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19603A - 용량 조정식 스크롤 압축기 - Google Patents

용량 조정식 스크롤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9603A
KR20070019603A KR1020060076045A KR20060076045A KR20070019603A KR 20070019603 A KR20070019603 A KR 20070019603A KR 1020060076045 A KR1020060076045 A KR 1020060076045A KR 20060076045 A KR20060076045 A KR 20060076045A KR 20070019603 A KR20070019603 A KR 200700196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oller
seal
scroll member
ring
scro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60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크리스토퍼 스토버
Original Assignee
코우프랜드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우프랜드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코우프랜드코포레이션
Priority to KR10200600760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19603A/ko
Publication of KR200700196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96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02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 F04C18/0207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 F04C18/0215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where only one member is mov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7/00Sealing arrangements in 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27/005Axial sealings for working fl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8/00Control of, monitoring of,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28/24Control of, monitoring of,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characterised by using valves controlling pressure or flow rate, e.g. discharge valves or unload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12Arrangements for admission or discharge of the working fluid, e.g.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inlet or outlet
    • F04C29/124Arrangements for admission or discharge of the working fluid, e.g.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inlet or outlet with inlet and outlet valves specially adapted for rotary or oscillating piston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03Multiple-way valves
    • F16K31/0606Multiple-way valves fluid passing through the solenoid coi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10/00Fluid
    • F04C2210/26Refrigerants with particular properties, e.g. HFC-134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40Electric mo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5/00Rotary kinetic fluid motors or pum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7/00Pumps

Abstract

스크롤 압축기는 가압된 유체를 포함하는 가압 챔버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챔버내의 가압된 유체는 2개의 스크롤 부재를 함께 가압한다. 회전가능한 링은 스크롤 부재중 하나에 부착되어, 상기 가압 챔버로 유도하는 통로를 개폐시킨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링이 통로를 개방시킬 때, 가압된 유체를 구속해제하여 하중을 제거하며, 2개의 스크롤 부재를 함께 가압한다. 가압 하중이 제거될 때, 2개의 스크롤 부재는 분리되어, 배출과 흡입 사이의 누출 경로를 생성하여 스크롤 압축기의 용량을 감소시킨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의 상기 링이 통로를 개방시킬 때, 지연된 흡입 통로가 개방되어 압축기 용량을 감소시킨다.
단부 플레이트, 스파이럴 랩, 리세스, 스크롤 부재, 구동 부재, 유체 통로, 링, 시일, 스크롤기.

Description

용량 조정식 스크롤 압축기{CAPACITY MODULATED SCROLL COMPRESSO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용량 조정 시스템을 구체화하고 있는 스크롤 타입의 압축기의 수직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용량 조정 시스템을 도시하고 있는 도 1의 상기 압축기의 부분단면도;
도 3은 외부 셸의 상부가 제거된 상태의, 도 1에 도시된 상기 압축기의 평면도;
도 4는 조정된 밸브조정 링의 일부분을 도시하는 확대도;
도 5는 도 1의 상기 압축기에 통합된 상기 밸브조정 링의 사시도;
도 6은 도 1의 압축기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스크롤 조립체를 도시하는 부분단면도;
도 7은 도 1의 상기 압축기에 통합된 액추에이팅 조립체의 확대도;
도 8은 외부 셸 부분이 제거된 상태의, 도 1의 상기 압축기의 사시도;
도 9는 비선회 스크롤에 제공된 가압된 유체 공급 통로를 도시하고 있는 도 1의 상기 압축기의 부분단면도;
도 10은 도 1의 상기 압축기에 통합된 솔레노이드 밸브 조립체의 확대단면도;
도 11은 바이패스 포트가 폐쇄된 상태의, 도 1에 도시된 실링 시스템의 확대도;
도 12는 바이패스 포트가 개방된 상태의, 도 1에 도시된 실링 시스템의 확대도;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량 조정 시스템을 구체화하고 있는 압축기의 부분단면도; 및
도 14는 도 13의 압축기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스크롤 조립체를 도시하고 있는 부분단면도.
본 발명은 압축기의 용량 조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챔버내의 유체 압력이 2개의 스크롤을 함께 가압하는 챔버에 있어서 유체 압력을 제어함으로써 스크롤 압축기의 용량을 조정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공기 조화 및 냉동 시스템의 압축기에 포함될 바람직한 특징은 용량 조정이며 상기 시스템이 받게 될 폭넓은 하중 범위를 보다 잘 수용하여야 한다. 이러한 용량 조정 특징을 제공하기 위해 여러 상이한 접근법이 사용되고 있다. 압축기의 흡입 입구의 제어로부터 압축기의 흡입 압력 구역으로 압축된 배출 가스를 뒤로 바이패스하기 까지가 이들 접근법의 범위이다. 스크롤 타입의 압축기로써, 용량 조 정은 종종 지연된 흡입 접근법을 사용하여 달성되며, 상기 접근법은 상호 결합하는 스크롤 랩 사이에서 최초 형성된 압축 챔버가 압축기의 흡입 구역과 연통하게 하는, 개방될 때의 베이스 플레이트중 하나를 통하여 뻗어있는 다양한 위치에 포트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것은 시일된 압축 챔버가 형성되는 지점에서 지연되어, 흡입 가스의 압축 개시를 지연시킨다. 이러한 용량 조정 방법은 압축기의 압축비를 실제로 감소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이들 지연된 흡입 시스템이 압축기의 용량을 감소시킬 때 효과적인 한편, 이들 시스템은 소정량의 압축기 비하중을 제공하는 상태에서 상기 소정량이 단부 플레이트를 따르는 비하중 포트의 위치에 의해 결정된다. 상이한 위치에서 복수의 비하중 포트를 통합함으로써 다중 단계의 비하중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한 한편, 이러한 접근법은 고가이고 각각의 세트의 포트를 개폐하는데 별도의 제어부를 수용할 추가의 공간을 필요로 한다. 복합 비하중 포트를 사용할 때 조차도, 전형적으로 이러한 지연된 흡입 기술을 사용하여 0%와 100% 사이의 압축기의 용량을 제어할 수 없다.
