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1805A - 전원분배용 접속장치 - Google Patents

전원분배용 접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1805A
KR20070021805A KR1020050076446A KR20050076446A KR20070021805A KR 20070021805 A KR20070021805 A KR 20070021805A KR 1020050076446 A KR1020050076446 A KR 1020050076446A KR 20050076446 A KR20050076446 A KR 20050076446A KR 20070021805 A KR20070021805 A KR 200700218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wire
ground
receiving groove
oute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64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20980B1 (ko
Inventor
이상태
Original Assignee
코앤전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앤전자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앤전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764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0980B1/ko
Publication of KR200700218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18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09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09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42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compon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Abstract

전원분배용 접속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전기 공사시 전열에 관한 배선인 콘센트 배선을 할 때 여러 가닥의 선들이 조인트 박스 안에서 접속이 되어 분배되는데 이때 선과 선의 접속과 분배를 용이하게 작업을 할 수 있는 접속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절연성 재질을 이용한 성형물로 다수의 수용홈이 있는 외형 부재와 상기 수용홈에 수용되는 접지접속구 및 전원접속구, 상기 접지접속구 및 전원접속구와 접촉되어 있으며 삽입된 전선을 잡아주는 스프링, 상기 삽입된 전선을 빼내기 위한 수단인 누름부 및 상기 외형 부재와 결합 가능한 구조의 커버로 이루어진 장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옥내용 전등이나 전열의 배선시 결선방법에 있어서 전선의 앞 부분의 피복만 벗겨 삽입하면 되기 때문에 작업이 용이하고, 작업자에게 좀더 편리하게 작업을 할 수 있게 하며, 그에 따라 작업 능률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한번 삽입된 전선은 인위적으로 뽑기 전에는 빠지지가 않고 분배되는 전선 이외의 전선과는 공간적으로 분리되어 합선이나 누전에 의한 사고를 방지하여 전기적으로 안전한 전원분배가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콘센트, 외형 부재, 커버, 스프링

Description

전원분배용 접속장치{CONNECTION APPARATUS FOR SOURCE OF ELECTRICITY DISTRIBUTION}
도 1은 본 발명 전원분배용 접속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 전원분배용 접속장치의 외형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 전원분배용 접속장치의 접지접속구 및 전원접속구를 여러 측면에서 보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 전원분배용 접속장치의 접지접속구 및 전원접속구와 스프링 의 접촉 및 전선의 삽입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전원분배용 접속장치의 외형 부재와 커버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 : 외형 부재 10 : 접지수용홈
11 : 전원수용홈 20 : 접지접속구
21 : 전원접속구 15 : 전선 삽입구
30 : 스프링 40 : 누름부
50 : 커버
