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2583A - 휴대전화무선리모콘 - Google Patents

휴대전화무선리모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2583A
KR20070022583A KR1020060043718A KR20060043718A KR20070022583A KR 20070022583 A KR20070022583 A KR 20070022583A KR 1020060043718 A KR1020060043718 A KR 1020060043718A KR 20060043718 A KR20060043718 A KR 20060043718A KR 20070022583 A KR20070022583 A KR 200700225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remote control
wireless remote
cap
connec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37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형
Original Assignee
김태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형 filed Critical 김태형
Priority to KR10200600437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22583A/ko
Publication of KR200700225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25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1/00Hand knives combined with other implements, e.g. with corkscrew, with scissors, with writing implement
    • B26B11/008Hand knives combined with other implements, e.g. with corkscrew, with scissors, with writing implement comprising electronic or electrical features, e.g. illuminating means, computing devices or sens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10Power supply of remote contro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전화무선리모콘에 관한 것이다. 이는 휴대전화무선리모콘에 있어서, 몸체내에 구비되는 배터리의 직류전원을 사용하여 휴대전화를 충전하는 휴대전화충전모듈이 구비되어 휴대전화를 충전 하거나 또는 컴퓨터의 외부기기 접속포터에 흐르는 직류전원을 변환하여 휴대전화를 충전하는 휴대전화충전 모듈이 구비되어 휴대전화를 충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휴대전화무선리모콘은 본래의 기능인 음악청취 기능 이외에도 휴대전화무선리모콘에 구비되는 배터리의 직류전원을 이용하여 휴대전화를 충전하거나 휴대전화무선리모콘 몸체에 컴퓨터의 외부기기 접속포터에 흐르는 직류전원을 변환하여 휴대전화를 충전하는 휴대전화충전 모듈을 구비하여 휴대전화를 충전 할 수 있도록 하고 부가적 양상으로 주머니칼을 탈 부착 할 수 있게 되어 비행기를 탈 때는 주머니칼을 분리하여 휴대전화무선리모콘만을 휴대 할 수도 있어 편리하다.
휴대전화무선리모콘, 컴퓨터의 외부부기기 접속포터, 배터리의 전원, 휴대전화충전, 칼날, 줄, 가위, 주머니칼

Description

휴대전화무선리모콘 {wireless remote control for mobile phone}
도 1 은 종래기술의 휴대전화무선리모콘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두 가지 타입의 휴대전화무선리모콘으로 휴대전화를 충전하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전화무선리모콘의 몸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전화무선리모콘의 몸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 5b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전화무선리모콘의 몸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 6b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전화무선리모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a, 도7b, 도7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주머니칼이 구비 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휴대전화무선리모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몸체내에 구비되는 배터리의 직류전원을 사용하여 휴대전화를 충전하는 휴대전화충전모듈이 구비되어 휴대전화를 충전 하거나 또는 컴퓨터의 외부기기 접속포터에 흐르는 직류전원을 변환하여 휴대전화를 충전하는 휴대전화충전 모듈이 구비되어 휴대전화를 충전 하는 것에 관 한 것이다.
휴대전화무선리모콘은 도 1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전화(60)와 디지털기기 간의 무선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불루투스 칩 등이 내장되어 휴대전화와 무선으로 연결되는 몸체(21) 그리고 상기 몸체(21)에 연결되는 마이크 겸용 이어폰(22)으로 구성되어 휴대전화(60)에 걸려온 전화를 휴대전화(60)의 통화버튼을 직접 누르지 않고도 자동으로 무선리모콘으로 전화가 연결되어 몸체(21)에 접속한 마이크 겸용 이어폰(22)으로 통화를 할 수 있는 공지의 기술이다. 배터리의 전원을 사용하여 휴대전화를 충전하는 기술 또는 컴퓨터의 외부기기접속포터에 흐르는 직류전원을 휴대전화에 맞는 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충전하는 기술은 공지의 기술로 더 이상 상세한 설명은 하지 않는다.