더욱 최근에, 압축기 비하중 및 이에 따른 용량 조정은 압축기의 작동 사이클 중 소정의 시간 동안에 2개의 스크롤 부재의 축선방향 또는 반경방향 분리에 주기적으로 영향을 줌으로써 달성된다. 2개의 스크롤 부재의 축선방향 비하중 또는 축선방향 분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가압 챔버가 2개의 스크롤 부재 중 하나에 또는 그 근처에 형성되고; 그리고 이러한 가압 챔버는 압축기의 배출 챔버 또는 압력 챔버에 가압된 유체원과 연통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가압 챔버의 유체는 압축기의 흡입 구역에 주기적으로 배출되어 압축기의 비하중을 용이하게 한다.
용량 조정식 스크롤 압축기는 성능의 저하 없이 이들 용량 조정식 시스템의 전반적인 제조, 설계 및 개량을 간략화시키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용량 조정 시스템의 성능 및/또는 신뢰성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용량 조정식 시스템의 비용을 저렴하게 하기 위하여 용량 조정 장치를 간략화시키는 쪽으로 계속 발전되었다.
본 발명은 압축기 용량을 조정하기 위하여 종래 기술에 현재 중간정도 가압된 챔버를 주기적으로 흡입 통기시키는 용량 조정식 압축기를 제공한다. 현재 중간정도 가압 챔버는 압축기에 사용되어 2개의 스크롤을 함께 가압할 뿐만 아니라 압축기의 흡입 압력 구역과 배출 압력 사이에서 누출 통로를 시일하도록 셸 또는 파티션과 접촉하는 플로팅 시일을 가압한다. 실링 시스템은 중간정도 가압된 챔버를 형성하는 스크롤 부재에 통합된다. 실링 시스템은 용량 조정 시스템의 성능 및 신뢰성 양자를 향상시키는 립(lip) 시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용 분야는 이후 제공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분명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지시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특정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라 단지 설명을 위한 것임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
본 발명이 여러 상이한 타입의 스크롤기를 구체화하는데 적합한 한편, 상기 스크롤기는 밀봉식 기기, 개방 구동 기기 및 비밀봉식 기기를 포함하며, 예시적인 목적을 위하여 "로우 측(low side)" 타입(즉, 모터와 압축기가 도 1에 수직 단면으 로 도시되어 설명된 바와 같이 밀봉식 셸에 있는 흡입 가스에 의해 냉각되는 곳)의 밀봉식 스크롤 냉매 모터-압축기(10)로 본원에서 구체화되어 설명되었다. 일반적으로 말해서, 압축기(10)는 원통형 밀봉식 셸(12)을 포함하며, 상기 셸은 그 상단부에서 단부 캡(14)을 포함한다. 단부 캡(14)은 부가적으로 통상적인 배출 밸브를 구비한 냉매 배출 피팅(16)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셸에 고정된 다른 요소는 단부 캡(14)이 셸(12)에 용접된 동일 지점에서 주위에 용접된 횡단하여 뻗어있는 파티션(18), 임의의 소정의 방식으로 복수의 지점에서 셸(12)에 고정된 2개의 부품의 주 베어링 하우징(20), 및 셸(12) 내측의 압축기(10)의 흡입 압력 구역과 연통하도록 배치된 흡입 가스 입구 피팅(22)을 포함하고 있다.
모터 고정자(24)는 프레임(26)에 억지 끼워맞춰지고 이어서 셸(12)에 억지 끼워맞춰진다. 크랭크샤프트(28)는 그 상단부에서 편심 크랭크 핀(30)을 구비하며, 주 베어링 하우징(20)에 있는 베어링(32)과 프레임(26)에 있는 제 2 베어링(34)에 회전가능하게 저어널된다. 크랭크샤프트(28)는 그 하단부에서 통상 상대적으로 대직경의 오일 펌핑 편심 보어(36)를 구비하며, 이 보어(36)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경사진 보다 소직경의 보어(38)와 연통하며 상기 보어(38)는 거기로부터 크랭크샤프트(28)의 상부로 상향으로 뻗어있다. 내부 셸(12)의 하부는 통상적인 방식으로 윤활유로 충전되고, 크랭크샤프트(28)의 바닥부에서의 편심 보어(36)는 보어(38)와 결합하여 작동하는 제 1 펌프이고, 상기 보어(38)는 제 2 펌프로서 작동하여, 윤활이 필요한 압축기의 여러 부분 모두에 윤활 유체를 펌프한다.
크랭크샤프트(28)는 전기 모터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구동되며, 상기 모터는 거기를 통과하는 권선부(40)를 갖춘 고정자(24) 및 크랭크샤프트(28)에 억지끼워맞춰지고 하나 이상의 평형추(44)를 갖춘 회전자(42)를 포함한다. 통상적인 타입의 모터 프로텍터(46)는 모터 권선부(40)에 매우 근접하여 배치되어 모터가 그 정상 온도 범위를 초과하면 모터 프로텍터(46)는 모터를 비여기 시킬 것이다.
주 베어링 하우징(20)의 상부 표면에는 환형의 평평한 스러스트 베어링 표면(48)이 제공되며, 이 표면에 선회 스크롤 부재(50)가 배치되고, 상기 부재(50)는 상부 표면에 통상적인 스파이럴 베인 또는 랩(54)을 구비한 단부 플레이트(52), 하부 표면에 환형의 평평한 스러스트 표면(56), 그리고 저어널 베어링(60)을 갖춘 아래로 돌출한 원통형 허브(58)를 포함하고, 여기서 크랭크 핀(30)이 구동가능하게 배치된 내부 보어를 갖춘 구동 부싱(62)이 회전가능하게 배치된다. 크랭크 핀(30)은 구동 부싱(62)의 내부 보어의 일부분에 평평한 표면과 구동가능하게 결합하는 한 표면(도시 생략)에 평평한 부를 구비하여, 본 명세서에서 참조된 미국특허공보 제4,877,382호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반경방향 컴플라이언트(compliant) 구동 장치를 제공한다.
랩(54)은 비선회 스크롤 부재(66)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비선회 스파이럴 랩(64)과 결합하며, 이 부재는 비선회 스크롤 부재(66)가 제한된 축선방향으로 운동하는 소정의 방식으로 주 베어링 하우징(20)에 장착된다. 이러한 특정한 방식의 장착은 본 발명과 관계가 있다. 비선회 스크롤 서스펜션 시스템의 보다 상세한 설명을 위하여, 본 명세서에서 참조된 미국특허공보 제5,055,010호를 참조하기 바란다.
