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1158A -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내부에서 데이터를전송하기 위한 방법, 그리고 그에 상응하는 기지국 - Google Patents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내부에서 데이터를전송하기 위한 방법, 그리고 그에 상응하는 기지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1158A
KR20070021158A KR1020067019450A KR20067019450A KR20070021158A KR 20070021158 A KR20070021158 A KR 20070021158A KR 1020067019450 A KR1020067019450 A KR 1020067019450A KR 20067019450 A KR20067019450 A KR 20067019450A KR 20070021158 A KR20070021158 A KR 200700211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system
wireless communication
mobile wireless
base station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9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페터 메르츠
아르민 슈플레트
Original Assignee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to KR10200670194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21158A/ko
Publication of KR200700211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1158A/ko

Links

Images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내부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그리고 그에 상응하는 기지국에 관한 것이다. 제 1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의 데이터(IQ)가 기지국(BS)의 기저 대역 유닛(BB) 내에서는 기저 대역에서 처리되고, 기지국의 고주파수 유닛(RF) 내에서는 고주파수 범위로부터 또는 고주파수 범위로 변환된다. 제 1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의 데이터(IQ)는 기지국(BB)과 고주파수 유닛(RF) 사이에서 인터페이스(IC)를 경유하여 전송된다. 제 2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전송될 데이터(IP)는 기저 대역에서의 처리 전에 인터페이스(IC)를 경유하여 전송되고 및/또는 상기 제 2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의 수신된 데이터(IP)는 기저 대역에서의 처리 후에 마찬가지로 인터페이스(IC)를 경유하여 전송된다.

Description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내부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그리고 그에 상응하는 기지국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INSIDE A BASE STATION OF A MOBILE RADIO SYSTEM, AND CORRESPONDING BASE STATION}
본 발명은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내부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그리고 그에 상응하는 기지국에 관한 것이다.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의 가입자가 전파(radio wave)를 통하여 통신을 한다. 예를 들어 제 2 이동 무선 통신 세대인 GSM(Global System of Mobile Communication) 또는 IS-95를 위한 및 제 3 이동 무선 통신 세대인 UMTS-FDD(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Frequency Division Duplex)를 위한 다수의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이 공지되어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표준 802.x와 같이 소위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표준 또는 WMAN(Wireless Metropolitan Area Network)-표준에 따라 설계된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들도 구현될 수 있다.
가입자가 공중 인터페이스를 경유하여 통신하게 되는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는 기지국으로서 언급되는 경우도 종종 있다. 다수의 기업들이 지멘스와 공동으로 상기와 같은 기지국 내부에서 인터페이스를 규정하였는데, 상기 인터페이스는 처음에는 UMTS-FDD를 위해서 이용되어야 하고 나중에는 다른 표 준들을 위해서도 이용되어야 한다. 상기 인터페이스는 커먼 퍼블릭 라디오 인터페이스(CPRI; Common Public Radio Interface)라는 명칭으로 공지되어 있다. CPRI는 한 기지국의 소위 무선 장치 제어부(Radio Equipment Control Portion)를 상기 기지국의 소위 무선 장치부(Radio Equipment Portion)와 연결한다. 상기 무선 장치 제어부가 다른 무엇보다도 전송될 혹은 수신된 신호의 기저 대역(base band) 처리를 포함하는 한편, 상기 무선 장치부에서는 전송될 신호가 고주파수 대역으로 변환되거나 또는 수신된 신호가 기저 대역으로 변환되는 과정이 이루어진다.
네트워크 플래닝 및 설치 비용을 줄이기 위해서는, 상이한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혹은 무선 통신 액세스 포인트를 동일한 위치에 제공하는 것이 유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제공을 바람직한 방식으로 가능케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1에 따른 방법 그리고 종속항에 따른 기지국에 의해서 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및 개선예들은 종속 청구항들의 대상이다.