종래에는 휴대전화무선리모콘과 휴대전화충전기는 서로의 기술적인 연관성이 없어 각각 따로 휴대해야 했고, 결과적으로 휴대품의 수가 늘어 불편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한 것으로 휴대전화무선리모콘에 구비되는 배터리의 직류전원을 변환하여 휴대전화를 충전하는 휴대전화충전모듈을 구비되어 휴대전화를 충전 하거나 또는 휴대전화무선리모콘 몸체에 컴퓨터의 외부 기기 접속포터에 흐르는 직류전원을 변환하여 휴대전화를 충전하는 휴대전화충전 모듈을 구비하여 휴대전화를 충전 하도록 하여 종래에는 각각 별도로 휴대하여야 했던 것을 하나로 휴대 할 수 있게 하여 휴대품을 줄이는 동시에 휴대전화를 충전할 수 있는 휴대전화무선리모콘을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전화무선리모콘은 휴대전화와 무선으로 연결되는 몸체 그리고 상기 몸체에 연결되는 마이크 겸용 이어폰으로 구성되는 휴대전화무선리모콘에 있어서, 몸체내에 구비되는 배터리의 직류전원을 사용하여 휴대전화를 충전하는 휴대전화충전모듈이 구비되어 휴대전화를 충전 하거나 또는 컴퓨터의 외부기기 접속포터에 흐르는 직류전원을 변환하여 휴대전화를 충전하는 휴대전화충전 모듈이 구비되어 휴대전화를 충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휴대전화와 무선으로 연결되는 몸체 그리고 상기 몸체에 연결되는 마이크 겸용 이어폰으로 구성되는 휴대전화무선리모콘에 있어서, 몸체에 휴대전화접속단자가 구비되고 배터리에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몸체에 휴대전화접속단자가 구비되고 배터리와 상기 휴대전화 접속단자 사이에 상기 배터리의 직류전원을 변환하여 휴대전화를 충전하는 휴대전화충전 회로수단이 연결되거나 또는 몸체에 컴퓨터접속단자와 휴대전화접속단자가 구비되고 상기 두개의 접속단자사이에 컴퓨터의 외부기기접속포터에 흐르는 직류전원을 휴대전화에 맞는 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충전하는 휴대전화충전회로수단이 연결 되어 휴대전화를 충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컴퓨터접속단자와 휴대전화접속단자 사이에 컴퓨터와 휴대전화를 연결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게 하는 커넥트회로수단이 더욱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휴대전화접속단자를 보호하는 캡이 마련되며 상기 휴대전화접속단자가 구비된 상기 몸체의 선단부에 걸림돌기를 가진 판스프링이 장착되고 상기 판스프링에 분리버튼이 마련되며 상기 캡은 상기 걸림돌기로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몸체의 소정 부위에 내부로 요입 형성된 구멍에 발광다이오드(LED)가 삽입 고정되고 상기 발광다이오드(LED)를 온/오프(ON/OFF) 조작하는 스위치가 몸체의 소정 부위장착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몸체의 소정부위에 내부로 요입 형성된 또 하나의 구멍이 마련되고 상기 구멍에 레이저다이오드(LED)가 삽입 고정 되고 상기 레이저다이오드(LED)를 온/오프(ON/OFF) 조작하는 스위치가 몸체의 소정 부위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컴퓨터접속단자와 휴대전화접속단자를 보호하는 각각의 캡이 구비되며, 상기 각각의 캡에는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구멍이 고리, 클립 또는 줄로 함께 결합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캡들 중 어느 일측의 캡의 개구부 가장자리의 일면이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선단부 구멍이 형성되고. 나머지 캡의 선단 부에 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각각의 구멍이 상기 고리, 클립 또는 줄로 함께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두개의 접속단자를 보호하는 캡이 각각 마련되고 상기 몸체 또는 상기 두개의 캡 중 어느 하나의 캡에 주머니칼의 손잡이가 탈 부착되고 나머지 캡과 상기 손잡이의 일측 단에 구멍이 각각 마련되고 고리 클립 또는 줄로 상기 두개의 구멍이 함께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두개의 접속단자를 보호하는 캡이 각각 마련되고 상기 두개의 캡을 동시에 결합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두개의 캡 중 어느 하나의 캡에 나사가 형성되고 나머지 캡에 구멍이 마련되며, 길이방향 일측단에 나사가 형성되고 타측 단에 구멍이 마련된 결합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캡의 