는 배출 통로의 지지대측으로 치우쳐 배치하고 있으므로, 홈통 부재의 외측 측벽과 배출 통로의 내측면 사이에 간극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냉각액이 홈통 부재의 외측 측벽을 타고 넘어도 배출 통로와의 간극에 그 냉각액을 흐르게 하여 배출 통로 내로 흐 르게 할 수 있다.In the machine tool according to Claims 6 and 7, since the upper end of the inner side wall facing the outer side wall of the trough member is in contact with the support, the coolant falling from the table supported by the support can flow into the trough member. Since the trough member is disposed to be biased toward the support side of the discharge passage, a gap can be formed between the outer side wall of the trough member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discharge passage. Thereby, even if the coolant passes over the outer side wall of the trough member, the coolant can flow in the gap with the discharge passage and flow into the discharge passage.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인 머시닝 센터(1)에 대해 도면을 기초로 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machining center 1 which is one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based on drawing.

도4, 도5에 있어서, 좌측 경사 상측을 베이스(2)의 전방으로 하고, 우측 경사 하측을 베이스(2)의 후방으로 하고, 좌측 경사 하측을 베이스(2)의 우측으로 하고, 우측 경사 상측을 베이스(2)의 좌측으로 한다. 도6에 있어서, 좌측 경사 상측을 우측 홈통 부재(70)의 전방으로 하고, 우측 경사 하측을 우측 홈통 부재(70)의 후방으로 하고, 좌측 경사 하측을 우측 홈통 부재(70)의 우측으로 하고, 우측 경사 상측을 우측 홈통 부재(70)의 좌측으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머시닝 센터(1)의 X축 방향이라 함은, 머시닝 센터(1)의 좌우 방향을 나타내고, Y축 방향이라 함은, 머시닝 센터(1)의 전후 방향(깊이 방향)을 나타내고, Z축 방향이라 함은, 머시닝 센터(1)의 상하 방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4 and 5, the upper left inclined side is the front of the base 2, the lower right inclined side is the rear of the base 2, the lower left inclined side is the right side of the base 2, and the right inclined upper side is shown. To the left of the base 2. In Fig. 6, the left inclined upper side is made front of the right trough member 70, the right inclined lower side is made rear of the right trough member 70, and the left inclined lower side is made right of the right trough member 70, The right inclined upper side is made into the left side of the right trough member 70.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X-axis direction of the machining center 1 indicates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machining center 1, and the Y-axis direction indicates the front-rear direction (depth direction) of the machining center 1. In addition, Z-axis direction shall show the up-down direction of the machining center 1.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머시닝 센터(1)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2) 상에 설치한 오목형 수납부(20)의 바닥부(21)와, 스플래시 커버(3)의 하부 사이에 미로형의 라비린스 밀봉부(60)(도3 참조)를 설치한 점에 본 발명의 특징을 갖는 것이다. As illustrated in FIG. 4, the machining cent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disposed between the bottom portion 21 of the concave storage portion 20 provided on the base 2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splash cover 3.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reside in that a labyrinth labyrinth seal 60 (see Fig. 3) is provided.

처음에, 머시닝 센터(1)의 개략적인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1에 도시하는 머시닝 센터(1)는 도시하지 않은 워크와 공구가 상대 이동함으로써, 워크에 원하는 기계 가공(예를 들어, 「보링」, 「밀링」, 「펀칭」, 「절삭」 등)을 실시하는 공작 기계이다. 이 머시닝 센터(1)는 기대가 되는 철제의 베이스(2)와, 상기 베이 스(2)의 상부에 설치한, 워크를 가공하는 기계 본체와, 상기 베이스(2)의 상부에 고정한 기계 본체 및 베이스(2)의 상부를 덮는 상자형의 스플래시 커버(3)를 구성의 주체로 한다. 머시닝 센터(1)는 스플래시 커버(3)의 후방에 머시닝 센터(1)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도시하지 않음)를 내장하는 제어 상자(9)를 구비하고 있다. 도1에 도시하는 스플래시 커버(3)가 「커버」에 상당한다. First,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the machining center 1 will be described. In the machining center 1 shown in Fig. 1, a workpiece (not shown) and a tool move relative to each other, thereby performing desired machining (for example, "boring", "milling", "punching", "cutting", etc.) on the workpiece. Machine tool to carry out. The machining center 1 comprises an iron base 2 which is to be expected, a machine body for processing a work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base 2, a machine body fix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base 2, and The box-shaped splash cover 3 covering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2 is mainly composed of the configuration. The machining center 1 is provided with a control box 9 incorporating a control device (not shown)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achining center 1 behind the splash cover 3. The splash cover 3 shown in FIG. 1 corresponds to "cover".

도1,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2)는 주형 내에 주철 등의 금속 재료를 유입함으로써 성형하고, Y축 방향에 긴 대략 직육면체의 형상을 갖는다. 그 코어부는 경량화, 고강도화 및 저비용화를 위해, 소위 두께 감소 성형(리브에 의한 골조 구조)한다. 베이스(2)는 하부의 4구석에 높이 조절이 가능한 다리부(2a)를 각각 구비하고 있다. 이들 4개의 다리부(2a)를 공장 등의 바닥면에 설치함으로써, 머시닝 센터(1)를 소정 장소에 설치하도록 되어 있다. 베이스(2)는 상부 후방측의 양구석부에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컬럼 시트부(4, 4)(도2에서는 1개만 도시)를 구비하고 있다. 컬럼 시트부(4, 4)는 대략 직육면체의 형상을 갖는 대(臺) 시트이다. 한 쌍의 컬럼 시트부(44) 상에는 Z축 방향으로 연장 설치한 기둥형의 컬럼(5)의 하부를 고정하고 있다.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base 2 is molded by introducing a metal material such as cast iron into the mold, and has a shape of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that is long in the Y-axis direction. The core part is so-called thickness reduction molding (frame structure by ribs) for weight reduction, high strength and low cost. The base 2 is provided with the leg part 2a which height adjustment is possible in four lower corners, respectively. By providing these four leg parts 2a in the floor surface of a factory, etc., the machining center 1 is provided in a predetermined place. The base 2 is provided with a pair of column seat parts 4 and 4 (only one is shown in FIG. 2)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both corner portions on the upper rear side. The column sheet portions 4 and 4 are large sheets having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The lower part of the columnar column 5 extended in the Z-axis direction is being fixed on the pair of column sheet part 44. As shown in FIG.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2)는 그 상부에 바닥부(21)와 주위판(22)으로 구성한 오목형 수납부(20)(도4 참조)를 구비하고, 그 수납부(20)의 내측에 스플래시 커버(3)의 하부를 수납하는 상태로 되어 있다. 머시닝 센터(1)는 스플래시 커버(3)의 하부와, 베이스(2)의 수납부(20)의 바닥부(21) 사이에 본 발명의 특징인 미로형의 라비린스 밀봉부(60)를 구비하고 있다. 이에 의해, 베이스(2)의 수납 부(20) 내를 흐르는 냉각액이 베이스(2)의 주위판(22)을 타고 넘어 베이스(2) 밖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베이스(2)의 상부 구조와, 라비린스 밀봉부(60)의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As shown in Fig. 3, the base 2 has a concave accommodating portion 20 (see Fig. 4) composed of a bottom portion 21 and a peripheral plate 22 thereon, and the accommodating portion 20 thereof. The lower part of the splash cover 3 is accommodated in the inside. The machining center 1 has a labyrinth labyrinth seal 60 which is a feature of the invention between the bottom of the splash cover 3 and the bottom 21 of the housing 20 of the base 2. have. Thereby, the cooling liquid which flows in the accommodating part 20 of the base 2 can be prevented from leaking out of the base 2 over the periphery plate 22 of the base 2. The upper structure of this base 2 and the structure of the labyrinth sealing part 60 are mentioned later.

스플래시 커버(3)는, 도1 내지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벽(3a), 우측벽(3b), 좌측벽(3c), 천정벽(3d), 베이스(2) 상부로부터 우측 경사 측방으로 돌출된 우측 바닥벽(3e), 베이스(2) 상부로부터 좌측 경사 측방으로 돌출된 좌측 바닥벽(3f), 컬럼(5)의 전방면으로부터 우측으로 돌출된 우측 배면벽(3g), 컬럼(5)의 전방면으로부터 좌측으로 돌출된 좌측 배면벽(3h) 등의 복수의 판금으로 이루어지고, 상자형의 형상을 갖는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벽(3a)은 그 대략 중앙에 세로로 긴 직사각형의 개구부(10)를 갖고, 상기 개구부(10)에는 슬라이드 개폐식 개폐 도어(11)를 구비하고 있다. 이 개폐 도어(11)의 손잡이부(11a)를 좌측 방향으로 슬라이드함으로써 개구부(10)가 개방되고, 후술하는 테이블(8)(도3 참조) 상에 유지한 워크의 착탈을 행할 수 있다. 전방벽(3a)은 개폐 도어(11)의 우측에 머시닝 센터(1)의 가공 프로그램이나, 가공 프로그램 등의 파라미터의 설정 입력을 행하기 위한 조작 패널(12)을 구비하고 있다. The splash cover 3 is inclined to the right side from the front wall 3a, the right wall 3b, the left wall 3c, the ceiling wall 3d, and the base 2 as shown in Figs. Right bottom wall 3e protruding from the bottom, left bottom wall 3f protruding to the left inclined side from the base 2 upper side, right back wall 3g protruding to the right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column 5, column ( It consists of several sheet metals, such as the left back wall 3h etc. which protruded to the left side from the front surface of 5), and has a box shape. As shown in Fig. 1, the front wall 3a has a vertically long rectangular opening 10 at its center, and the opening 10 is provided with a slide open / close door 11. The opening part 10 is opened by sliding the handle part 11a of this opening / closing door 11 to the left side, and attachment and detachment of the workpiece | work held on the table 8 (refer FIG. 3) mentioned later can be performed. The front wall 3a is equipped with the operation panel 12 on the right side of the opening / closing door 11 for inputting setting of parameters, such as a machining program of the machining center 1 and a machining program.

도1,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벽(3b)은 직사각형의 개구부(14)를 갖고, 상기 개구부(14)에는 착탈 가능하게 고정한 덮개형의 점검 해치(15)를 구비하고 있다. 이 스플래시 가드 사이드 커버(15)를 제거하여 개구부(14)를 개방함으로써 테이블(8) 상의 워크의 착탈 작업이나, 스플래시 커버(3)의 내측에 수납한 기계 본체를 구성하는 각종 장치의 보수 작업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도시하지 않지만, 좌측벽(3c)도 우측벽(3b)과 동일한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를 폐색하는 스플래시 가드 사이드 커버를 구비하고 있다.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right side wall 3b has a rectangular opening 14, and the opening 14 is provided with a lid-shaped inspection hatch 15 detachably fixed. By removing the splash guard side cover 15 and opening the opening 14, the work of attaching and detaching the work on the table 8 and the repair work of the various devices constituting the machine body housed inside the splash cover 3 can be performed. It is possible. Although not shown, the left side wall 3c also has the same opening part as the right side wall 3b, and the splash guard side cover which closes the said opening part.

