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3921A - Voice transmission control apparatus of the push to talk terminal and the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Voice transmission control apparatus of the push to talk terminal and the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3921A
KR20070023921A KR1020050078259A KR20050078259A KR20070023921A KR 20070023921 A KR20070023921 A KR 20070023921A KR 1020050078259 A KR1020050078259 A KR 1020050078259A KR 20050078259 A KR20050078259 A KR 20050078259A KR 20070023921 A KR20070023921 A KR 200700239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voice data
unit
storage unit
mem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825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711719B1 (en
Inventor
손영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782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1719B1/en
Publication of KR200700239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392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17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171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04W4/10Push-to-Talk [PTT] or Push-On-Call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4Automatic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Automatic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subscribers; Arrangements for recording convers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Abstract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voice transmission of a PTT(Push-To-Talk) terminal are provided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a PTT terminal by easily designing voice buffering. A voice input unit(21) receives a user voice. An AD(Analog Digital) converter(22) performs AD conversion on the voice inputted from the voice input unit(21). A storage unit(24) stores the voice data outputted from the AD converter(22) in an audio structure of voice memo. An RF unit(26) converts the voice data outputted after being read and vocoded into an RF signal and transmits it. When a PTT button is pressed, a controller(23) stores the voice data inputted through the AD converter(22) in the storage unit(24) by using the audio structure of voice memo. When the PTT button is depressed, the controller(23) stops recording of a voice, reads the voice data stored in the audio structure of voice memo in the storage unit(24), reproduces it, vocodes it, and then, outputs it to the RF unit(26).

Description

피티티 단말기의 음성 전송 제어 장치 및 그 방법{Voice transmission control apparatus of the Push to talk terminal and the method thereof} Voice transmission control apparatus of the Push to talk terminal and the method

도 1은 종래기술의 피티티(PTT) 단말기의 음성 전송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이고,1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voice transmission of a PTT terminal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도 2는 상기 도 1의 음성 전송 제어 장치의 동작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며,FIG.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of the apparatus for controlling voice transmission of FIG. 1.

도 3은 본원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PTT 단말기의 음성 전송 제어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고,3 is a block diagram of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voice transmission of a PTT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상기 도 3의 PTT 단말기의 음성 전송 제어 장치에 의한 음성 전송 제어 처리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고,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voice transmission control process by the apparatus for controlling voice transmission of the PTT terminal of FIG.

도 5는 본원 발명의 PTT 단말기의 음성 전송 제어 방법의 상세 처리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5 is a flowchart showing the detailed processing of the voice transmission control method of the PTT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Description of the main symbols in the drawings

11, 21: 음성입력부 12,22: 아날로그디지털(AD)컨버터11, 21: voice input unit 12, 22: analog to digital (AD) converter

13, 23: 제어부 14, 25: 보코더13, 23: control unit 14, 25: vocoder

15: 보코더버퍼 16, 26: RF부15: Vocoder buffer 16, 26: RF section

17: 재생출력포인터(Play out Pointer)17: Play out Pointer

18: 녹음포인터(Recording Pointer)18: Recording Pointer

24: 저장부24: storage unit

본원발명은 피티티(Push To Talk:이하 "PTT"라 함)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음성 전송시 음성을 보이스 메모(Voice memo)의 오디오(Audio) 구조로 녹음한 후 재생하여 전송하는 피티티 단말기 음성 전송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ush-to-talk (hereinafter referred to as "PTT")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he voice is recorded in a voice memo audio structure during voice transmission and then reproduced and transmitt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tness terminal voice transmission control apparatus and a method thereof.

PTT 서비스는 무전기와 같이 스위치를 누르고 일대일 또는 그룹통화를 할 수 있어 일반 휴대전화에 비해 통화 대기 시간이 짧고 사용이 간편하다. 또 일반 통화에 비해 요금이 저렴해 통화량이 많은 사람들에게 매력적으로 비치고 있다.PTT service allows users to make one-to-one or group calls by pressing a switch like a radio. It is also attractive to people with high call rates due to its low cost compared to regular calls.