나사와 결합되고 상기 구멍은 상기 나머지 캡의 구멍과 함께 고리 클립 또는 줄로 함께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머니칼은 손잡이 내의 길이방향 일측 단에 흰지 결합되어 손잡이내로 접어 넣어 보관하는 칼날로 구성되며, 줄 그리고 가위가 포함 될 수 있고 공지의 기술로 더 이상 상세한 설명은 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두 가지 타입의 휴대전화무선리모콘으로 휴대전화를 충전하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전화무선리모콘(50)는 몸체(51)에 휴대전화접속단자(52)가 구비되고 몸체(51) 내에 구비되는 배터리(미도시)에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몸체(51)에 휴대전화접속단자 (52)가 구비되고 배터리(미도시)와 상기 휴대전화 접속단자(52) 사이에 상기 배터리(미도시)의 직류전원을 변환하여 휴대전화를 충전하는 휴대전화충전 회로수단(미도시)이 연결되거나, 또는 몸체(51)에 컴퓨터접속단자(54)와 휴대전화접속단자(52)가 구비되고 상기 두개의 접속단자(52),(54) 사이에 컴퓨터의 외부기기접속포터에 흐르는 직류전원을 휴대전화에 맞는 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충전하는 휴대전화충전회로수단(미도시)이 연결 되어 본래의 기능인 무선리모콘 기능이외에도 휴대전화(60)를 충전 하도록 구성 된다 다른 실시예로 상기 컴퓨터접속단자(54)와 휴대전화접속단자(52) 사이에 컴퓨터(40)와 휴대전화(60)를 연결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게 하는 커넥트회로수단(미도시)이 더욱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미도시)는 휴대전화무선리모콘의 작동에 사용되는 배터리 이거나 또는 휴대전화충전용을 위해 별도로 구비되는 배터리일수 있으며 어느 것이든 무관하며 전지의 종류는 재충전 할 수 있는 축전지 형태이거나 또는 교체 하여 사용되는 배터리이거나 어느 것이든 상관없다. 배터리의 직류전원으로 휴대전화를 충전하는 기술은 공지의 기술로 더 이상 상세한 설명은 하지 않는다. 상기 휴대전화접속단자(52)는 휴대전화(60)의 I/O 인터페이스(61)에 접속되며 상기 휴대전화접속단자(52)는 어떤 형태의 것이든 무방하며 휴대전화(60)에 별도의 충전용 잭이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휴대전화접속단자(52)는 충전용 잭에 결합될 수 있는 플러그 형태로 구비 될 수 있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전화무선리모콘의 몸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전화무선리모콘(50)는 몸체(51)에 휴대전화접속단자(52)가 구비 되고 상기 몸체(51)의 선단부에 걸림돌기(51a)를 가 진 판스프링(51b)이 장착되고 상기 판스프링(51b)에 분리버튼(51c)이 마련되며 상기 캡(53)은 상기 걸림돌기(51a)로 고정된다. 이렇게 하면 상기 캡(53)은 안전하게 고정되며 상기 분리버튼(51c)를 누르면 상기 판스프링(51b)이 휘어져 상기 걸림돌기(51a)가 상기 캡(53)으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휴대전화접속단자(52)를 사용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캡(53)에는 목걸이용 줄(57)이 연결될 수 있다. 미설명부호 54는 컴퓨터접속단자이며 미설명부호 55는 컴퓨터접속단자(54)를 보호하기위한 캡이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전화무선리모콘의 몸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전화무선리모콘(50)는 몸체(51)의 길이방향 일 측단에 휴대전화접속단자(52)가 구비되고 상기 휴대전화접속단자(52)가 구비된 몸체(51)의 선단 부위에 내부로 요입 형성된 구멍(51g)에 발광다이오드(LED)(51h)가 삽입 고정되고 상기 발광다이오드(LED)(51h)를 온/오프(ON/OFF) 조작하는 스위치(D)가 몸체(51)의 소정 부위장착 되어 구성되며, 상기 발광다이오드(LED)(51h)가 구비된 상기 부위에 내부로 요입 형성된 또 하나의 구멍(51i)이 마련되고 상기 구멍(51i)에 레이저다이오드(LED)(51j)가 삽입 고정 되고 상기 레이저다이오드(LED)(51j)를 온/오프(ON/OFF) 조작은 상기 스위치(D)가 겸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멍(51g),(51i)은 도4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몸체(51)의 어떤 부위든지 가능하다.
