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3473A -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3473A
KR20070023473A KR1020050115377A KR20050115377A KR20070023473A KR 20070023473 A KR20070023473 A KR 20070023473A KR 1020050115377 A KR1020050115377 A KR 1020050115377A KR 20050115377 A KR20050115377 A KR 20050115377A KR 20070023473 A KR20070023473 A KR 200700234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rive
rectangular
view
rectangular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5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소노마사 고바야시
가츠이치 고토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to KR10200501153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23473A/ko
Publication of KR200700234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34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Abstract

본 발명은, 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로 대표되는 전자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소형화, 박형화(薄型化)를 꾀한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디스크 드라이브(24)가 가로로 연장된 제 1 직사각형 부분(24a)과, 그 제 1 직사각형 부분(24a)보다도 가로 치수가 짧고 그 제 1 직사각형 부분(24a)에 대하여 가로 방향 편측(片側)으로 치우쳐, 그 제 1 직사각형 부분(24a)에 포개지는 제 2 직사각형 부분(24b)과의 2단 직사각형의 측면을 갖는 하우징을 갖고, 미디어 슬롯(media slot)(52)이 제 1 직사각형 부분(24a)에 겹치는 위치이고, 또한 제 2 직사각형 부분(24b)의 가로로 나란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본체 유닛, 표시 유닛, 마찰 부재, 위치 결정용 구멍, 노치부, 미디어 슬롯

Description

전자기기{ELECTRONIC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1 실시예인 노트북 PC를 전방 비스듬하게 보고 나타낸 외관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노트북 PC를 전방 비스듬하게, 도 1과는 다른 방향으로부터 보고 나타낸 외관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노트북 PC를 후방 비스듬하게 보고 나타낸 외관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나타내는 노트북 PC를 후방 비스듬하게, 도 3과는 다른 방향으로부터 보고 나타낸 외관 사시도.
도 5는 CD/DVD 드라이브 및 미디어 슬롯을 포함하는 유닛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분해 사시도를 나타내는 유닛의 조립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나타내는 화살표 A-A를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도 7에 일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원(R1) 부분의 확대도.
도 9는 CD/DVD 드라이브 및 미디어 슬롯을 포함하는 종래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며, 본 발명에 대한 비교예.
도 10은 도 1∼도 4에 사시도를 나타내는 노트북 PC의 본체 유닛을 키보드가 배치된 윗면에 대한 이면 측으로부터 보고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도 10에 일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원(R2) 부분의 확대도.
도 12는 도 1∼도 4에 사시도를 나타내는 노트북 PC의 본체 유닛을 키보드가 배치된 윗면 측으로부터 보고 나타낸 사시도.
도 13은 도 12에 일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원(R3) 부분의 확대도.
도 14는 본체 유닛을 PC카드의 취출 조작을 중심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15는 본체 유닛의 분해 사시도.
도 16은 윗 커버를 떼어낸 상태의 본체 유닛의 평면도.
도 17은 도 16에 나타내는 평면도 중 일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타원(R4) 부분의 확대도.
도 18은 본체 유닛 내의 회로기판 및 커넥터 일부분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19는 도 18과 같은 부분의 커넥터 결합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0은 도 18, 도 19와 같은 부분의 커넥터 결합 시의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21은 도 1에 나타내는 마찰(friction) 부재의 표시 유닛의 배면 커버에의 부착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2는 마찰 부재를 배면 커버에 배치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3은 종래 구조의 마찰 부재의 부착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4는 종래 구조의 마찰 부재를 배면 커버에 배치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 도.
도 25는 마이크로폰을 내장했을 경우의 노트북 PC의 외관 사시도.
도 26은 도 25에 일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원(R5) 부분의 확대도.
도 27은 마이크로폰을 대신하여 적외선 센서를 내장했을 경우의 노트북 PC의 외관 사시도.
도 28은 도 27에 일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원(R6) 부분의 확대도.
도 29는 표시 유닛의 표시 화면의 주위의 앞면을 덮는 앞면 커버를 떼어낸 상태의 노트북 PC의 외관 사시도.
도 30은 도 29에 일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원(R7) 부분의 확대도.
도 31은 적외선 센서가 탑재된 회로기판의 평면도.
도 32는 마이크로폰을 포함하는 마이크로 유닛과 그 마이크로폰에서 픽업된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회로기판의 평면도.
도 33은 마이크로폰과 적외선 센서의 쌍방이 탑재된 회로기판의 평면도.
도 34는 노트북 PC의 표시 유닛의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노트북 PC 20 : 본체 유닛
21 : 키보드 22 : 트랙 패드(track pad)
23 : PC카드 슬롯 24 : CD/DVD 드라이브
26 : 스피커 27 : 밧데리 유닛
30 : 표시 유닛 31 : 표시 화면
32 : 구멍 33 : 회동축
40 : 힌지부(hinge section) 41 : 마찰 부재
50 : 유닛 51 : 베이스판
52 : 미디어 슬롯(media slot) 53 : 부착 기구
54 : 회로기판 61 : 기판 어셈블리
62 : 메인 기판 63 : 커넥터
64 : 케이블 65 : 커넥터
71 : 회로기판 72 : 적외선 센서
73 : 마이크로폰 74 : 마이크로폰 유닛
75 : 위치 결정용 구멍 76 : 회로기판
231 : 삽입구 232 : 조작 부재
233 : 슬라이드 기구 235 : 매체 배출 레버
271 : 밧데리 장착부 301 : 배면 커버
301a : 노치부(notch section) 301b : 결합 돌기
301c, 301d : 보스(boss) 301e : 위치 결정핀
301f, 301g : 나사 구멍 411 : 암
411a : 노치부 412 : 암
412a, 412b : 나사 고정용 구멍 412c : 위치 결정용 구멍
611 : 회로기판 611a : 노치부
612 : 회로기판
본 발명은 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로 대표되는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퍼스널 컴퓨터(이하에서는, 컴퓨터 또는 PC로 약기함)가 사무실뿐만 아니라 가정 내에도 널리 보급되어 오고 있다. 이 PC의 일례로서, 윗면에 키보드를 구비한 본체 유닛과 그 본체 유닛에 대하여 개폐 가능한 표시 화면을 구비한 표시 유닛을 갖고, 사용 시에는 본체 유닛에 대하여 표시 유닛을 세운 위치로 열리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표시 화면이 키보드 위에 포개지도록 접어 두는, 소위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이하, 노트북 PC로 약기함)가 널리 알려져 있다.