스플래시 커버(3)의 천정벽(3d)은 주축 헤드(도시하지 않음)나, 주축 헤드로의 배선(도시하지 않음), 공구 교환 장치(6)(도3 참조)의 모터(도시하지 않음) 등이 돌출되는 개구부(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고 있다. 도1,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자형의 커버(17, 18)가 각각 상기 개구부를 덮고 있다. 스플래시 커버(3)의 전방벽(3a)은 상부 좌측의 모서리부에 머시닝 센터(1)의 동작에 관한 에러를 작업자에게 통지하기 위한 타워형의 경고 통지 램프(16)를 구비하고 있다. The ceiling wall 3d of the splash cover 3 may be a spindle head (not shown), wiring to the spindle head (not shown), or a motor (not shown) of the tool changer 6 (see FIG. 3). It is provided with the opening (not shown) which protrudes. As shown in Figs. 1 and 2, box covers 17 and 18 respectively cover the openings. The front wall 3a of the splash cover 3 is provided with the tower type warning notification lamp 16 for notifying an operator of the error concerning the operation of the machining center 1 in the upper left corner.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플래시 커버(3)는 그 내측에 워크의 절삭 가공을 행하는 기계 본체를 수납하고 있다. 이 기계 본체는 베이스(2)의 상부 후방에 설치한 컬럼 시트부(4, 4)(도2 참조) 상에 적재하여 고정된 기둥형의 컬럼(5)과, 상기 컬럼(5)의 베이스(2)의 상부에 대향하는 전방면측에 보유 지지한 Z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주축 헤드(도시하지 않음)와, 상기 주축 헤드의 하부에 유지된 회전 가능한 주축(7)과, 상기 주축(7)에 장착된 공구를 자동적으로 교환하는 공구 교환 장치(ATC)(6)를 구성의 주체로 한다. 베이스(2) 상부의 수납부(20)는 워크를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는 동시에, XY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테이블(8)을 구비하고 있다. As shown in FIG. 3, the splash cover 3 accommodates the machine main body which cuts a workpiece | work inside. The main body of the machine is a columnar column 5 fixed on a column seat portion 4, 4 (see Fig. 2) installed at the upper rear of the base 2 and fixed thereto, and the base of the column 5 ( A spindle head (not shown) movable in the Z-axis direction held on the front surface side opposite to the upper part of 2), a rotatable spindle 7 held below the spindle head, and the spindle 7 The tool changer (ATC) 6 which automatically replaces the tool mounted in the main body is made into the main part of a structure. The storage part 20 of the upper part of the base 2 is equipped with the table 8 which can fix a workpiece | work detachably, and is movable in an XY-axis direction.

여기서, 테이블(8)에 대해 설명한다. 도3에 도시하는 테이블(8)은 베이스(2)의 수납부(20)의 내측에 설치한 후술하는 테이블 지지대(24)(도4 참조) 상에 위치되고, 수납부(20) 내를 XY축 방향(수평면)으로 이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테이블(8)은 그 하측에 이동체(50)를 구비하고, 이동체(50)는 그 상부에 X축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한 쌍의 X축 이송 가이드 레일(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볼나사축, 너트 및 X 모터(도시하지 않음) 등을 갖는 X축 이동 기구에 의해 테이블(8)이 상기 한 쌍의 X축 이송 가이드 레일 상을 이동한다. 이동체(50)는 베이스(2)의 수납부(20) 내를 Y축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한 쌍의 Y축 이송 가이드 레일(30, 30) 상을 이동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X축 이동 기구와 동일한 볼나사축, 너트 및 Y 모터(도시하지 않음) 등을 갖는 Y축 이동 기구에 의해 이동체(50)가 상기 한 쌍의 Y축 이송 가이드 레일(30, 30) 상을 이동한다. 이에 의해, 테이블(8)은 XY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Here, the table 8 will be described. The table 8 shown in FIG. 3 is located on the below-described table support 24 (refer to FIG. 4) provided inside the accommodating part 20 of the base 2, and the inside of the accommodating part 20 is XY. It can move in the axial direction (horizontal plane). Specifically, the table 8 is provided with a movable body 50 at the lower side thereof, and the movable body 50 has a pair of X-axis conveying guide rails (not shown) extending along the X-axis direction at the upper portion thereof. Doing. Then, the table 8 moves on the pair of X-axis feed guide rails by an X-axis moving mechanism having a ball screw shaft, a nut, an X motor (not shown), and the like. The movable body 50 can move on the pair of Y-axis conveyance guide rails 30 and 30 which extend in the accommodating part 20 of the base 2 along the Y-axis direction. Specifically, the pair of Y-axis feed guide rails 30 and 30 is moved by the movable body 50 by the Y-axis moving mechanism having the same ball screw shaft, nut, and Y motor (not shown) as the X-axis moving mechanism. Move the phase. As a result, the table 8 can move in the XY axis direction.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X축 이송 가이드 레일은 테이블(8)을 중앙에 두고, 신축 가능하게 신축하는 한 쌍의 신축 커버(52, 53)를 상부의 좌우 양측에 각각 구비하고 있다. Y축 이송 가이드(30, 30)도 그 상부에 테이블(8)의 전방측에 배치한 신축 커버(54)와, 단면 대략 산형으로 형성한 판금이며, 테이블(8)과 컬럼(5)의 전방면측 사이에 배치한 Y축 후방 커버(도시하지 않음)를 각각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테이블(8)이 어떠한 방향(수평면을 구성하는 XY축 방향으로 한정함)으로 이동해도 이들 각종 커버가 X축 이송 가이드 레일 및 Y축 이송 가이드 레일(30, 30)을 덮고 있다. 따라서, X축 이송 가이드 레일 및 Y축 이송 가이드 레일(30, 30) 상에 칩이 퇴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3, the X-axis conveying guide rail has a table 8 in the center and is provided with a pair of expansion and contraction covers 52 and 53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upper and lower sides, respectively. The Y-axis feed guides 30 and 30 are also stretchable covers 54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table 8 on the upper side thereof, and sheet metal formed in a roughly cross-sectional shape, and before the table 8 and the column 5. Y-axis rear cover (not shown) arrange | positioned between the side sides is provided, respectively. Therefore, even if the table 8 moves to any direction (limited to the XY axis direction which comprises a horizontal plane), these various covers cover the X-axis feed guide rail and Y-axis feed guide rail 30,30.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chips from being deposited on the X-axis feed guide rails and the Y-axis feed guide rails 30 and 30.

다음에, 베이스(2)의 상부 구조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2)는 그 상부에 상면이 개방되는 오목형으로 일체 성형된 수납 부(20)를 갖는다. 이 수납부(20)는 Y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평면에서 볼 때 대략 직사각형인 바닥부(21)와, 상기 바닥부(21)의 주연을 둘러싸고 세워 설치한 주위판(22)을 구비하고 있다. 바닥부(21)는 베이스(2)의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완만하게 하방으로 경사져 있다. 주위판(22)은 베이스(2)의 후방측이 개방되어 있고, Y축 방향으로 긴 평면에서 볼 때 대략 직사각형인 하변이 빠진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스플래시 커버(3)의 내측을 비산하여 수납부(20) 내로 낙하한 냉각액은 바닥부(21)의 경사면을 따라서 흐르고, 베이스(2)의 후방으로부터 베이스(2) 밖으로 유출되도록 되어 있다. 도4에 도시하는 주위판(22)이 「상기 베이스의 측벽」에 상당한다.Next, the upper structure of the base 2 is demonstrated in detail. As shown in Fig. 4, the base 2 has an accommodating portion 20 integrally formed in a concave shape in which an upper surface thereof is opened. This storage part 20 is provided with the bottom part 21 which is substantially rectangular in planar view extended in a Y-axis direction, and the periphery board 22 which stood up surrounding the periphery of the said bottom part 21, and was installed. The bottom portion 21 is gently inclined downward from the front of the base 2 to the rear. The peripheral plate 22 has a shape in which the rear side of the base 2 is open and the lower side of the base 2 is substantially rectangular when viewed in a long plane in the Y-axis direction. Therefore, the coolant which has scattered the inside of the splash cover 3 and dropped into the storage portion 20 flows along the inclined surface of the bottom portion 21 and flows out of the base 2 from the rear of the base 2. The peripheral plate 22 shown in Fig. 4 corresponds to the "side wall of the base".

다음에, 주위판(22)에 설치한 각 부재에 대해 설명한다.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2)의 전방측의 주위판(22)의 상단부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고정한 소정 두께를 갖는 판형의 고정판(40, 40)을 한 쌍 구비하고 있다. 이 한 쌍의 고정판(40, 40)은 주위판(22)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나사 구멍(도시하지 않음)에 연통하는 고정 구멍(40a)을 각각 구비하고 있다. 베이스(2)의 좌우 양측의 주위판(22)의 각 상단부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고정한 소정 두께를 갖는 판형의 지지판(42, 42)을 한 쌍 구비하고 있다. Next, each member provided in the peripheral plate 22 will be described. As shown in Fig. 4, the upper end of the peripheral plate 22 on the front side of the base 2 is provided with a pair of plate-shaped fixing plates 40 and 40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fix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The pair of fixing plates 40, 40 are provided with fixing holes 40a communicating with a screw hole (not shown) which penetrates the peripheral plate 22 in the vertical direction. Each upper end portion of the peripheral plate 22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ase 2 is provided with a pair of plate-shaped support plates 42 and 42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fix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베이스(2) 상에 스플래시 커버(3)를 고정할 때에 이들 고정판(40) 및 지지판(42)을 사용한다. 고정판(40)에는, 도1,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플래시 커버(3)의 전방벽(3a)의 하단부에 설치한 블래킷(58)을 접촉하여 나사(68)로 고정한다. 지지판(42) 상에는, 도2,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플래시 커버(3)의 우측 바닥벽(3e)[좌측 바닥벽(3f)]의 하단부 근방의 외측면에 설치한 후술하는 단면 대략 L자형의 지지 부재(112)의 한쪽 부재가 접촉한다. 이에 의해, 주위판(22)의 지지판(42) 상에 스플래시 커버(3)의 하부를 지지한다. 이와 같이 하여, 베이스(2) 상에 스플래시 커버(3)를 설치한다. These fixing plates 40 and supporting plates 42 are used when fixing the splash cover 3 on the base 2. As shown in Figs. 1 and 9, the fixing plate 40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bracket 58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front wall 3a of the splash cover 3 and fixed with a screw 68. On the support plate 42, as shown in Figs. 2 and 8, the cross-section L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which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near the lower end of the right bottom wall 3e (left bottom wall 3f) of the splash cover 3, will be described later. One member of the female support member 112 is in contact. Thereby, the lower part of the splash cover 3 is supported on the support plate 42 of the peripheral plate 22. In this way, the splash cover 3 is provided on the base 2.

