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3245A - Clip - Google Patents

Clip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3245A
KR20070023245A KR1020050077588A KR20050077588A KR20070023245A KR 20070023245 A KR20070023245 A KR 20070023245A KR 1020050077588 A KR1020050077588 A KR 1020050077588A KR 20050077588 A KR20050077588 A KR 20050077588A KR 20070023245 A KR20070023245 A KR 200700232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p
core
movable core
hook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758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748877B1 (en
Inventor
박정훈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775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8877B1/en
Publication of KR200700232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324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88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887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20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22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of resilient material, e.g. rubbery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ertion Pins And Riv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히 자동차와 같이 다수의 부품이 조립되어 이루어지는 제품의 경우에 면접되는 부품 간의 결합을 위해 다수의 위치에 사용되고 있는 클립의 체결 및 해체가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클립의 체결구조에 관한 것으로,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astening structure of a clip for fastening and dismantling a clip which is used at a plurality of positions for coupling between parts to be interviewed, particularly in a product in which a plurality of parts are assembled, such as an automobile. About

결합부품 간의 조립을 위하여 결합부품에 관통형성된 결합공에 위치되는 중앙심재의 일측에 고정판이 형성되고, 상기 중앙부재의 다른 일측에는 이탈방지를 위한 후크가 형성되는 클립의 구조에 있어서,In the structure of the clip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central core material located in the coupling hole formed through the coupling part for assembly between the coupling parts, the other side of the central member is formed with a hook for preventing the separation,

상기한 후크는 양측으로 분리형성된 양측 심재의 외측 끝단에 각각 외측을 향해 돌출형성되어지되, 일측의 고정심재는 폭이 넓고 그 내부측에 소정크기의 공간이 구비되고, 타측의 가동심재는 폭이 좁고 고정판에 접속된 측을 기점으로 소정의 각도범위 내에서 회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한 고정심재의 공간 상부측에 상기한 가동심재의 후크가 외측으로 벌어진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지지하기 위한 잠금키이가 소정의 각도범위 내에서 회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hook is formed to protrude outward at the outer end of each of the two cores separately formed on both sides, the fixed core of one side is wide and provided with a space of a predetermined size on the inner side, the movable core of the other side is wide It is formed so as to be able to rotate within a predetermined angle range starting from the side connected to the narrow and fixed plate, and for supporting the state where the hook of the movable core is opened on the upper side of the space of the fixing core to be maintained outward The lock key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to be able to rotate within a predetermined angle range.

클립, 고정심재, 가동심재, 잠금키이, 키홈 Clip, fixed core, movable core, locking key, keyway

Description

클립의 체결구조{Clip}Fastening structure of clip {Clip}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클립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li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클립의 측면구성도.Figure 2 is a side view of the cli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클립의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li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클립의 장착상태도.4 is a mounting state of the cli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클립이 해제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5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of releasing a cli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6 is a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종래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7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ventional technology.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code for main part of drawing

11,12 : 조립부품 11a,12a : 조립공11,12: assembly parts 11a, 12a: assembly hole

30 : 클립 31 : 고정판30: clip 31: fixed plate

32 : 고정심재 33 : 가동심재32: fixed core 33: movable core

34,35 : 후크 36 : 공간34,35: hook 36: space

37 : 잠금키이 38 : 키홈37: lock key 38: key groove

40 : 밴드 42 : 밴드 홀더40: band 42: band holder

50 : 와이어 하니스50: wire harness

본 발명은 클립의 체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특히 자동차와 같이 다수의 부품이 조립되어 이루어지는 제품의 경우에 면접되는 부품간의 결합을 위해 다수의 위치에 사용되고 있는 클립의 체결 및 해체가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클립의 체결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astening structure of a clip, and more particularly, the fastening and dismantling of a clip that is used at a plurality of positions for coupling between parts interviewed in the case of a product in which a plurality of parts are assembled, such as a car, is more preferable. It relates to a fastening structure of the clip to be made easily.

