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3302A - 지에스엠 단말기의 인증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지에스엠 단말기의 인증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3302A
KR20070023302A KR1020050077758A KR20050077758A KR20070023302A KR 20070023302 A KR20070023302 A KR 20070023302A KR 1020050077758 A KR1020050077758 A KR 1020050077758A KR 20050077758 A KR20050077758 A KR 20050077758A KR 20070023302 A KR20070023302 A KR 200700233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thentication
gsm terminal
terminal
information
gs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77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70313B1 (ko
Inventor
김대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777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0313B1/ko
Priority to CNA2006100991601A priority patent/CN1921661A/zh
Publication of KR200700233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33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03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03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53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an additional device, e.g. smartcard, SIM or a different communication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GSM 단말기의 인증에 관한 것으로, 특히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 카드를 장착하여 사용하는 GSM 단말기의 인증을 인증서버를 이용하여 처리하여 GSM 단말기를 해킹으로부터 보호하여 사업자 뿐만 아니라 이동통신 서비스의 사용자를 보호하는 GSM 단말기의 인증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GSM 단말기의 전원이 켜진 후에 지정된 번호로 단말기와 SIM 카드의 정보를 단문메시지를 이용하여 전송하거나 지정된 인증서버로 IMSI, GSM 단말기의 인증정보와 필요한 시큐리티 정보를 SMS로 전송하고 이를 수신한 인증서버에서는 인증 과정을 거쳐서 정상 여부를 GSM 단말기로 재전송하여, 비정상인 경우 단말기의 전원을 오프하도록 하거나 사용 제한하여 불법적인 해킹으로 이동통신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을 예방하는 GSM 단말기의 인증 처리 방법이다. 또한, 본 발명은 GSM 단말기에 인스톨된 소프트웨어 CRC를 계산하여 해당 정보를 단문메시지를 이용하여 인증서버로 전송하여 불법적인 소프트웨어의 설치 여부 정보를 체크할 수 있는 GSM 단말기의 인증 처리 방법이다.
인증서버, IMSI, 단말 정보, SIM 카드.

Description

지에스엠 단말기의 인증 처리 방법 {A method of processing authentication for GSM station}
도 1은 본 발명의 GSM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GSM 단말기에서 GSM 이동통신 망에 구비된 인증서버와의 인증을 처리하는 동작 순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GSM 단말기 자체에서의 인증을 처리하는 동작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22 : GSM 단말기 24 : 노드-B
26 : RNC 28 : MSC
30 : 인증서버
본 발명은 GSM 단말기의 인증에 관한 것으로, 특히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 카드를 장착하여 사용하는 GSM 단말기의 인증을 인증서버를 이용하여 처리하여 GSM 단말기를 해킹으로부터 보호하여 사업자 뿐만 아니라 이동통신 서비스의 사용자를 보호하는 GSM 단말기의 인증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은 1982년 CEPT (Coference of European Posts and Telegraphs)에서 범유럽용 이동통신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해 GSM(Group Special Mobile)을 조직하였다.
GSM 시스템은 높은 음성 품질, 저렴한 사용 요금, 국제로밍(International Roaming) 지원 , 새로운 서비스 지원, ISDN과의 호환성을 만족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GSM의 가장 기본적인 서비스는 텔레폰(Telephony)서비스라고 볼수 있으며 다른 디지탈 통신과 마찬가지로 음성은 디지탈로 인코딩되어 디지탈 비트열의 형태로 전송된다.
GSM이 지원하는 서비스 중에는 응급서비스(Emergency Service)가 있는데 가입자는 세자리의 전화번호를 이용해 긴급호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무료로 통화할 수 있다. GSM은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ISDN(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PSPDN(Packet Switched Public Data Network), CSPDN(Circuit Switched Public Data Network)에 접속되어 최대 9600bps로 통신을 할수 있으며 이때 X.25 또는 X.32등 다양한 프로토콜을 사용할 수 있다. GSM이 ISDN이나 다른 디지탈 망과 접속시에 별도의 모뎀이 필요치 않지만 아날로그 POTS와 접속시에는 오디오 모뎀(audio Modem)이 필요하다. 이외에 G3 팩스, SMS(Short Message Service) 기능을 지원한다. SMS는 양방향의 단문 전송 서비스로 최대 160 바이트(byte)까지 전송할 수 있다.
