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4272A - Remote monitor in electric home appliances - Google Patents

Remote monitor in electric home applianc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4272A
KR20070024272A KR1020050079042A KR20050079042A KR20070024272A KR 20070024272 A KR20070024272 A KR 20070024272A KR 1020050079042 A KR1020050079042 A KR 1020050079042A KR 20050079042 A KR20050079042 A KR 20050079042A KR 20070024272 A KR20070024272 A KR 200700242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mote monitor
monitor device
mounting portion
home appliance
remo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904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지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790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24272A/en
Priority to US11/509,064 priority patent/US20070073423A1/en
Priority to DE102006040188A priority patent/DE102006040188A1/en
Publication of KR200700242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427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04Signal transfer or data transmission arrangements
    • D06F34/05Signal transfer or data transmission arrangements for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components, e.g. for remote monitoring o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2203/54Aspects of powerline communications not already covered by H04B3/54 and its subgroups
    • H04B2203/5429Applications for powerline commun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A remote monitor apparatus of an electric home appliance is provided to easily mount the apparatus without a stand by detachably attaching the apparatus at the fixing member. A remote monitor apparatus(100) of an electric home appliance comprises a case forming an external appearance; a communication modem base plate for sending and receiving data through the power communication modem and the power line; a display base plate for displaying the progressing status of the washing machine or the drier; a first mounting part(110) projected to the outside at the rear of the case to be combined with the setting board; and a second mounting part(120) having a coupling groove(123) where the fixing member is inserted, and supporting parts(121,122) for supporting the coupling groove. The second mounting part is formed at the upper side of the first mounting part.

Description

가전기기의 원격 모니터 장치{Remote monitor in electric home appliances}Remote monitor device for home appliance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원격 모니터 장치의 사용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remote monito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원격 모니터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mote monitor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의 원격 모니터 장치의 후면을 도시한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rear side of the remote monitor device of FIG.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 모니터 장치가 장착되는 거치대를 도시한 사시도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radle in which the remote monitor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mounted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원격 모니터 장치의 후면을 도시한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ar side of a remote monitor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원격 모니터 장치의 후면을 도시한 사시도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ar side of a remote monitor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jor Parts of Drawings>

11 : 하부 케이스 12 : 상부 케이스11: lower case 12: upper case

100 : 원격 모니터 장치 110 : 제1장착부100: remote monitor device 110: the first mounting portion

111 : 가이드 리브 120 : 제2장착부111: guide rib 120: second mounting portion

121, 122 : 지지부 123 : 체결홈121, 122: support 123: fastening groove

본 발명은 가전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실제 주생활 공간에서 원거리에 떨어져 있는 세탁기 또는 건조기 등 가전기기의 진행 상태를 위치 이동없이 원거리에서도 쉽게 파악하거나 제어할 수 있도록 한 원격 모니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me appliance, and more particularly, a remote monitor device for allowing a user to easily grasp or control a progress state of a home appliance such as a washing machine or a dryer that is remotely located in a real living space without moving a position. It is about.

일반적으로, 가전기기는 가정에서 전기를 이용하여 작동을 하는 장치로서, 전기를 빛이나 열 또는 동력으로 변환시켜 사용함으로써 가정에서의 생활을 보다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장치이다.In general, home appliances are devices that operate using electricity at home, and are devices that make life at home more convenient by converting electricity into light, heat, or power.

최근 주택 생활공간이 커짐에 따라 전기를 동력으로 이용하는 세탁기 또는 건조기 등의 가전기기는 설치공간을 많이 차지할 뿐만 아니라 작동시 발생되는 소음과 진동이 여타 가전기기와는 달리 크기 때문에 통상 거실에서 떨어진 베란다 등의 장소에 설치되어 사용된다.In recent years, as household living spaces increase, home appliances such as washing machines or dryers that use electricity as power occupy a lot of installation space, and noise and vibration generated during operation are different from other home appliances. Installed and used in place.

특히, 미국과 유럽 등 외국에서는 대부분 가옥 구조상 실제 생활 공간과 멀리 떨어진 지하실 또는 별도의 창고 등에 세탁기를 설치하여 사용한다.In particular, most foreign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States and Europe, install a washing machine in a basement or a separate warehouse away from actual living space.

상기와 같이, 사용자가 거주하는 시간이 많은 거실과 멀리 떨어진 장소에 설치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세탁기의 행정이나 남은 시간 등 진행 상태를 사용자가 쉽게 인식할 수 없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user is installed and used in a place far away from the living room where a lot of the user lives, the user cannot easily recognize the progress of the washing machine or the remaining time.

즉, 사용자가 세탁기가 설치된 장소를 직접 수시로 방문하여 세탁기의 진행 상태를 일일이 확인해야 하는 불편함을 초래하였다.That is, the user visits the place where the washing machine is installed at any time, which causes inconvenience of having to check the progress of the washing machine one by one.

