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4071A - Bog 재액화 장치 - Google Patents

Bog 재액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4071A
KR20070024071A KR1020050078588A KR20050078588A KR20070024071A KR 20070024071 A KR20070024071 A KR 20070024071A KR 1020050078588 A KR1020050078588 A KR 1020050078588A KR 20050078588 A KR20050078588 A KR 20050078588A KR 20070024071 A KR20070024071 A KR 200700240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g
nitrogen
nitrogen gas
gas
l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85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40686B1 (ko
Inventor
홍의석
이윤표
Original Assignee
신영중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영중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영중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785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0686B1/ko
Priority to JP2008522699A priority patent/JP2009501896A/ja
Priority to EP06783336A priority patent/EP1913117A1/en
Priority to PCT/KR2006/002818 priority patent/WO2007011155A1/en
Publication of KR200700240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40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06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06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JLIQUEFACTION, SOLIDIFICATION OR SEPARATION OF GASES OR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BY PRESSURE AND COLD TREATMENT OR BY BRINGING THEM INTO THE SUPERCRITICAL STATE
    • F25J1/00Processes or apparatus for liquefying or solidifying gases or gaseous mixtures
    • F25J1/0002Processes or apparatus for liquefying or solidifying gases or gaseous mixtures characterised by the fluid to be liquefied
    • F25J1/0022Hydrocarbons, e.g. natural gas
    • F25J1/0025Boil-off gases "BOG" from stor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JLIQUEFACTION, SOLIDIFICATION OR SEPARATION OF GASES OR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BY PRESSURE AND COLD TREATMENT OR BY BRINGING THEM INTO THE SUPERCRITICAL STATE
    • F25J1/00Processes or apparatus for liquefying or solidifying gases or gaseous mixtures
    • F25J1/02Processes or apparatus for liquefying or solidifying gases or gaseous mixtures requiring the use of refrigeration, e.g. of helium or hydrogen ; Details and kind of the refrigeration system used; Integration with other units or processes; Controlling aspects of the proce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JLIQUEFACTION, SOLIDIFICATION OR SEPARATION OF GASES OR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BY PRESSURE AND COLD TREATMENT OR BY BRINGING THEM INTO THE SUPERCRITICAL STATE
    • F25J1/00Processes or apparatus for liquefying or solidifying gases or gaseous mixtures
    • F25J1/003Processes or apparatus for liquefying or solidifying gases or gaseous mixture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cold generation within the liquefaction unit for compensating heat leaks and liquid production
    • F25J1/0032Processes or apparatus for liquefying or solidifying gases or gaseous mixture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cold generation within the liquefaction unit for compensating heat leaks and liquid production using the feed stream itself or separated fractions from it, i.e. "internal refrigeration"
    • F25J1/0045Processes or apparatus for liquefying or solidifying gases or gaseous mixture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cold generation within the liquefaction unit for compensating heat leaks and liquid production using the feed stream itself or separated fractions from it, i.e. "internal refrigeration" by vaporising a liquid return strea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JLIQUEFACTION, SOLIDIFICATION OR SEPARATION OF GASES OR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BY PRESSURE AND COLD TREATMENT OR BY BRINGING THEM INTO THE SUPERCRITICAL STATE
    • F25J1/00Processes or apparatus for liquefying or solidifying gases or gaseous mixtures
    • F25J1/003Processes or apparatus for liquefying or solidifying gases or gaseous mixture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cold generation within the liquefaction unit for compensating heat leaks and liquid production
    • F25J1/0047Processes or apparatus for liquefying or solidifying gases or gaseous mixture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cold generation within the liquefaction unit for compensating heat leaks and liquid production using an "external" refrigerant stream in a closed vapor compression cycle
    • F25J1/005Processes or apparatus for liquefying or solidifying gases or gaseous mixture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cold generation within the liquefaction unit for compensating heat leaks and liquid production using an "external" refrigerant stream in a closed vapor compression cycle by expansion of a gaseous refrigerant stream with extraction of wor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JLIQUEFACTION, SOLIDIFICATION OR SEPARATION OF GASES OR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BY PRESSURE AND COLD TREATMENT OR BY BRINGING THEM INTO THE SUPERCRITICAL STATE
    • F25J1/00Processes or apparatus for liquefying or solidifying gases or gaseous mixtures
    • F25J1/003Processes or apparatus for liquefying or solidifying gases or gaseous mixture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cold generation within the liquefaction unit for compensating heat leaks and liquid production
    • F25J1/0047Processes or apparatus for liquefying or solidifying gases or gaseous mixture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cold generation within the liquefaction unit for compensating heat leaks and liquid production using an "external" refrigerant stream in a closed vapor compression cycle
    • F25J1/0052Processes or apparatus for liquefying or solidifying gases or gaseous mixture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cold generation within the liquefaction unit for compensating heat leaks and liquid production using an "external" refrigerant stream in a closed vapor compression cycle by vaporising a liquid refrigerant strea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JLIQUEFACTION, SOLIDIFICATION OR SEPARATION OF GASES OR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BY PRESSURE AND COLD TREATMENT OR BY BRINGING THEM INTO THE SUPERCRITICAL STATE
    • F25J1/00Processes or apparatus for liquefying or solidifying gases or gaseous mixtures
    • F25J1/006Processes or apparatus for liquefying or solidifying gases or gaseous mixtures characterised by the refrigerant fluid used
