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19598A - 인빌딩 rf 중계기의 링크 안테나 설치 위치 선정 방법,이를 위한 케이블 장치 및 단말기 - Google Patents

인빌딩 rf 중계기의 링크 안테나 설치 위치 선정 방법,이를 위한 케이블 장치 및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9598A
KR20070019598A KR1020060076003A KR20060076003A KR20070019598A KR 20070019598 A KR20070019598 A KR 20070019598A KR 1020060076003 A KR1020060076003 A KR 1020060076003A KR 20060076003 A KR20060076003 A KR 20060076003A KR 20070019598 A KR20070019598 A KR 200700195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antenna
building
terminal
repeater
antenn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60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17780B1 (ko
Inventor
서경일
최진호
이정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to KR10200600760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7780B1/ko
Publication of KR200700195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95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77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77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20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 H04B17/27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for locating or positioning the transmit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20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 H04B17/23Indication means, e.g. displays, alarms, audible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20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 H04B17/26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using historical data, averaging values or statisti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빌딩 RF 중계기의 링크 안테나 설치 위치 선정 방법, 이를 위한 케이블 장치 및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이 링크 안테나 설치 위치 선정 방법에서는 링크 안테나를 설치할 대상 영역 내에서 링크 안테나의 지향성을 이용하여 최고의 Ec/Io가 측정되는 위치를 선정한다. 그리고, 선정된 위치에 링크 안테나를 설치한다. 다음, 설치된 링크 안테나가 지향할 대상 방향 중에서 링크 안테나의 지향성을 이용하여 측정된 Ec/Io가 최고가 되는 방향을 지향 방향으로 고정한다. 이 때, 링크 안테나의 지향성을 이용한 Ec/Io 측정은 링크 안테나에 특정 접속 케이블을 통해 접속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해 수행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최적의 위치에 인빌딩 RF 중계기의 링크 안테나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최적의 방향으로 인빌딩 RF 중계기의 링크 안테나가 지향하도록 설치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빌딩 내에서의 Ec/Io가 현저하게 개선될 수 있다. 따라서, 고객의 체감 품질이 향상되며, 이로 인해 인빌딩 RF 중계기의 앰프의 부하가 경감될 수 있다. 또한, 인빌딩 RF 중계기를 설치하는 인건비를 포함한 전체 비용이 감소된다.
인빌딩 RF 중계기, 링크 안테나, 야기 안테나, Ec/Io, PN Pollution

Description

인빌딩 RF 중계기의 링크 안테나 설치 위치 선정 방법, 이를 위한 케이블 장치 및 단말기 {METHOD FOR SELECTING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LINK ANTENNA IN INBUILDING RADIO FREQUENCY REPEATER, CABLE APPARATUS AND TERMINAL USED IN THE SAME}
도 1은 일반적인 인빌딩 RF 중계기가 설치된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반적으로 빌딩 외부에서의 멀티 PN에 의한 오염의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빌딩 RF 중계기의 링크 안테나 설치 위치 및 지향 방향 선정 방법에서 사용되는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3의 장치를 실제로 구현한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접속 케이블의 상세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빌딩 RF 중계기의 링크 안테나의 설치 위치 선정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빌딩 RF 중계기의 링크 안테나의 지향 방향 선정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특정된 10개소 중 하나인 강남센터빌딩에 서 주변의 사용자가 가장 적은 시간대(최한시)를 기준으로 실제 측정이 수행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로, (a)는 개선 전의 측정 결과 그래프이고, (b)는 개선 후의 측정 결과 그래프이다.