그리고, 사용자가 세탁기 가동후 가동 사실을 깜박 잊어버리거나 또는 아예 잊어버렸을 경우 세탁이 완료된 세탁물을 세탁기 내에 장시간 방치하게 됨에 따라, 세탁물이 쭈글쭈글하게 구겨지거나 세균이 증식하게 되는 등 세탁물의 손상을 초래하였다.If the user forgets or forgets the operation after the washing machine starts, the laundry is left in the washing machine for a long time, causing the laundry to be crumpled or bacteria to multiply. .

또한, 사용자가 세탁기의 행정 에러 등을 인지하지 못하여 적절한 대응을 하지 못하게 되면, 세탁물이 세제 및 세탁수에 장시간 접촉되어 탈색 등 세탁물의 옷감 자체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when the user does not recognize the administrative error of the washing machine, etc., and does not properly respo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laundry is in contact with the detergent and the wash water for a long time to damage the laundry cloth itself, such as discoloration.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세탁기 또는 건조기 등 가전기기의 상태를 원격지에서 용이하게 파악하거나 제어하도록 하여 가전기기를 보다 효율적으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가전기기의 원격 모니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asily identify or control the state of home appliances, such as a washing machine or a dryer from a remote location of the home appliance to enable more convenient and convenient use of home appliances It is to provide a remote monitor device.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제공되고, 원격지에 설치된 세탁기 또는/및 건조기에 구비되어 있는 전력선 통신용 모뎀과 전력선을 통하여 데이터를 주고 받는 통신모뎀용 기판과, 상기 세탁기 또는/및 건조기의 진행상태를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나타내 주는 디스플레이용 기판; 원격지에 설치된 거치대와 결합가능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후면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장착부; 상기 케이스의 후면에서 벽에 설치된 못 등의 고정부재에 걸 수 있도록 고정부재가 삽입 고정되는 체결홈과, 상기 체결홈을 지지하는 지지부로 이루어지는 제2장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가전기기의 원격 모니터 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the case forming the appearance; The user is provided with a communication modem substrate provided in the case and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hrough a power line and a modem for power line communication provided in a washing machine or / and dryer installed at a remote location, and the washing machine or / and dryer. A display substrate to be shown; A first mounting part protruding outward from a rear surface of the case to be coupled to a cradle installed at a remote place; Remote mounting device of the home appliance comprising: a fastening groove into which the fastening member is inserted and fixed so as to be hooked to a fastening member such as a nail installed on a wall at the rear of the case, and a second mounting part comprising a support part supporting the fastening groove. To provide.

상기 제2장착부는 상기 제1장착부의 상부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The second mounting portion is preferably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mounting portion.

그리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케이스의 후면에서 일정높이 돌출되게 형성되되, 상기 제1장착부의 높이보다 돌출되지 않는 높이로 형성되고, 고정부재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장착부의 상단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개구되게 형성될 수 있다.The support portion is formed to protrude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rear of the case, is formed to a height that does not protrude than the height of the first mounting portion,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end of the first mounting portion by a predetermined interval so that the fixing member can be inserted It may be formed to be open.

또한, 상기 제2장착부의 체결홈은 수평방향으로 일직선으로 형성된 홈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fastening groove of the second mounting portion is preferably made of a groove formed in a straight lin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한편, 상기 체결홈의 일부에는 상측으로 일정길이 오목하게 연장되어 고정부재가 안착되는 오목부가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part of the fastening groove may be formed in the concave portion is extended to a predetermined length concave upwards to seat the fixing member.

상기 오목부는 원격 모니터 장치의 중심을 지나는 선 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recess is formed to be positioned on a line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remote monitor device.

또한, 상기 제1장착부 또는 거치대에는 가이드 리브가 형성되고, 그와 대응되는 쪽에는 상기 가이드 리브가 슬라이드 방식으로 결합되는 가이드 홈을 갖는 안착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first mounting portion or the cradle is formed with a guide rib, it is preferable that the mounting portion having a guide groove to which the guide rib is coupled in a sliding manner is formed on the side corresponding thereto.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can specifically realize the above object will be described.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원격 모니터 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1 to 3, a remote monitor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세탁기(2) 또는 건조기(3) 등의 가전기기는 거실 또는 방 등에서 떨어진 공간(예를 들면, 베란다와 지하실 등)에 설치되고, 원격 모니터 장치(1)는 거실 또는 방 등 사용자가 주로 많은 시간을 거주하게 되는 곳에 설치된다.As shown in FIG. 1, generally, home appliances such as a washing machine 2 or a dryer 3 are installed in a space (for example, a veranda and a basement) away from a living room or a room, and the remote monitor device 1. Is installed in a living room or a room where the user mainly lives a lot of time.