자동차나 컴퓨터 등 다수의 부품이 조립되어 제품이 만들어지는 경우에는 부품들 간의 간섭이 줄어들 수 있도록 하거나, 부품 간의 조립을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클립이 사용되고 있다.When a product is manufactured by assembling a plurality of parts such as a car or a computer, various types of clips are used for reducing interference between parts or assembling between parts.

도 7은 종래의 여러가지 형태의 클립 중 한 형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면접촉되는 두 부품간의 고정을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형태의 클립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7 is a view illustrating one of various types of clips in the related art, and illustrates a clip of a type generally used for fixing between two parts in surface contact.

상기한 클립(20)의 중앙심재(21) 일측에는 원형상이나 다각형상의 고정판(22)이 형성되고, 상기 중앙심재(21)의 다른측 끝단부에는 중앙심재(21)를 기준으로 접히고 펼쳐짐이 가능한 산형상의 후크(23)가 형성되어 있다.One side of the center core material 21 of the clip 20 is formed with a circular plate or polygonal fixing plate 22, the other end of the center core material 21 is folded and unfolded on the basis of the center core material 21 Possible mountain hooks 23 are formed.

한편, 상기한 클립(20)에 의해서 결합되는 판형상의 조립부품(11,12)에는 각각 조립공(11a,12a)이 관통형성된다.Meanwhile, the assembly holes 11a and 12a are formed through the plate-shaped assembly parts 11 and 12 coupled by the clip 20, respectively.

따라서 두 부품간의 조립시에는 조립을 위한 두 조립부품(11,12)의 조립공(11a,12a)의 위치를 맞춘 다음에 클립(20)의 후크(23)를 상기한 조립공(11a,12a)에 끼우게 되므로서 조립공(11a,12a)에는 중앙심재(21)가 위치된 상태에서 고정판(22)과 후크(23)가 각각 결합부품(11,12)의 양측에 노출된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때, 후크(23)는 탄성력을 지닌 채로 구성되어 있으므로서, 조립공(11a,12a)을 통과할 때는 중앙심재(21)를 향해 오므라든 상태가 되었다가 조립공(11a,12a)을 통과한 후에는 다시 펼쳐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when assembling the two parts, the assembly holes 11a and 12a of the two assembly parts 11 and 12 for assembly are aligned, and then the hooks 23 of the clip 20 are placed on the assembly holes 11a and 12a. Since the fitting hole (11a, 12a) in the state in which the center core material 21 is positioned so that the fitting plate (22) and the hook (23) are exposed to both sides of the coupling parts (11, 12), respectively. At this time, since the hook 23 is configured to have an elastic force, when passing through the assembly holes 11a and 12a, the hook 23 is retracted toward the center core 21 and then passes through the assembly holes 11a and 12a. It can be unfolded again.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된 클립을 이용하여 결합부품을 조립하는 경우에 조립과정은 간단하였으나, 조립된 두 부품을 분리하게 되는 경우에는 클립의 해체가 용이하지 않으므로서 클립을 니퍼 등의 공구를 이용하여 절단해버릴 수 밖에 없었던 문제점이 있었다.By the way, when assembling the combined parts using the clip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assembly process is simple, but when the two separated parts are separated, the clip is not easily dismantled and the clip is cut using a tool such as a nipper. There was a problem that had to be done.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특히 자동차와 같이 다수의 부품이 조립되어 이루어지는 제품의 경우에 면접되는 부품 간의 결합을 위해 다수의 위치에 사용되고 있는 클립의 체결 및 해체가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클립의 체결구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는 것이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product in which a large number of parts are assembled, such as automobile fastening of the clip used in a plurality of positions for coupling between the parts interviewed And it is an object to provide a fastening structure of the clip to be made easier to dismantl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발명의 목적달성을 위한 수단으로서,The present invention as a means for achieving the object of the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결합부품 간의 조립을 위하여 결합부품에 관통형성된 결합공에 위치되는 중앙심재의 일측에 고정판이 형성되고, 상기 중앙부재의 다른 일측에는 이탈방지를 위한 후크가 형성되는 클립의 구조에 있어서,In the structure of the clip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central core material located in the coupling hole formed through the coupling part for assembly between the coupling parts, the other side of the central member is formed with a hook for preventing the separation,

