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4310B1 - 가입자 정보 및 단말 정보에 따른 망 사용 권한 부여를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가입자 정보 및 단말 정보에 따른 망 사용 권한 부여를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4310B1
KR100974310B1 KR1020080040768A KR20080040768A KR100974310B1 KR 100974310 B1 KR100974310 B1 KR 100974310B1 KR 1020080040768 A KR1020080040768 A KR 1020080040768A KR 20080040768 A KR20080040768 A KR 20080040768A KR 100974310 B1 KR100974310 B1 KR 1009743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criber
terminal
information
network
gra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07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4895A (ko
Inventor
최종윤
김낙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800407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4310B1/ko
Publication of KR200901148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48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43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4310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입자 정보 및 단말 정보에 따른 망 사용 권한 부여를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해외 가입자가 국내에서 로밍을 사용하는 경우, 단말 정보에 따라 망 사용 권한을 부여할 수 있는 가입자 정보 및 단말 정보에 따른 망 사용 권한 부여를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입자 정보 및 단말 정보에 따른 망 사용 권한 부여를 위한 방법은, 가입자 단말로부터 가입자 정보 및 단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가입자 정보로부터 상기 가입자가 해외 가입자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상기 해외 가입자인 경우 상기 단말 정보를 근거로 하여 망 사용 권한을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WCDMA, IMSI, IMEI, EIR

Description

가입자 정보 및 단말 정보에 따른 망 사용 권한 부여를 위한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permitting the use of network based on subscriber information and user equipment information}
본 발명은 가입자 정보 및 단말 정보에 따른 망 사용 권한 부여를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해외 가입자가 국내에서 로밍을 사용하는 경우, 단말 정보에 따라 망 사용 권한을 부여할 수 있는 가입자 정보 및 단말 정보에 따른 망 사용 권한 부여를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 통신 서비스의 보편화와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들의 등장, 고품질 서비스의 출현 등 통신 서비스에 대한 요구가 급속히 증대되고 있다. 이동통신에 있어서는 이동통신 음성 통화 서비스의 가입자의 수요는 포화상태에 다다르고 있으나, 계속적인 다양한 부가 서비스가 개발됨에 따라 이에 가입하는 가입자의 수는 증가하고 있다.
이와 함께, 2세대 이동통신인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과 3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인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통신망에서는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 카드 및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카드가 단말에 장착되어 단말 이동성이 지원되고 있다.
여기서, 단말 이동성이란 사용자는 자신의 가입자 정보를 포함하는 USIM 카드를 3세대 또는 차세대 이동통신 서비스를 지원하는 임의의 단말에 장착함으로써, 사용자의 현재 사용 중인 단말이 변경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이 고정된 것이 아니라, 가입자 정보를 저장하는 USIM 카드가 장착되는 단말에 따라 단말 이동성을 가질 수 있다.
SIM 카드 및 USIM 카드는 WCDMA 단말기에 삽입되는 스마트 카드로, 사용자 인증, 글로벌 로밍, 전자 상거래 등 다양한 기능을 포함하는 카드이다. 단말 이동성이 지원되는 환경하에서는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자신의 SIM 카드 및 USIM 카드를 사용함으로써 빈번히 단말의 변경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에는 각 단말의 하드웨어적인 사양에 의존하여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또는 USIM 카드를 확장한 범용 IC 카드인 UICC(Universal IC Card)에 의하여 단말 이동성을 지원할 수 있다.
따라서, 3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인 WCDMA에서는 가입자 정보와 단말 정보를 동일시할 수 없게 되었고, 네트워크 사업자의 정책에 따라 가입자 정보와 단말 정보를 모두 고려해야하는 상황이 생기게 되었다.