그리고, 상기 원격 모니터 장치(1)와 상기 세탁기(2) 및 건조기(3) 등의 가전기기는 전력선 통신 방식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The remote monitor 1 and the home appliance such as the washing machine 2 and the dryer 3 are electrically connected by a power line communication method.

즉, 상기 세탁기(2) 및 건조기(3)에는 각각 전력선 통신용 모뎀이 구비되고, 상기 원격 모니터 장치(1)에는 상기 세탁기(2) 및 건조기(3)에 구비되어 있는 전력선 통신용 모뎀과 전력선을 통하여 데이터를 주고 받는 통신모뎀용 기판(미도시)이 구비되어 있다.That is, the washing machine 2 and the dryer 3 are each provided with a power line communication modem, and the remote monitor device 1 is provided with a power line communication modem and power line provided with the washing machine 2 and the dryer 3. A communication modem substrate (not shown) is provided.

따라서, 상기 세탁기(2) 및 건조기(3)를 콘센트를 통해 전력선과 연결하고, 상기 원격 모니터 장치(1)를 전력선에 연결하면, 상기 원격 모니터 장치(1)는 상기 전력선을 통하여 상기 세탁기(2) 및 건조기(3)와 데이터를 주고 받으면서 상기 세탁기(2) 및 건조기(3)의 진행상태를 외부로 표시함과 더불어, 상기 세탁기(2) 및 건조기(3)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washing machine 2 and the dryer 3 are connected to a power line through an outlet, and the remote monitor device 1 is connected to a power line, the remote monitor device 1 is connected to the washing machine 2 through the power line. In addition to displaying the progress state of the washing machine (2) and the dryer (3) to the outside while sending and receiving data to and from the dryer (3),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washing machine (2) and the dryer (3).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원격 모니터 장치(1)의 구조를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structure of the remote monitor device 1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as follows.

상기 원격 모니터 장치(1)의 외관은 하부 케이스(11)와 상부 케이스(12)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 케이스(11)와 상부 케이스(12)가 결합되어 이루는 내부 공간에는 가전기기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모뎀용 기판(미도시)과, 가전기기의 상태를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용 기판(미도시) 등의 부품이 구비된다.An external appearance of the remote monitor device 1 includes a lower case 11 and an upper case 12, and an internal space formed by combining the lower case 11 and the upper case 12 communicates with a home appliance. There is provided a communication modem substrate (not shown), and a display substrate (not shown) for displaying a state of the home appliance so that a user can know.

또한, 상기 상부 케이스(12) 상면에는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미도시)의 표시부인 엘씨디 세그먼트(LCD segment)가 노출되어 실질적으로 가전기기의 상태가 표시되는 창(15)이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an upper surface of the upper case 12 is provided with a window 15 through which an LCD segment, which is a display portion of the display substrate (not shown), is exposed to substantially display a state of a home appliance.

그리고, 상기 하부 케이스(11)의 후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원격 모니터 장치(1)를 벽 등에 설치되는 거치대(20 : 도 4 참조)에 장착하기 위한 제1장착부(13)가 형성된다.In addition, a first mounting part 13 is formed at a rear surface of the lower case 11 to protrude outward to mount the remote monitor device 1 on a holder 20 (see FIG. 4) installed on a wall or the like.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이 구성된 원격 모니터 장치(1)는 별도의 거치대(20)에 의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장소에 설치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4, the remote monitor device 1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can be installed in a place desired by the user by a separate cradle (20).

즉, 상기 원격 모니터 장치(1)를 사용자가 주로 많은 시간을 거주하는 거실이나 방의 탁자나 책상 등의 수평한 면 위에 거치대(20)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안착부(22)가 고정부(21)에 대해 일정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That is, the mounting unit 22 is fixed to the mounting unit 22 so that the remote monitor device 1 can be installed and used on a horizontal surface such as a table or a desk of a living room or a room where the user mainly lives a lot of time. It may be formed to form an angle with respect to).

상기 거치대(20)는 상기 원격 모니터 장치(1)를 설치할 면에 고정되는 고정부(21)와, 상기 원격 모니터 장치(1)를 탈부착할 수 있도록 가이드 리브(23)가 형성된 안착부(22)로 이루어진다.The cradle 20 has a fixing part 21 fixed to a surface on which the remote monitor device 1 is to be installed, and a seating part 22 having guide ribs 23 formed thereon to attach and detach the remote monitor device 1. Is made of.