상기한 후크는 양측으로 분리형성된 양측 심재의 외측 끝단에 각각 외측을 향해 돌출형성되어지되, 일측의 고정심재는 폭이 넓고 그 내부측에 소정크기의 공간이 구비되고, 타측의 가동심재는 폭이 좁고 고정판에 접속된 측을 기점으로 소정의 각도범위 내에서 회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한 고정심재의 공간 상부측에 상기한 가동심재의 후크가 외측으로 벌어진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지지하기 위한 잠금키이가 소정의 각도범위 내에서 회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hook is formed to protrude outward at the outer end of each of the two cores separately formed on both sides, the fixed core of one side is wide and provided with a space of a predetermined size on the inner side, the movable core of the other side is wide It is formed so as to be able to rotate within a predetermined angle range starting from the side connected to the narrow and fixed plate, and for supporting the state where the hook of the movable core is opened on the upper side of the space of the fixing core to be maintained outward The lock key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to be able to rotate within a predetermined angle range.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클립의 구성 및 작동상태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cli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클립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클립의 측면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클립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클립의 장착상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클립이 해제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lip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clip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lip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ure 4 is a mounting state of the clip according to the invention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of releasing a cli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 중에 표시되는 도면부호 30은 본 발명에 의해 형성된 클립을 지시하는 것이고, 일부의 도면부호는 종래기술의 설명에서 사용된 부호가 그대로 사용된다.Reference numeral 30 shown in the drawings indicates a clip formed by the present invention, and so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as they are in the description of the prior art.

상기한 클립(30)은 자동차나 컴퓨터 등에서 면첩촉된 채로 결합되는 부품들 간의 조립시 혹은 와이어 하니스(wire harness)를 고정측에 지지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결합부품(11,12)들의 도중에 관통형성된 결합공(11a,12a)에 위치되기 위한 심재(32,33)와, 심재(32,33)의 일측에 마련된 채 결합부품(11,12)의 일측면에 면접되기 위한 고정판(31)과, 심재의 다른 일측에 마련된 채 심재(32,33)가 결합공(11a,12a)을 통해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기 위한 후크(34,35)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clip 30 is formed so as to support the wire harness on the fixed side when assembling the parts coupled while being face-to-face in an automobile or a computer, and the like during the coupling parts 11 and 12. Core members 32 and 33 for positioning in the coupling holes 11a and 12a formed therethrough, and fixing plates 31 for being interviewed on one side of the coupling parts 11 and 12 while being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ore members 32 and 33. And, while being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core material is configured to include a hook (34, 35) and the like for preventing the core material (32, 33) from being separated through the coupling holes (11a, 12a).

특히, 본 발명에 의한 클립(30)의 심재는 고정심재(32)와 가동심재(33)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양분된 채로 형성되어지되, 고정심재(32)와 가동심재(33)의 일단은 각각 고정판(31)에 일체로 연결된 구조로 성형되는 것이다. 후크(34,35)는 고정심재(32)와 가동심재(33)의 끝단 외측면에 각각 돌출형성된다.In particular, the core of the clip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while the fixed core 32 and the movable core 33 are bisect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e end of the fixed core 32 and the movable core 33 Are each molded into a structure that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fixed plate (31). The hooks 34 and 35 protrude from the end outer surfaces of the fixed core 32 and the movable core 33, respectively.

고정심재(32)는 가동심재(33)에 비하여 폭이 넓게 형성되며, 그 내부에는 소정크기의 공간(36)이 형성된다. 공간(36)의 상부측에는 고정판(31)에 접한 가동심재(33)의 끝단을 기점으로 상기 가동심재(33)가 소정의 각도범위 내에서 회동되도록 할뿐만 아니라, 가동심재(33)가 회동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잠 금키이(37)가 형성된다. 이 잠금키이(37)는 공간(36)의 상부에 위치되는 형태로 그 내측단이 고정심재(32)의 외측단에 소정각도 범위 내에서 회동이 가능하도록 고정심재(32)와 일체로 형성된다.The fixed core 32 is wider than the movable core 33, and a space 36 having a predetermined size is formed therein. On the upper side of the space 36, not only the movable core 33 is rotated within a predetermined angle range starting from the end of the movable core 33 in contact with the fixed plate 31, but also the movable core 33 is rotated. A locking key 37 is formed to allow the state to be maintained. The locking key 37 i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space 36, the inner end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fixed core 32 so that the inner end can be rotated within a predetermined angle range to the outer end of the fixed core material (32). .

