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0661A - 휴대 전화기의 소모 전력 감소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 전화기의 소모 전력 감소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0661A
KR20070020661A KR1020050074806A KR20050074806A KR20070020661A KR 20070020661 A KR20070020661 A KR 20070020661A KR 1020050074806 A KR1020050074806 A KR 1020050074806A KR 20050074806 A KR20050074806 A KR 20050074806A KR 20070020661 A KR20070020661 A KR 200700206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ption
receiving
voice call
reference voltage
output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4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경묵
Original Assignee
에이치텔레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텔레콤(주) filed Critical 에이치텔레콤(주)
Priority to KR10200500748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20661A/ko
Publication of KR200700206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06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신 방법에 관한 것으로, 기지국으로부터 음성통화 수신 요청을 받는 단계와; 현재의 배터리 출력 전압을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현재 배터리의 출력 전압이 기준 전압 이상인 경우 제 1 수신 모드로, 상기 현재 배터리의 출력 전압이 상기 기준전압 미만인 경우에는 제 2 수신 모드로 상기 수신 요청에 응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수신 방법에 따르면 소모 전력을 감소하여 대기 시간의 연장이 가능하다.

Description

휴대 전화기의 소모 전력 감소 방법{METHOD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IN MOBILE PHONE}
도 1은 배터리의 공급 전압의 시간적 변화를 설명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수신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수신 방법에 의한 전력 감소를 설명하는 흐름도.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를 비롯한 휴대용 전자기기는 배터리의 방전전압을 전원으로 사용한다. 휴대용 전자기기는 제한된 용량을 가진 배터리팩을 이용하여 제품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받기 때문에, 소비되는 전력을 줄임으로 기기의 가용시간을 증가시키는 것이 매우 중요한 기술과제 중에 하나이다. 그러나 휴대용 배터리의 용량을 증가시키는 데에는 현실적으로 한계가 있다. 이런 이유로 새로운 저전력 소자나 재료의 개발과 같은 하드웨어적인 접근과, 운영체제 및 응용프로그램을 통한 주변장치들의 전원상태를 조절하는 소프트웨어적인 방법들이 소모전력 감소방 안으로 동원되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의 출력 전압의 시간경과에 따른 변화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배터리의 방전 전압은 최초 충전이 완료된 전압(Vini)으로부터 시간의 경과에 따라 도면과 같은 형태로 감소한다. 그러나 배터리의 전압이 특정 레벨의 전압(Vref : 이하 기준 전압) 이하에서는 정상적인 전화 통화가 어렵게 된다. 대기 상태에 있던 이동통신 단말기에 통화를 요청하는 콜(Call) 신호가 도착하고, 사용자가 단말기를 통해서 통화를 시도하는 시점은 전력소모가 가장 큰 시점이다. 통화를 시도하는 시점에는 단말기의 LCD창과 LED 구동을 위한 전력과 음성 신호를 변조하여 기지국으로 송신하기 위해서는 순간적으로 큰 전류소모가 발생하게 된다. 이때 소모되는 전류는 CDMA 방식의 경우 수백 밀리 암페어(㎃), GSM 방식의 경우 수천 밀리 암페어(㎃)의 소모전류가 발생한다. 그러나 배터리는 기준 전압(Vref) 이하에서는 이때에 필요한 전류를 충분히 공급하지 못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셧 다운(Shut Down) 현상을 야기할 수 있다. 도 1의 T2 시점은 이러한 셧 다운(Shut Down)이 발생한 경우를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기준 전압(Vref) 이하에서도 음성 통화와 같은 소모전력이 큰 동작이 아닌 통화대기 상태로 있게 되면, 적어도 이동통신 단말기가 문자 메시지나 데이터 송수신과 같은 저전력이 소모되는 통신은 가능하다. 이러한 대기 상태가 가능한 배터리의 최소 전압을 도면에서는 V2로 표시하였다. 배터리의 전압이 V2와 기준전압(Vref) 사이에 있는 경우, 음성통화가 아닌 문자 메시지의 수신을 포함하는 데 이터 송수신은 T3 시점까지 사용 가능하다.