이런 장점 덕분에 미국에서는 공사현장, 대규모 공단, 대학캠퍼스 등에서 넥스텔의 PTT서비스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넥스텔은 모토로라사와 협력해 다른 이동통신사들이 제공하지 않는 PTT서비스를 내세워 나름대로 입지를 확보하고 유럽 등 다른 지역으로 서비스 확대를 꾀하고 있다.Thanks to these advantages, Nextel's PTT service is widely used in construction sites, large industrial complexes, and university campuses. Nextel is cooperating with Motorola to offer its own PTT service that other carriers do not offer, and to expand its service to other regions including Europe.

버라이즌 등이 준비하고 있는 PTT서비스는 메신저를 이용한 음성채팅을 휴대전화기에 옮겨 놓은 것과 유사한 형태를 띠고 있다. 무선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해 음성통화서비스(VoIP)를 구축하려는 것이다.The PTT service, which Verizon and others are preparing, has a form similar to that of a voice chat using a messenger. It is to establish voice call service (VoIP) using wireless data communication network.

특히 CDMA원천 기술을 지니고 있는 퀄컴사는 ‘브루채트(Brewchat)’라는 소 프트웨어를 개발하여 데이터망에 기반을 둔 PTT서비스를 적극 지원하고 있다.In particular, Qualcomm, which has CDMA source technology, has developed a software called "Brewchat" to actively support data-based PTT services.

도 1은 상술한 바와 같은 PTT서비스를 위한 단말기에서의 음성 전송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음성을 입력받는 마이크 등의 음성입력부(11)와 음성입력부(11)에서 입력된 음성을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하는 AD컨버터(ADC)(12)와, PTT버튼의 눌림 및 눌림 해제를 감시하여 음성(보이스, Voice)의 코딩/디코딩 및 보코딩을 수행하여 음성의 송수신을 제어하기 위하여 코덱, 보코더(14) 등을 포함하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의 형태로 구현되는 제어부(13)와 보코더(14)의 출력 음성신호를 버퍼링하는 보코더버퍼(15) 및 보코더버퍼(15)에서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RF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수신된 RF신호에서 음성신호를 보코더버퍼(15)로 입력하는 RF부(1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FIG.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voice transmission control apparatus in a terminal for a PTT service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 1, a voice input unit 11 such as a microphone for receiving a user voice and AD converter (ADC) 12 for analog-to-digital conversion of the voice input from the voice input unit 11, and monitoring the pressing and release of the PTT button to perform the coding / decoding and vocoding of the voice (voice) Vocoder buffer 15 for buffering the output voice signal of the control unit 13 and the vocoder 14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including a codec, vocoder 14, etc. to control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voice; And a RF unit 16 for converting the voice signal output from the vocoder buffer 15 into an RF signal and outputting the voice signal to the vocoder buffer 15 from the received RF signal.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종래기술의 PTT 단말기의 음성 전송 제어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PTT버튼을 누르는 경우(S1), 제어부(13)가 이를 인식하여 음성입력부(11)와 AD컨버터(12)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에 보코더(14)가 적절한 보코딩율을 가지고 보코딩을 수행한 후 재생출력포인터(17) 및 녹음포인터(Record Pointer)(18)를 지정한 후 보코더버퍼(15)에 저장(녹음)을 시작한다(S2). 이 후 호설정(Call setup)(S3)이 수행된 후(S3)에는 보코더버퍼(15)에 저장된 보이스 데이터를 재생하여 출력하고(S4), PTT버튼의 누름이 해제되면(S5), 보코더버퍼(15)의 보이스 녹음을 중지(S6)하도록 동작된다.As shown in FIG. 2, when the user presses the PTT button (S1), the control unit 13 recognizes the voice input unit 11 and the AD. After the vocoder 14 performs vocoding with an appropriate vocoding rate to the audio signal input through the converter 12, the playback output pointer 17 and the recording pointer 18 are designated, and then the vocoder buffer ( Start recording (recording) in 15) (S2). Thereafter, after call setup (S3) is performed (S3), the voice data stored in the vocoder buffer 15 is reproduced and output (S4), and when the PTT button is released (S5), the vocoder buffer is released. It is operated to stop the voice recording of (15) (S6).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배경을 가지는 종래기술의 PTT서비스의 경우 송신 측은 서버의 호설정(call setup) 이후에만 수신측과 대화가 가능했고, 망에 따라 가변적인 호설정시간(call setup time) 때문에 무전기처럼 실시간 대화가 불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문제점을 가진다.Therefore, in the case of the PTT service of the prior art having the background as described above, the transmitting side was able to talk to the receiving side only after the call setup of the server, and because of the variable call setup time according to the network, Like a radio, it has a problem in that a real time conversation is impossible.