본 발명은 전원분배용 접속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전기공사시에 전열에 관한 배선인 콘센트 배선을 할 때 여러 가닥의 선들이 조인트 박스 안에서 접속이 되어 전원의 분배 시에 전원분배를 위한 결속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하는 접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센트 기구는 건물의 벽면에 매몰된 조인트 박스 안에서 결선이 이루어지며, 또한 메인 콘센트에서 다른 콘센트로 전원을 공급시킬 시에 메인 콘센트가 결선 된 메인 조인트 박스 안에 상기 다른 콘센트에서 결선 된 전선이 메인 조인트 박스로 인입되어 같이 접속하게 된다. 이와 같이 메인 콘센트에서 다른 콘센트로 전원을 공급시킬 때 다수의 선이 접속될 경우 선을 접속하는 방법에 있어서 종래에는 선과 선을 도구를 이용하여 서로 꼬아서 접속한 후 절연테이프로 감아 처리는 하는 방법이나, 선과 선을 꼬아서 일종의 결선 마무리에 쓰이는 스프링 커넥터를 사용하여 꼬아져 있는 선에 상기 스프링 커넥터를 시계방향으로 돌려 삽입되게 하여 절연하게 한 후 마무리를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방법은 공사 후 습기나 노후에 의해서 절연테이프가 벗겨지거나 스프링 커넥터가 떨어져 나가 선과 선이 접촉이 되어 누전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과 더 나아가 이로 인해 화재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콘센트 등의 보수시에 감전에 의한 사고가 날 우려도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 전기 공사 시공시에 선과 선을 일일이 꼬아 테이프 처리를 하던가 스프링 커넥터를 씌우게 될 경우 작업량이 많아지고 그에 따라 작업 시간도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선의 앞 부분의 피복만 벗겨 삽입하면 전원 분배가 이루어지는 전원분배 접속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삽입된 전선들 중 분배되는 일측 전선들과 타측 전선들을 공간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는 전원분배 접속장치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원선을 분배하는 전원분배 장치에 있어서,
절연성 재질을 이용한 성형물로 상면은 접지선이 삽입되는 접지수용홈과 상기 접지수용홈에 나란하게 형성되어 전원선이 삽입되는 전원수용홈이 각각 분리되도록 형성되고, 저면은 전원선 내지 접지선이 삽입되어 상기 접지수용홈 내지 전원수용홈과 통하는 다수의 삽입구로 형성된 외형 부재; 와 상기 외형 부재의 접지수용홈에 삽입되는 접지접속구; 상기 전원수용홈에 삽입되어 삽입된 전원선들을 연결하는 전원접속구; 상기 접지접속구 및 전원접속구에 설치되어 상기 삽입구를 통해 삽입된 전선이 상기 접지접속구 내지 전원접속구와 밀착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외형부재와 동일한 재질과 면적으로, 결합이 가능하고 상면을 마감할 수 있게 결합구와 탄성 돌출편이 형성되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삽입된 전선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에 대하여 상기 탄성력이 작용하는 힘의 반대방향으로 누를 수 있는 구조를 갖는 누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형 부재는 저면에 상기 누름부의 일부가 노출되어 사용자가 상기 누름부를 가압할 수 있도록 누름부 노출공;을 형성한 것이 특징이다.
여기에서 상기 접지접속구는 'ㄷ'자 형상으로 다리 모양의 4개의 접촉편을 형성하고, 상기 접촉편 중 전선이 접촉되는 면의 접촉편은 전선이 삽입될 때 가이드 역할을 하기 위하여 호의 형상을 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전원접속구는 `ㄷ'자 형상으로 다리 모양의 4개의 접촉편을 형성하고, 상기 접촉편 중 전선이 접촉되는 면의 접촉편은 전선이 삽입될 때 가이드 역할을 하기 위하여 호의 형상을 한 것을 분배되는 전원선의 수에 따라 일체로 다수개를 연결하여 형성한 것이 특징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 전원분배용 접속장치의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상기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요소는 크게 절연성 재질을 이용한 성형물로 접지수용홈 (10)과 전원수용홈(11)으로 분리된 구조의 외형 부재(1), 상기 접지수용홈 및 전원수용홈으로 삽입되는 전선들을 연결하는 접지접속구(20)와 전원접속구(21), 상기 접지접속구 및 전원접속구와 접촉되어 있으며 삽입된 전선을 잡아주는 스프링(30), 및 상기 외형 부재(1)의 상면과 결합하여 마감하는 구조의 커버(50)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삽입된 전선을 잡아주는 스프링(30)의 작용하는 힘의 반대방향으로 눌러 전선을 쉽게 빠지게 하기 위해 누를 수 있는 구조의 누름부(40)가 포함되는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누름부는 두개의 스프링과 접촉되며 전선이 삽입될 때 전선과 간섭을 받지 않는 곳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형 부재(1)의 상면에는 접지선이 삽입되는 접지수용홈(10)이 서로 접촉이 되지 않도록 분리될 수 있게 두 부분으로 나뉘게 되며, 상기 접지수용홈(10)과 쌍으로 나란하게 형성되어 전원선이 삽입되는 전원수용홈(11)은 서로 다른 상과 접촉하지 않게 각각 분리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외형 부재(1)의 수용홈(10,11)은 총 네 군데로 나뉘게 되며 접지수용홈(10)에 삽입되는 접지접속구(20), 상기 전원수용홈(11)에 삽입되어 삽입된 전원선들을 연결하는 전원접속구(21), 상기 접지접속구(20) 및 전원접속구(21)에 설치되어 삽입된 전선이 상기 접지접속구(20) 내지 전원접속구(21)와 밀착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30) 및 상기 삽입된 전선을 빼내기 위한 수단인 누름부(40)가 각각 상기 수용홈(10,11)에 수용된다.