한편, 가동심재(33)는 고정심재(32)에 비하여 폭이 좁게 형성되며 고정판(31)에 접속된 끝단을 기점으로 소정각도 범위 내에서 회동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한 가동심재(33)의 끝단에 내측에서 외측을 향하는 방향의 힘이 가해지면, 상기 가동심재(33)는 고정판(31)과 접한 부분을 기점으로 외측으로 벌어지는 방향으로 회동동작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movable core member 33 is formed to be narrower than the fixed core member 32 and formed so that it can be rotated within a predetermined angle range from the end connected to the fixed plate 31. That is, when a force in a direction from the inner side to the outer side is applied to the end of the movable core member 33, the movable core member 33 is configured to be rotated in a direction that opens outward from the portion in contact with the fixing plate 31 starting point. Will be.

가동심재(33)의 끝단 내측면에는 고정키이(37)의 끝단이 걸리도록 하기 위한 키홈(38)이 마련된다.On the inner side of the end of the movable core material 33 is provided with a key groove 38 for engaging the end of the fixing key 37.

상기한 고정심재(32)에 일체로 형성된 잠금키이(37)는 그 측단면형상이 'T'자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외측 끝단은 가동심재(33)에 마련된 키홈(38)에 걸릴 수 있도록 뾰적한 형상으로 형성된다.The locking key 37 formed integrally with the fixing core 32 has a side cross-sectional shape formed in a 'T' shape, and the outer end thereof is caught by the key groove 38 provided in the movable core 33. It is formed into a pointed shape.

상기한 가동심재(33)와 잠금키이(38)는 각각 고정판(31)과 고정심재(32)에 일체로 연결된 채로 형성되는 것이지만, 외력이 가해질 때에 재질의 탄성에 의해서 소정각도 범위내에서 회동이 가능한 것이다.The movable core member 33 and the locking key 38 are formed to be integrally connected to the fixed plate 31 and the fixed core member 32, respectively, but are rotated within a predetermined angle range due to the elasticity of the material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It is possible.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클립(30)이 와이어 하니스(50)의 밴딩에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상기한 클립(30)의 고정판(31) 외측에 와이어 하니스(50)를 밴딩을 위한 밴드(40)가 끼워질 수 있도록 하는 별도의 밴드 홀더(42)가 돌출된 채로 형성된 것이다.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lip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bending of the wire harness 50, and bending the wire harness 50 to the outside of the fixing plate 31 of the clip 30. Separate band holder 42 to allow the band 40 to be fitted is formed while protruding.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해 구성된 클립의 사용상태를 이하에 간단히 설명한다.The use state of the clip constructed by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briefly described below.

상기한 클립(30)을 이용하여 면접되는 결합부품의 조립을 실시하는 경우에, 작업자는 우선 클립(30)의 가동심재(33)가 고정심재(32)와 나란한 상태가 되도록 잠금키이(37)가 공간(36)으로부터 떨어져 소정의 각도로 회동된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 경우에는 결합부품(11,12)에 마련된 조립공(11a,12a)을 통하여 클립(30)의 고정심재(32) 및 가동심재(33)가 통과될 수 있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In the case of assembling the joining parts to be interviewed using the clip 30, the operator first locks the lock key 37 so that the movable core 33 of the clip 30 is in parallel with the fixed core 32. Is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away from the space 36. In this case, the fixing core 32 and the movable core 33 of the clip 30 pass through the assembly holes 11a and 12a provided in the coupling parts 11 and 12.