도 5a, 5b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전화무선리모콘의 몸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전화무선리모콘(50)는 몸체 (51)의 길이 방향 양측단에 휴대전화접속단자(52)와 컴퓨터접속단자(54)가 구비되며, 상기 컴퓨터접속단자(54)는 상기 몸체(51)에 수납홈(51d)에 수납되는 상태로 구비될 수 있고 사용 하고자 할 경우 상기 컴퓨터접속단자(54)에 고정된 슬라이드 버튼(51f)의 조작으로 외부로 돌출 될 수 있다. 상기 휴대전화접속단자(52)를 보호하는 캡(53)이 마련되고 상기 휴대전화접속단자(52)가 구비 된 상기 몸체(51)의 선단부에 걸림돌기(51a)를 가진 판스프링(51b)이 장착되고 상기 판스프링(51b)에 분리버튼(51c)이 마련되며 상기 캡(53)은 상기 걸림돌기(51a)로 고정된다. 미설명부호 51e는 슬라이드홈이다.
도 6a, 도 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주머니칼이 구비 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전화무선리모콘(50)는 몸체(51)의 길이방향으로 일측 단에 휴대전화 접속단자(52)와 이를 보호하는 캡(53)이 구비되고 상기 몸체(51)의 길이방향 타 측단에 컴퓨터의 외부기기 접속포터에 접속되는 컴퓨터접속단자(54)가 장착되고 이를 보호하는 캡(55)이 구비된다. 상기 휴대전화접속단자(52)는 휴대전화에 접속될 수 있는 어떤 형태의 접속단자이든 무방하다. 상기 각각의 캡(53),(55)의 선단부에 구멍(53a),(55b)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구멍(53a),(55b)들은 고리(미도시), 클립(56) 또는 줄(57)로 함께 결합 된다. 부연설명하면, 상기 캡(53),(55)들 중 어느 일측의 캡(55)의 가장자리의 일면이 상기 몸체(5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선단부 구멍(55b)이 형성되고, 나머지 캡(53)의 선단부에 구멍(53a)이 형성되어 상기 구멍(55b),(53a)들이 고리(미도시), 클립(56) 또는 줄(57)로 함께 결합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설명부호 59는 몸체(51)에 연결 되는 마이크 겸용 이어폰이다.