도 9는 도 8에서와 동일 장소인 강남센터빌딩에서 총 시간대를 기준으로 실제 측정이 수행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로, (a)는 개선 전의 측정 결과 그래프이고, (b)는 개선 후의 측정 결과 그래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실제 측정이 수행된 10개소에서 촤힌시와 총 시간대를 기준으로 개선 전의 측정 결과 데이터와 개선 후의 측정 결과 데이터를 비교한 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링크 안테나 설치 위치를 선정하는데 사용되는 전용 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 블록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전용 단말기의 외부 케이스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링크 안테나 설치 위치를 선정하는데 사용되는 다른 전용 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인빌딩 RF 중계기의 링크 안테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인빌딩 RF 중계기의 링크 안테나의 설치 위치를 선정하는 방법과, 이 때 사용되는 케이블 장치 및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서 발사되는 전파는 대형 빌딩의 내부, 혹은 산이나 언덕의 뒤편, 터널이나 지하철 등의 지역까지 도달하기 어려워 이러한 지역은 이동통신에 대해서는 불통지역이 되기 쉽다. 따라서 기지국의 위치나 지형 등의 문제로 음영 지역이 존재하게 된다. 이와 같은 음영 지역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저렴한 가격과 미약한 전파를 가지고 통화가 불가능한 음영 지역을 커버할 수 있는 중계기가 사용되고 있다. 특히, 인빌딩 RF 중계기는 빌딩 내에서의 음영 지역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첨부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너(Donor) 유닛(5)은 빌딩(3)의 외부, 특히 옥상 등에 설치하고, 도너 유닛(5)에 동축 케이블(7) 등을 통해 유선으로 연결된 리모트(Remote) 유닛(9)은 빌딩(3) 내에 설치하여 빌딩 내에서도 이동통신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한다. 이 때, 도너 유닛(5)이 기지국(1)으로부터 공중선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도너 유닛(5)과 리모트 유닛(9)이 인빌딩 RF 중계기를 형성한다.
여기서, 인빌딩 RF 중계기에서 기지국(1)측과의 공중선을 통한 RF 신호를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RF 안테나를 링크 안테나라고 하며, 최근에는 야기(Yagi) 안테나가 주로 사용된다. 이러한 야기 안테나는 일본의 야기와 우노다 두 사람이 공동으로 발명한 안테나로 최근에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지향성 빔 안테나이다. 이와 같이, 인빌딩 RF 중계기에서 사용되는 링크 안테나가 지향성을 갖는 안테나이므로, 링크 안테나의 방향이 이동통신 서비스의 효율에 직접적으로 작용할만큼 중요한 역할을 차지한다. 물론, 링크 안테나로 야기 안테나뿐만 아니라 패치 안테나, 섹터형 안테나, 접시형 안테나 등 여러 가지가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일반적인 이동통신 단말기는 해당 단말기가 위치한 지점에서 수신되는 전력의 크기를 나타내는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와 수신된 칩(chip)당 파일럿 전력과 대역내 수신된 모든 신호전력의 비를 나타내는 Ec/Io(Energy per Chip over Interface noise) 등을 포함한 여러 가지의 단말기 상태를 특정 모드에서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표시해준다.
따라서, 종래 인빌딩 RF 중계기를 빌딩에 설치하는 경우 설치자는 빌딩의 옥상 등에 링크 안테나를 설치할 위치를 선정할 때에 상기한 단말기 상에 표시되는 Ec/Io 등의 정보를 이용할 수가 있다.
즉, 링크 안테나 설치자는 링크 안테나를 설치할 대상 영역, 예를 들어 빌딩의 옥상에서 이동통신 서비스가 가능한 단말기를 사용하여 단말기 상에 표시되는 RSSI와 Ec/Io 등의 정보를 보면서 먼저 링크 안테나를 설치할 위치를 선정한다.
그 후, 선정된 위치에 링크 안테나를 설치하고, 링크 안테나의 급전 선에 빌딩 내에 설치된 리모트 유닛(9)과 연결된 동축 케이블(7)을 연결하여 인빌딩 RF 중계기를 설치한다.
다음에, 빌딩 내에서 다른 설치자가 리모트 유닛(9)을 통하여 이동통신 서비스를 받는 단말기 상에 표시되는 Ec/Io 등을 확인하면서, 빌딩 외부에 있는 설치자와 통화하여 링크 안테나가 지향하는 방향이 최적이 되도록 선정한다.
이와 같은 과정이 종래 기술에 따른 인빌딩 RF 중계기의 링크 안테나를 설치하는 최적의 방법이다.