또한, 상기 원격 모니터 장치(1)의 제1장착부(13)는 그 외주부를 따라 가이드 리브(1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안착부(22)에는 상측으로 일정 높이 돌출되어 상기 제1장착부(13)의 가이드 리브(14)가 삽입되어 슬라이드 방식으로 결합 될 수 있도록 가이드 홈(24) 및 지지부(23)가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first mounting portion 13 of the remote monitor device 1 is formed with a guide rib 14 along its outer circumference, and the mounting portion 22 protrudes a predetermined height upward and the first mounting portion 13. A guide groove 24 and a support portion 23 are formed so that the guide rib 14 of the c) may be inserted and coupled in a slide manner.

상기 거치대(20)의 안착부(22)는 경사면을 이루고, 사용자의 접근이 용이한 탁자 등의 위에 설치하게 되므로 사용자가 원격 모니터 장치(1)를 탈부착하는 것이 용이하고, 상기 원격 모니터 장치(1)가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보기에 편하다는 장점이 있다.The mounting portion 22 of the cradle 20 forms an inclined surface and is installed on a table or the like that is easily accessible by the user, so that the user can easily attach and detach the remote monitor device 1 and the remote monitor device 1 ) Has the advantage that it is easy for the user to see.

한편, 도 4에 도시한 것과 같은 거치대(20)는 상기 고정부(21)에 스크류 등을 관통시키는 홀을 형성하여 일정 위치에 고정시킬 수도 있으나, 별도로 고정시키기 않고 사용자가 원하는 장소에 그냥 두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cradle 20 as shown in Figure 4 may be fix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by forming a hole for penetrating the screw, etc. in the fixing portion 21, it is also possible to leave it in a place desired by the user without fixing it separately. It will be possible.

이러한 경우, 거치대를 벽면 등에 고정시키기 위한 설치자국이 남지 않아서 미관상 좋다는 특징이 있고, 사용자가 거치대의 설치장소를 쉽게 이동시킬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In this case, there is a feature that the installation marks for fixing the mount to the wall, etc. are not left aesthetically good, and the user can easily move the installation place of the mount.

한편, 상술한 거치대(20)와는 달리, 수직한 벽면에 설치할 수 있도록, 고정부와 안착부가 편평하도록 같은 방향으로 형성되고, 벽면에 고정하기 위한 스크류 등이 관통되는 홀이 형성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unlike the above-described cradle 20, to be installed on the vertical wall surface, the fixing portion and the seating portion is formed in the same direction so as to be flat, a hole through which a screw for fixing to the wall may be formed.

상기와 같은 벽면 고정용 거치대는 그 부피가 작고, 벽면에 원격 모니터 장치를 고정시키게 되므로, 사용자가 모니터 장치를 쉽게 볼 수 있고, 찾기가 쉽다는 장점이 있다.The wall fixing holder as described above has the advantage that the volume is small and the remote monitor device is fixed to the wall, so that the user can easily see the monitor device and easily find it.

또한, 미관상 사용자가 상기 원격 모니터 장치(1)를 정면에서 바라볼 때 상기 거치대(20)가 보이지 않도록 상기 거치대 및 안착부(22)의 크기를 상기 하부 케이스(11)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ize of the holder and the seating portion 22 is smaller than that of the lower case 11 so that the holder 20 is not visible when the user looks at the remote monitor device 1 from the front. desirable.

따라서, 상기 원격 모니터 장치(1)는 상기 거치대(20)를 벽면에 스크류와 같 은 체결부재로 고정 설치한 후, 상기 제1장착부(13)에 형성된 가이드 리브(14)를 상기 거치대(20)의 안착부(22)에 형성된 가이드 홈(24)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결합하기만 하면 간단하게 탈부착이 가능하다.Therefore, the remote monitor device (1) is fixed to the cradle 20 on the wall with a fastening member such as a screw, the guide rib 14 formed in the first mounting portion 13, the cradle 20 Simply by attaching to the guide groove 24 formed in the mounting portion 22 of the slide method, it is possible to simply detachable.

한편, 상술한 제 1 실시예의 원격 모니터 장치는, 제1장착부에 가이드 리브가 형성되어 있고, 거치대의 안착부에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어 있으나, 반대로 제1 장착부에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거치대의 안착부에는 가이드 리브가 형성되는 것도 쉽게 이해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in the remote monitoring apparatus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guide rib is formed in the first mounting portion, and the guide groove is formed in the seating portion of the cradle, whereas the guide groove is formed in the first mounting portion, It is also easily understood that guide ribs are formed.

이하에서는, 상기 원격 모니터 장치(1) 및 거치대(20)의 설치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installation process of the remote monitor device 1 and the cradle 20 will be described.

우선, 상기 원격 모니터 장치(1)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거치대(20)를 사용자가 원하는 장소에 설치 및 고정한다.First, in order to install the remote monitor device 1, the cradle 20 is installed and fixed at a place desired by the user.