상기 접지접속구(20)는 상기 접지수용홈(10)의 상단에 수용되며 상기 접지접속구(20)는 다리 모양의 접촉편(23,24)이 형성되며 접지수용홈으로 삽입된 2가닥의 접지선을 연결시킨다.
여기에서 상기 접지접속구(10)의 접촉편(23,24)으로 접지선이 삽입되기 위해서 상기 외형 부재(1)의 저면에는 다수의 접지선이 삽입될 수 있게 다수의 삽입구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원접속구(21)는 상기 접지접속구가(20) 다수개가 일체로 된 형상을 가지며 상지 전원수용홈(11)에 수용된다.
여기에서, 상기 전원접속구(21)는 상기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 예와 같이 국한되어 있지않고 분배되는 전원선에 따라 요구되는 만큼 다수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접지접속구(20) 및 전원접속구(21)는 전기적으로 전달이 잘 될 수 있는 전기전도율이 높은 구리나 알루미늄과 같은 도체의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프링(30)은 삽입된 전선을 빼기 위한 누름부(40)의 상단에 위치하며 상기 접지접속구(20) 내지 전원접속구(21)의 일측면이 접촉되어 상기 수용홈(11,12)에 수용된다.
또한, 상기 스프링(30)은 삽입된 전선을 스프링의 탄성 성질을 이용하여 전선을 잡아주어 상기 삽입된 전선이 빠지지 않게 한다.
상기 누름부(40)는 상기 수용홈(11,12)의 하단에 위치하며 상기 외형 부재(10)의 저면에 누름부 노출공(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일부가 노출되어 있으며 상기 누름부(40)를 누름으로써 상기 스프링(30)의 탄성으로 잡고 있는 삽입된 전선을 탄성이 작용하는 힘의 반대방향으로 눌러 쉽게 빠지게 한다.
상기 커버(50)는 상기 외형 부재(1)와 같이 절연성 재질을 이용한 성형물로 상기 외형 부재(1)와 결합이 가능하고 상면을 마감할 수 있게 상기 외형 부재(1)의 원통형 관(14)과 걸림부(13)의 상응하는 위치에 결합구(54)와 탄성 돌출편(53)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 전원분배용 접속장치의 외형 부재(1)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a)는 상기 외형 부재(1)의 정면도이다. 상기 외형 부재(1)의 상면은 접지선이 삽입되는 접지수용홈(10)은 서로 접촉이 되지 않도록 분리될 수 있게 두 부분으로 나뉘게 되며, 상기 접지수용홈(10)과 나란하게 형성되어 전원선이 삽입되는 전원수용홈(11)은 서로 다른 상과 접촉하지 않게 각각 분리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외형 부재(1)의 수용홈(10,11)은 총 네 군데로 나뉘어 형성된다.
상기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외형 부재(1)는 전기가 통하지 않는 재질인 절연성 재질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도 2(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외형 부재(1)의 저면에는 전원선 내지 접지선 등의 여러 가닥의 전선이 삽입되어 상기 접지수용홈(10) 내지 전원수용홈(11)과 통할 수 있게 그에 대응하는 전선 삽입구(15)와, 전선을 빠지게 하기 위한 수단인 누름부가 일부 노출되어 사용자가 상기 누름부를 가압할 수 있도록 누름부 노출공(4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커버와의 결합을 위한 돌출된 형상을 하는 걸림부(13)와 볼트, 너트 결합을 할 수 있는 원통형 관(14)가 소정의 위치에 형성된다.
