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5029A - 스피커를 내장한 휴대기기스트랩 - Google Patents

스피커를 내장한 휴대기기스트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5029A
KR20070025029A KR1020050080758A KR20050080758A KR20070025029A KR 20070025029 A KR20070025029 A KR 20070025029A KR 1020050080758 A KR1020050080758 A KR 1020050080758A KR 20050080758 A KR20050080758 A KR 20050080758A KR 20070025029 A KR20070025029 A KR 200700250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aker
mobile device
strap
bowl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07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덕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트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트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트랑
Priority to KR10200500807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25029A/ko
Publication of KR200700250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50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5/00Miscellaneous fancy ware for personal wear, e.g. pendants, crosses, crucifixes, char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5Arrangements for fixing loudspeaker transducers, e.g. in a box, furni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6Supports for loudspeaker ca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은 휴대폰, 카메라폰, PDA(개인정보 단말기), MP3플레이어, DMB폰 등과 같은 휴대기기의 악세사리로 사용되는 휴대기기스트랩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피커가 내장된 휴대기기스트랩에 관한 것이다.
휴대기기스트랩

Description

스피커를 내장한 휴대기기스트랩 {STRAP FOR PORTABLE APPARATUS}
도1은 본 발명의 스피커를 내장한 휴대기기스트랩을 분리하여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2는 복수개의 다리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도3은 덮개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4는 보올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5는 상부지지부와 하부지지부를 분리하여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스피커 200 : 본체
210 : 상부지지부 220 : 하부지지부
230 : 볼트 250 : 다리
300 : 소켓 320 : 상부소켓
330 : 하부소켓 400 : 보올조립체
410 : 잭 420 : 보올상부
430 : 보올하부 500 : 덮개
520 : 연결편 530 : 휴대기기연결끈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371579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500035
본 발명은 휴대폰, 카메라폰, PDA(개인정보 단말기), MP3플레이어, DMB폰 등과 같은 휴대기기의 악세사리로 사용되는 휴대기기스트랩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피커가 내장된 휴대기기스트랩에 관한 것이다.
등록번호 20-0371579호 등록실용신안공보에는 엠피쓰리 플레이어용 삼발이형 스피커에 관한 기술이 공지되어 있고, 등록번호 10-0500035호 등록특허공보에는 휴대기기의 악세사리로 사용되는 휴대기기스트랩에 관한 기술이 공지되어 있다.
위 등록실용신안공보에 나타난 엠피쓰리 플레이어용 삼발이형 스피커는, 엠피쓰리 플레이어가 상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체; 상기 지지체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지지체의 중심을 축으로 소정 각도 방사상으로 펼쳐지는 세 개 이상의 스피커; 상기 지지체의 상면에 구비되어, 엠피쓰리 플레이어와 접속시키는 접속단자; 및 상기 접속단자와 상기 스피커를 접속시키는 접속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위 삼발이형 스피커는, 스피커가 엠피쓰리 플레이어와 완전히 분리된 별개의 제품이기 때문에, 스피커와 엠피쓰리 플레이어를 따로 보관하여야 하고 그로 인해 스피커의 보관 및 이동이 불편하고, 엠피쓰리 플레이어에 결합시 엠피쓰리 플레이어의 자세를 조정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위 특허공보에 나타난 휴대기기스트랩은, 손가락 등이 끼워질 수 있는 공간부가 형성된 걸이부와; 휴대기기에 연결되는 스트랩과; 상기 스트랩과 인서트 사출성형되어, 상기 걸이부와 상기 스트랩을 연결하는 그립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핑거스트랩에 관한 것이나, 악세사리로로서만 기능하고, 휴대기기에 대한 사용의 편리성을 도모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휴대기기의 액세서리와 스피커의 기능을 겸할 수 있고, 휴대기기에 부착하여 항상 휴대기기와 함께 이동할 수 있으며, 필요시 휴대기기에서 발생되는 음향신호를 청취할 수 있는 스피커가 내장된 휴대기기스트랩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기기를 