이러한 상황 중 하나로써, 해외에서 로밍을 해 온 사용자가 국내 네트워크에 별도의 등록 없이 자동 로밍을 하는 경우가 생길 것이고, 이들은 국내 가입자와는 다른 처리가 필요하게 된다. 즉, 국내 네트워크 사업자는 자사에서 관리하는 단말들에 대해서만 망 사용 권한을 부여하고 있고, 그 외의 단말에 대해서는 망 사용 권한을 부여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해외 가입자에 대한 망 사용 권한을 부여할 수 있는 처리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해외 가입자에 대하여 단말 정보를 통해 합법적인 단말일 경우, 망 사용 권한을 부여하는 가입자 정보 및 단말 정보에 따른 망 사용 권한 부여를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가입자 정보 및 단말 정보에 따른 망 사용 권한 부여를 위한 방법은, 가입자 단말로부터 가입자 정보 및 단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가입자 정보로부터 상기 가입자가 해외 가입자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상기 해외 가입자인 경우 상기 단말 정보를 근거로 하여 상기 가입자 단말에 망 사용 권한을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입자 정보 및 단말 정보에 따른 망 사용 권한 부여를 위한 장치는, 가입자 단말로부터 가입자 정보 및 단말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 상기 가입자 정보로부터 상기 가입자가 해외 가입자인지를 판단하는 가입자 정보 판단부, 및 상기 판단 결과, 상기 해외 가입자인 경우 상기 단말 정보를 근거로 하여 상기 가입자 단말에 망 사용 권한을 부여하는 망 사용 권한 부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입자 정보 및 단말 정보에 따른 망 사용 권한 부여를 위한 방법 및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단말과 USIM에 사용 권한 설정을 하지 않고도 해외 가입자에 대한 망 사용 권한 부여가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 권한 설정을 위한 개발 사항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해외 네트워크 사업자가 제공하는 단말을 통해 국내에서 로밍을 사용하는 경우, 별도의 구성 요소를 추가하지 않고 망 사용 권한을 부여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타 네트워크 사업자가 제공하는 단말이거나 단말 제조사가 다른 경우에도 자체 장비만으로도 가입자의 망 사용 권한을 제어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 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UMTS 통신망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UMTS 통신망은 가입자 단말(10), 무선 접속망(UTRAN; UMTS Terrestrial RAN, 20) 및 무선 접속망에 연결되며 외부망(40)과의 접속에 응답하는 코어망(Core Network, 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UMTS 통신망을 공중 육상 이동 통신망(PLMN; Public Land Mobile Network)라 한다.
가입자 단말(10)은 무선 통신에 사용되는 기기뿐만 아니라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한 개인 휴대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컴퓨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가입자 단말(10)은 고정되거나 이동성을 가질 수 있으며, MS(Mobile Station), UT(User Terminal), SS(Subscriber Station), 무선 기기(Wireless Device) 등과 같은 용어로 불릴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가입자 단말(10)은 Uu 인터페이스를 거쳐 무선 통신을 위해 사용되는 단말 기기(User Equipment, 이하 'UE'라 함)(13) 및 가입자를 확인하고, 인증 알고리즘을 수행하며, 가입자 단말(10)에서 필요로 하는 인증 및 암호 키와 가입자 정보를 저장하는 가입 인증 모듈(UMTS Subscriber Identity Module, 이하 'USIM'이라 함)(17)을 포함한다. 여기서, Uu 인터페이스는 WCDMA 이동 통신에서의 무선 인터페이스이며, USIM(17)는 UE(13)에 착탈이 가능하다.
무선 접속망(RAN: Radio Access Network, 20)은 WCDMA를 지원하기 위해 3GPP 규격의 무선 접속 규격을 수용한 기지국(22) 및 기지국 제어기(RNC: Radio Network Controller)(24)를 포함한다. 무선 접속망(20)은 가입자 단말(10)로부터의 호 요청 신호 등을 코어망(30)으로 전송한다.
기지국(22)은 기지국 제어기(24)에서 전달된 제어 정보에 따라 가입자 단말(10)과 데이터 교환에 필요한 무선 물리채널을 설정하고, 상위 계층 프로토콜로부터 전달된 데이터들을 무선 환경에 맞게 가입자 단말(10)로 전송한다. 이와 함께, 가입자 단말(1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기지국 제어기(24)의 상위 계층 프로토콜로 전달한다. 기지국(22)은 무선 구간에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하여 채널 코딩, 인터리빙, 변조와 복조 등 다양한 무선접속기술을 지원한다. 기지국(22)은 일반적으로 가입자 단말(10)과 통신하는 고정된 지점(fixed station)을 말하며, 노드-B(node-B),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등과 같은 용어로 불릴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기지국 제어기(24)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무선 자원을 동적으로 할당하며, 기지국(22)을 제어한다. 기지국 제어기(24)는 유무선 채널 관리, 이동 통신 가입자 단말(10)의 프로토콜 정합, 기지국의 프로토콜 정합. 소프트 핸드오프(Soft Handoff) 처리, 코어망(30)과의 프로토콜 정합,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접속, 장애 관리, 시스템 로딩(Loading) 등과 같은 기능을 담당한다. 기지국 제어기(24)는 코어망(30)을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들에 대한 접속점(Access point) 역할을 한다.
