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2891A - 휴대단말기에서 이미지 편집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에서 이미지 편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2891A
KR20070022891A KR1020050076857A KR20050076857A KR20070022891A KR 20070022891 A KR20070022891 A KR 20070022891A KR 1020050076857 A KR1020050076857 A KR 1020050076857A KR 20050076857 A KR20050076857 A KR 20050076857A KR 20070022891 A KR20070022891 A KR 200700228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server
editing
mobile terminal
edi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68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용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768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22891A/ko
Publication of KR200700228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2891A/ko

Links

Images

Abstract

휴대단말기에서 이미지 편집 방법에 있어서, 편집할 영상을 선택받는 과정과, 상기 선택받은 이미지를 편집하도록 하는 서버에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서버에서 상기 이미지를 편집하는 과정과, 상기 편집된 이미지를 다운로드 하도록 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휴대단말기, 이미지, 편집

Description

휴대단말기에서 이미지 편집 방법{METHOD FOR IMAGE EDITING IN WIRELESS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편집을 위한 시스템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이미지 편집 동작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이미지 편집 동작 흐름도.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단말기에서 이미지 편집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단말기는 호의 수발신 기능이외에 다양한 기능이 부가적으로 구현됨에 따라 특히 휴대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를 이용한 이미지 및 동영상 촬영을 실행할 수 있다. 사용자는 촬영된 이미지를 휴대단말기 내부에 단순히 저장하도록 하는 기능이외에도 촬영시 미리 설정된 아이템을 적용하여 상기 아이템이 배치된 위치에 맞도록 이미지를 촬영하여 이미지에 효과를 적용 할 수 있다. 하지만 휴대단말기에서 이미지를 편집할 경우 미리 저장되어진 아이템에 한정하여 이미지를 편집하거나, 이미지의 색상을 변경 하는 정도의 한계가 있다. 또한 미리 저장된 이미지 복수개를 그룹화하여 별도의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은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단말기에 저장되어진 이미지를 편집함에 있어서, 다양한 방법으로 상기 이미지를 편집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서 이미지 편집 방법에 있어서, 편집할 영상을 선택받는 과정과, 상기 선택받은 이미지를 편집하도록 하는 서버에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서버에서 상기 이미지를 편집하는 과정과, 상기 편집된 이미지를 다운로드 하도록 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소자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소정의 변형이나 혹은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편집을 위한 시스템 블록 구성도이 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시스템은 일정영역을 관리하는 기지국(15), 복수개의 기지국을 관리 및 제어하는 기지국 제어기(20) 이동통신 교환기(25), 홈 위치 등록기(HLR : Home Location Register)(40), 방문자 위치 등록기(VLR : Visitor Location Register)(45)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홈위치 등록기(45)는 가입자가 최초로 등록한 교환국이 상기 홈 위치 등록기(45)에 등록된 사용자에 대한 각종 정보를 기록하는 구성요소이며, 방문자 위치 등록기(40)는 타 지역에서 자신의 지역으로 들어온 가입자 정보를 등록해 놓은 구성요소이다. 