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5814A - 홈 엔터테인먼트 도킹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홈 엔터테인먼트 도킹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5814A
KR20070025814A KR20050082356A KR20050082356A KR20070025814A KR 20070025814 A KR20070025814 A KR 20070025814A KR 20050082356 A KR20050082356 A KR 20050082356A KR 20050082356 A KR20050082356 A KR 20050082356A KR 20070025814 A KR20070025814 A KR 200700258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data
home entertainment
control signal
portab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50082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92489B1 (ko
Inventor
심우호
Original Assignee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500823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2489B1/ko
Publication of KR200700258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58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24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2489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데이터를 제공하는 휴대용 단말기와, 상기 단말데이터를 출력하는 오디오비디오 시스템과,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단말데이터를 상기 오디오비디오 시스템에서 출력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여 상기 오디오비디오 시스템에 전송하는 홈 엔터테인먼트 도킹스테이션과,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단말데이터를 제공하도록 상기 홈 엔터테인먼트 도킹시스템에 단말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무선 제어기를 포함하는 홈 엔터테인먼트 도킹시스템을 개시함으로써,사용자가 원격지에서 무선 제어기를 이용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함과 아울러, 댁내 오디오비디오 시스템을 통해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기능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홈 엔터테인먼트 도킹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 방법{Home Entertainment Docking System And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홈 엔터테인먼트 도킹 시스템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럭 도면.
도 2는 홈 엔터테인먼트 도킹스테이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 도면.
도 3은 도 1의 무선제어기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럭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홈 엔터테인먼트 도킹시스템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챠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휴대용 단말기 2 : 홈 엔터테인먼트 도킹스테이션
3 : 홈 오디오비디오 시스템 4 ; 무선제어기
11 : 입력장치 12 : 출력장치
13 : 무선수신부 14 ; 영상처리부
15 : 음향처리부 16 : 키변환처리부
17 : 시스템제어부 18 : 작업메모리
19 ; 전원부 25 ; 무선송신부
26 : 송신처리부 27 : 입력부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가 거치되는 홈 엔터테인먼트 도킹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가 급격히 늘어나면, 다양한 휴대 단말기의 출시가 이어지고 있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의 선두는 단연 이동통신 단말기이고, 이외에도 휴대용 게임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기가 그 뒤를 따르고 있다. 이는 이동통신 단말기 관련 기술 개발과, 이동통신 단말기 구매 계층의 욕구를 적절히 충족시킴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는 계층의 확대를 가져왔기 때문이다.
상세히 말하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술개발과 대량 생산으로 인한 가격하락은 종래보다 젊은 나이의 사용자 계층을 포섭할 수 있는 배경을 마련하였고, 이에 맞추어 나이 어린 사용자 계층이 즐기는 콘텐츠가 이동통신 서비스 업체에 의해 제공됨으로써 가능해진 결과이다.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에 우선적으로 채택되었던 다양한 기능들, 예를 들어, 내장형 카메라를 이용한 촬영기능,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기능, 컴퓨터에서 제 공되는 수준의 게임 콘텐츠의 적용이 나이 어린 사용자층의 확대를 가져오게 된 결정적이 계기라 할 수 있다.
나아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들 중 이동통신 서비스 이외의 기능을 더 자주 이용하는 사용자들에 의해 부가적인 기능들 즉, 촬영기능, 게임기능, 멀티미디어 기능 중 어느 하나를 부각시킨 휴대용 단말기들이 속속 개발되어 보급되고 있다.
이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들은 기본적인 목적에 부합할 수 있도록 그 휴대성을 유지하면서도, 높은 수준의 서비스를 제공하게 됨으로써 사용자의 증가를 더욱 가속시키고 있다.
한편, 최근에 출시되는 가정용 전자기기들과, 가정에서 사용되는 컴퓨터는 종래와 달리 기타의 기기들과 연계하여 사용할 수 있는 기능들이 채택되어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연계 기능의 대표적인 예로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들 수 있다.
이러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단지 다수의 컴퓨터들 간에 형성되는 네트워크만이 아니라, 각각의 가전기기들을 서로 연결하여 일원화된 제어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수준에 이르고 있다. 이외에도, 홈 AV 시스템(Audio & Video)을 가전용 전자기기들을 연계하여 사용하는 예로 들 수 있다.