    • F25J1/007Primary atmospheric gases, mixtures thereof
    • F25J1/0072Nitrog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JLIQUEFACTION, SOLIDIFICATION OR SEPARATION OF GASES OR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BY PRESSURE AND COLD TREATMENT OR BY BRINGING THEM INTO THE SUPERCRITICAL STATE
    • F25J1/00Processes or apparatus for liquefying or solidifying gases or gaseous mixtures
    • F25J1/02Processes or apparatus for liquefying or solidifying gases or gaseous mixtures requiring the use of refrigeration, e.g. of helium or hydrogen ; Details and kind of the refrigeration system used; Integration with other units or processes; Controlling aspects of the process
    • F25J1/0203Processes or apparatus for liquefying or solidifying gases or gaseous mixtures requiring the use of refrigeration, e.g. of helium or hydrogen ; Details and kind of the refrigeration system used; Integration with other units or processes; Controlling aspects of the process using a single-component refrigerant [SCR] fluid in a closed vapor compression cycle
    • F25J1/0208Processes or apparatus for liquefying or solidifying gases or gaseous mixtures requiring the use of refrigeration, e.g. of helium or hydrogen ; Details and kind of the refrigeration system used; Integration with other units or processes; Controlling aspects of the process using a single-component refrigerant [SCR] fluid in a closed vapor compression cycle in combination with an internal quasi-closed refrigeration loop, e.g. with deep flash recycle loo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JLIQUEFACTION, SOLIDIFICATION OR SEPARATION OF GASES OR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BY PRESSURE AND COLD TREATMENT OR BY BRINGING THEM INTO THE SUPERCRITICAL STATE
    • F25J1/00Processes or apparatus for liquefying or solidifying gases or gaseous mixtures
    • F25J1/02Processes or apparatus for liquefying or solidifying gases or gaseous mixtures requiring the use of refrigeration, e.g. of helium or hydrogen ; Details and kind of the refrigeration system used; Integration with other units or processes; Controlling aspects of the process
    • F25J1/0243Start-up or control of the process; Details of the apparatus used; Details of the refrigerant compression system used
    • F25J1/0257Construction and layout of liquefaction equipments, e.g. valves, machines
    • F25J1/0262Details of the cold heat exchange system
    • F25J1/0264Arrangement of heat exchanger cores in parallel with different functions, e.g. different cooling streams
    • F25J1/0265Arrangement of heat exchanger cores in parallel with different functions, e.g. different cooling streams comprising cores associated exclusively with the cooling of a refrigerant stream, e.g. for auto-refrigeration or economiz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JLIQUEFACTION, SOLIDIFICATION OR SEPARATION OF GASES OR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BY PRESSURE AND COLD TREATMENT OR BY BRINGING THEM INTO THE SUPERCRITICAL STATE
    • F25J1/00Processes or apparatus for liquefying or solidifying gases or gaseous mixtures
    • F25J1/02Processes or apparatus for liquefying or solidifying gases or gaseous mixtures requiring the use of refrigeration, e.g. of helium or hydrogen ; Details and kind of the refrigeration system used; Integration with other units or processes; Controlling aspects of the process
    • F25J1/0243Start-up or control of the process; Details of the apparatus used; Details of the refrigerant compression system used
    • F25J1/0257Construction and layout of liquefaction equipments, e.g. valves, machines
    • F25J1/0275Construction and layout of liquefaction equipments, e.g. valves, machines adapted for special use of the liquefaction unit, e.g. portable or transportable devices
    • F25J1/0277Offshore use, e.g. during shipp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JLIQUEFACTION, SOLIDIFICATION OR SEPARATION OF GASES OR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BY PRESSURE AND COLD TREATMENT OR BY BRINGING THEM INTO THE SUPERCRITICAL STATE
    • F25J2210/00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r other details of the feed stream
    • F25J2210/04Mixing or blending of fluids with the feed strea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JLIQUEFACTION, SOLIDIFICATION OR SEPARATION OF GASES OR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BY PRESSURE AND COLD TREATMENT OR BY BRINGING THEM INTO THE SUPERCRITICAL STATE
    • F25J2240/00Processes or apparatus involving steps for expanding of process streams
    • F25J2240/60Expansion by ejector or injector, e.g. "Gasstrahlpumpe", "venturi mixing", "jet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JLIQUEFACTION, SOLIDIFICATION OR SEPARATION OF GASES OR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BY PRESSURE AND COLD TREATMENT OR BY BRINGING THEM INTO THE SUPERCRITICAL STATE
    • F25J2245/00Processes or apparatus involving steps for recycling of process streams
    • F25J2245/02Recycle of a stream in general, e.g. a by-pass str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기존의 질소의 역브레이튼 싸이클을 이용한 BOG 액화 시스템은 팽창터빈을 이용하여 질소의 온도를 낮출 경우 질소의 일부가 액화함으로써 팽창터빈의 블레이드를 손상시키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한 것으로서, 본 방법은 가압된 질소의 일부만을 추출하여 팽창터빈을 이용 팽창하고 나머지는 질소의 온도를 더 낮춘 후 팽창밸브를 통하여 온도를 강하시킴으로써 액적 발생의 우려없이 질소의 온도를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추출 질소량을 변화시킴으로써 질소싸이클의 운전을 다양하게 할 수 있어 BOG의 동적변화에 쉽게 대응할 수 있다.
BOG, 재액화, 콜드박스, 모듈

Description

BOG 재액화 장치{BOG RELIQUEFACTION APPARATUS}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LNG 재액화 장치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LNG 재액화 장치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LNG 재액화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저장탱크 11: 안전밸브
20: 재순환 밸브 30: 온도조절기
40, 41: BOG 압축기 50: BOG 응축기
60, 61: 제1, 2 질소 열교환기 70, 71, 72: 질소 압축기
80, 81, 82: 중간냉각기 90: 팽창터빈
91: 팽창밸브 92: BOG 불응축가스 분리기
93: 밸브 94: 벤츄리 노즐 이용 과열 방지 믹서
100: 순환펌프 110: 질소 버퍼(buffer) 탱크
200: 콜드박스
본 발명은 극저온의 액화천연가스(LNG, Liquefied Natural Gas, 이하 LNG라 칭함)를 운송하는 운반선의 저장탱크나 육상용 저장탱크에서 발생하는 증발가스(BOG, boiled-off gas, 이하 BOG라 칭함)의 재액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LNG는 통상적으로 액화상태로 원거리에 걸쳐 수송된다. 예를 들어, LNG가 액화되는 제 1 위치에서 증기화되어 가스 분배 시스템으로 보내지는 제 2 위치로 액화 LNG를 이송하는 데에는 원양 유조선이 사용된다. LNG가 초저온, 즉 상압 -163℃ 근처의 온도에서 액화되므로, LNG운반선의 저장탱크가 외부의 열전달을 받음으로 인하여 저장탱크의 LNG는 지속적으로 기화하는데 저장탱크의 압력이 설정된 안전 압력 이상이 되면 BOG는 안전밸브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배출된 BOG는 재액화하여 다시 저장 탱크로 돌려보내거나 선박의 연료로 사용한다.