그리고, 상기 원격 모니터 장치(1)의 제1장착부(11)에 형성된 가이드 리브(14)를 상기 거치대(20)의 안착부(22)에 형성된 가이드 홈(24)에 상하방향 슬라이드 방식으로 결합하기만 하면, 상기 원격 모니터 장치(1)는 상기 거치대(20)에 의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장소의 벽에 고정 설치된다.In addition, the guide rib 14 formed on the first mounting portion 11 of the remote monitor device 1 is coupled to the guide groove 24 formed on the mounting portion 22 of the cradle 20 in a vertical sliding manner. If so, the remote monitor device 1 is fixed to the wall of the place desired by the cradle 20 by the user.

이 때, 상기 거치대(20)의 크기는 상기 원격 모니터 장치(1)의 전체적인 외관 크기보다 작기 때문에, 사용자가 정면에서 원격 모니터 장치(1)를 바라볼 때 거치대(20)가 보이지 않으며 미관이 수려하다.At this time, since the size of the cradle 20 is smaller than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remote monitor device 1, when the user looks at the remote monitor device 1 from the front, the cradle 20 is not visible and the beauty is beautiful. Do.

한편, 제 1 실시예에 따른 원격 모니터 장치(1)는 그 고정수단이 제1장착부(13)만 형성되어 있어서, 거치대(20)를 통해서만 원격 모니터 장치(1)를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원격 모니터 장치(1)를 고정시키는 방법 및 그 설치장소에 제한을 받게 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remote monitor device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since the fixing means is formed only the first mounting portion 13, the remote monitor device 1 can be fixed only through the cradle 20, so that the remote monitor The method of fixing the device 1 and its place of installation are limited.

따라서, 거치대가 없더라도 원격 모니터 장치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사용자가 원하는 장소의 벽 등에 못 등의 고정부재를 설치하고, 그 고정부재에 원격 모니터 장치를 걸기만 하면 간단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제2장착부를 구비하는 원격 모니터 장치를 제시하고 있다.Therefore, the second installation so that the user can install a fixing member such as a nail in the wall of the place where the user wants to fix the remote monitor device even if there is no cradle and simply fix the remote monitor device on the fixing member. A remote monitor device having a mounting portion is proposed.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원격 모니터 장치의 제 2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ure 5, a second embodiment of a remote monito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제 2 실시예의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고, 동일한 구성 요소는 설명의 편의상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를 부여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basic configura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and the same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names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제 1 실시예와는 달리, 원격 모니터 장치(100)를 거치대(20 : 도 4 참조)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1장착부(110)와, 상기 제1장착부(110)와 별도로 못 등의 고정부재(미도시)에 고정시킬 수 있는 제2장착부(120)가 더 형성된다.However, in the present embodiment, unlike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first mounting portion 110 and the first mounting portion 110 for fixing the remote monitor apparatus 100 to the holder 20 (see FIG. 4). Apart from the second mounting portion 120 that can be fixed to a fixing member (not shown), such as a nail is further formed.

상기 제2장착부(120)는 상기 제1장착부(110)의 상부에 형성되되, 상기 고정부재가 삽입될 수 있도록 수평방향으로 긴 체결홈(123)을 형성하는 지지부(121,122)로 이루어진다.The second mounting portion 120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mounting portion 110, and consists of support portions 121, 122 to form a long fastening groove 123 in the horizontal direction so that the fixing member can be inserted.

상기 체결홈(123)은 고정부재가 그 내측을 따라 슬라이드 방식으로 움직일 수 있을 정도의 너비로 형성되고, 그 중앙 부분에는 상기 고정부재가 안착되도록 하여 상기 고정부재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측으로 소정길이 연장된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The fastening groove 123 is formed to a width wide enough to allow the fixing member to move in a sliding manner along the inner side thereof, and to allow the fixing member to be seated at the central portion thereof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fixing member. The recessed part extended predetermined length upward is formed.

따라서, 상기 체결홈(123)에 고정부재를 삽입하여 오목부에 안착시키면, 상기 고정부재가 체결홈(123)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어, 상기 원격 모니터 장치(100)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fixing member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groove 123 and seated in the recess, the fixing member is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astening groove 123, thereby stably fixing the remote monitor apparatus 100. have.

또한, 상기 원격 모니터 장치(100)가 고정부재에 정위치로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체결홈(123)의 오목부는 상기 원격 모니터 장치(100)의 중심을 지나는 선 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concave portion of the fastening groove 123 is preferably formed on a line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remote monitor device 100 so that the remote monitor device 100 can be fixed to the fixing member in the correct position. .

더불어, 상기 원격 모니터 장치(100)의 탈부착이 용이할 수 있도록, 상기 제2장착부(120)의 지지부(121,122)는 하부 케이스(11)의 후면과 일정 간격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upport parts 121 and 122 of the second mounting part 120 have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lower case 11 so that the remote monitor apparatus 100 can be easily attached and detached.