홈 AV 시스템은 전용 음향기기, 전용 영상기기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디지털 비디오 기기, 텔레비전, 앰프뿐만이 아니라 컴퓨터와의 연계도 가능한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 보편화되고 있다. 이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마찬가지로, 문화생활을 중시하는 사용자의 증가와 이를 뒷받침 할 수 있는 기술개발로 인 해 가능해진 것이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이러한 가정용 네트워크 시스템과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을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 제시되지 않고 있다. 다만, 종래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와 같이, 컴퓨터 기반의 OS(Operation System)를 사용하는 기기들의 연계만이 가능하였다.
즉, PDA에 기록된 일정이나, 음악을 컴퓨터에 의해 디스플레이하거나 재생할 수 있는 수준이었다. 하지만,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 수준이 이전보다 월등히 향상되었음에도 이를 가정용 네트워크 시스템 또는 AV 시스템과 연계해서 사용하는 방법은 제시되지 않고 있다.
특히, 휴대 단말기와 AV 시스템과의 연계 이용방법은 전무한 상태라 할 수 있다.
현재 제공되고 있는 휴대 단말기와 AV 시스템의 연계 방법은 휴대 단말기에 저장된 데이터를 AV의 컴퓨터 단말이나 가정용 컴퓨터에 옮겨 저장하고, 이를 컴퓨터 단말 또는 가정용 컴퓨터에서 재생한 후 그 재생 결과를 AV 시스템에서 재생하는 수준에 그치고 있다. 이러한 방법은, 음악 화일이나 짧은 동영상 화일에는 적용이 가능하지만, 최근 서비스가 시작되고 있는 방송청취나 게임서비스에는 적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휴대 용 단말기와 댁내 네트워크 시스템을 연동시켜, 휴대용 단말기의 이동성을 유지하면서 사용자의 편의를 보장하는 홈 엔터테인먼트 도킹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홈 엔터테인먼트 도킹시스템은, 단말데이터를 제공하는 휴대용 단말기와, 단말데이터를 출력하는 오디오비디오 시스템과,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단말데이터를 오디오비디오 시스템에서 출력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여 오디오비디오 시스템에 전송하는 홈 엔터테인먼트 도킹스테이션과, 휴대용 단말기가 단말데이터를 제공하도록 홈 엔터테인먼트 도킹시스템에 단말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무선 제어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홈 엔터테인먼트 도킹시스템의 홈 엔터테인먼트 도킹스테이션은, 무선제어기로부터의 제 1 통신 채널을 통해 단말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무선수신부와, 단말 제어신호를 휴대용 단말기가 인식 가능한 신호형태로 변환하는 키변환 처리부와, 휴대용 단말기로부터의 단말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입력부와, 단말데이터를 변환처리하는 데이터 처리부와, 키변환 처리부로부터의 단말 제어신호를 휴대용 단말기에 전달하고, 변환된 단말데이터를 제 2 통신 채널을 통해 오디오비디오 시스템에 전송하는 출력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홈 엔터테인먼트 도킹시스템의 홈 엔터테인먼트 도킹스테이션은, 변환프로그램, 구동프로그램 및 각종 제어프로그램이 저장되며, 단말데이터 를 임시 저장하는 작업메모리와, 휴대용 단말기의 구동을 위한 전원과 휴대용 단말기의 휴대전원을 충전하기 위한 충전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홈 엔터테인먼트 도킹시스템의 데이터 처리부는, 단말데이터 중 영상데이터를 변환 처리하는 영상처리부와, 단말데이터 중 음향데이터를 변환 처리하는 음향처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홈 엔터테인먼트 도킹시스템의 무선제어기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명령에 따라 단말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송신처리부와, 송신처리부에서 생성된 단말 제어신호를 홈 엔터테인먼트 도킹시스템에 전송하는 무선송신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홈 오디오비디오 시스템 및 무선제어기를 구비하는 홈 엔터테인먼트 도킹시스템의 서비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명령에 따라 무선제어기가 단말 제어신호를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와, 휴대용 단말기가 단말 제어신호에 따라 단말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와, 도킹시스템이 단말 데이터를 변환 처리하여 홈 오디오비디오 시스템을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홈 엔터테인먼트 도킹시스템의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단말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무선제어기와 홈 엔터테인먼트 도킹스테이션 간에 제 1 통신채널을 형성하는 단계와, 무선제어기가 단말 제어 신호가 홈 엔터테인먼트 도킹스테이션으로 전송하는 단계와, 홈 엔터테인먼트 도킹스테이션이 단말 제어 신호를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홈 엔터테인먼트 도킹시스템의 서비스 제공 방법은, 홈 엔터테인먼트 도킹스테이션과 홈 오디오비디오시스템 간에 제 2 통신채널을 형성하는 단계와, 제 2 통신 채널을 통해 변환 처리된 단말 데이터를 홈 오디오비디오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작용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해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홈 엔터테인먼트 도킹 시스템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홈 엔터테인먼트 도킹 시스템은 휴대용 단말기(1), 홈 AV 시스템(3), 무선 제어기(4) 및 홈 엔터테인먼트 도킹스테이션(2)을 구비한다.