종래의 LNG운반선은 스팀터빈 추진방식이므로 BOG를 보일러에서 연소시킴으로서 선박의 추진 연료로 활용되었다. 근래 들어 저장탱크의 단열 기술 발전으로 BOG 발생량이 줄어들면서 스팀터빈 선박의 추진에 필요한 BOG 양의 확보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보다 고효율의 디젤엔진에 의한 선박 추진이 선호되고 있다. 이에 따라 BOG의 처리와 저장탱크의 안정성 확보를 위한 새로운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재액화 장치에 있어서, 냉각 사이클은 작동 유체를 복수의 압축기에서 압축하는 단계와, 압축된 작동 유체를 간접 열 교환에 의해 냉각시키는 단계와, 상기 작동유체를 팽창시키는 단계와, 팽창된 작동유체를 압축된 작동유체와의 간접 열 교환에 의해 가열하는 단계, 및 가열된 작동유체를 압축기 중의 하나에 복귀시키는 단계에 의해 수행된다. 압축 단계 이후의 LNG 증기는 가열될 작동 유체와의 간접 열 교환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응축된다. 이러한 냉각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의 일예가 미국 특허 제 3,857,245 호에 기재되어 있다.
미국 특허 제 3,857,245 호에 따라서, 작동 유체는 LNG 자체로부터 유도되므로 개방 냉각 사이클에 의해 작동된다. 작동유체의 팽창은 밸브에 의해 수행되어 부분 응축된 LNG가 얻어진다. 부분 응축된 LNG는 저장조로 복귀되는 액상 및 연소 버너로 보낼 질 천연 가스와 혼합되는 기상으로 분리된다. 작동유체는 동일한 열 교환기 내에서 가열 및 냉각되므로 단지 하나의 열 교환기만이 사용된다. 열 교환기는 제 1 스키드-장착 플랫폼 상에 위치되고 작동 유체 압축기는 제 2 스키드-장착 플랫폼 상에 장착된다.
현재, 작동유체로서 불연성 가스를 사용하는 것이 선호된다. 또한, 외부에서 공급되는 작동 유체의 압축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작동 유체를 팽창시키기 위한 밸브보다도 팽창 터빈이 선호된다.
상기 두 장점을 개선을 장치의 일예가 WO98/43029 호에 기재되어 있다. 상기 문헌의 장치에는 2개의 열 교환기가 사용되는데, 이중 하나는 압축된 천연 가스 증기를 부분적으로 응축시키면서 열 교환기에서 작동 유체를 가온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압축된 작동 유체를 냉각시키는 것이다. 더구나, 작동 유체는 2개의 다른 압축기에서 압축되는데, 하나는 팽창 터빈과 연결된다. 국제 특허 공개공보 제 WO98/43029 호에 개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이러한 통상적인 장치는 보드형 선박에 설치되어 팽창 터빈에 연결된 압축기 및 열교환기가 배의 화물 기계실에 위치하고 다른 압축기는 엔진실 내에 위치한다. WO2005/047761호도 이와 유사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이 출원은 BOG의 예냉에 특징이 있다.
한국특허공개 2001-0088406호 및 2001-0089142호에는 압축된 증기를 재액화시키기 위해 보드형 선박에 사용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성요소들을 사전 조립체로 제작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 재액화 장치를 도시하고 있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재액화는 폐쇄 사이클에서 수행되며, 여기서 작동 유체는 적어도 하나의 압축기(22, 24 및 26)에서 압축되고 제 1 열교환기(140)에서 냉각되고 터빈(128)에서 팽창되고 제 2 열 교환기에서 가온되고, 여기서 압축된 증기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응축된다. 이 장치는 제 2 열 교환기(140)를 포함하는 제 1 사전 조립체(172), 및 제 1 열 교환기(146), 압축기(122, 124 및 126) 및 팽창 터빈(128)이 위치하는 제 2 사전 조립체(182)를 포함한다. 사전 조립체(172 및 182)는 각각의 플랫폼(170 및 180)에 위치한다.
상기와 같은 재액화 장치는 나름대로 구조의 단순화, 선박에의 장착의 용이성, 열손실의 저감 등의 측면에서 개선이 있어 왔으나, 아직까지 개선의 필요성이 있어왔다.