그러나, 실제로 링크 안테나가 설치되는 빌딩의 외부, 즉 옥상에는 다수의 섹터(PN:Psuedo Noise)에서 송신되는 신호들이 존재하기 때문에 지향성 안테나인 링크 안테나를 설치하기 위한 위치를 선정할 때 전방향성 안테나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측정된 정보, 즉 Ec/Io 등을 사용함으로써 최적의 위치가 선정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링크 안테나의 RF 패턴과는 전혀 상관없는 전방향성 안테나를 구비한 일반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여 위치를 선정하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이와 같이 최적의 위치가 아닌 곳에 링크 안테나를 설치한 후, 또는 우연히 최적의 위치가 되는 곳에 링크 안테나를 설치한 후에 빌딩 내부에 위치한 다른 설치자와의 통화를 통해 수동적으로 링크 안테나의 방향을 선정하여야 하므로 링크 안테나를 설치 완료하는데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반드시 2명 이상의 설치자가 있어야 함으로써 링크 안테나 설치는 물론 유지보수시 비용이 상승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빌딩 외부의 최적의 위치 및 그 위치에서의 최적의 방향으로 링크 안테나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는 인빌딩 RF 중계기의 링크 안테나 설치 위치 선정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빌딩 외부의 최적의 위치 및 그 위치에서의 최적의 방향으로 링크 안테나 설치하는데 사용되는 케이블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링크 안테나를 설치하는데 사용되는 단말기를 제공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에 따른 인빌딩 RF 중계기의 링크 안테나 설치 위치 선정 방법은,
인빌딩 RF 중계기의 링크 안테나에 연결된 단말기에서 상기 링크 안테나의 설치 위치를 선정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링크 안테나를 설치할 대상 영역 내의 특정 위치에서 상기 링크 안테나의 지향성을 이용하여 통신 상태값을 측정하는 단계; b) 상기 대상 영역 내의 다른 위치에 대해 상기 a) 단계의 측정을 반복하여 측정된 상기 통신 상태값과 이미 측정된 통신 상태값을 비교하는 단계; 및 c) 상기 비교 단계를 거쳐 상기 대상 영역 내에서 측정된 통신 상태값이 최고가 되는 위치를 상기 인빌딩 RF 중계기의 링크 안테나가 설치될 위치로 선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인빌딩 RF 중계기의 링크 안테나의 지향 방향 선정 방법은,
인빌딩 RF 중계기의 링크 안테나에 연결된 단말기에서 상기 링크 안테나의 지향 방향을 선정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링크 안테나가 지향할 대상 방향 내의 특정 방향에서 상기 링크 안테나의 지향성을 이용하여 통신 상태값을 측정하는 단계; b) 상기 대상 방향 내의 다른 방향에 대해 상기 a) 단계의 측정을 반복하여 측정된 통신 상태값과 이미 측정된 통신 상태값을 비교하는 단계; 및 c) 상기 비교 단계를 거쳐 상기 대상 방향 내에서 측정된 통신 상태값이 최고가 되는 방향을 상기 인빌딩 RF 중계기의 링크 안테나가 지향할 방향으로 선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링크 안테나의 지향성을 이용한 통신 상태값 측정은 상기 링크 안테나에 특정 접속 케이블을 통해 접속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른 케이블 장치는,
인빌딩 RF 중계기의 링크 안테나의 급전부에 체결 가능한 N-타입 콘넥터; 이동통신 단말기와의 RF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RF 포트에 체결 가능한 RF 잭; 및
상기 N-타입 콘넥터와 상기 RF 잭 사이에 접속되 RF 케이블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링크 안테나의 지향성을 이용한 통신 상태값 측정이 가능하도록 상기 링크 안테나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사이에 RF 신호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른 단말기는,
인빌딩 RF 중계기의 링크 안테나의 설치 위치를 선정하는데 사용되는 단말기로서,
상기 링크 안테나의 설치 위치를 선정하기 위한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아서 전달하는 키패드; 상기 단말기의 상태나 성능을 나타내는 통신 상태값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링크 안테나와 상기 단말기 사이의 무선 신호 전달이 가능하도록 상기 링크 안테나와의 접속이 가능한 링크 안테나 접속부; 상기 링크 안테나 접속부를 통해 상기 링크 안테나와의 무선 신호 송수신이 가능한 무선 송수신부; 및 상기 키패드를 통해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되는 경우, 상기 무선 송수신부와 상기 링크 안테나 접속부를 통해 접속된 상기 링크 안테나를 통해서 상기 단말기의 통신 상태값을 측정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의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빌딩의 외부, 특히 옥상 등은 여러 기지국의 신호가 동시에 도달하기 때문에 첨부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 PN 유입으로 인해 PN 오염(Pollution)이 심한 지역에 해당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전방향성 안테나를 구비한 단말기에 의해 측정되는 Ec/Io는 주변의 섹터에 의한 영향이 크므로, 주변 섹터에 의한 영향이 지엽적으로 차단되는 지향성 링크 안테나를 사용하여 Ec/Io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그에 따른 별도의 측정 방식이 있어야 한다.