또한, 최근에는 윗면에 표시 화면을 갖고 전체가 하나의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표시 화면에 펜을 근접 또는 접촉시켜서 그 근접 또는 접촉 위치를 인식시킴으로써 지시를 입력하는 형식의, 소위 태블릿형 퍼스널 컴퓨터(tablet PC)(이하, 태블릿 PC로 약기함)가 등장해 오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본체 유닛과 표시 유닛을 개폐 가능하게 또는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2축의 연결부를 통하여 연결하고, 표시 유닛을 세워서 노트북 PC로서 사용 가능함과 동시에, 표시 유닛을 본체 유닛 위에 표시 화면을 상향으로 한 상태로 포개지는 태블릿 PC로서도 사용 가능한 전자기기가 등장해 오고 있다.
PC 등의 전자기기 일반에 대해서도 소형화가 요구되고 있지만, 상기한 바와 같은 노트북 PC, 태블릿 PC, 그들 쌍방을 겸한 PC 등의 경우는 가반성(可搬性)이 요구되기 때문에 소형화, 박형화가 강하게 요청되고 있다. 최근에는, 노트북 PC에도 거치형의 소위 데스크 탑 컴퓨터와 비교해도 뒤떨어지지 않는 정도의 고기능이 탑재되어 있으며, 점점 고기능화가 진행되어 오고 있다. 이러한 고기능화의 흐름에 뒤쳐지지 않게, 또한 소형화, 박형화를 실현하고, 게다가 높은 조작성을 유지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관점으로부터, 특허문헌 1에는 노트북 PC에서 PC카드 슬롯에 꽂아넣는 카드류가, PC 조작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PC카드 슬롯을 표시 유닛에 설치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노트북 PC에서의 조작성 향상과 설치 공간의 유효 이용을 목적으로 하여, PC카드 슬롯을 표시 유닛의 상측 면에 설치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3에는 노트북 PC에서, 무선 데이터 통신 카드의 지향성 향상을 목적으로 하여, 노트북 PC의 표시 유닛의 배면부에 카드 슬롯을 배치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또한, 노트북 PC에 한정되지 않고, 게임기, DVD 레코더나 DVD 플레이어, 하드디스크 레코더 등의 각종 전자기기에서도, 설치 공간의 유효 이용으로부터 기기의 소형화, 박형화가 요구되고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 2000-137544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국 특허 2001-273051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국 특허 2002-222025호 공보.
노트북 PC 등의 전자기기의 소형화, 박형화를 꾀하기 위해서는, 전자기기를 구성하는 각 부품이나 각 유닛 자체의 소형화를 꾀할 필요도 있지만, 복수의 부품 또는 유닛끼리의 배치 조합도 중요하다. 이 관점에서 보면, 상술한 특허문헌 1∼3은 모두 단독 부품 또는 유닛의 배치 위치를 제안한 것이며, 소형화, 박형화를 목적으로 한 복수의 부품 또는 유닛 상호 간의 위치 관계에 대한 언급은 없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소형화, 박형화를 꾀한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전자기기는, 제 1 가반형 기억 매체를 엑세스하는 제 1 드라이브와, 제 2 가반형 기억 매체를 엑세스하는 제 2 드라이브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드라이브는 그 외형을 내포(內包)하는 직사각형 영역에 의해 빈 영역이 형성되는 형상의 측면을 갖는 하우징을 갖고, 상기 제 2 드라이브는 상기 빈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본 발명의 전자기기에서, 상기 제 1 드라이브의 측면은 대략 L자 형상이며, 상기 빈 영역은 상기 직사각형 영역과 상기 대략 L자 형상에 의해 구획되는 영역이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전자기기에서, 상기 제 1 드라이브의 대락 L자 형상 측면은 가로로 연장된 제 1 직사각형 부분과, 상기 제 1 직사각형 부분보다도 가로 치수가 짧고 상기 제 1 직사각형 부분에 대하여 가로 방향 편측으로 치우쳐, 상기 제 1 직사각형 부분에 포개지는 제 2 직사각형 부분과의 2단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전자기기에서, 상기 제 1 드라이브가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서 볼때, 상기 제 1 직사각형 부분의 내부에 구성된 원반 모양의 가반형 기억 매체가 장전되는 매체 장전부와,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서 볼때, 상기 제 2 직사각형 부분의 내부에 구성된 상기 매체 장전부에 장전되어 있는 기억 매체를 회전 구동하는 매체 구동부를 구비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전자기기에서, 상기 제 1 드라이브는 유닛화된 것이며, 그 단체(單體)로 이 전자기기로부터 착탈 가능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전자기기에서, 상기 제 1 드라이브가 CD 및/또는 DVD가 장전되는 광디스크 드라이브여도 좋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전자기기는 윗면에 키보드를 구비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개폐 가능한 표시 화면을 구비한 표시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외관]
도 1∼도 4는 본 발명의 1 실시예인 노트북 PC의 외관 사시도이며, 도 1, 도 2는 전방 비스듬하게 서로 다른 방향으로부터 보고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 도 4는 후방 비스듬하게 서로 다른 방향에서 보고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 노트북 PC(10)는 본체 유닛(20)과 표시 유닛(30)으로 이루어지는 2개의 하우징을 구비하고 있으며, 표시 유닛(30)은 힌지부(40)에서 본체 유닛(20)에 대하 여 개폐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본체 유닛(20)은 윗면에 키보드(21)나 트랙 패드(22) 등이 구비되어 있으며, 좌측면에는 뒤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구성 요소로서, PC카드가 취출 가능하게 삽입되어 엑세스되는 PC카드 슬롯의 삽입구(231)가 설치되어 있고, 본체 유닛(20)의 앞면에는 그 PC카드 슬롯에 삽입된 PC카드를 취출할 때에 슬라이드 조작되는 조작 부재(232)가 구비되어 있으며, 그 하우징 내부에 각종 처리를 행하는 CPU 등의 회로가 탑재된 주된 회로기판이 내장되어 있다. 또한, 본체 유닛(20)의 우측면에는 이것도 뒤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구성 요소로서, CD나 DVD가 취출 가능하게 장전되어 장전되어 있는 CD 또는 DVD를 회전시켜서 회전 중의 CD 또는 DVD를 엑세스하는 CD/DVD 드라이브의 단면(端面)(241)이 바깥면에 나타나 있으며, 그 단면(241)에는 그것을 누름으로써 그 CD/DVD 드라이브의 트레이가 본체 유닛의 밖으로 슬라이드하는 이젝트 버튼(242)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본체 유닛(20)의 우측면에는 또한, 일부가 CD/DVD 드라이브와 상하로 겹치는 위치에 각종 기억 미디어(스마트 미디어(등록 상표), xD카드(등록 상표)등)이 취출 가능하게 삽입되어, 삽입되어 있는 기억 미디어를 엑세스하는 미디어 슬롯의 삽입구(25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체 유닛(20)에 대하여 표시 유닛(30)이 닫힌 상태로 위치할 때, 표시 유닛(30)으로 덮여진 본체 유닛(20)의 외형은 대략 직방체(直方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표시 유닛(30)은 그 앞면에 큰 치수의 표시 화면(31)을 갖고, 그 표시 화면(31)을 둘러싸는 앞면 커버에는 내부에 배치된 마이크로폰(도시 생략)에 음성을 도입하기 위한 구멍(3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힌지부(40)는 표시 유닛(30)을 본체 유닛(20)에 개폐 가능하도록 지지시키는 구조를 갖고 있다.