회선 교환기(Mobile Switching Center, 31)는 기지국(22)에서 착신 또는 발신되는 신호를 전달하며, 이동 통신 가입자 상호 간의 교환, 이동 통신 가입자와 PSTN, ISDN 등의 고정망 가입자와의 교환 기능을 제공한다. 회선 교환기(31)는 기본 및 부가 서비스를 처리하고, 기존 망 또는 타망과 연동하여 이동통신 가입자 단말(10)의 착발 신호를 처리하며, 위치 등록 및 핸드오프를 처리한다.
회선교환 게이트웨이(GMSC; 32)는 회선 교환기(31)를 통하여 외부망(40)과 연결되는 지점에서의 게이트웨이(Gateway)이다. 모든 회선교환 접속은 회선교환 게이트웨이(32)를 거쳐서 이루어진다.
회선 교환기(31)와 회선교환 게이트웨이(32)를 포함하여 회선 교환부(100)로 칭할 수 있고, 회선 교환부(100)는 회선교환 접속을 통하여 가입자 단말(10)과의 통화로를 개설한다.
패킷교환 지원 노드는(SGSN; Serving GPRS Support Node, 35)은 GPRS 서비스를 위하여 사용자 단말(10)의 이동성 관리, 발/착신호 처리 절차 및 패킷 데이터의 송수신을 처리하기 위한 세션(Session) 관리, 인증 및 과금 기능 등을 지원한다. 또한, 패킷 데이터의 라우팅 처리 기능을 가진다.
패킷 교환 게이트웨이(GGSN; Gateway GPRS Support Node, 36)는 GPRS의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고속의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IP(Internet Protocol) 기반 패킷망의 서빙 노드(Serving Node)로서,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위하여 세션을 관리하고 패킷 데이터의 라우팅 처리 기능을 하며 WDCMA망과 인터넷 망을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패킷교환 지원 노드(35)와 패킷 교환 게이트웨이(36)를 포함하여 패킷 교환부(200)로 칭할 수 있다. 패킷 교환부(200)는 사용자 단말(10)의 데이터 송수신에 있어 패킷(Packet) 단위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한다.
외부망(40)은 회선교환부(100) 또는 패킷교환부(200)를 통하여 외부로 연결되는 망이다. 회선교환부(100)는 음성 통화 등 회선(circuit)의 송수신에 관련된다. 회선교환부(100)는 공중 교환 전화망(PSTN), 종합 정보 통신망(ISDN: 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또는 공중 육상 이동 통신망(PLMN)일 수 있다. 패킷교환부(200)는 패킷(Packet)의 송수신에 관련된다. 패킷교환부(200)는 인터넷(Internet)과 같은 IP(Internet Protocol)망일 수 있다.
홈 위치 등록기(HLR: Home location register, 52)는 가입자의 위치 정보를 저장 관리하며, 인증센터(AuC)는 인증 벡터를 생성하며 가입자 인증 기능을 수행한다. 일반적으로 인증센터(AuC)는 홈 위치 등록기(52)와 같이 맞물려 있고 이들은 상호간의 정보 교환을 할 수 있다.