특히, 종래의 기술은 BOG 액화를 위한 냉열 발생기구인 질소사이클 장치에서 작동유체인 질소의 역 브레이튼 사이클을 사용하였는데 배의 운전상황에 따른 BOG 처리용량의 변화에 신속히 대처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팽창터빈에 의해 질소 온도를 지나치게 낮추면 질소의 액화점에 도달함으로써 발생한 액적이 터빈 블레이드에 손상을 가져오게 된다. 따라서 BOG 변화에 민감하게 대처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들을, 구조의 단순화, 선박에의 장착의 용이성, 열손실의 저감 등의 측면에서 개선한 BOG 재액화 장치를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은 디젤엔진에 의해 추진되는 LNG운반선에서 운항 중 저장탱크에서 발생하여 안전밸브를 통하여 유출되는 BOG를 재액화한 후 저장탱크로 회수시키는 재액화 시스템에 있어서, 냉열발생기구인 질소 사이클 장치에서 팽창 터빈뿐만 아니라 팽창밸브를 사용함으로써 좀더 낮은 온도까지 질소 온도를 낮춤으로써 여하한 경우에도 저장탱크내의 압력과 온도를 안정적 상태로 확보함과 동시에 LNG 손실을 제거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LNG의 저장 탱크에서 발생하는 증발증기(BOG)를 압축하는 압축기; 상기 압축기에 의해 압축된 증발 증기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응축시키기 위한 응축기: 상기 응축기에 냉열을 공급하는 질소 사이클 장치로 구성되어 상기 응축기에 의하여 재액화된 BOG를 상기 탱크로 돌려보내는 BOG의 재액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질소 사이클 장치는 질소를 가압 및 냉각 하는 질소 가압냉각수단; 상기 질소 가압냉각수단으로부터의 고압 질소가스를 받아 냉각하는 제 1 질소 열교환기; 및 상기 제 1 질소 열교환기로부터 고압 질소가스를 팽창시켜 초저온 저압의 질소가스를 생성하는 제 1 팽창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 1 팽창수단에서 팽창한 초저온 저압의 질소 가스는 상기 응축기에서 냉열을 빼앗긴 후 상기 제 1 질소 열교환기를 거쳐서 상기 질소 가압냉각수단으로 돌아오도록 구성되고, 상기 질소 가압냉각수단으로부터 상기 제 1 질소 열교환기로 유입되는 고압질소가스 중 일부는 제 2 팽창수단에 의하여 팽창되어 저온 저압 질소가스로 냉각된 후, 상기 응축기로부터의 저압 질소가스와 합해져서 상기 제 1 질소 열교환기로 유입되어 상기 질소 가압냉각수단으로 돌아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OG의 재액화 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상기 가압냉각된 질소 중 일부는 제 2 팽창수단을 통과하면서 온도가 낮아지고 온도가 낮아진 질소는 제 1 질소 열교환기에서 내부 열교환을 이루며 고압의 질소를 팽창밸브 입구에서의 설정온도까지 질소 온도를 낮추는데 기여한다. 이와 같이, 질소의 일부를 팽창터빈을 이용하여 저온의 질소를 얻어 내부열교환기에 넣는 이유는 저압의 질소가 비열이 낮으므로 고압의 질소를 냉각하기에는 부족하므로 질소의 일부를 미리 팽창터빈과 같은 팽창수단을 이용 온도를 낮추고 이를 이용하여 고압의 질소가 팽창밸브와 같은 팽창수단의 입구에서 필요한 온도까지 냉각되는 것을 돕는 이점이 있다.
상기 질소 가압냉각수단과 상기 제 1 팽창수단 사이에 제 2 질소 열교환기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 2 팽창수단으로 유입되는 고압 질소가스는 상기 제 2 질소 열 교환기에서 1차 냉각될 수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도 2 및 도 3에 설명된 바와 같다. 본 발명에서 제 1 및 제 2 질소열교환기는 질소가스간의 내부열교환의 역할을 수행한다. 즉, 질소 가압냉각수단으로부터의 고압질소가스는 다소 고온인데 이를 팽창밸수단에 의하여 초저온 저압 가스로 팽창시키기 전에, 응축기에서 냉열을 빼앗겨 다소 온도가 상승하였으나 여전히 상대적으로 저온인 응축기로부터의 저온 질소가스와 열교환시켜 팽창수단의 입구에서 필요한 온도까지 온도를 낮추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제 1 또는 제 2 질소 팽창수단은 팽창밸브 또는 팽창터빈이 사용될 수 있는데, 제 1 팽창수단은 팽창밸브이고 제 2 팽창수단은 팽창터빈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팽창터빈에는 발전기를 설치하여 상기 발전기로부터 생산된 전력은 BOG 압축기나 질소가스 압축기 등의 동력원으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BOG 응축기, 제 1 또는 제 2 질소 열교환기, 제 1, 2 팽창수단을 하나의 모듈로 구성하고 이를 단열하면 재액화장치의 열손실 없이 안정적으로 운전될 수 있다. 상기 모듈은 예비조립체로 제조하면 선박에서의 장착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BOG 압축기나 응축기 등에 부하를 줄이고 안정적인 재액화를 위해서, 상기 압축기의 전단계 또는 후단계에 재액화된 BOG 또는 LNG 탱크로부터의 LNG를 공급(혼합)하여 온도조절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응축기에서 부분적으로 응축된 BOG는 불응축 가스 분리기에 의해 분리된 후, 불응축 가스는 상기 압축기에 의해 압축된 BOG에 공급(혼합)하여 상기 응축기에 공급하는 BOG의 온도를 냉각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불응축 가스는 벤츄리 형태의 노즐에 의하여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LNG의 저장 탱크에서 발생하는 증발증기(BOG)를 압축하는 BOG 압축단계; 상기 압축된 BOG를 응축시키기 위한 냉열을 제공하기 위하여 작동유체인 질소가스를 가압냉각하는 질소가스 가압냉각단계: 상기 가압냉각된 질소가스를 팽창시켜 초저온 질소가스를 생성하는 질소가스 팽창단계; 상기 초저온 질소가스와 열교환하여 상기 압축된 BOG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응축시키는 응축단계; 상기 응축에 의하여 재액화된 BOG를 상기 탱크로 돌려보내는 단계로 이루어진 BOG의 재액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가압냉각된 질소가스의 일부는 상기 팽창과 다른 경로로 팽창되어 저온가스로 되고, 상기 압축된 BOG의 응축으로 온도가 상승된 질소가스와 합해져서 상기 가압냉각된 질소가스의 팽창단계전에 열교환에 의하여 예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OG의 재액화 방법이 제공된다. 이때, 상기 예냉을 위하여 추출되는 가압냉각된 질소가스의 추출양을 조절함으로써 질소싸이클의 운전을 다양하게 할 수 있어 BOG의 동적변화에 쉽게 대응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BOG 재액화 장치는 LNG 선박 또는 육상용 LNG 탱크에서 발생하는 BOG 재액화 장치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한 것이고, 본 발명은 이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당연하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LNG BOG 재액화 장치의 구성도이다. 본 장치는 BOG 사이클 장치, 질소 사이클 장치, 그리고 상기 두 장치를 인터페이스하는 냉각박스(cold box) 장치로 구성될 수 있는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3가지 구성 관점에서 설명한다.