이러한 구조를 해결하기 위해서 단말측면의 보이스 버퍼링(voice buffering)이 논의되기 시작하였지만, 실제 솔루션(Solution)에서 오디오 패스(Audio Path) 상의 버퍼(Buffer)를 오픈(open)해서 제어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에 그 구현상에 어려움을 가지는 문제점이 있었다.In order to solve this structure, voice buffering of the terminal side has begun to be discussed, but since it is not easy to control the buffer on the audio path by opening the solution in the actual solution. There was a problem with its implementation.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경우에는 보코더(14)에서 음성송수신(RTX)포트 쪽으로 보코더버퍼(Audio buffer or vocoder buffer)가 오픈(open)되어 있으며, 녹음포인터(Record Pointer)(18)와 재생출력포인터(Play-Out Pointer)(17)를 두어서 제어하도록 되어 있으나, 일반적인 단말기의 경우에는 보코더버퍼(15)를 컨트롤할 수 없는 구조이고, 버퍼링 알고리즘(buffering altorithm) 구현 또한 상당히 복잡하게 되기 때문에 이러한 방식을 적용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가진다.However, in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vocoder buffer (Audio buffer or vocoder buffer) is opened from the vocoder 14 to the voice transmission / reception (RTX) port, and the record pointer 18 Play-Out Pointer 17 is controlled to be controlled. However, in case of a general terminal, the vocoder buffer 15 cannot be controlled, and a buffering algorithm is also complicated. Therefore, this method can not be applied.