다음에, 바닥부(21)에 설치한 각 부재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부(21)의 좌우 양측 사이에 위치하는 대략 중앙부는 테이블(8)을 수납부(20) 내에서 대략 수평으로 지지하기 위한 대략 직육면체형의 테이블 지지대(24)를 구비하고 있고, 바닥부(21)와 함께 일체 성형하여 구성한다. 테이블 지지대(24)는 대략 직육면체형의 지지대 본체(25)와, 상기 지지대 본체(25)의 좌우 양단부로부터 대략 수직으로 각각 세워 설치한 한 쌍의 우측 지지벽(26) 및 좌측 지지벽(28)으로 이루어지고,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횡단면이 대략 오목형의 형상을 갖는다. 이 테이블 지지대(24)의 전방면, 우측면 및 좌측면과, 바닥부(21)와, 주위판(22)이 둘러싸고 형성하는 오목형의 통로가, 냉각액을 베이스(2) 밖으로 유출시키기 위한 「배출 통로」로 되어 있다.Next, the structure of each member provided in the bottom part 21 is demonstrated. As shown in Fig. 4, the substantially central portion located betwee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ttom portion 21 i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table support 24 for supporting the table 8 substantially horizontally in the accommodating portion 20. It is provided, and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bottom part 21, and is comprised. The table support 24 is a pair of right support walls 26 and left support walls 28, each of which is install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support main body 25 and vertically arranged from both left and right ends of the support main body 25, respectively. And a cross s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has a substantially concave shape. The front face, the right face and the left face of the table support 24, the concave passage formed by the bottom portion 21 and the circumferential plate 22 are formed so as to allow the coolant to flow out of the base 2. Passage ”.

다음에, 테이블 지지대(24)가 갖는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처음에, 지지대 본체(25)가 갖는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대 본체(25)는 그 상면 후방측에 한 쌍의 지지 블럭(47, 47)을 구비하고 있다. 이 지지 블럭(47, 47)은 상기 Y축 이동 기구의 볼나사축(도시하지 않음)의 일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볼나사축을 회전시키는 Y 모터(도시하지 않음)를 고정한다. 지지대 본체(25)는 그 상면 전방측에 상기 볼나사축의 타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한 쌍의 지지 블럭(48, 48)을 구비하고 있다. 이들 지지 블럭(47, 48)에 의해 상기 Y축 이동 기구를 구성하는 각종 부재를 지지함으로써, 한 쌍의 우측 지지벽(26) 및 좌측 지지벽(28)의 각 상단부보다도 하측에 Y축 이동 기구를 배치한다. Next, the structure which the table support 24 has is demonstrated. First, the structure which the support main body 25 has is demonstrated. As shown in Fig. 4, the support main body 25 is provided with a pair of support blocks 47 and 47 on the rear side of the upper surface. The support blocks 47 and 47 rotatably support one end of a ball screw shaft (not shown) of the Y-axis moving mechanism, and fix a Y motor (not shown) for rotating the ball screw shaft. The support main body 25 is provided with the pair of support blocks 48 and 48 for rotatably supporting the other end of the said ball screw shaft in the upper surface front side. By supporting the various members constituting the Y-axis movement mechanism by the support blocks 47 and 48, the Y-axis movement mechanism is lower than the upper ends of the pair of right support walls 26 and left support walls 28, respectively. Place it.

다음에, 우측 지지벽(26) 및 좌측 지지벽(28)이 갖는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 지지벽(26) 및 좌측 지지벽(28)의 각 상단부는 Y축 이송 가이드 레일(30)(도3 참조)을 설치하기 위한 평면에서 볼 때 띠형인 가이드 레일 설치면(27, 29)을 각각 구비하고 있다. 이들 가이드 레일 설치면(27, 29)의 내측[테이블 지지대(24)의 내측]의 각 모서리부는 Y축 이송 가이드 레일(30)을 위치 결정하기 위해 상방으로 돌출되는 단면 볼록형의 견부(27a, 29a)를 각각 구비하고 있다. 이에 의해, 가이드 레일 설치면(27, 29)에 대해 테이블 지지대(24)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하는 방향에 한 쌍의 Y축 이송 가이드 레일(30)을 설치하고, 각 견부(27a, 29a)에 접촉하여 위치 결정을 한다. Next, the structure of the right support wall 26 and the left support wall 28 is demonstrated. As shown in Fig. 4, each upper end of the right support wall 26 and the left support wall 28 is a band-shaped guide rail in plan view for installing the Y-axis transfer guide rail 30 (see Fig. 3). The mounting surfaces 27 and 29 are provided, respectively. Each corner portion of the inner side of the guide rail mounting surfaces 27 and 29 (inside of the table support 24) has a convex shoulder 27a and 29a projecting upward to position the Y-axis feed guide rail 30. Are respectively provided. Thereby, a pair of Y-axis feed guide rails 30 are provided in the direction from the inner side of the table support 24 to the outer side with respect to the guide rail installation surfaces 27 and 29, and is provided in each shoulder 27a and 29a. Contact by positioning.

바닥부(21)는 테이블 지지대(24)의 후방에 바닥부(21) 상부로부터 수직 상승한 상태로 형성한 정면에서 볼 때 대략 Y자형의 시트부 지지대(32)를 구비하고 있다. 시트부 지지대(32)는 그 상부의 좌우 양측에 컬럼(5)의 하부를 적재하여 고정하기 위한 대 시트인 대략 직육면체형의 한 쌍의 컬럼 시트부(4, 4)를 서로 이격하여 구비하고 있다. 그 컬럼 시트부(4, 4)의 하부와 주위판(22)의 상단부 사이를 평면에서 볼 때 사다리꼴형의 수평판(34)이 각각 연결되어 있다. 이들 각 수평판(34)의 하측은 수납부(20) 내에 낙하한 냉각액을 시트부 지지대(32)의 양측으로 부터 베이스(2)의 후방을 향해 배출하기 위한 터널형으로 형성한 냉각액 통로(35)이다. 수평판(34)의 상면과, 상기 수평판(34)의 상면에 접촉하는 컬럼 시트부(4)의 외측면과의 사이에 대략 삼각형으로 형성한 보강용 3매의 리브(45)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늘어서 있다.The bottom part 21 is equipped with the substantially Y-shaped sheet part support part 32 in the front view formed in the state which raised back perpendicularly from the top of the bottom part 21 in the back of the table support 24. As shown in FIG. The seat portion supporter 32 is provided with a pair of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column seat portions 4 and 4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s a large sheet for loading and fixing the lower portion of the column 5 on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upper portion thereof. . A trapezoidal horizontal plate 34 is connected between the lower portion of the column sheet portions 4 and 4 and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peripheral plate 22 in plan view. The lower side of each of the horizontal plates 34 is a coolant passage 35 formed in a tunnel shape for discharging the coolant dropped in the housing 20 from both sides of the seat supporter 32 toward the rear of the base 2. )to be. The three reinforcing ribs 45 formed in a substantially triangular shape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plate 34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column sheet portion 4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plate 34 are predetermined. Lined up at intervals.

시트부 지지대(32)는 한 쌍의 컬럼 시트부(4, 4) 사이에 테이블 지지대(24)의 상부 후방으로부터 베이스(2)의 후방을 향해 완만하게 하방으로 경사지는 경사부(37)를 구비하고 있다. 이에 의해, 지지대 본체(25)의 상면에 낙하한 냉각액은 그 경사부(37)를 따라서 흘러 베이스(2)의 후방으로 유출되도록 되어 있다. The seat support 32 has an inclined portion 37 which is gently inclined downwardly from the upper rear of the table support 24 to the rear of the base 2 between the pair of column seat portions 4 and 4. Doing. As a result, the coolant dropp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main body 25 flows along the inclined portion 37 to flow out of the rear of the base 2.

상기 구조로 이루어지는 수납부(20)의 바닥부(21)에는,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면 오목형의 홈통을 형성하는 평면에서 볼 때 대략 L자형인 한 쌍의 우측 홈통 부재(70) 및 좌측 홈통 부재(80)를 부설한다. 이 한 쌍의 우측 홈통 부재(70) 및 좌측 홈통 부재(80)는 테이블 지지대(24)의 전방측 및 좌우 양측을 매립하도록 하여 부설한다. 이 우측 홈통 부재(70) 및 좌측 홈통 부재(80)는 내측에 냉각액을 흐르게 하여 베이스(2)의 후방으로 유도하는 동시에, 본 발명의 특징인 라비린스 밀봉부(60)의 일부를 구성하는 것이다. As shown in Fig. 5, the bottom portion 21 of the housing portion 20 having the above structure includes a pair of right trough members 70 which are substantially L-shaped when viewed in a plane forming a concave trough of a cross section, and The left trough member 80 is laid. The pair of right trough members 70 and the left trough members 80 are laid so that the front side and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table support 24 are embedded. The right trough member 70 and the left trough member 80 flow a cooling liquid to the inside to guide the rear of the base 2 and constitute a part of the labyrinth seal 60 which is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다음에, 우측 홈통 부재(70) 및 좌측 홈통 부재(80)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5에 도시하는 한 쌍의 우측 홈통 부재(70) 및 좌측 홈통 부재(80)는 매끄러운 측면을 갖는 판금으로 구성한다. 우측 홈통 부재(70)는,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X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횡방향부(72)와, 상기 횡방향부(72)의 길이 방향 일단부로부터 Y축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종방향부(73)로 이루어지고, 전체가 평면 에서 볼 때 대략 L자형인 형상을 갖는다. 좌측 홈통 부재(80)도 마찬가지로,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X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횡방향부(82)와, 상기 횡방향부(82)의 길이 방향 일단부로부터 Y축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종방향부(83)로 이루어지고, 전체가 평면에서 볼 때 대략 L자형인 형상을 갖는다. 우측 홈통 부재(70) 및 좌측 홈통 부재(80)는 그 구조의 대부분이 서로 좌우 대칭 형상이므로, 우측 홈통 부재(70)를 중심으로 상세하게 설명하고, 좌측 홈통 부재(80)는 간략하게 설명한다. 도5에 도시하는 우측 홈통 부재(70) 및 좌측 홈통 부재(80)가 「오목형의 홈통 부재」에 상당한다. Next, the structures of the right trough member 70 and the left trough member 80 will be described. The pair of right trough member 70 and the left trough member 80 shown in FIG. 5 are made of sheet metal having smooth sides. As shown in FIG. 6, the right trough member 70 extends in the Y-axis direction in parallel with a transverse portion 72 extending in the X-axis direction and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ransverse portion 72. It consists of the longitudinal portion 73, and has the shape which is substantially L-shaped in the whole view. Similarly, the left trough member 80 also extends in the Y-axis direction from the transverse portion 82 extending in the X-axis direction and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ransverse portion 82 as shown in FIG. It consists of a longitudinal portion 83, the whole has a shape that is approximately L-shaped in plan view. Since the right gutter member 70 and the left gutter member 80 have a symmetrical shape with most of their structures, the right gutter member 7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right gutter member 70, and the left gutter member 80 will be briefly described. . The right trough member 70 and the left trough member 80 shown in FIG. 5 correspond to "concave trough member".