1) BOG 사이클 장치
기체상태의 천연가스(Natural Gas)는 극저온으로 액화되어 대기압(1.013bar)의 탱크(10)에 저장된다. 하지만 LNG 수송 중 지속되는 외부로부터의 열전달로 인하여 BOG가 발생하며 이는 저장탱크(10)의 압력 상승 요인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저장탱크(10)를 대기압 수준으로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기 위하여 저장탱크 압력이 1.03bar에 도달하면 안전밸브(11)가 열리고 BOG는 2단 압축기(40)(41)에 의해 저장탱크(10) 밖으로 배출되어 재액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때, 펌프(P)를 이용하여 BOG를 펌핑할 수도 있다.
상기 배출되는 고온의 BOG는 온도계와 같은 온도센서(12)에 의해 온도가 감지되며 온도조절기(30)를 거쳐 일정온도로 조절된 후 2단 압축기(40)(41)로 유입된다. 온도조절기(30)를 통과한 BOG는 1.03 bar, -120℃의 과열증기상태로 유지된다.
상기 온도조절기(30)의 작동을 설명하면, 저장탱크에서 배출된 고온의 BOG에 재액화 과정을 거쳐서 응축된 BOG, 즉 극저온 LNG를 재순환시켜 혼합하면 온도조절이 가능하며 재순환 양의 제어는 재순환밸브(20) 개도를 조절하여 수행한다. 또한, 온도조절기(30)에는 재액화된 BOG 뿐만 아니라 LNG 탱크로부터의 LNG를 펌프(미도시)로 공급하는 것도 가능하다. 온도조절은 통상 재액화 장치가 정상상태에 도달할 때까지만 작동하며 이후 재순환밸브(20)는 닫히고 극저온의 LNG는 저장탱크(10)로 유도된다.
상기 온도조절기를 통과한 BOG는 모터(M)에 의하여 구동되는 2단 압축기(40)(41)를 거치면 2.5bar, -73℃의 과열증기 상태로 토출된다.
상기 2단 압축기(40)(41)에서 토출된 BOG는 BOG응축기(50)에서 액화된 후 BOG 불응축 가스 분리기(92)에 의해 분리된 불응축 성분과 다시 섞이면서 과열 증기의 온도가 더 낮아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불응축 가스 분리기(92)는 상기 종래기술부분에서 기재된 종래기술에 일반적으로 공지된 분리기의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벤츄리 형태의 노즐(94)을 사용하면 BOG의 유속이 빨라지게 되고 이로부터 발생하는 압력강하를 이용하여 BOG 불응축 가스분리기(92)로부터의 불응축가스 성분이 유입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어서 BOG는 BOG응축기(50)를 통과하면서 2.3bar, -155℃의 과냉 액체 상태로 변한 후 저장탱크(10)로 재유입되거나 또는 온도조절기(30)로 재순환된다. BOG응축기(50)의 자세한 설명은 하기 냉각박스 장치에서 자세히 설명된다.
BOG응축기(50)를 통해 BOG 전체를 액화시킬 수 있지만 완전 액화가 용이하지 않는 질소 성분 등의 영향으로 70 - 99% 정도가 액화된다.
응축된 BOG는 펌프(P, 100)에 의하여 저장탱크(10)로 재유입된다. 저장탱크(10)으로의 BOG의 재유입 방법은 탱크 상부에서 분무헤드를 통하여 살포하거나 탱크 바닥으로 공급하는 방법이 있다. 탱크의 바닥으로 유입되면 응축된 BOG에 포함된 미응축 기체 속에 포함된 질소성분이 LNG 내부에 용해되어 가스상 내의 질소 비 율이 낮게 유지된다. 질소는 액화점이 LNG의 주성분인 메탄보다 낮기 때문에 BOG내에 질소 함량이 증가하면 2단 압축기(40)(41) 또는 BOG응축기(50)에 부하를 줄일 수 있다.
2) 질소사이클 장치
BOG 응축기(50)에서는 작동 유체인 극저온의 질소가스에 의해 BOG의 재액화가 이루어지는데 하기 설명은 BOG 재액화에 필요한 극저온의 질소가스를 얻기 위한 사이클 장치에 관한 것이다.
14bar, 35.4℃의 질소 가스는 질소가스의 가압냉각수단인 3단 압축기(70)(71)(72)와 중간냉각기(80)(81)(82)를 통과한 후 압력이 상승되어 58bar, 43℃의 가스로 토출된다. 중간냉각기(80)(81)(82)는 작동유체로 작용하는 질소냉매를 가압단계에서 냉각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종래기술부분에 기재된 종래기술들에도 알려진 종래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는데 해수를 냉매로 사용하여 냉각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상기 토출된 고압의 질소가스는 콜드박스로 이송된 후 제 2 질소 열교환기(61)에 의하여, 응축기로부터 제 1 질소 열교환기(60)를 거쳐 오는 아직 냉열이 남아 있는 저온부 질소와 내부 열교환을 통하여 -83.5℃로 1차적으로 냉각된다.