제 1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내부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는, 상기 제 1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의 데이터가 상기 기지국의 기저 대역 유닛 내부에서는 기저 대역에서 처리되고, 상기 기지국의 고주파수 유닛 내부에서는 고주파수 범위로부터 변환되거나 혹은 고주파수 범위로 변환되며, 상기 제 1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의 데이터가 기저 대역 유닛과 고주파수 유닛 사이에서 인터페이스를 경유하여 전송되며, 제 2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전송될 데이터는 기저 대역에서의 처리 전에 인터페이스를 경유하여 전송되고/전송되거나 상 기 제 2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의 수신된 데이터는 기저 대역에서의 처리 후에 마찬가지로 인터페이스를 경유하여 전송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전송될 데이터는 인터페이스를 경유하여 이루어지는 전송 전에는 기저 대역에서 처리되고, 인터페이스를 경유하여 이루어지는 전송 후에 비로소 고주파수 범위로 변환되는 반면에, 상기 제 2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전송될 데이터를 위해서는 인터페이스를 경유하여 이루어지는 전송이 여전히 기저 대역 처리 이전에 이루어진다. 따라서, 그와 유사한 방식으로, 상기 제 1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의 수신된 데이터를 위해서는 기저 대역 처리가 인터페이스를 경유하여 이루어지는 전송 후에 비로소 이루어지는 반면에, 상기 제 2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의 수신된 데이터를 위한 기저 대역 처리는 인터페이스를 경유하여 이루어지는 전송 전에 미리 실행된다.
상기와 같은 내용이 의미하는 것은, 고주파수 유닛의 위치로부터 제 1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의 기저 대역 유닛의 위치로 제 2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의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하여 그리고 그 반대 방향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하여 별도의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그럼으로써, 제 2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의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추가 접속의 필연성이 없어진다. 이와 같은 내용은 특히 예를 들어 기저 대역 유닛이 건물의 지하실에 배치되어 있고, 고주파수 유닛이 건물의 지붕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와 같이, 상기 고주파수 유닛과 기저 대역 유닛 사이의 간격이 상당한 경우에 장점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해서는 바람직하게, 제 1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기 지국을 설계할 때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적응 절차를 실행하지 않고서도, 전적으로 제 1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을 위해서만 기저 대역 유닛과 고주파수 유닛 사이에 제공된 인터페이스가 제 2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개선예에 따라, 제 2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의 데이터는 제 2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의 한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입력 데이터 및/또는 출력 데이터이다.
상기 두 개의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으로서는, 이동하는 사용자 장치와의 통신이 전파를 통해서 이루어지는 임의의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들이 다루어진다. 상기 두 개의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은 예를 들어 셀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다시 말해서 개별 무선 셀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 혹은 기지국을 구비한 다수의 무선 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라, 기저 대역 유닛과 고주파수 유닛 사이의 인터페이스로서는, 상기 두 개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의 데이터를 시분할 다중 전송 방식으로 전송하는 시리얼(serial) 인터페이스가 사용된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시리얼 인터페이스로서는 서문에 언급된 CPRI-표준이 사용된다. 본 경우에는 상기 CPRI-표준의 각각의 버전(현재 버전은 버전 1.0이다)뿐만 아니라 미래의 버전들도 고려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라, 제 1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의 데이터는 하나 의 층 모델, 특히 ISO-OST-(International Standards Organisation-Open System Interconnect-) 층 모델의 물리층에 할당될 수 있고, 제 2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의 데이터는 상기 층 모델의 보다 높은 층에 할당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개선예에 따라, 제 1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및 제 2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는 전송될 신호를 공통의 송신 및/또는 수신 안테나를 이용하여 전송하고 및/또는 수신한다. 그럼으로써, 별도의 안테나의 필요성이 회피된다.
공통의 송신- 또는 수신 안테나가 이용되는지의 여부와 무관하게, 본 발명의 한 개선예에서는, 제 2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 및 제 1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의 고주파수 유닛이 구조적으로 공통의 한 유닛 내부에 통합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 및 고주파수 유닛이 구조적으로 서로 분리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제 1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실시를 지원하는 수단 또는 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의 실시예 및 개선예들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실시예 및 개선예들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응하는 수단 또는 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이다.
도 1은 UMTS-FDD-표준에 따른 제 1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BS) 및 예컨대 802.11 또는 802.16과 같은 WLAN 또는 WMAN 표준에 따른 제 2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AP)를 보여준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기지국(BS) 및 무선 액세스 포인트(A)가 임의의 다른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도 할당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동일한 표준에 상응하지만 상이한 운영 회사에 의해서 운영되는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에 할당될 수 있다.