따라서, 본원 발명에서는 첨부한 도 3에 도시된 장치를 이용하여 링크 안테나를 설치할 위치를 선정한다. 여기서, 링크 안테나를 설치할 위치를 선정하는 것에는 대상 영역 중 링크 안테나를 설치할 특정 위치를 선정하는 것과 이렇게 선정된 특정 위치에 링크 안테나를 설치한 후 링크 안테나가 지향하는 특정 방향을 선정하는 것이 모두 포함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빌딩 RF 중계기의 링크 안테나 설치 위치 선정 방법에서 사용되는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인빌딩 RF 중계기의 링크 안테나의 설치 위치를 선정하는데 사용되는 장치는 링크 안테나(100), 이동통신 단말기(200) 및 접속 케이블(300)을 포함한다.
링크 안테나(100)는 인빌딩 RF 중계기의 일부로써 실제로 빌딩의 외부, 예를 들어 옥상 등에 설치되는 안테나이다. 이 안테나(100)에는 빌딩 내부의 리모트 유닛(도시되지 않음)과 동축 케이블로 연결되기 위한 급전부(110)가 준비되어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200)는 Ec/Io 및 RSSI를 측정하여 표시가 가능한 단말기이며, 이 이동통신 단말기(200)에는 외부와의 RF 신호 송수신이 가능한 RF 포트(210)가 구비되어 있다.
접속 케이블(300)은 링크 안테나(100)의 급전부(110)와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RF 포트(210)에 각각 접속되어 링크 안테나(100)가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신호 송수신 안테나로 동작할 수 있도록 상호 간의 RF 신호 전송의 통로 역할을 한다.
링크 안테나(100)로는 야기 안테나가 사용되며, 야기 안테나(100)와 이동통신 단말기(200)를 접속 케이블(300)로 접속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빌딩 RF 중계기의 링크 안테나의 설치 위치를 선정하는데 사용되도록 꾸며진 장치의 예시가 첨부한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물론, 링크 안테나(100)로 패치 안테나, 섹터형 안테나, 접시형 안테나 등의 여러 가지 안테나가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야기 안테나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야기 안테나일 수 있고, 또는 야기 안테나가 지향하는 방향의 뒤쪽에서의 다른 PN으로부터의 방해를 방지하기 위한 반사판을 더 설치하거나 또는 야기 안테나가 지향하는 방향이 좌우뿐만 아니라 상하로도 조절될 수 있는 틸트 기능이 더 설치된 것일 수 있다.
한편, 접속 케이블(300)은 첨부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 안테나(100)의 급전부(110)에 접속되는 N-타입 콘넥터(310),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RF 포트(210)에 접속되는 RF 잭(320), N-타입 콘넥터(310)와 RF 잭(320) 사이에 접속되어 링크 안테나(100)와 이동통신 단말기(200) 사이에 RF 신호를 전달하는 RF 케이블(330) 및 RF 케이블(330) 중 N-타입 콘넥터(310) 및 RF 잭(320)에 각각 접속되는 부분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 튜브(340, 35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보호 튜브(340, 350)는 RF 케이블(330)의 열 수축으로 인해 발생되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한 열 수축 튜브가 사용된다.
또한, 보호 튜브(340, 350)의 길이는 약 2±0.2cm인 것이 바람직하고, RF 케이블(330)의 길이는 약 70cm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빌딩 RF 중계기의 링크 안테나를 설치하기 위한 위치 및 지향 방향을 선정하는 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6을 참조하여 인빌딩 RF 중계기의 링크 안테나를 설치하기 위한 위치를 선정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링크 안테나(100)를 설치할 최적의 위치를 찾기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 장치가 조립되어 준비된다(S100). 즉, 설치할 링크 안테나(100)의 급전 부(110)에 접속 케이블(300)의 N-타입 콘넥터(310)가 연결되고,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RF 포트(210)에 접속 케이블(300)의 RF 잭(320)이 연결되어 측정 장치가 준비된다.
다음, 링크 안테나(100)를 설치할 대상 영역, 예를 들어 빌딩의 옥상 등의 한 장소에서 상기 단계(S100)에서 준비된 측정 장치가 사용되어 해당 장소에서의 Ec/Io가 측정된다(S110). 이 때, Ec/Io는 링크 안테나(100)에 접속된 이동통신 단말기(200)에 의해 측정되며, 이 때 측정되는 Ec/Io는 지향성 안테나인 링크 안테나(100)를 통해 측정되므로 종래 전방향성 안테나를 통해 측정된 Ec/Io와는 본질적으로 차이가 있으며, 측정되는 Ec/Io의 정확도가 매우 높아진다.