비선회 스크롤 부재(66)가 상향 개방된 리세스(72)와 연통하는 중앙에 배치된 배출 통로를 구비하며 상기 리세스는 배출 머플러 챔버(76)가 단부 캡(14)과 파티션(18)에 의해 형성된 상태에서 파티션(18)에 있는 개구(74)를 통해 유체 연통한다. 압력 릴리프 밸브는 배출 머플러 챔버(76)와 셸(12)의 내부 사이에 배치된다. 압력 릴리프 밸브는 배출압과 흡입압 사이의 특정 차압에서 개방되어 배출 머플러 챔버(76)로부터 가압된 가스를 통기시킬 것이다. 비선회 스크롤 부재(66)는 그 상부면에서 평행한 동축의 측벽을 갖는 환형 리세스(80)를 구비하며, 여기서 축선방향 상대 운동을 위하여 환형 플로팅 시일(82)이 밀봉되게 배치되고 상기 시일은 흡입 및 배출 압력 하에서 가스의 존재로부터 리세스(80)의 바닥부를 격리하도록 작용하여 하나 이상의 통로(84)에 의해 중간 정도의 유체압력원과 유체연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비선회 스크롤 부재(66)는 비선회 스크롤 부재(66)의 중앙부에 작용하는 배출 압력에 의해 생성된 힘과, 리세스(80)의 바닥부에 작용하는 중간정도의 유체 압력에 의해 생성된 힘에 의해 선회 스크롤 부재(50)에 대하여 축선방향으로 가압된다. 제한된 축선방향 운동을 위해 비선회 스크롤 부재(66)를 지지하기 위한 여러 기술 뿐만 아니라 이러한 축선방향으로의 가압은 상기 설명된 미국특허공보 제4,877,328호에 보다 상세하게 개시되어 있다.
비선회 스크롤 부재(66)에서 직경방향으로 대향된 슬롯(90, 이들 중 하나만 도시됨)에 미끄럼가능하게 배치된 제 1 쌍의 키(88, 이들 중 하나만 도시됨)와, 선회 스크롤 부재(50)에 직경방향으로 대향된 슬롯에 미끄럼가능하게 배치된 제 2 쌍의 키(도시 생략)를 갖춘 링(86)을 포함하는 통상적인 올덤 커플링에 의해 스크롤 부재의 상대 회전이 방지된다.
도 2를 참조하면, 플로팅 시일(82)의 보다 상세한 구성이 본 발명의 일 부분은 아닐지라도, 예시를 위하여 플로팅 시일(82)이 동축의 샌드위치된 구성이고 복수의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된 직립한 일체형 돌출부(102)를 갖춘 환형 베이스 플레이트(100)를 포함한다. 플레이트(100)에 환형 개스킷(106)이 배치되며 상기 개스킷은 복수의 동일하게 이격된 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구멍은 돌출부(102)를 수용한다. 상부 시일 플레이트(110)가 개스킷(106)의 최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플레이트는 복수의 동일하게 이격된 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구멍은 돌출부(102)를 수용한다. 시일 플레이트(110)가 그 내주에 배치되고 상향으로 돌출한 평평한 실링 립(116)이 배치된다. 조립체는 부재번호 118로 지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돌출부(102)의 단부를 스웨이징함으로써 함께 결합된다.
따라서 시일 조립체 전체는 3개의 별개의 시일, 즉 부재번호 124의 내경 시일, 부재번호 128의 외경 시일, 및 부재번호 130의 최상부 시일을 제공한다. 시일(124)은 개스킷(106)의 내주와 리세스(80)의 내벽 사이에 있다. 시일(124)은 개구 리세스(72)에 있는 배출 압력하에서의 유체로부터 리세스(80)의 바닥부에 있는 중간 정도 압력하에서의 유체를 격리시킨다. 시일(128)은 개스킷(106)의 외주와 리세스(80)의 외벽 사이에 있으며, 셸(12) 내의 흡입 압력하의 유체로부터 리세스 바닥부에서의 중간 정도 압력 하에서의 유체를 격리시킨다. 시일(130)은 파티션(18)에 있는 개구(74)를 둘러싸는 환형 마모링과 실링 립(116) 사이에 있고, 시일 조립체의 최상부에 영향을 미치는 배출 압력하의 유체로부터 흡입 압력하의 유 체를 격리시킨다. 플로팅 시일(82)의 상세한 구성은 본 명세서에서 참조한 미국특허공보 제5,156,539호에 개시된 구성과 유사하다.
바람직하게 압축기는 "로우측(low side)" 타입이며 여기서 가스 입구 피팅(22)에 들어가는 흡입 가스가 부분적으로 허용되어 셸(12)로 탈출되고 모터의 냉각을 돕는다. 흡입 가스를 복귀시키는 적당한 유동이 있는 동안에, 모터는 소정의 온도 한계내에서 유지된다. 그러나, 이러한 유동이 상당히 저하될 때, 결국 냉각 손실은 모터 프로텍터(46)를 트립시키고 기기를 정지시킨다.
따라서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스크롤 압축기(10)는 전형적으로 상기 스크롤 타입의 냉동 압축기이다. 작동중에, 선회 스크롤 부재(50)가 비선회 스크롤 부재(66)에 대하여 선회하는 한 흡입 가스 입구 피팅(22)을 통하여 하부 챔버로 향하는 흡입 가스는 가동 유체 포켓로 들어간다. 가동 유체 포켓이 내측으로 이동함으로서, 이러한 흡입 가스는 압축되고 이후 비선회 스크롤 부재(66)에 있는 상향 개구 리세스(72)와 파티션(18)에 있는 배출 개구(74)를 통하여 배출 머플러 챔버(76)로 배출된다. 압축된 냉매는 배출 피팅(16)을 통하여 냉매 시스템으로 공급된다.