휴대단말기(10)의 현재 위치는 각 기지국(15)을 통해 파악되고 있으며 기지국 제어기(20)를 통해 이동통신 교환기(25)에 보고 되고 홈 위치 등록기(40)와 방문자 위치 등록기(45)는 가입자의 이동에 관한 정보를 기록하는데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은 영상을 촬영하며, 상기 촬영된 이미지를 편집하도록 하는 이미지 편집 서버(30)에 전송하며, 상기 서버(30)에서 편집이 완료된 이미지를 다운로드하여 소정의 위치에 저장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휴대단말기(1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휴대단말기(10)와 기지국(15)을 통해 접속되며, 휴대단말기(10)에서 이미지를 편집하도록 하는 요청신호를 감지하여 데이터베이스(35)에서 휴대단말기의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휴대단말기(10)에서 송신된 이미지의 편집기능을 수행하는 이미지 편집 서버(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이미지와 상기 이미지와 부합되는 텍스트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디렉토리라고 정의하며, 상기 디렉토리를 그룹화하여 저장하고 있는 그룹 목록을 블로그로 정의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이미지 편집 동작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휴대단말기(10)의 제어부는 포토블로그 메뉴를 실행하도록 하는 신호를 입력받음을 감지하며 상기 메뉴에 따라 미리 저장된 블로그 목록을 디스플레이한다. 사용자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블로그 목록중 어느 하나를 선택받아 상기 블로그에 포함된 디렉토리 목록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한다. 휴대단말기(10) 제어부는 사용자로부터 디렉트리를 선택받아 상기 선택받은 디렉토리에 포함되어있는 이미지와 상기 이미지와 부합하는 내용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한다. 또는 디렉토리 추가 메뉴를 입력받아 새로 추가할 디렉토리에 포함될 이미지와 내용을 입력받도록 하는 윈도우를 디스플레이 한다. 상기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은 블로그에 포함된 디렉토리를 선택받아 상기 디렉토리에 포함되어있는 이미지를 편집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휴대단말기(10)의 제어부는 사용자로부터 포토블로그 메뉴를 선택받아 상기 블로그에 포함된 디렉토리중 편집을 실행하고자 하는 디렉토리를 선택받는 200단계를 실행한다. 이후 휴대단말기(10)의 제어부는 상기 선택받은 디렉토리에 포함된 이미지와 상기 이미지와 부합하는 내용을 디스플레이하는 205단계를 실행한다. 휴대단말기(10)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를 선택받는 210단계를 시행한 후 상기 선택받은 이미지를 편집하도록 하는 메뉴를 선택받아 실행하는 215단계로 진행한다. 따라서 휴대단말기(10) 제어부는 상기 선택받은 이미지를 편집하도록 하는 메뉴를 선택받아 이미지 편집메뉴를 실행하도록 하는 요청 신호를 이미지편집을 실행하도록 하는 서버(30)에 전송하는 220단계를 실행한다. 상기 요청신호를 수신 한 이미지 편집 서버(30)는 상기 요청신호를 송신한 휴대단말기(10)의 정보를 확인하는 225단계를 실행한다. 상기 확인정보는 휴대단말기의 전화번호 및 가입자 정보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편집 서버(30)는 상기 휴대단말기(10)의 정보를 확인후 상기 휴대단말기(10)와 무선인터넷을 통한 연결을 시도하는 230단계를 실행한다.
이미지 편집 서버(30)는 연결이 완료된 후 이미지 편집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235단계를 실행한다. 이후 이미지 편집 서버(30)는 이미지 편집의 준비가 완료됨을 알리는 신호를 휴대단말기(10)에 전송하는 240단계를 실행한다. 휴대단말기(10)는 상기 이미지 편집 서버(30)로부터 이미지 편집 준비가 완료됨을 알리는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휴대단말기(10)에 저장된 편집할 이미지를 이미지 편집 서버(30)로 전송하는 245단계를 실행한다. 이미지 편집 서버(30)는 휴대단말기(10)로부터 수신한 이미지를 편집하도록 하는 이미지 편집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250단계를 실행한다. 상기 이미지 편집은 상기 이미지에 텍스트를 삽입하거나, 아이콘을 삽입할 수 있다. 상기 삽입된 텍스트의 크기, 색깔, 위치를 조정하여 삽입할 수 있다. 또한 이미지의 크기, 방향등을 변형 할 수 도 있다. 상기와 같이 이미지 편집 서버(30)에서 상기 이미지를 다양한 방법으로 편집하며, 상기 이미지의 편집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확인키를 입력받았음을 확인하는 255단계를 실행한다.
