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5291A - 슬라이드식 개폐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의유동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슬라이드식 개폐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의유동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5291A
KR20070025291A KR1020050081291A KR20050081291A KR20070025291A KR 20070025291 A KR20070025291 A KR 20070025291A KR 1020050081291 A KR1020050081291 A KR 1020050081291A KR 20050081291 A KR20050081291 A KR 20050081291A KR 20070025291 A KR20070025291 A KR 200700252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front case
damper member
communication terminal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1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학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to KR10200500812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25291A/ko
Publication of KR200700252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52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49Details of the mechanical connection between the housing parts or relating to the method of assemb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론트 케이스와 백 케이스가 겹쳐진 상태로 배치되고, 서로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개폐가 이루어지는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 본 발명에서는 프론트 케이스와 백 케이스간에 부딪히는 충격과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동작불량 및 유격형성을 방지한다. 나아가 서로 맞닿는 충격으로 인한 소음발생과 파손 등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프론트 케이스의 저면 상,하부 부분에는 경사돌기와 제 1댐퍼부재가 각각 돌출.구비되어 있고, 상기 프론트 케이스와 마주하는 백 케이스 상면 상,하부 부분에는 제 2댐퍼부재와 경사돌기가 각각 돌출.구비되어져서, 열림시 제 1댐퍼부재가 해당 백 케이스의 걸림돌기 상면에 위치하여 발휘되는 탄지력과, 닫힘시 상기 제 2댐퍼부재가 프론트 케이스의 걸림돌기에 맞닿는 상태로 정지하게 되므로, 유격형성 및 파손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슬라이드식 개폐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의 유동방지장치가 제공된다.
단말기, 유격, 변형, 파손, 방지, 유동, 충격