우선, 횡방향부(72)에 대해 설명한다.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횡방향부(72)는 평면에서 볼 때 가로로 긴 직사각형인 가로 본체(72a)를 구비하고, 상기 가로 본체(72a)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일단부에 상기 일단부의 소정 폭을 대략 직각으로 되접어 형성한 측벽부(72b)를 구비하고 있다. 가로 본체(72a)는 그 길이 방향 일단부에 좌측 홈통 부재(80)의 횡방향부(82)의 길이 방향 일단부를 중첩하여 연결하기 위한 평면에서 볼 때 직사각형의 연결부(72c)를 구비하고 있다. 그 연결부(72c)는 좌측 홈통 부재(80)의 횡방향부(82)의 일단부에 마련한 고정 구멍(85, 85)에 대향하는 2개의 고정 구멍(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하고 있다. 이에 의해, 좌측 홈통 부재(80)의 횡방향부(82)의 일단부를 연결부(72c)의 상면에 중첩한 후에 나사(66)를 각 고정 구멍에 연통하여 끼워 맞추고, 너트(도시하지 않음)로 고정함으로써 우측 홈통 부재(70)와 좌측 홈통 부재(80)를 서로 연결한다. First, the transverse direction portion 72 will be described. As shown in Fig. 6, the transverse direction portion 72 has a horizontal main body 72a that is a horizontally long rectangular shape in plan view, and at one en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rizontal main body 72a. A side wall portion 72b formed by folding a predetermined width of one end portion at a substantially right angle is provided. The horizontal main body 72a is provided with the rectangular connection part 72c by planar view for connecting the longitudinal one end to the longitudinal one end of the transverse part 82 of the left trough member 80 at the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connecting portion 72c includes two fixing holes (not shown) facing the fixing holes 85 and 85 provided at one end of the transverse portion 82 of the left trough member 80. Thereby, after overlapping the one end of the transverse part 82 of the left trough member 80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onnection part 72c, the screw 66 is communicated and fitted in each fixing hole, and a nut (not shown) is carried out. By fixing, the right trough member 70 and the left trough member 8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다음에, 종방향부(73)에 대해 설명한다.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방향 부(73)는 평면에서 볼 때 세로로 긴 직사각형의 세로 본체(73a)를 구비하고, 상기 세로 본체(73a)는 횡방향부(72)의 연결부(72c)측의 일단부와는 반대인 타단부에 직교하여 연결되어 있다. 세로 본체(73a)의 횡방향부(72)에 연결하는 전단부와는 반대인 후단부측은 폭이 좁아지고, 베이스(2)의 시트부 지지대(32)의 좌우 양측에 설치된 냉각액 통로(35)(도4 참조)의 내측으로 삽입할 수 있는 형상을 갖는다. Next, the longitudinal section 73 will be described. As shown in Fig. 6, the longitudinal portion 73 has a vertical longitudinal body 73a that is vertically long in plan view, and the longitudinal body 73a is a connection portion 72c of the transverse portion 72. As shown in Figs. It is connected orthogonally to the other end opposite to the one end of the side. The rear end side opposite to the front end portion connected to the transverse portion 72 of the longitudinal body 73a is narrowed in width, and the coolant passages 35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eat portion support 32 of the base 2 are provided. It has a shape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inside (see Fig. 4).

세로 본체(73a)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외측 일단부[횡방향부(72)측과는 반대측의 일단부]는 상기 외측 일단부의 소정 폭을 대략 직각으로 상방으로 되접어 형성한 측벽부(73b)를 구비하고 있다. 세로 본체(73a)는 측벽부(73b)의 외측면에 고정한 세로 본체(73a)의 전단부측으로부터 후단부측을 향해 서서히 높아지는 측면에서 볼 때 대략 삼각형인 측벽부(73c)를 구비하고 있다. 측벽부(73c)는 그 중간부보다도 약간 후단부 근처에 L자형의 절결부(76)를 갖고, 상기 절결부(76)로부터 후단부까지의 측벽부(73c)의 높이는 베이스(2)의 상기 냉각액 통로(35)의 내측의 높이와 동일하다.The outer one end (one end on the opposite side to the transverse part 72 side)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ngitudinal main body 73a is a side wall part which is formed by folding the predetermined width of the outer one end part upward at approximately right angles. 73b is provided. The vertical main body 73a has a substantially triangular side wall portion 73c as viewed from the side which gradually rises from the front end side to the rear end side of the vertical main body 73a fixed to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side wall portion 73b. The side wall portion 73c has an L-shaped cutout 76 near the rear end slightly more than the middle portion thereof, and the height of the sidewall portion 73c from the cutout 76 to the rear end is greater than that of the base 2. It is equal to the height of the inner side of the coolant passage 35.

세로 본체(73a)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내측 일단부[횡방향부(72)측의 일단부]는 상기 내측 일단부의 소정 폭을 대략 직각으로 되접어 형성한 측벽부(73d)를 구비하고 있다. 세로 본체(73a)는 측벽부(73d)의 외측면의, 상기 측벽부(73d)의 전단부측으로부터 중간부까지의 부분에 고정한 접촉 측벽부(73e)를 구비하고 있다. 접촉 측벽부(73e)는 세로 본체(73a)의 면에 대해 대략 직각으로 기립하고, 또한 그 상단부가 종방향부(73)의 외측을 향해 절곡되어 있다.The inner one end portion (one end portion on the side of the transverse portion 72)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ngitudinal body 73a includes a side wall portion 73d formed by folding a predetermined width of the inner one end portion at approximately right angles. Doing. The vertical body 73a is provided with the contact side wall part 73e fixed to the part from the front end side of the said side wall part 73d to the middle part of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side wall part 73d. The contact side wall portion 73e stands up at a substantially right angle with respect to the surface of the longitudinal main body 73a, and the upper end portion thereof is bent toward the outside of the longitudinal portion 73.

측벽부(73d)의 후단부는 외측면에 측벽부(73d)보다 약간 높은 고정벽(73f)을 구비하고 있다. 이 고정벽(73f)은 고정벽(73f)을 좌측 홈통 부재(80)의 종방향부(83)의 후단부의 고정벽(83f)(도5 참조)과 연결하는 연결 부재(90)의 길이 방향 일단부를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이 고정벽(73f)은 후단부 근방에 연결 부재(9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구멍(77)을 갖는다. 도6에 도시하는 측벽부(73c)와 접촉 측벽부(73e)가 「한 쌍의 측벽」에 상당하고, 측벽부(73c)가 「외측 측벽」에 상당하고, 접촉 측벽부(73e)가 「내측 측벽」에 상당한다.The rear end of the side wall portion 73d has a fixing wall 73f slightly higher than the side wall portion 73d on the outer side surface. The fixing wall 73f is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90 that connects the fixing wall 73f with the fixing wall 83f (see FIG. 5) at the rear end of the longitudinal portion 83 of the left trough member 80. It is for fixing one end. The fixing wall 73f has a fixing hole 77 for fixing the connecting member 90 near the rear end portion. The side wall portion 73c and the contact side wall portion 73e shown in FIG. 6 correspond to the "pair of side walls", the side wall portion 73c corresponds to the "outer side wall", and the contact side wall portion 73e corresponds to the " Inner side wall ”.

횡방향부(72)의 가로 본체(72a)의 폭 길이는 베이스(2)의 전방측의 주위판(22)과 테이블 지지대(24)의 전방면을 사이에 두는 배출 통로의 폭 길이보다도 짧다. 이에 의해,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횡방향부(72)의 측벽부(72b)와, 주위판(22) 사이에 소정의 간극이 생기고, 그 소정의 간극을 이용하여 후술하는 라비린스 밀봉부(60)를 설치할 수 있다. 횡방향부(72)가 주위판(22)으로부터 이격됨으로써 횡방향부(72) 내를 흐르는 냉각액이 주위판(22)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width length of the horizontal main body 72a of the transverse direction 72 is shorter than the width length of the discharge passage which sandwiches the peripheral plate 22 of the front side of the base 2,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table support 24. As a result, as shown in Fig. 9, a predetermined gap is generated between the side wall portion 72b of the lateral portion 72 and the peripheral plate 22, and the labyrinth sealing portion (to be described later) using the predetermined gap ( 60) can be installed. Since the horizontal portion 72 is spaced apart from the peripheral plate 22,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olant flowing in the horizontal portion 72 from leaking into the peripheral plate 22.

종방향부(73)의 세로 본체(73a)의 폭 길이도 베이스(2)의 우측의 주위판(22)과, 테이블 지지대(24)의 우측 지지벽(26)의 외측면을 사이에 두는 배출 통로의 폭 길이보다도 짧다. 이에 의해,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방향부(73)의 측벽부(73c)와, 주위판(22) 사이에 소정의 간극이 생기고, 그 소정의 간극을 이용하여 후술하는 라비린스 밀봉부(60)를 설치할 수 있다. 종방향부(73)가 주위판(22)으로부터 이격됨으로써 종방향부(73) 내를 흐르는 냉각액이 주위판(22)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width and length of the longitudinal body 73a of the longitudinal section 73 are also discharged so as to sandwich the peripheral plate 22 on the right side of the base 2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right support wall 26 of the table support 24. It is shorter than the width of the passage. As a result, as shown in Fig. 8, a predetermined gap is generated between the side wall portion 73c of the longitudinal portion 73 and the peripheral plate 22, and the labyrinth sealing portion (to be described later using the predetermined gap) ( 60) can be installed. Since the longitudinal portion 73 is spaced apart from the peripheral plate 22,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olant flowing in the longitudinal portion 73 from leaking into the peripheral plate 22.