다음, 측정된 Ec/Io가 최적의 Ec/Io가 될 때까지 설치 대상의 영역의 곳곳으로 위치가 이동되면서 계속 Ec/Io가 측정된다(S120, S130). 여기서 최적의 Ec/Io는 측정된 Ec/Io의 값이 최고의 값을 갖는 것을 의미한다.
만약 측정된 Ec/Io가 여러 장소에서 측정된 것들 중 최적의 Ec/Io인 경우에는 해당 장소가 링크 안테나(100)를 설치할 위치로 선정되어(S140), 해당 위치에 링크 안테나가 설치된다(S150).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빌딩 RF 중계기의 설치 위치 선정 방법에 따르면, 실제로 사용되는 링크 안테나(100)를 통해 측정되는 Ec/Io가 사용되어 그 설치 위치가 선정됨으로써 최적의 효율을 나타낼 수 있다.
다음, 도 7을 참조하여 인빌딩 RF 중계기의 링크 안테나가 지향하는 방향을 선정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과정을 거쳐서 최적의 위치에 설치된 링크 안테나(100)가 지향하는 최적의 방향을 찾기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 장치가 조립되어 준비된다(S200). 즉, 설치된 링크 안테나(100)의 급전부(110)에 접속 케이블(300)의 N-타입 콘넥터(310)가 연결되고,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RF 포트(210)에 접속 케이블(300)의 RF 잭(320)이 연결되어 측정 장치가 준비된다.
다음, 링크 안테나(100)가 설치된 상태에서 지향하는 방향에서 상기 단계(S100)에서 준비된 측정 장치가 사용되어 해당 방향에서의 Ec/Io가 측정된다(S210). 이 때, Ec/Io는 링크 안테나(100)에 접속된 이동통신 단말기(200)에 의해 측정되며, 이 때 측정되는 Ec/Io는 지향성인 링크 안테나(100)를 통해 측정되므로 종래 전방향성 안테나를 통해 측정된 Ec/Io와는 본질적으로 차이가 있으며, 측정되는 Ec/Io의 정확도가 매우 높아진다.
다음, 측정된 Ec/Io가 최적의 Ec/Io가 될 때까지 설치된 링크 안테나(100)가 지향하는 방향을 수평 또는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계속 Ec/Io가 측정된다(S220, S230).
만약 측정된 Ec/Io가 여러 방향에서 측정된 것들 중 최적의 Ec/Io인 경우에는 해당 방향이 링크 안테나(100)가 지향하는 방향으로 선정되어(S240), 해당 방향으로 링크 안테나(100)가 지향하도록 고정 설치된다(S250). 여기서 최적의 Ec/Io는 측정된 Ec/Io의 값이 최고의 값을 갖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빌딩 RF 중계기의 지향 방향 선정 방법에 따르면, 실제로 사용되는 링크 안테나(100)를 통해 측정되는 Ec/Io가 사용되 어 그 지향 방향이 선정됨으로써 최적의 효율을 나타낼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는 도 6과 도7을 참조하여 각각 인빌딩 RF 중계기의 링크 안테나(100)의 설치 위치 및 지향 방향을 선정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과정은 분리되지 않고 연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즉, 도 6에 따라 링크 안테나(100)를 설치할 최적의 위치가 선정되어 해당 링크 안테나(100)가 설치하는 동안 링크 안테나(100)에 접속 케이블(300)을 통해 접속된 이동통신 단말기(200)를 계속 체결하여 연결한 상태로 두었다가, 링크 안테나(100) 설치가 끝난 후에 곧바로 도 7의 단계 S210부터 시작하여 링크 안테나(100)가 지향하는 최적의 방향이 선정되는 과정을 수행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빌딩 RF 중계기의 링크 안테나(100)의 설치 위치 및 지향 방향을 선정하는 방법에 따르면 실제로 사용되는 링크 안테나(100)를 통해 측정되는 Ec/Io가 사용되어 링크 안테나(100)를 설치할 최적의 위치와 그 위치에서 링크 안테나(100)가 지향해야 하는 최적의 방향이 선정됨으로써, 링크 안테나(100)를 통해 송수신되는 기지국과의 RF 신호가 최적의 상태로 전달이 되며, 이러한 신호가 빌딩 내의 리모트 유닛을 통해 빌딩 내에 있는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해 이동통신 서비스가 수행됨으로써 최적의 상태로 서비스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빌딩 RF 중계기의 링크 안테나 설치 위치 및 지향 방향 선정 방법에 따라 실제의 지역에서 링크 안테나를 설치하고 측정한 결과에 대해 설명한다.