특히, 제1장착부(110)를 거치대(20)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탈부착할 때, 상기 제2장착부(120)가 거치대(20)와 사이에 간섭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121,122)는 상기 제1장착부(110)의 상면과 적어도 높지 않거나 동일한 높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In particular, when the first mounting part 110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holder 20, the support parts 121 and 122 may prevent the second mounting part 120 from interfering with the holder 20. ) Preferably has a height that is at least not equal to or higher than the top surface of the first mounting unit 110.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원격 모니터 장치(100)의 설치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The installation process of the remote monitor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우선, 상기 원격 모니터 장치(100)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원하는 장소의 벽에 못이나 스크류 등의 고정부재를 벽에 설치하거나, 또는 기존에 설치되어 있던 고정부재를 사용할 수 있다.First, in order to install the remote monitor apparatus 100, a fixing member such as a nail or a screw may be installed on a wall of a place desired by a user, or a fixing member that has been previously installed may be used.

그리고, 상기 원격 모니터 장치(100)의 제2장착부(120)에 형성된 체결홈(123)의 개구부에 고정부재(미도시)를 삽입시킨 상태에서 슬라이드 방식으로 상기 체결홈(123) 중앙부분의 오목부까지 밀어넣으면, 상기 오목부에 고정부재가 안착되면서 설치가 완료된다.In addition, in the state in which a fixing member (not shown) is inserted into the opening of the fastening groove 123 formed in the second mounting portion 120 of the remote monitor apparatus 100, the concave portion of the center of the fastening groove 123 is slid. When pushed to the part, the installation is completed while the fixing member is seated in the recess.

또한, 원격 모니터 장치(100)를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원격 모니터 장치(100)를 살짝 들어서 상기 고정부재가 체결홈(123)의 오목한 부분에서 나오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체결홈(123)를 따라 슬라이드 방식으로 개구부까지 밀어주면, 상기 고정부재가 체결홈(123)에서 완전히 빠져나오게 되어 상기 원격 모니터 장치(100)의 분리가 완료된다.In addition, when the remote monitor device 100 is to be removed, the fastening groove 123 is opened in a state in which the fixing member slightly comes out of the concave portion of the fastening groove 123 by slightly lifting the remote monitor device 100. According to the slide to push the opening, the fixing member is completely released from the fastening groove 123, the separation of the remote monitor device 100 is completed.

이때, 상기 체결홈(123)은 그 양 끝이 모두 개구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좌우 양측에서 편한 방향으로 상기 원격 모니터 장치(100)를 고정부재에 탈부착이 가능하다.At this time, since both ends of the fastening groove 123 are formed to be opened, the user can attach and detach the remote monitor apparatus 100 to the fixing member in a comfortable direction from both left and right sides.

한편, 거치대(20)를 이용하여 설치하는 경우에는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한 설치과정과 동일하므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installation using the cradle 20 is the same as the installation process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원격 모니터 장치의 제 3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 6, a third embodiment of a remote monito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제 3 실시예의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제 2 실시예와 동일하고, 동일한 구성 요소는 설명의 편의상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를 부여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basic configuration of the third embodiment is the same as that of the second embodiment described above, and the same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names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제 2 실시예와는 달리, 원격 모니터 장치 (200)의 제2장착부(220)가 고정부재(미도시)가 삽입되는 홈의 형태가 아닌, 고정부재에 걸어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안착홈(222)이 형성된 지지부(221)로 이루어진다.However, in the present embodiment, unlike the second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second mounting portion 220 of the remote monitor apparatus 200 is not fixed in the form of a groove into which a fixing member (not shown) is inserted, but fixed to the fixing member. It consists of a support 221 is formed with a seating groove 222 to be made.

상기 지지부(221)는 제1장착부(110)의 상부에 형성되되, 상기 지지부(221)의 하단부가 상기 제1장착부(110)의 상단부와, 고정부재가 들락거릴 수 있을 정도의 간격을 갖도록 형성된다.The support portion 221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mounting portion 110,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support portion 221 is formed so as to have a gap enough to move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first mounting portion 110, the fixing member. do.

또한, 상기 지지부(221)는 상기 고정부재와의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하부 케이스(11)의 후면과 일정 간격을 갖도록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In addition, the support part 221 is formed to protrude upward to have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lower case 11 so that attachment and detachment with the fixing member.

한편, 거치대(20)에 원격 모니터 장치(200)를 탈부착 할 때, 상기 제2장착부(220)가 거치대(20)와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상기 지지부(221)는 상기 제1장착부(110)보다 상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제1장착부(110)의 상면과 적어도 높지 않거나 동일한 높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when detaching and detaching the remote monitor apparatus 200 to the holder 20, the support part 221 is the first mounting part 110 so that the second mounting part 220 does not interfere with the holder 20. It is preferable not to have at least the same height or the same height as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mounting portion 110 so as not to protrude upward.