Description

슬라이드식 개폐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의 유동방지장치{Shake Prevention Device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ing Slide Type Open and Close}
도 1은 본 발명에 대한 슬라이드식 개폐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을 따라 절개한 것으로, 닫힘 상태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B-B선을 따라 절개한 것으로, 열림 상태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C-C선을 따라 절개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0 : 이동통신단말기 12 : 프론트 케이스
14,28 : 경사면 16 : 제 1댐퍼부재
18 : 백 케이스 20 : 제 2댐퍼부재
22 : 제 3댐퍼부재 24,26 : 경사돌기
30 : 슬라이드모듈
본 발명은 슬라이드식 개폐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의 유동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프론트 케이스와 백 케이스간에 형성되는 충격과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동작불량 및 유격형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슬라이드식으로 개폐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살펴보면, 우선 엘시디를 구비하는 프론트 케이스와 배터리 팩을 구비하게 되는 백 케이스가 서로 겹쳐지는 구조를 가지고,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수평으로 왕복 이동하게 되면서 개폐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위의 슬라이드식 이동통신단말기는 점차 개발되어가면서 소정 범위 만큼 개폐가 이루어지게 되면, 그 이후부터는 슬라이드 이동이 반자동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개폐기능을 발휘하는 구조로 발전 되어 왔다.
이러한, 반동식 개폐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프론트 케이스와 백 케이스의 사이에 배치되는 슬라이드모듈은, 상판과 하판으로 나뉘고, 상판과 하판은 프론트 케이스와 백 케이스에 각각 체결.고정되면서, 서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한 상 태로 결합구성된다.
그런데, 위와 같이 구성된 슬라이드식 이동통신단말기는,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이 이루어져 함으로써, 기본적으로 프론트 케이스와 백 케이스간에 약간의 유격이 형성되어야만 함으로써, 이러한 이러한 유격에 의하여 완전히 닫히거나 열린 상태에서도 상,하,좌,우방향으로 흔들림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위와 같은 유격으로 인해 프론트 케이스와 백 케이스간에 부딪힘이 발생될 경우, 소음이 발생 되게 된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단말기가 닫혀진 상태에서 진동 모드시, 외부로부터 전화가 걸려오게 되면, 진동모터가 진동하면서 무음으로 떨리게 되는데, 이때 상기 프론프 케이스와 백 케이스간에 진동에 따른 떨림으로 인하여 서로 부딪히게 되고, 그에 따라 소음이 발생 되며, 이와 같은 현상이 장시간 지속되게 되면, 부딪히는 부위가 변형되거나 혹은 크랙 및 파손이 발생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부주의로 인하여 이동통신단말기를 바닥에 떨어뜨리거나 혹은 프론트 케이스에 누름력 혹은 충격이 가해지게 되면, 그 충격이 슬라이드모듈로 전달되게 되고, 이에 따라 슬라이드모듈의 변형 혹은 찌그러짐이 발생하여 슬라이드 동작불량은 물론, 유격이 더 크게 형성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프론트 케이스와 백 케이스가 슬라이드 이동하여 완전히 열리거나 또는 닫힌 상태에서 상,하,좌,우방향으로 흔들림이 없도록 하고, 아울러 충격에 의한 변형 및 유격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면서, 그에 따라 소음과 파손이 발생 되지 않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프론트 케이스의 저면 상,하부 부분에는 경사돌기와 제 1댐퍼부재가 각각 돌출.구비되어 있고, 상기 프론트 케이스와 마주하는 백 케이스 상면 상,하부 부분에는 제 2댐퍼부재와 경사돌기가 각각 돌출.구비되어져서, 열림시 제 1댐퍼부재가 해당 백 케이스의 걸림돌기 상면에 위치하여 발휘되는 탄지력과, 닫힘시 상기 제 2댐퍼부재가 프론트 케이스의 걸림돌기에 맞닿는 상태로 정지하게 되므로, 유격형성 및 파손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슬라이드식 개폐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의 유동방지장치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백 케이스의 상면에는 제 3댐퍼부재가 슬라이드모듈의 양 외측면에 밀착되는 상태로 돌출.고정되어,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과 프론트 케이스의 눌림에 따른 슬라이드모듈의 변형이 방지되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예시도면 도 1은 본 발명에 대한 슬라이드식 개폐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를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을 따라 절개한 것으로, 닫힘 상태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1의 B-B선을 따라 절개 한 것으로, 열림 상태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C-C선을 따라 절개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첨부된 예시도면 도 1 및 도 2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단말기(10)의 프론트 케이스(12) 저면의 하부 부분에는 일끝이 뾰족한 경사면(14)으로 이루어진 제 1댐퍼부재(16)가 일부 돌출되는 상태로 결합.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론트 케이스(12)의 저면과 마주하게 되는 백 케이스(18) 상면의 상부 부분에는 제 2댐퍼부재(20)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한쌍의 제 3댐퍼부재(22)가 일부 돌출되는 형태로 각각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우선 상기 제 2댐퍼부재(20)는 백 케이스(18)의 상부 부분에 결합.고정되어 있고, 제 3댐퍼부재(22)는 슬라이드모듈(30)의 양 외측에 위치하면서 백 케이스(18)에 고정.결합되어, 측면과 상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 완화하므로, 슬라이드모듈(30)의 변형과 그에 따른 유격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발휘하게 된다.
나아가, 상기 제 1,2,3댐퍼부재(16,20,22)는 충격을 흡수 완화할 수 있도록 탄성체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탄성체로는 고무, 우레탄 등과 같은 러버재가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이동통신단말기(10)가 닫히게 되면, 먼저 도 2에서 보듯이 백 케이스(18)의 제 2댐퍼부재(20)가 이와 대응하는 프론트 케이스(12)의 경사돌기(24)에 경사진 상태로 맞물리면서 맞닿는 상태로 정지하게 되므로, 더 이상 닫힘 방향으로는 슬라이드 이동이 이루어지지 않아 유격에 의한 흔들림이 발생하지 않게 되고, 동시에 제 2댐퍼부재(20)가 탄성체로 이루어져 있어, 부딪힘에 따른 소음과 파손의 발생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가 열림 상태가 되게 되면, 도 3에서 보듯이 프론트 케이스(12)가 슬라이드 이동하여 완전히 열리게 되는 순간, 프론트 케이스(12)의 제 1댐퍼부재(16)가 이와 대응하는 백 케이스(18)의 상면에 형성되는 경사돌기(26)의 경사면(28)을 따라 상승 이동하게 되면서 평면구간을 형성하는 상면에 위치하는 상태로 멈추게 된다.
즉, 상기 제 1댐퍼부재(16)가 경사돌기(26)의 평면구간에 위치하게 되면, 자연히 제 1댐퍼부재(16)가 압축되고, 그 압축력에 의해 탄지력이 작용하여 프론트 케이스(12)와 백 케이스(18)간에 흔들림과 충격을 어느 정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예컨데 사용자가 프론트 케이스(12)에 구비된 버튼키를 강하게 누르더라도 상기 제 1댐퍼부재(16)가 그 누름력에 대한 충격을 흡수 완화하게 됨으로써, 프론트 케이스(12)와 백 케이스(18) 간에 부딪힘에 따른 파손과 손상을 예방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서 보듯이 프론트 케이스(12)와 백 케이스(18)는 종래기술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모듈(30)의 양 외측에는 제 3댐퍼부재(22)가 밀착되는 상태로 백 케이스(18)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해서, 사용자의 부주위로 바닥에 떨어뜨리거나 혹은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이 슬라이드모듈(30)에 가해지게 될 때, 상기 제 3댐퍼부재(22)가 그 충겨을 흡수 완화시켜 변형 혹은 찌그러짐을 방지하고, 그에 따라 유격발생으로 인항 좌,후 흔들림 및 슬라이드 동작불량을 사전에 예 방하게 된다.
나아가, 상기 제 3댐퍼부재(22)가 백 케이스(18)의 표면으로부터 상부로 돌출되어 있어, 제 2댐퍼부재(20)와 같이 프론트 케이스(12)로부터 눌림에 대한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그 충격을 흡수 완화하게 됨으로써, 프론트 케이스(12)와 백 케이스(18) 간에 부딪힘에 따른 파손과 슬라이드 모듈의 변형을 방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슬라이드식 개폐동작을 가지는 이동통신단말기라면 모두 적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은 프론트 케이스와 백케이스에 갖추어지는 제 1,2,3 댐퍼부재에 의하여 충격을 흡수.완화하여 유격형성에 따른 불안정한 슬라이드 동작과 부딪힘에 따른 파손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용하게 되면, 위의 효과가 같이 충격에 의한 유격발생을 방지하게 되므로, 오랫동안 사용하더라도 안정된 슬라이드를 유지하게 되므로써, 사용자에게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Claims (2)