여기에서, 전선이 삽입되는 상기 삽입구(15)의 크기는 통상 옥내 전열이나 전등의 배선용 전선의 굶기에 맞혀 정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 옥내 전열이나 전등의 배선용 전선은 단상 2선이 들어오기 때문에 접지 선을 포함하여 총 3가닥의 전선이 사용되며,전선의 종류는 IV(Indoor wire:600V이하 비닐 절연전선), HIV(Heat resistant wire:600V이하 2종 내열 비닐 절연전선)와 같은 단선 전선들이 흔히 사용된다. 또한, 전선의 굶기는 사용되는 전류에 따라 1.6SQ, 2.0SQ, 2.6SQ, 3.0SQ 등의 전선이 흔히 사용된다.
따라서, 외장 부재(1)의 전선이 삽입되는 삽입구(15)의 크기는 상기 사용되는 전선이 수월하게 삽입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 전원분배용 접속장치의 접지접속구(20) 및 전원접속구(21)를 여러 측면에서 보인 도면이다.
도 3(a)는 상기 접지접속구(20)의 정면을 보인 도면이고, 도 3(b)는 상기 접지접속구(20) 의 후면을 보인 도면이다.상기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정면 및 후면에 각각 두 개씩의 다리모양을 한 접촉편(23,24)이 형성된다. 정면의 두 개의 접촉편(23)은 상기 스프링과 접촉되어, 상기 외형 부재의 접지수용홈의 내측면과 접촉된다. 상기 후면의 다른 두 개의 접촉편(24)은 상기 스프링과 1~2mm 정도 사이가 벌어지게 되고 전선이 삽입되면 상기 접촉편(24)과 상기 스프링의 벌어진 틈 사이로 전선이 삽입되게 된다.
또한 도 3(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후면의 접촉편(24)은 전선이 단선 이며 원형인 구조이기 때문에 전선의 가이드를 위해 상기 후면의 접촉편(24)은 내측면 즉 삽입되는 전선이 접촉되는 면이 호(25)의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d)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접지접속구(20) 측면을 볼 때 'ㄷ'의 형상을 하고 있다.
도 3(e)은 전원접속구(21)를 정면에서 본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원접속구(21)는 'ㄷ'자 형상을 하며 다리 모양의 4개의 접촉편(23,24)이 형성되며 삽입되는 전선이 접촉되는 면의 접촉편(24)은 호(25)이 형상을 하는 상기 접지접속구(20)가 3개가 일체로 된 형상을 한다. 상기 전원접속구(21)는 상기 접지접속구(20)가 반드시 3개가 일체로 된 것이 아니라 분배되는 전원선에 따라 요구되는 만큼 다수개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 전원분배용 접속장치의 접지접속구(20) 내지 전원접속구(21) 와 스프링의 접촉 및 전선의 삽입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이다. 상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외형 부재(1)의 전선이 삽입되는 삽입구을 통해(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음) 피복이 벗겨진 전선(60)이 삽입되게 되면, 접지접속구(20) 내지 전원접속구(21)의 일측면과 스프링(30)의 타측면 사이에 전선(60)이 삽입되게 된다.여기에서 삽입된 전선(60)은 상기 스프링(30)의 탄성으로 상기 전선(60)을 접지접속구(20) 내지 전원접속구(21)에 밀착시키게 되며 상기 접지접속구(20) 내지 전원접속구(21)를 통해 각각 접촉되어 있는 스프링(30)으로 전기적으로 연결이 이루어지고 상기 스프링(30)이 포함되는 접지접속구(20) 내지 전원접속구 (21)는 전기적으로 도통 된다. 또한 접지접속구(20) 내지 전원접속구(21)에 전선이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전선(60)이 빠지지 않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접지접속구(20) 내지 전원접속구(21)는 'ㄷ'자의 형상을 하며 외형 부재(1)의 수용홈에 수용되고 일측면은 스프링(30)의 타측면과 접촉되어있고, 상기 스프링(30)은 상기 접지접속구(20) 내지 전원접속구(21)의 'ㄷ'자 홈에 수용되며, 일측면은 상기 접지접속구(20) 내지 전원접속구(21)의 'ㄷ'자 홈에 수용되지 않으며 외형 부재(1)의 내측면에 지지함으로써 스프링의 탄성 작용을 하게 한다.
