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3285A - 유아용 침대 - Google Patents

유아용 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3285A
KR20070023285A KR1020050077700A KR20050077700A KR20070023285A KR 20070023285 A KR20070023285 A KR 20070023285A KR 1020050077700 A KR1020050077700 A KR 1020050077700A KR 20050077700 A KR20050077700 A KR 20050077700A KR 20070023285 A KR20070023285 A KR 200700232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infant
bed
members
bab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77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50712B1 (ko
Inventor
김태영
Original Assignee
김태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영 filed Critical 김태영
Priority to KR10200500777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0712B1/ko
Publication of KR200700232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32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07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07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9/00Cradles ; Bassinets
    • A47D9/012Cradles ; Bassinets with adjust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2Baby-carriers; Carry-co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 A47D15/005Restraining devices, e.g. safety belts, contoured cushions or side bumpers
    • A47D15/008Restraining devices, e.g. safety belts, contoured cushions or side bumpers in beds, play-pens or cra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7/00Children's beds
    • A47D7/01Children's beds with adjustable parts, e.g. for adapting the length to the growth of the childre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아용 침대에 관한 것으로, 바닥에 지지되는 다수개의 수직부재와, 상기 수직부재를 연결하는 각각의 수평부재와, 상기 수직부재의 상단에 설치되고 상기 수직부재에 대하여 회동가능하도록 마주보며 위치된 한쌍의 회동부재와, 그리고 상기 회동부재를 연결하는 안착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수직부재에는 스토퍼가 구비된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유아가 눕게 되는 부분이 천과 같은 유연성과 신축성이 구비된 안착부재로 이루어져 유아의 등 부분과 옆부분을 감싸준다. 따라서, 유아가 수면을 취한 상태에서 무의식적으로 엎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질식사를 없앨 수 있다. 또한, 유아용 침대의 부피 조절이 가능하여 보관/이동이 매우 편리하다.
유아용, 침대, 안착부재

Description

유아용 침대{bed for infant}
도 1은 본 발명의 유아용 침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a, 2b 2c는 본 발명의 유아용 침대의 부피조절이 가능한 다양한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유아용 침대의 A부를 확대한 분리도,
도 4는 본 발명의 유아용 침대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유아용 침대의 사용 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침대 110 : 수직부재
111 : 스토퍼 120,120a,120b : 수평부재
121a,121b : 홀 122a,122b,122c : 위치고정부재
130 : 회동부재 131 : 연결부재
132 : 손잡이부 140 : 안착부재
150 : 받침부재 151 : 탄성부
152 : 이음부재
본 발명은 유아용 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아의 신체를 감싸주도록 하여 깊은 수면을 취할 수 있고, 유아가 엎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질식사를 없앨 수 있는 유아용 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아는 보호자의 보호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이 시기는 크게 생후부터 약 3~4개월까지의 미숙단계, 생후 약 5개월부터 3살정도까지의 발육단계, 3살 이후의 성장단계의 시기로 나눌 수 있다. 성장단계 시기보다 미숙단계 및 발전단계 시기가 매우 중요하며 이때에 기본적인 인성이나 지성이 결정된다. 또한, 이때가 특히 보호자의 노력이 많이 필요한 시기이기도 하다.
발육단계의 시기에서의 유아는 팔이나 다리에 힘이 붙어 자기 몸을 지탱할 수 있게 되는데 기거나 일어서는 행위를 하게 되는 것도 이 시기이다. 또한, 이 시기에는 다리를 이용하여 스스로의 학습이 요구되는 보행기를 타는 시기이기도 하다. 보행기를 이용한 유아의 학습은 보호자의 측면에서 볼 때 반드시 직접적인 보호가 필요없고 얼마든지 집안 일을 겸하면서 생활할 수 있다.