이후 상기 이미지 편집을 완료함을 알리는 키의 휴대단말기(10)로부터 수신하였을 경우 상기 편집된 이미지를 휴대단말기(10)에 송신하는 260단계를 실행한다. 이후 상기 편집된 이미지를 수신한 휴대단말기(10)는 상기 편집된 이미지를 메 모리부에 미리 설정된 위치에 저장하도록 하는 265단계를 실행한다. 또한 상기 선택받아 수정하고자 하였던 이미지의 위치에 상기 이미지 편집 서버(30)로부터 수신한 편집된 이미지를 배치 할 수 있다. 휴대단말기(10)로부터 상기 편집된 이미지가 저장이 완료됨을 확인한 후 상기 이미지 편집 서버(30)와의 연결을 종료하도록 하는 키의 신호를 입력 받았음을 확인한 경우 상기 신호를 상기 이미지 편집 서버(30)에 전송한다. 이후 상기 신호를 수신한 이미지 편집 서버(30)와 상기 휴대단말기(10)의 연결을 종료하도록 하는 270단계를 실행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이미지 편집 동작은 휴대단말기(10)에서 이미지 편집을 실행하도록 하는 메뉴를 선택받아 상기 메뉴를 실행하도록 하는 신호를 이미지 편집 서버(30)에 전송하며, 상기 이미지 편집서버(30)는 이미지 편집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상기 휴대단말기(10)와 연결하도록 한다. 이후 휴대단말기(10)에서 편집할 이미지를 상기 이미지 편집 서버(30)에 송신하여 상기 이미지 편집 서버(30)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이미지를 편집하고 상기 편집이 완료된 이미지를 휴대단말기(10)에 송신하도록 한다. 이후 휴대단말기(10)에서 상기 이미지 편집 서버(30)와의 연결을 종료하도록 하는 신호를 송신한 후 상기 휴대단말기(10)는 상기 이미지 편집 서버(30)와의 연결을 종료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이미지 편집 동작 흐름도이다. 휴대단말기(10) 제어부는 상기 도 2에서와 유사한 방법으로 편집할 이미지를 선택받아 상기 파노라마 이미지 편집 메뉴를 실행하도록 하는 300단계를 실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파노라마 이미지 편집 메뉴는 복수의 이미지를 그 룹화하여 복수의 이미지를 연속적으로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메뉴이다. 따라서 이후 상기 파노라마 이미지 편집 메뉴에 따른 이미지 편집 요청 신호를 이미지 편집 서버(30)에 전송하는 305단계를 실행한다. 이후 이미지 편집 서버(30)는 상기 이미지 편집 요청신호를 송신한 휴대단말기(10)의 정보를 확인하는 310단계를 실행한다. 이후 상기 이미지 편집 서버(30)는 상기 휴대단말기(10)의 정보 확인을 완료한 후 상기 휴대단말기(10)와 연결하도록 하는 315단계를 실행한다. 이후 이미지 편집 서버(30)는 상기 이미지 편집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320단계를 실행한다. 이미지 편집 서버(30)는 이미지 편집 준비 완료 신호를 휴대단말기(10)에 전송하는 325단계를 실행한다. 이후 상기 이미지 편집에 적용할 아이템 목록을 휴대단말기(10)에 송신하는 330단계를 실행한다.
휴대단말기(10)는 상기 이미지 편지 서버(30)로부터 수신한 이미지 편집 아이템 목록을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아이템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 선택받는 335단계를 실행한다. 이후 휴대단말기(10)는 상기 선택 받은 이미지 편집 아이템 목록을 상기 이미지 편집 서버(30)에 전송하는 340단계를 실행한다. 상기 선택 받은 이미지 편집 아이템 목록을 수신한 이미지 편집 서버(30)는 선택된 이미지 편집 아이템 목록을 휴대단말기(10)에 송신하는 345단계를 실행한다. 이후 휴대단말기(10)는 상기 이미지 편집 서버(30)로부터 상기 345단계에서 수신한 아이템을 편집할 이미지에 적용하는 350단계를 실행한다. 이후 휴대단말기(10)는 아이템이 적용된 이미지를 이미지 편집 서버(30)에 송신하는 355단계를 실행한다.
휴대단말기(10)에서 송신한 아이템이 적용된 이미지를 편집하도록 하는 360단계를 실행한다. 이미지 편집 서버(30)는 상기 수신한 이미지가 복수개인 경우 상기 이미지들을 그룹화하여 연속적 이미지로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상기 이미지의 그룹화할 경우 상기 이미지를 연속적으로 디스플레이 할 방향, 이미지 전환 시간, 이미지 디스플레이 방법 등을 설정 받아 그룹화도록 한다. 이미지 편집 서버(30)에서 파노라마 이미지 편집이 완료됨을 알리는 신호를 휴대단말기(10)에서 수신한 경우 상기 편집된 이미지를 휴대단말기(10)에 송신하는 365단계를 실행한다. 상기 이미지 편집 서버(30)로부터 수신한 이미지를 휴대단말기(10)에 저장하는 370단계를 실행하며, 상기 저장을 완료함을 알리는 신호를 상기 이미지 편집 서버(30)에 송신하는 375단계를 실행한다. 이후 상기 휴대단말기(10)와 상기 이미지 편집 서버(30)와의 연결을 종료하도록 하는 380단계를 실행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이미지 편집 서버(30)에 전송된 아이템이 적용된 이미지가 복수인 경우 파노라마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도록 예를 들어 설명 하였으나, 복수의 이미지가 아닌 하나의 이미지를 다양한 아이템을 적용하여 복수의 이미지로 생성한 후 상기 이미지를 그룹화 하여 파노라마 이미지를 생성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구성 및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한편 상기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이미지를 편집하는데 있어서, 이미지를 편집하도록 하는 별도의 서버에서 이미지를 편집함에 있어서 좀 더 다양하고 편리하게 이미지를 편집할 수 있도록 한다.