따라서, 본원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PTT서비스가 가능한 단말기에 보이스메모(Voice Memo)의 오디오(Audio)구조를 이용해서 보이스버퍼링(Voice Buffering)을 구현하고, 특히, 단말기에서 오디오버퍼(audio buffer)가 오픈(open)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쉽고, 효율적으로 음성 전송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피티티 단말기의 음성 전송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n the prior art, and implements voice buffering (Voice Buffering) using the audio (Audio) structure of the voice memo (Voice Memo) in the terminal capable of PTT service, in particular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oice transmission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a Pititi terminal, which can easily and efficiently control voice transmission when an audio buffer is not opened in the terminal. .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원발명의 피티티 단말기의 음성 전송 제어 장치는, 사용자 음성을 입력받는 음성입력부와; 상기 음성입력부에서 입력된 음성을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AD)컨버터와; 상기 AD컨버터에서 출력되는 음성 데이터를 보이스 메모의 오디오 구조로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로부터 읽어 들여 진 후 보코딩되어 출력되는 음성 데이터를 RF 신호로 변환하여 송출하는 RF부와; 피티티(PTT)버튼의 눌림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AD컨버터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 데이터를 보이스 메모의 오디오 구조를 이용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며, 상기 PTT버튼의 눌림이 해제되는 경우 음성녹음을 중지하고 저장부에 저장된 보이스 메모의 오디오 구조로 저장된 음성 데이터를 읽어 들인 후 재생하여 보코딩을 수행한 후 RF부로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voice transmission control apparatus of a fitness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voice input unit for receiving a user voice; An analog-to-digital (AD) converter for converting the voice inputted from the voice input unit into analog-digital converters; A storage unit for storing voice data output from the AD converter in an audio structure of a voice memo; An RF unit for converting voice data read from the storage unit and then vocoded and output into an RF signal; When the PTT button is pressed, the voice data input through the AD converter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using the audio structure of the voice memo, and the voice recording is stopped when the PTT button is released. And a controller for reading and reproducing voice data stored in an audio structure of a voice memo stored in a storage unit, performing a vocoding, and then outputting the voice data to the RF unit.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원발명의 피티티 단말기의 음성 전송 제어 방법은, PTT 버튼의 눌림 신호가 발생되는 경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보이스 메모의 오디오 구조를 이용하여 저장부에 저장(녹음)을 시작하는 음성녹음시작과정과; 상기 음성녹음시작과정에 의해 음성의 녹음 중에 호설정을 수행하는 호설정과정과; 호 설정 이후 녹음된 데이터의 전송을 차단하기 위하여 보코더를 뮤트시키는 보코더뮤트과정과; 상기 PTT 버튼의 눌림이 해제된 경우 상기 보코더의 뮤트를 해제하고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음성데이터를 재생하여 출력하는 음성재생출력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voice transmission control method of a fitness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tores a voice signal input when a push signal of a PTT button is generated (recording) in a storage unit using an audio structure of a voice memo. Starting voice recording process; A call setup process of performing call setup during voice recording by the voice recording start process; A vocoder muting process for muting the vocoder to block transmission of recorded data after call establishment; And when the PTT button is released, releasing the mute of the vocoder and reproducing and outputting voice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상술한 음성재생출력과정은 상기 저장부의 음성데이터의 재생 중에 마이크를 통한 음성신호의 입력을 차단하기 위하여 마이크를 뮤트시키는 마이크뮤트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voice reproduction output process may further include a microphone mute process of muting the microphone to block input of a voice signal through the microphone during reproduction of the voice data of the storage unit.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원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원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PTT 단말기의 음성 전송 제어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며, 도 4는 상기 도 3의 음성 전송 제어 장치에 의한 음성 전송 제어의 처리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of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voice transmission of a PTT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processing voice transmission control by the apparatus for controlling voice transmission of FIG. 3.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PTT 단말기의 음성 전송 제어 장치는, 사용자 음성을 입력받는 마이크 등의 음성입력부(21)와 음성입력부(21)에서 입력된 음성을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하는 AD컨버터(ADC)(22)와, 음성을 보이스 메모의 오디오 구조로 저장하는 저장부(24)와, 상기 저장부로부터 읽어 들여 진 후 보코딩되어 출력되는 음성 데이터를 RF 신호로 변환하여 송출하는 RF부(26)와, 피티티(PTT)버튼의 눌림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AD컨버터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 데이터를 보이스 메모의 오디오 구조를 이용하여 상기 저장부(25)에 저장하며, 상기 PTT버튼의 눌림이 해제되는 경우 음성녹음을 중지하고 저장부에 저장된 보이스 메모의 오디오 구조로 저장된 음성 데이터를 읽어 들인 후 재생하여 보코딩을 수행한 후 RF부(26)로 출력하는 제어부(2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shown in FIG. 3, the apparatus for controlling voice transmission of a PTT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analogize voice input from a voice input unit 21 and a voice input unit 21 such as a microphone for receiving user voice. An AD converter (22) for digital conversion, a storage unit (24) for storing voice in an audio structure of voice memo, and voice data read from the storage unit and then vocoded and output are converted into RF signals. When the RF unit 26 and the PTT button are pressed, the voice data input through the AD converter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25 using the audio structure of the voice memo. When the PTT button is released, voice recording is stopped, voice data stored in the audio structure of the voice memo stored in the storage unit is read and played back, vocoded, and then outputted to the RF unit 26. It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controller (23).

상술한 제어부(23)는 음성 데이터를 RF신호를 변환하여 전송하기 위한 코딩/디코딩 및 보코딩을 수행하여 음성의 송수신을 제어하는 코덱, 보코더(25) 등을 포 함하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의 형태로 구현된다.The control unit 23 is a DSP (Digital Signal Processor) including a codec, a vocoder 25 for controlling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voice by performing coding / decoding and vocoding for converting and transmitting the voice data RF signal It is implemented in the form of.

도 5는 상술한 도 4의 구조를 가지는 음성 전송 제어 장치의 동작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로서, PTT버튼의 누름이 발생하면(S11) 제어부(23)는 이를 인식하여 구동되어 마이크로서의 음성입력부(21)와 AD컨버트(22)를 통해 출력되는 디지털 음성 데이터 신호를 MP3 등의 데이터 압축 기법을 이용한 보이스 메모의 오디오 구조를 이용하여 외부 또는 내부에 구비된 메모리 소자 등의 저장부(24)에 저장하는 음성 녹음을 시작한다(S11).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of the apparatus for controlling a voice transmission having the structure of FIG. 4 described above. When a PTT button is pressed (S11), the controller 23 recognizes and drives the voice input unit 21 of the microcer. And a voice for storing the digital voice data signal output through the AD converter 22 in a storage unit 24 such as a memory device provided externally or internally using an audio structure of voice memo using a data compression technique such as MP3. Start recording (S11).