도 7a, 도7b, 도7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주머니칼이 구비 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전화무선리모콘(50)는 몸체(51)의 길이방향 양측 단에 휴대전화접속단자(미도시)와 컴퓨터접속단자(미도시)가 구비되며, 상기 두개의 접속단자를 보호하는 캡(53),(55)이 각각 마련되고 상기 몸체(51) 또는 상기 두개의 캡(53),(55) 중 어느 하나의 캡(55)에 주머니칼(59)의 손잡이(59a)가 탈 부착 되고 나머지 캡(53)과 상기 손잡이(59a)에 일측 단에 구멍(53a),(59f)이 각각 마련되고 고리(미도시) 클립(56) 또는 줄(57)로 상기 두개의 구멍(53a),(59f)이 함께 결합되어 구성된다. 미설명부호 51k는 암나사, 59b는 칼날, 59c는 줄(file) 59d는 가위, 59e 숫나사, 59g는 암나사, 55l 은 숫나사이다. 다른 실시예로 도 7c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길이방향 일측단에 숫나사 또는 암나사로 된 나사(31)가 형성되고 타측 단에 구멍(32)이 마련된 결합부재(30)가 구비되어 상기 캡(55)의 나사(551)와 결합되고 상기 구멍(32)은 상기 나머지 캡(56)의 구멍(미도시)과 함께 고리(미도시) 클립(56) 또는 줄(57)로 함께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상기 주머니칼(59)을 분리 한 채 몸체(51)를 휴대할 경우에도 상기 두개의 캡(55),(53)의 분실을 막을 수 있어 편리하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 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 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휴대전화무선리모콘은 본래의 기능이외에도 휴대전화무선리모콘에 구비되는 배터리의 직류전원을 이용하여 휴대전화를 충전하거나 휴대전화무선리모콘 몸체에 컴퓨터의 외부기기 접속포터에 흐르는 직류전원을 변환하여 휴대전화를 충전하는 휴대전화충전 모듈을 구비하여 휴대전화를 충전 할 수 있도록 하고 부가적 양상으로 주머니칼을 탈 부착 할 수 있게 되어 비행기를 탈 때는 주머니칼을 분리하여 휴대전화무선리모콘만을 휴대 할 수도 있어 편리하다.

Claims (11)

  1. 휴대전화와 무선으로 연결되는 몸체 그리고 상기 몸체에 연결되는 마이크 겸용 이어폰으로 구성되는 휴대전화무선리모콘에 있어서, 몸체내에 구비되는 배터리의 직류전원을 사용하여 휴대전화를 충전하는 휴대전화충전모듈이 구비되어 휴대전화를 충전 하거나 또는 컴퓨터의 외부기기 접속포터에 흐르는 직류전원을 변환하여 휴대전화를 충전하는 휴대전화충전 모듈이 구비되어 휴대전화를 충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무선리모콘.
  2. 휴대전화와 무선으로 연결되는 몸체 그리고 상기 몸체에 연결되는 마이크 겸용 이어폰으로 구성되는 휴대전화무선리모콘에 있어서, 몸체에 휴대전화접속단자가 구비되고 배터리에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몸체에 휴대전화전속단자가 구비되고 배터리와 상기 휴대전화 접속단자 사이에 상기 배터리의 직류전원을 변환하여 휴대전화를 충전하는 휴대전화충전 회로수단이 연결되거나 또는 몸체에 컴퓨터접속단자와 휴대전화접속단자가 구비되고 상기 두개의 접속단자사이에 컴퓨터의 외부기기접속포터에 흐르는 직류전원을 휴대전화에 맞는 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충전하는 휴대전화충전회로수단이 연결 되어 휴대전화를 충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무선리모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접속단자와 휴대전화접속단자 사이에 컴퓨터와 휴대전화를 연결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게 하는 커넥트회로수단이 더욱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무선리모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전화접속단자를 보호하는 캡이 마련되며 상기 휴대전화접속단자가 구비된 상기 몸체의 선단부에 걸림돌기를 가진 판스프링이 장착되고 상기 판스프링에 분리버튼이 마련되며 상기 캡은 상기 걸림돌기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무선리모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소정 부위에 내부로 요입 형성된 구멍에 발광다이오드(LED)가 삽입 고정되고 상기 발광다이오드(LED)를 온/오프(ON/OFF) 조작하는 스위치가 몸체의 소정 부위장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휴대전화무선리모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소정부위에 내부로 요입 형성된 또 하나의 구멍이 마련되고 상기 구멍에 레이저다이오드(LED)가 삽입 고정 되고 상기 레이저다이오드(LED)를 온/오프(ON/OFF) 조작하는 스위치가 몸체의 소정 부위장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휴대용 휴대전화무선리모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접속단자와 휴대전화접속단자를 보호하는 각각의 캡이 구비되며, 상기 각각의 캡에는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구멍이 고리, 클립 또는 줄로 함께 결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무선리모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캡들 중 어느 일측의 캡의 개구부 가장자리의 일면이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선단부 구멍이 형성되고, 나머지 캡의 선단부에 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각각의 구멍이 상기 고리, 클립 또는 줄로 함께 연결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무선리모콘.