상기 제 2 질소 열교환기(61)를 통과한 고압 질소가스 중 일부는 팽창터빈(90)을 통과하면서 온도가 낮아지고 온도가 낮아진 저압 질소가스는 상기 제 2 질소 열교환기(61)를 통과한 고압 질소와 제 1 질소 열교환기(60)에서 내부 열교환을 이루며 고압의 질소를 팽창밸브 입구에서의 설정온도까지 질소 온도를 낮추는데 기 여한다. 상기 제 1 질소 열교환기(60)에서 온도가 낮아진 고압의 질소가스는 팽창밸브(91)를 지나면서 최종적으로 약 -163℃의 BOG 액화에 필요한 극저온 가스로 변화한다. 이 초저온 질소가스는 BOG 응축기(50)에서 BOG와 열교환하여 BOG를 액화시키면서 온도가 상승한다. 이와 같이, 질소의 일부를 팽창터빈을 이용하여 저온의 질소를 얻어 내부열교환기에 넣는 이유는 저압의 질소가 비열이 낮으므로 고압의 질소를 냉각하기에는 부족하므로 질소의 일부를 미리 팽창터빈을 이용 온도를 낮추고 이를 이용하여 고압의 질소가 팽창밸브 입구에 필요한 온도까지 냉각되는 것을 돕는다. 이후 잔여 냉열은 제2 질소 열교환기(61)에서 고압의 질소를 냉각하며 온도가 상승하여 14 bar, 35.4℃에 도달함으로써 사이클을 완성한다. 질소버퍼탱크(110)는 BOG 재액화량의 변동, 즉 질소 사이클의 냉각 부하의 변동에 대응하여 질소 사이클의 질량유량 조절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질소의 양이 줄어들 경우를 대비하여 보충 작동 유체의 공급원을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3) 콜드박스 장치
콜드박스(200)는 재액화를 수행하는 BOG응축기(50) 과정, 질소 사이클의 고온부와 저온부간 내부 열교환이 이뤄지는 제 1, 2 질소 열교환기(60),(61) 과정, 그리고 극저온 질소가스를 얻는 팽창밸브(91)와 내부 열교환에 필요한 저온의 질소를 얻기 위한 팽창터빈(90)과 이로부터 발전기를 이용한 전력 생산과정으로 구성된다. 상기 과정의 장치들을 콜드박스 모듈(200)에 포함시킴으로써 각 장치 간 연결 파이프를 짧게 할 수 있으며 이는 BOG 재액화에 필요한 극저온 질소를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게 한다. 즉, 제 2 질소 열교환기(61)와 팽창터빈(90) 입구간의 연결 파이프의 길이 짧아지기 때문에 팽창터빈(90) 입구의 상태나 온도에 민감할 수 있는 팽창터빈의 출구의 극저온 상태가 안정될 수 있다. 또한 팽창밸브 출구와 BOG 응축기(50) 사이, 제 1 질소 열교환기(60)의 출구와 팽창밸브(91) 사이의 연결파이프가 짧아지므로 질소가스 이송에 따른 온도증가의 최소화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BOG 재액화 장치의 구성에서 저온상태의 장치인 BOG응축기(50), 질소 열교환기(60, 61), 및 팽창수단(90, 91)을 하나의 콜드박스로 구성하고, 이들을 하나의 모듈로 단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열은 일반적으로 알려진 단열재를 사용하여 단열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질소가스의 극저온 영역을 안정적 관리로 할 수 있고 질소 열교환기의 간편한 설계 및 제작이 가능하다. 또한 콜드박스는 예비조립체로 제조함으로써 선박에 장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질소 사이클의 극저온 부위가 안정적으로 관리됨으로 인하여 BOG 사이클에서 BOG 재액화 온도 -155℃, 최대온도 -72.6℃의 작동이 가능하며 BOG 응축기(50)의 입출구 온도차를 통상의 경우보다 낮은 80℃ 이하로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예냉(pre-cooling)이 필요 없는 간단한 BOG 응축기의 설계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팽창터빈에는 발전기(G)를 설치할 수 있고 상기 발전기(G)로부터 생산된 전력은 BOG 압축기(40)(41)나 질소가스 압축기(70)(71)(72)의 동력원으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한 재액화 장치의 작동은 기본적으로는 종래에 공지된 방법과 유사하여 LNG의 저장 탱크에서 발생하는 증발증기(BOG)를 압축하는 단계; 상기 압축된 BOG를 응축시키기 위한 냉열을 제공하기 위하여 작동유체인 질소가스를 가압냉각하고, 상기 가압냉각된 질소가스를 팽창시켜 초저온 질소가스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초저온 질소가스와 열교환하여 상기 압축된 BOG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응축시키는 단계; 상기 응축에 의하여 재액화된 BOG를 상기 탱크로 돌려보내는 단계로 이루어지는데, 다만, 상기 가압냉각된 질소가스 모두를 팽창시키는 것이 아니라 그중에 일부를 추출하여 상기 팽창과 다른 경로로 팽창시켜 저온가스를 생성한 후에, 상기 압축된 BOG의 응축으로 온도가 다소 상승된 질소가스와 합하여 상기 가압냉각된 질소가스의 팽창전에 열교환에 의하여 1차적으로 예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를 첨부된 도 3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극저온의 LNG 운반선의 저장탱크 내에서 외부 열전달로 인하여 발생하는 BOG 재액화 방법에 있어서, 설정 압력에서 밸브가 열린 후 배출된 BOG가 온도조절기를 거쳐서 2단 압축기 입구 상태가 일정하게 1.03bar, -120℃로 유지되는 단계(ST 10), 상기 BOG가 2단 압축기에서 2.5bar, -73℃의 고온 고압의 과열 상태가 되는 단계(ST 20), 기액 분리기에서 분리된 기체가 벤츄리 노즐의 압력차에 의해 흡입되어 온도가 낮아지는 단계(ST 30), 상기 압축기에서 토출된 BOG가 BOG 응축기에서 2.3bar, -155 ℃의 과냉 액체로 재액화되는 단계(ST 40), 상기 재액화된 BOG 중 함유된 불응축 가스가 분리되는 단계(ST 50), 펌프에 의해 가압되는 단계(ST 60), 상기 가압된 재액화 BOG의 일부가 온도조절밸브를 통해 재순환되는 단계(ST 70), 나머지는 저장탱크로 회수되어 저장되는 단계(ST 80), 14 bar, 35.4 ℃의 질소 가스가 3단 압축기와 중간냉각기를 통과한 후 압력이 상승되어 58 bar, 43℃로 승압되는 단계(ST 90), 상기 고압 질소가 제 2 질소 열교환기에서 저온부 질소와 내부 열교환을 통하여 57.3bar, -83,5 ℃의 저온 상태로 변하는 단계(ST 100), 상기 고압 질소의 일부가 팽창터빈을 지나면서 14.5bar, -140 ℃의 저온, 저압 가스로 변하는 단계 (ST 110), 팽창터빈으로 보내지지 않은 질소가 제 1 질소 열교환기를 통하여 57.5 bar, -137,9 ℃가 되는 단계 (ST 120), 고압의 질소가 팽창밸브를 통과하면서 -163 ℃, 14.6 bar 상태로 되는 단계( ST 130), 저온 저압 질소가 BOG 재액화를 수행한 후 14.4 bar, -138.9 ℃ 상태로 되는 단계(ST 140), 상기 질소가스가 제 1 질소 열교환기를 통과하면서 14.2 bar, -106 ℃의 상태로 변하는 단계(ST 150), 팽창터빈에 의해 온도가 낮아진 질소가 합쳐지고 제 2 질소 열교환기를 통과하면서 14 bar, 35.4 ℃의 고온으로 상태변화를 하는 단계(ST 160)로 구성된다.