표시 유닛(30)은 본체 유닛(2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본체 유닛(20)에 대해 연 어떤 위치에서도 그 위치에서 정지시켜 둘 필요가 있고, 그 때문에 이 힌지부(40)에는 마찰 부재(41)가 구비되어 있다. 이 마찰 부재(41)는 표시 유닛(30)이 본체 유닛(20)에 대하여 연 어떤 위치에서도 그 위치에 멈추도록 표시 유닛(30)의 회전축(33)에 마찰을 주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또한, 본체 유닛(20)의 힌지부(40)보다도 안쪽 부분에는 좌우 양측에 스피커(26)를 구비할 수 있고, 그들 2개의 스피커(26) 사이에 끼워진 부분에는 이 노트북 PC(10)의 각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밧데리를 내장한 밧데리 유닛(27)을 떼어낼 수 있게 장착되어 있다. 이 밧데리 유닛(27)은 2개의 스피커(26) 사이에 끼워진 밧데리 장착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밧데리 유닛(27)의 후단부(後端部)가 본체 유닛(20)의 스피커(26)를 지지하는 하우징 부분과 거의 동일한 면을 이루는 치수를 갖고 있다.
[CD/DVD 유닛과 미디어 슬롯]
도 5는 CD/DVD 드라이브 및 미디어 슬롯을 포함하는 유닛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분해 사시도를 나타내는 유닛의 조립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나타내는 화살표 A-A를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도 7에 일점 쇄선으 로 나타내는 원(R1) 부분의 확대도이다.
또한, 도 9는 CD/DVD 드라이브 및 미디어 슬롯을 포함한 종래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며, 본 실시예에 대한 비교예이다.
도 9의 비교예부터 먼저 설명한다.
이 유닛(500)은 베이스판(501)과, CD/DVD 드라이브(502)와, 마더보드(503)와, 섀시(chassis)(504)와, 미디어 유닛(505)으로 구성되어 있고, 미디어 유닛(505)에는 미디어 슬롯(5051), CF카드 슬롯(5052) 및 PC카드 슬롯(5053)이 탑재되어 있다.
이 유닛(500)을 조립할 즈음에는, 베이스판(501) 상에 CD/DVD 드라이브(502)와 마더보드(503)가 탑재되고, CD/DVD 드라이브(502) 상에 섀시(504)가 배치되며, 그 섀시(504) 상에 미디어 유닛(505)이 배치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 경우, 이 유닛(500)의 CD/DVD 드라이브(502)가 탑재된 부분의 전체 두께는, 베이스판(501), CD/DVD 드라이브(502), 섀시(504) 및 미디어 유닛(505)의 각 두께를 더한 두께가 된다. 여기에서는, 미디어 유닛(505)에 탑재된 미디어 슬롯(5051)에 착안하고 있어, 이 미디어 슬롯(5051) 부분의 전체 두께는 미디어 유닛(505)의 두께 대신에 미디어 슬롯(5051)의 두께를 고려함으로써 구해진다.
다음에 도 5∼도 8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에 나타내는 유닛(50)은 베이스판(51)과, CD/DVD 드라이브(24)와, 미디어 슬롯(52)과, 부착 기구(53)와, 회로기판(54)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CD/DVD 드라이브(24)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로로 연장된 제 1 직사각형 부분(24a)과 제 2 직사각형 부분(24b)이 겹친 2단의 직사각형 측면의 하우징을 갖는다. 또한, 제 2 직사각형 부분(24b)은 제 1 직사각형 부분(24a)보다도 가로 치수가 짧고, 그 제 1 직사각형 부분(24a)에 대하여 가로 방향 편측(도 7의 좌측)으로 치우쳐, 제 1 직사각형 부분(24a)과 포개진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제 1 직사각형 부분(24a)의 내부에는 CD 또는 DVD가 장전되는 매체 장전부가 구성되어 있고, 제 2 직사각형 부분(24b)의 내부에는 매체 장전부에 장전되어 있는 CD 또는 DVD를 회전 구동하는 매체 구동부가 배치되어 있다. 이 매체 장전부는 CD 또는 DVD를 탑재하기 위한 트레이를 갖고, 이젝트 버튼(242)의 조작에 의해 트레이를 배출하며, 트레이의 수용에 의해 매체 구동부가 트레이에 탑재된 CD 또는 DVD를 회전시켜, 엑세스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CD/DVD 드라이브(24)의 측면은 매체 장전부 및 매체 구동부에 의해 대략 L자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트레이의 단면(241)인 패널도 이것에 맞추어 대략 L자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이 CD/DVD 드라이브(24)는 유닛(50)을 조립한 상태(노트북 PC(10)를 조립한 상태)에서, 그 단체에서 유닛(50)의 수납부에 착탈 가능한 유닛으로 되어 있으며, 일단면(一端面)에 커넥터를 갖고, 상기 커넥터는 유닛(50)의 수납부에 CD/DVD 드라이브(24)를 장착했을 때에 회로기판(54)에 설치된 도시 생략한 커넥터에 접속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여기에서, 미디어 슬롯(52)은 슬롯의 삽입구(251)에 삽입되는 기억 미디어를 엑세스하기 위한 드라이브이며,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CD/DVD 드라이브(24)의 제 1 직사각형 부분(24a)에 대하여 상하로 겹치는 위치이며, 또한 제 2 직사각 형 부분(24b)의 가로로 나란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1 직사각형 부분(24a)과 제 2 직사각형 부분(24b)으로 형성되는 구덩이 부분, 즉 제 1 직사각형 부분(24a)과 제 2 직사각형 부분(24b)을 내포하는 직사각형 영역에서, CD/DVD 드라이브가 없는 부분이 유효 이용되며, 도 9의 비교예에 비해 전체 두께가 얇게 형성되어, 노트북 PC(10)의 소형화, 박형화에 기여하고 있다.