Claims (9)

  1. 휴대단말기에서 이미지 편집 방법에 있어서,
    편집할 영상을 선택받는 과정과,
    상기 선택받은 이미지를 편집하도록 하는 서버에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서버에서 상기 이미지를 편집하는 과정과,
    상기 편집된 이미지를 다운로드 하도록 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에서 영상 편집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편집시 상기 이미지에 텍스트를 삽입하거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아이콘을 삽입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에서 영상 편집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편집시 상기 이미지에 텍스트를 삽입할 경우 상기 입력된 텍스트의 내용, 색상 및 크기를 변경하여 상기 이미지에 삽입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에서 영상 편집 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편집시 상기 이미지에 아이콘을 삽입할 경우 선택된 아이콘을 해당 위치로 이동시켜 삽입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에서 영상 편집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서 편집된 이미지를 다운로드시 상기 다운로드된 편집된 이미지는 사용자로부터 미리 설정 받은 위치에 삽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에서 영상 편집 방법.
  6. 휴대단말기에서 이미지 편집 방법에 있어서,
    편집할 이미지를 선택받는 과정과,
    상기 이미지를 편집하도록 하는 서버와 연결하는 과정과,
    상기 연결된 서버로부터 상기 이미지에 삽입할 아이템을 적어도 하나이상 다운로드하는 과정과,
    상기 다운로드한 아이템을 상기 이미지에 삽입하는 과정과
    상기 아이템이 삽입된 이미지를 복수개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서버에 전송된 상기 아이템이 삽입된 이미지를 그룹화하는 과정과,
    상기 그룹화된 이미지를 다운로드 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에서 이미지 편집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편집시 상기 이미지에 아이콘을 삽입할 경우 선택된 아이콘을 해당 위치로 이동시켜 삽입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에서 영상 편집 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 전송된 아이템이 적용된 복수의 이미지는 이미지의 디스플레이방향, 디스플레이 전환 시간, 전환 방법등을 설정 받아 그룹화 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에서 이미지 편집 방법.
  9. 상기 서버에서 편집된 이미지를 다운로드시 상기 다운로드된 편집된 이미지는 사용자로부터 미리 설정 받은 위치에 삽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에서 영상 편집 방법.
KR1020050076857A 2005-08-22 2005-08-22 휴대단말기에서 이미지 편집 방법 KR200700228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6857A KR20070022891A (ko) 2005-08-22 2005-08-22 휴대단말기에서 이미지 편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6857A KR20070022891A (ko) 2005-08-22 2005-08-22 휴대단말기에서 이미지 편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2891A true KR20070022891A (ko) 2007-02-27

Family

ID=43654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6857A KR20070022891A (ko) 2005-08-22 2005-08-22 휴대단말기에서 이미지 편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2289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07006A1 (en) * 2013-01-03 2014-07-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07006A1 (en) * 2013-01-03 2014-07-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612719B2 (en) 2013-01-03 2017-04-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dependently operated, external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3110B1 (ko) 태그-다이얼 기능을 갖춘 디지털 사진 프레임
JP6214812B2 (ja) 振込処理方法および装置
CN104394600B (zh) 传输文件的方法及装置
JP6286105B2 (ja) クラウドカードの送信方法、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EP3145164A1 (en)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answer extension function
CN101595480A (zh) 在待机屏幕上提供到联系人的链接的方法、装置和计算机程序产品
CN104684106B (zh) 网络连接的方法及装置
CN1792077B (zh) 移动体通信终端
CN105554064B (zh) 设置头像的方法及装置
US20120173744A1 (en) Wireless connection method and apparatus using image recognition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N105488145B (zh) 网页内容的显示方法、装置及终端
CN106792442B (zh) 数据迁移方法及装置
CN106331269A (zh) 客户识别模块sim卡取代方法、设备及系统
CN103713801A (zh) 图像显示控制设备、图像显示设备和图像显示方法
JP4387656B2 (ja) 情報端末、情報端末用プログラム、情報端末の情報処理方法、情報提供方法および情報提供システム
CN105207813A (zh) 智能设备排序方法和装置
EP3128722A1 (en) File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computer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CN104780256A (zh) 通讯录管理方法和装置、智能终端
CN104158957A (zh) 通信控制方法及装置
CN110377147B (zh) 扩增实境的方法及系统
JP2006203612A (ja) 携帯電話装置
KR20070022891A (ko) 휴대단말기에서 이미지 편집 방법
KR101022098B1 (ko) 휴대 단말기의 컨텐츠 관리 방법
CN107193446A (zh) 图像处理方法、装置以及存储介质
CN106982379A (zh) 屏幕色彩的管理方法、装置及终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