GSM 단말기에는 단말 장치와 스카트 카드(Smart Card)의 일종인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을 구비한다. SIM은 개인의 이동성을 제공하는 것으로 사용자는 자신의 단말기가 아니더라도 SIM만 넣으면 다른 단말기도 사용이 가능하다. 단말기는 각각 고유의 IMEI(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를 가지고 있다.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는 SIM에 저장되어 있으며 시스템에 접속시 인증용으로 사용된다. 다시말하면 IMEI와 IMSI는 GSM에서 개인의 이동성을 보장하기 위한 것이다. SIM 카드(Card)는 PIN(Personal Identity Number)로 보호되는데 이 PIN은 4자리의 숫자로 조합된 코드이며 GSM 망 접속시 필요하다.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카드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사용할 수 있는 카드 형태의 모듈로 가입자의 인증, 과금, 보안 기능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개인 정보를 저장한 칩이다. 부호 분할 다중 접속(CDMA) 방식이나 전 지구적 이동 통신 시스템(GSM) 방식 등 기술 규격에 관계없이 어느 지역에서나 자신의 전화번호로 자유롭게 이동 전화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일정 금액의 가입자 식별 모듈 카드는 통화할 때마다 요금이 삭감되고, 재충전해서 사용할 수 있다. 제3세대 이동 통신인 범용 이동 통신 시스템(UMTS)용의 가입자 식별 모듈은 범용 가입자 식별 모듈(USIM)이라고도 한다.
종래의 경우 GSM 단말기의 메모리(플래시)에 락(Lock) 관련 정보를 저장하고 이를 이용하여 락(Lock)과 언락(Unlock) 상태를 확인하거나 여러 개의 MNC(Mobile Network Code)/MCC(Mobile Country Code)를 메모리가 가지고 있어서 다중 락(multi Lock)을 제공하고 있다.
GSM 단말기가 출시될 때 락(Lock) 관련 플래그가 인에이블(Enable) 상태로 출시되고 정상적인 절차를 통해서 단말을 언락(Unlock)하여 어느 SIM 카드라도 사용가능 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락(lock) 상태는 하나의 SIM 카드를 장착하여 이동통신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을 의미하며, 언락(Unlock) 상태는 어느 SIM 카드를 장착하여도 이동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통상 GSM 단말기 사용자는 이동통신 서비스 업체에 등록 등을 하여 SIM 카드를 발급을 받고, 사용자는 단말기를 구입하여 이동통신 서비스를 이용한다.
그러나 현재 GSM 단말기가 팔리게 된 후 해커(illegal Unlock hacker)에 의해 언락(Unlock) 상태로 만드는 경우 등록하지 않은 SIM 카드를 장착하여 이동통신 서비스를 이용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이동통신 단말기의 락 시큐리티(Lock security)를 단순히 플래시 메모리에 기록 저장하는 것만으로는 극히 취약하기 때문이다.