  1. 프론트 케이스과 백 케이스가 서로 겹쳐져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드모듈이 프론트 케이스와 백 케이스의 사이에 고정.구비되어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되면서 개폐되는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케이스의 저면 상,하부 부분에는 경사돌기와 제 1댐퍼부재가 각각 돌출.구비되어 있고, 상기 프론트 케이스와 마주하는 백 케이스 상면 상,하부 부분에는 제 2댐퍼부재와 경사돌기가 각각 돌출.구비되어져서, 열림시 제 1댐퍼부재가 해당 백 케이스의 걸림돌기 상면에 위치하여 발휘되는 탄지력과, 닫힘시 상기 제 2댐퍼부재가 프론트 케이스의 걸림돌기에 맞닿는 상태로 정지하게 되므로, 유격형성 및 파손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식 개폐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의 유동방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백 케이스의 상면에는 제 3댐퍼부재가 슬라이드모듈의 양 외측면에 밀착되는 상태로 돌출.고정되어,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과 프론트 케이스의 눌림에 따른 슬라이드모듈의 변형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식 개폐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의 유동방지장치.
KR1020050081291A 2005-09-01 2005-09-01 슬라이드식 개폐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의유동방지장치 KR200700252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1291A KR20070025291A (ko) 2005-09-01 2005-09-01 슬라이드식 개폐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의유동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1291A KR20070025291A (ko) 2005-09-01 2005-09-01 슬라이드식 개폐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의유동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5291A true KR20070025291A (ko) 2007-03-08

Family

ID=38099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1291A KR20070025291A (ko) 2005-09-01 2005-09-01 슬라이드식 개폐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의유동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2529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4193B1 (ko) * 2010-02-19 2012-01-09 주식회사 케이에이치바텍 리프트 업 슬라이딩 힌지모듈
KR101525240B1 (ko) * 2008-05-28 2015-06-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톱퍼가 구비된 휴대폰용 슬라이드 장치
WO2021125505A1 (en) 2019-12-16 2021-06-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Roll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clearance compensation structur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5240B1 (ko) * 2008-05-28 2015-06-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톱퍼가 구비된 휴대폰용 슬라이드 장치
KR101104193B1 (ko) * 2010-02-19 2012-01-09 주식회사 케이에이치바텍 리프트 업 슬라이딩 힌지모듈
WO2021125505A1 (en) 2019-12-16 2021-06-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Roll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clearance compensation structure
US11307617B2 (en) 2019-12-16 2022-04-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Roll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clearance compensation struct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53465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413601B1 (ko) 폴더가 구비된 이동 단말기
KR20070025291A (ko) 슬라이드식 개폐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의유동방지장치
JP6934036B2 (ja) スライドレールアセンブリ
KR100783115B1 (ko) 슬라이드 개폐장치의 스토퍼
JP4287783B2 (ja) 携帯型電子機器
KR20060088652A (ko)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톱퍼 구조
KR20070029446A (ko) 슬라이딩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유동방지구조
KR100668263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 방식 개폐장치
KR101050590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 모듈
CN215944472U (zh) 一种垫板盒和工程机械
CN209946852U (zh) 鼠标
KR20060039743A (ko) 슬라이드식 개폐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의유동방지장치
KR100471342B1 (ko) 이동통신단말기용 슬라이드 모듈
KR200327949Y1 (ko)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의 댐퍼장치
KR100568776B1 (ko) 이물방지 커버를 구비한 슬라이딩형 이동통신 단말기
KR200165944Y1 (ko) 휴대폰 개폐장치
KR101525240B1 (ko) 스톱퍼가 구비된 휴대폰용 슬라이드 장치
KR100781189B1 (ko) 슬라이드 개폐방식 휴대 단말기
KR200380027Y1 (ko) 완충장치가 있는 폴더를 갖는 핸드폰
KR100421819B1 (ko) 완충기능을 가진 폴더형 휴대폰
JP4315667B2 (ja) ヒンジ構造
KR100690734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사이드키 조립구조
KR100533156B1 (ko) 쿠션 러버를 이용한 반자동 카킷 커버를 구비하는이동통신단말기
KR20060028166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외부 입력키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