이때, 상기 접지접속구(20) 내지 전원접속구(21)에 밀착되어 있는 전선(60)은 누름부(40)가 눌러지게 되면 스프링(30)의 탄성이 작용하는 방향 즉 상기 전선(60)을 잡고 있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고 그로 인해 상기 접지접속구(20) 내지 전원접속구(21)와 스프링(30) 사이에 공간이 생기게 되며 전선(60)이 쉽게 빠질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 전원분배용 접속장치의 외형 부재(1)와 커버(50)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커버(50)의 하단의 중앙에는 상기 외형 부재(1)와 결합을 할 수 있도록 탄성 돌출편(53)이 형성되며, 상기 외형 부재(1)에는 탄성 돌출편(53)에 상응하는 위치에 상기 탄성 돌출편(53)이 걸릴 수 있는 걸림부(13)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커버(50)나 외형 부재(1)의 상단에도 이와 같은 탄성 돌출편(53)과 걸림부(13)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외형 부재(1)와 커버(50)의 또 다른 결합 수단으로 상기 커버(50)의 중앙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볼트, 너트 결합을 할 수 있도록 다수에 결합구(54)가 뚫려 있고, 상기 외형 부재(10)에는 상기 커버(50)의 결합구(54)에 상응하는 위치에 일정한 크기의 원통형 관(14)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옥내용 전등이나 전열의 배선시 전원선을 분배하는 분배 장치에 있어서, 전선의 앞 부분의 피복만 벗겨 삽입하면 되기 때문에 작업이 용이하고, 작업자에게 좀더 편리하게 작업을 할 수 있게 하며, 그에 따라 작업 능률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한번 삽입된 전선은 인위적이 아닌 이상 쉽게 빠지지가 않고, 공간적으로 분리되어 분배를 위한 전선들 이외의 다른 선들과는 접촉되지 않아 합선이나 누전에 의한 사고를 방지하며 전기적 안전성을 높이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 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5)

  1. 전원선을 분배하는 전원 분배 장치에 있어서,
    절연성 재질을 이용한 성형물로 상면은 접지선이 삽입되는 접지수용홈과 상기 접지수용홈과 나란하게 형성되어 전원선이 삽입되는 전원수용홈이 각각 분리되도록 형성되고, 저면은 전원선 내지 접지선이 삽입되어 상기 접지수용홈 내지 전원수용홈과 통하는 다수의 삽입구가 형성된 외형 부재;
    상기 외형 부재의 접지수용홈에 삽입되는 접지접속구;
    상기 전원수용홈에 삽입되어 삽입된 전원선들을 연결하는 전원접속구;
    상기 접지접속구 및 전원접속구에 설치되어 상기 삽입구를 통해 삽입된 전선이 상기 접지접속구 내지 전원접속구와 밀착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분배용 접속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형부재와 동일한 재질과 면적으로, 결합이 가능하고 상면을 마감할 수 있게 결합구와 탄성 돌출편이 형성되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분배용 접속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삽입된 전선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에 대하여 상기 탄성력이 작용하는 힘의 반대방향으로 누를 수 있는 구조를 갖는 누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형 부재는 저면에 상기 누름부의 일부가 노출되어 사용자가 상기 누름부를 가압할 수 있도록 누름부 노출공;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분배용 접속장치.