특별한 경우 냉매 압축기를 선택할 경우에, 사람들은 상기 특별한 경우를 예측할 수 있는 최적의 적합한 작동 상태에 대하여 적당한 냉매 유동을 제공하도록 통상적으로 충분한 용량을 갖는 압축기를 선택할 수 있고, 안정성이 조금 더 있도록 보다 더 큰 용량을 선택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최악의 경우도 고려한(worst case)" 불리한 상태는 실제 작동 동안에 거의 발생하지 않으므로 이러한 압축기의 과도한 용량은 높은 비율의 작동하는 시간에 대한 낮은 하중 상태하에서 의 압축기 작동을 초래한다. 이러한 작동은 시스템의 전반적인 작동 효율의 감소를 초래한다. 따라서, 항상 냉매 압축기가 최악의 경우도 고려한 작동 상태를 수용하는 한편 전반적으로 당면한 작동 상태하에서 총 작동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압축기(10)에 용량 조정 시스템이 제공된다. 용량 조정 시스템은 시스템의 요구조건을 만족하도록 필요한 용량에서 압축기가 작동하게 한다.
용량 조정 시스템은 비선회 스크롤 부재(66)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된 환형 밸브조정 링(150), 셸(12) 내에 지지된 액추에이팅 조립체(152), 및 액추에이팅 조립체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시스템(154)을 포함한다.
도 2 및 도 5에서 가장 잘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밸브조정 링(150)은 상기 링을 통해 뻗어있는 한쌍의 구멍(158, 160)을 갖춘 전반적으로 원형의 주 몸체(156)를 포함하며 상기 구멍은 상기 몸체를 통하여 뻗어있다. 한쌍의 T형상 슬롯(162)은 주 몸체(156)의 내경부내에 형성된다. T형상 슬롯(162)은 축선방향부(164)와 원형부(166)를 포함한다. T형상부 슬롯(162)은 각각 비선회 스크롤 부재(66)의 외부면(168)으로부터 뻗어있는 핀(도시 생략)을 수용한다. 축선방향부(164)는 핀 위 그리고 비선회 스크롤 부재(66)상에서 밸브조정 링(150)의 조립체를 허용한다. 주변부(166)는 비선회 스크롤 부재(66)에 대한 밸브조정 링(150)의 회전 이동을 제한한다. 플랜지(170)는 주 몸체(156)로부터 외측으로 반경방향 뻗어있어 핀(172)을 지지하며 상기 핀은 하기에 기재된 바와 같이 비선회 스크롤 부재에 대해 밸브조정 링(150)을 회전시키도록 사용된다.
또한 비선회 스크롤 부재(66)는 비선회 스크롤 부재(66)의 외부면(168)으로 개방한 한쌍의 직경방향으로 대향된 반경방향 통로(192, 194)를 포함한다. 통로(192, 194)는 비선회 스크롤 부재(66)의 단부 플레이트를 통하여 내측으로 반경방향으로 뻗어있다. 하나의 축선방향으로 뻗어있는 통로(84)가 환형 리세스(80)와 유체 연통하는 통로(192)의 내부 단부에 놓이는 경우, 또 다른 축선방향으로 뻗어있는 통로(84)가 환형 리세스(80)와 유체 연통하는 통로(194)의 내부 단부에 놓인다.
도 7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액추에이팅 조립체(152)는 피스톤 및 실린더 조립체(200)와 복귀 스프링 조립체(202)를 포함한다. 피스톤 및 실린더 조립체(200)는 실린더(206)를 형성하는 보어를 갖춘 하우징(204)를 포함하고 상기 실린더는 그 일단부로부터 내측으로 뻗어있고 상기 실린더내에서 피스톤(208)이 운동가능하게 배치된다. 피스톤(208)의 외부 단부(210)는 하우징(204)의 일단부로부터 외측으로 축선방향으로 돌출하며 밸브조정 링(150)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핀(172)을 수용할 수 있는 긴 또는 타원형의 개구(212)를 포함한다. 긴 또는 타원형 개구(212)는 작동시 피스톤 단부(210)의 선형 운동에 대한 핀(172)의 활형상으로 운동하도록 설계되었다. 하우징(204)의 종속부(214)는 하우징(204)이 볼트(220)로써 적합한 플랜지 부재(218)에 결합되도록 적합한 크기의 장착 플랜지(216)가 거기에 결합된다. 플랜지(218)는 차례로 주 베어링 하우징(20)과 같은 것에 의해 외부 셸(12)내에 적합하게 지지된다.
통로(222)에 종속부(214)가 제공되며 상기 종속부는 그 하단부로부터 상향으로 뻗어있고 측방향으로 뻗어있는 통로(224)로 개방되고, 상기 통로는 차례로 실린 더(206)의 내부 단부로 개방한다. 종속부(214)에 제공된 제 2 측방향으로 뻗어있는 통로(226)는 그 측벽을 통하여 외측으로 개방되고 통로(222)와 그 내부 단부에서 연통한다. 제 2 상대적으로 작은 측방향으로 뻗어있는 통로(228)는 유체 통로(224)의 대향된 방향의 유체 통로(222)로부터 뻗어있고 하우징(204)의 단부 벽(230)을 통하여 외측으로 개방한다.
핀 부재(232)는 하우징(204)으로부터 직립하고, 복귀 스프링(234)의 일단부가 상기 핀 부재에 연결되고 다른 단부는 핀(172)의 연장부와 연결된다. 복귀 스프링(234)은 실린더(206)가 통로(228)를 통하여 완전 통기될 때 도 7에 도시된 위치로 밸브조정 링(150)과 피스톤(208)을 가압하도록 길이와 강도를 갖는다.
도 1, 8 및 10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시스템(154)은 반경방향 외측으로 뻗어있는 플랜지(238)를 갖춘 밸브 몸체(236)를 포함하며 상기 플랜지는 그 한측에 원추형 표면(240)을 갖는다. 밸브 몸체(236)는 외부 셸(12)에 있는 개구(242)로 삽입되고 개구(242)의 주위 에지와 맞닿는 원추형 표면(240)과 위치되어 원통형 부(244)가 거기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한 상태에서 셸(12)에 용접된다. 밸브 몸체(236)의 원통형 부(244)는 리세스된 구역(248)으로 개방되고 축선방향 내측으로 뻗어있는 대직경의 나사형성된 보어(246)를 포함한다.