다음에, 상기 구조로 이루어지는 우측 홈통 부재(70) 및 좌측 홈통 부재(80)의 베이스(2) 상의 배치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선, 오목형의 우측 홈통 부재(70)의 개방측을 상방을 향하게 하고, 베이스(2)의 수납부(20)의 바닥부(21)의 우측 절반을 덮도록 하여 우측 홈통 부재(70)를 배치한다. 이때, 우측 홈통 부재(70)의 종방향부(73)의 후단부는 베이스(2) 후방의 터널형 냉각액 통로(35)(도4 참조)의 내측으로 삽입하여 배치한다. 계속해서, 좌측 홈통 부재(80)의 개방측을 상방을 향하게 하고, 베이스(2)의 수납부(20)의 바닥부(21)의 좌측 절반을 덮도록 하여 좌측 홈통 부재(80)를 배치한다. 좌측 홈통 부재(80)의 종방향부(83)의 후단부도 마찬가지로 하여 베이스(2)의 냉각액 통로(35)(도4 참조)의 내측으로 삽입하여 배치한다. Next, the arrangement method on the base 2 of the right trough member 70 and the left trough member 80 which consists of the said structure is demonstrated. As shown in Fig. 5, first, the open side of the concave right trough member 70 is faced upward, so as to cover the right half of the bottom 21 of the housing portion 20 of the base 2. The right trough member 70 is arranged. At this time, the rear end of the longitudinal portion 73 of the right trough member 70 is inserted into the tunnel coolant passage 35 (see Fig. 4) behind the base 2 and disposed. Subsequently, the left trough member 80 is disposed so that the open side of the left trough member 80 faces upward, and the left half of the bottom 21 of the housing portion 20 of the base 2 is covered. . The rear end of the longitudinal portion 83 of the left trough member 80 is similarly inserted into the coolant passage 35 (see FIG. 4) of the base 2 and disposed.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 홈통 부재(80)의 횡방향부(82)의, 우측 홈통 부재(70)의 횡방향부(72)에 대향하는 일단부를 우측 홈통 부재(70)의 횡방향부(72)의 연결부(72c)의 상면에 중첩하여 배치한다. 좌측 홈통 부재(80)의 횡방향부(82)의 고정 구멍(85)과, 우측 홈통 부재(70)의 횡방향부(72)의 연결부(72c)의 고정 구멍에 나사(66)를 끼워 너트(도시하지 않음)로 고정한다. 이와 같이 하여 우측 홈통 부재(70)의 횡방향부(72)와, 좌측 홈통 부재(80)의 횡방향부(82)를 서로 연결한다. As shown in Fig. 6, one end portion of the transverse portion 82 of the left trough member 80 that faces the transverse portion 72 of the right trough member 70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right trough member 70. It arrange | position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nection part 72c of the part 72, and is arrange | positioned. The nut is screwed into the fixing hole 85 of the transverse portion 82 of the left trough member 80 and the fixing hole of the connecting portion 72c of the transverse portion 72 of the right trough member 70. (Not shown). In this way, the lateral direction 72 of the right trough member 70 and the lateral direction 82 of the left trough member 8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2)의 바닥부(21)의 후단부 근방에 고정된 대략 L자형 단면의 연결 부재(90)가 우측 홈통 부재(70)의 종방향부(73)의 후단부와, 좌측 홈통 부재(80)의 종방향부(83)의 후단부를 연결하고 있다. 이 연결 부 재(90)는 신축 가능하며, 우측 홈통 부재(70) 및 좌측 홈통 부재(80)를 함께 바닥부(21) 상의 대략 중앙의 테이블 지지대(24)측으로 당기면서 베이스(2)의 바닥부(21) 상에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As shown in Fig. 5, the connecting member 90 of the substantially L-shaped cross section fixed near the rear end of the bottom portion 21 of the base 2 is formed of the longitudinal portion 73 of the right trough member 70. The rear end and the rear end of the longitudinal portion 83 of the left trough member 80 are connected. This connecting member 90 is stretchable, and the bottom of the base 2 is pulled together by pulling the right trough member 70 and the left trough member 80 toward the approximately center table support 24 on the bottom 21. It is for fixing on the part 21.

여기서, 연결 부재(90)에 대해 설명한다.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 부재(90)는 단면 대략 L자형의 제1 연결 부재(91)와, 마찬가지로 단면 대략 L자형의 제2 연결 부재(92)로 이루어진다. 제2 연결 부재(92)는 제1 연결 부재(91)의 길이 방향 일단부측의 내측과 중첩되고, 소정 거리 내에서 제1 연결 부재(91)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슬라이드 가능한 상태로 연결되어 있다. Here, the connecting member 90 will be described. As shown in Fig. 7, the connecting member 90 is composed of a first connecting member 91 having a substantially L-shaped cross section and a second connecting member 92 having a substantially L-shaped cross section.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92 overlaps the inner side of one end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connecting member 91 and is connected in a slidable stat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connecting member 91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우선, 제1 연결 부재(91)는 평면에서 볼 때 띠형인 본체 부재(91a)와, 상기 본체 부재(91a)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일단부에 대략 직각으로 설치한 측부재(91b)로 이루어지고, 단면이 대략 L자형인 형상을 갖는다. 제1 연결 부재(91)의, 제2 연결 부재(92)가 연결하는 측의 일단부와는 반대인 타단부에는 본체 부재(91a)와 측부재(91b)에 대해 직각으로 직사각형의 고정 부재(91c)가 연결되어 있다. 고정 부재(91c)는 본체 부재(91a)의 폭방향에 약간 긴 타원형의 고정 구멍(97)을 갖는다. 본체 부재(91a)는 상기 제2 연결 부재(92)가 연결하는 측의 일단부 근방에 본체 부재(91a)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직렬로 한 쌍으로 늘어선 본체 부재(91a)의 길이 방향에 긴 타원형의 조정 구멍(95, 95)을 갖는다. First, the first connecting member 91 is a band-shaped main body member 91a in plan view and a side member 91b provided at approximately one en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member 91a. It has a shape of which the cross section is substantially L-shaped. On the other end of the first connection member 91 opposite to one end of the side to which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92 connects, a rectangular fixing member perpendicular to the main body member 91a and the side member 91b ( 91c) is connected. The fixing member 91c has an elliptical fixing hole 97 slightly longer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main body member 91a. The main body member 91a is elliptical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body member 91a lined up in seri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body member 91a near the one end part of the side to which the said 2nd connection member 92 connects. Has adjustment holes 95 and 95.

제2 연결 부재(92)도 마찬가지로, 평면에서 볼 때 띠형인 본체 부재(92a)와, 상기 본체 부재(92a)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일단부에 대략 직각으로 설치한 측부재(92b)로 이루어지고, 단면이 대략 L자형인 형상을 갖는다. 제2 연결 부 재(92)의, 제1 연결 부재(91)에 연결하는 측의 일단부와는 반대인 타단부에는 본체 부재(92a)와 측부재(92b)에 대해 직각으로 직사각형의 고정 부재(92c)가 연결되어 있다. 고정 부재(92c)는 본체 부재(92a)의 폭방향에 약간 긴 타원형의 고정 구멍(98)을 갖는다. 본체 부재(92a)는 상기 제1 연결 부재(91)에 연결하는 측의 일단부 근방에 제1 연결 부재(91)의 한 쌍의 조정 구멍(95, 95)에 각각 서로 대응하는 한 쌍의 조정 구멍(96, 96)을 갖는다. 조정 구멍(96, 96)은 본체 부재(92a)의 길이 방향으로 긴 타원 형상을 갖고, 본체 부재(92a)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직렬로 늘어서 있다.Similarly, the 2nd connection member 92 is also provided with the strip | belt-shaped main-body member 92a in planar view, and the side member 92b provided in the substantially perpendicular part in the one end part of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aid main-body member 92a. It has a shape of which the cross section is substantially L-shape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92 opposite to one end of the side connecting to the first connecting member 91 has a rectangular fixing member perpendicular to the main body member 92a and the side member 92b. 92c is connected. The fixing member 92c has an elliptical fixing hole 98 that is slightly longer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ody member 92a. The body member 92a has a pair of adjustment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in the pair of adjustment holes 95 and 95 of the first connection member 91 near one end of the side connecting to the first connection member 91, respectively. It has holes 96 and 96. The adjustment holes 96 and 96 have an elliptical shape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member 92a, and are arranged in seri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member 92a.

다음에,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연결 부재(90)의 고정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연결 부재(91)의 고정 부재(91c)(도7 참조)를 좌측 홈통 부재(80)의 종방향부(83)의 후단부의 고정벽(83f)에 나사(94) 및 너트(도시하지 않음)로 고정한다. 계속해서, 제2 연결 부재(92)의 고정 부재(92c)(도7 참조)를 우측 홈통 부재(70)의 종방향부(73)의 후단부의 고정벽(73f)에 나사 및 너트(도시하지 않음)로 고정한다. 또한, 제1 연결 부재(91)의 상기 타단부측에 제2 연결 부재(92)의 상기 타단부측을 중첩한다. 계속해서, 본체 부재(91a)측의 조정 구멍(95, 95)과, 본체 부재(92a)측의 조정 구멍(96, 96)을 마주보게 한다.Next, the fixing method of the connection member 90 which consists of the said structure is demonstrated. First, as shown in FIG. 5, the fixing member 91c (see FIG. 7) of the first connecting member 91 is attached to the fixing wall 83f of the rear end of the longitudinal portion 83 of the left trough member 80. Secure with screws 94 and nuts (not shown). Subsequently, the fixing member 92c (see FIG. 7) of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92 is attached to the fixing wall 73f of the rear end of the longitudinal portion 73 of the right trough member 70 (not shown). Fixed). Moreover, the said other end side of the 2nd connection member 92 overlaps with the said other end side of the 1st connection member 91. FIG. Subsequently, the adjustment holes 95 and 95 on the main body member 91a side and the adjustment holes 96 and 96 on the main body member 92a side are faced to each other.

다음에, 제1 연결 부재(91) 및 제2 연결 부재(92)를 테이블 지지대(24)측으로 당긴다. 이에 의해, 우측 홈통 부재(70)의 접촉 측벽부(73e)의 상단부가 테이블 지지대(24)의 우측 지지벽(26)의 외측면에 접촉하고, 좌측 홈통 부재(80)의 접 촉 측벽부(83e)의 상단부가 테이블 지지대(24)의 좌측 지지벽(28)의 외측면에 접촉한다. Next, the first connecting member 91 and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92 are pulled toward the table support 24 side. Thereby, the upper end part of the contact side wall part 73e of the right trough member 70 contacts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right support wall 26 of the table support 24, and the contact side wall part (of the left trough member 80) The upper end of 83e) contacts the outer surface of the left support wall 28 of the table support 24.