[밧데리 유닛과 스피커]
도 10은 도 1∼도 4에 사시도를 나타내는 노트북 PC(10)의 본체 유닛(20)을 키보드(21)가 배치된 윗면에 대한 이면측으로부터 보고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도 10에 일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원(R2) 부분의 확대도, 도 12는 도 1∼도 4에 사시도를 나타내는 노트북 PC(10)의 본체 유닛(20)을 키보드(21)가 배치된 윗면측으로부터 보고 나타낸 사시도, 도 13은 도 12에 일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원(R3) 부분의 확대도이다. 여기에서, 도 10, 도 12에는 밧데리 유닛(27)이 본체 유닛(20)으로부터 떼어내진 상태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고, 도 11에는 스피커가 탑재된 하우징 부분의 밧데리 장착부측의 면을 나타내고 있으며, 도 13에는 밧데리 유닛(27)의 본체 유닛(20)에의 장착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상술한데로, 본체 유닛(20)의 힌지부(40)보다도 안쪽 부분에는, 이 노트북 PC의 각부에의 전력 공급을 담당하는 밧데리 유닛(27)이 떼어내질 수 있도록 장착되는 밧데리 장착부(271)가 형성되어 있다. 밧데리 유닛(27)은 대략 직방체의 외형이며, 그 길이 방향의 일측면에 적어도 전원 단자를 갖는 커넥터를 갖고, 그 케이스 내에 이 커넥터와 결선(結線)되는 복수의 밧데리 셀을 내장하고 있다. 이 밧 데리 유닛(27)은 본체 유닛(20)의 배면측으로부터 슬라이드해서 본체 유닛(20)의 밧데리 장착부(271)에 삽입함으로써 양자의 커넥터가 접속된 상태에서 본체 유닛(20)에 장착된다. 또한, 밧데리 장착부(271)의 양측에는 외부를 향해서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26)가 배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본체 유닛(20)의 스피커(26)를 지지하는 하우징 부분은, 본체 유닛(20)의 안쪽을 향하여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하우징 부분은 밧데리 장착부(271)에 장착된 밧데리 유닛(27)과 대략 동일면을 형성하는 위치까지 돌출되어 있으며, 밧데리 장착부(271)에 밧데리 유닛(27)이 장착된 상태에서는, 스피커(26)를 지지하는 하우징 부분과 밧데리 유닛(27)이 대략 동일면을 이루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즉, 본체 유닛(20)의 스피커(26)를 지지하는 하우징 부분은, 본체 유닛(20)에 대하여 표시 유닛(30)을 닫은 상태로 했을 때, 표시 유닛(30)으로 덮이지 않는 개소(箇所)에 위치하고 있다.
종래, 밧데리 유닛은 본체 유닛의 안쪽에, 본체 유닛의 하우징으로부터 밧데리 유닛만이 돌출한 상태로 장착되어, 그 때문에 밧데리 유닛의 절반 정도밖에 본체 유닛에 부착할 수 없어서 불안정하게 느끼게 하거나, 운반시에 본체 유닛과 밧데리 유닛의 커넥터 결합 부분에 밧데리 유닛의 자체 중량에 의한 부하가 걸려 쉽게 파손되어 버리거나, 운반시에 밧데리 유닛을 무엇인가에 부딪쳐서 파손되어 버리는 구조를 갖고 있는 것이 많지만, 본 실시예의 경우, 스피커(26)를 지지하는 하우징 부분이 밧데리 유닛(27)과 같은 레벨까지 돌출되어 있어, 밧데리 장착부(271)에 밧데리 유닛(27)이 장착된 상태에서는, 거의 동일면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밧데 리 유닛(27)의 장착시의 안정감이 향상되고 있다. 또한, 이 구조는 본체 유닛과 밧데리 유닛의 커넥터 접속 부분에 밧데리 유닛(27)의 자체 중량에 의한 부하가 걸리는 것이 해소된다.
또한, 밧데리 유닛(27)의 양측면에는, 긴 홈(273)(도 13 참조)이 형성되어 있다. 이 긴 홈(273)은 본체 유닛(20)의 스피커(26)가 배치된 하우징 부분의 밧데리 장착부(271) 측의 면에 형성된 돌출부(272)(도 11 참조)에 감입(嵌入)된다. 이긴 홈(273)은 밧데리 유닛(27)의 거의 전체 폭에 연장되어 있으며, 이 때문에 안정감 뿐만 아니라, 밧데리 유닛(27)이 실제로도 확실히 본체 유닛(20)에 지지되게 된다. 또한, 이 긴 홈(273) 전체(밧데리 유닛(27)의 거의 전체 폭)로 밧데리 유닛(27)을 지지하게 되어, 긴 홈(273)도 밧데리 유닛(27)의 자체 중량에 의한 커넥터에의 부하 응력을 해소하는데에 기여한다.
또한,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밧데리 유닛(27) 측면의 긴 홈(273)에 들어가는 돌출부(272)는 2개의 부분(272a, 272b)으로 나뉘어져 있다. 밧데리 장착부(271)에 장착되어 있는 밧데리 유닛(27)을 그 밧데리 장착부(271)로부터 떼어낼 때는, 도 10에 나타내는 2개의 조작 부재(274)를 슬라이드시켜서 돌출부(272)에 결합하는 클로(claw)(도시 생략)를 밧데리 유닛(27)의 내측으로 끌어당겨 떼어낸다. 이 때, 돌출부(272)가 2개의 부분(272a, 272b)으로 나뉘어져 있기 때문에, 클로를 일단 끌어당겨서 밧데리 유닛(27)을 떼어내려고 했을 때, 그 클로는 스프링에 의해 밧데리 유닛(27)로부터 튀어나오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기 때문에, 1개의 부분(272b)을 극복하자마자, 2개의 부분(272a, 272b) 사이에 들어가고, 다시 1개의 부 분(272a)에 걸려서 거기서 일단 그대로는 빠지지 않는 상태가 된다. 조작 부재(274)를 다시 조작하여 클로를 다시 끌어당겨 밧데리 유닛(27)을 다시 당겨 뺌으로써, 최종적으로 밧데리 유닛(27)이 밧데리 장착부(271)로부터 떼어내진다. 이러한 2단계의 떼어내는 조작을 필요로 하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떼어낼 때에 밧데리 유닛(27)이 갑자기 빠져 낙하시켜버리는 것 등의 사고가 방지된다.
[카드 배출 기구]
도 14는 본체 유닛(20)을 PC카드의 취출 조작을 중심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15는 본체 유닛의 분해 사시도, 도 16은 윗 커버를 떼어낸 상태의 본체 유닛의 평면도, 도 17은 도 16에 나타내는 평면도 중 일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타원(R4)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4에는 도 1에도 나타낸 PC카드 슬롯의 삽입구(231)와, 그 PC카드 슬롯에 삽입된 PC카드를 꺼낼 때에 슬라이드 조작되는 조작 부재(232)가 나타나 있다. 여기에서는, PC카드 슬롯에 PC카드가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조작 부재(232)를 도 14에 나타내는 화살표 A방향으로 슬라이드 조작하면, 삽입구(231)로부터 PC카드의 일부가 화살표 B방향으로 돌출하고, 그 돌출한 부분을 손가락으로 집어서 끌어냄으로써, PC카드를 PC카드 슬롯으로부터 꺼낼 수 있다.