작업자는 상기한 상태의 클립(30)을 후크(34,35)이 위치된 부분부터 결합공(11a,12a)으로 밀어넣어 고정판(31)의 내측면이 일측 결합부품(11,12)의 측면에 면접된 상태가 되도록 한다. 그런 다음, 잠금키이(37)의 끝단이 가동심재(33)의 상단부를 밀면서 가동심재(33)의 후크(35)가 형성된 부분이 외측으로 벌어질 수 있도록 잠금키이(37)의 외측에 힘을 가하게 된다.The operator pushes the clip 30 in the above state into the coupling holes 11a and 12a from the portions at which the hooks 34 and 35 are positioned so that the inner surface of the fixing plate 31 is the side surface of the one side coupling part 11 and 12. Be interviewed at. Then, while the end of the locking key 37 pushes the upper end of the movable core material 33, a force is applied to the outside of the locking key 37 so that the portion where the hook 35 of the movable core material 33 is formed can be opened to the outside. Will be added.

따라서 가동심재(33)의 외측단에 마련된 후크(35)는 고정심재(32)의 끝단에 마련된 후크(34)와 함께 타측 결합부품(11,12)의 면에 접한 상태가 되고, 상기한 잠금키이(37)의 뾰적한 끝단은 가동심재(33)에 마련된 키홈(38)에 끼워진 상태가 된다. 이 상태는 별도의 외력을 가하여 해제하지 않는 이상 지속되어진다.Therefore, the hook 35 provided at the outer end of the movable core 33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surfaces of the other coupling parts 11 and 12 together with the hook 34 provided at the end of the fixed core 32. The pointed end of the key 37 is fitted into the key groove 38 provided in the movable core 33. This state persists unless it is released by applying external force.

한편, 작업자가 상기와 같이 클립에 의해서 결합된 결합부품(11,12)의 분리하게 되는 경우에는, 우선 잠금키이(37)의 뾰적한 끝단이 키홈(38)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한다. 이 경우, 작업자는 가동심재(33)의 끝단부를 외측으로 살짝 잡아당기면서 잠금키이(37)의 끝단이 키홈(38)으로부터 용이하게 빠질 수 있도록 유도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operator is to separate the coupling parts (11, 12) coupled by the clip as described above, first the sharp end of the locking key 37 to be separated from the key groove 38. In this case, the operator gently pulls the end of the movable core 33 to the outside to induce the end of the locking key 37 to be easily removed from the key groove 38.

잠금키이(37)가 키홈(38)으로부터 분리되면서 잠금키이(37)와 가동심재(33)는 각각 그 부재가 지닌 탄성력에 의해서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가게 되므로서, 클립(30)은 조립부품(11,12)의 조립공(11a,12a)을 통해서 후크(34,35)의 걸림없이 고정심재(33) 및 가동심재(34)를 빼낼 수 있게 되는 것이다.As the locking key 37 is separated from the key groove 38, the locking key 37 and the movable core 33 are returned to their original states by the elastic force of the member, respectively, so that the clip 30 is assembled with the assembly ( Through the assembly holes (11a, 12a) of the 11, 12 will be able to pull out the fixed core member 33 and the movable core member 34 without the hook 34,35.

특히, 본 발명에 의한 클립(30)은 그 장착 및 탈거 과정에서 별도의 공구가 사용되지 않으므로서 작업자들에게 보다 유리한 작업환경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In particular, the clip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more favorable working environment for the workers because no separate tool is used in the installation and removal process.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조립부품의 조립공에 클립을 장착하는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부품을 해체하는 과정에서도 별도의 공구없이 잠금키이의 제어만으로도 클립의 탈거가 가능하고, 이렇게 탈거된 클립은 재사용될 수 있는 커다란 장점이 있는 것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not only the operation of attaching the clip to the assembly hole of the assembly can be made without using a separate tool, but also the control of the locking key without a separate tool in the process of disassembling the assembly. Can be removed, and this removed clip is a great advantage that can be reused.