그러나 문자 메시지의 수신이 가능한 상술한 도 1의 T1~T3사이에 발신자로부터 음성통화를 요청하는 전화가 걸려오게 되는 경우 문제가 발생한다. 발신자로부터 걸려온 전화를 수신하여 음성통화를 시도하게 되면, 셧 다운(Shut Down)의 발생 확률이 높고, 방치하게 되면 진동 모드나 벨 소리를 생성하기 위한 소모전류가 발생하여 대기시간이 더욱 짧아지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셧 다운이 발생할 확률이 높은 배터리 전압에서는 음성통화를 하지 않으면서도 통화를 시도한 발신자의 전화번호를 수신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콜 수신 방법은, 기지국으로부터 음성통화 수신 요청을 받는 단계와; 현재의 배터리 출력 전압을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현재 배터리의 출력 전압이 기준 전압 이상인 경우 제 1 수신 모드로, 상기 현재 배터리의 출력 전압이 상기 기준전압 미만인 경우에는 제 2 수신 모드로 상기 수신 요청에 응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준 전압은 음성 통화로 상기 수신 요청에 응답했을 경우 소모 전력 증가에 의해서 셧 다운(Shut Down) 되지 않는 최소 크기의 전압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신 모드는 음성 통화로 수신 요청에 응답하는 수신 모드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2 수신 모드는 발신자의 전화 번호를 디스플레이 창에 표시하는 수신 모드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2 수신 모드는 상기 기지국에 상기 발신자의 전화번호를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2 수신 모드는 상기 발신자에게 음성 통화 불가능 메시지를 전달하도록 상기 기지국으로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술한 제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신 방법에 있어서, 현재의 배터리 출력 전압을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현재 배터리의 출력 전압이 기준 전압 이상인 경우 보이스(Voice) 채널과 데이터 채널을 모두 검색하는 제 1 수신 모드로, 상기 현재 배터리의 출력 전압이 상기 기준전압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데이터 채널만을 검색하는 제 2 수신 모드로 통화대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준 전압은 음성 통화시 소모 전력증가에 의해서 셧 다운 되지 않는 최소의 전압 레벨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신 모드는 음성 통화 수신 모드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2 수신 모드는 기지국으로 음성통화 연결을 요청한 발신자의 전화 번호를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2 수신 모드는 상기 발신자에게 음성 통화 불능 메시지를 전달하도록 상기 기지국으로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상의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신 방법에 따르면, 문자 메시지의 송수신이 가능한 대기시간을 더 연장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수신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수신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무선 주파수의 송수신 및 변복조가 이루어지는 RF 처리부(10)와, 아날로그와 디지털 데이터의 제반 프로세싱이 이루어지는 베이스 밴드(Base Band) 처리부(20)와, 배터리의 상태에 따라 모드 설정이 이루어지는 제어부(30)와, 문자정보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40)와 그리고 제반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동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50)를 포함한다. 이상의 구성을 통해서 본 발명의 수신방법이 구현되고 배터리(50)의 소모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RF(Radio Frequency) 처리부(10)는 송신할 신호를 무선주파수로 변조 및 증폭하거나, 수신되는 무선주파수의 수신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여파(filtering) 하는 무선주파수 신호의 송수신 일체를 포함하는 장치부이다.