종래의 GSM 이동통신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기는 서버와의 인증절차는 없으므로, 단말기를 해킹하여 사용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GSM 단말기의 시큐리티 관련 정보는 단말기에만 기록 저장되므로 이를 언락하여 불법적으로 매매되는 사례가 빈번하므로 이에 대한 대응책이 절실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GMS용 GSM 단말기의 인증 절차를 단말기 자체에서만 처리하지 않고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서버에서 처리하도록 하여 해킹을 예방하는 GSM 단말기의 인증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해커들이 GSM 단말기를 해킹하여도 이동통신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서버에서 인증과정을 거쳐야 하므로 불법적으로 사용할 수 없도록 차단하는 GSM 단말기의 인증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GSM 단말기의 전원이 켜진 후에 지정된 번호로 단말기와 SIM 카드의 정보를 단문메시지를 이용하여 전송하거나 지정된 인증서버로 IMSI, IMEI(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 GSM 단말기의 인증정보와 필요한 시큐리티 정보를 SMS로 전송하고 이를 수신한 인증서버에서는 인증 과정을 거쳐서 정상 여부를 GSM 단말기로 재전송하여, 비정상인 경우 단말기의 전원을 오프하도록 하거나 제한하여 불법적인 해킹으로 이동통신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을 예방하는 GSM 단말기의 인증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GSM 단말기에 인스톨된 소프트웨어 CRC를 계산하여 해당 정보를 단문메시지를 이용하여 인증서버로 전송하여 불법적인 소프트웨어의 설치 여부 정보를 체크할 수 있는 GSM 단말기의 인증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GSM 단말기의 인증 처리 방법은, GSM 단말기의 전원이 켜지면 인증정보를 지정 번호나 인증서버로 단문메시지를 이용하여 페이징 채널로 전송하는 1단계와, 상기 인증서버에서 상기 GSM 단말기의 등록 정보와 상기 단문메시지로 수신된 인증정보를 비교 파악하여 인증을 처리하는 2단계와, 상기 인증서버에서 인증 결과를 상기 GSM 단말기로 페이징 채널로 송신하는 3단계와, 인증결과에 의하여 상기 GSM 단말기가 동작하는 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1단계에서 상기 GSM 단말기는 인스톨된 소프트웨어의 CRC를 계산하여 단문메시지로 전송하면 상기 인증서버에서 등록된 소프트웨어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소프트웨어의 불법 설치 여부를 파악하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3단계에서 상기 GSM 단말기는 상기 인증 결과가 비정상인 경우에는 상기 GSM 단말기의 전원을 오프시키거나 상기 GSM 단말기의 사용을 제한시키는 단계와, 상기 인증 결과가 정상인 경우 정상적으로 상기 GSM 단말기를 동작시키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인증정보는 상기 GSM 단말기의 인증 관련 정보와 장착된 SIM 카드에 있는 IMSI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IMSI 정보는 국가 코드, 네트워크 코드, 가입자 식별 번호와 국가 이동 가입자 식별 번호를 포함하고, 상기 IMEI 정보 는 단말기를 고유하게 식별하는 형식 승인 코드, 최종 조합 코드, 일련 번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GSM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GSM 단말기에서 이동통신 망에 구비된 인증서버와의 인증을 처리하는 동작 순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GSM 단말기 자체에서의 인증을 처리하는 동작 순서도이다.
GSM 이동통신 시스템은 제3세대 무선통신 시스템으로 음성 및 모뎀, 팩스 뿐만 아니라 멀티미디어 등의 통합 데이터 서비스를 고속으로 제공한다.
서비스는 크게 음성과 데이터 서비스로 나눌 수 있으며, 외부망과의 음성 서비스에 대한 규격은 3GPP TS 25.415에 정의되어 있고, 외부망과의 데이터 서비스에 대한 규격은 3GPP TR 23.910에 정의되어 있다.
GSM망은 제 3세대 이동통신망으로 크게 PSTN/ISDN과 데이터 처리하는 CS(Circuit Switch domain) 영역과, 무선인터넷이나, IMS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IP 데이터를 처리하는 PS 영역(Packet Switch domain)으로 구분한다.
도 1에는 GSM 단말기(22)와 Uu 인터페이스로 통신하는 노드-B(24)와, 노드-B(24)를 제어하고 사용자가 GSM 단말기(22)로 인터넷이나 인트라넷 서비스를 위해 패킷서비스(Packet Service)를 선택시에는 GPRS 망의 SGSN(32)과 Iu 인터페이스로 연결시키고, 사용자가 회선서비스(Circuit service)를 선택시에는 MSC(28)와 연결시켜 타 공중망(PLMN, PSDN)이나 수신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화할 수 있도록 하는 RNC(26)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에는 RNC(26)와 연결되고 GPRS 망을 구성하는 핵심 노드로 고속, 저속의 패킷 데이터와 신호를 효율적으로 전달하는 SGSN(32)과, SGSN(32)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인터넷이나 다른 패킷 교환망과 정합하고 게이트웨이 역할을 하는 GGSN(34)을 나타내고 있다.
교환기(28)에는 본 발명의 인증서버(30)가 구비되고, 인증서버(30)는 이동통신망의 다른 위치로 변경 가능하다.