계속해서, 베이스(2)의 바닥부(21)의 후단부 근방에 마련한 고정 구멍(23, 23)(도4 참조)에 대해 제1 연결 부재(91) 및 제2 연결 부재(92)의 각 조정 구멍(95, 96)을 중첩하여 대향시킨다. 이들 조정 구멍(95, 96) 및 고정 구멍(23)에 대해 나사(99)를 각각 끼움으로써 제1 연결 부재(91)와 제2 연결 부재(92)를 일직선형으로 연결하는 동시에, 베이스의 바닥부(21)에 연결 부재(90)를 고정한다. Subsequently, the angles of the first connecting member 91 and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92 with respect to the fixing holes 23 and 23 (see Fig. 4) provided near the rear end of the bottom portion 21 of the base 2 are shown. The adjusting holes 95 and 96 are overlapped to face each other. By fitting the screws 99 to these adjustment holes 95 and 96 and the fixing holes 23, respectively, the first connection member 91 and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92 are connected in a straight line, and the bottom of the base The connecting member 90 is fixed to the portion 21.

이와 같이, 제1 연결 부재(91) 및 제2 연결 부재(92)를 테이블 지지대(24)측의 대략 중앙으로 당기면서 베이스(2)의 바닥부(21)에 고정한다. 이에 의해, 우측 홈통 부재(70)의 접촉 측벽부(73e)의 상단부와, 테이블 지지대(24)의 우측 지지벽(26)의 외측면과의 사이에 간극이 없어진다. 마찬가지로, 좌측 홈통 부재(80)의 접촉 측벽부(83e)의 상단부와, 테이블 지지대(24)의 좌측 지지벽(28)의 외측면 사이에 간극이 없어진다. 우측 홈통 부재(70)의 접촉 측벽부(73e) 및 좌측 홈통 부재(80)의 접촉 측벽부(73e)가 테이블 지지대(24)의 우측 지지벽(26) 및 좌측 지지벽(28)의 양측 외측면을 각각 덮는 상태가 된다. In this way, the first connecting member 91 and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92 are fixed to the bottom portion 21 of the base 2 while pulling to the center of the table support 24 side. As a result, there is no gap between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contact side wall portion 73e of the right trough member 70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right support wall 26 of the table support 24. Similarly, there is no gap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contact side wall portion 83e of the left trough member 80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left support wall 28 of the table support 24. The contact side wall portion 73e of the right trough member 70 and the contact side wall portion 73e of the left trough member 80 are both outer sides of the right support wall 26 and the left support wall 28 of the table support 24. It is in a state covering each side.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테이블(8) 상부로부터 비산하여 낙하하는 냉각액의 대부분을 베이스(2) 상의 수납부(20) 내의 배출 통로가 아닌, 우측 홈통 부재(70) 및 좌측 홈통 부재(80)의 내측으로 흐르게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베이스(2)는 주철을 주형으로 유입함으로써 일체 성형하고 있으므로, 그 표면은 거칠고, 냉각액에 포함되는 칩이 걸리기 쉽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의 머시닝 센 터(1)에서는 냉각액의 대부분을 베이스(2) 상의 배출 통로가 아닌, 표면이 매끄러운 우측 홈통 부재(70) 및 좌측 홈통 부재(80)로 흐르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우측 홈통 부재(70) 및 좌측 홈통 부재(80)의 내측면에 칩이 걸리지 않으므로, 냉각액 및 칩의 배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By such a structure, most of the coolant which scatters and falls from the upper part of the table 8 is not the discharge passage in the accommodating portion 20 on the base 2, but rather the right trough member 70 and the left trough member 80. It can flow inward.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base 2 is integrally formed by introducing the cast iron into the mold, its surface is rough, and chips contained in the coolant are easily caught. However, in the machining center 1 of this embodiment, most of the cooling liquid can flow to the right gutter member 70 and the left gutter member 80 having a smooth surface rather than the discharge passage on the base 2. As a result, since chips are not caught on the inner surfaces of the right trough member 70 and the left trough member 80, the dischargeability of the coolant and the chip can be improved.

다음에, 본 발명의 특징인 라비린스 밀봉부(6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3에 도시하는 라비린스 밀봉부(60)는 냉각액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한 미로형의 통로이다. 이 라비린스 밀봉부(60)는 베이스(2)의 좌우 양측의 주위판(22)의 근방과, 베이스(2)의 전방측의 주위판(22)의 근방에 각각 존재한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는 베이스(2)의 좌우 양측의 라비린스 밀봉부(60)와, 베이스(2)의 전방측의 라비린스 밀봉부(60)에 대해 각각 차례로 설명한다. Next, the structure of the labyrinth sealing part 60 which is a characteristic of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The labyrinth sealing part 60 shown in FIG. 3 is a maze-type passage provided in order to prevent leakage of cooling liquid. This labyrinth sealing part 60 exists in the vicinity of the peripheral plate 22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ase 2, and the vicinity of the peripheral plate 22 of the front side of the base 2, respectively. Therefor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labyrinth sealing part 60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ase 2, and the labyrinth sealing part 60 of the front side of the base 2 are demonstrated in order, respectively.

우선, 베이스(2)의 좌우 양측에 구성한 라비린스 밀봉부(6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베이스(2)의 우측의 라비린스 밀봉부(60)와, 베이스(2)의 좌측의 라비린스 밀봉부(60)는 서로 좌우 대칭 구조이므로, 베이스(2)의 우측의 주위판(22)의 근방에 설치한 라비린스 밀봉부(60)를 일 예로서 설명한다. First, the structure of the labyrinth sealing part 60 comprised in the left and right both sides of the base 2 is demonstrated. Since the labyrinth sealing part 60 of the right side of the base 2 and the labyrinth sealing part 60 of the left side of the base 2 are mutually symmetrical structure, it is located in the vicinity of the peripheral plate 22 of the right side of the base 2. The labyrinth sealing part 60 provided is demonstrated as an example.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래시 커버(3)의 우측 바닥벽(3e)은 우측벽(3b)(도3 참조)의 하단부로부터 베이스(2)의 수납부(20)의 내측을 향해 비스듬히 하방으로 경사져 연장되어 있고, 우측 바닥벽(3e)의 하단부는 수납부(20)의 주위판(22)의 내측면으로부터 약간 이격되어 있다. 우측 바닥벽(3e)은 그 하단부로부터 수직 하방으로 연장되는 동시에, 선단부가 우측 홈통 부재(70)의 내측에 대향하는 측면에서 볼 때 띠형인 연장 설치 부재(100)를 구비하고 있다. 연장 설치 부 재(100)는 우측 홈통 부재(70)의 측벽부(73c)보다도 약간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As shown in Fig. 8, the right bottom wall 3e of the flash cover 3 is obliquely down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right wall 3b (see Fig. 3) toward the inside of the receiving portion 20 of the base 2. Extends, and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right bottom wall 3e is slightly spaced apart from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peripheral plate 22 of the housing portion 20. The right bottom wall 3e extends vertically downward from the lower end thereof, and is provided with a band-shaped extending installation member 100 when the distal end thereof is viewed from the side facing the inside of the right trough member 70. The extension mounting member 100 is located slightly inside of the side wall portion 73c of the right trough member 70.

비스듬히 경사지는 우측 바닥벽(3e)은 하단부보다도 약간 상측의 외측면에 측면에서 볼 때 가로로 긴 직사각형인 제2 연장 설치 부재(110)를 구비하고 있다. 제2 연장 설치 부재(110)는 길이 방향을 따라서 소정 폭을 절곡하고 있고, 상측의 한쪽 부재가 우측 바닥벽(3e)의 외측면에 고정되어 있고, 하측의 다른 부재는 주위판(22)의 내측면과 우측 홈통 부재(70)의 측벽부(73c)의 외측면과의 간극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도2 또는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연장 설치 부재(110)는 상기 다른 부재의 전단부 근방과 후단부 근방의 2군데에서 단면 대략 L자형의 지지 부재(112)로 고정하고 있다. 지지 부재(112)는 베이스(2)의 상부에 스플래시 커버(3)를 설치할 때, 지지 부재(112)의 제2 연장 설치 부재(110)의 외측면으로부터 대략 수평으로 연장되는 한쪽 부재를 베이스(2)의 주위판(22)의 상단부에 고정한 각 지지판(42)의 상면에 접촉시키는 것이다(도2 참조). The obliquely inclined right bottom wall 3e is provided with the 2nd extending installation member 110 which is a horizontally long rectangle from the side to the outer side surface slightly upper side than a lower end part. The 2nd extended installation member 110 is bending the predetermined width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upper one member is being fixed to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right bottom wall 3e, and the other lower member is the It extends toward the clearance gap between the inner surfac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wall portion 73c of the right trough member 70. As shown in FIG. 2 or FIG. 8, the 2nd extension installation member 110 is being fixed by the support member 112 of substantially L shape in cross section in two places of the front end part and the rear end part vicinity of the said other member. When the support member 112 installs the splash cover 3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2, the support member 112 may have one base extending substantially horizontally from an outer surface of the second extended installation member 110 of the support member 112. It is made to contact the upper surface of each support plate 42 fixed to the upper end part of the periphery plate 22 of 2) (refer FIG. 2).

상기 구성에 있어서, 우측 홈통 부재(70)의 측벽부(73c)는 우측 바닥벽(3e)의 하부로부터 하방으로 각각 연장되는 한 쌍의 제1 연장 설치 부재(100)와 제2 연장 설치 부재(110) 사이의 간극에 위치한다. 따라서, 제1 연장 설치 부재(100)와, 우측 바닥벽(3e)의 외측면과, 우측 홈통 부재(70)의 측벽부(73c)와, 제2 연장 설치 부재(110)로 구성하는 통로는 미로형이 되므로, 라비린스 밀봉부(60)를 구성할 수 있다. 도8에 도시하는 제1 연장 설치 부재(100)와 제2 연장 설치 부재(110)가 「두갈래부」에 상당한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the side wall portion 73c of the right trough member 70 has a pair of first extended mounting members 100 and a second extended mounting member each extending downward from the bottom of the right bottom wall 3e. Located in the gap between 110). Therefore, the passage comprised by the 1st extended installation member 100,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right bottom wall 3e, the side wall part 73c of the right trough member 70, and the 2nd extended installation member 110 is Since it becomes a maze type, the labyrinth sealing part 60 can be comprised. The 1st extended installation member 100 and the 2nd extended installation member 110 shown in FIG. 8 correspond to a "double part."

이 라비린스 밀봉부(60)는 우측 홈통 부재(70)의 내측과, 주위판(22)의 상단 부와 우측 바닥벽(3e)의 외측면 사이의 간극 사이에 개재한다. 이에 의해, 우측 홈통 부재(70) 내를 냉각액이 기세 좋게 흘러 우측 홈통 부재(70)의 측벽부(73c)를 타고 넘었다고 해도 이 라비린스 밀봉부(60)를 구성하는 벽면에 닿음으로써 냉각액의 기세를 약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냉각액이 주위판(22)의 상단부로부터 타고 넘어 베이스(2) 밖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is labyrinth sealing part 60 is interposed between the inside of the right trough member 70 and the clearance gap between the upper end part of the periphery plate 22 and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right bottom wall 3e. Thereby, even if coolant flows through the inside of the right trough member 70 favorably, it passes through the side wall part 73c of the right trough member 70, and touches the wall surface which comprises this labyrinth sealing part 60, and the force of the coolant Can be weaken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olant from leaking out of the base 2 beyond the upper end of the peripheral plate 22.