밸브 몸체(236)는 하우징(250)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실질적으로 평평한 상부 표면(254)으로부터 아래로 뻗어있는 제 1 통로(252)를 구비하고 있고 셸(12)에 있는 개구(254)의 구역으로 외측으로 개방한 제 2 측방향으로 뻗어있는 통로(256)와 교차한다. 또한 제 3 통로(258)는 표면(254)으로부터 아래로 뻗어있 고 제 4 측방향으로 뻗어있는 통로(260)와 교차하며 또한 상기 통로(260)는 밸브 몸체(236)의 단부 부분에 제공된 리세스된 구역(248)으로 외측으로 개방한다.
매니폴드(262)는 적합한 파스너에 의해 표면(254)에 실링되게 결합되고 각각의 유체 라인(264, 266)의 일단부를 연결하기 위해 피팅을 포함하여 각각의 통로(258, 252)와 실링된 상기 유체 라인을 유체 연통하도록 배치시킨다.
솔레노이드 코일 조립체(268)는 밸브 몸체(236)에 실링되게 결합되도록 설계되고 긴 관형 부재(270)를 포함하며 상기 관형 부재는 그 개구 단부에 실링되게 결합된 나사형성된 피팅(272)을 구비한다. 나사형성된 피팅(272)은 보어(246)에 나사결합식으로 수용되고 O링(274)에 의해 거기에 시일된다. 플런저(276)는 관형 부재(270)내에서 운동가능하게 배치되고 스프링(278)에 의해 거기로부터 외측으로 가압되며 상기 스프링은 관형 부재(270)의 폐쇄 단부에 대해 지지된다. 밸브 부재(280)가 플런저(276)의 외부 단부에 구비되며 통로(256)를 선택적으로 폐쇄하도록 밸브 시트(282)와 상호협동한다. 솔레노이드 코일(284)은 관형 부재(270)에 위치되고 형 부재(270)의 외부 단부에 나사형성된 너트에 의해 거기에 결합된다.
가압된 유체를 액추에이팅 조립체(152)에 공급하기 위하여, 축선방향으로 뻗어있는 통로(286)는 개구 리세스(72)로부터 아래로 뻗어있고 비선회 스크롤 부재(66)에 있는 대체로 반경방향으로 뻗어있는 통로(288)와 연결된다. 통로(288)는 반경방향으로 뻗어있고 도 11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비선회 스크롤 부재(66)의 원주방향 측벽을 통하여 외측으로 개방된다. 유체 라인(264)의 다른 단부는 제 3 통로(258)에 실링되게 연결되어 배출 압력에서 압축된 유체가 개구 리세스(72)로 부터 밸브 몸체(236)로 공급되게 된다. 원주방향으로 긴 슬롯(290)에 유체 라인(264)이 거길 통과하게 하기 위하여 적합하게 위치된 밸브조정 링(150)이 제공되는 경우 비선회 스크롤 부재(66)에 대해 밸브조정 링(150)의 회전 운동을 수용한다.
가압된 유체를 밸브 몸체(236)로부터 액추에이팅 피스톤과 실린더 조립체(200)로 공급하기 위하여, 유체 라인(266)이 밸브 몸체(236)로부터 뻗어있고 하우징(204)의 종속부(214)에 제공된 통로(226)와 연결된다(도 7).
밸브조정 링(150)은 각각의 핀이 비선회 스크롤 부재(66)의 외부 표면(168)으로부터 뻗어있는 상태로 T형상 슬롯(162)의 축선방향 부(164)를 단지 정렬시킴으로써 비선회 스크롤 부재(66)에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다. 이 후 밸브조정 링(150)은 T형상 슬롯(162)의 원주방향 부(166)가 외부 표면(168)으로부터 뻗어있는 각각의 핀과 상호협동하는 상태에서 소정의 위치로 회전하여 비선회 스크롤 부재(66)에 대해 밸브조정 링(150)의 회전을 제어한다. 이후 액추에이팅 조립체(152)의 실린더 조립체(200)는 피스톤 단부(210)가 핀(172)을 수용하는 상태에서 장착 플랜지(218)에 위치된다. 스프링(234)의 일단부는 핀 부재(232)에 연결된다. 이후, 스프링(234)의 다른 단부는 핀(172)에 연결되어 조립 공정을 완료한다.
비선회 스크롤 부재(66)가 밸브조정 링(150)의 조립전에 적합한 볼트(292)에 의해 주 베어링 하우징(20)에 전형적으로 결합되는 경우, 비선회 스크롤 부재(66)를 주 베어링 하우징(20)에 조립하기 전에 이러한 일련의 용량 조정 구성요소를 비선회 스크롤 부재(66)에 조립하는 것이 경우에 따라서는 바람직할 수 있다. 이것 은 도 4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조정 링(150)의 주위를 따라서 복수의 적합하게 위치된 활형상의 절결부(294)를 제공함으로써 용이하게 달성될 수 있다. 이들 절결부는 밸브조정 링(150)이 비선회 스크롤 부재(66)에 조립된 상태에서 결합 볼트(292)에 접근할 수 있게 한다.
작동시, 하나 이상의 센서(296)에 의해 감지되어 시스템 작동 상태가 압축기(10)의 총 용량이 필요하다는 것을 지시할 때, 제어 모듈(298)은 센서(296)로부터의 신호의 응답에 따라 작동하여 솔레노이드 코일 조립체(268)의 솔레노이드 코일(284)을 여기시켜서 플런저(276)가 밸브 시트(282)와 결합상태에서 벗어나 이동되게 하여 유체 연통 상태로 통로(256, 260)를 배치시킨다. 실질적인 배출 압력에서 가압된 유체는 개구 리세스(72)로부터 실린더(206)로 통로(286, 288), 유체 라인(264), 통로(258, 260, 256, 252), 유체 라인(266) 및 통로(226, 222 및 224)를 통하여 유동하게 한다. 이러한 유체 압력은 피스톤(208)이 실린더(206)에 대해 외측으로 이동하게 하여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로(192, 194)에 가로놓이는 실링으로 주 몸체(156)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밸브조정 링(150)을 회전시킨다. 이것은 리세스(80) 내에 배치된 중간 정도 가압된 가스가 통로(192, 194)를 통하여 배기되거나 또는 통기되는 것을 방지시킨다. 압축기(10)는 총 용량에서 작동할 것이다.