도 1의 기지국(BS)은 인터페이스(IC)를 경유하여 CPRI-표준에 따라 서로 연결된 제 1 유닛(REC; Radio Equipment Control) 및 제 2 유닛(RE; Radio Equipment)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유닛(REC)에서는 제 1 프로세서(C1)에 의하여 기지국의 제어 및 관리가 이루어지는데, 상기 제 1 프로세서는 기지국(BS) 내부에 있는 추가의 기능 유닛들을 제어하기 위한 상응하는 제어 신호(CM)들을 발생시킨다. 상기 제어 신호(CM)들을 통해서는, 예를 들어 전송될 신호들을 제 2 유닛(RE)을 통해 발송할 수 있는 송신 파워가 제어된다. 상기 제 2 유닛(RE)은 제 1 프로세서(C1)로부터 전송되는 제어 신호(CM)를 처리하기 위하여 그리고 그에 상응하게 고주파수 유닛(RF)을 제어하기 위하여 제 2 프로세서(C2)를 포함한다. 그렇기 때문에 상기 제어 신호(CM)들 중에서 적어도 한 부분은 인터페이스(IC)를 경유하여 제 2 유닛(RE)으로 그리고 계속해서 제 2 프로세서(C2)로 전달된다. 반대 전송 방향으로도 또한 제 2 프로세서(C2)로부터 제 1 프로세서(C1)로 제어 신호(CM)가 전송된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신호는 예를 들어 오토매틱 게인 컨트롤(Automatic Gain Control)을 위한 제어 신호 및 수신 신호 강도를 위한 제어 신호이다.
제 1 프로세서(C1)의 제어 신호(CM)는 인터페이스(IC)를 경유하여 제 2 유 닛(RE) 내부에 있는 제 2 프로세서(C2)에 도달하며, 상기 제 2 프로세서는 제어 신호(CM)의 평가를 실행하고, 고주파수 유닛(RF)을 상응하는 방식으로 작동시킨다.
기지국(BS)의 제 1 유닛(REC)은 상기 제 1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의 데이터(IQ)를 기저 대역에서 처리하기 위한 기저 대역 유닛(BB)을 포함한다. 상기 기저 대역 유닛(BB)은 다른 무엇보다도 채널 코딩, 인터리빙(Interleaving), 확산(Spreading) 및 제 1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전송될 데이터의 스크램블링(Scrambling)을 실행한다. 상기 기저 대역 유닛(BB)은 또한 제 1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의 수신된 데이터의 채널 디코딩, 디-인터리빙(De-Interleaving), 역확산(De-Spreading) 및 디-스크램블링(De-Scrambling)을 실행한다.
기지국(BS)의 제 2 유닛(RE) 내부에는 고주파수 유닛(RF)이 존재하며, 상기 고주파수 유닛에 의해서는 이전에 기저 대역 유닛(BB)으로부터 발생하여 인터페이스(IC)를 경유하여 전송된 데이터(IQ)가 디지털/아날로그 방식으로 변환되고, 고주파수 범위로 변환된 다음에 파워 증폭되어 무선 신호(F1)로서 제 1 안테나(A1)를 통해 송출된다. 반대 전송 방향으로는, 상기 제 1 안테나(A1)를 통해 수신된 제 1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의 무선 신호가 고주파수 유닛(RF) 내부에서 잡음없이 증폭되고, 고주파수 범위로부터 기저 대역으로 변환된 다음에 아날로그/디지털 방식으로 변환된다. 그 다음에 상기 수신된 데이터(IQ)가 인터페이스(IC)를 경유하여 기저 대역 유닛(BB)으로 전송된다. 기저 대역 유닛(BB) 내부에서 이루어지는 기저 대역 처리 후에, 제 1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의 수신된 데이터는 ATM-데이터 패킷(ATM)으로서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데이터 패킷이 예를 들어 IP-데이터 패킷 또는 회선 교환된 데이터일 수도 있음) 제 1 애드-드롭-멀티플렉서(Add-Drop-Multiplexer; ADM1)를 경유하여 기지국(BS)의 출력부에 제공되며, 상기 출력부로부터 (도 1에 도시되지 않은) 기지국 컨트롤러 또는 무선 네트워크 컨트롤러로 전송된다. 반대 전송 방향으로는, ATM-데이터 패킷(ATM)이 기지국 컨트롤러(BB)로부터 제 1 애드-드롭-멀티플렉서(ADM1)를 경유하여 기지국(BS)의 기저 대역 유닛(BB)에 도달하고, 그곳으로부터 기저 대역 처리 후에 인터페이스(IC)를 경유하여 기지국(BS)의 제 2 유닛(RE) 내부에 있는 고주파수 유닛(RF)까지 도달한다.