상기 각 단계에서 압력, 온도 등은 특정의 숫자로 기재하고 있으나 BOG의 양, 제어방법 등에 따라 변경가능한 것은 당연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기존의 질소의 역브레이튼 싸이클을 이용한 BOG 액화 시스템은 팽창터빈을 이용하여 질소의 온도를 낮출 경우 질소의 일부가 액화함으로써 팽창터빈의 블레이드를 손상시키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한 것으로서, 본 방법은 가압된 질소의 일부만을 추출하여 팽창터빈을 이용 팽창하고 나머지는 질소의 온도를 더 낮춘 후 팽창밸브를 통 하여 온도를 강하시킴으로써 액적 발생의 우려없이 질소의 온도를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추출 질소량을 변화시킴으로써 질소싸이클의 운전을 다양하게 할 수 있어 BOG의 동적변화에 쉽게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LNG 운반선의 운항 중 저장된 LNG의 손실이 없이 저장탱크의 압력을 안정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특히, 간단한 콜드박스 모듈의 도입으로 LNG 재액화 장치의 크기를 줄일 수 있으며 질소가스의 극저온 영역을 안정적 관리로 할 수 있고 질소 열교환기의 간편한 설계 및 제작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질소열교환기(60)와 팽창터빈(90) 입구간의 연결파이프가 짧아지기 때문에 팽창터빈(90) 입구의 상태나 온도에 민감한 영향을 받는 팽창터빈의 출구의 극저온 상태가 안정될 수 있다. 또한 팽창터빈 출구와 BOG 응축기 사이의 연결파이프가 짧아지므로 극저온 질소가스 이송시에 발행하는 온도상승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BOG 재액화 장치에서 저온부를 구성하는 단위요소들을 콜드박스로 모아 관리함으로써 냉열의 손실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3)

  1. LNG의 저장 탱크에서 발생하는 증발증기(BOG)를 압축하는 압축기; 상기 압축기에 의해 압축된 증발 증기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응축시키기 위한 응축기: 상기 응축기에 냉열을 공급하는 질소 사이클 장치로 구성되어 상기 응축기에 의하여 재액화된 BOG를 상기 탱크로 돌려보내는 BOG의 재액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질소 사이클 장치는 질소를 가압 및 냉각하는 질소 가압냉각수단; 상기 질소 가압냉각수단으로부터의 고압 질소가스를 받아 냉각하는 제 1 질소 열교환기; 및 상기 제 1 질소 열교환기로부터 고압 질소가스를 팽창시켜 초저온 저압의 질소가스를 생성하는 제 1 팽창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 1 팽창수단에서 팽창한 초저온 저압의 질소 가스는 상기 응축기에서 냉열을 빼앗긴 후 상기 제 1 질소 열교환기를 거쳐서 상기 질소 가압냉각수단으로 돌아오도록 구성되고, 상기 질소 가압냉각수단으로부터 상기 제 1 질소 열교환기로 유입되는 고압질소가스 중 일부는 제 2 팽창수단에 의하여 팽창되어 저온 저압 질소가스로 냉각된 후, 상기 응축기로부터의 저압 질소가스와 합해져서 상기 제 1 질소 열교환기로 유입되어 상기 질소 가압냉각수단으로 돌아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OG의 재액화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질소 가압냉각수단과 상기 제 1 팽창수단 사이에 제 2 질소 열교환기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 2 팽창수단으로 유입되는 고압 질소가스는 상기 제 2 질소 열교환기에서 1차 냉각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BOG의 재액화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또는 제 2 질소 팽창수단은 팽창밸브 또는 팽창터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BOG의 재액화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팽창터빈에는 발전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BOG의 재액화 장치.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BOG 응축기, 질소 열교환기, 제 1, 2 팽창수단을 하나의 모듈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OG의 재액화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모듈은 단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OG의 재액화 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모듈은 예비조립체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OG의 재액화 장치.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에 공급되는 BOG에 상기 재액화된 BOG 또는 LNG 탱크로부터의 LNG를 공급하여 상기 응축기에 공 급하는 BOG의 온도를 냉각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OG의 재액화 장치.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에 의해 압축된 BOG에 상기 재액화된 BOG 또는 LNG 탱크로부터의 LNG를 공급하여 상기 응축기에 공급하는 BOG의 온도를 냉각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OG의 재액화 장치.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기에서 부분적으로 응축된 BOG는 불응축 가스 분리기에 의해 분리된 후, 불응축 가스는 상기 압축기에 의해 압축된 BOG에 공급하여 상기 응축기에 공급하는 BOG의 온도를 냉각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OG의 재액화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불응축 가스는 벤츄리 형태의 노즐에 의하여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OG의 재액화 장치.