일정한 자세로 지지하고 그 자세를 조정할 수 있어서 자유로운 포즈로 촬영할 수 있고, 휴대기기를 전시하는 지지대의 기능을 겸할 수 있는 휴대기기스트랩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기기에 형성된 이어폰연결부를 이용하여 휴대기기를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휴대기기에 대한 설계 변경 없이 휴대기기에 적용할 수 있는 휴대기기스트랩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스피커를 내장한 휴대기기스트랩은, 스피커가 설치된 본체와; 상기 본체를 개폐하는 덮개와; 상기 덮개에 설치되는 휴대기기연결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휴대기기스트랩은, 스피커와 악세서리의 기능을 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본체에 휴대기기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연결부에 의해 휴대기기를 지지한 상태에서 스피커에서 발생하는 음향신호를 청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연결부는; 휴대기기에 연결되는 잭과, 상기 잭에 연결된 보올과, 상기 보올을 회전자유롭게 지지하는 소켓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휴대기기의 자세를 임의대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본체는; 스피커에 연결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복수개의 다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휴대기기를 안정된 자세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덮개가 상기 본체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덮개 하단과 상기 다리 상단은 서로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휴대기기에 부착된 상태에서 악세사리로 기능하는 경우에는 다리가 펼쳐지지 않도록 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스트랩을 도시한 분리사시 도이고, 도2는 복수개의 다리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며, 도3은 덮개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4는 보올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5는 상부지지부와 하부지지부를 분리하여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스피커를 내장한 휴대기기스트랩은, 스피커(100)가 설치된 본체(200)와; 상기 본체(200)를 개폐하는 덮개(500)와; 상기 덮개에 설치되는 휴대기기연결끈(5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덮개(500)는 하우징(510)과 연결편(520)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하우징(510)은, 상부에 개구(511)가 형성된 원통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하우징(510) 내면에는 후술하는 본체(200)의 나사산(213)과 나사결합할 수 있도록 나사산(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휴대기기연결끈(530)의 끝단을 매듭지은 상태에서, 휴대기기연결끈(530)과 일체로 연결편(520)을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편(520)은 하우징(510) 상단의 개구(511)가 형성된 홈에 삽입된 채, 하우징(510)과 일체로 결합된다..
물론, 연결편(520)을 별도로 성형하지 않고, 하우징(510)과 일체로 성형한 상태에서, 연결편(520)과 휴대기기연결끈(530)을 연결할 수 도 있다.
상기 본체(200)는, 스피커(100)에 연결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복수개의 다리(2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스피커(100)가 결합되는 상부지지부(210)와 다리(250)가 연 결되는 하부지지부(220)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지지부(210)는 중앙부가 잘록한 장구 형태로 되어 있고, 상부는 스피커(100)가 설치되고 하부에는 하부지지부(220)와 연결된다.
상부지지부(210)의 상측 외주면에는, 나사산(21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나사산(213)은 덮개(500)의 하우징(510) 내면에 형성된 나사산(미도시)과 나사결합된다.
상부지지부(210)의 하측 외주면에는, 후술하는 다리(250)가 설치되어, 다리(250)의 회전운동을 허용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절결부(216)가 형성되어 있다.
복수개의 절결부(216)로 인하여 상부지지부(210)의 하측 외주면에는 3개의 돌출부가 형성되고, 돌출부와 돌출부 사이에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지지부(210)의 상부에는 돌기(211)가 형성될 수 있다.
위 돌기(211)는 스피커 저면에 형성된 결합홈(미도시)에 삽입된 상태에서, 스피커(100)와 상부지지부(210)가 결합될 수 있다.
물론 스피커 외주면이 돌기(211) 내측에 삽입되는 형태로 스피커(100)가 상부지지부(210)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을 확실하게 하기 위하여, 스피커(100)와 상부지지부(210) 사이에 접착제를 도포할 수 있다.
상기 하부지지부(220)는 전체적으로 속이 빈 항아리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하부지지부(220)의 외주면에는 후술하는 다리(250)가 설치되어, 다리(250)의 회전운동을 허용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절결부(226)가 형성되어 있다.