기지국(BS)의 2개 유닛(REC, RE) 사이에 있는 인터페이스(IC)를 경유해서는, 기저 대역 데이터(IQ) 및 제어 신호(CM)가 시분할 다중 전송 방식으로 전송되는 이외에 제 2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의 데이터(IP), 다시 말해 무선 액세스 포인트(AP)의 입력 데이터 및 출력 데이터도 시분할 다중 전송 방식으로 전송된다. 이 경우 제 1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의 (사용자-)데이터(IQ)는 CPRI IQ 프로토콜에 따라서 전송되는 반면에, 제어 신호(CM)는 HDLC(High Data Link Control)-프로토콜 또는 이서넷-프로토콜에 의해서 그리고 제 2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의 데이터(IP)는 이서넷-프로토콜 또는 HDLC-프로토콜에 따라서 전송된다.
제 2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의 데이터(IP)는 IP(Internet Protocol)-데이터 패킷의 포맷을 갖는다. 무선 액세스 포인트(AP)는 고려 중에 있는 제 2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의 종래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와 동일한 기능성을 가지며, 이 경우에는 종래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와 마찬가지로 802.11 또는 802.16 표준을 따른다.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AP)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적으로 볼 때 제 1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BS)의 제 2 유닛(RE)과 별도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AP)가 (도 1에 파선으로 표시된 제 2 유닛(RE')에 상응하게) 제 2 유닛(RE)에 구조적으로 통합되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도 1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AP)에서는 데이터(IP)의 기저 대역 처리뿐만 아니라 기저 대역으로부터 고주파수 범위로 혹은 그 반대로의 상기 데이터의 변환도 이루어진다. 제 2 안테나(A2)를 통해 수신된 제 2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의 무선 신호(F2)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AP)에 제공되고, 그곳으로부터 기저 대역으로 변환되어 기저 대역 처리된다. 무선 액세스 포인트(AP)의 출력 신호로서는 IP-패킷의 형태로 된 데이터(IP)가 기지국(BS)의 제 2 유닛(RE) 내부에서 제 2 프로세서(C2)에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2 프로세서(C2)가 말하자면 인터페이스(IC)와 무선 액세스 포인트(AP) 사이에 있는 그리고 반대 방향으로 제 2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의 데이터(IP)를 위한 루터(Router)의 추가 기능성을 갖는다(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 2 프로세서의 상기 기능성이 또한 상기 제 2 프로세서의 기타 기능들과 별개로 추가의 프로세서에 의해서도 구현될 수 있다). 제 2 프로세서(C2)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AP)의 데이터(IP)를 인터페이스(IC)를 경유하여 제 1 유닛(REC) 내부에 있는 제 1 프로세서(C1)로 전송한다. 이어서 제 1 프로세서(C1)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AP)의 데이터(IP)를 제 1 애드-드롭-멀티플렉서(ADM1)로 전달하고, 그 다음에 상기 애드-드롭-멀티플렉서는 데이터(IP)를 도시되지 않은 게이트 웨이(Gateway)를 경유하여 인터넷에 제공한다. 반대 전송 방향으로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AP)를 경유하여 전송될 데이터(IP)가 인터넷으로부터 제일 먼저 제 1 애 드-드롭-멀티플렉서(ADM1)를 거쳐 제 1 프로세서(C1)에 도달하게 된다. 상기 데이터(IP)의 전송은 제 1 프로세서(C1)로부터 인터페이스(IC)를 거쳐 제 2 프로세서(C2)로 그리고 그곳으로부터 무선 액세스 포인트(AP)로 이루어지며,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는 기저 대역 처리 후에 그리고 고주파수 범위로의 변환 후에 데이터를 무선 신호(F2)로서 제 2 안테나(A2)까지 전송하고, 그 다음에 상기 데이터는 그곳으로부터 공중으로 발송된다.