휴대용 단말기(1)는 비디오, 오디오 또는 게임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단말데이터(Mobile Data : MD)를 작성하고, 이를 홈 엔터테인먼트 도킹스테이션(2)에 제공한다. 이를 위해, 휴대용 단말기(1)는 홈 엔터테인먼트 도킹스테이션(2)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단말데이터(MD)는 비디오, 오디오, 이미지, 게임과 같은 데이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기(1)와 홈 엔터테인먼트 도킹스테이션(2)은 리셉터 클 커넥터(Receptacle Connect)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이 휴대용 단말기(1)는 홈 엔터테인먼트 도킹스테이션(2)으로부터 공급되는 단말 제어신호(Mobile Control Signal : MCS)에 의해 동작하고, 동작에 의해 발생되는 단말데이터(MD)를 홈 엔터테인먼트 도킹스테이션(2)에 공급한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1)에 저장된 동영상을 재생하라는 단말 제어신호(MCS)가 휴대용 단말기(1)에 공급되면, 휴대용 단말기(1)는 이에 따라 동영상을 재생하고, 동영상 재생에 따른 영상 데이터(Video Data)와 음향 데이터(Audio Data)를 홈 엔터테인먼트 도킹스테이션(2)에 공급한다.
홈 오디오비디오 시스템(3)은 홈 엔터테인먼트 도킹스테이션(2)으로부터 제공되는 변환된 단말데이터(Transformed MD : T_MD)를 수신하고, 이를 출력장치를 통해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여기서, 변환된 단말데이터(T_MD)는 단말데이터(MD)를 홈 엔터테인먼트 도킹스테이션(2)으로부터 홈 오디오비디오 시스템(3)으로 전송하기 위해, 단말데이터(MD)를 전송가능한 형태로 변환한 데이터일 수 있다. 또는, 변환 단말데이터(T_MD)란 단말데이터(MD)를 홈 오디오비디오 시스템(3)에서 출력 가능한 형태로 변형한 단말데이터(MD)일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단말데이터(MD)의 영상데이터는 휴대용 단말기(1)의 화면크기에 적합하도록 작성된다. 이를 홈 오디오비디오시스템(3)에서 출력할 경우, 매우 작은 출력영역만 사용하거나, 화질이 현저하게 저하되어 출력된 영상을 판별하기 곤란해진다. 따라서, 휴대용 단말기(1)에 적합하게 작성된 단말데이터(MD)를 홈 오디오비디오 시스템(3)에서 출력할 때에도 휴대용 단말기(1)에 준하는 품질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 변 환하는 과정이 필요해진다.
이를 위해, 홈 오디오비디오 시스템(3)은 영상 및 음성 출력장치를 구비하며, 홈 엔터테인먼트 도킹스테이션(2)과 유선 또는 무선에 의해 제 2 통신채널을 형성한다. 그리고, 이 제 2 통신채널을 통해 변환 단말데이터(T_MD)를 수신한다.
즉, 휴대용 단말기(1)에서 제공되는 데이터는 휴대용 단말기(1)의 출력장치에 적합하게 작성되었기 때문에, 홈 오디오비디오 시스템(3)에서 있는 그대로 재생하는 경우 홈 오디오비디오 시스템(3)의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휴대용 단말기(1)의 출력장치 크기의 영상을 출력하게 되거나, 영상이 흐려지는 단점 등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변환과정이 필요해진다.
홈 엔터테인먼트 도킹스테이션(2)은 휴대용 단말기가 거치 되어 연결되고, 휴대용 단말기로부터의 단말데이터(MD)를 변환하여 변환 단말데이터(T_MD)를 작성한다.