Claims (3)

결합부품 간의 조립을 위하여 결합부품에 관통형성된 결합공에 위치되는 중앙심재의 일측에 고정판이 형성되고, 상기 중앙부재의 다른 일측에는 이탈방지를 위한 후크가 형성되는 클립의 구조에 있어서,In the structure of the clip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central core material located in the coupling hole formed through the coupling part for assembly between the coupling parts, the other side of the central member is formed with a hook for preventing the separation, 상기한 후크(34,35)는 양측으로 분리형성된 양측 심재(32,33)의 외측 끝단에 각각 외측을 향해 돌출형성되어지되,The hooks 34 and 35 are protruded to the outside at the outer ends of the two cores (32, 33) formed separately on both sides, 일측의 고정심재(32)는 그 내부측에 소정크기의 공간(36)이 구비되고, 타측의 가동심재(33)는 고정판(31)에 접속된 측을 기점으로 소정의 각도범위 내에서 회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며,The fixed core member 32 on one side is provided with a space 36 of a predetermined size inside thereof, and the movable core material 33 on the other side is rotated within a predetermined angle range starting from the side connected to the fixed plate 31. Is made possible, 상기한 고정심재(32)의 공간(36) 상부측에 상기한 가동심재(33)의 후크(35)가 외측으로 벌어진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지지하기 위한 잠금키이(37)가 소정의 각도범위 내에서 회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의 체결구조.The locking key 37 for supporting the hook 35 of the movable core 33 to the outer side of the space 36 of the fixed core 32 so as to be kept outwardly is a predetermined angle range. Fastening structure of the clip,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so as to be able to rotate within.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한 가동심재(33)의 끝단 내측에는 상기한 잠금키이(37)의 끝단이 걸리도록 하기 위한 키홈(38)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의 체결구조.The fastening structure of the clip, characterized in that a key groove (38) is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end of the movable core material (33) to take the end of the lock key (3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한 잠금키이(37)의 측단면형상은 'T'자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의 체결구조.The sid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lock key 37 is a fastening structure of the clip,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T' shape.
KR1020050077588A 2005-08-24 2005-08-24 Clip KR10074887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7588A KR100748877B1 (en) 2005-08-24 2005-08-24 Cli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7588A KR100748877B1 (en) 2005-08-24 2005-08-24 Clip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3245A true KR20070023245A (en) 2007-02-28
KR100748877B1 KR100748877B1 (en) 2007-08-13

Family

ID=41631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7588A KR100748877B1 (en) 2005-08-24 2005-08-24 Clip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887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1936A (en) * 2015-11-27 2017-06-07 주식회사다스 Structure for assembling injection molded part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06909U (en) 1986-12-29 1988-07-11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1936A (en) * 2015-11-27 2017-06-07 주식회사다스 Structure for assembling injection molded par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8877B1 (en) 2007-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40601A (en) Turn fastener
JP2015506448A (en) Self-indexing nut plate
US20110150597A1 (en) Clip
KR100748877B1 (en) Clip
JP2008105459A (en) Clamp for wire harness
US7303185B2 (en) Damping arrangement with a cable loop arrangement serving as a damping member
TW201827726A (en) Divider bar for energy guide chains
KR200485218Y1 (en) Joint apparatus for form
JP6016459B2 (en) Support structure for noise absorber
KR100748876B1 (en) Hook clip
JP2009055679A (en) Wiring harness fixing device
CN213017176U (en) Buckle and automobile body plaque mounting structure
JP2001298836A (en) Band clip
KR101066397B1 (en) Solar wafer cassette
KR20190001817U (en) Distance maintenance implement for mold
JP2006249798A (en) Grating-latticed panel
JP4916062B2 (en) Panel mounting structure
KR20100005820U (en) Fixing assembly for mold form
KR200269701Y1 (en) cable clamp
JPH023791A (en) Stopper tool for bolt
JP2002233038A (en) Wiring clip
KR101849049B1 (en) Clip for fixing Cables of Optical Cable Net
KR100935025B1 (en) Auto contracting clamp using spring elasticity
KR20210049340A (en) Fastening structure for parts of vehicle
KR100448375B1 (en) Hook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