도 1의 제 1 유닛(REC) 및 제 2 유닛(RE)은 각각 하나의 멀티플렉서 및 디멀티플렉서(M1, M2)를 포함한다. 상기 멀티플렉서 및 디멀티플렉서는, 전송될 혹은 수신된 기지국(BS)의 (사용자-)데이터(IQ), 제 1 프로세서(C1)의 제어 신호(CM) 그리고 무선 액세스 포인트(AP)의 데이터(IP)를 시리얼 인터페이스(IC)로 다중 전송하기 위해서 이용되거나, 또는 전송될 혹은 수신된 기지국(BS)의 (사용자-)데이터(IQ), 제 1 프로세서(C1)의 제어 신호(CM) 그리고 무선 액세스 포인트(AP)의 데이터(IP)를 상기 시리얼 인터페이스(IC)로부터 상기 유닛(REC, RE) 내부에 있는 상응하는 라인으로 역 다중 전송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제 1 프로세서(C1)와 제 1 멀티플렉서(M1) 사이에서 그리고 제 2 멀티플렉서(M2)와 제 2 프로세서(C2) 사이에서는 제어 신호(CM)의 전송 및 제 2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의 데이터(IP)의 전송이 시분할 다중 전송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그와 마찬가지로, 데이터(ATM, IP)의 수신은 기지국(BS)의 입력부에서 이루어지고, 상기 데이터의 전송도 또한 반대 전송 방향으로 하나의 공통 라인을 통해서 시분할 다중 전송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보여주며, 본 실시예에서는 기지국(BS) 및 무선 액세스 포인트(AP)(예를 들어 이 무선 액세스 포인트는 기지국(BS)의 제 2 유닛(RE)에 통합될 수도 있음)는 자신의 무선 신호(F1, F2)를 하나의 공통 안테나(A)를 통하여 전송하고 수신한다. 이 목적을 위하여, 상기 무선 신호(F1, F2)는 하나의 유닛(F)에서 조합되고, 안테나(A)를 통해 발송되거나 또는 반대 전송 방향으로 상기 유닛(F)에 의해서 상호 분리된다. 무선 신호(F1, F2)가 안테나(A)를 통해 발송되거나 또는 반대 전송 방향으로 상기 유닛(F)에 의해서 상호 분리되는 것은 특히 상기 무선 신호(F1, F2)가 상이한 주파수 대역에 있는 경우에 간단히 실행될 수 있다. 도 1의 실시예와 달리 도 2에서는 제 1 애드-드롭-멀티플렉서(ADM1)가 기지국(BS)의 입력부 또는 출력부에서 상기 기지국의 구성 부품으로서 기지국(BS)의 제 1 유닛(REC)에 구조적으로 통합되지 않고, 오히려 상기 제 1 유닛과 별도로 구현되어 있다. 상기 제 1 애드-드롭-멀티플렉서(ADM1)로부터 (예컨대 SDH(Synchronous Digital Hierarchy) 또는 PDH를 기반으로 하는) 연결부를 경유하여 데이터 패킷(ATM, IP)이 제 2 애드-드롭-멀티플렉서(ADM2)까지 전송되며, 상기 제 2 애드-드롭-멀티플렉서(ADM2)는 공중 인터페이스를 경유하여 수신된 데이터 패킷(ATM, IP)을 역 다중 전송하고, 제 1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의 데이터(IQ)에 상응하는 데이터 패킷(ATM)을 기지국 컨트롤러(RNC)에 제공하며, 제 2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의 데이터(IP)를 게이트 웨이를 경유하여 인터넷에 제공한다. 전송될 데이터 패킷(ATM, IP)은 제 2 ADM 멀티플렉서(ADM2)에 의해 공통의 라인 상에서 제 1 애드-드롭-멀티플렉서(ADM1)로 다중 전송된다.