다음에, 베이스(2) 전방측에 설치한 라비린스 밀봉부(6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플래시 커버(3)의 전방벽(3a)의 하단부는 베이스(2)의 전방측의 주위판(22)보다도 후방에 수납되어 있다. 전방벽(3a)은 외측면의 하단부 근방에서 상기 하단부 근방을 따라서 연장되는 단면 대략 L자형의 블래킷(58)에 고정하고 있다. 블래킷(58)의 전방벽(3a)으로부터 대략 수평으로 연장되는 한쪽 부재가 베이스(2)의 전방측의 주위판(22)의 상단부에 고정한 각 고정판(40)에 접촉하고, 블래킷(58)의 고정 구멍(도시하지 않음)과, 고정판(40)의 고정 구멍(40a)(도4 참조)에 끼워진 나사(68)에 의해 머물러 있다. Next, the structure of the labyrinth sealing part 60 provided in the base 2 front side is demonstrated. As shown in Fig. 9,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front wall 3a of the splash cover 3 is stored behind the peripheral plate 22 on the front side of the base 2. The front wall 3a is fixed to a blanket 58 having a substantially L-shaped cross section extending from the vicinity of the lower end of the outer side to the vicinity of the lower end. One member extending substantially horizontally from the front wall 3a of the bracket 58 contacts each fixing plate 40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peripheral plate 22 on the front side of the base 2, and the bracket 58 ) And a screw 68 fitted into the fixing hole 40a (see FIG. 4) of the fixing plate 40.

전방벽(3a)의 하단부는 하단부를 따라서 연장되는 단면 대략 L자형의 제1 연장 설치 부재(120)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연장 설치 부재(120)는 고정부(120a)와 연장 설치부(120b)로 이루어지고, 단면이 대략 L자형인 형상을 갖는다. 고정부(120a)는 전방벽(3a)의 하단부에 고정하고 있고, 연장 설치부(120b)는 수직 하방[베이스(2)의 수납부(20)]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연장 설치부(120b)의 선단부(하단부)는 우측 홈통 부재(70)의 측벽부(72b)의 내측면보다도 약간 후방으로 이격되어 있다. 제1 연장 설치 부재(120a)에는 상기 제1 연장 설치 부재(120a)의 외측 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동시에, 전방벽(3a)의 하단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제2 연장 설치 부재(121)가 고정되어 있다.The lower end part of the front wall 3a is equipped with the 1st extension installation member 120 of the substantially L-shaped cross section extended along a lower end part. The first extension mounting member 120 is composed of a fixed portion 120a and an extension mounting portion 120b, and has a shape having a substantially L-shaped cross section. The fixing part 120a is being fixed to the lower end part of the front wall 3a, and the extension installation part 120b is extended vertically downward (the accommodating part 20 of the base 2). The distal end portion (lower end portion) of the extension mounting portion 120b is spaced slightly rearward from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side wall portion 72b of the right trough member 70. The second extension installation member 121 extends downwardly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extension installation member 120a and extend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wer end of the front wall 3a in the first extension installation member 120a. Is fixed.

상기 구성에 있어서, 우측 홈통 부재(70)의 측벽부(72b)는 전방벽(3a)의 하단부로부터 하방으로 각각 연장되는 한 쌍의 제1 연장 설치 부재(120)의 연장 설치부(120b)와, 제2 연장 설치 부재(121) 사이의 간극에 위치한다. 따라서, 단면 대략 L자형의 제1 연장 설치 부재(120)의 연장 설치부(120b)와, 우측 홈통 부재(70)의 측벽부(72b)와, 제2 연장 설치 부재(121)에 의해 형성되는 통로가 미로형이 되고, 라비린스 밀봉부(60)를 구성할 수 있다. In the above configuration, the side wall portion 72b of the right trough member 70 and the extension mounting portion 120b of the pair of first extension mounting members 120 extending down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front wall 3a, respectively. And a gap between the second extending installation members 121. Therefore, it is formed by the extension installation part 120b of the 1st extension installation member 120 of cross-sectional substantially L shape, the side wall part 72b of the right trough member 70, and the 2nd extension installation member 121. As shown in FIG. The passage becomes a labyrinth type, and the labyrinth sealing part 60 can be comprised.

이 라비린스 밀봉부(60)는 우측 홈통 부재(70)의 내측과, 주위판(22)의 내측면과 전방벽(3a)의 외측면 사이의 간극 사이에 개재된다. 그로 인해, 예를 들어 우측 홈통 부재(70) 내를 냉각액이 기세 좋게 흘러 우측 홈통 부재(70)의 측벽부(72b)를 타고 넘었다고 해도 이 라비린스 밀봉부(60)를 구성하는 벽면에 닿음으로써 냉각액의 기세를 약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냉각액이 주위판(22)의 상부로부터 타고 넘어 베이스(2) 밖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labyrinth seal 60 is interposed between the inside of the right trough member 70 and the gap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peripheral plate 22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front wall 3a. Therefore, even if coolant flows through the inside of the right trough member 70 rapidly, for example, it hits the wall surface which comprises this labyrinth sealing part 60, even if it passed through the side wall part 72b of the right trough member 70, The momentum of the coolant can be weaken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olant from leaking out of the base 2 over the top of the peripheral plate 22.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머시닝 센터(1)는 베이스(2) 상에 설치한 오목형 수납부(20)의 바닥부(21)와, 스플래시 커버(3)의 하부 사이에 미로형의 라비린스 밀봉부(60)를 구비한 점에 본 발명의 특징을 갖는다. 예를 들어, 베이스(2)의 수납부(20)의 내측에 설치한 배출 통로 내를 냉각액이 기세 좋게 흘러도 이 라비린스 밀봉부(60)에 의해 냉각액의 기세를 약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수납부(20) 내의 냉각액이 베이스(2)의 주위판(22)을 타고 넘어 베이스 밖으로 누 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s explained above, the machining center 1 of this embodiment is a maze type between the bottom part 21 of the concave accommodating part 20 provided on the base 2, and the lower part of the splash cover 3. As shown in FIG.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abyrinth sealing unit 60 is provided. For example, even if the coolant flows in the discharge passage provided in the inside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20 of the base 2, the force of the coolant can be weakened by the labyrinth sealing part 60.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olant in the accommodating part 20 from leaking out of the base via the peripheral plate 22 of the base 2.

본 실시 형태의 머시닝 센터(1)는 베이스(2)의 수납부(20)의 바닥부(21)에 우측 홈통 부재(70) 및 좌측 홈통 부재(80)를 각각 구비하고 있다. 이에 의해, 테이블(8) 상으로부터 비산하여 낙하하는 냉각액의 대부분을 수납부(20) 내의 배출 통로가 아닌, 우측 홈통 부재(70) 및 좌측 홈통 부재(80)의 내측으로 흐르게 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우측 홈통 부재(70) 및 좌측 홈통 부재(80)의 내측면은 매끄럽기 때문에, 이들 내측면에 칩이 걸리지 않아 냉각액 및 칩의 배출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The machining center 1 of this embodiment is equipped with the right trough member 70 and the left trough member 80 in the bottom part 21 of the accommodating part 20 of the base 2, respectively. As a result, most of the cooling liquid scattered and dropped from the table 8 flows to the inside of the right trough member 70 and the left trough member 80 instead of the discharge passage in the accommodating portion 20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Can be. In addition, since the inner surfaces of the right trough member 70 and the left trough member 80 are smooth, chips are not caught on these inner surfaces, so that the dischargeability of the coolant and the chip can be further improved.

이들 우측 홈통 부재(70) 및 좌측 홈통 부재(80)의 각 측벽부를 이용함으로써 상기 라비린스 밀봉부(60)를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납부(20)의 바닥부(21)측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우측 홈통 부재(70)의 측벽부(73c)와, 우측 바닥벽(3e)의 외측면과, 우측 바닥벽(3e)의 외측면으로부터 수납부(20)의 바닥부(21)측을 향해 각각 연장되는 제1 연장 설치 부재(100) 및 제2 연장 설치 부재(110)에 의해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The labyrinth sealing part 60 can be easily comprised by using each side wall part of these right trough member 70 and the left trough member 80. As shown in FIG. For example, the side wall portion 73c of the right trough member 70 extending upward from the bottom 21 side of the storage portion 20, the outer surface of the right bottom wall 3e, and the right bottom wall ( It can be comprised easily by the 1st extension installation member 100 and the 2nd extension installation member 110 which respectively extend toward the bottom part 21 side of the accommodating part 20 from the outer side surface of 3e).

이와 같이, 수납부(20)의 바닥부(21)와, 스플래시 커버(3)의 하부 사이의 간극을 종래와 같은 패킹으로 폐색하는 것은 아니고, 미로형의 라비린스 밀봉부(60)를 설치했다. 이에 의해, 라비린스 밀봉부(60) 내에는 칩이 걸리는 장해물이나 돌기물이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수납부(20)의 바닥부(21)와, 스플래시 커버(3)의 하부 사이의 간극에 칩이 퇴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패킹을 고정하기 위한 판금이나, 상기 판금을 고정하기 위한 나사나 너트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설치 작업의 수고가 없고, 또한 이들 부품에 드는 비용도 절약할 수 있다. Thus, the gap between the bottom part 21 of the accommodating part 20 and the lower part of the splash cover 3 was not closed by the conventional packing, but the labyrinth labyrinth sealing part 60 was provided. Thereby, in the labyrinth sealing part 60, the obstacle and protrusion which a chip | tip hangs do not exist.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hip from being deposited in the gap between the bottom portion 21 of the housing portion 20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splash cover 3. In addition, since the sheet metal for fixing the packing and the screws and nuts for fixing the sheet are not used, the installation work is not troublesome and the cost for these parts can be saved.

본 발명의 공작 기계는 상기 실시 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각종 변형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라비린스 밀봉부(60)의 구성 요소의 배치를 바꿀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 바닥벽(3e)의 하단부에 설치한 제1 연장 설치 부재(100)와, 우측 바닥벽(3e)의 하단부 근방의 외측면에 고정한 제2 연장 설치 부재(110) 사이에 우측 홈통 부재(70)의 측벽부(73c)를 배치함으로써 라비린스 밀봉부(60)를 구성하고 있다. The machine tool of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aid embodiment, Of course, various deformation | transformation is possible. For example, the arrangement of the components of the labyrinth seal 60 can be changed. In the above embodiment, as shown in Fig. 8, the first extension mounting member 100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right bottom wall 3e and the second extension fixed to the outer side of the vicinity of the lower end of the right bottom wall 3e. The labyrinth sealing part 60 is comprised by arrange | positioning the side wall part 73c of the right trough member 70 between the installation members 110. As shown in FIG.

