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5217A - Card dispenser - Google Patents

Card dispens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5217A
KR20070025217A KR1020050081092A KR20050081092A KR20070025217A KR 20070025217 A KR20070025217 A KR 20070025217A KR 1020050081092 A KR1020050081092 A KR 1020050081092A KR 20050081092 A KR20050081092 A KR 20050081092A KR 20070025217 A KR20070025217 A KR 200700252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roller
discharge
area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109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835902B1 (en
Inventor
이재근
Original Assignee
(주)키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키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키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0500810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5902B1/en
Publication of KR200700252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521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59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590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3/00Machines for issuing preprinted tickets
    • G07B3/04Machines for issuing preprinted tickets from a stack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veying Record Carriers (AREA)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Abstract

A card dispenser is provided to improve card discharge efficiency by forming plural card loading regions and to stably discharge cards from a card loading box without a slip by selectively controlling plural transfer rollers and discharge rollers. A card dispenser(10) is formed by combining a card loading region(100) and a card discharging region(200) for receiving cards from the card loading region and discharging the cards to the outside. The card loading regions are installed on left and right sides about the card discharging region. Rectangular parallelepiped card loading boxes are arranged in each card loading region and selectively attached or detached. A first transfer roller(102) for transferring the cards of the card loading box to the card discharging region is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card loading box of the card loading region. Second and third transfer rollers(108,109) are installed in a pair on the spot separated from the first transfer roller on a horizontal plane to transfer the cards transferred from the first transfer roller to the card discharging region.

Description

카드 디스펜서{Card dispenser}Card dispens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카드 디스펜서의 우측 정면 사시도.1 is a right front perspective view of a card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카드 디스펜서의 좌측 정면 사시도.2 is a left front perspective view of the card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카드 디스펜서의 후면 사시도.3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card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카드 디스펜서의 제 1 및 제 3 프레임을 제거한 사시도.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and third frames removed from the card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카드 적재함을 장착한 본 발명에 따른 카드 디스펜서의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of a card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a card holder.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카드 디스펜서의 평면도.6 is a plan view of a card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a 내지 도 7d는 본 발명에 따른 카드 디스펜서를 이용한 카드 배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 7A to 7D are flowcharts illustrating a card ejection process using a card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Description of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100 : 카드 적재 영역 101 : 제 1 프레임100: card loading area 101: first frame

102 : 제 1 이송 롤러 103 : 제 1 구동축102: first feed roller 103: first drive shaft

104 : 제 1 풀리 105 : 보조 이송 롤러104: first pulley 105: auxiliary feed roller

106 : 보조 구동축 107 : 브라켓106: auxiliary drive shaft 107: bracket

108 : 제 2 이송 롤러 109 : 제 3 이송 롤러108: second feed roller 109: third feed roller

110 : 제 2 구동축 111 : 제 3 구동축110: second drive shaft 111: third drive shaft

112 : 제 2 풀리 113 : 제 3 풀리112: second pulley 113: third pulley

114 : 제 1 카드 인식센서 115 : 셔터 부재114: first card recognition sensor 115: shutter member

116 : 구동 모터 117 : 센싱 스위치116: drive motor 117: sensing switch

130 : 카드 적재함 131 : 적재 인식 센서130: card loading box 131: stack recognition sensor

200 : 카드 배출 영역 201 : 제 2 프레임200: card ejection area 201: second frame

202 : 제 2 카드 인식센서 203 : 제 1 배출 롤러202: second card recognition sensor 203: first discharge roller

204 : 제 4 구동축 205 : 이송 플레이트204: fourth drive shaft 205: transfer plate

206 : 제 3 배출 롤러 207 : 제 5 구동축206: third discharge roller 207: fifth drive shaft

208 : 제 1 가이드 플레이트 209 : 제 2 가이드 플레이트208: first guide plate 209: second guide plate

210 : 제 3 카드 인식센서 230 : 카드 압밀 부재210: third card recognition sensor 230: card consolidation member

231 : 제 2 배출 롤러 232 : 제 4 배출 롤러231: second discharge roller 232: fourth discharge roller

233 : 솔레노이드 스위치 301 : 회수 카드 수납부233: solenoid switch 301: recovery card storage

302 : 회수 카드 인식센서 303 : 회수용 가이드 플레이트 302: recovery card recognition sensor 303: recovery guide plate

본 발명은 카드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카드를 적재하는 적재함으로부터 카드를 1매씩 안정적으로 배출할 수 있으며 카드 발권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카드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rd dispens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ard dispenser capable of stably discharging cards one by one from a loading box for loading a plurality of cards and maximizing the efficiency of card issuance.

정보 통신기술이 급격히 발전함에 따라 실생활에 있어서 각종 카드의 사용이 보편화되고 있다. 이러한 카드의 예로는 공중 전화카드, 버스 카드, 주차 카드, 신용 카드 등을 들 수 있는데 정보화 사회로의 진전에 따라 보다 다양한 카드들이 개발되고 있다. 최근에는 개인의 신용정보, 신상정보 등의 정보를 저장하여 각종 용도로의 적용이 가능한 스마트 카드가 등장하고 있다.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the use of various cards is becoming common in real life. Examples of such cards include public telephone cards, bus cards, parking cards, credit cards, and the like, and various cards are being developed as the information society progresses. Recently, smart cards that store personal credit information, personal information, and the like and are applicable to various purposes have emerged.

한편, 이러한 각종 카드들은 소정의 발권 장치를 통해 발권되는데 상기 발권 장치는 통상, 카드를 인식, 처리하는 카드 리더(card reader)와 카드 배출 기능을 수행하는 카드 디스펜서(card dispenser) 등의 구성 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카드 디스펜서는 세부적으로, 복수의 카드를 적재하는 적재함을 구비하고 이송 롤러와 같은 이송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적재함에 적재되어 있는 카드를 1매씩 배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On the other hand, these various cards are issued through a predetermined ticketing device, the ticketing device usually comprises a component such as a card reader for recognizing and processing the card and a card dispenser for performing the card ejection function. Equipped. In detail, the card dispenser is provided with a loading box for loading a plurality of cards and performs a function of discharging the cards stored in the loading box one by one using a transfer device such as a transfer roller.