이 본체 유닛(20)은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PC카드 슬롯(23)이나 그 밖의 여러가지 부품이 배치된 아래 커버(201)와, 키보드(21)와, 아래 커버(20) 상에 키보드(21)를 놓고, 또한 그 위에서 덮는 윗 커버(202)로 나눌 수 있다. 또한, 도 15에는 조작 부재(232)와, 그 조작 부재(232)와 결합하는 슬라이드 기구(233)로 이 루어지는 배출 기구부도, 분해한 상태로 나타내고 있다.
아래 커버(201)에는 노치부(201a)가 형성되어 있고, 윗 커버(202)에도 그것과 대응한 위치에 노치부(202a)가 형성되어 있으며, 아래 커버(201)와 윗 커버(202)가 조합되었을 때에, 그들의 노치부(201a, 202a)에 의해 본체 유닛(20)의 내외를 연결하는 개구가 형성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에서, 조작 부재(232)는 돌출한 결합 클로(232a)를 갖고, 조작 부재(232)는 아래 커버(201)와 윗 커버(202)로 구성되는 커버의 표면에 배치되며, 그 결합 클로(232a)가 2개의 노치부(201a, 201b)로 형성되는 개구를 통과하여 커버 내부에 돌출하고 있다. 한편, 슬라이드 기구(233)는 커버의 내측에 배치되며, 그 슬라이드 기구(233)에 설치된 결합 구멍(233a)에 조작 부재(232)의 커버 내측에 돌출한 결합 클로(232a)가 들어가 조작 부재(232)를 슬라이드 조작하면, 슬라이드 기구(233)도 그 조작 부재(232)와 일체적으로 커버의 내벽을 따라 슬라이드한다.
슬라이드 기구(233)는 단면이 L자 형상으로 구부려서 가공되고, 그 일면(233b)이 커버 내면에 접하도록 배치되며, 다른 한쪽의 면(233c)인 천판부(天板部)에 형성된 긴 구멍(233e)을 나사(234)가 관통하고, 그 나사(234)가 아래 커버(201)에 세워서 설치한 보스(boss) 중앙의 나사 구멍(235)에 체결하는 구조를 갖고 있다. 슬라이드 기구(233)는 조작 부재(232)와 결합하여 그 조작 부재(232)에 의해 지지되고, 또한 긴 구멍(233c)을 관통하여 나사 결합한 나사(234)에 의해 가이드 되어서, 조작 부재(232)의 슬라이드 조작에 따라 그 조작 부재(232)와 일체적으로, 그 L자 형상 봉우리(233d)의 연장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한다.
PC카드 슬롯(23)에는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매체 배출 레버(235)가 구비되어 있다. 이 매체 배출 레버(235)는 도시하지 않은 PC카드가 삽입구(231)로부터 PC카드 슬롯(23) 내에 삽입될 때에 그 PC카드로부터 힘을 받아서, 도면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매체 삽입 위치로 이동하고, 조작 부재(232)가 도 14에 나타내는 화살표 A방향으로 슬라이드 조작되면, 그 슬라이드 조작에 의해 조작 부재(232)와 일체적으로 슬라이드 기구(233)가 슬라이드하여 매체 배출 레버(235)를 누르고, 그 매체 배출 레버(235)를 도 17에 일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매체 취출 위치에 이동시킨다. 매체 배출 레버(235)은 도 17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매체 삽입 위치로부터 도 17에 일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매체 취출 위치로 이동하는 사이, PC카드 슬롯(23) 내부에서는 그 PC카드 슬롯(23) 내에 삽입되어 있는 PC카드를, 그 PC카드의 일부가 PC카드 슬롯(23)으로부터 돌출하여 손가락으로 집어서 꺼낼 수 있는 위치까지 도 14에 나타내는 화살표 B방향으로 밀어낸다. 본 실시예에서는 L자 형상으로 구부려서 가공한 슬라이드 기구(233)를 채용하고, 조작 부재(232)와 슬라이드 기구(233)로 본체 유닛 커버의 벽을 내외로부터 사이에 끼는 구성으로 했기 때문에, 아래 커버(201)나 윗 커버(202)의 벽은 슬라이드의 가이드로서만 이용되고 그들 커버의 강도는 이용되고 있지 않아서, 커버를 박육(薄肉)의 재료로 형성할 수 있어 장치 전체의 소형화, 경량화에 기여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본체 유닛의 커버 내에서 나사(234)에 의해 슬라이드 기구(233)가 상하 부동 상태가 되는 것을 억제하면서 이동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하고 있으므로, 슬라이드 기구(233)를 지지하는 조작 부재(232)는 그 조작 부재(232) 의 이동 범위를 내주(內周)로 하는 조작 부재용의 플레임이 없어도 양호하게 조작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플레임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본 실시예의 구성에 의해 플레임의 테두리 폭분의 공간을 삭감할 수 있어, 장치 전체의 소형화에 기여한다.
[커넥터부의 구조]
도 18은 본체 유닛 내의 회로기판 및 커넥터의 일부분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19는 도 18과 같은 부분의 커넥터 결합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0은 도 18, 도 19와 같은 부분의 커넥터 결합시의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8에는 기판 어셈블리(61)와 메인 기판(62)이 나타나 있다. 기판 어셈블리(61)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서로 고정된 2장의 회로기판(611, 612)으로 구성되어 있고, 그들 2장의 회로기판(611, 612) 중 한쪽의 회로기판(612)의, 다른 한쪽의 회로기판(611)을 향한 면의, 1변에 치우친 위치에 커넥터(63)가 탑재되어 있다. 이 커넥터(63)는 케이블(64)의 선단(先端)에 접속된 다른 1개의 커넥터(65)와 조합되는 구조를 갖고 있으며, 이들의 커넥터(63, 65)를 통하여 여기에 나타내는 회로기판 상의 회로와 케이블(64)의 반대측의 선단이 접속된 회로부품(도시 생략) 사이에서 신호의 주고받기를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기판 어셈블리(61)는 커넥터(63)가 탑재되어 있는 기판(612)의 면을 메인 기판(62) 측으로 하여, 그 메인 기판(62)과의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메인 기판(62)에 고정된다.