이와 대조적으로 미숙단계의 시기는 유아가 직접적으로 행위를 취할 수 있는 시기가 아니므로 수유를 할 때, 유아가 자지 않고 보챌 때 항상 보호자가 그 일을 도맡아야 한다. 이 시기는 보호자의 측면으로 볼 때 자기 일을 하지 못함은 물론 밤낮을 가리지 않고 보채는 유아에 의해 항상 힘들고 지치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유아를 돌볼 수 있는 유아용 침대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대부분 종래에 개발된 유아용 침대들이 유아의 생리를 무시하고 단순하게 침대를 흔들어주는 정도이거나 멜로디가 울리는 정도이다. 따라서, 그 효과 면에서 매우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즉, 유아용 침대를 흔들어주기 위해서는 보호자가 옆에서 지속적으로 흔들어줘야 하는 수동식과, 전동모터를 이용한 자동식으로 크게 구분된다. 여기서, 수동식은 보호자가 오랜 시간을 손으로 흔들어 줘야 하기 때문에 보호자에게 피로감이 발생된다. 그리고, 자동식은 전기를 이용하여 모터의 회전력으로 침대를 흔들게 되는데, 소음으로 인해서 유아의 수면을 방해하게 되며 고가의 제품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단가가 매우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멜로디와 흔들거림은 유아에게 어느 정도 즐거움을 줄 수 있을지는 몰라도 그 효과면에서는 지속적이지 못하다. 즉, 초기에 유아가 흔들거림 침대나 멜로디를 대할 때는 신기함을 느껴 유아를 돌보는 효과가 있을지 모르나 단순한 멜로디와 단순한 흔들거림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유아의 신선함을 떨어뜨려 효과적이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유아의 생리를 전혀 무시한 구성이기 때문이다.
한편, 종래의 유아용 침대는 바닥이 평면으로 구성된 매트리스로 구비되어 유아가 수면중에 무의식적으로 엎어지게 되면 질식사의 위험이 초래되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유아가 눕게 되는 안착부재를 유연성과 신축성이 구비된 소재로 구성하여 유아의 신체를 감싸도록 한 유아용 침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아가 수면중에 무의식적으로 엎어지게 되는 것을 방지하여 질식사의 위험을 없앨 수 있는 유아용 침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유아용 침대는, 바닥에 지지되는 다수개의 수직부재와, 상기 수직부재를 연결하는 각각의 수평부재와, 상기 수직부재의 상단에 설치되고 상기 수직부재에 대하여 회동가능하도록 마주보며 위치된 한쌍의 회동부재와, 그리고 상기 회동부재를 연결하는 안착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수직부재에는 스토퍼가 구비된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의 유아용 침대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재는, 상기 수직부재들의 상단부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연결부재들과, 한쌍의 상기 연결부재를 연결하는 손잡이부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유아용 침대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재들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받침부재들과, 한쌍의 상기 받침부재들을 연결하는 이음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받침부재는 상기 수직부재의 중심부에서 일측 방향으로만 회동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의 유아용 침대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중심부가 일측 방향으로 절곡된다.
본 발명의 유아용 침대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재의 상단부에는 스토퍼가 더 구비되어 회동부재의 회동각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아용 침대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재는 중심부가 절단되어 내부에는 중공부가 형성된 제 1수평부재와, 상기 제 1수평부재에 삽입되어 슬라이드 이동되는 제 2수평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 1수평부재와 상기 제 2수평부재에는 일정한 간격을 가지며 홀이 형성되고, 상기 홀에는 위치고정부재가 삽입되어 상기 수평부재의 길이가 조절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유아용 침대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 1내지 도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아용 침대(100)는 수직부재(110), 수평부재(120), 회동부재(130), 안착부재(140)로 크게 구분된다.
상기 수직부재(110)는 실질적으로 침대를 지지하는 지지체 역할로서 4개의 부재로 구성된다. 이 수직부재(110)들은 금속 또는 목재로 구성된다. 금속으로 구성될 경우 그 내부에는 중공부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원통 또는 사각기둥의 형상을 갖는다.