기기 식별 등록기(EIR: Equipment Identity Register, 50)는 가입자 단말(10)의 하드웨어와 관련된 식별 정보를 체크 또는 관리한다. 기기 식별 등록기(50)는 도난 및 분실된 단말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가입자 인증 및 위치 등록 요청시 회선 교환기(31)로부터 수신된 단말 정보와 미리 저장된 단말 정보를 비교 하여 해당 가입자 단말(10)에 대한 도난 및 분실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기기 식별 등록기(50)에는 도난 및 분실된 단말기의 정보를 블랙리스트(Black List)로 저장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입자 정보 및 단말 정보에 따른 망 사용 권한 부여를 위한 장치가 도시된 블록도이다. 이때, 도 2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전술한 도 1과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전술한 도 1과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입자 정보 및 단말 정보에 따른 망 사용 권한 부여를 위한 장치(300)는, 가입자 단말(10)로부터 가입자 정보 및 단말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310), 수신된 가입자 정보에 포함된 가입자의 국적 및 네트워크 사업자 정보 등을 통해 가입자가 해외 가입자인지를 판단하는 가입자 정보 판단부(320), 및 판단된 가입자 정보에 따라 수신된 단말 정보를 근거로 하여 가입자 단말(10)의 망 사용 권한을 부여하는 망 사용 권한 부여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입자 정보 및 단말 정보를 이용한 망 사용 권한 부여를 위한 장치(300)는 전술한 도 1에서 단말 정보를 기기 식별 등록기(50)에서 관리하기 때문에 기기 식별 등록기(50)에 포함될 수도 있고, 별도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입자 정보 및 단말 정보에 따른 망 사용 권한 부여를 위한 장치(300)가 기기 식별 등록기(50)에 포함될 수 있는 것은, 일반적으로 가입자 정보 및 단말 정보의 인증이 필요한 시점에서 가입자 정보 및 단말 정보가 기기 식별 등록기(50)에 전달되는 것이 일반화되어 있기 때문이다. 또한, 기기 식별 등록기(50)는 원래 도난 등으로 인한 불법 단말을 처리하도록 하는 블랙리스트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타 네트워크 사업자 들과의 연계를 통하여 블랙리스트를 업데이트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입자 정보 및 단말 정보에 따른 망 사용 권한 부여를 위한 장치(300)가 기기 식별 등록기(50)에 포함될 수 있는 것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술한 바와 같이 별도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입자 정보 및 단말 정보에 따른 망 사용 권한 부여를 위한 장치(300)는 해외 가입자가 해외에서 가입자 단말(10)를 사용하다가 국내에 들어와 자동 로밍을 사용할 경우 망 사용 권한을 부여하기 위한 장치로 이해될 수 있다. 이는 국내 가입자의 경우에는 국내 네트워크 사업자가 제공한 단말을 사용하는 경우에만 망 사용 권한이 부여되고, 해외 네트워크 사업자가 제공한 단말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망 사용 권한을 부여하지 않는 반면, 해외 가입자가 국내에 들어와 자동 로밍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당연히 해외 네트워크 사업자가 제공한 단말을 사용하기 때문에 가입자가 국내 가입자인지 해외 가입자인지에 따라 구분하여 망 사용 권한을 부여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입자 정보 및 단말 정보에 따른 망 사용 권한 부여를 위한 장치(200)는 단말을 제공한 네트워크 사업자가 국내 네트워 크 사업자나 해외 네트워크 사업자인 경우, 양자 모두 가입자 정보를 근거로 하여 망 사용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정보 수신부(310)는 가입자 단말(10)로부터 가입자 정보(IMSI; 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fy) 및 단말 정보(IMEI; 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fy)를 수신할 수 있다. 가입자 정보는 USIM(17)에 저장될 수 있으며, 단말 정보는 UE(13)에 저장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단말 정보로써, IMEI를 사용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가입자 단말(10)이 지원하는 서비스 정보를 포함한 IMEISV(International Mobile station Equipment Identify and Software Version Number)가 사용될 수도 있다.
이때, 가입자 정보는 3가지의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가입자 정보는 국가 코드(Mobile Country Code; MCC), 네크워크 사업자 코드(Mobile Network Code; MNC) 및 가입자 인증 넘버(Mobile Subscriber Identify Number, MSIN)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말 정보는 UE(13)마다 유일하게 사전 지정된 개수의 비트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가입자 정보에는 국가 코드, 네트워크 사업자 코드 및 가입자 인증 넘버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가입자 정보 판단부(320)에서 가입자 단말(10)의 가입자가 국내 가입자인지 해외 가입자인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국의 국가 코드는 450이므로, 가입자 정보는 "450(한국) XX(네트워크사업자) XXXXXXXX(가입자인증넘버)" 등과 같은 방법으로 구성될 수 있다.