그러나, 통상의 카드는 그 두께는 상당히 얇기 때문에 종래의 카드 디스펜서에서 배출될 때 2장 이상의 카드가 겹쳐서 이송되는 중송 현상 등이 발생하거나 카드가 진행 방향으로 진행하지 않는 슬림 현상 등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대부분의 카드 디스펜서는 단일 적재 방식을 택하고 있어 카드 발권의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However, since a conventional card has a very thin thickness, when a card is dispensed from a conventional card dispenser, there are problems such as a feeding phenomenon in which two or more cards are stacked and conveyed or a slim phenomenon in which the card does not proceed in the advancing direction. have. In addition, most of the conventional card dispensers have a single stacking method, and thu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fficiency of card issuing is inferior.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의 다른 디스펜서는 여러 개의 구동 모터를 설치하고 그에 상응하는 풀리 등을 적용하였으나 이와 같은 실시예는 장치 의 복잡화를 회피할 수 없어 장치의 제조 단가 상승 및 구조의 복잡화에 따른 잔고장 발생의 여지를 방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nother conventional dispenser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drive motors and corresponding pulleys are applied. However, such an embodiment cannot avoid the complexity of the device and thus increase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device and the complexity of the structure.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prevent the room caused by the troubl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복수의 카드를 적재하는 적재함으로부터 카드를 1매씩 안정적으로 배출할 수 있으며 카드 발권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카드 디스펜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urpose of providing a card dispenser capable of reliably discharging each card from the loading box for loading a plurality of cards and to maximize the efficiency of card ticketing. have.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카드 디스펜서는 카드를 적재하는 카드 적재 영역과, 상기 카드 적재 영역으로부터 카드를 이송받아 외부로 카드를 배출하는 카드 배출 영역의 조합으로 구성되며, 상기 카드 적재 영역은 상기 카드 배출 영역을 중심으로 좌측 및 우측의 두 곳에 구비되고, 상기 각각의 카드 적재 영역에는 선택적인 착탈이 가능한 직육면체 형상의 카드 적재함이 구비되며, 상기 카드 적재 영역의 카드 적재함 하부에는 상기 카드 적재함 내의 카드를 상기 카드 배출 영역쪽으로 이송하는 제 1 이송 롤러가 구비되며, 상기 제 1 이송 롤러로부터 수평면 상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는 제 2 및 제 3 이송 롤러의 쌍이 구비되어 상기 제 1 이송 롤러로부터 이송된 카드를 상기 카드 배출 영역으로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ard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the card loading area for loading the card and the card discharge area for receiving the card from the card loading area to discharge the card to the outside, the card loading Areas are provided in two positions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ard discharge area, and each card loading area is provided with a card storage box having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that can be selectively removed. The card loading area is located below the card loading box. A first conveying roller for conveying a card in a stacking box toward the card ejecting area is provided, and a pair of second and third conveying rollers are provided at a position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apart from the first conveying roller on a horizontal plane. And transfer the card transferred from the card to the card discharge area.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및 제 3 이송 롤러는 대칭되는 형상을 갖고 대칭되 는 위치에 구비되며, 상기 제 2 이송 롤러와 제 3 이송 롤러 중 어느 하나만 선택적으로 동작하며, 동작되는 하나의 이송 롤러에 의해 다른 하나의 이송 롤러가 맞물려 동작한다. Preferably, the second and third transfer rollers have a symmetrical shape and are provided at symmetrical positions, and only one of the second and third transfer rollers selectively operates and is operated. The other conveying roller is engaged by the operat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및 제 3 이송 롤러의 쌍의 전단부에 상기 제 2 및 제 3 이송 롤러 사이를 통과하는 카드를 인식하는 제 1 카드 인식센서가 더 구비되어, 상기 제 1 카드 인식센서에 의해 카드가 인식되면 상기 제 2 이송 롤러와 제 3 이송 롤러 중 동작하는 이송 롤러는 멈추고 다른 이송 롤러가 동작한다. Preferably, a first card recognition sensor is further provided at a front end of the pair of second and third feed rollers to recognize a card passing between the second and third feed rollers. When the card is recognized by the second conveying roller and the conveying roller of the third conveying roller is stopped and the other conveying roller is operated.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이송 롤러의 내부에는 특정 방향으로의 회전 동작만 가능한 클러치 베어링이 각각 장착된다. Preferably, each of the clutch bearings capable of rotating only in a specific direction is mounted inside the first, second and third transfer rollers.

바람직하게는, 제 1 및 제 3 이송 롤러는 카드 이송 방향인 정방향의 회전 구동력에 의해서만 회전 가능하고, 상기 제 2 이송 롤러는 역방향의 회전 구동력에 의해서만 회전 가능하다. Preferably, the first and third conveying rollers are rotatable only by the forward rotational driving force in the card conveying direction, and the second conveying rollers are rotatable only by the reverse rotational driving force.

바람직하게는, 상기 카드 배출 영역에는, 상기 카드 배출 영역 상에 카드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인식하는 제 2 카드 인식센서와, 상기 제 2 및 제 3 이송 롤러로부터 이송된 카드를 외부로 배출하는 제 1 및 제 3 배출 롤러와, 상기 제 1 배출 롤러 또는 제 3 배출 롤러와 선택적으로 접촉하는 제 2 배출 롤러와 제 4 배출 롤러가 장착된 카드 압밀 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제 2 카드 인식센서에 의해 카드가 센싱되면 카드를 매개로 상기 제 1 배출 롤러와 제 2 배출 롤러가 접촉하여 상기 카드를 이송한다. Preferably, in the card discharge area, a second card recognition sensor for recognizing whether a card exists on the card discharge area, and a first card for discharging the card transferred from the second and third transfer rollers to the outside. And a card consolidation member equipped with a third discharge roller, a second discharge roller and a fourth discharge roller selectively contacting the first discharge roller or the third discharge roller, wherein the card is secured by the second card recognition sensor. Is sensed, the first discharge roller and the second discharge roller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via a card to transfer the card.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3 배출 롤러가 구비된 부위에 상응하는 카드 배출 영 역에 상기 제 3 배출 롤러 상에서 이송되는 카드를 인식하는 제 3 카드 인식센서가 더 구비된다. Preferably, a third card recognition sensor is further provided for recognizing a card to be transferred on the third discharge roller in a card discharge region corresponding to a portion where the third discharge roller is provided.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3 카드 인식센서에 의해 카드가 센싱되면 카드를 매개로 상기 제 3 배출 롤러와 제 4 배출 롤러가 접촉하여 상기 카드를 이송한다. Preferably, when the card is sensed by the third card recognition sensor, the third discharge roller and the fourth discharge roller contact with each other through the card to transfer the card.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이송 롤러와 상기 제 2 및 제 3 이송 롤러의 쌍 사이에는 상기 제 1 이송 롤러와 동일 수평면 상에 위치하는 보조 이송 롤러가 더 구비된다. Preferably, an auxiliary feed roller is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first feed roller and the pair of second and third feed rollers located on the same horizontal plane as the first feed roller.

바람직하게는, 상기 카드 적재함의 일측에는 카드 적재함 내에 적재되어 있는 카드의 적재량을 파악하는 적재 인식 센서가 구비된다. Preferably, one side of the card storage box is provided with a load recognition sensor for grasping the amount of card loaded in the card storage box.

바람직하게는, 상기 카드 배출 영역은 상기 제 2 이송 롤러와 제 3 이송 롤러가 접촉하는 지점보다 낮은 위치에 구비된다. Preferably, the card discharging area is provided at a position lower than a point where the second conveying roller and the third conveying roller contact each other.