그리고 홈 엔터테인먼트 도킹스테이션(2)은 변환 단말데이터(T_MD)를 제 2 통신채널을 통해 홈 오디오비디오 시스템(3)에 전달한다. 또한, 홈 엔터테인먼트 도킹스테이션(2)은 무선 제어기(4)로부터 제공되는 단말 제어신호(MCS)를 휴대용 단말기(1)에 전달하여, 휴대용 단말기(1)가 사용자가 원하는 단말데이터(MD)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홈 엔터테인먼트 도킹스테이션(2)은 무선제어기(4)와 무선통신채널인 제 1 통신채널을 형성한다. 이 홈 엔터테인먼트 도킹스테이션(2)은 휴대용 단말기(1)와 연결되기 위한 커넥터를 구비하며, 홈 오디오비디오 시스템(3)과 제 2 통신채널을 형성하기 위한 통신 장치, 제 1 통신채널의 형성을 위한 무선수신부, 단말데이터(MD)에 포함된 영상데이터(Video Data)를 처리하기 위한 영상처리부, 단말데이터(MD)에 포함된 음향데이터(Audio Data)를 처리하기 위한 음향처리부, 단말 제어신호(MCS)의 전달을 위한 키 변환 처리부 및 각 부를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제어부를 구비한다.
아울러, 홈 엔터테인먼트 도킹스테이션(2)은 휴대용 단말기(2)의 동작을 위한 전원과, 휴대용 단말기(2)의 전원부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제어부, 충전부 및 전원 공급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외에도, 단말데이터(MD)의 변환을 위한 변환프로그램, 홈 엔터테인먼트 도킹스테이션(2)의 구동을 위한 구동프로그램 및 각종 제어프로그램이 저장되며, 변환시 버퍼(Buffer)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작업메모리가 구비될 수 있다.
무선 제어기(4)는 홈 엔터테이먼트 도킹시스템(2)을 통해 단말 제어신호(MCS)를 공급해 휴대용 단말기(1)의 기능을 제어한다. 이를 위해, 무선 제어기(4)는 제 1 통신채널의 형성을 위한 무선송신부,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장치 및 입력장치로 입력되는 사용자의 명령을 휴대용 단말기(1)가 인식할 수 있는 형태의 단말 제어신호(MCS)로 변환함과 아울러, 무선 송신부를 통해 단말 제어신호(MCS)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송신처리부를 구비한다.
도 2는 홈 엔터테인먼트 도킹스테이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홈 엔터테인먼트 도킹스테이션(2)은 입력 장치(11), 출력장치(12), 무선수신부(13), 영상처리부(14), 음향처리부(15), 키변환 처리부(16), 시스템 제어부(17), 작업메모리(18) 및 전원부(19)를 구비한다.
무선수신부(13)는 무선제어기(4)로부터의 단말 제어신호(MCS)를 수신한다. 단말 제어신호(MCS)의 수신을 위해 무선수신부(13)는 무선제어기(4)와 무선통신채널인 제 1 통신채널을 형성한다.
이러한, 무선수신부(13)는 적외선 통신방식 이외에도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인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전파식별(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초광대역통신(UWB) 방식의 통신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키변환 처리부(16)는 시스템 제어부(17)의 제어에 의해 단말 제어신호(MCS)를 휴대용 단말기(1)가 인식 가능한 신호형태로 변환하고, 변환된 단말 제어신호(MCS)를 출력장치(12)를 통해 휴대용 단말기(1)에 제공한다.
입력장치(11)는 휴대용 단말기(1)로부터의 단말데이터(MD)를 수신하여, 단말데이터(MD)에 포함된 영상데이터는 영상처리부(14)에, 음향데이터는 음향처리부(15)에 제공한다.
즉, 입력장치(11)는 영상데이터의 추출 및 제공을 위한 영상입력 인터페이스(Interface)와, 음향데이터의 추출 및 제공을 위한 음향입력 인터페이스를 구비한다.
출력장치(12)는 키변환 처리부(16)로부터의 단말 제어신호(MCS)를 휴대용 단말기(1)에 전달하고, 변환 단말데이터(T_MD)를 홈 오디오비디오 시스템(3)에 전달한다.
그리고, 출력장치(12)는 단말 제어신호(MCS)의 전달을 위한 단말 출력장치와, 변환 단말데이터(T_MD)의 전달을 위한 시스템 출력장치를 구비한다. 특히, 출력 장치(12)는 입력장치(11)와 함께 커넥터 형태로 제공되어 휴대용 단말기와 용이하게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시스템 출력장치는 유선과 무선이 모두 가능하며, 유선을 이용하는 경우, 유선단자, 포트, 커넥터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무선을 이용하는 경우, 상술한 블루투스, 지그비, 초광대역통신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방식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영상처리부(14)는 단말데이터(MD)에 포함된 영상데이터를 변환하여 변환 단말데이터(T_MD)의 영상데이터를 작성한다.