인증서버(30)는 GSM 단말기에서 전송되는 IMSI, IMEI와 단말 정보를 수신하여 이에 대한 인증을 처리하고 응답하고, GSM 단말기는 인증이 처리되는 경우 정상적인 사용을 하고, 인증에 실패한 경우에는 전원이 오프되거나 사용 제한이 된다.
인증서버(30)에는 사용자의 GSM 단말기와 SIM 카드에 해당하는 인증 정보가 기록 저장되고 이를 바탕으로 SMS로 수신되는 인증정보의 인증을 처리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GSM 단말기에서 이동통신 망에 구비된 인증서버와의 인증을 처리하는 동작 순서도로, 먼저 GSM 단말기(22)의 전원이 켜지면, GSM 단말기(22)는 단말기의 정보와 SIM 카드의 정보를 단문메시지로 지정된 번호나 인증서버(30)로 전송을 한다(S50~S52).
인증정보로는 IMEI(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 IMSI, 소프트웨어 CRC 계산 정보가 포함된다.
IMEI(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는 서로를 고유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단말기에 할당된 식별 번호로 형식 승인 코드, 최종 조합 코드 및 일련 번호를 포함하여 15자리로 구성된다.
IMSI(International Mobile Station Identity) 정보는 고유의 15자리 식별 번호 정보로 이동 국가 코드, 이동 네트워크 코드, 이동 가입자 식별 번호 및 국가 이동 가입자 식별 번호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인증서버(30)나 지정된 GSM 망의 인증센터 등에서는 수신되는 GSM 단말기(22)의 정보와 장착된 SIM 카드의 정보, 소프트웨어 정보 등을 수신하여 인증작업을 처리한다(S54).
인증서버(30)에는 사용자의 GSM 단말기와 SIM 카드에 해당하는 인증 정보가 기록 저장되고 이를 바탕으로 SMS로 수신되는 인증정보의 인증을 처리한다.
인증작업을 수행한 후에는 결과값을 GSM 단말기(22)로 전송을 하고, 인증에 성공한 경우 해당 단말기는 정상 사용을 계속하고, 인증에 실패한 경우에는 해당 UE 단말기의 전원이 꺼지거나 제한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S56).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GSM 단말기(22)의 전원이 켜진 후에 지정된 번호나 인증서버로 단문메시지를 이용하여 IMSI, IMEI, 단말기 정보, 소프트웨어 정보를 SMS로 전송하고, 인증서버(30)는 수신한 정보를 통하여 인증 과정을 거친다.
인증서버에서 인증 과정을 거친 이후에는 인증 패스 여부 정보를 다시 GSM 단말기로 전송을 하고, GSM 단말기는 이를 해석하여 현재 상태가 정상적인 사용 상태인지 아니면 비정상적인 사용인지를 확인하고 적절한 동작을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GSM 단말기 자체에서의 인증을 처리하는 동작 순서도이다.
GSM 단말기(22)의 전원이 켜지면, GSM 단말기는 장착된 SIM 카드에서 국제 이동국 식별번호인 IMSI(International Mobile Station Identity) 정보, IMEI 정보 와 해당 단말기에 인스톨된 소프트웨어 CRC(cyclic redundancy check)를 계산하여 GSM 망의 인증서버(30)로 전송을 한다.
IMSI(International Mobile Station Identity) 정보는 고유의 15자리 식별 번호 정보로 이동 국가 코드, 이동 네트워크 코드, 이동 가입자 식별 번호 및 국가 이동 가입자 식별 번호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S60~S64).
GSM 이동통신 망의 교환기(28)에 연결된 인증서버(30)에서를 해당 GSM 단말기(22)에서 전송하는 IMSI 정보와 소프트웨어 CRC 정보 등을 수신하여 해당 GSM 단말기(22)의 인증을 처리를 한다(S70).
인증서버(30)는 현재 수신된 IMSI, IMEI 정보와 GSM 단말기 정보가 비정상적인 경우에는 인증 에러 신호를 송신하고, 해당 GSM 단말기(22)의 전원이 오프되거나 제한적으로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정상적으로는 사용할 수 없도록 한다(S72).