바람직하게는, 상기 카드 배출 영역의 하부 공간에는 회수 카드 수납부가 구비되며, 상기 회수 카드 수납부의 일측에는 상기 제 1 배출 롤러와 제 3 배출 롤러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 3 배출 롤러를 통해 회수되는 불량 카드를 상기 회수 카드 수납부로 가이드하는 역할이 수행하는 회수용 가이드 플레이트가 구비된다. Preferably, a recovery card accommodating part is provided in a lower space of the card discharge area, and one side of the recovery card accommodating part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discharge roller and the third discharge roller to be recovered through the third discharge roller. A recovery guide plate is provided, which serves to guide the defective card to the collection card accommodating port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수 카드 수납부의 일측에 상기 회수 카드 수납부에 일정량 이상의 카드가 수납되는 경우 이를 인식하는 회수 카드 인식센서가 더 구비된다. Preferably, a recovery card recognition sensor is furthe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ollection card accommodating part to recognize a predetermined amount or more of the cards stored in the collection card accommodating part.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카드 적재 영역을 복수개 구비시켜 카드 배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카드 배출시 이용되는 다수의 이송 롤러 및 배출 롤러를 선택적으로 제어하여 중송 현상, 슬림 현상의 발생없이 카드 적재함 내의 카드를 1매씩 안정적으로 배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카드 적재 영역 내에 구비되는 카드 적재함을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하도록 하여 카드 디스펜서의 효용성을 배가시킬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rd ejection efficiency can be improved by providing a plurality of card loading areas, and by selective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conveying rollers and ejecting rollers used for ejecting the card, the card stacking box can be operated without the occurrence of midfeed or slim. The card can be ejected stably one by on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remove the card storage box provided in the card loading area to double the utility of the card dispenser.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카드 디스펜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카드 디스펜서의 우측 정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카드 디스펜서의 좌측 정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카드 디스펜서의 후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카드 디스펜서의 제 1 및 제 3 프레임을 제거한 사시도이고, 도 5는 카드 적재함을 장착한 본 발명에 따른 카드 디스펜서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카드 디스펜서의 평면도이며, 도 7a 내지 도 7d는 본 발명에 따른 카드 디스펜서를 이용한 카드 배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Hereinafter, a card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1 is a right front perspective view of the card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left front perspective view of the card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card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ard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first and third frames of the card dispenser are removed, and FIG. 6 is a plan view of the card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7d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ard ejection process using the card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카드 디스펜서(10)는 크게 복수개의 카드를 적재하는 카드 적재부(100)와 상기 카드 적재부로부터 카드를 이송받아 외부로 배출하는 카드 배출부(200)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First, as shown in FIGS. 1 to 6, the card dispense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ard stacking unit 100 for stacking a plurality of cards and a card ejecting unit for transporting cards from the card stacking unit and discharging them to the outside. It consists of a combination of parts (200).

상기 카드 적재부(100)와 카드 배출부(200)를 공간적으로 표현하면 각각 카드 적재 영역(100)과 카드 배출 영역(200)으로 칭할 수 있으며, 상기 각각의 영역에 상응하는 공간은 본 발명에 따른 카드 디스펜서에 구비되어 있는 소정의 프레임들에 의해 정의된다. 상기 프레임들은 상기 영역들의 공간을 정의할 뿐만 아니라 후술하는 각종 구동축, 센서 등의 구성 부재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When the card stacking unit 100 and the card ejecting unit 200 are spatially represented, the card stacking area 100 and the card ejecting area 200 may be referred to as the respective spaces. It is defined by the predetermined frames provided in the card dispenser. The frames not only define the space of the regions, but also serve to support constituent members such as various drive shafts and sensors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카드 적재 영역(100)과 카드 배출 영역(200)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카드 적재 영역(100)은 직육면체 형상을 정의하는 제 1 프레임(101)에 의해 상기 카드 적재 영역(100)에 상응하는 공간이 정의되며 상기 제 1 프레임(101)에 의해 정의되는 카드 적재 영역(100) 내에는 착탈이 선택적으로 가능한 카드 적재함(130)이 구비된다. 상기 제 1 프레임(101)에 의해 정의되는 카드 적재 영역(100)은 상기 카드 배출 영역(200)을 중심으로 좌측 및 우측에 각각 구비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카드 디스펜서는 복수의 카드 배출 영역(200)을 구비하여 카드 배출 효율을 배가시킬 수 있다. The card loading area 100 and the card discharge area 2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First, the card stacking area 100 defines a space corresponding to the card stacking area 100 by a first frame 101 defining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nd a card stacking area defined by the first frame 101. The area 100 is provided with a card loading box 130 that can be selectively removed. The card loading area 100 defined by the first frame 101 is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ard discharge area 200, respectively. That is, the card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card discharge areas 200 to double the card discharge efficiency.

상기 카드 적재 영역(100)의 하단 구체적으로, 상기 카드 적재함(130)의 하부에는 제 1 이송 롤러(102)가 구비된다. 상기 제 1 이송 롤러(102)는 상기 카드 적재함(130)에 적재되어 있는 복수개의 카드를 1매씩 상기 카드 배출 영역(200)으로 이송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 1 이송 롤러(102)는 상기 제 1 구동축(103) 상에 구비되며 상기 제 1 구동축(103)은 상기 제 1 프레임(101)에 고정, 지지된다. 상기 제 1 구동축(103)의 일단은 상기 제 1 프레임(101)의 외측면에 구비되어 있는 제 1 풀리(104)와 연결되어 상기 제 1 풀리(104)의 회전 구동력을 전달받는다. The lower end of the card loading area 100, specifically, the first transfer roller 102 is provided below the card loading box (130). The first conveying roller 102 serves to convey the plurality of cards loaded in the card stacking box 130 to the card discharging area 200 one by one, and the first conveying roller 102 is The first driving shaft 103 is provided on the first driving shaft 103 and is fixed and supported by the first frame 101. One end of the first drive shaft 103 is connected to the first pulley 104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frame 101 to receive the rotational driving force of the first pulley 104.

상기 제 1 이송 롤러(102)는 내부에 특정 방향으로만 회전하는 클러치 베어링이 구비되어 있어 상기 제 1 구동축(103)의 회전에 의한 회전시 특정 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이송 롤러(102)는 카드 진행 방향 즉, 정방향으로만 회전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이송 롤러(102)는 카드 이송시 카드 표면과의 마찰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롤러의 표면을 요철(凹凸) 형상으로 가공할 수도 있다. The first conveying roller 102 is provided with a clutch bearing that rotates only in a specific direction therein, so that the first conveying roller 102 can rotate only in a specific direction when the first drive shaft 103 is rotated. 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feed roller 102 is rotated only in the card advancing direction, that is, the forward direction. The first transfer roller 102 may be processed into a concave-convex shape to increase the frictional force with the card surface during card transfer.