그래서, 예를 들어, 도10에 나타내는 제1 변형예와 같이 우측 홈통 부재(70)의 측벽부(73c)를 제1 연장 설치 부재(100)와 제2 연장 설치 부재(110) 사이가 아닌, 제1 연장 설치 부재(100)보다도 내측에 배치하여 라비린스 밀봉부(160)를 구성해도 좋다. 이와 같은 라비린스 밀봉부(160)에서도 미로형의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So, for example, the side wall part 73c of the right trough member 70 is not between the 1st extension installation member 100 and the 2nd extension installation member 110 like the 1st modified example shown in FIG. You may arrange | position the labyrinth sealing part 160 in the inside of the 1st extended installation member 100. FIG. In the labyrinth sealing unit 160, a labyrinth-shaped passage may be formed.

이것과는 별도로, 예를 들어 도11에 나타내는 제2 변형예와 같이 베이스(2)의 수납부(20)에 있어서, 바닥부(21)로부터 기립하여 상방으로 연장되는 베이스측 연장 설치 부재(29)를 주위판(22)을 따라서 설치해도 좋다. 이 베이스측 연장 설치 부재(29)의 상단부를 제1 연장 설치 부재(100)와 제2 연장 설치 부재(110) 사이에서 끼워 미로형의 라비린스 밀봉부(260)를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베이스측 연장 설치 부재(29)를 베이스(2)의 수납부(20)와 일체 성형함으로써 라비린스 밀봉부(260)를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Apart from this, for example, in the housing portion 20 of the base 2 as in the second modification shown in Fig. 11, the base-side extension mounting member 29 stands up from the bottom portion 21 and extends upward. ) May be provided along the peripheral plate 22. The labyrinth sealing part 260 of the maze type can be comprised by pinching the upper end part of this base side extension installation member 29 between the 1st extension installation member 100 and the 2nd extension installation member 110. FIG. In this case, the labyrinth sealing part 260 can be comprised easily by integrally shaping the base side extension installation member 29 with the accommodating part 20 of the base 2.

상기 실시예에서는 「두갈래부」로서, 제1 연장 설치 부재(100)와 제2 연장 설치 부재(110)를 설치했지만, 제2 연장 설치 부재(110)를 생략한 라비린스 밀봉부라도 좋다.In the said embodiment, although the 1st extension installation member 100 and the 2nd extension installation member 110 were provided as a "two part", the labyrinth sealing part which abbreviate | omitted the 2nd extension installation member 110 may be sufficient.

본 발명은 베이스 상에 낙하한 냉각액이 베이스 밖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베이스 상에 칩이 퇴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공작 기계를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machine tool which can prevent the coolant dropped on the base from leaking out of the base and can also prevent the chip from being deposited on the base.

Claims (7)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상에 설치된 워크를 가공하는 기계 본체와, 상기 베이스 상에 고정하는 동시에 상기 베이스의 상부 및 상기 기계 본체의 일부 또는 전부를 덮는 상자형으로 형성한 커버를 구비한 공작 기계이며, A machine tool having a base, a machine body for processing a work provided on the base, and a box-shaped cover which is fixed on the base and covers a part or all of the upper part of the base and the machine body,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상기 커버의 하부를 내측에 수납하여 지지하는 오목형 수납부를 구비하고, A concave accommodating part accommodating and supporting a lower part of the cover in an upper part of the base, 상기 수납부의 바닥부와 상기 커버의 하부 사이에 라비린스 밀봉부를 구비한 공작 기계. And a labyrinth seal between the bottom of the housing and the bottom of the cov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측벽을 따라서 상기 수납부의 바닥부로부터 상방을 향해 연장되는 판부재를 구비하고, The plate member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plate member extending upward from a bottom portion of the housing portion along a side wall of the base, 상기 커버의 하부와 상기 판 부재로 라비린스 밀봉부를 구성한 공작 기계. A machine tool comprising a labyrinth seal with a lower portion of the cover and the plate memb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상기 수납부의 상기 바닥부에 형성한 칩 및 냉각액을 상기 수납부 밖으로 배출하기 위한 오목형의 배출 통로와, The concave discharge passage for discharging the chip and the coolant formed in the bottom portion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of the base out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상기 배출 통로의 내측에 설치된 상기 배출 통로를 따라서 연장되는 동시에 상기 배출 통로의 폭 길이보다도 짧은 폭 길이를 구비하고, 바닥벽과, 상기 바닥벽의 폭방향 양단부로부터 기립하는 한 쌍의 측벽으로 구성한 오목형의 홈통 부재를 구비하고, A concave which extends along the discharge passage provided inside the discharge passage and has a width length shorter than the width length of the discharge passage and comprises a bottom wall and a pair of side walls standing up from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ottom wall; With a trough member of the type, 상기 판 부재를 상기 홈통 부재의 상기 한 쌍의 측벽 중, 상기 수납부의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 측벽으로 구성한 공작 기계. The machine tool which comprised the said board member with the outer side wall located in the outer side of the said accommodating part among the said pair of side walls of the said trough memb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상기 수납부의 상기 바닥부에 형성된 칩 및 냉각액을 상기 수납부 밖으로 배출하기 위한 오목형의 배출 통로와, According to claim 2, Concave discharge passage for discharging the chip and the coolant formed in the bottom portion of the housing of the base out of the housing; 상기 배출 통로의 내측에 설치된 상기 배출 통로를 따라서 연장되는 동시에 상기 배출 통로의 폭 길이보다도 짧은 폭 길이를 구비하고, 바닥벽과, 상기 바닥벽의 폭방향 양단부로부터 기립하는 한 쌍의 측벽으로 구성한 오목형의 홈통 부재를 구비하고, A concave which extends along the discharge passage provided inside the discharge passage and has a width length shorter than the width length of the discharge passage and comprises a bottom wall and a pair of side walls standing up from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ottom wall; With a trough member of the type, 상기 판 부재를 상기 홈통 부재의 상기 한 쌍의 측벽 중, 상기 수납부의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 측벽으로 구성한 공작 기계. The machine tool which comprised the said board member with the outer side wall located in the outer side of the said accommodating part among the said pair of side walls of the said trough member.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상기 하부에 두갈래형으로 형성된 두갈래부를 갖고, 상기 판 부재를 상기 두갈래부로 끼우도록 한 공작 기계. The machine tool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4, wherein the lower part of the cover has a bifurcated part, and the plate member is fitted into the bifurcated part.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의 상기 바닥부에 상기 워크를 고정하기 위한 테이블을 지지하는 지지대를 형성하고, The supporter according to claim 3 or 4, further comprising: a support for supporting a table for fixing the work to the bottom portion of the storage portion; 상기 외측 측벽에 대향하는 내측 측벽의 상단부가 상기 지지대에 접촉하고 있는 공작 기계. And a top end of the inner sidewall opposite the outer sidewall contacting the suppor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의 상기 바닥부에 상기 워크를 고정하기 위한 테이블을 지지하는 지지대를 형성하고, According to claim 5, 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a table for fixing the work to the bottom portion of the housing portion, 상기 외측 측벽에 대향하는 내측 측벽의 상단부가 상기 지지대에 접촉하고 있는 공작 기계. And a top end of the inner sidewall opposite the outer sidewall contacting the support.
KR1020060083934A 2005-09-02 2006-09-01 Machine tool KR100845998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255035A JP2007061998A (en) 2005-09-02 2005-09-02 Machine tool
JPJP-P-2005-00255035 2005-09-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6223A true KR20070026223A (en) 2007-03-08
KR100845998B1 KR100845998B1 (en) 2008-07-11

Family

ID=37816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3934A KR100845998B1 (en) 2005-09-02 2006-09-01 Machine tool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7061998A (en)
KR (1) KR100845998B1 (en)
CN (1) CN100544886C (en)
TW (1) TW200709889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7330A (en) * 2014-12-04 2016-06-14 (주)대성하이텍 Oil preventing structure of splash guard for machine tool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54331B2 (en) * 2008-09-29 2013-11-27 豊和工業株式会社 Machine Tools
JP2013141646A (en) * 2012-01-11 2013-07-22 Sumitomo Heavy Ind Ltd Quantitative discharge apparatus of adsorbent
US9469001B2 (en) * 2012-06-25 2016-10-18 Makino Milling Machine Co., Ltd. Machine tool
JP5949409B2 (en) * 2012-10-04 2016-07-06 村田機械株式会社 Machine tool cover structure
JP5602899B2 (en) 2013-02-26 2014-10-08 ファナック株式会社 Machine tool with a cover structure suitable for discharging chips
CN108000228A (en) * 2017-12-29 2018-05-08 科德数控股份有限公司 Safeguard structure in a kind of central chip removal of horizontal compound Five-axis NC Machining Center
JP7484747B2 (en) 2021-01-27 2024-05-1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Machine Tools
CN113305634A (en) * 2021-06-14 2021-08-27 深圳市安普圣科技有限公司 Numerical control milling, grinding and polishing combined machining machine tool and dust and chip removing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45656A (en) * 1990-06-13 1992-02-14 Ricoh Co Ltd Facsimile equipment
JP4103403B2 (en) * 2002-02-05 2008-06-18 豊和工業株式会社 Protective cover for machine too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7330A (en) * 2014-12-04 2016-06-14 (주)대성하이텍 Oil preventing structure of splash guard for machine too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544886C (en) 2009-09-30
JP2007061998A (en) 2007-03-15
TW200709889A (en) 2007-03-16
CN1923460A (en) 2007-03-07
TWI307649B (en) 2009-03-21
KR100845998B1 (en) 2008-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5998B1 (en) Machine tool
JP4969579B2 (en) Machine tool splash guard
JP4720523B2 (en) Machine Tools
US9656363B2 (en) Vertical machining center
JP3626376B2 (en) Vertical machining center
JP4480040B2 (en) Horizontal ball milling machine with movable support
WO2018123006A1 (en) Working vehicle
KR100732103B1 (en) Machine tool
EP3361066B1 (en) Working vehicle
JP2012152833A (en) Machine tool
JP2001315040A (en) Column fixing type machine tool
JP4595753B2 (en) Machine Tools
JP2007069724A (en) Protection member for cab, cab and working machine
JP2010116687A (en) Frame structure of construction machine
JP2006255845A (en) Machine tool
JP4715162B2 (en) Machine Tools
JP5807088B2 (en) Swivel work machine
JP2002233926A (en) Machine tool
JP2003275940A (en) Machine tool
JP2006168612A (en) Maintenance structure in construction machine
JP4558436B2 (en) Vertical machining center
JP2001205541A (en) Machine tool
JP7159556B2 (en) machine tools
JP4994120B2 (en) Cab floor
JP2001315039A (en) Column moving type machining cen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