복수개의 절결부(226)로 인하여 하부지지부(220)의 외주면에는 3개의 돌출부가 형성되고, 돌출부와 돌출부 사이에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지지부(210)와 하부지지부(220)는, 볼트(230)에 의해 고정된다.
볼트(230)에 의해 고정하는 경우, 하부지지부(220)에는 체결공(228)을 형성하고, 상부지지부(210)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홈(218)을 형성한다.
상부지지부(210)의 체결홈(218) 대신에, 금속제 너트를 상부지지부(210)에 인서트 시킨 상태에서 상부지지부(210)를 사출성형한 후, 볼트(230)와 위 금속제 너트를 결합하여, 상부지지부(210)와 하부지지부(220)를 서로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부지지부(210)와 하부지지부(220)를 사출성형하고, 상부지지부(210)와 하부지지부(220)가 서로 접촉된 상태에서 초음파진동을 부여하여 융착시킬 수 있다.
초음파진동에 의해 융착시키는 경우에는, 체결공(228), 체결홈(218) 및 볼트(230) 등의 구성은 불필요하게 된다.
하부지지부(220)의 상면{하부지지부(220) 외주면에 형성된 3개의 돌출부 상면}에는, 반구형태의 복수개의 돌기(222)가 형성되어 있다.
돌기(222)의 양측에는 절결부(226)와 연통되는 일자홈(224)이 형성되어 있다.
위 일자홈(224)에 후술하는 다리(250)에 형성된 회전축(264)이 삽입된다.
상부지지부(210) 하면에는, 복수개의 돌기(222)에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개의 홈(212)이 형성되어 있다.
위 홈(212)에 돌기(222)가 삽입된다.
위 홈(212)의 양측에는 절결부(216)와 연통하는 일자홈(214)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지지부(210)에 형성된 일자홈(214)과 하부지지부(220)에 형성된 일자홈(224)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 내부에 다리(250)의 회전축(264)이 삽입되는 것이다.
또한, 상부지지부(210) 하면에는, 체결홈(218) 주위에 삼각형 형태의 3개의 홈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 3개의 삼각형 홈은, 사출성형시 수지 재료의 절감 및 용융 수지의 유동 원활화를 위한 것이다.
복수개의 돌기(222)와 홈(212)은, 상부지지부(210)와 하부지지부(220)를 볼트(230)로 결합할 때, 상부지지부(210)와 하부지지부(220)가 서로 미끄러지면서 어긋나게 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복수개의 돌기(222)가 홈(212) 바닥에 접촉한 상태에서 초음파진동을 부여하여 돌기(222)의 용융에 의해 융착을 하는 경우에는, 용융된 수지가 홈(212) 외부로 퍼져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복수개의 다리(250) 각각은 외주면이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얇은 두께의 쉘부(260)와 상기 쉘부(260)에 결합되는 미끄럼방지부재(270)로 이루어져 있다.
각 다리(250)가 접혀 모였을 땐 상기 쉘부(260)의 외주면이 하나의 원을 형성하도록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다리(250)가 접혀진 상태에서 외관상 미려하기 때문에 휴대기기스트 랩으로 적합하게 된다.
쉘부(260)의 상부 내면에는 회전축(264)이 형성된 돌출경사부(262)가 형성되어 있다.
돌출경사부(262)는, 상부지지부(210)에 형성된 절결부(216) 및 하부지지부(220)에 형성된 절결부(226)로 이루어진 공간에 위치하게 된다.
복수개의 다리(250)가 접혀진 상태에서 돌출경사부(262)의 내측에 형성된 경사면은 하부지지부(220) 표면과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개의 다리(250)가 펼쳐진 상태에서 돌출경사부(262)의 상단은, 상부지지부(210)와 접촉하여 다리(250)가 펼쳐지는 정도를 제한하게 된다.
쉘부(260)의 하부 내면에는 내면으로부터 돌출된 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위 돌기에는, 체결공이 형성된 미끄럼방지부재(270)가 결합된다.