상기 제 1 이송 롤러(102)로부터 수평면상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보조 이송 롤러(105)가 구비된다. 상기 보조 이송 롤러(105)는 상기 제 1 이송 롤러(102)에 의해 이송되는 카드의 이송 과정을 보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보조 이송 롤러(105)는 보조 구동축(106) 상에 구비되며 상기 보조 구동축(106) 상에 구비되는 보조 이송 롤러(105)는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조 구동축(106)은 상기 제 1 프레임(101)에 고정, 지지되며, 상기 제 1 구동축(103)과는 달리 제 1 프레임(101)의 외측면에 구비되는 풀리와 연결되지 않아 풀리에 의한 별도의 회전 구동력을 전달받지는 않는다. The auxiliary feed roller 105 is provided at a position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irst feed roller 102 on the horizontal plane. The auxiliary conveying roller 105 serves to assist the conveying process of the card conveyed by the first conveying roller (102). The auxiliary feed roller 105 may be provided on the auxiliary drive shaft 106, and a plurality of auxiliary feed rollers 105 provided on the auxiliary drive shaft 106 may be provided. The auxiliary drive shaft 106 is fixed to and supported by the first frame 101, and unlike the first drive shaft 103, the auxiliary drive shaft 106 is not connected to the pulley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frame 101. It does not receive a separate rotational driving force.

상기 보조 이송 롤러(105)로부터 상부로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는 소정 형상의 브라켓(107)이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브라켓(107)의 상하 조절을 통해 상기 보조 이송 롤러(105) 상에서 이송되는 카드에 대한 간격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107)은 소정의 지지편(도시하지 않음)과 결합되어 상기 제 1 프레임(101)의 일측면에 구비된다. A bracket 107 of a predetermined shape is provid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auxiliary feed roller 105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card is conveyed on the auxiliary feed roller 105 by vertically adjusting the bracket 107. You can set the interval. The bracket 107 is coupled to a predetermined support piece (not shown) and provided at one side of the first frame 101.

제 1 이송 롤러(102) 및 보조 이송 롤러(105)를 통해 상기 카드 적재 영역(100)의 카드가 상기 카드 배출 영역(200)으로 이송되는데, 상기 카드 배출 영역(200)으로 카드가 완전히 이송되기 전에 제 2 및 제 3 이송 롤러(108)(109)를 더 거치게 된다. The card of the card loading area 100 is transferred to the card discharge area 200 through the first feed roller 102 and the auxiliary feed roller 105, and the card is completely transferred to the card discharge area 200. The second and third transfer rollers 108 and 109 are further passed before.

상기 제 2 및 제 3 이송 롤러(108)(109)는 상기 카드 적재 영역(100)과 상기 카드 배출 영역(200)의 중간 지점에 구비된다. 상기 제 2 이송 롤러(108)와 상기 제 3 이송 롤러(109)는 대칭되는 형상을 갖으며 대칭되는 위치에 서로 접촉하여 구비된다. 상기 제 2 및 제 3 이송 롤러(108)(109)는 각각 제 2 및 제 3 구동축(110)(111) 상에 구비되며, 상기 제 2 이송 롤러(108)와 제 3 이송 롤러(109)가 접촉하는 지점과 상기 제 1 이송 롤러(102)의 상부면은 동일선상에 위치하여 카드 이송이 동일 평면 상에 진행된다. 상기 제 2 및 제 3 구동축(110)(111)은 제 1 프레임(101)에 고정, 지지되며 또한, 각각 제 2 풀리(112) 및 제 3 풀리(113)에 연결되어 제 2 및 제 3 풀리의 회전 구동력을 전달받는다. The second and third transfer rollers 108 and 109 are provided at an intermediate point between the card loading area 100 and the card discharge area 200. The second conveying roller 108 and the third conveying roller 109 have a symmetrical shape and are provided in contact with each other at a symmetrical position. The second and third feed rollers 108 and 109 are provided on the second and third drive shafts 110 and 111, respectively, and the second feed roller 108 and the third feed roller 109 are The point of contact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onveying roller 102 are located on the same line so that the card conveyance proceeds on the same plane. The second and third driving shafts 110 and 111 are fixed to and supported by the first frame 101 and are connected to the second pulley 112 and the third pulley 113, respectively, so that the second and third pulleys are connected. It receives the driving force of rotation.

상기 제 2 이송 롤러(108) 및 제 3 이송 롤러(109)의 내부에는 상기 제 1 이송 롤러(102)와 마찬가지로 특정 방향으로만 동작하는 클러치 베어링이 장착되어 있어 제 2 및 제 3 구동축(110)(111)의 회전시 특정 방향으로만 회전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 2 이송 롤러(108)와 제 3 이송 롤러(109)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제 3 이송 롤러(108)는 카드 이송 방향인 정방향, 상기 제 2 이송 롤러(109)는 카드 이송 반대 방향인 역방향으로만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이송 롤러(102)와 제 3 이송 롤러(108)는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 1 이송 롤러(102)와 제 2 이송 롤러(109)는 회전 방향이 서로 다르게 된다. Like the first feed roller 102, a clutch bearing that operates only in a specific direction is mounted inside the second feed roller 108 and the third feed roller 109 so that the second and third drive shafts 110 may be mounted. It is possible to rotate only in a specific direction when the 111 is rotated. Here, the second conveying roller 108 and the third conveying roller 109 are rotatable in different directions, for example, the third conveying roller 108 is the forward direction, the second conveying card direction, the second The feed roller 109 is adapted to rotate only in the reverse direction opposite to the card feed. Therefore, the first conveying roller 102 and the third conveying roller 108 rotate in the same direction, and the first conveying roller 102 and the second conveying roller 109 have different rotation directions.

상기 제 1 프레임(101)의 일측 정확히는, 상기 제 2 및 제 3 이송 롤러(108)(109)의 쌍이 구비된 위치의 전단부에 상응하는 부위에 제 1 카드 인식센서 (114)가 구비된다(도 6 참조). 상기 제 1 카드 인식센서(114)는 제 2 이송 롤러(108) 및 제 3 이송 롤러(109) 사이에 맞물려 이송되는 카드를 인식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카드 인식센서는 소정 거리가 이격되어 상하 두 곳에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 2 및 제 3 이송 롤러(108)(109)의 전단부에는 셔터 부재(115)가 구비된다. 상기 셔터 부재(115)는 일측의 카드 적재 영역(100)으로부터 상기 카드 배출 영역(200)으로 이송되는 카드가 반대측 카드 적재 영역(100)으로 침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One side of the first frame 101, the first card recognition sensor 114 is provided 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ront end of the position where the pair of the second and third transfer rollers 108, 109 is provided ( See FIG. 6). The first card recognition sensor 114 performs a role of recognizing a card being engaged between the second conveying roller 108 and the third conveying roller 109. Here, the first card recognition sensor may be provided in two places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part from each other. In addition, shutter members 115 are provided at front ends of the second and third transfer rollers 108 and 109. The shutter member 115 serves to prevent a card transferred from the card loading area 100 on one side to the card discharge area 200 from entering the card loading area 100 on the opposite side.