Claims (10)

  1. 제 1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내부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 상기 제 1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의 데이터(IQ)를 기지국(BS)의 기저 대역 유닛(BB) 내에서는 기저 대역에서 처리하고, 기지국의 고주파수 유닛(RF) 내에서는 고주파수 범위로부터 또는 고주파수 범위로 변환하며,
    - 상기 제 1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의 데이터(IQ)를 기지국(BB)과 고주파수 유닛(RF) 사이에서 인터페이스(IC)를 경유하여 전송하며,
    - 제 2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전송될 데이터(IP)를 기저 대역에서의 처리 전에 인터페이스(IC)를 경유하여 전송하고 및/또는 상기 제 2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의 수신된 데이터(IP)를 기저 대역에서의 처리 후에 마찬가지로 인터페이스(IC)를 경유하여 전송하는,
    제 1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내부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의 데이터(IP)가 상기 제 2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AP)의 입력 데이터 및/또는 출력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내부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AP) 및 상기 제 1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BS)의 고주파수 유닛(RF)을 구조적으로 하나의 공통 유닛(RE)에 통합하거나 또는 상호 별도로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내부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BS) 및 상기 제 2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AP)가 전송될 신호(F1, F2)를 하나의 공통 송신- 및/또는 수신 안테나(A)로 전송하거나 또는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내부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의 데이터(IQ)를 하나의 층 모델의 물리층에 할당할 수 있고, 제 2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의 데이터를(IP) 상기 층 모델의 보다 높은 층에 할당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내부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IC)가 상기 데이터(IQ, IP)를 시분할 다중 전송 방식으로 전송하는 시리얼 인터페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내부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IC)가 커먼 퍼블릭 라디오 인터페이스-표준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내부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들 중에서 하나의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은 셀 방식이고, 다른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은 셀 방식이 아닌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내부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9. 제 1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을 위한 기지국(BS)으로서,
    - 상기 제 1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의 데이터(IQ)를 처리하기 위한 기저 대역 유닛(BB),
    - 상기 제 1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의 데이터(IQ)를 고주파수 범위로부터 또는 고주파수 범위로 변환하기 위한 고주파수 유닛(RF), 및
    - 상기 제 1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의 데이터를 상기 기저 대역 유닛(BB)과 상기 고주파수 유닛(RF) 사이에서 전송하기 위한 인터페이스(IC)를 포함하며,
    - 기저 대역에서의 처리 전에 제 2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전송될 데이터(IP)를 인터페이스(IC)를 경유하여 전송하기 위한 수단(C1) 및/또는 기저 대역에서의 처리 후에 제 2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의 수신된 데이터(IP)를 마찬가지로 인터페이스(IC)를 경유하여 전송하기 위한 수단(C2)을 추가로 포함하는,
    기지국.
  10. 제 9 항에 있어서,
    제 2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상기 제 2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의 고주파수 유닛(RF) 및 무선 액세스 포인트(AP)가 하나의 공통 유닛(RE)에 구조적으로 통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KR1020067019450A 2004-02-23 2005-01-03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내부에서 데이터를전송하기 위한 방법, 그리고 그에 상응하는 기지국 KR200700211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19450A KR20070021158A (ko) 2004-02-23 2005-01-03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내부에서 데이터를전송하기 위한 방법, 그리고 그에 상응하는 기지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4004076.8 2004-02-23
KR1020067019450A KR20070021158A (ko) 2004-02-23 2005-01-03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내부에서 데이터를전송하기 위한 방법, 그리고 그에 상응하는 기지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1158A true KR20070021158A (ko) 2007-02-22

Family

ID=43653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9450A KR20070021158A (ko) 2004-02-23 2005-01-03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내부에서 데이터를전송하기 위한 방법, 그리고 그에 상응하는 기지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2115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171866A1 (en)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inside a base station for a mobile radio system and corresponding base station
US7539516B2 (en) Wireless base station apparatus
CA2508460C (en)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ing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s over metropolitan telecommunication networks
US8594724B2 (en) Multi-mode convergence method, multi-mode combination method, and devices thereof
US5966373A (en) Waveform and frame structure for a fixed wireless loop synchronous CDMA communications system
EP2298018A1 (en) Wireless backhaul
JP2007511955A (ja) 分散型無線基地局の内部インターフェース上の非依存送信のカプセル化
JP2001521319A (ja) データ伝送方法および無線通信システム
US20070010197A1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relay apparatus, and remote radio base station apparatus
US20060019669A1 (en) Cellular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
JP5296009B2 (ja) 基地局装置及び通信方法
JP2007535214A (ja) 強固な無線接続を提供するための方法、システムおよび装置
US20090296632A1 (en) Novel distributed base station architecture
US20110134772A1 (en) Methods of radio communication involving multiple radio channels, and radio signal repeater and mobile station apparatuses implementing same
US9608847B2 (en) Analog distributed antenna system for processing ethernet signal
WO2018135853A1 (ko) 출력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분산형 안테나 시스템
KR20070021158A (ko)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내부에서 데이터를전송하기 위한 방법, 그리고 그에 상응하는 기지국
KR100745166B1 (ko) 휴대인터넷 서비스 핫 스팟용 공용 액세스 포인트 시스템및 그 운영 방법
KR20030031688A (ko) 통신 시스템의 광중계 무선랜 액세스포인트 장치
JP5699151B2 (ja) 無線通信を容易にする方法、無線信号リピータ装置、無線通信方法及び移動局装置
JPH08242489A (ja) 移動通信方式
JP2001345754A (ja) アンテナ制御装置
UA64010C2 (uk) Передача даних стандарту gsm через канал пдкр
JP2008236185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とその通信不能エリア対策方法
KR20030054311A (ko)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