실제 측정에서는 서울시 강남구에 있는 10개소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인빌딩 RF 중계기의 링크 안테나의 설치 위치 및 지향 방향을 선정하여 링크 안테나를 설치하고 빌딩 내에서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실제 데이터를 측정하였다(개선 후 측정). 물론 각 10개소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링크 안테나를 설치하기 전에 종래 이미 설치되어 있는 링크 안테나에 의해 서비스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이전의 데이터도 실제 측정하였다(개선 전 측정).
도 8은 10개소 중 하나인 강남센터빌딩에서 주변의 사용자가 가장 적은 시간대(최한시)를 기준으로 실제 측정이 수행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로, (a)는 개선 전의 측정 결과 그래프이고, (b)는 개선 후의 측정 결과 그래프이다.
도 8의 결과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측정 장소에서 개선 전의 Ec/Io는 약 -8.8dB정도이었으나, 동일 장소에서 개선 후의 Ec/Io는 약 -3.8dB로 Ec/Io가 약 3.2dB 정도가 개선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사용자에 대한 이동통신 서비스의 질이 그만큼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도 9는 도 8에서와 동일 장소인 강남센터빌딩에서 총 시간대를 기준으로 실제 측정이 수행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로, (a)는 개선 전의 측정 결과 그래프이고, (b)는 개선 후의 측정 결과 그래프이다.
도 9의 결과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측정 장소에서 개선 전의 Ec/Io는 약 -9.9dB정도이었으나, 동일 장소에서 개선 후의 Ec/Io는 약 -5.1dB로 Ec/Io가 약 4.8dB 정도가 개선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사용자에 대한 이동통신 서비스의 질이 그만큼 향상되었으며, 또한 최한시에 비해서도 상대적으로 더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도 10은 실제 측정이 수행된 10개소에서 촤힌시와 총 시간대를 기준으로 개선 전의 측정 결과 데이터와 개선 후의 측정 결과 데이터를 비교한 표이다.
도 10에서 알 수 있듯이, 최한 시를 기준으로 개선도가 최소 2.5dB에서 최대 4.9dB까지 나타나, 그 차이가 있을 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으로 그 효과가 현저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총 시간대를 기준으로 개선도가 최소 1.7dB에서 최대 5.4dB까지 그 범위가 확대되었을 뿐, 마찬가지로 그 효과가 현저함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상기에서는 접속 케이블(300)을 통해 링크 안테나(100)에 접속된 이동통신 단말기(200)를 사용하여 측정되는 Ec/Io만을 보고 최적의 위치 및 방향을 선정하는 것으로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 단말기(200)에서는 Ec/Io만이 아니라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송신 전력을 나타내는 Tx_pwr(Transmission Power)나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송신 조절값을 나타내는 Tx_adj(Transmission Adjust)도 측정 가능하고, 이와 같이 측정된 Tx_pwr이나 Tx_adj가 최적인 값을 갖는 위치나 방향에서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효과가 발생된다. 따라서, 접속 케이블(300)을 통해 링크 안테나(100)에 접속된 이동통신 단말기(200)를 사용하여 측정되는 Ec/Io, Tx_pwr, Tx_ajs 등과 같은 값, 즉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상태 또는 성능을 나타내는 값이 최적인 값을 갖는 위치와 방향을 링크 안테나(100)의 설치 위치와 지향 방향으로 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링크 안테나(100)에 접속 케이블(300)을 통해 연결된 이동 통신 단말기(200)를 사용하여 Ec/Io를 측정하는 것으로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여기에 한정되지 않으며, 퀄컴칩, 에릭슨칩, 사이릭스 칩 등의 모뎀칩이 탑재되어 이동통신 트래픽(호)를 발생할 수 있는 단말기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200)를 대체하여 사용될 수 있음은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는 당연하다 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200)를 사용하여 링크 안테나(100)를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한 바와 같은 모뎀 칩이 탑재되어 있는 전용 단말기를 사용하여 링크 안테나(100)를 설치할 위치를 선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일반적인 이동통신 단말기(200)가 아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링크 안테나를 설치할 위치를 선정하는 방법에서 사용되는 전용 단말기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용 단말기는 링크 안테나의 설치 위치를 선정하기 위해 특정 지점에서 전용 단말기의 상태 또는 성능을 나타내는 값을 측정하여 표시하는 기능을 구비하면 되므로, 이동통신 단말기(200)에서의 구성에 비해 간소화될 수 있다. 즉, 이동통신 단말기(200)에서 사용되는 멀티미디어 기능, 카메라 기능, MP3 관련 기능 등의 부가 서비스 기능 등이 필요없게 되므로, 이를 위한 구성 등이 제거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링크 안테나 설치 위치를 선정하는데 사용되는 전용 단말기(400)의 개략적인 구성 블록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용 단말기(400)는 제 어부(410), 전용 키패드(420), 디스플레이(430), 메모리(440), 링크 안테나 접속부(450) 및 무선 송수신부(460)를 포함한다.