음향처리부(15)는 단말데이터(MD)에 포함된 음성데이터를 변환하여 변환 단말데이터(T_MD)의 음향데이터를 작성한다.
작업메모리(18)는 단말데이터(MD)의 변환을 위한 변환프로그램, 홈 엔터테인먼트 도킹스테이션(2)의 구동을 위한 구동프로그램 및, 각 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프로그램이 저장되며, 단말데이터(MD)의 변환시 버퍼(Buffer)의 역할을 수행한다.
전원부(19)는 휴대용 단말기(1)의 구동을 위한 전원과, 휴대용 단말기(1)의 휴대전원을 충전하기 위한 충전전원을 공급한다.
즉, 전원부(19)는 상용전원과 연결되고, 충전전원의 공급을 위한 충전부, 동작전원의 공급을 위한 전원공급부 및 충전부와 전원공급부의 전원 공급을 위한 전 원 제어부를 구비한다. 또한, 전원부(19)는 단말출력장치 및 입력장치와 함께 커넥터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시스템 제어부(17)는 홈 엔터테인먼트 도킹스테이션(2)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무선수신부(13), 영상처리부(14), 음향처리부(15), 키변환 처리부(16), 작업메모리(18) 및 전원부(19)를 제어한다.
도 3은 도 1의 무선제어기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럭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무선제어기(4)는 무선송신부(25), 입력부(27) 및 송신처리부(26)를 구비한다.
무선송신부(25)는 홈 엔터테인먼트 도킹스테이션(2)과 제 1 통신채널을 형성하고, 이 제 1 통신채널을 통해 단말 제어신호(MCS)를 전송한다.
입력부(27)는 휴대용 단말기(1)의 제어를 위한 사용자의 명령이 입력된다. 이를 위해 입력부(27)는 키패드(Key Pad),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터치 패드(Touch Pad), 죠그(Jog), 스틱 입력장치와 같은 입력장치에 의해 구현된다.
송신처리부(26)는 입력부(27)로 입력되는 사용자의 명령을 휴대용 단말기(1)기가 인식할 수 있는 형태의 단말 제어신호(MCS)로 변환한다.
또한, 송신처리부(26)는 무선송신부(25)로 하여금 제 1 통신채널을 형성하도록 제어하여, 제 1 통신채널을 통해 단말 제어신호(MCS)가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이 무선제어기(4)는 휴대용 단말기(1)의 게임 기능을 이용할 수 있는 무선 게임 컨트롤러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이 무선제어기(4)는 하나의 홈 엔터테인먼트 도킹스테이션(2)에 하나 이상 구비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홈 엔터테인먼트 도킹시스템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챠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1)가 홈 엔터테인먼트 도킹스테이션에 접속된 후, 무선제어기(4)에 사용자의 명령이 입력된다(S 10).
무선 제어기(4)는 입력된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단말 제어신호를 작성한다(S 20).
작성된 단말 제어신호(MCS)를 홈 엔터테인먼트 도킹스테이션에 전송하기 위해 무선제어기(4)와 홈 엔터테인먼트 도킹스테이션 간에 제 1 통신채널이 형성된다(S 30).
형성된 제 1 통신채널을 통해 단말 제어신호(MCS)가 무선제어기(4)로부터 홈 엔터테인먼트 도킹스테이션(2)에 전달된다. 단말 제어신호(MCS)를 수신한 홈 엔터테인먼트 도킹스테이션(2)은 이 단말 제어신호(MCS)를 휴대용 단말기(1)에 전송한다(S 40).
휴대용 단말기(1)는 수신되는 단말 제어신호(MCS)에 의해 동작되고, 동작에 따른 단말데이터(MD)를 생성하여 홈 엔터테인먼트 도킹스테이션(2)에 공급한다(S 50).
홈 엔터테인먼트 도킹스테이션(2)은 단말데이터(MD)가 수신되면, 단말데이터(MD)의 전송을 위해 홈 오디오비디오 시스템(3)과 제 2 통신채널을 형성한다(S 60).