상기 수평부재(120)는 상기 수직부재(110)들을 연결하는 부재들로써, 수직부재(110)의 상측부와 하측부를 상호 연결시켜 주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수직부재(110)의 중심부들을 연결시켜 줄 수도 있다. 이 수평부재(120)는 상기 수직부재(110)와 마찬가지로, 금속 또는 목재로 구성되며, 금속으로 구성될 경우 그 내부에는 중공부가 형성되어 무게를 경량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부재(120)는 상기 수직부재(110)와 동일한 직경을 가지며, 상기 수직부재(110)보다 더 작은 직경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수평부재(120)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다. 즉, 수평부재(120)를 제 1수평부재(120a)와 제 2수평부재(120b)로 구분하여 일측의 제 2수평부재(120b) 직경을 타측의 제 1수평부재(120a) 직경보다 작게 형성하여 상기 수평부재(120b)가 슬라이드 운동 되면서 길이 조절이 가능한 것이다. 그리고, 다수개의 홀(121a)을 일정한 간격마다 형성시켜 핀과 같은 위치고정부재(122a)를 이용하여 상기 수평부재(120a,120b)의 길이를 조절한 후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수평부재의 길이 조절은 첨부된 도 2를 참조할 수 있다. 즉 도 2a와 같이, 제 1수평부재(120a)에 홀을 형성하고 상기 홀에 조임볼트로 구성된 위치고정부재(122b)를 회전시키면서 제 2수평부재(120b)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도 2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2수평부재(120b)에는 다수개의 홀(121b)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고, 제 1수평부재(120a)에는 탄성스프링으로 가압되는 위치고정부재(122c)가 구비된다. 따라서, 제 2수평부재(120b)를 수평방향으로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도 2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1수평부재(120a)와 제 2수평부재(120b)를 힌지로 회동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회동부재(130)는 한쌍의 상기 수직부재(110)에 대하여 각각 양측 방향으로 회동되는 부재이다. 이 회동부재(130)는 유아용 침대(100)를 옮기는 손잡이 역할도 하며, 유아가 누울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해 주는 역할도 한다.
상기 회동부재(130)는 상기 수직부재(110)의 상단부에서 수직으로 연장형성된 한쌍의 연결부재(131)와 이 연결부재(131)의 양측을 연결하는 손잡이부(132)로 구성된다. 즉, 상기 연결부재(131)는 상기 수직부재(110)에 대하여 회동되는 것이며, 한 쌍의 상기 손잡이부(132)는 안착부재(140)로 연결되도록 하여 유아가 누울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는 것이다.
상기 안착부재(140)는 천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쉽게 늘어나지 않 는 소재로 구비된다. 그리고, 이 천의 형상은 하나의 소재에 양측 손잡이부(132)를 연결하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다수개의 소재를 재봉하여 중심부에는 오목부를 형성시켜 유아가 누었을 때, 신체의 많은 부분을 감싸도록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 안착부재는 발포지, 라텍스, 우레탄, 발포라텍스, 대나무, 왕골, 비닐, 가죽, 인조가죽등 다양한 소재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수직부재(110)의 상단부에는 스토퍼(111)가 구비된다. 상기 스토퍼(111)는 상기 회동부재(130)의 회동각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스토퍼(111)는 다양한 구성 및 형상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회동부재(130)의 동작을 소형의 전동모터로 구동되도록 하여 맞물리는 한 쌍의 기어로 제어된다. 또한, 수동식으로 구성되도록 하여 상기 회동부재(130)가 상기 수직부재(110)에 대하여 회동된 후 멈출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도시된 도 3을 참조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 외에도 공지된 기술을 다양하게 적용시킬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부재(110)의 하단부에는 받침부재(150)들이 구비된다. 