그리고, 상기 안착홈(222)은 원격 모니터 장치(200)의 중심을 지나는 선 상에 위치함이 바람직하다.And, the seating groove 222 is preferably located on a line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remote monitor device 200.

또한, 상기 원격 모니터 장치(200)를 고정부재에 결합시킬 때, 상기 고정부재에 대해 제2장착부(220)가 상하방향으로 결합되므로, 상기 안착홈(222)은 결합이 용이하도록, 상부보다 하부가 더 넓은 'V'자 형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when the remote monitor apparatus 200 is coupled to the fixing member, the second mounting portion 220 is coupled to the fixing member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so that the seating groove 222 is lower than the upper part to facilitate the coupling. Is preferably formed in a wider 'V' shape.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원격 모니터 장치(200)의 설치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The installation process of the remote monitor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우선, 상기 원격 모니터 장치(200)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원하는 장 소의 벽에 못이나 스크류 등의 고정부재를 벽에 설치하거나, 또는 기존에 설치되어 있던 고정부재를 사용할 수 있다.First, in order to install the remote monitor apparatus 200, a fixing member such as a nail or a screw may be installed on a wall of a desired place of a user, or a fixing member that has been previously installed may be used.

그리고, 상기 원격 모니터 장치(200)의 제2장착부(220)의 안착홈(222)에 걸면 설치가 완료된다.Then, the installation is completed by hanging on the seating groove 222 of the second mounting portion 220 of the remote monitor device 200.

또한, 원격 모니터 장치(200)를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원격 모니터 장치(200)를 살짝 들어서 이동시키는 것으로 상기 고정부재가 안착홈(222)에서 빠져나오게 되어 상기 원격 모니터 장치(200)의 분리가 완료된다.In addition, when the remote monitor device 200 is to be detached, the fixing member is pulled out of the seating groove 222 by slightly lifting the remote monitor device 200 to separate the remote monitor device 200. Is completed.

상술한 제 1 실시예와 다른 점은, 제 1 실시예에서는 고정부재를 체결홈(223)에 삽입한 후 슬라이드 방식으로 밀어서 탈부착하는 구조임에 비해, 제 2 실시예에서는 원격 모니터 장치를 고정부재에 바로 걸고 벗기는 식으로 탈부착이 가능한 구조라는 차이가 있다.The first embodiment differs from the first embodiment in that the first embodiment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fastening member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groove 223 and then detached by sliding in a sliding manner. There is a difference that the structure can be attached and detached by hanging on and off.

한편, 거치대(20)를 이용하여 설치하는 경우에는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한 설치과정과 동일하므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installation using the cradle 20 is the same as the installation process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고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modific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uch modific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가전기기의 원격 모니터 장치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effect of the remote monitor device of the home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첫째, 사용자가 가전기기의 상태를 원격지에서 용이하게 파악하거나 제어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가전기기를 적절한 시기에 조치할 수 있어, 가전기기의 유지 보수 등 관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First, the user can easily grasp or control the state of the home appliance at a remote location, and the user can measure the home appliance at an appropriate time, thereby efficiently managing the maintenance of the home appliance.

둘째, 원격 모니터 장치를 설치함에 있어, 별도의 거치대가 없어도 못 등의 고정부재에 탈부착을 할 수 있어 탈부착이 용이하고, 설치장소에 제한을 받지 않는 효과가 있다.Second, in installing the remote monitor device, it is possible to attach and detach the fixing member, such as nails even without a separate cradle is easy to attach and detach, there is an effect that is not limited to the installation place.