이 후, 호 설정(call setup)이 이루어진 후(S13) PTT버튼의 눌림이 해제되면(S14) 제어부는 저장부(24)로의 보이스(음성) 녹음을 중지하고(S15), 녹음된 보이스(음성) 데이터를 읽어 들인 후 재생하여 보코더(25)를 통해 보코딩을 수행한 후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보코더버퍼(15)를 이용하여 RF부(26)로 출력하는 음성재생과정을 수행한다(S16).After the call setup is made (S13), when the PTT button is released (S14), the control unit stops recording the voice (voice) to the storage unit 24 (S15), and records the recorded voice (voice). After the data is read and reproduced, the vocoding is performed through the vocoder 25, and then a voice reproducing process is output to the RF unit 26 using the vocoder buffer 15 as shown in FIG. S16).

이 후 RF부(26)는 보코딩된 음성 데이터를 RF신호로 변환하여 송출한다.Thereafter, the RF unit 26 converts the vocoded voice data into an RF signal and transmits the converted RF signal.

도 6은 본원 발명의 PTT 단말기의 음성 데이터 전송 제어 방법의 상세 처리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6 is a flowchart showing the detailed processing of the voice data transmission control method of the PTT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된 본원 발명의 PTT 단말기의 음성 데이터 전송 제어 방법은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PTT버튼의 누름이 발생하면(S31) 제어부(25)가 이를 인식하여 구동되어 마이크로서의 음성입력부(21)와 AC컨버트(22)를 통해 출력되는 디지털 음성 데이터 신호를 보이스 메모의 오디오 구조를 이용하여 외부 또는 내부에 구비된 메모리 소자 등의 저장부(24)에 저장하는 음성 녹음을 시작하는 음성녹음시 작과정을 수행한다(S32).In the voice data transmission control method of the PTT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6, when the PTT button is pressed (S31) as described in FIG. 5, the control unit 25 recognizes and drives the voice input unit 21 of the microcer. And voice recording to start voice recording, which stores the digital voice data signal output through the AC converter 22 to the storage unit 24 such as a memory device provided externally or internally using the audio structure of the voice memo. Perform the operation process (S32).

이 후 호 설정(호연결)(Call Setup)을 수행하는 호설정과정을 수행한다(S33).Thereafter, a call setup process of performing call setup (call connection) is performed (S33).

S33 과정에 의해 호 설정이 이루어진 후에는 녹음된 보이스 데이터가 외부로 송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DSP의 형태로 구현되는 제어부에 탑재되는 보코더를 뮤트시키는 보코더뮤트과정을 수행한다(S34).After the call is set by the step S33, in order to prevent the recorded voice data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outside, the vocoder muting process of muting the vocoder mounted in the control unit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DSP is performed (S34).

다음으로 PTT버튼의 눌림이 해제될 때까지 저장부(24)에 보이스 메모의 오디오 구조로 음성 데이터를 저장하다가 PTT버튼의 눌림이 해제되면(S35), 녹음된 음성 데이터를 재생하여 보코딩을 수행하며 이 과정에서 음성 재생 중에 음성입력부(21)를 통해 음성이 입력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이크를 뮤트시키는 마이크뮤트과정을 수행하고 보코더의 뮤트를 해제하여 저장부에서 읽혀지는 보이소 메모의 오디오구조를 가지는 음성데이터를 읽어 들여서 보코더부로 출력하는 음성재생과정을 수행한다(S36).Next, while the voice data is stored in the audio structure of the voice memo in the storage unit 24 until the PTT button is released, when the PTT button is released (S35), the recorded voice data is played back to perform vocoding. In this process, a microphone mute process is performed to mute the microphone to prevent the voice from being input through the voice input unit 21 during voice reproduction, and the audio structure of the voice memo read from the storage unit is released by unmuting the vocoder. A voice reproducing process of reading the voice data and outputting the voice data to the vocoder is performed (S36).