한편, 상기 제 1 구동축(103)이 연결된 제 1 풀리(104)와 상기 제 3 구동축(111)이 연결된 상기 제 3 풀리(113)는 동일한 구동 벨트로 연결되어 동일한 구동 모터(116)에 의해 작동된다. 또한, 상기 제 3 구동축(111)이 연결된 제 3 풀리(113)와 상기 제 2 구동축(110)이 연결된 제 2 풀리(112)는 별도의 구동 벨트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제 3 풀리(113)의 동작시 상기 제 2 풀리(112)가 함께 동작한다. 이와 같은 연결 관계에 의해 상기 제 1 구동축(103) 상에 구비된 제 1 이송 롤러(102)와 상기 제 2 및 제 3 구동축(110)(111) 상에 구비된 제 2 및 제 3 이송 롤러(108)(109)는 동일한 구동 모터(116)에 의해 동작된다. Meanwhile, the first pulley 104 to which the first drive shaft 103 is connected and the third pulley 113 to which the third drive shaft 111 is connected are connected by the same drive belt and operated by the same drive motor 116. do. In addition, the third pulley 113 to which the third drive shaft 111 is connected and the second pulley 112 to which the second drive shaft 110 is connected are connected by separate drive belts to form the third pulley 113. In operation, the second pulley 112 operates together. By such a connection relationship, the first and second feed rollers 102 and the second and third feed rollers provided on the second and third drive shafts 110 and 111 provided on the first drive shaft 103 ( 108 and 109 are operated by the same drive motor 116.

상기 제 1 이송 롤러(102)와 상기 제 2 및 제 3 이송 롤러(108)(109)의 동작 관계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opera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first transfer roller 102 and the second and third transfer rollers 108 and 109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먼저, 상기 구동 모터(116)의 정방향 회전에 의해 상기 카드 적재 영역(100)의 카드 적재함(130)에 적재되어 있는 카드가 상기 제 1 이송 롤러(102)에 의해 이송되기 시작한다. 이 때,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 2 및 제 3 이송 롤러 (108)(109)와 제 1 이송 롤러(102)는 동일한 구동 모터(116)에 의해 동작되고 상기 제 1 및 제 3 이송 롤러(102)(109)는 동일한 구동 벨트에 의해 연결됨에 따라 상기 구동 모터(116)의 정방향 회전에 의해 상기 제 1 이송 롤러(102)뿐만 아니라 상기 제 3 이송 롤러(109) 역시 정방향의 회전 동작을 시작한다. First, the card loaded in the card storage box 130 of the card loading area 100 starts to be transferred by the first transfer roller 102 by the forward rotation of the drive motor 116. At this time,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and third feed rollers 108, 109 and the first feed roller 102 are operated by the same drive motor 116 and the first and third feed rollers 102 109 is connected by the same drive belt, so that the first feed roller 102 as well as the third feed roller 109 also start to rotate in a forward direction by the forward rotation of the drive motor 116. .

상기 제 1 이송 롤러(102)로부터 이송되는 카드는 상기 보조 이송 롤러(105)를 거쳐 상기 제 2 이송 롤러(108)와 제 3 이송 롤러(109) 사이에 맞물려 이송된다. 상기 제 2 및 제 3 이송 롤러(108)(109) 사이를 통과한 카드의 전단부가 상기 제 1 카드 인식센서(114)에 의해 센싱되면 카드 진행 방향의 반대 방향인 역방향으로 구동 모터(116)가 작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이송 롤러(102)와 제 3 이송 롤러(109)는 동작을 멈추게 되고 상기 제 2 이송 롤러(108)가 동작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제 2 이송 롤러(108)와 제 3 이송 롤러(109)는 서로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어느 하나만 동작하게 되어도 카드 이송 과정은 원활하게 진행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상기 제 2 및 제 3 이송 롤러(108)(109)를 통과한 카드는 상기 카드 배출 영역(200)으로 완전히 이송된다. The card conveyed from the first conveying roller 102 is interdigitated between the second conveying roller 108 and the third conveying roller 109 via the auxiliary conveying roller 105. When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card passing between the second and third transfer rollers 108 and 109 is sensed by the first card recognition sensor 114, the driving motor 116 is revers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card travel direction. It works. Accordingly, the first conveying roller 102 and the third conveying roller 109 stop operation and the second conveying roller 108 operates. However, since the second conveying roller 108 and the third conveying roller 109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card conveying process proceeds smoothly even if only one of them is operated. Through this process, the card passing through the second and third transfer rollers 108 and 109 is completely transferred to the card discharge area 200.

상기 카드 배출 영역(200)은 기본적으로 상기 제 2 및 제 3 이송 롤러(108)(109)에 의해 이송된 카드가 안착되는 공간 및 안착된 카드의 배출이 진행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The card discharging area 200 basically provides a space in which the card conveyed by the second and third transfer rollers 108 and 109 is seated and a space in which the ejected card is discharged.

상기 카드 배출 영역(200)의 하단에는 제 1 배출 롤러(203)가 구비된다. 상기 제 1 배출 롤러(203)는 소정의 프레임(도시하지 않음)의 내측면에 고정, 지지되는 제 4 구동축(204) 상에 구비되며, 상기 카드 배출 영역(200)에 안착된 카드를 이송, 배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카드 배출 영역(200)의 하단에 구비된 이송 플레이트(205)의 소정 부위에는 제 2 카드 인식센서(202)가 구비된다. 상기 제 2 카드 인식센서(202)는 상기 이송 플레이트(205) 상에 카드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인식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제 1 배출 롤러(203)로부터 상부로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는 카드 압밀 부재(230)가 구비된다. 상기 제 2 및 제 3 이송 롤러(108)(109)로부터 이송되어 상기 카드 배출 영역(200) 상에 안착된 카드를 상기 제 1 배출 롤러(203)에 밀착시켜 상기 제 1 배출 롤러(203)에 의한 카드 배출 과정이 원활하게 진행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카드 압밀 부재(230)의 일단에는 제 2 배출 롤러(231)가 구비되어 카드와의 밀착시 상기 제 1 배출 롤러(203)에 대칭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카드의 배출 과정을 보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카드 압밀 부재(230)는 소정의 솔레노이드 스위치(233)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카드 인식센서(202)가 카드를 인식하면 상기 솔레노이드 스위치(233)가 작동하여 상기 카드 압밀 부재(230)가 카드를 밀착하게 된다(도 7a 및 도 7b 참조). The lower end of the card discharge area 200 is provided with a first discharge roller 203. The first discharge roller 203 is provided on the fourth drive shaft 204 fixed and supported on an inner surface of a predetermined frame (not shown), and transfers the card seated on the card discharge area 200. Serves to discharge. A second card recognition sensor 202 is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transfer plate 205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card discharge area 200. The second card recognition sensor 202 recognizes whether a card exists on the transfer plate 205. The card consolidation member 230 is provided at a position spaced upward from the first discharge roller 203 by a predetermined distance. Cards conveyed from the second and third transfer rollers 108 and 109 and seated on the card discharge area 200 ar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discharge roller 203 to the first discharge roller 203. It plays a role to facilitate the card ejection process. One end of the card consolidation member 230 is provided with a second discharge roller 231 is provided in a position symmetrical to the first discharge roller 203 when in close contact with the card serves to assist the discharge process of the card. To perform. The card consolidation member 230 is connected to a predetermined solenoid switch 233, and when the second card recognition sensor 202 recognizes a card, the solenoid switch 233 operates to operate the card consolidation member 230. ) Comes in close contact with the card (see FIGS. 7A and 7B).