압축기(10)의 총 용량이 요구되지 않는 정도로 하중 상태가 변경될 때, 센서(296)가 제어기(298)에 신호를 지시하고 나서 상기 제어기는 솔레노이드 코일 조립체(268)의 솔레노이드 코일(284)을 비여기시킨다. 플런저(276)는 스프링(278)의 가압 작동하에서 관형 부재(270)로부터 외측으로 이동하여 밸브 부재(280)를 이동시켜 시트(282)와 실링 결합시켜서, 통로(256)와 거기를 통과하는 가압된 유체의 흐름을 차단한다. 리세스된 구역(248)은 개구 리세스(72)와 연속으로 유체 연통되어 이에 따라 계속하여 배출 압력의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이러한 배출 압력은 가압 밸브 부재(280)에서 유체가 밸브 시트(282)와 타이트하게 실링 결합할 뿐만 아니라 이러한 관계를 계속 유지시킨다.
실린더(206)에 포함된 가압된 가스는 통로(228)를 통해 압축기(10)의 흡입 구역으로 되돌아 나와 스프링(234)이 밸브조정 링(150)을 상기 상태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조정 링(150)의 구멍(158, 160)과 통로(192, 194)가 정렬된 상태 전으로 회전시킨다. 또한 스프링(234)은 실린더(206)에 대해 내측으로 피스톤(208)을 이동시킨다. 이러한 위치에 있어서, 환형 리세스(80) 내의 중간정도의 압력은 통로(192, 194)와 구멍(158, 160)을 통하여 배기되거나 통기된다. 중간정도 가압된 유체가 통기하면 비선회 스크롤 부재(66)를 선회 스크롤 부재(50)와 실링 결합으로 가압시키는 가압력을 제거하여 배출 압력 구역과 흡입 압력 구역 사이에서 누출이 생긴다. 이러한 누출은 압축기(10)의 용량이 제로 용량이 되게 한다. 스프링은 상향으로 플로팅 시일(82)을 가압하고 상부 시일(130)에서 실링 관계를 유지시킨다. 따라서, 펄스식 폭 조정 모드에서의 솔레노이드 코일 조립체(268)를 제어함으로써, 압축기(10)의 용량은 제로 용량과 총 용량 사이에서 임의로 설정될 수 있다. 밸브조정 링(150)이 조정 위치와 비조정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상태에서 속도가 통기 통로(228)와 공급 라인의 상대 크기와 직접적으로 관계가 있음을 알아야 한다. 즉, 통로(228)가 연속적으로 압축기(10)의 흡입 압력 구역으로 개방되기 때문에, 솔레노이드 코일 조립체(268)의 솔레노이드 코일(284)이 여기될 때 개구 리세스(72)로부터 흐르는 가압된 유체의 일부분이 연속으로 흡입 압력으로 통기될 것이다. 이러한 유체의 체적은 통로(228)의 상대적인 크기에 의해 제어된다. 그러나, 통로(228)의 크기가 감소됨으로서, 실린더(206)를 통기시키는데 요구되는 시간은 증가하고 이에 따라 감소된 용량에서 총 용량으로 스위치하는데 필요한 시간을 증가시킨다.
액추에이팅 조립체(152)가 피스톤 및 실린더 조립체(200)와 복귀 스프링 조립체(202)를 포함하여 도시되는 경우, 액추에이팅 조립체(152)와 PWM(펄스 폭 조정)를 사용한 솔레노이드 밸브 조립체를 제어하여 또는 필요하다면 밸브조정 링(150)의 회전에 영향을 미치도록 직접 제어함으로써 핀(172)에 직접 부착된 솔레노이드 밸브 조립체를 사용하는 것은 본 발명의 범주내에 있다.
본 발명의 용량 조정 시스템의 효율적인 작동은 밸브조정 링(150)의 주 몸체(156)와 비선회 스크롤 부재(66)로 뻗어있는 통로(192, 194) 사이에 적당한 실링을 필요로 한다.
도 11 및 도 12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비선회 스크롤 부재(66)는 통로(192, 194)의 외부 단부에 위치된 카운터보어(300)를 형성한다. 환형 립 시일(302)은 각각의 카운터 보어(300)내에 배치된다. 주 몸체(156)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로(192, 194)를 폐쇄하도록 밸브조정 링(150)이 회전될 때, 립 시일(302)은 카운터보어(300)에 대해 시일하는 제 1 립 시일을 갖춘 원통형부(304) 와, 밸브조정 링(150)의 주 몸체(156)에 대해 시일하는 제 2 립 시일을 갖춘 환형부(306)를 구비하고 있다. 립 시일(302)은 자동 작동식 시일이다. 통로(192, 194) 내의 중간정도 가압된 유체는 립 시일(302)의 원통형 부(304)를 카운터보어(300)와 실링 결합하도록 가압한다. 또한, 통로(192, 194) 내의 중간정도 가압된 유체는 환형부(306)를 밸브조정 링(150)의 주 몸체(156)와 실링 결합하도록 가압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멍(158, 160)이 통로(192, 194)와 정렬되는 위치로 밸브조정 링(150)이 각각 회전될 때, 통로(192, 194)와 환형 리세스(80)에서의 중간정도 가압된 유체는 압축기(10)의 흡입 압력 구역으로 통기된다. 구멍(158, 160)의 직경은 립 시일(302)의 환형부(306)에 의해 형성된 내경과 동일하도록 크기화 된다. 따라서, 환형부(306)는 결코 밸브조정 링(150)의 주 몸체(156)와 완전하게 접촉되지 않는 건 아니다. 밸브조정 링(150)의 주 몸체(156)는 이러한 계속된 접촉 때문에 카운터보어(300) 내에 립 시일(302)을 수용한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용량 조정 시스템이 도시되었다. 상기 설명된 용량 조정 시스템은 제로 용량과 총 용량 사이에서 압축기 용량을 조정하기 위한 능력을 갖는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용량 제어 시스템은 총 용량과 선택된 감소된 용량 사이의 압축기(10)의 용량을 조정하기 위한 능력을 갖는다.