인증서버(30)는 현재 수신된 IMSI, IMEI 정보와 GSM 단말기 정보가 정상적으로 등록된 경우에는 인증 응답신호를 전송을 하여 GSM 단말기는 정상적으로 사용을 한다(S 74).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GSM 단말기(22)가 온(on) 된 후 지정된 번호로SMS를 전송하거나 지정된 인증서버(30)로 IMSI, 단말기 정보, 소프트웨어 정보를 SMS를 이용하여 전송하고 이를 수신한 인증서버는 수신한 정보를 통하여 인증 과정을 거친다.
인증서버에서 인증 과정을 거친 이후에는 인증 패스 여부 정보를 다시 GSM 단말기로 전송을 하고, GSM 단말기는 비정상인 경우에는 단말기의 전원을 오프시키거나 또는 제한적인 사용만을 하도록 하며, 정상인 경우에는 해당 단말기는 정상 동작한다.
종래의 경우 GSM 단말기에서 자체적으로 SIM 카드의 정보를 읽고 SIM이 허용된 것인지를 확인하는 방식만을 사용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동통신 서비스 사업자의 인증서버와 연동하여 이를 제어 할 수 있기 때문에 단말만을 해킹(hacking) 하여 락(Lock)을 해킹(hacking) 할 수가 없으며 정상적으로 요청된 단말만이 사용되어 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SMS를 이용하여 인증절차를 처리하는 것으로 소프트웨어의 의 불법 수정 등과 같은 경우도 CRC 체크 방식으로 해당 정보를 인증서버에 전송하고 이에 대한 인증 결과를 확인하는 방식으로도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파워 온 이후에 락에 대한 인증과 퍼서널라이제이션(personalization)을 처리하는 것이 또 다른 점이라고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이동통신 사업자의 요구대로 원하는 SIM 카드만을 사용하도록 할 수 있으며, 정상적인 절차를 거쳐서 언락(Unlock)을 요구하는 경우에도 이에 대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GSM 단말기의 전원이 켜진 후에 지정된 번호로 단말기와 SIM 카드의 정보를 단문메시지를 이용하여 전송하거나 지정된 인증서버로 IMSI, GSM 단말기 의 인증정보와 필요한 시큐리티 정보를 SMS로 전송하고, 인증 과정을 거쳐서 비정상인 경우 단말기의 전원을 오프하도록 하거나 제한하여 불법적인 해킹으로 이동통신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소프트웨어 CRC를 계산하여 해당 정보를 단문메시지를 이용하여 인증서버로 전송하여 불법적인 소프트웨어의 설치 여부 정보를 체크할 수 있으며, 다른 서비스에서도 응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GSM 단말기의 전원이 켜지면 인증정보를 지정된 번호나 인증서버로 단문메시지를 이용하여 페이징 채널로 전송하는 1단계와;
    상기 인증서버에서 상기 GSM 단말기의 등록 정보와 상기 단문메시지로 수신된 인증정보를 비교 파악하여 인증을 처리하는 2단계와;
    인증을 처리하여 상기 인증서버에서 인증 결과를 상기 GSM 단말기로 페이징 채널로 송신하는 3단계와;
    상기 인증결과에 의하여 상기 GSM 단말기가 동작하는 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SM 단말기의 인증 처리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1단계에서 상기 GSM 단말기는 인스톨된 소프트웨어의 CRC를 계산하여 단문메시지로 전송하면 상기 인증서버에서 등록된 소프트웨어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소프트웨어의 불법 설치 여부를 파악하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GSM 단말기의 인증 처리 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4단계에서 상기 GSM 단말기는 상기 인증 결과가 비정상인 경우에는 상기 GSM 단말기의 전원을 오프시키거나 상기 GSM 단말기의 사용을 제한시키는 단계와;
    상기 인증 결과가 정상인 경우 정상적으로 상기 GSM 단말기를 동작시키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GSM 단말기의 인증 처리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정보는 상기 GSM 단말기의 인증 관련 정보와 장착된 SIM 카드에 기록된 IMSI, IMEI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SM 단말기의 인증 처리 방법.
  5.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IMSI 정보는 국가 코드, 네트워크 코드, 가입자 식별 번호와 국가 이동 가입자 식별 번호를 포함하고,
    상기 IMEI 정보는 단말기를 고유하게 식별하는 형식 승인 코드, 최종 조합 코드, 일련 번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SM 단말기의 인증 처리 방법.