위 미끄럼방지부재(270)는, 수지로 이루어진 쉘부(260) 보다 연성이 큰 탄성부재, 예컨대 고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200)에는 휴대기기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휴대기기에 형성된 단자, 예컨대 이어폰용 단자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잭 또는 플러그와 동일한 형태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어폰용 단자에 결합되는 잭 부분을 스피커(100) 또는 본체(200)에 결합하고, 위 잭을 휴대기기 단자에 삽입하여 휴대기기와 연결시키면, 연결부에 의해 휴대기기를 지지한 상태에서 스피커에서 발생하는 음향신호를 청취할 수 있게 된 다.
상기 연결부는; 휴대기기에 연결되는 보올조립체(400)와, 상기 보올을 회전자유롭게 지지하는 소켓(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보올조립체(400)는 휴대기기에 연결되는 잭(410)과, 상기 잭(410)에 연결된 보올로 이루어진다.
상기 보올은 보올상부(420)와 상기 보올상부(420)에 결합되는 보올하부(440)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4는, 잭(410), 보올상부(420) 및 보올하부로 이루어진 보올조립체(400)을 나타낸 것이다.
보올상부(420)는, 중앙에 절개부(422)가 형성되어 있고, 상면은 평탄하고, 외주면은 구면으로 이루어져 있다.
잭(410)이 직사각형 형태인 경우 하부에 플랜지를 형성하여, 보올상부(420)의 하부로부터 절개부(422)에 잭(410)을 삽입하여 잭과 보올상부(420)를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올하부(440)는 반구 형태이고, 외주면은 구면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에는 복수개의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보올상부(420)에 상기 돌기의 대응되는 복수개의 홈을 형성한 후, 돌기와 홈이 결합된 상태에서, 보올상부(420)와 보올하부(440)를 결합한다.
보올하부(440)에는, 잭(410)과 스피커(10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구성, 예컨대 케이블이 통과되는 구멍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요에 따라서, 보올하부(430)에 회로기판(PCB, 450)을 부착하고, 잭(410)의 하부를 회로기판(430)에 끼운 상태로, 보올조립체(400)를 구성할 수도 있다. 회로기판(450)에 증폭회로를 설치하는 경우, 휴대기기에서 발생되는 음 데이터를 증폭시켜서 스피커로 전달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해 앰프기능도 달성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회로기판(450)과 스피커(1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보올하부(430)에 구멍을 형성하고, 위 구멍에 케이블을 통과시키는 구성을 채택할 수 있다.
보올조립체(400)는 소켓(300)과 볼조인트를 형성한다.
소켓(300)은, 상부소켓(322)과 하부소켓(330)으로 구성된다.
상부소켓(320)은, 단면이 역U자 형태로서, 상부에 잭(410)의 유동을 허용하도록 구멍(322)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소켓(320)의 내면은 보올상부(420)와 결합하도록 구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하부소켓(330)의 상면에도 보올하부(440)와 결합하도록 구면(332)으로 형성되어 있고, 외주면에는 나사산(331)이 형성되어 있다.
위 구면(332)에도 일정한 크기의 관통공(미도시)을 형성할 수 있다.
잭(410)과 스피커(10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케이블은, 위 관통공을 이용하여, 하부소켓(330)을 통과할 수 있다. 보올조립체(400)의 회전시 케이블 이 관통공에 간섭되지 않도록, 보올조립체(400)의 회전각도를 고려하여, 관통공의 크기를 설정하도록 한다.
보올조립체(400)를 구면(332)에 위치시킨 후, 상부소켓(322) 내면에 형성된 나사산(미도시)을 이용하여, 상부소켓(320)과 하부소켓(330)을 나사결합하면, 보올조립체(300)와 소켓(300)이 볼조인트로 기능하게 된다.
상기 하부소켓(330)과 스피커(100) 또는 상부지지부(210)를 일체로 연결하면, 보올조립체(400)와 소켓(300)으로 이루어진 연결부가 본체(200)에 결합되는 것이다.