상기 받침부재(150)는 상기 수직부재(110)의 중심부에서 일측 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으로, 그 하단부는 라운드가 형성되어 상기 수직부재(110)에 대하여 회동된다. 즉, 전술한 상기 회동부재(130)는 상기 수직부재(110)에 대하여 내측과 외측 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이지만, 상기 받침부재(150)는 상기 수직부재(110)에 대하여 외측 방향으로만 회동되는 것이다. 이 받침부재(150)들은 상기 회동부재(130)의 회동구조와 동일한 구성을 가질수도 있으며, 다른 실시예로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수직부재(110)의 내측 방향에 탄성부(151)가 구비되어 이 탄성부(151)의 복원력으로 상 기 받침부재(150)가 회동될 수도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151)는 탄성스프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받침부재(150)의 역할은 상기 유아용 침대(100)의 안정적인 설치를 위한 것으로 보호자가 상기 유아용 침대(100)의 위치를 이동할 때, 상기 유아용 침대(100)를 들어 올리면 상기 탄성부(151)의 복원력에 의해서 상기 받침부재(150)는 상기 수직부재(110)와 동일한 수직 중심부에 놓이게 된다. 그리고, 바닥에 내려놓게 되면 바닥면에 대하여 상기 받침부재(150)가 외측 방향으로 벌어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받침부재(150)들은 이음부재(152)로 연결된다. 즉, 상기 받침부재(150)는 회동되는 방향에 위치된 두개의 받침부재(150)를 연결시켜 한쌍의 받침부재(150)가 구비된다. 그리고, 전술된 상기 탄성부(151)를 상기 이음부재(152)에 위치시킬수도 있다. 즉, 마주보며 배치된 한쌍의 이음부재(152)를 탄성스프링으로 연결시키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유아용 침대의 작용효과 및 사용상태도를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보호자는 회동부재(130)의 회동각을 양측 방향으로 조절시켜 유아가 눕는 최적의 조건을 만든다. 이때, 안착부재(140)가 상기 회동부재(130)의 회동각에 따라 변화된다. 즉, 상기 회동부재(130)가 양측으로 벌어지게 될수록 상기 안착부재(140)는 평면에 가까운 상태가 된다. 이와 반대로 상기 회동부재(130)가 침대(100)의 내측으로 회동 될수록 상기 안착부재(140)는 그 양측이 모아지게 된다.
또한, 상기 유아용 침대(100)를 올릴 때는 상기 손잡이부(132)를 잡은 상태에서 올린 후 위치를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받침부재(150)는 탄성부(151)의 복원력으로 인해서 상기 수직부재(110)와 동일한 수직 방향으로 놓이게 된다. 그리고, 침대(100)를 위치이동하여 바닥면에 놓을 때는 상기 받침부재(150)에 구비된 라운드부가 바닥면에 밀착되면서 이 바닥면에 대하여 슬라이딩 된다. 따라서, 상기 받침부재(150)가 외측방향으로 벌어지게 되고 상기 유아용 침대(100)는 안정적으로 놓이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유아용 침대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유아가 눕게 되는 부분이 천으로 구성된 안착부재로 이루어져 유아의 등 부분과 옆부분을 감싸준다. 따라서, 유아가 수면을 취한 상태에서 무의식적으로 엎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질식사를 없앨 수 있다.
둘째, 천으로 유아를 받쳐주기 때문에 딱딱한 바닥이나 매트리스에서 수면을 취할 때보다 깊은 잠을 잘 수 있다. 즉, 바닥이나 매트리스에서 수면을 취할 경우 신체의 뒷부분에만 접촉되지만, 천으로 구성할 경우 신체의 뒷부분과 옆부분에 접촉이 되어 신체를 감싸주어 쉽게 깨지 않고 깊은 수면을 취할 수 있는 것이다.
셋째, 일반적인 유아용 침대는 상당한 부피를 가지며, 별도의 매트리스와 유아가 바닥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난간이 설치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매트리스와 난간이 없어도 되며, 유아용 침대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다.
넷째, 회동부재의 회동각을 조절하여 유아를 감싸는 천의 면적을 조절할 수 있다. 즉, 회동부재를 양 방향으로 각각 벌리면 안착부재는 평면에 가까운 상태를 유지하여 유아를 눕히거나 빼낼 수 있다. 그리고, 유아가 눕혀진 상태에서 회동부재를 중심부 방향으로 모으면 유아의 등부위와 양측부위를 감싸줄 수 있다.
다섯째, 수직부재의 하단부에는 받침부재들이 구비되는데, 이 받침부재는 상기 수직부재의 중심부에서 외측 방향으로만 회동된다. 따라서, 유아가 눕게되는 너비보다 유아용 침대가 바닥에 놓여지는 너비가 커지게 되고, 유아가 수면중에 움직이더라도 침대가 유동되지 않는다.