  4. 제 1항 또는 3항 있어서, 상기 접지접속구는
    `ㄷ'자 형상으로 다리 모양의 4개의 접촉편을 형성하고, 상기 접촉편 중 전선이 접촉되는 면의 접촉편은 전선이 삽입될 때 가이드 역할을 하기 위하여 호의 형상을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분배용 접속장치.
  5. 제 1항 또는 3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접속구는
    `ㄷ'자 형상으로 다리 모양의 4개의 접촉편을 형성하고, 상기 접촉편 중 전선이 접촉되는 면의 접촉편은 전선이 삽입될 때 가이드 역할을 하기 위하여 호의 형상을 한 것을 분배되는 전원선의 수에 따라 일체로 다수개를 연결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분배용 접속장치.
KR1020050076446A 2005-08-19 2005-08-19 전원분배용 접속장치 KR1007209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6446A KR100720980B1 (ko) 2005-08-19 2005-08-19 전원분배용 접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6446A KR100720980B1 (ko) 2005-08-19 2005-08-19 전원분배용 접속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4008U Division KR200400489Y1 (ko) 2005-08-19 2005-08-19 전원분배용 접속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1805A true KR20070021805A (ko) 2007-02-23
KR100720980B1 KR100720980B1 (ko) 2007-06-04

Family

ID=43653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6446A KR100720980B1 (ko) 2005-08-19 2005-08-19 전원분배용 접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09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4421B1 (ko) * 2007-11-13 2009-12-29 이용순 전선접속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전선접속방법
KR101094661B1 (ko) 2010-08-16 2011-12-20 카이스전자(주) 엘리베이터 전선 분기박스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2688Y1 (ko) * 1997-01-16 1999-06-01 지상철 전원 분배 콘넥터
KR200198602Y1 (ko) * 2000-04-28 2000-10-02 신종철 양쪽에서 가변접속이 가능한 모듈러 카풀러의 조합
KR20010016039A (ko) * 2000-10-11 2001-03-05 신종철 힌지식가변형배선장치 및 이를 이용한정보통신선로용공통장치함
KR20010090062A (ko) * 2001-09-01 2001-10-18 신종철 내부에서 접속회선을 조정할 수 있는 모듈러방식의세대단자함용 접속단자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0980B1 (ko) 2007-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51704B2 (en) Modular wiring system
US6563049B2 (en) Modular electrical system
US9437985B2 (en) Connector with integral fuse holder
CN102084550B (zh) 接线盒和接线盒块
US5975938A (en) Quick connect electrical connector for multi conductor insulated cable wiring
US10862288B2 (en) Wiring apparatus
WO2004077614A2 (en) Fused receptacle with power conversion/control board
US5906508A (en) Electrical disconnect for use with an appliance
RU2467440C2 (ru) Модульный разъем для электрических соединений
KR100720980B1 (ko) 전원분배용 접속장치
KR20180068446A (ko) 콘센트 설치 구조
KR200400489Y1 (ko) 전원분배용 접속장치
KR100816282B1 (ko) 배전 선로의 분기슬리브
CN209374715U (zh) 一种电连接器及灯具
KR20070120338A (ko) 콘센트 구조
GB2490146A (en) Wiring of electrical fittings
KR100726367B1 (ko) 전선 연결용 커넥터
TW543256B (en) Cable and wire connector
KR102256729B1 (ko) 피복 절개수단이 결합된 멀티 콘센트
KR100537926B1 (ko) 전선 완전 연결용 스리브
KR100850258B1 (ko) 절연 보호캡을 구비한 콘센트
KR200282469Y1 (ko) 전원 연결용 케이블 컨넥터
CN109768408A (zh) 一种电连接器及灯具
KR200333811Y1 (ko) 전선접속구
JP3414716B2 (ja) ケーブル接続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0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