베이스 밴드(BB) 처리부(20)는 아날로그 및 디지털 베이스 밴드의 데이터 처리가 이루어지는 장치부이다. 일반적으로 모뎀(MODEM)이나 코덱(CODEC)으로 구성된 다. 베이스 밴드(BB) 처리부는 크게는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와 디지털 베이스 밴드로 구성되어 송수신을 위한 코딩, 변조 및 복조가 이루어진다. 특히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베이스 밴드 처리부(20)는 지속적으로 배터리(50)의 전압을 측정하여 제어부(30)로 그 수치를 제공한다. 이동통신 단말기의 베이스 밴드 처리부(20)의 기타 제반 동작들은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들에게는 잘 알려져 있지만, 본 발명의 범위에 국한된 동작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제어부(30)는 배터리의 출력전압(Vbatt)의 변화 추이를 지속적으로 감시한다. 배터리(50)의 출력전압(Vbatt)이 이동통신 단말기가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는 최소한의 전압(기준전압 : Vref) 이상에서는, 제어부(30)는 음성통화가 가능하도록 일반적인 수신 방식을 유지하도록 제어한다. 그러나 만일 베이스 밴드 처리부(20)에서 감지된 배터리(50)의 출력전압(Vbatt)이 기준전압(Vref) 미만의 크기였다면, 제어부(30)는 일반적인 음성통화를 위한 제반 동작을 중지하고 데이터 송수신만이 가능하도록 수신 모드를 변경한다. 또한 제어부(30)는 기준전압(Vref)보다 낮은 배터리 전압(Vbatt)에서는 배터리의 전력의 소모를 최소화하기 대기중에 이루어지는 채널 검색 모드도 제어할 수 있다. 기준 전압(Vref) 미만의 배터리 출력 전압에서는 보이스 채널은 비활성화하고, 데이터 채널에 대한 검색만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으로 음성통화를 요청하는 발신자의 전화번호를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기지국에서 송신한 발신자의 전화번호를 데이터 채널을 통해서 수신받아 후술하게 되는 디스플레이(40) 창에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디스플레이(40)는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채택되는 LCD나 유기 EL창을 나타낸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배터리(50)의 출력전압(Vbatt)이 기준전압(Vref) 이상인 경우에는 콜 신호(Call Signal)는 음성 통신을 위한 벨 소리나 진동을 통해서 수신자에게 인지시켜주게 된다. 그러나 배터리(50)의 출력전압(Vbatt)이 기준전압(Vref)미만일 경우에는 콜 신호(Call Signal)는 발생하지 않고 데이터 수신 모드와 동일한 방식으로 문자 메시지 수신음을 동반하여 디스플레이(40)에 발신자의 전화번호만 표시될 것이다.
배터리(50)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반 구동전압들을 제공하는 전원이다. 충전된 전하를 방전하는 방식으로 사용되는 대부분의 충전식 배터리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전력소모로 인한 출력 전압의 강하가 뒤따른다. 그러나 출력전압(Vbatt)이 기준전압(Vref) 이하일 경우에 상대적으로 전력소모가 큰 음성통화를 중지하고, 발신자의 전화번호만을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 채널만을 활성화하면, 배터리의 소모 전력이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가용 대기 시간도 증가하게 될 것이다.
이상의 구성을 통하여 본 발명은 셧 다운이 발생할 수 있는 배터리 전압에서도 수신 모드를 변경하여 통화 대기시간을 연장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전화수신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제어부(30)의 제반 제어동작을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신 방법이 상술한 도면들에 의거하여 설명될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이 켜지고 제반 동작이 시작되면, 본 발명의 수신 방 법이 지원되는 절전 수신 모드가 사용자에 의해서 설정된다(S10). 절전 수신 모드의 선택이 완료되면, 대기상태로 유지된다(S20). 도면에서는 기지국으로부터의 발신자에 요청에 의해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달되는 호출신호의 유무를 감지한다. 기지국으로부터 전화 수신요청이 없으면 계속해서 대기하고, 전화 수신 요청이 있으면, 우선 배터리 전압(Vbatt)을 측정한다(S30). 이후에는 배터리의 전압(Vbatt)과 기준전압(Vref)의 크기를 비교하여 그 결과에 따라 통화 방식이 결정될 것이다(S40). 만일 배터리 전압(Vbatt)이 기준전압(Vref) 이상이라면, 음성통화가 가능하다는 판정이 되고, 발신자와 음성통화로 연결이 될 것이다. 이를 위해서 별도의 콜 신호를 발생하게 되고, 사용자는 이를 통해서 발신자와 연결된다(S50). 음성 통화가 종료되면(S60), 다시 통화 대기상태로 천이하게 된다.
그러나 배터리 전압(Vbatt)이 기준전압(Vref)보다 낮은 경우에는 본 발명의 절전 수신 모드로 전환된다. 발신자의 전화 번호만을 수신하기 위한 초기 단계로는 기지국으로 발신자의 전화번호를 요청한다. 그리고 현재의 사용자의 상태가 음성 통화가 불가한 상태임을 발신자에게 메시지로 전달하도록 요청한다(S70). 그 이후에는 기지국으로부터 발신자의 전화번호를 데이터 채널을 통해 수신한다(S80). 제어부(30)는 데이터 수신음을 발생하고 수신된 발신자의 전화번호를 디스플레이 창으로 표시한다(S90).