도 13 및 도 14는 비선회 스크롤 부재(66)와 동일한 비선회 스크롤 부재(66')를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비선회 스크롤 부재(66)는 중간정도 유체 압력원 으로부터 리세스(80)까지 뻗어있는 하나 이상의 통로(84)가 반경방향 통로(192, 194)와 더이상 연통하지 않는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비선회 스크롤 부재(66')와 동일하다. 따라서, 리세스(80)는 통로(84)로부터 중간정도 가압된 유체로 연속으로 공급된다.
비선회 스크롤 부재(66')는 제 1 축선방향으로 뻗어있는 통로(196)와 제 2 축선방향으로 뻗어있는 통로(198)를 형성한다. 축선방향으로 뻗어있는 통로(196)는 스크롤 랩(54, 64)에 의해 형성된 중간정도 가압된 가동 포켓과 반경방향 통로(192) 사이에 뻗어있다. 축선방향으로 뻗어있는 통로(198)는 스크롤 랩(54, 64)에 의해 형성된 중간정도 가압된 가동 포켓과 반경방향 통로(194) 사이에서 뻗어있다. 바람직하게 통로(196, 198)는 선회 스크롤 부재(50)의 랩(54)의 폭보다 더 크지 않는 폭을 갖지 않으면서 그 개구의 크기를 최대화하도록 타원형 형상을 갖는다.
작동중, 하나 이상의 센서(296)에 의해 감지된 시스템 작동 상태가 압축기(10)의 총 용량이 필요하다는 것을 지시할 때, 제어 모듈(298)은 센서(296)로부터의 신호에 응답하여 작동하여 솔레노이드 코일 조립체(268)의 솔레노이드 코일(284)을 여기시켜 플런저(276)가 밸브 시트(282)와 결합해제하도록 이동되어 통로(256, 260)를 유체 연통되게 배치된다. 실질적인 배출 압력으로 가압된 유체는 개구 리세스(72)로부터 통로(286, 288), 유체 라인(264), 통로(258, 260, 256, 252), 유체 라인(266) 및 통로(226, 222, 및 224)를 통하여 실린더(206)로 유동하게 한다. 이러한 유체 압력은 피스톤(208)을 실린더(206)에 대하여 외측으로 이동 하게 하여 밸브조정 링(150)을 회전시켜 주 몸체(156)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통로(192, 194)와 겹쳐지는 관계의 실링부로 이동된다. 이것은 스크롤 랩(54, 64)에 의해 형성된 가동 포켓내에 배치된 중간정도 가압된 가스가 통로(192, 194, 196, 및 198)를 통하여 배기되거나 또는 통기되는 것을 방지한다. 압축기(10)는 이때 총 용량에서 작동할 것이다.
하중 상태가 압축기(10)의 총 용량이 필요하지 않는 상태로 변경될 때, 센서(296)는 제어기(298)에 신호 지시를 한 후 솔레노이드 코일 조립체(268)의 솔레노이드 코일(284)을 비여기시킨다. 플런저(276)는 스프링(278)의 가압 작동하에서 관형 부재(270)로부터 외측으로 이동하여 밸브 부재(280)를 시트(282)와 실링 결합하도록 이동시켜 통로(256)와 거기를 통과하는 가압된 유체의 유동을 폐쇄한다. 리세스된 구역(248)은 개구 리세스(72)와 연속하여 유체 연통하여 배출 압력을 계속 받게 된다. 이러한 배출 압력은 밸브 시트(282)와 유체가 타이트하게 실링 결합되는 밸브 부재(28)를 가압할 뿐만 아니라 이러한 관계를 동일하게 유지시키는데 조력한다.
실린더(206)에 포함된 가압된 가스는 통기 통로(228)를 통하여 압축기(10)의 흡입 구역으로 뒤로 흘러들어가서, 통로(192, 194)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밸브조정 링(150)의 구멍(158, 160)과 정렬된 위치 뒤로 스프링(234)이 밸브조정 링(150)을 회전시킨다. 스프링(234)은 또한 실린더(206)에 대해 내측으로 피스톤(208)을 이동시킨다. 이러한 위치에 있어서, 스크롤 랩(54, 64)에 의해 형성된 가동 포켓은 통로(192, 194, 196, 및 198) 및 구멍(158, 160)을 통하여 배기되거나 통기된다. 가동 포켓의 통기는 시일된 챔버가 형성된 상태를 지연시킴으로써 압축이 시작되는 상태를 지연시킴으로써 압축기의 용량을 감소시킨다. 이것은 소정량 만큼 압축기의 압축비를 감소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압축기의 압축 비율의 소정량의 감소는 축선방향 통로(196, 198)의 위치에 의해 제어된다.
통로(196, 198)는 트레일링(trailing) 플랭크 표면이 실링 결합하도록 이동하는 지점으로부터 내측으로 360°에 이르는 임의의 지점에서 각각의 흡입 포켓과 상기 통로가 연통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만약 상기 통로가 이보다 더 내측에 위치되면, 포켓에 있는 유체의 압축이 시작되어 그 통기가 작업 손실 및 효율 감소를 초래시킨다.
본 발명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에 대한 여러 변경 및 수정은 본 발명의 요지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상태에서 실시될 수 있음을 당업자라면 알 수 있을 것이다.
스크롤 압축기는 가압된 유체를 포함하는 가압 챔버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챔버내의 가압된 유체는 2개의 스크롤 부재를 함께 가압한다. 회전가능한 링은 스크롤 부재중 하나에 부착되어, 상기 가압 챔버로 유도하는 통로를 개폐시킨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링이 통로를 개방시킬 때, 가압된 유체를 구속해제하여 하중을 제거하며, 2개의 스크롤 부재를 함께 가압한다. 가압 하중이 제거될 때, 2개의 스크롤 부재는 분리되어, 배출과 흡입 사이의 누출 경로를 생성하여 스크롤 압축기의 용량을 감소시킨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링이 통로를 개방시킬 때, 지연된 흡입 통로가 개방되어 압축기 용량을 감소시킨다.