가입자 정보 판단부(320)에서 가입자 정보에 근거하여 국내 가입자 또는 해외 가입자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게 되면, 망 사용 권한 부여부(330)에서는 국내 가입자 또는 해외 가입자에 따라 각각 망의 사용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이때, 망 사용 권한 부여부(330)는 해외 가입자의 경우에는 국내 네트워크 사업자 및 해외 네트워크 사업자간에 사전 지정된 정책에 포함되는 해외 가입자를 제외하고는 단말 정보를 근거로 하여 단말이 합법한 단말, 즉 블랙 리스트에 포함되지 않은 경우에는 국내에서의 망 사용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국내 가입자 및 해외 가입자에 대하여 망 사용 권한 부여를 각각 구분하여 설명하기로 하며, 먼저 국내 가입자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국내 가입자의 망 사용 권한 부여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이때, 도 3에서는 가입자 정보를 근거로 하여 가입자가 국내 가입자인지 해외 가입자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국내 가입자로 판단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국내 가입자의 망 사용 권한 부여 방법은, 먼저 가입자 정보 판단부(320)는 가입자 단말(10)의 가입자가 국내 가입자인 경우, 자사의 가입자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10).
자사의 가입자인 경우, 가입자 정보 판단부(320)는 가입자 정보와 단말 정보를 통해 기존에 등록된 가입자 정보 및 단말 정보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20). 즉, 가입자 정보 판단부(320)는 기존의 가입자 정보 및 단말 정보 조합 테이블을 참조하여, 적합한 가입자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또한, 가입자가 타사의 가입자인 경우에는 사전 지정된 절차에 따라 처리가 가능하다.
가입자 정보 판단부(320)는 S120단계의 판단 결과, 기존의 가입자 단말 및 단말 정보 조합이 없는 경우, 네트워크 사업자가 허용한 단말 즉, 자사가 제공한 단말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30). 이는 WCDMA에서는 가입자의 가입자 단말이 고정된 것이 아니라, 가입자 정보를 저장하는 USIM 카드가 장착되는 단말에 따라 단말 이동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가입자 정보와 단말 정보를 동일시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S130단계의 판단 결과, UE(13)가 자사가 제공한 단말인 경우, 망 사용 권한 부여부(330)는 가입자 단말(10)에 대하여 망 사용 권한을 부여하게 된다(S140).
만일, S130 단계에서 UE(13)가 자사가 제공한 단말이 아닌 경우에는, 망 사용 권한 부여부(330)는 가입자 단말(10)에 대하여 망 사용 권한을 제한하게 된다(S150).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외 가입자의 망 사용 권한 부여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이때, 도 4에서는 가입자 정보를 근거로 하여 가입자가 국내 가입자인지 해외 가입자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해외 가입자로 판단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외 가입자의 망 사용 권한 부여 방법은, 먼저 가입자 정보 판단부(320)는 정보 수신부(310)로 수신된 가입자 정보의 판단 결과, 해외 가입자인 경우 사전 지정된 정책에 속하는 해외 가입자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210).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전 지정된 정책이 란, 국내 네트워크 사업자와 해외 네트워크 사업자간에 특정한 가입자에 대하여 망 사용 권한을 부여할 것인지 제한할 것인지에 대하여 계약한 정책으로 이해될 수 있다. 따라서, 해외 가입자가 해외에서는 정상적으로 가입자 단말(10)을 사용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한 경우라 할지라도, 국내에서는 보안 등의 이유에 따라 망 사용 권한을 전부 제한하거나 일부만 제한하기로 국내 네트워크 사업자 및 해외 네트워크 사업자가 계약한 경우로 이해될 수 있다.
따라서, 국내 네트워크 사업자 및 해외 네트워크 사업자간에 사전 지정된 정책에 포함된 해외 가입자인 경우에는 사전 지정된 정책에 따라 처리를 수행하게 된다(S220).
만일, S210 단계의 판단 결과, 사전 지정된 정책에 포함되지 않은 해외 가입자의 경우에는 UE(13)가 불법 단말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23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가입자 정보 및 단말 정보에 따른 망 사용 권한 부여를 위한 장치(300)가 기기 식별 등록기(50)에 포함될 수도 있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기 때문에 불법 단말인지의 여부는 기기 식별 등록기(50)에 저장된 블랙 리스트를 참조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는, 가입자 정보 및 단말 정보에 따른 망 사용 권한 부여를 위한 장치(300)가 기기 식별 등록기(50)에 포함되어 있지 않다면, 불법 단말인지의 여부는 네트워크를 통해 메시지를 주고 받아, 기기 식별 등록기(50)에 질의하여 확인할 수 있다. 이 과정은 교환기를 통해 가입자의 매 호에 대해 기기 식별 등록기(50)에서 불법 단말인지 여부를 인증하고 있다면 생략할 수도 있다.