이 후 보코더는 재생되는 음성 데이터에 대한 보코딩을 수행한 후 RF부로 출력하여 외부로 송출하는 보코딩출력과정을 수행한다(S36).Thereafter, the vocoder performs vocoding on the reproduced voice data and then outputs it to the RF unit to perform the vocoding output process transmitted to the outside (S36).

상술한 본원발명은 음성의 전송시 종래기술과 같이 음성의 입력과 함께 보코더에 의해 보코딩된 보이스 데이터를 녹음포인터(Record Pointer) 및 재생출력포인터(Play out Pointer)를 설정하여 보코더버퍼에 저장하고 이 후 호 설정시 이를 재생하여 출력하는 것이 아니라 PTT버튼의 눌림시에 오디오 구조를 이용한 보이스 메모를 수행하여 이를 외부메모리 또는 내장 메모리 등의 저장부에 저장한 후 PTT버 튼의 눌림이 해제되는 경우 저장부에 저장된 보이스 메모를 재생하여 보코딩을 수행한 후 RF신호로 변환하여 송출하도록 동작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voice data vocoded by the vocoder together with the input of the voice is stored in the vocoder buffer by setting a record pointer and a play out pointer. If the PTT button is released after the voice memo using the audio structure is performed when the PTT button is pressed, the voice memo is used when the PTT button is pressed. The voice memo stored in the storage unit is reproduced to perform vocoding, and then converted into an RF signal for transmission.

따라서 상술한 본원 발명은 음성 데이터를 먼저 보이스 메모의 오디오 구조를 이용하여 저장한 후 출력하여 보코딩을 수행한 후 전송함으로써 피티티(PTT) 단말기에서 보이스 버퍼링의 설계 및 구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store voice data first using an audio structure of voice memo, and then output and perform vocoding and then transmit to facilitat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voice buffering in a PTT terminal. do.

상술한 본원 발명은 PTT 서비스에서 보이스 메모의 오디오 구조를 이용하여 보코딩이 수행되기 이전에 음성 데이터를 저장하므로 보이스 버퍼링이 매우 간소해 지게 된다.In the above-described present invention, since voice data is stored before vocoding is performed by using an audio structure of voice memo in a PTT service, voice buffering becomes very simple.

이로 인해 상술한 본원 발명의 보이스 버퍼링의 설계를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됨으로써 PTT 단말기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This facilitates the design of the voice buffering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reby providing an effect of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the PTT terminal.

Claims (3)

사용자 음성을 입력받는 음성입력부와;A voice input unit configured to receive a user voice; 상기 음성입력부에서 입력된 음성을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AD)컨버터와;An analog-to-digital (AD) converter for converting the voice inputted from the voice input unit into analog-digital converters; 상기 AD컨버터에서 출력되는 음성 데이터를 보이스 메모의 오디오 구조로 저장하는 저장부와;A storage unit for storing voice data output from the AD converter in an audio structure of a voice memo; 상기 저장부로부터 읽어 들여 진 후 보코딩되어 출력되는 음성 데이터를 RF 신호로 변환하여 송출하는 RF부와;An RF unit for converting voice data read from the storage unit and then vocoded and output into an RF signal; 피티티(PTT)버튼의 눌림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AD컨버터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 데이터를 보이스 메모의 오디오 구조를 이용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며, 상기 PTT버튼의 눌림이 해제되는 경우 음성녹음을 중지하고 저장부에 저장된 보이스 메모의 오디오 구조로 저장된 음성 데이터를 읽어 들인 후 재생하여 보코딩을 수행한 후 RF부로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티티 단말기의 음성 전송 제어 장치.When the PTT button is pressed, the voice data input through the AD converter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using the audio structure of the voice memo, and the voice recording is stopped when the PTT button is released. And a controller for reading and reproducing voice data stored in an audio structure of a voice memo stored in the storage unit, performing a vocoding, and outputting the voice data to the RF unit. PTT 버튼의 눌림 신호가 발생되는 경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보이스 메모의 오디오 구조를 이용하여 저장부에 저장(녹음)을 시작하는 음성녹음시작과정과;When the push signal of the PTT button is generated, a voice recording start process of storing (recording) the input voice signal using a voice memo audio structure; 상기 음성녹음시작과정에 의한 음성의 저장(녹음) 중에 호 설정을 수행하는 호설정과정과;A call setup process of performing a call setup during storage (recording) of the voice by the voice recording start process; 상기 호설정과정에 의한 호 설정 이후 녹음된 음성 데이터의 전송을 차단하기 위하여 보코더를 뮤트시키는 보코더뮤트과정과;A vocoder mute process for muting the vocoder to block transmission of the recorded voice data after the call setup by the call setup process; 상기 PTT 버튼의 눌림이 해제된 경우 상기 보코더의 뮤트를 해제하고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음성데이터를 읽어 들여서 상기 보코더로 출력하는 음성재생출력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티티 단말기의 음성 전송 제어 방법.When the PTT button is released, the voice transmission control process of the PITTI terminal is performed. Way.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재생출력과정은,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audio reproduction output process, 상기 음성데이터의 재생 중에 마이크를 뮤트시키는 마이크뮤트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티티 단말기의 음성 전송 제어 방법.And a microphone muting process for muting the microphone during reproduction of the voice data.
KR1020050078259A 2005-08-25 2005-08-25 Voice transmission control apparatus of the Push to talk terminal and the method thereof KR10071171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8259A KR100711719B1 (en) 2005-08-25 2005-08-25 Voice transmission control apparatus of the Push to talk terminal and the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8259A KR100711719B1 (en) 2005-08-25 2005-08-25 Voice transmission control apparatus of the Push to talk terminal and the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3921A true KR20070023921A (en) 2007-03-02
KR100711719B1 KR100711719B1 (en) 2007-04-25