KR1020050077758A 2005-08-24 2005-08-24 지에스엠 단말기의 인증 처리 방법 KR1007703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7758A KR100770313B1 (ko) 2005-08-24 2005-08-24 지에스엠 단말기의 인증 처리 방법
CNA2006100991601A CN1921661A (zh) 2005-08-24 2006-07-31 Gsm终端的认证处理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7758A KR100770313B1 (ko) 2005-08-24 2005-08-24 지에스엠 단말기의 인증 처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3302A true KR20070023302A (ko) 2007-02-28
KR100770313B1 KR100770313B1 (ko) 2007-10-25

Family

ID=37779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7758A KR100770313B1 (ko) 2005-08-24 2005-08-24 지에스엠 단말기의 인증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770313B1 (ko)
CN (1) CN192166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13456A (zh) * 2011-09-02 2012-04-11 中国电信股份有限公司 基于运营网络的用户终端防盗方法、装置和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765113A (zh) * 2009-12-18 2010-06-3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数据卡防盗用系统及方法
CN102196438A (zh) * 2010-03-16 2011-09-21 高通股份有限公司 通信终端标识号管理的方法和装置
CN102843669B (zh) * 2012-08-17 2019-03-1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数据访问方法和装置
US9813976B2 (en) 2016-02-09 2017-11-07 T-Mobile Usa, Inc. Detection of a delinquent mobile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6980A (ko) * 2003-06-10 2004-12-2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Cdma망에서의 gsm 가입자의 위치 등록 방법
KR100557132B1 (ko) * 2003-10-07 2006-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개인 정보 보호를 위한 이동 단말기 및 그 방법
KR20050058653A (ko) * 2003-12-12 2005-06-17 (주)제이엘원 이동통신 단말기의 인증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13456A (zh) * 2011-09-02 2012-04-11 中国电信股份有限公司 基于运营网络的用户终端防盗方法、装置和系统
CN102413456B (zh) * 2011-09-02 2014-11-19 中国电信股份有限公司 基于运营网络的用户终端防盗方法、装置和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0313B1 (ko) 2007-10-25
CN1921661A (zh) 2007-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00629B1 (ko) 코드분할다중접속방식 서비스지역에서 심카드를 사용하기 위한시스템 및 방법
Willassen Forensics and the GSM mobile telephone system
EP156239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tting use restriction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7447765B2 (en) Packet filtering for emergency access in a packet data network communication system
US6928558B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reliably identifying a user in a computer system
US6681111B2 (en) Roaming service system for GSM service subscriber in CDMA service area, and method for registering locations and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and short messages using the system
US6427073B1 (en) Preventing misuse of a copied subscriber identity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U758451B2 (en) Subscriber validation method in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US2002014275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nonymous network access in the absence of a mobile subscriber identity module
EP1867188B1 (en) Subscriber identity module and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using such module
EP2763441A1 (en) Self provisioning of wireless terminals in wireless networks
US6957060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a call in a cellular mobile network
KR101059794B1 (ko) 단말기의 불법 사용을 제한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KR100905072B1 (ko) 강제 재위치 등록에 의한 도난 단말 사용 저지 방법 및시스템
US20030148791A1 (en) Cdma terminal for providing roaming service to gsm service subscriber in cdma service area
KR100770313B1 (ko) 지에스엠 단말기의 인증 처리 방법
IL179003A (en) Method and system for storing WLAN-I temporary identities
KR100627726B1 (ko) Usim 카드의 단말 이동에 따라 고객의 단말 정보를변경하여 관리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9990063908A (ko) 단축 코드 다이얼링 장치 및 전기통신 링크 설치 방법
US8874169B2 (en) Method for the configuration of a communication device as well as a communication device
US20110190006A1 (en) Minimizing the signaling traffic for home base stations
KR101060898B1 (ko) 이종망간의 호 처리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974310B1 (ko) 가입자 정보 및 단말 정보에 따른 망 사용 권한 부여를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449756B1 (ko) 이동통신가입자에게 유선 전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통신 시스템
EP1609263A2 (en) Packet filtering for emergency access in a packet data network communic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