여기에서, 기판 어셈블리(61)를 구성하는 2장의 회로기판(611, 612) 중 상측의 회로기판(611)에는, 그 회로기판(611)의 커넥터(63)가 탑재되어 있는 하측의 회 로기판(612)에 탑재되어 있는 커넥터(63)에 대향하는 부분에, 그 커넥터(63)를 시인(視認)시키는 노치부(611a)가 형성되어 있다. 이 노치부(611a)가 없으면 커넥터(63)의 시인성이 극단적으로 나쁘고, 기판 어셈블리(61)를 메인 기판(62)에 고정한 상태에서 커넥터(63)에 커넥터(65)를 조합시킬 때의 작업이 손으로 더듬어 찾게 되어, 작업의 능률이 극단적으로 악화된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회로기판(611)에 노치부(611a)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커넥터(63)의 시인성이 매우 양호하며, 커넥터(63)에 커넥터(65)를 감합할 때의 작업성이 대폭 개선된다.
[마찰 부재의 부착 구조]
도 21은 도 1에 나타내는 마찰 부재(41)의 표시 유닛(30)의 배면 바에의 부착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2는 그 마찰 부재를 배면 커버 위에 배치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또한, 도 23은 종래 구조의 마찰 부재의 부착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4는 그 종래 구조의 마찰 부재를 아래 커버에 배치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1, 도 22는 도 1∼도 4에 외관을 나타내는 1실시예로서의 노트북 PC에서 채용되어 있는 구조이며, 도 23, 도 24는 그 비교예에 상당한다.
여기에서는, 도 23, 도 24에 나타내는 비교예부터 먼저 설명한다.
표시 유닛을 구성하는 배면 커버(1301)에는 표시 화면(31)을 시인 가능하게 하는 앞면 커버(도시 생략)를 덮었을 때에 개구가 되는 노치부(1301a)가 형성되어 있고, 마찰 부재(1041)는 이 노치부(1301a)를 통해서 배면 커버(1301)의 외측과 내 측에 타넘듯이 배치된다. 이 마찰 부재(1041)는 노치부(1301a)로부터 배면 커버(1301)의 내측으로 들어가고, 양측으로 각각 넓어지는 2개의 암(1041a, 1041b)을 갖고, 그들 2개의 암(1041a, 1041b)에는 각각 나사 고정용 구멍(1041c, 1041d)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배면 커버(1301)에는 그들 양측으로 넓어지는 2개의 암(1041a, 1041b)의 나사 고정용 구멍(1041c, 1041d)이 위치하는 장소에 보스(1301b, 1301c)가 세워 설치되어 있고, 각 보스(1301b, 1301c)의 중앙에는 나사 구멍(1301d, 1301e)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2개의 보스(1301b, 1301c) 위에 2개의 암(1041a, 1041b)을 올려놓고, 그들의 나사 고정용 구멍(1041c, 1041d)과 나사 구멍(1301d, 1301e)을 사용해서 나사 고정함으로써, 마찰 부재(1041)가 배면 커버(1301)에 고정된다. 이 도 23, 도 24에 나타내는 비교예의 경우, 배면 커버(1301)가 도 24에 나타내는 x방향에 관해 여유가 있을 때는, 이 비교예의 고정 구조를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대형의 표시 모듈을 탑재하는 것과 같은 경우 등과 같이, x방향의 치수에 여유가 없을 때는, 가령 배면 커버(1301)의 치수를 이 부착을 위해서만 넓힌다고 한다면 기기의 소형화의 요청에 반하는 것이 된다.
다음에, 도 21, 도 22에 나타내는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1, 도 22에 나타내는 마찰 부재(41)는 표시 유닛(30)(도 1 참조)의 배면 커버(301)의 내부에 고정되고, 그 배면 커버(301)에 형성된 앞면 커버(도시 생략)를 덮을 때에, 개구가 되는 노치부(301a)를 통과하여 그 배면 커버(301)의 외부에까지 연장하는 부품이다.
이 마찰 부재(41)의 노치부(301a)로부터 배면 커버(301)의 내측으로 들어간 부분은, 그 노치부(301a)로부터 배면 커버(301) 내에 들어가 그 배면 커버(301)의 내벽을 따라 도 21, 도 22의 좌측의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 1 암(411)과, 노치부(301a)로부터 배면 커버(301) 내에 들어가 그 배면 커버(301)의 내벽을 따라 도 21, 도 22의 우측의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 2 암(412)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배면 커버(301)에는 제 1 암(411)이 연장하는 부분에, 배면 커버(301)의 내측으로 돌출한 결합 돌기(301b)를 갖고, 마찰 부재(41)의 제 1 암(411)에는 이 결합 돌기(301b)에 대응하는 위치에, 그 결합 돌기(301b)에 결합하는 노치부(411a)를 갖으며, 이 마찰 부재(41)가 배면 커버(301)에 배치되었을 때,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면 커버(301)의 결합 돌기(301b)에 마찰 부재(41)의 제 1 암(411)의 노치부(411a)가 감합된다.
한편, 마찰 부재(41)의 제 2 암(412)은 배면 커버(301)의 내벽에 따라 연장 하고, 또한 90도로 구부러져 그 구부러진 부분에 나사 고정용의 2개의 구멍(412a, 412b)과, 그들 2개의 구멍(412a, 412b)의 중앙에 위치 결정용의 구멍(412c)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배면 커버(301)에는 마찰 부재(41)의 제 2 암(412)의 나사 고정용의 2개의 구멍(412a, 412b)이 놓인 위치에, 중앙에 나사 구멍(301f, 301g)이 형성된 2개의 보스(301c, 301d)가 세워 설치되고, 그들 2개의 보스(301c, 301d)의 중앙에는 마찰 부재(41)의 제 2 암(412)의 위치 결정용의 구멍(412c)에 감입(嵌入)하는 핀(301e)이 세워서 설치되어 있다.
이 마찰 부재(41)를 배면 커버(301)에 고정할 때에는,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마찰 부재(41)의 제 1 암(411)의 노치부(411a)를 배면 커버(301)의 결합 돌기(301b)에 결합시키고, 제 2 암(412)의 위치 결정용의 구멍(412c)에 배면 커버(301)의 핀(301e)을 감입시킨다. 그렇게 하면, 제 2 암(412)의 2개의 나사 고정용 구멍(412a, 412b)이 딱 2개의 보스(301c, 301d)의 나사 구멍(301f, 301g)과 연통하는 위치에 정확하게 겹친다. 이렇게 해서, 나사 고정용 구멍(412a, 412b)과 나사 구멍(301f, 301g)을 사용하여, 마찰 부재(41)가 배면 커버(301)에 나사 고정된다.