제 2 통신채널이 형성되면 홈 엔터테인먼트 도킹스테이션(2)은 단말데이터 (MD)를 홈 오디오비디오 시스템(3)에 전달한다(S 70).
단말데이터(MD)를 제공받은 홈 오디오비디오 시스템(3)은 이를 휴대용 단말기(1)를 대행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게 된다(S 80).
한편, 단말 제어신호(MCS)에 의해 소정의 동작을 동작하는 휴대용 단말기(1)는 해당 동작이 소정의 과정을 거쳐 종료되거나, 사용자 명령의 재입력으로 인한 종료 전까지는 동작하게 된다. 이를 위해, 무선제어기(4)는 지속적으로 사용자의 명령 입력을 감지하게 되며, 사용자의 명령이 입력(S 10)되면, 입력된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단말제어신호(MCS)를 작성(S 20)하여, 제 1 통신채널을 통해 홈엔터테인먼트 도킹스테이션(2)에 공급하게 된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1)는 동작 중에 직전에 수신한 단말 제어신호(MCS)와는 다른 명령을 포함한 단말 제어신호(MCS)가 수신되기 전까지는 현재의 동작을 지속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제 1 통신채널은 사용자의 명령이 입력되어 단말제어신호를 홈 언터테인먼트 도킹스테이션(2)에 전달하는 경우에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 2 통신채널은 제 1 통신채널과는 달리 단말데이터가 공급되는 동안에는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을 휴대중인 기간외에도 충전을 위해 거치하는 기간에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과정 또는 결과를 대행 출력하기 위해 휴대용 단말기의 출력데이터를 홈 오 디오비디오 시스템에서 출력가능한 형태로 변환하는 기능을 홈 엔터테인먼트 도킹스테이션이 수행함으로써, 휴대용 단말기에 별도의 기능을 부과하여 휴대성을 저하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무선제어기를 통해 원격지에서 휴대용 단말기를 제어함으로써, 홈 엔터테인먼트 도킹시스템의 이용에 따른 사용자의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의 제한적인 시각적 문제 또는 청각적 문제를 댁내의 오디오비디오 시스템을 통해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단말데이터를 제공하는 휴대용 단말기;
    상기 단말데이터를 출력하는 오디오비디오 시스템;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단말데이터를 상기 오디오비디오 시스템에서 출력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여 상기 오디오비디오 시스템에 전송하는 홈 엔터테인먼트 도킹스테이션;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단말데이터를 제공하도록 상기 홈 엔터테인먼트 도킹시스템에 단말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무선 제어기를 포함하는 홈 엔터테인먼트 도킹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홈 엔터테인먼트 도킹스테이션은,
    상기 무선제어기로부터의 제 1 통신 채널을 통해 단말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무선수신부;
    상기 단말 제어신호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인식 가능한 신호형태로 변환하는 키변환 처리부;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의 단말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입력부;
    상기 단말데이터를 변환처리하는 데이터 처리부;
    상기 키변환 처리부로부터의 단말 제어신호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전달하 고, 상기 변환된 단말데이터를 제 2 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오디오비디오 시스템에 전송하는 출력장치를 포함하는 홈 엔터테인먼트 도킹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홈 엔터테인먼트 도킹스테이션은,
    변환프로그램, 구동프로그램 및 각종 제어프로그램이 저장되며, 상기 단말데이터를 임시 저장하는 작업메모리;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구동을 위한 전원과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휴대전원을 충전하기 위한 충전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더 포함하는 홈 엔터테인먼트 도킹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단말데이터 중 영상데이터를 변환 처리하는 영상처리부와
    상기 단말데이터 중 음향데이터를 변환 처리하는 음향처리부를 포함하는 홈 엔터테인먼트 도킹시스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통신 채널은,
    적외선 통신 방식,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방식, 지그비(Zigbee) 통신 방 식, 전파식별(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통신 방식 또는 초광대역통신(UWB) 통신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방식에 따른 통신 채널인 홈 엔터테인먼트 도킹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데이터는,
    비디오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또는 게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인 홈 엔터테인먼트 도킹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제어기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명령에 따라 상기 단말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송신처리부와,
    상기 송신처리부에서 생성된 상기 단말 제어신호를 상기 홈 엔터테인먼트 도킹시스템에 전송하는 무선송신부를 포함하는 홈 엔터테인먼트 도킹시스템.