먼저, 제어부(410)는 전용 단말기(400)가 직접 또는 특정 케이블을 통해 링크 안테나(100)에 연결되어 링크 안테나(100)의 설치 위치를 선정하는데 사용되는 각종의 상태 또는 성능을 나타내는 값을 측정하는 기능을 제어한다.
전용 키패드(420)는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아서 제어부(410)로 전달하는 입력 수단이다. 이 전용 키패드(420)는 이동통신 단말기(200)에 구비된 키패드와는 그 구성이 다르다. 즉, 전용 단말기(400)는 링크 안테나(100)의 설치 위치를 선정하는데만 사용되기 때문에, 이동통신 단말기(200)와 달리 음성 통화 기능, 데이터 통신 기능, 문자 메시지 송수신 기능 등 여러 가지 부가 기능을 제공하지 않아도 되어 전용 키패드(420)에는 이러한 기능을 제공하는데 사용되는 숫자 키, 문자 키, 특수 키 등이 구비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용 키패드(420)에는 링크 안테나(100)를 통해 전용 단말기의 상태 또는 성능을 나타내는 값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키가 구비된다. 예를 들면, 전용 단말기(400)가 비-슬롯 모드(Non-slot mode)에서 Ec/Io, RSSI 등을 가지고 링크 안테나의 설치 위치와 지향 방향을 초기 검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스캔 모드(scan mode) 키, 트래픽(traffic) 상태에서 멀티 PN, Ec/Io, Tx_adj, RSSI 등을 가지고 링크 안테나의 설치 위치와 지향 방향을 세부 검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확정 모드(confirm mode) 키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430)는 제어부(410)의 제어에 따라, 전용 단말기(4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를 표시하거나, 링크 안테나(100)의 설치 위치나 지향 방향 등을 선정하기 위해 측정되는 값들을 또한 표시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430)로는 이동통신 단말기(20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와 동일한 것이 사용될 수 있다.
메모리(440)는 제어부(410)가 전용 단말기(4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필요한 프로그램 등을 저장하고, 또한 링크 안테나(100)의 설치 위치나 지향 방향 등을 선정하기 위해 측정되는 값들을 저장한다.
링크 안테나 접속부(450)는 전용 단말기(400)가 링크 안테나(100)에 연결될 수 있도록 케이블이나 커넥터 등이 접속될 수 있는 접속 수단이다. 이 링크 안테나 접속부(450)는 링크 안테나(100)의 급전부(110)에 직접 또는 케이블 등을 통해 접속되며, 바람직하게는 케이블 등을 통해 접속되는 것이 좋다.
도 3을 참조하면, 이동통신 단말기(200)에서는 링크 안테나(100)가 RF 포트(210)를 통해 연결되는데, 이러한 RF 포트(210)는 이동통신 단말기(200)에 대한 테스트, 특히 고장 등으로 인해 유지보수를 위한 테스트를 하기 위한 용도로 구비된 것이어서 링크 안테나(100)를 설치하기 위해 자주 사용되는 경우 마모 등이 심해져 오래 사용될 수 없다. 따라서, 전용 단말기(400)에 구비되는 링크 안테나 접속부(450)는 링크 안테나(100)와의 잦은 접속에도 견딜 수 있도록 견고한 커넥터 등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링크 안테나 접속부(450)로써 SMA 커넥터를 사용하며, 일예로 SMA 커넥터의 Female 단자가 외부 돌출형이 아닌 내부형인 것을 사용한다.