이러한, 2개의 암(411, 412) 중 한쪽의 암(411)은 결합만 하고, 다른 한쪽의 암(412)에서 나사 고정 등에 의해 고정되는 구조로 함으로써, 본 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도 22에 나타내는 배면 커버(301)의 x방향의 치수에 여유가 없어도 y방향의 치수에 여유를 찾을 수 있을 때는, 그 부분에까지 암을 연장시켜서 그 부분에서 고정하는 등, 유연한 고정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과 적외선 센서(그 1)]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노트북 PC(10)(도 1 참조)에는 표시 유닛(30)의 표시 화면(31)을 둘러싸는 앞면 커버 내에 마이크로폰이 내장되어 있고, 그 앞면 커버에는 그 내부에 배치된 마이크로폰에 음성을 도입하기 위한 구멍(32)이 형성되어 있다. 다만, 본 실시예의 노트북 PC는 그 구멍(32)의 내부에, 마이크로폰을 내장하는 것 대신에, 이 노트북 PC(10)를 적외선 신호로 리모트 컨트롤하기 위한 적외선 센서를 내장할 수도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내부에 마이크로폰을 내장한 구성과, 내부에 적외선 센서를 내장한 구성과의 쌍방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5는 마이크로폰을 내장했을 경우의 노트북 PC의 외관 사시도, 도 26은 도 25에 일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원(R5)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25에는 도 1, 도 2에도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 유닛(30)의 앞면 커버 부분에, 내부에 배치된 마이크로폰에 음성을 유도하기 위한 구멍(32)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나타나 있다. 또한, 후술하는 광학 필터(35)의 외주 형상과 거의 같은 형상으로, 그 광학 필터(35)의 두께에 상당하는 깊이의 구덩이가 형성되며, 구멍(32)은 그 구덩이 내에 형성되어 있다.
도 27은 마이크로폰을 대신해 적외선 센서를 내장했을 경우의 노트북 PC의 외관사시도, 도 28은 도 27에 일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원(R6) 부분의 확대도이다.
여기에서는, 가시 광선을 차단하는 동시에 적외선을 투과시키는 광학 필터(35)가 구멍(32)(도 25, 도 26 참조) 위에 부착되어 있다. 광학 필터(35)는 상술한 구덩이 내에 부착되며, 그 구덩이의 깊이 때문에 광학 필터(35)의 앞면은 표시 유닛(30)의 앞면 커버의 면과 거의 같은 면이 되어, 우수한 디자인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광학 필터(35)의 부착에 의해, 도 25, 도 26에 나타내는 구멍(32)이 사람의 눈에는 보이지 않아 디자인 상으로 우수함과 동시에, 먼지 등의 진입이 방지되고 있다. 한편, 그 광학 필터(35)는 적외선을 투과시키기 때문에, 그 내측에 배치된 적외선 센서는 리모트 컨트롤로부터의 적외선 신호를 정상적으로 수신할 수 있는 동시에, 가시 광선 차단에 의해 노이즈의 저감화도 이루어지고 있다.
도 29는 표시 유닛(30)의 표시 화면(31) 주위의 앞면을 덮는 앞면 커버를 떼어낸 상태의 노트북 PC의 외관 사시도, 도 30은 도 29에 일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원(R7) 부분의 확대도, 도 31은 적외선 센서가 탑재된 회로기판의 평면도, 도 32는 마이크로폰을 포함하는 마이크로 유닛과 그 마이크로폰에서 픽업된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회로기판의 평면도이다.
도 3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로기판(71)에는 리모트 컨트롤용의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는 적외선 센서(72)가 탑재되어 있고, 이 회로기판(71)은 표시 유닛(30)의 도 29, 도 30에 나타내는 위치에 나사 고정된다. 이 때, 적외선 센서(72)는 도 25, 도 26에 나타내는 구멍(32)의 내측에 정확히 위치하고, 광학 필터(35)(도 27, 도 28 참조), 구멍(32)(도 25, 도 26 참조)을 통과해 온 적외선 신호가 적외선 센서(72)에 수신된다. 이 적외선 센서(72)로 수신된 신호는 회로기판(71) 위의 회로에서 처리되고, 이 노트북 PC는 그 수신 신호에 따른 동작을 실행한다.
또한, 도 25, 도 26에 나타내는 구멍(32)의 내측에 마이크로폰을 배치할 때는, 도 32에 나타내는 형상의 마이크로폰(73)을 구비한 마이크로폰 유닛(74)과, 그 마이크로폰에서의 수음 신호를 처리하는 회로가 탑재된 회로기판(76)이 사용된다. 마이크로폰 유닛(74)에는 표시 유닛(30)에 설치된 위치 결정 핀(36)(도 30 참조)이 들어가는 위치 결정 구멍(75)이 형성되어 있고, 그 마이크로폰 유닛(74)을 그 구멍(75)에 핀(36)이 들어가도록 배치하면, 마이크로폰(73)이 도 25, 도 26에 나타내는 구멍(32) 내측의 위치에 배치된다. 이 마이크로폰(73)과 회로기판(76)은 도시하지 않은 케이블로 접속되어 있고, 회로기판(76)은 마이크로폰 유닛(74)의 바로 아래의 위치에 나사 고정에 의해 고정된다.
여기에서, 마이크로폰을 배치할 것인가 적외선 센서를 배치할 것인가는, 본 실시예에서는 국내 대상인가 해외 대상인가라는 목적지에 따라 노트북 PC의 조립 시에 선택된다. 다만, 목적지가 아닌 노트북 PC의 그레이드에 따라 선택하여도 좋다.
여기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같은 구멍(32)을 경유하여 외부와의 사이에 서로 다른 작용을 이루는 복수 종류의 외부 작용 부품(본 실시예에서는 마이크로폰과 적외선 센서) 중 어느 1 종류를 배치하도록 했기 때문에, 쓸모없는 구멍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 디자인 상으로도 우수한 노트북 PC가 된다.
또한, 이 구멍(32)을 표시 유닛(30)의 앞면 커버에 설치했기 때문에, 구멍(32)은 표시 유닛(30)이 열린 상태에서 높은 위치가 되어, 마이크로폰과 적외선 센서 중 어느 것을 탑재하는 경우에도, 마이크로폰의 집음(集音) 효과, 적외선 센서의 수신 감도를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과 적외선 센서(그 2)]
다음에, 도 25∼도 32를 참조하여 설명한 마이크로폰과 적외선 센서의 배치 구조에 대신에 채용할 수 있는, 마이크로폰과 적외선 센서의 또 다른 1개의 배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3은 마이크로폰과 적외선 센서의 쌍방이 탑재된 회로기판의 평면도이다. 도 33(a)와 도 33(b)는 같은 회로기판을 상하 역으로 하여 나타낸 것이다.