Claims (8)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A case forming an appearance;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제공되고, 원격지에 설치된 세탁기 또는/및 건조기에 구비되어 있는 전력선 통신용 모뎀과 전력선을 통하여 데이터를 주고 받는 통신모뎀용 기판과, 상기 세탁기 또는/및 건조기의 진행상태를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나타내 주는 디스플레이용 기판;The user is provided with a communication modem substrate provided in the case and provided with a power line communication modem provided in a washing machine or / and a dryer installed at a remote location and transmitting data through a power line, and a progress state of the washing machine or / and a dryer. A display substrate to be shown; 원격지에 설치된 거치대와 결합가능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후면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장착부;A first mounting part protruding outward from a rear surface of the case to be coupled to a cradle installed at a remote place; 상기 케이스의 후면에서 벽에 설치된 못 등의 고정부재에 걸 수 있도록 고정부재가 삽입 고정되는 체결홈과, 상기 체결홈을 지지하는 지지부로 이루어지는 제2장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가전기기의 원격 모니터 장치.Remote mounting device of the home appliance comprising: a fastening groove into which the fastening member is inserted and fixed so as to be hooked to a fastening member such as a nail installed on a wall at the rear of the case; .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2장착부는 상기 제1장착부의 상부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의 원격 모니터 장치.And the second mounting part is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mounting part.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2장착부는 상기 케이스의 후면에서 일정 높이 돌출 형성되되, 고정부재가 삽입 고정되는 안착홈이 형성된 지지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 의 원격 모니터 장치.The second mounting portion is formed to protrude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back of the case, the remote monitor device of the home applian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is formed with a seating groove is inserted into the fixing member.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제2장착부의 지지부는 상기 제1장착부에서 돌출된 제1지지부와 고정부재가 안착되는 체결홈이 형성된 제2지지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의 원격 모니터 장치.The support unit of the second mounting portion is a remote monitor device of a home applian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support portion protruding from the first mounting portion and a second support portion formed with a fastening groove for seating the fixing member.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제2장착부의 지지부는 제1장착부와 일정 간격 이격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의 원격 모니터 장치.The support part of the second mounting portion is remote monitoring device of the home appliance, characterized in that spaced apart from the first mounting portion by a predetermined interval.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체결홈의 일부에는 상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고정부재가 안착되는 오목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의 원격 모니터 장치.A part of the fastening groove extends a certain length upward, the remote monitor device of the home appliance, characterized in that the recess is formed to seat the fixing member. 제 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오목부는 원격 모니터 장치의 중심을 지나는 선 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의 원격 모니터 장치.And the recess is formed to be positioned on a line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remote monitor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장착부 또는 거치대에는 가이드 리브가 형성되고, 그와 대응되는 쪽에는 상기 가이드 리브가 슬라이드 방식으로 결합되는 가이드 홈을 갖는 안착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의 원격 모니터 장치.Guide ribs are formed on the first mounting portion or the cradle, and a corresponding mounting portion having a guide groove to which the guide ribs are coupled in a sliding manner is formed on the remote monitor device of the home appliance.
KR1020050079042A 2005-08-26 2005-08-26 Remote monitor in electric home appliances KR20070024272A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9042A KR20070024272A (en) 2005-08-26 2005-08-26 Remote monitor in electric home appliances
US11/509,064 US20070073423A1 (en) 2005-08-26 2006-08-24 Remote monitoring device for laundry machine
DE102006040188A DE102006040188A1 (en) 2005-08-26 2006-08-28 Remote monitoring device for laundr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9042A KR20070024272A (en) 2005-08-26 2005-08-26 Remote monitor in electric home applianc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4272A true KR20070024272A (en) 2007-03-02

Family

ID=38099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9042A KR20070024272A (en) 2005-08-26 2005-08-26 Remote monitor in electric home applianc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24272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519Y1 (en) * 2009-01-07 2011-05-13 주식회사 평일 A power connecting device for plc modem of electronic power meter
KR101440353B1 (en) * 2013-02-08 2014-09-18 (주)엔티모아 Holder and wired to the external modem is connected with a black box black box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519Y1 (en) * 2009-01-07 2011-05-13 주식회사 평일 A power connecting device for plc modem of electronic power meter
KR101440353B1 (en) * 2013-02-08 2014-09-18 (주)엔티모아 Holder and wired to the external modem is connected with a black box black box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61172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comprising a door
CN107289379A (en) A kind of fast-assembling ceiling lamp of easy-to-connect
KR20070024272A (en) Remote monitor in electric home appliances
KR101070638B1 (en) A picture frame
KR101275202B1 (en) A Washing or Drying Machine with a Changeable Type Controller
KR101147755B1 (en) Remote monitor in electric home appliances
CN214906278U (en) Detachable shell of soap dispenser and wall-mounted soap dispenser with detachable shell
JP2015104562A (en) Kitchen contrivance
US20070073423A1 (en) Remote monitoring device for laundry machine
KR20070075543A (en) A washing or drying machine with a changeable type controller
KR20090129011A (en) A hanger for laundry
CN209896490U (en) Wall-mounted direct-current screen
CN210297293U (en) Wall-mounted charger
KR100818642B1 (en) Illuminator for kitchen
CN210066247U (en) Portable washing machine
CN201307256Y (en) Multi-setting type computer small case and special support
CN220442550U (en) Food processor
KR101306698B1 (en) A Washing or Drying Machine with a Changeable Type Controller
CN210066246U (en) Portable washing device
CN220275508U (en) Dry hand and hairdryer all-in-one
CN219878028U (en) Wall-in type hand drier
KR101031009B1 (en) A picture frame
JP6745483B2 (en) Display system, display device and power conversion module
KR101275201B1 (en) A Washing or Drying Machine with a Changeable Type Controller
CN201467184U (en) Telephone long-distance controller with positioning mechanis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