UE(13)가 블랙 리스트에 포함되지 않은 경우 망 사용 권한 부여부(330)는 사 업자의 망 사용 권한을 부여하게 된다(S240).
만일, S230단계에서 UE(13)가 블랙 리스트에 포함된 경우에 망 사용 권한 부여부(330)는 사업자의 망 사용 권한을 제한하게 된다(S250). 이때, UE(13)가 불법인 경우에는 블랙 리스트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UE(13)가 블랙 리스트에 포함되었는지의 여부에 따라 망 사용 권한 부여를 결정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 망 사용 권한은 보다 세분화되어 부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UE(13)는 IMEI에 따라 유효한 단말(White), 네트워크나 단말에 이상이 있는 단말(Gray) 및 분실 등의 불법 단말(Black) 등으로 구분되어 망 사용 권한 범위가 구분되어 부여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 또는 '~부'는 메모리 상의 소정 영역에서 수행되는 태스크, 클래스, 서브 루틴, 프로세스, 오브젝트, 실행 쓰레드, 프로그램과 같은 소프트웨어(software)나,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나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과 같은 하드웨어(hardware)로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구성요소 또는 '~부'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포함되어 있을 수도 있고, 복수의 컴퓨터에 그 일부가 분산되어 분포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 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UMTS 통신망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입자 정보 및 단말 정보에 따른 망 사용 권한 부여를 위한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국내 가입자의 망 사용 권한 부여를 위한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외 가입자의 망 사용 권한 부여를 위한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0: 사용자 단말
20: 무선 접속망
30: 코어망
40: 외부망
50: 기기 식별 등록기
310: 정보 수신부
320: 가입자 정보 판단부
330: 망 사용 권한 부여부

Claims (8)

  1. 가입자 단말로부터 가입자 정보 및 단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가입자 정보로부터 상기 가입자가 해외 가입자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상기 해외 가입자인 경우에는 상기 단말 정보를 근거로 하여 상기 가입자 단말이 합법적인 단말이면 상기 가입자 단말에게 망 사용 권한을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입자 정보 및 단말 정보에 따른 망 사용 권한 부여를 위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 정보는, 상기 가입자의 국가 코드, 네트워크 사업자 코드 및 가입자 인증 넘버를 포함하는 가입자 정보 및 단말 정보에 따른 망 사용 권한 부여를 위한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해외 가입자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가입자가 해외 가입자인 경우, 상기 가입자가 사전 지정된 정책에 포함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입자 단말 및 단말 정보에 따른 망 사용 권한 부여를 위한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망 사용 권한을 부여하는 단계는, 상기 가입자 단말에 상기 사전 지정된 정책에 따른 망 사용 권한을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입자 단말 및 단말 정보에 따른 망 사용 권한 부여를 위한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망 사용 권한을 부여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이 불법 단말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단말이 합법적인 경우 상기 가입자 단말에 상기 망 사용 권한을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입자 단말 및 단말 정보에 따른 망 사용 권한 부여를 위한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망 사용 권한을 부여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이 불법 단말인 경우, 불법 단말 정보를 포함하는 블랙 리스트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입자 단말 및 단말 정보에 따른 망 사용 권한 부여를 위한 방법.
  7. 가입자 단말로부터 가입자 정보 및 단말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
    상기 가입자 정보로부터 상기 가입자가 해외 가입자인지를 판단하는 가입자 정보 판단부; 및
    상기 판단 결과, 상기 해외 가입자인 경우에는 상기 단말 정보를 근거로 하여 상기 가입자 단말이 합법적인 단말이면 상기 가입자 단말에게 망 사용 권한을 부여하는 망 사용 권한 부여부를 포함하는 가입자 정보 및 단말 정보에 따른 망 사용 권한 부여를 위한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망 사용 권한 부여부는, 상기 단말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이 불법 단말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단말이 합법적인 경우 상기 가입자 단말에 상기 망 사용 권한을 부여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불법 단말 정보를 포함하는 블랙 리스트를 업데이트하는 가입자 정보 및 단말 정보에 따른 망 사용 권한 부여를 위한 장치.