이 회로기판(80)의 중앙에는 자성체와의 접리(接離)를 검출하는 자기 센서(81)가 탑재되어 있고, 그 회로기판(80)의 한쪽의 단부에는 마이크로폰(82)이 탑재되어 있으며, 그 회로기판(80)의 또 다른 한쪽의 단부에는 리모트 컨트롤용의 적외 선 신호를 수신하는 적외선 센서(83)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 회로기판(80)에는 자기 센서(81)와 마이크로폰(82) 사이 및 자기 센서(81)와 적외선 센서(83) 사이에는, 이 회로기판(80)을 나사 고정하기 위한 2개의 구멍(84, 85)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이 회로기판(80)을 자기 센서(81)를 중심으로 180도 회전시켰을 때, 나사 고정용의 2개의 구멍(84, 85)은 2개의 구멍의 위치가 서로 교체하여 동일한 위치에 나사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마이크로폰(82)과 적외선 센서(83)는 그들의 위치가 정확히 교체되고 있다.
도 34는 노트북 PC의 표시 유닛(30)의 평면도이며, 도 34(a)는 표시 화면(31) 주위의 앞면을 덮는 앞 커버를 떼어냈을 때의 표시 유닛을 나타내고 있으며, 도 34(b)는 그 앞 커버를 부착한 상태의 표시 유닛을 나타내고 있다.
이 표시 유닛(30)의 배면 측의 커버에는 회로기판(80)을 고정하기 위한 2개의 나사 구멍(38, 39)이 형성되어 있고, 그 2개의 나사 구멍(38, 39)과 회로기판(80)에 설치된 나사 고정용의 2개의 구멍(84, 85)을 맞추어 나사 고정한다. 이렇게 하면, 회로기판(80)의 방향에 상관없이 자기 센서(81)는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어, 회로기판(80)의 방향에 따라 마이크로폰(82) 또는 적외선 센서(83)가 구멍(32)의 내측에 배치된다. 회로기판(80)을 구멍(32)의 내측에 적외선 센서(83)가 배치되는 방향으로 나사 고정했을 때는, 구멍(32) 위에 적외선을 투과하는 동시에 가시 광선을 차단하는 광학 필터가 첨부된다. 이 노트북 PC의 본체 유닛(20)(도 1, 도 2 참조)에는 표시 유닛(30)에 고정된 회로기판(80) 위의 자기 센서(81)에 대응하는 위치에 자성체(도시 생략)가 배치되고, 표시 유닛(30)을 본체 유닛(20) 위로 닫으 면, 자기 센서(81)가 자성체를 검출하여 표시 유닛(30)이 닫힌 것이 인식되고, 표시 유닛(30)을 본체 유닛(20)으로부터 열면, 자기 센서(81)가 자성체를 검출하지 않게 되어 표시 유닛(30)이 열린 것이 인식된다. 이 개폐의 인식은, 예를 들면 이 노트북 PC에의 전력 공급이나 모드 전환 등에 이용된다.
이들 마이크로폰(82)과 적외선 센서(83)는, 1대의 노트북 PC에서는 회로기판(80)의 부착 방향에 따라 그들 중 어느 한쪽만이 이용된다.
도 33, 도 3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배치 구조에 의하면, 목적지나 그레이드에 상관없이 동일 회로기판을 이용할 수 있고, 관리해야 할 부품의 수가 줄어들고, 또한 부품의 공통화에 의한 코스트 다운을 꾀할 수 있다. 또한, 1개의 구멍밖에 이용하지 않으므로, 마이크로폰용과 적외선 센서용의 2개의 구멍을 설치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디자인 상으로도 우수한 것이 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하면, 1 드라이브의 외형으로 형성되는 사각(死角)의 영역을 유효 활용하여 다른 드라이브를 배치했기 때문에, 소형화, 박형화를 한층 더 꾀할 수 있다.

Claims (7)

  1. 제 1 가반형(可搬型) 기억 매체를 엑세스하는 제 1 드라이브와,
    제 2 가반형 기억 매체를 엑세스하는 제 2 드라이브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드라이브는 그 외형을 내포하는 직사각형 영역에 의해 빈 영역이 형성되는 형상의 측면을 갖는 하우징을 갖고,
    상기 제 2 드라이브는 상기 빈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드라이브의 측면은 대략 L자 형상이며, 상기 빈 영역은 상기 직사각형 영역과 상기 대략 L자 형상에 의해 구획되는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드라이브의 대락 L자 형상 측면은 가로로 연장된 제 1 직사각형 부분과, 상기 제 1 직사각형 부분보다도 가로 치수가 짧고 상기 제 1 직사각형 부분에 대하여 가로 방향 편측(片側)으로 치우쳐, 상기 제 1 직사각형 부분에 포개진 제 2 직사각형 부분과의 2단의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드라이브가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서 볼때, 상기 제 1 직사각형 부분의 내부에 구성된 원반 모양의 가반형 기억 매체가 장전되는 매체 장전부와,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서 볼때, 상기 제 2 직사각형 부분의 내부에 구성된 상기 매체 장전부에 장전되어 있는 기억 매체를 회전 구동하는 매체 구동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드라이브는 유닛화된 것이며, 그 단체(單體)로 이 전자기기로부터 착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드라이브가 CD 및/또는 DVD가 장전되는 광디스크 드라이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이 전자기기가 윗면에 키보드를 구비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개폐 가능하며 표시 화면을 구비한 표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KR1020050115377A 2005-08-24 2005-11-30 전자기기 KR200700234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5377A KR20070023473A (ko) 2005-08-24 2005-11-30 전자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243191 2005-08-24
KR1020050115377A KR20070023473A (ko) 2005-08-24 2005-11-30 전자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3473A true KR20070023473A (ko) 2007-02-28

Family

ID=43654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5377A KR20070023473A (ko) 2005-08-24 2005-11-30 전자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2347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6205B1 (ko) * 2007-08-09 2010-03-09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전자 기기 및 표시 패널용 케이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6205B1 (ko) * 2007-08-09 2010-03-09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전자 기기 및 표시 패널용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7552B1 (ko) 전자기기 및 조립 부재
JP4612505B2 (ja) 電子機器
US7428145B2 (en) Electronic apparatus
JP2007058580A (ja) 電子機器
JP2007058584A (ja) 電子機器
JP5468685B2 (ja) 構成要素アセンブリ
US20090169982A1 (en) Electronic apparatus
US9056245B2 (en) Electronic apparatus
JP2007058582A (ja) 電子機器および基板アセンブリ
US20090168384A1 (en) Electronic apparatus
US20080130213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mponent
JP2007058581A (ja) 電子機器
KR20070023473A (ko) 전자기기
KR100718176B1 (ko) 전자기기
KR100722338B1 (ko) 전자기기
KR100718175B1 (ko) 전자기기
JP5344247B2 (ja) 電子機器
US7755882B2 (en) Housing assembly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assembly
JP5062314B2 (ja) 電子機器
EP1701239A2 (en) Portable display apparatus
US20070291460A1 (en) Expansion card for thin type computer
JP5250702B2 (ja) 電子機器
US20110075346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N217467260U (zh) 一种光模块
CN102640224A (zh) 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