  12. LNG의 저장 탱크에서 발생하는 증발증기(BOG)를 압축하는 BOG 압축단계; 상기 압축된 BOG를 응축시키기 위한 냉열을 제공하기 위하여 작동유체인 질소가스를 가압냉각하는 질소가스 가압냉각단계: 상기 가압냉각된 질소가스를 팽창시켜 초저온 질소가스를 생성하는 질소가스 팽창단계; 상기 초저온 질소가스와 열교환하여 상기 압축된 BOG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응축시키는 응축단계; 상기 응축에 의하여 재액화된 BOG를 상기 탱크로 돌려보내는 단계로 이루어진 BOG의 재액화 방법에 있 어서,
    상기 가압냉각된 질소가스의 일부는 상기 팽창과 다른 경로로 팽창되어 저온가스로 되고, 상기 압축된 BOG의 응축으로 온도가 상승된 질소가스와 합해져서 상기 가압냉각된 질소가스의 팽창단계전에 질소가스간의 열교환에 의하여 예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OG의 재액화 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예냉을 위하여 추출되는 가압냉각된 질소가스의 추출양은 조절이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BOG의 재액화 방법.
KR1020050078588A 2005-07-19 2005-08-26 Bog 재액화 장치 KR1007406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8588A KR100740686B1 (ko) 2005-08-26 2005-08-26 Bog 재액화 장치
JP2008522699A JP2009501896A (ja) 2005-07-19 2006-07-19 Lngbog再液化装置
EP06783336A EP1913117A1 (en) 2005-07-19 2006-07-19 Lng bog reliquefaction apparatus
PCT/KR2006/002818 WO2007011155A1 (en) 2005-07-19 2006-07-19 Lng bog reliquefaction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8588A KR100740686B1 (ko) 2005-08-26 2005-08-26 Bog 재액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4071A true KR20070024071A (ko) 2007-03-02
KR100740686B1 KR100740686B1 (ko) 2007-07-18

Family

ID=38098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8588A KR100740686B1 (ko) 2005-07-19 2005-08-26 Bog 재액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068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7135B1 (ko) * 2006-10-04 2007-11-29 신영중공업주식회사 Lng bog 재액화 장치 및 방법
KR101276119B1 (ko) * 2007-03-20 2013-06-1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Lng 저장탱크
CN115468379A (zh) * 2022-08-29 2022-12-13 青岛双瑞海洋环境工程股份有限公司 船用氨蒸发气再液化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8387B1 (ko) * 2013-10-30 2015-03-0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KR101496576B1 (ko) 2013-10-31 2015-02-2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KR101496577B1 (ko) 2013-10-31 2015-02-2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KR102084993B1 (ko) * 2019-07-19 2020-03-0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연료가스 관리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57782A (ja) * 1993-12-09 1995-06-20 Tokyo Gas Co Ltd 液化天然ガス貯蔵タンク内に発生するbogの再液化装置
JP3610246B2 (ja) * 1998-10-29 2005-01-12 大阪瓦斯株式会社 Lngのボイルオフガス再液化および空気分離一体化装置
GB0001801D0 (en) * 2000-01-26 2000-03-22 Cryostar France Sa Apparatus for reliquiefying compressed vapour
KR100441857B1 (ko) * 2002-03-14 2004-07-2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엘앤지 운반선의 증발가스 재액화 방법 및 시스템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7135B1 (ko) * 2006-10-04 2007-11-29 신영중공업주식회사 Lng bog 재액화 장치 및 방법
KR100806569B1 (ko) * 2006-10-04 2008-02-28 신영중공업주식회사 Lng bog 재액화 장치 및 방법
KR101276119B1 (ko) * 2007-03-20 2013-06-1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Lng 저장탱크
CN115468379A (zh) * 2022-08-29 2022-12-13 青岛双瑞海洋环境工程股份有限公司 船用氨蒸发气再液化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0686B1 (ko) 2007-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1975B1 (ko) Lng bog 재액화 장치 및 방법
EP1913117A1 (en) Lng bog reliquefaction apparatus
KR100777137B1 (ko) 패킹타워를 이용한 bog 재액화 장치
KR101609575B1 (ko) 선박
JP5046998B2 (ja) 液化ガス貯蔵設備およびこれを用いた船舶あるいは海洋構造物
EP2775194B1 (en) Storage-tank pressure-rise suppressing apparatus, pressure-rise suppress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suppressing method for the same, liquefied-gas cargo ship including the same, and liquefied-gas storage equipment including the same
KR930008299B1 (ko) 액화 천연 가스로부터 보일-오프된 가스의 재액화법
KR100740686B1 (ko) Bog 재액화 장치
KR100747372B1 (ko) 증발가스의 재액화 장치 및 재액화 방법
US20010018833A1 (en) Apparatus for reliquefying compressed vapour
JP6934885B2 (ja) 蒸発ガスの再液化装置及び蒸発ガスの再液化方法
KR100699163B1 (ko) Lng bog의 재액화 장치 및 재액화 방법
JP2009030675A (ja) ガス再液化装置およびガス再液化方法
KR20080057461A (ko) Lng bog 재액화 장치 및 방법
KR20190117402A (ko) 가스 처리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1224906B1 (ko) 선박 및 액화천연가스 재액화 장치
KR20090025514A (ko) Lng 운반선에 대한 bog 재액화 시스템
KR100613430B1 (ko) 증발가스 처리 방법 및 장치
CN111712619A (zh) 包含流体的热力学系统以及用于降低其中的压力的方法
KR100761976B1 (ko) 시동용 쿨러를 구비한 lng bog 재액화 장치 및 방법
KR100674163B1 (ko) Bog 재액화 장치
KR101245746B1 (ko) 증발가스 재액화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 공급 시스템
KR20080081436A (ko) Lng bog 재액화 장치 및 방법
KR101224924B1 (ko) 선박
KR102632391B1 (ko) 선박의 연료 공급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