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두개의 접속단자를 보호하는 캡이 각각 마련되고 상기 몸체 또는 상기 두개의 캡 중 어느 하나의 캡에 주머니칼의 손잡이가 탈 부착 되고 나머지 캡과 상기 손잡이의 일측 단에 구멍이 각각 마련되고 고리 클립 또는 줄로 상기 두개의 구멍이 함께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무선리모콘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두개의 접속단자를 보호하는 캡이 각각 마련되고 상기 두개의 캡을 동 시에 결합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무선리모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두개의 캡 중 어느 하나의 캡에 나사가 형성되고 나머지 캡에 구멍이 마련되며, 길이방향 일측단에 나사가 형성되고 타측 단에 구멍이 마련된 결합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캡의 나사와 결합되고 상기 구멍은 상기 나머지 캡의 구멍과 함께 고리 클립 또는 줄로 함께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무선리모콘
KR1020060043718A 2005-08-22 2006-05-11 휴대전화무선리모콘 KR200700225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3718A KR20070022583A (ko) 2005-08-22 2006-05-11 휴대전화무선리모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6821 2005-08-22
KR1020060043718A KR20070022583A (ko) 2005-08-22 2006-05-11 휴대전화무선리모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2583A true KR20070022583A (ko) 2007-02-27

Family

ID=43654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3718A KR20070022583A (ko) 2005-08-22 2006-05-11 휴대전화무선리모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2258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18047A (zh) * 2010-01-06 2011-07-06 索尼公司 供电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18047A (zh) * 2010-01-06 2011-07-06 索尼公司 供电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2310B1 (ko) 와치 타입 블루투스 헤드셋 어셈블리
US6230029B1 (en) Modular wireless headset system
KR100800103B1 (ko) 헤드셋
US7340221B2 (en) Adapter for a modular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N201130959Y (zh) 一种合并耳机的信息终端
EP1998415A1 (en) Multipurpose accessory for portable multimedia device
KR20050066696A (ko) 무선이어폰 충전어댑터
EP1729487B1 (en) Connector assembly for connecting mobile phone to peripheral device
KR101502766B1 (ko) 분리형 배터리가 적용되는 스마트워치
US20180019776A1 (en)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with detachable wireless module and method thereof
KR101508601B1 (ko) 다기능 벨트
US7248902B2 (en) Multi-mode power supply device of wireless earphone
KR20070022583A (ko) 휴대전화무선리모콘
US20130049672A1 (en) Mobile Telephone Wireless Earpiece Storage and Charging Device
US20040097273A1 (en) Portable amplification set & ear set interchangeable hand-free kit
KR20150102582A (ko) 스마트 의류용 배터리 단추
KR20090001494U (ko) 휴대단말기용 보조 배터리장치
CN210381252U (zh) 蓝牙耳机和耳机组件
KR20080035415A (ko) 휴대전화 충전기능이 구비된 mp3 플레이어
KR20100076832A (ko) 엠피쓰리 플레이어
JP3112606U (ja) 取り外し可能タイプの電池モジュールを具えたブルートゥース(登録商標)通信イヤフォン
KR100673363B1 (ko) 휴대단말기 손잡이겸용 무선이어폰
KR20140092967A (ko) 휴대폰 케이스
CN216437442U (zh) 一种耳机装置
KR20070003556A (ko) Mp3 플레이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