상술한 단계들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수신방법에 따르면, 음성통화를 시도할 경우에는 전원이 셧 다운 되는 낮은 배터리 전압에서도 발신자의 전화번호를 수신받거나 문자 메시지를 전송받을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상태로 통화대기할 수 있 는 시간을 더 확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신 방법에 따르면, 음성통화를 사용할 수 없는 배터리 전압에서도 발신자의 전화번호를 인지할 수 있어, 전체적인 가용 대기 시간을 연장할 수 있다.

Claims (11)

  1.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신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음성통화 수신 요청을 받는 단계와;
    현재의 배터리 출력 전압을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현재 배터리의 출력 전압이 기준 전압 이상인 경우 제 1 수신 모드로, 상기 현재 배터리의 출력 전압이 상기 기준전압 미만인 경우에는 제 2 수신 모드로 상기 수신 요청에 응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전압은 음성 통화로 상기 수신 요청에 응답했을 경우 소모 전력 증가에 의해서 셧 다운(Shut Down) 되지 않는 최소의 전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신 모드는 음성 통화로 수신 요청에 응답하는 수신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수신 모드는 발신자의 전화 번호를 디스플레이 창에 표시하는 수 신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수신 모드는 상기 기지국에 상기 발신자의 전화번호를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수신 모드는 상기 발신자에게 음성 통화 불가능 메시지를 전달하도록 상기 기지국으로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방법.
  7.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신 방법에 있어서,
    현재의 배터리 출력 전압을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현재 배터리의 출력 전압이 기준 전압 이상인 경우 보이스 채널과 데이터 채널을 모두 검색하는 제 1 수신 모드로, 상기 현재 배터리의 출력 전압이 상기 기준전압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데이터 채널만을 검색하는 제 2 수신 모드로 통화대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전압은 음성 통화시 소모 전력증가에 의해서 셧 다운 되지 않는 최소의 전압 레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신 모드는 음성 통화 수신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수신 모드는 기지국으로 음성통화 연결을 요청한 발신자의 전화 번호를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수신 모드는 상기 발신자에게 음성 통화 불능 메시지를 전달하도록 상기 기지국으로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방법.
KR1020050074806A 2005-08-16 2005-08-16 휴대 전화기의 소모 전력 감소 방법 KR200700206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4806A KR20070020661A (ko) 2005-08-16 2005-08-16 휴대 전화기의 소모 전력 감소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4806A KR20070020661A (ko) 2005-08-16 2005-08-16 휴대 전화기의 소모 전력 감소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0661A true KR20070020661A (ko) 2007-02-22

Family

ID=43653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4806A KR20070020661A (ko) 2005-08-16 2005-08-16 휴대 전화기의 소모 전력 감소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2066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37809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3078286B1 (ja) バッテリ残量表示回路とこの回路を備えた移動通信端末装置
US2012006218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harging of battery in portable terminal
US7593709B2 (en) Method for managing power of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JPH1127202A (ja) 携帯無線通信機器
JP2000253142A (ja) 通信端末装置および消費電力削減方法
JP5065095B2 (ja) 携帯通信端末
JP5065094B2 (ja) 携帯通信端末
JP2003186434A (ja) 表示装置及び携帯機器
JP4203658B2 (ja) 通信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050023822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저전력모드 수행 방법
KR100318931B1 (ko) 휴대통신단말기의전력소모절약장치및그방법
KR20070020661A (ko) 휴대 전화기의 소모 전력 감소 방법
KR100936583B1 (ko) 휴대단말기의 음영지역 동작전원 제어장치 및 그 운용방법
JP2000151801A (ja) 移動電話装置及び無線通信装置
JPH10290195A (ja) 携帯無線通信装置
KR20030051008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배터리 소모 시 긴급통화 설정방법
JP5065086B2 (ja) 携帯通信端末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5065090B2 (ja) 携帯通信端末
KR10036964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절약 방법 및 장치
JP2000134146A (ja) 携帯電話機
KR100698165B1 (ko) 단말기의 전류 소모 억제 방법
JP2008271514A (ja) 携帯通信端末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20050070542A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전원 제어 방법
KR10058182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전원 절약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