여섯째, 회동부재에 구비된 수평부재의 중심부에는 일측 방향으로 절곡된 손잡이부가 구비되어 유아용 침대를 원할하게 위치이동 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침대를 보호자가 들었을 경우 수직부재의 하단부에 구비된 받침부재들이 수직부재들과 동일한 중심부로 회동되기 때문에 침대를 들어 올릴 때 보호자의 신체와 접촉되지 않는다.
일곱째, 회동부재의 회동각을 조절함과 동시에 이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는 스토퍼가 구비되어 수면중에 유아의 잠자리기 바뀌어도 회동부재가 유동되지 않는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 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 다.

Claims (4)

  1. 바닥에 지지되는 다수개의 수직부재와;
    상기 수직부재를 연결하는 각각의 수평부재와;
    상기 수직부재의 상단에 설치되고, 상기 수직부재에 대하여 회동가능하도록 마주보며 위치된 한쌍의 회동부재와; 그리고,
    상기 회동부재를 연결하는 안착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수직부재에는 스토퍼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침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재는,
    상기 수직부재들의 상단부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연결부재들과;
    한쌍의 상기 연결부재를 연결하는 손잡이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유아용 침대.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재들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받침부재들과;
    한쌍의 상기 받침부재들을 연결하는 이음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받침부재는 상기 수직부재의 중심부에서 일측 방향으로만 회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유아용 침대.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중심부가 일측 방향으로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유아용 침대.
KR1020050077700A 2005-08-24 2005-08-24 유아용 침대 KR1007507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7700A KR100750712B1 (ko) 2005-08-24 2005-08-24 유아용 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7700A KR100750712B1 (ko) 2005-08-24 2005-08-24 유아용 침대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4388U Division KR200402324Y1 (ko) 2005-08-24 2005-08-24 유아용 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3285A true KR20070023285A (ko) 2007-02-28
KR100750712B1 KR100750712B1 (ko) 2007-08-22

Family

ID=41631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7700A KR100750712B1 (ko) 2005-08-24 2005-08-24 유아용 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0712B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23642U (ko) 1975-08-08 1977-02-19
JPS5563227U (ko) 1978-10-27 1980-04-30
JPS6072666U (ja) 1983-10-25 1985-05-22 坂本ハウス工業株式会社 サ−クルベツド
JPH0228653U (ko) * 1988-08-18 1990-02-23
KR200268619Y1 (ko) 2001-11-28 2002-03-16 유동오 유아용 매트리스
KR200402324Y1 (ko) 2005-08-24 2005-11-29 김태영 유아용 침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0712B1 (ko) 2007-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74810B2 (en) Infant seat
US6862757B2 (en) Infant and pet co-sleeper apparatus
US5097545A (en) Spring supported, hammock type infant cradle
US4377011A (en) Infant cradle
CN108113337B (zh) 组合摇床和更换台配件
US6952847B1 (en) Adjustable bed rails including an attachable headboard
US20080209639A1 (en) Formable sleep positioner along with method for adjusting same
KR200402324Y1 (ko) 유아용 침대
KR100750712B1 (ko) 유아용 침대
US5742960A (en) Rockable crib and support therefor
US11051635B2 (en) Pillow for treating and preventing plagiocephaly
JPH07289394A (ja) 多方向揺動ベビーベッド
US20190076749A1 (en) Convertible TeePee Gym and Play Mat
US20170273474A1 (en) Infant chair
US1559303A (en) Hammock
US5572752A (en) Bed with axial glider movement
KR200164305Y1 (ko) 개폐기능을 갖는 유아용 침대그네 기구
CN1726840A (zh)
KR20030038661A (ko) 유희구
US20060075555A1 (en) Transitional baby crib bumper
KR200454163Y1 (ko) 다기능 유아용 스탠드
CN211186585U (zh) 成长性儿童餐椅
US11547247B2 (en) Device for bathing older babies allowing the freedom of appropriate movements
KR200252197Y1 (ko) 흔들리는 침대
US598473A (en) Ralph b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