한편, 상기 이송 플레이트(205)의 일단에는 이송 플레이트(205) 상에 이송된 카드가 최종적으로 배출되는 과정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플레이트(guide plate)가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는 수직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1 및 제 2 가이드 플레이트(208)(209)의 한 쌍으로 구성되어 이송되는 카드가 상기 제 1 가이드 플레이트(208)와 제 2 가이드 플레이트(209) 사이로 주입, 배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Meanwhile, one end of the transfer plate 205 is provided with a guide plate for guiding the process of finally discharging the card transferred on the transfer plate 205. The guide plate is composed of a pair of first and second guide plates 208 and 209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card to be transferred is provided with the first guide plate 208 and the second guide plate ( 209 can be injected and discharged.

상기 제 2 가이드 플레이트(209)의 일측에는 제 1 개구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 1 개구부 내에 제 3 배출 롤러(206)가 구비된다. 상기 제 3 배출 롤러(206)는 상기 제 2 프레임(201)의 내측면에 고정, 지지되는 제 5 구동축(207) 상에 구비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배출 롤러(231)에 의해 이송된 카드를 최종적으로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배출 롤러(203)가 장착되는 제 4 구동축(204)과 제 3 배출 롤러(206)가 장착되는 제 5 구동축(207)은 동일선 상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 first opening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second guide plate 209, and a third discharge roller 206 is provided in the first opening. The third discharge roller 206 is provided on the fifth drive shaft 207 fixed and supported o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second frame 201, and is transferred by the first and second discharge rollers 231. The card is finally discharged to the outside. Here, the fourth drive shaft 204 on which the first discharge roller 203 is mounted and the fifth drive shaft 207 on which the third discharge roller 206 are mounted are preferably positioned on the same line.

상기 제 2 가이드 플레이트(209)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제 1 가이드 플레이트(208)의 일측, 정확히는 상기 제 2 가이드 플레이트(209)의 제 1 개구부에 상응하는 부위에 상기 제 1 개구부에 상응하는 형상을 갖는 제 2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개구부 상에 위치하는 제 3 배출 롤러(206)가 노출된다. One side of the first guide plate 208 positioned above the second guide plate 209,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opening 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opening of the second guide plate 209. The 2nd opening part which has is formed. Accordingly, the third discharge roller 206 positioned on the first opening is exposed.

한편, 상기의 설명 중에서 상기 제 1 배출 롤러(203)로부터 상부로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카드 압밀 부재(230) 정확히는 제 2 배출 롤러(231)가 구비됨을 기술하였으며, 상기 카드 압밀 부재(230)의 제 2 배출 롤러(231)는 상기 제 2 카드 인식센서(202)의 카드 센싱에 의해 하강하여 상기 제 1 배출 롤러(203)와 접촉함을 적시하였다. 여기서, 카드 압밀 부재(230)의 일단 정확히는, 상기 제 2 배출 롤러(231)가 구비된 일단의 반대쪽 일단에는 제 4 배출 롤러(232)가 구비된다. 상기 제 4 배출 롤러(232)는 상기 카드 압밀 부재(230)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제 3 배출 롤러(206)와 선택적으로 접촉하여 상기 제 3 배출 롤러(206)에 의한 카드 배출 과 정을 보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카드 압밀 부재(230)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제 1 배출 롤러(203)와 제 2 배출 롤러(231)가 접촉하거나 또는 상기 제 3 배출 롤러(206)와 제 4 배출 롤러(232)가 접촉하게 된다. Meanwhile, in the above description, it has been described that the card consolidation member 230 is exactly provided with the second discharge roller 231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first discharge roller 203 by a predetermined distance upward, and the card consolidation member 230 is provided. The second discharge roller 231 is lowered by the card sensing of the second card recognition sensor 202 to timely contact with the first discharge roller 203. Here, one end of the card consolidation member 230 is exactly provided with a fourth discharge roller 232 at one end opposite to the one end provided with the second discharge roller 231. The fourth discharge roller 232 selectively contacts the third discharge roller 206 in accordance with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card consolidation member 230 to assist the card discharge process by the third discharge roller 206. It plays a role. The first discharge roller 203 and the second discharge roller 231 contact each other or the third discharge roller 206 and the fourth discharge roller 232 contact each other as the card consolidation member 230 moves up and down. Done.

상기 제 2 프레임(201)의 일측 정확히는, 상기 제 3 배출 롤러(206)가 구비된 위치의 전단부에 상응하는 부위에는 제 3 카드 인식센서(210)가 구비된다. 상기 제 3 카드 인식센서(210)는 상기 제 3 및 제 4 배출 롤러(206)(232)에 의해 배출되는 카드를 인식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제 3 카드 인식센서(210)에 의한 카드가 인식되면 상기 제 1 배출 롤러(203)를 밀착하고 있던 카드 압밀 부재(230)의 제 2 배출 롤러(231)는 원래 위치 즉, 상기 제 1 배출 롤러(203)로부터 상부로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로 돌아가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카드 압밀 부재(230)의 다른 일단에 구비된 상기 제 4 배출 롤러(232)는 상기 카드 압밀 부재(230)의 하강에 의해 상기 제 3 배출 롤러(206)와 밀착하게 되어 상기 제 3 배출 롤러(206)의 카드 배출 과정을 보조하게 된다(도 7c 참조). One side of the second frame 201 is exactly, the third card recognition sensor 210 is provided 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ront end of the position where the third discharge roller 206 is provided. The third card recognition sensor 210 serves to recognize cards discharged by the third and fourth discharge rollers 206 and 232. When the card by the third card recognition sensor 210 is recognized, the second discharge roller 231 of the card consolidation member 230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discharge roller 203 is in its original position, that is, the first discharge. The roller 203 is returned to a position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upwardly. Accordingly, the fourth discharge roller 232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card consolidation member 230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third discharge roller 206 by the lowering of the card consolidation member 230. The card ejection process of the eject roller 206 is assisted (see FIG. 7C).