  8. 휴대용 단말기, 홈 오디오비디오 시스템, 도킹시스템 및 무선제어기를 구비하는 홈 엔터테인먼트 도킹시스템의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명령에 따라 상기 무선제어기가 단말 제어신호를 상 기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단말 제어신호에 따라 단말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도킹시스템이 상기 단말 데이터를 변환 처리하여 상기 홈 오디오비디오 시스템을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홈 엔터테인먼트 도킹시스템의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제어기와 상기 홈 엔터테인먼트 도킹스테이션 간에 제 1 통신채널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무선제어기가 상기 단말 제어 신호가 상기 홈 엔터테인먼트 도킹스테이션으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홈 엔터테인먼트 도킹스테이션이 상기 단말 제어 신호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홈 엔터테인먼트 도킹시스템의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홈 엔터테인먼트 도킹스테이션과 상기 홈 오디오비디오시스템 간에 제 2 통신채널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변환 처리된 상기 단말 데이터를 상기 홈 오디오비디오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홈 엔터테인먼트 도킹시스템의 서비스 제공 방법.
KR20050082356A 2005-09-05 2005-09-05 홈 엔터테인먼트 도킹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 방법 KR1006924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82356A KR100692489B1 (ko) 2005-09-05 2005-09-05 홈 엔터테인먼트 도킹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82356A KR100692489B1 (ko) 2005-09-05 2005-09-05 홈 엔터테인먼트 도킹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5814A true KR20070025814A (ko) 2007-03-08
KR100692489B1 KR100692489B1 (ko) 2007-03-09

Family

ID=38100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50082356A KR100692489B1 (ko) 2005-09-05 2005-09-05 홈 엔터테인먼트 도킹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24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2439B1 (ko) * 2007-05-02 2013-03-12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시스템 및 그를 위한외부 연결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9318B1 (ko) * 2000-03-22 2003-01-24 강순주 가정 자동화를 위한 홈 네트웍 룸 브릿지 시스템 및 제어방법
KR100698612B1 (ko) * 2004-03-30 2007-03-21 주식회사 엠소닉 오디오/비디오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60066979A (ko) * 2004-12-14 2006-06-19 (주) 지.티 텔레콤 휴대폰을 이용한 노래방기능의 구현방법 및 그 장치
KR100685076B1 (ko) * 2004-12-24 2007-02-22 주식회사 팬택 유피엔피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방법 및 이를구현하는 이동통신단말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2439B1 (ko) * 2007-05-02 2013-03-12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시스템 및 그를 위한외부 연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92489B1 (ko) 2007-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77508B2 (en) Portable terminal,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ent display system and content display method
CN101965689B (zh) 在远程控制系统中作为集线器的耳麦
US20060190559A1 (en) Multimedia contents moving method and system
US10918936B2 (en) Terminal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icrophone voice transmission method
US20070291955A1 (en) Sound reproducing apparatus and sound synchronizing method in sound reproducing system
US8649652B2 (en) Slide show display system with BGM, slide show display method with BGM,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playback device, and programs
US8949115B2 (en) Terminal device, audio output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CN202395876U (zh) 一种音频文件播放系统、移动终端和数字电视接收终端
US984387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producing multi-sound channel contents using DLNA in mobile terminal
CN101763875A (zh) 一种通过蓝牙控制字幕切换的系统及方法
WO2010069048A1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and docking station wireless system
KR100692489B1 (ko) 홈 엔터테인먼트 도킹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 방법
CN217643731U (zh) 双模式无线发声装置或无线耳机或无线音箱智能切换系统
KR100678034B1 (ko) 휴대단말기에서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파일 공유 방법
JP4522394B2 (ja) 動画・音声オンデマンド配信システム
CN101115058A (zh) 一种主从式多媒体系统与方法
JP2005184039A (ja) 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装置
KR20080045395A (ko) 텔레비전 모니터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 및 휴대용단말기의 텔레비전 모니터 방법
JP2008263638A (ja) データ配信方法
KR100644039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실시간 송, 수신 방법및 이를 위한 이동통신단말기
KR100756896B1 (ko) 분리형 멀티미디어 단말기와 노래 반주 기능을 위한 장치를 갖는 노래 반주기
JP2003323257A (ja) マイクロフォン付きワイヤレスマウス
KR101328690B1 (ko) 스마트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 및 시스템
CN105828172A (zh) 音视频播放系统中的播放控制方法和装置
US20090092266A1 (en) Wireless audio system capable of receiving commands or voice inpu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