휴대기기에 연결되는 보올조립체(400)와, 상기 보올을 회전자유롭게 지지하는 소켓(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연결부와, 상기 스피커(100), 본체(200) 및 다리(250)가 결합된 상태에서, 덮개(500)를 회전시켜서 상부지지부(210)와 나사결합하는 경우,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덮개(500) 하단과 상기 다리(250) 상단은 서로 접촉되어 있기 때문에, 다리(250)가 펼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피커를 내장한 휴대기기스트랩은, 스피커(100)가 설치된 본체(200)와; 상기 본체를 개폐하는 덮개(500)와; 상기 덮개에 설치되는 휴대기기연결끈(53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스피커와 악세서리의 기능을 겸하는 작용을 하게된다.
즉, 평소 휴대기기에 부착한 상태에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500)와 본체(200) 및 다리(250)가 전체적으로 캡슐형태를 가지게 되어 외관미가 훌륭한 악 세사리로서 작용하는 것이다.
또한, 덮개(500)와 몸체(200)를 분리한 상태에서, 휴대기기에 형성된 이어폰용 단자와, 스피커에 형성된 단자(미도시)를 연결시키는 경우, 스피커에서 발생하는 음향신호를 청취할 수 있게된다. 특히, DMB폰인 경우 영화 등을 감상하면서 음향신호를 청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본체(200)에 휴대기기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경우, 이 연결부에 의해 휴대기기를 지지한 상태에서 스피커에서 발생하는 음향신호를 청취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의 휴대기기용스트랩은, 악세사리 및 스피커 뿐 아니라 거치대로서도 작용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연결부를; 휴대기기에 연결되는 잭(410)을 포함한 보올조립체(400)와, 상기 보올조립체(400)를 회전자유롭게 지지하는 소켓(300)으로 구성하는 경우, 휴대기기의 자세를 임의대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본체(200)를; 스피커에 연결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복수개의 다리(250)로 구성하였기 때문에, 휴대기기를 안정된 자세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덮개(500)가 상기 본체(2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덮개 하단과 상기 다리 상단이 서로 접촉되어 있기 때문에, 휴대기기에 부착된 상태에서 악세사리로 기능하는 경우에는 다리(250)가 펼쳐지지 않도록 하게 된다.
본 발명의 스피커를 내장한 휴대기기스트랩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의 스피커를 내장한 휴대기기스트랩은, 평상시엔 덮개가 설치된 상태에서 휴대기기용 악세사리로 사용되다가 휴대기기의 음향신호를 청취할 수 있기 때문에, 악세사리와 스피커 기능을 겸할 수 있다. 더구나, 휴대기기를 지지함과 동시에 음향청취가 가능하기 때문에 휴대기기스트랩에 의해 휴대기기의 사용 편의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된다 .
둘째, 휴대기기의 지지가 필요한 경우 덮개를 제거한 후 삼각대를 펼쳐 사용하면 되기 때문에, 액세서리와 지지대 기능을 겸할 수 있다. 따라서, 휴대기기에 카메라가 구비된 경우 사진 촬영이 가능하고, DMB폰인 경우 휴대용 TV 시청이 가능하다. 특히, DMB 폰을 지지하는 경우에는, 여러사람이 동시에 TV를 시청하는 것이 가능하고 먼거리에서도 TV를 시청하는 것이 가능하여, DMB 폰을 개인용에서 단체용으로 그 용도를 확대시킬 수 있게된다 .
셋째, 상기 다리의 각각은 외주면이 원호 형상이고, 상기 각 다리가 접혀 모였을 땐 외주면이 하나의 원을 형성하기 때문에, 외관이 미려하여 휴대기기스트랩으로의 기능을 손색없이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다리가 접혀 모였을 때 외관 전체가 캡슐 형상을 이루기 때문에, 외관이 더욱 미려하고 잡았을 때 감촉이 부드럽고 좋다.
넷째, 상기 덮개가 상기 지지부재에 설치될 때, 상기 덮개의 하단은 상기 삼각다리의 펼침을 방지하기 때문에, 임의적인 다리의 펼침을 방지할 수 있다.