한편, 상기 이송 플레이트(205)의 하부 공간에는 회수 카드 수납부(301)이 구비된다. 상기 회수 카드 수납부(301)는 상기 카드 적재함(130)으로부터 상기 제 1 및 제 2 가이드 플레이트(208)(209)를 통해 발권된 카드 중 불량인 카드를 회수하여 수납하는 공간이다(도 7d 참조). 상기 이송 플레이트(205)의 하부에는 회수용 가이드 플레이트(303)가 구비되는데 상기 회수용 가이드 플레이트(303)는 상기 제 1 배출 롤러(203)와 제 3 배출 롤러(303)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가이드 플레이트(208)(209)를 통해 회수되는 불량 카드를 상기 회수 카드 수납부(301) 에 수납되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회수 카드 수납부(301)의 일측에는 회수 카드 인식센서(302)가 구비되어 상기 회수 카드 수납부(301)에 일정량 이상의 불량 카드가 수납되는 경우 이를 인식한다. Meanwhile, a recovery card accommodating part 301 is provided in the lower space of the transfer plate 205. The collection card accommodating unit 301 is a space for collecting and storing a defective card among the cards issu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guide plates 208 and 209 from the card loading box 130 (see FIG. 7D). ). A recovery guide plate 303 is provided below the transfer plate 205, and the recovery guide plate 303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discharge roller 203 and the third discharge roller 303 to provide the recovery guide plate 303. It serves to guide the defective card collect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guide plates 208 and 209 to be stored in the collection card accommodating portion 301. Here, a recovery card recognition sensor 302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collection card accommodating part 301 to recognize when a predetermined amount or more of defective cards are stored in the collection card accommodating part 301.

상기 카드 적재함(13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카드 적재 영역(100)으로의 선택적인 착탈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카드 적재 영역(100) 정확히는, 상기 제 1 프레임(101)의 일측에는 카드 적재함 내에 적재되어 있는 카드의 적재량을 파악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적재 인식 센서(131)가 구비된다. 이에 따라, 상기 카드 적재함 내의 카드가 소정 높이만큼 내려가게 되면 상기 카드 적재 영역(100)의 하단 일측에 구비되어 있는 적재 인식 센서(131)가 적재된 카드의 최상부에 위치하는 소정의 적재 인식물(도시하지 않음)을 인식함으로써 상기 카드 적재함 내의 카드 적재량을 인식하게 된다. 참고로, 상기 카드 적재 영역(100)의 하단에는 카드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센싱 스위치(117)가 더 구비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card loading box 130 is capable of selectively attaching and detaching to the card loading area 100, and the card loading area 100 is exactly a card loading box on one side of the first frame 101. There is provided a stack recognition sensor 131 which serves to grasp the stacking amount of the cards stacked in the stack. Accordingly, when the card in the card loading box is lowered by a predetermined height, a predetermined stacking recognition object located at the top of the stacking card having the stacking recognition sensor 131 provided on one side of the lower end of the card stacking area 100 ( (Not shown) to recognize the amount of cards in the card stack. For reference, a sensing switch 117 may be further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card loading area 100 to determine whether a card exists.

상기 적재 인식 센서(131)에 의한 센싱 신호는 구동 제어부에 전달되고 상기 구동 제어부는 해당 센싱 신호를 바탕으로 상기 제 1 이송 롤러(102)의 동작을 제어한다. The sensing signal by the load recognition sensor 131 is transmitted to the driving controller, and the driving controller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first transfer roller 102 based on the sensing signal.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제 1 이송 롤러(102)뿐만 아니라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카드 인식센서(114)(202)(210)로부터 카드 센싱 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바탕으로 구동 모터(116)를 제어하여 다수의 이송 롤러 및 배출 롤러의 구동을 선택적으로 진행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구동 제어부는 본 발명에 따른 카드 디스펜서의 일측에 구비되는 소정의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 상에 구현될 수 있다. The driving controller receives a card sensing signal from the first, second and third card recognition sensors 114, 202, 210 as well as the first feed roller 102, and based on this, the driving motor 116. The control serves to selectively advance the driving of the plurality of feed rollers and the discharge roller. The driving controller may be implemented on a predetermined printed circuit board (PCB) provided at one side of the card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카드 디스펜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The card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카드 적재 영역을 복수개 구비시켜 카드 배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카드 배출시 이용되는 다수의 이송 롤러 및 배출 롤러를 선택적으로 제어하여 중송 현상, 슬림 현상의 발생없이 카드 적재함 내의 카드를 1매씩 안정적으로 배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카드 적재 영역 내에 구비되는 카드 적재함을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하도록 하여 카드 디스펜서의 효용성을 배가시킬 수 있게 된다. Card ejection efficiency can be improved by providing a plurality of card stacking areas, and by selective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feed rollers and eject rollers used for card ejection, cards can be stably ejected from the card stacker one by one without generation of midfeed or slim. You can do it.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remove the card storage box provided in the card loading area to double the utility of the card dispenser.

Claims (13)