KR1020080040768A 2008-04-30 2008-04-30 가입자 정보 및 단말 정보에 따른 망 사용 권한 부여를위한 방법 및 장치 KR1009743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0768A KR100974310B1 (ko) 2008-04-30 2008-04-30 가입자 정보 및 단말 정보에 따른 망 사용 권한 부여를위한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0768A KR100974310B1 (ko) 2008-04-30 2008-04-30 가입자 정보 및 단말 정보에 따른 망 사용 권한 부여를위한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4895A KR20090114895A (ko) 2009-11-04
KR100974310B1 true KR100974310B1 (ko) 2010-08-05

Family

ID=41556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0768A KR100974310B1 (ko) 2008-04-30 2008-04-30 가입자 정보 및 단말 정보에 따른 망 사용 권한 부여를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431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7989A (ko) * 1999-09-17 2001-04-06 윤종용 이동통신 교환 시스템의 브이엘알에서 외국 이동 단말기 가입자 관리 방법
KR20010056307A (ko) * 1999-12-15 2001-07-04 김대기 국제 자동 로밍 서비스 방법
KR20020040122A (ko) * 2000-11-23 2002-05-30 이계철 차세대 이동통신망에서 국제 로밍 가입자를 위한로밍서비스 제공방법
KR100701040B1 (ko) 2006-03-06 2007-03-2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부가서비스의 국가별/사업자 자동세팅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7989A (ko) * 1999-09-17 2001-04-06 윤종용 이동통신 교환 시스템의 브이엘알에서 외국 이동 단말기 가입자 관리 방법
KR20010056307A (ko) * 1999-12-15 2001-07-04 김대기 국제 자동 로밍 서비스 방법
KR20020040122A (ko) * 2000-11-23 2002-05-30 이계철 차세대 이동통신망에서 국제 로밍 가입자를 위한로밍서비스 제공방법
KR100701040B1 (ko) 2006-03-06 2007-03-2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부가서비스의 국가별/사업자 자동세팅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4895A (ko) 2009-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5072B1 (ko) 강제 재위치 등록에 의한 도난 단말 사용 저지 방법 및시스템
US7950045B2 (en) Techniques for managing security in next generation communication networks
EP2399405B1 (en) Non-validated emergency calls for all-ip 3gpp ims networks
US7206576B2 (en) Using shared secret data (SSD) to authenticate between a CDMA network and a GSM network
US11539683B2 (en) Operation related to user equipment using secret identifier
KR102017442B1 (ko) 이동 단말기 상에 가입자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들
CN105981444B (zh) 根据ue能力和订阅信息控制网络接入的方法和设备
IL264304A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s in international migration through pre-existing instructions
US11463862B2 (en) System and method for availing a data service by a user equipment
KR100627726B1 (ko) Usim 카드의 단말 이동에 따라 고객의 단말 정보를변경하여 관리하는 시스템 및 방법
JP2022530955A (ja) マルチsim装置及びサブスクリプション情報を検証する方法及びプロセス
KR100949833B1 (ko) 단말 도난시 개인 정보 보호 방법 및 시스템
KR100974310B1 (ko) 가입자 정보 및 단말 정보에 따른 망 사용 권한 부여를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537392B1 (ko) 홈 기지국에서 시그널링 트래픽을 최소화하는 방법
KR101537738B1 (ko) Usim 카드 패스워드 관련 자동 안내 시스템 및 방법과이를 위한 장치
KR100885280B1 (ko) 단말 정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여부 판단 방법 및 시스템
KR101060898B1 (ko) 이종망간의 호 처리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885279B1 (ko) 단말 정보를 이용한 사용자 단말의 가능 서비스 판단 방법및 시스템
KR101385846B1 (ko) 통신 방법 및 통신 시스템
CN109219041B (zh) 接入控制方法以及移动管理实体
KR101003571B1 (ko) 이동 단말의 기능 제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940091B1 (ko) 타이머를 이용한 단말 이동성 처리 방법 및 시스템
KR101387264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지역화 서비스 정보 관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