Family

ID=38098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8259A KR100711719B1 (en) 2005-08-25 2005-08-25 Voice transmission control apparatus of the Push to talk terminal and the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1719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91807B2 (en) 2013-10-31 2016-07-12 Invisible Intelligence, Llc Audio recording system and apparatus
US9842604B2 (en) 2013-10-30 2017-12-12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ing communication quality of radio
US10261189B2 (en) 2013-10-31 2019-04-16 Invisible Intelligence, Llc Recording system and apparatus including geofencing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14358B (en) * 2002-05-29 2004-09-30 Nokia Corp A method in a digital network system for controlling the transmission of a terminal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42604B2 (en) 2013-10-30 2017-12-12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ing communication quality of radio
US9391807B2 (en) 2013-10-31 2016-07-12 Invisible Intelligence, Llc Audio recording system and apparatus
US10261189B2 (en) 2013-10-31 2019-04-16 Invisible Intelligence, Llc Recording system and apparatus including geofencing
US10948601B2 (en) 2013-10-31 2021-03-16 Invisible Intelligence, Llc Recording system and apparatus including geofenc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1719B1 (en) 2007-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92675B2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merging of multiple time-stamped transcriptions
RU2376727C2 (en) Device, system and method of sound communication with possibility of noiseless selection and transmission of audio messages
JP4473260B2 (en) Telephone communication device
KR100711719B1 (en) Voice transmission control apparatus of the Push to talk terminal and the method thereof
JP4513514B2 (en) Multipoint call system, portable terminal device, volume adjustment method used therefor, and program thereof
US20040176079A1 (en) User controllable hold audio in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JP2002185573A (en) Communication system
US20060040683A1 (en) Cellular radio telecommunications terminal, a system, a method, a computer program and a user interface
JP4631603B2 (en) Audio data reproduction system, reproduction method, server apparatus, and program in PoC service
KR100360899B1 (en) Method for playing music in phone
KR100693589B1 (en) Wireless tele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double play musics
KR101206956B1 (en) Methods for sending/receiving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ata among mobile terminals using push-to-talk service
JP2009027356A (en) Communication device
JPH08265893A (en) Microphone sensitivity adjustment device and communication equipment using the same
JP4466631B2 (en) Telephone device, telephone control method, and program
JPH09321862A (en)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in telephone set
KR20010085178A (en) Method for playing mp3 music in mobile station
KR101154948B1 (en) Method for notifying short message while playing music of mobile terminal
KR20050099738A (en) Method of setting up background music stored in mobile terminal
KR10059524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background sound voice message of mobile terminal
WO2007138782A1 (en) Group call device
JP3811605B2 (en) Telephone equipment
KR100675187B1 (en) A method of emergency call for mobile station
KR20020066701A (en)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30076041A (en) Remote controller for portable audio device with a function of hands-fre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