Claims (35)

  1. 제 1 단부 플레이트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제 1 스파이럴 랩을 구비하고, 리세스와 상기 리세스로부터 상기 제 1 스크롤 부재의 외부면으로 뻗어있는 유체 통로를 형성한 제 1 스크롤 부재;
    제 2 단부 플레이트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제 2 스파이럴 스크롤 랩을 구비한 제 2 스크롤 부재;
    스파이럴 랩이 흡입 압력하의 흡입 압력 구역과 배출 압력하의 배출 압력 구역 사이에서 점진적으로 체적이 변경되는 포켓이 생성되도록 상기 스크롤 부재를 서로에 대해 선회시키는 구동 부재;
    상기 유체 통로를 개폐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스크롤 부재의 상기 외부면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된 링; 및
    상기 제 1 스크롤 부재와 상기 링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링이 상기 유체 통로를 폐쇄할 때 상기 유체 통로를 실링하는 시일;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제 2 스파이럴 랩이 상기 제 1 스파이럴 랩과 상호결합되고, 상기 제 1 스크롤 부재가 상기 제 2 스크롤 부재에 대해 제한된 축선방향 이동을 위해 장착되고, 상기 제 1 스크롤 부재가 상기 리세스내에 배치된 가압된 유체로써 상기 제 2 스크롤 부재쪽으로 가압되고, 그리고
    상기 흡입 압력 구역과 상기 배출 압력 구역 사이의 누출 경로를 개방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 1 스크롤 부재가 상기 제 2 스크롤 부재에 대해 축선방향으로 이동 하기 위하여 상기 링이 상기 유체 통로를 개방시킬 때 상기 가압된 유체가 구속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된 유체는 상기 스크롤기의 상기 흡입 압력 구역으로 구속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조립체는 솔레노이드 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는 펄스식으로 작동되어 상기 스크롤기의 용량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된 유체의 압력은 상기 흡입 압력과 상기 배출 압력 사이의 압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링을 회전시키기 위하여 선형 액추에이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링을 회전시키기 위하여 밸브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부재는 솔레노이드 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는 펄스식으로 작동되어 스크롤기의 용량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일은 상기 링과 결합되는 제 1 립 시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시일은 상기 제 1 스크롤 부재와 결합되는 제 2 립 시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일은 상기 제 1 스크롤 부재와 결합되는 립 시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일은 상기 링이 상기 유체 통로를 개방시킬 때 상기 제 1 스크롤 부재와 상기 링을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기.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일은 상기 제 1 스크롤 부재에 의해 형성된 카운 터보어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시일은 상기 링과 결합되는 제 1 립 시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시일은 상기 제 1 스크롤 부재와 결합되는 제 2 립 시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기.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시일은 상기 제 1 스크롤 부재와 결합되는 립 시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기.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시일은 상기 링이 상기 유체 통로를 개방시킬 때 상기 제 1 스크롤 부재와 상기 링을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기.
  19.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시일은 자동 작동식 시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기.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일은 자동 작동식 시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기.
  21. 제 1 단부 플레이트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한 제 1 스파이럴 랩을 갖춘 제 1 스크롤 부재;
    제 2 스파이럴 랩이 상기 제 1 스파이럴 랩과 상호결합되고, 제 2 단부 플레이트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한 제 2 스파이럴 스크롤 랩을 갖춘 제 2 스크롤 부재;
    상기 스파이럴 랩이 흡입 압력하의 흡입 압력 구역과 배출 압력하의 배출 압력 구역 사이의 체적을 점진적으로 변경시키도록 포켓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스크롤 부재가 서로에 대해 선회하게 하는 구동 부재;
    유체 통로를 개폐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스크롤 부재의 외부면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제 1 유체 포켓으로부터 상기 제 1 스크롤 부재의 외부면까지 뻗어있는 링; 및
    상기 제 1 스크롤 부재와 상기 링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링이 상기 유체 통로를 폐쇄시킬 때 상기 유체 통로를 실링하는 시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기.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통로는 상기 링이 상기 유체 통로를 개방시킬 때 상기 스크롤기의 상기 흡입 압력 구역과 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기.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조립체는 솔레노이드 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기.
  24.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링을 회전시키기 위한 선형 액추에이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기.
  25.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링을 회전시키기 위한 밸브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기.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부재는 솔레노이드 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기.
  27.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일은 상기 링과 결합되는 제 1 립 시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기.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시일은 상기 제 1 스크롤 부재와 결합되는 제 2 립 시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기.
  29.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일은 상기 제 1 스크롤 부재와 결합되는 립 시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기.
  30.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링이 상기 유체 통로를 개방시킬 때 상기 시일은 상기 제 1 스크롤 부재와 상기 링을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기.
  31.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일은 상기 제 1 스크롤 부재에 의해 형성된 카운터보어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기.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일은 상기 링과 결합되는 제 1 립 시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기.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시일은 상기 제 1 스크롤 부재와 결합되는 제 2 립 시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기.
  34.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일은 상기 제 1 스크롤 부재와 결합되는 립 시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기.
  35.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일은 자동 작동식 시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기.
KR1020060076045A 2005-08-12 2006-08-11 용량 조정식 스크롤 압축기 KR200700196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6045A KR20070019603A (ko) 2005-08-12 2006-08-11 용량 조정식 스크롤 압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203,469 2005-08-12
KR1020060076045A KR20070019603A (ko) 2005-08-12 2006-08-11 용량 조정식 스크롤 압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9603A true KR20070019603A (ko) 2007-02-15

Family

ID=43652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6045A KR20070019603A (ko) 2005-08-12 2006-08-11 용량 조정식 스크롤 압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1960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88523A1 (ko) * 2017-11-01 2019-05-09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스크롤 압축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88523A1 (ko) * 2017-11-01 2019-05-09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스크롤 압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6628B1 (ko) 용량 조정식 스크롤 압축기
US10954940B2 (en) Compressor having capacity modulation assembly
US20070036661A1 (en) Capacity modulated scroll compressor
US6293767B1 (en) Scroll machine with asymmetrical bleed hole
US6537043B1 (en) Compressor discharge valve having a contoured body with a uniform thickness
US9127677B2 (en) Compressor with capacity modulation and variable volume ratio
US6139291A (en) Scroll machine with discharge valve
US8529232B2 (en) Compressor having capacity modulation system
US7771178B2 (en) Vapor injection system for a scroll compressor
KR101900034B1 (ko) 용량 조절 스크롤 압축기
KR20070019603A (ko) 용량 조정식 스크롤 압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