다섯째, 휴대기기에 이미 설치된 단자에 결합되는 잭을 이용하여 휴대기기를 지지하기 때문에, 휴대기기를 설계변경하는 일이 없이 휴대기기의 사용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
여섯째, 촬영시 카메라폰의 흔들림을 방지하여 선명한 화질을 얻을 수 있다.
일곱째, 휴대기기를 전시할 때, 전시용 받침대로도 사용할 수 있다.

Claims (5)

  1. 스피커가 설치된 본체와;
    상기 본체를 개폐하는 덮개와;
    상기 덮개에 설치되는 휴대기기연결끈을 포함하는 스피커를 내장한 휴대기기스트랩.
  2.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휴대기기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스피커를 내장한 휴대기기스트랩.
  3. 청구항2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휴대기기에 연결되는 잭과, 상기 잭에 연결된 보올과, 상기 보올을 회전자유롭게 지지하는 소켓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를 내장한 휴대기기스트랩.
  4. 청구항1 내지 청구항3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스피커에 연결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복수개의 다리를 포함하는 스피커를 내장한 휴대기기스트랩.
  5. 청구항4에 있어서, 상기 덮개가 상기 본체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다리가 펼쳐지지 않도록 상기 덮개 하단과 상기 다리 상단은 서로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를 내장한 휴대기기스트랩.
KR1020050080758A 2005-08-31 2005-08-31 스피커를 내장한 휴대기기스트랩 KR200700250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0758A KR20070025029A (ko) 2005-08-31 2005-08-31 스피커를 내장한 휴대기기스트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0758A KR20070025029A (ko) 2005-08-31 2005-08-31 스피커를 내장한 휴대기기스트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5029A true KR20070025029A (ko) 2007-03-08

Family

ID=38099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0758A KR20070025029A (ko) 2005-08-31 2005-08-31 스피커를 내장한 휴대기기스트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2502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4026B1 (ko) * 2012-08-06 2013-09-04 기 연 김 핸드폰 카메라 자가촬영 원격 제어장치를 위한 핸드폰 삼각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4026B1 (ko) * 2012-08-06 2013-09-04 기 연 김 핸드폰 카메라 자가촬영 원격 제어장치를 위한 핸드폰 삼각대
WO2014025184A1 (ko) * 2012-08-06 2014-02-13 Kim Ki-Yeon 핸드폰 카메라 자가촬영 원격 제어장치를 위한 핸드폰 삼각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3495B1 (ko) 휴대용 거치대
KR100824188B1 (ko) 헤드셋
GB2482368A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protective sleeve with passive sound amplifier
US20050255895A1 (en) Adaptable charging cradle with speaker for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TWM472368U (zh) 手持歌唱裝置
JP2017537575A (ja) セルラー装置アクセサリの取り付けシステム及び方法
KR101844379B1 (ko) 핸드폰 거치 스피커
US9918152B2 (en) Peripheral audio output device
TWM594838U (zh) 骨導式藍牙耳機及其與充電座的組合
KR100644251B1 (ko) 하드타입 목걸이형 동영상 및 통신단말기 거치장치
JP2009201088A (ja) 首掛け式スピーカー
KR200386671Y1 (ko) 스피커를 구비한 휴대폰 거치대
WO2000021264A1 (en) Pivotable earpiece assembly
CN207968799U (zh) 一种防水耳机
KR20070025029A (ko) 스피커를 내장한 휴대기기스트랩
JP4972697B2 (ja) 電子装置
CN103338418B (zh) 一种耳机和一种音乐播放控制组件
KR200389724Y1 (ko) 하드타입 목걸이형 동영상 및 통신단말기 거치장치
KR200488289Y1 (ko) 휴대 단말기 거치수단
KR200389756Y1 (ko) 카메라폰의 삼각대 탑재장치
CN109973765B (zh) 一种电子产品的理线或支撑显示辅助装置
KR101424938B1 (ko) 다용도 거치대
KR200482913Y1 (ko)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가 구비된 넥 밴드형 블루투스 핸즈프리장치
CN215773506U (zh) 多功能耳机头夹
KR200410385Y1 (ko) 휴대용 단말기의 단말기 지지기능 고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