카드를 적재하는 카드 적재 영역과, 상기 카드 적재 영역으로부터 카드를 이송받아 외부로 카드를 배출하는 카드 배출 영역의 조합으로 구성되며, A card stacking area for stacking cards and a card ejecting area for transporting cards from the card stacking area and ejecting the cards to the outside; 상기 카드 적재 영역은 상기 카드 배출 영역을 중심으로 좌측 및 우측의 두 곳에 구비되고, 상기 각각의 카드 적재 영역에는 선택적인 착탈이 가능한 직육면체 형상의 카드 적재함이 구비되며, The card loading area is provided in two places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ard discharge area, and each card loading area is provided with a card loading box having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which can be selectively attached and detached. 상기 카드 적재 영역의 카드 적재함 하부에는 상기 카드 적재함 내의 카드를 상기 카드 배출 영역쪽으로 이송하는 제 1 이송 롤러가 구비되며, 상기 제 1 이송 롤러로부터 수평면 상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는 제 및 제 3 이송 롤러의 쌍이 구비되어 상기 제 1 이송 롤러로부터 이송된 카드를 상기 카드 배출 영역으로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디스펜서. A first conveyance roller for conveying a card in the card conveyance box toward the card discharging area i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card loading compartment of the card loading region, and the third and third conveyances are located at a position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irst conveying roller on a horizontal plane. A card dispenser, characterized in that a pair of rollers are provided to convey the card conveyed from the first conveying roller to the card discharging are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및 제 3 이송 롤러는 대칭되는 형상을 갖고 대칭되는 위치에 구비되며, 상기 제 2 이송 롤러와 제 3 이송 롤러 중 어느 하나만 선택적으로 동작하며, 동작되는 하나의 이송 롤러에 의해 다른 하나의 이송 롤러가 맞물려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디스펜서.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and the third conveying roller has a symmetrical shape and is provided in a symmetrical position, wherein only one of the second conveying roller and the third conveying roller selectively operates, one conveying operation A card dispenser, characterized in that the other conveying roller is engaged by the roller to operate.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및 제 3 이송 롤러의 쌍의 전단부에 상기 제 2 및 제 3 이송 롤러 사이를 통과하는 카드를 인식하는 제 1 카드 인식센서가 더 구비되어, 상기 제 1 카드 인식센서에 의해 카드가 인식되면 상기 제 2 이송 롤러와 제 3 이송 롤러 중 동작하는 이송 롤러는 멈추고 다른 이송 롤러가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디스펜서. The first card recognition sensor according to claim 1 or 2, further comprising a first card recognition sensor for recognizing a card passing between the second and third feed rollers at a front end of the pair of second and third feed rollers. The card dispenser,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card is recognized by the first card recognition sensor, the transfer roller of the second transfer roller and the third transfer roller is stopped and another transfer roller operat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이송 롤러의 내부에는 특정 방향으로의 회전 동작만 가능한 클러치 베어링이 각각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디스펜서. The card dispens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clutch bearing capable of rotating only in a specific direction is mounted in the first, second and third transfer rollers, respectively. 제 4 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 3 이송 롤러는 카드 이송 방향인 정방향의 회전 구동력에 의해서만 회전 가능하고, 상기 제 2 이송 롤러는 역방향의 회전 구동력에 의해서만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디스펜서. 5. The card dispenser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first and third conveying rollers are rotatable only by the forward rotational driving force in the card conveying direction, and the second conveying roller is rotatable only by the reverse rotational driving for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배출 영역에는,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ard discharge area, 상기 카드 배출 영역 상에 카드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인식하는 제 2 카드 인식센서와, 상기 제 2 및 제 3 이송 롤러로부터 이송된 카드를 외부로 배출하는 제 1 및 제 3 배출 롤러와, 상기 제 1 배출 롤러 또는 제 3 배출 롤러와 선택적으로 접촉하는 제 2 배출 롤러와 제 4 배출 롤러가 장착된 카드 압밀 부재가 구비되며, A second card recognition sensor for recognizing whether a card exists on the card discharge area, first and third discharge rollers for discharging the cards transferred from the second and third transfer rollers to the outside, and the first A card consolidation member equipped with a second discharge roller and a fourth discharge roller for selectively contacting the discharge roller or the third discharge roller, 상기 제 2 카드 인식센서에 의해 카드가 센싱되면 카드를 매개로 상기 제 1 배출 롤러와 제 2 배출 롤러가 접촉하여 상기 카드를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디스펜서. When the card is sensed by the second card recognition sensor, the card dispenser,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discharge roller and the second discharge roller is in contact with each other to transfer the card.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배출 롤러가 구비된 부위에 상응하는 카드 배출 영역에 상기 제 3 배출 롤러 상에서 이송되는 카드를 인식하는 제 3 카드 인식센서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디스펜서. 7. The card dispenser of claim 6, further comprising a third card recognition sensor for recognizing a card being transferred on the third discharge roller in a card discharge region corresponding to a portion where the third discharge roller is provided.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카드 인식센서에 의해 카드가 센싱되면 카드를 매개로 상기 제 3 배출 롤러와 제 4 배출 롤러가 접촉하여 상기 카드를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디스펜서. The card dispenser according to claim 6 or 7, wherein when the card is sensed by the third card recognition sensor, the third discharge roller and the fourth discharge roller contact each other to transfer the card.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이송 롤러와 상기 제 2 및 제 3 이송 롤러의 쌍 사이에는 상기 제 1 이송 롤러와 동일 수평면 상에 위치하는 보조 이송 롤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디스펜서. The card dispenser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auxiliary feed roller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feed roller and the pair of second and third feed rollers on the same horizontal plane as the first feed roll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적재 영역의 일측에는 카드 적재함 내에 적재되어 있는 카드의 적재량을 파악하는 적재 인식 센서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디스펜서.The card dispenser of claim 1, wherein a loading recognition sensor is further provided at one side of the card loading area to determine a loading amount of the card loaded in the card loading box.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배출 영역은 상기 제 2 이송 롤러와 제 3 이송 롤러가 접촉하는 지점보다 낮은 위치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디스펜서. The card dispens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ard discharge area is provided at a position lower than a point where the second transfer roller and the third transfer roller contact each other.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배출 영역의 하부 공간에는 회수 카드 수납부가 구비되며, 상기 회수 카드 수납부의 일측에는 상기 제 1 배출 롤러와 제 3 배출 롤러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 3 배출 롤러를 통해 회수되는 불량 카드를 상기 회수 카드 수납부로 가이드하는 역할이 수행하는 회수용 가이드 플레이트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디스펜서.7. The recovery apparatus of claim 6, wherein a recovery card accommodating part is provided in a lower space of the card discharge area, and one side of the recovery card accommodating part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discharge roller and the third discharge roller. A card dispenser, characterized in that the guide plate for recovery is provided to guide the defective card to the recovery card accommodating portion.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 카드 수납부의 일측에 상기 회수 카드 수납부 에 일정량 이상의 카드가 수납되는 경우 이를 인식하는 회수 카드 인식센서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디스펜서. The card dispenser of claim 12, further comprising a collection card recognition sensor configured to recognize a predetermined amount or more of the card in the collection card storage unit at one side of the collection card storage unit.
KR1020050081092A 2005-09-01 2005-09-01 Card dispenser KR10083590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1092A KR100835902B1 (en) 2005-09-01 2005-09-01 Card dispens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1092A KR100835902B1 (en) 2005-09-01 2005-09-01 Card dispenser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5218U Division KR200401525Y1 (en) 2005-09-01 2005-09-01 Card dispens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5217A true KR20070025217A (en) 2007-03-08
KR100835902B1 KR100835902B1 (en) 2008-06-09

Family

ID=38099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1092A KR100835902B1 (en) 2005-09-01 2005-09-01 Card dispens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5902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8707B1 (en) * 2013-10-10 2014-10-08 (주)키트로닉스 A card dispenser
KR20170080762A (en) * 2015-12-30 2017-07-11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Dispenser for boxes and the lik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2654Y1 (en) * 1998-10-21 2000-11-15 이내학 Card dispens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8707B1 (en) * 2013-10-10 2014-10-08 (주)키트로닉스 A card dispenser
KR20170080762A (en) * 2015-12-30 2017-07-11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Dispenser for boxes and the lik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5902B1 (en) 2008-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7503B1 (en) Apparatus for processing ic cards
CN1904908B (en) Card processing unit
KR100897611B1 (en) Card processing apparatus having issue and withdrawal function of card, issue method, and withdrawal method thereof
US8047428B2 (en) Cash transaction machine
CN103020659A (en) Card issuing device
KR200401525Y1 (en) Card dispenser
CN101465016B (en) Cash transaction machine
KR100835902B1 (en) Card dispenser
JPS60258057A (en) Paper sheets housing device
KR200399824Y1 (en) Card collector
KR100631491B1 (en) Card dispenser and card eje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200420085Y1 (en) Card dispenser
KR200399821Y1 (en) Card collector
KR100966676B1 (en) Cash transaction machine
KR20100063351A (en) Card dispenser
KR100962477B1 (en) Apparatus for card dispensing and collecting
JP2007265136A (en) Medium issuing apparatus
KR200202654Y1 (en) Card dispenser
KR101266593B1 (en) Apparatus of media receiving/discharging
JP3428467B2 (en) Card processing equipment
KR20060080084A (en) Customer access apparatus for media dispenser
JP5145100B2 (en) Banknote storage device
JPH09128570A (en) Card taking out device
CN114761961A (en) Large capacity card processing device
KR100999062B1 (en) Method for card collecting of elevating type card coll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