무선 송수신부(460)는 제어부(410)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를 이동통신 신호 로 변환하여 링크 안테나 접속부(450)를 통해 송출하고, 또한 링크 안테나 접속부(450)로부터 입력되는 이동통신 신호를 받아서 제어부(410)가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로 변환하여 제어부(410)로 전달한다.
한편, 전용 단말기(400)의 링크 안테나 접속부(450)가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RF 포트(210)와 상이하므로,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접속 케이블(300)을 통해 전용 단말기(400)와 링크 안테나(100)를 연결할 수 없다. 따라서, 접속 케이블(300)에서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RF 포트(210)에 접속되는 부분이 전용 단말기(400)의 링크 안테나 접속부(450)에 접속되도록 변경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링크 안테나 접속부(450)가 SMA Female 단자로 형성되는 경우, 접속 케이블(300)의 대응되는 부분이 동일 규격의 SMA Male 단자로 형성되면 전용 단말기(400)와 링크 안테나(100)가 쉽게 접속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410)는 이동통신 트래픽을 발생할 수 있는 모뎀칩, 예를 들어 퀄컴칩, 에릭슨칩, 사이릭스 칩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제어부(410)는 전용 단말기(400)를 통해 링크 안테나(100)의 위치를 선정하는데 사용되는 전용 단말기(400)의 상태나 성능 등을 나타내는 값, 예를 들어 Ec/Io, RSSI, 멀티 PN, Tx_pwr, Tx_adj 등을 측정하는 기능만을 구비하면 되므로, 기타 멀티미디어 기능, 카메라 기능, MP3 관련 기능 등 여러 가지 부가 서비스 기능 등을 구현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기존의 모뎀침 등에서 필요없는 기능 등이 제거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전용 단말기(400)의 외부 케이스는 첨부한 도 12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용 단말기(400)의 외부 케이스에는 전용 키패드(420), 디스플레이(430), 링크 안테나 접속부(450) 등이 외부에서 알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특히, 전용 키패드(420)에는 상기한 바와 같은 스캔 모드 키와 확정 모드 키가 구비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용 단말기(400)를 사용하여 링크 안테나의 설치 위치를 선정하는 방법에 대해 간단하게 설명한다.
먼저, 링크 안테나(100)와 전용 단말기(400)가 접속된 후, 링크 안테나(100)를 설치할 대상 영역 내에서 전용 키패드(420)의 스캔 모드 키가 선택되면, 초기 검색으로 비-슬롯 모드에서 Ec/Io 등을 측정하여 디스플레이(430)에 표시한다. 이 때, 이동통신 단말기(200)에서와 같이 측정되는 값을 그대로 표시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용 단말기(400)에서는 측정되는 값들이 나타내는 내용을 잘 알지 못하는 사용자들도 쉽게 링크 안테나(100)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측정된 값들이 나타내는 상태 또는 성능을 알 수 있도록 변환하여 표시한다. 예를 들어, 측정된 Ec/Io 등을 통해 파악되는 전용 단말기(400)의 상태를 최적(Best) 상태, 좋음(Good) 상태, 나쁨(Bad) 상태 등으로 구분하고, 실제 측정된 값들에 대응되는 상태로 변환하여 표시한다. 따라서, 전용 단말기(400)를 사용하여 링크 안테나(100)의 설치 위치를 선정하는 사용자들은 대상 영역 내에서 스캔 모드 키를 사용하여 링크 안테나(100)를 설치할 수 있는 위치를 초기 검색할 수 있다. 즉, 스캔 모드 키를 사용하여 최적 상태를 표시하는 위치를 초기 검색할 수 있다.
그 후, 최적 상태를 표시하는 각 위치에서, 링크 안테나(100)를 설치할 최적의 위치를 확정하기 위해 전용 키패드(420)의 확정 모드 키가 선택되면, 트래픽 상태에서 멀티 PN, Ec/Io, Tx_adj, RSSI 등을 측정하여 디스플레이(430)에 표시한다. 이 때에도, 상기한 바와 마찬가지로 이동통신 단말기(200)에서와 같이 측정되는 값을 그대로 표시할 수 있으나, 측정되는 값들이 나타내는 내용을 잘 알지 못하는 사용자들도 쉽게 링크 안테나(100)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측정된 값들이 나타내는 상태 또는 성능을 알 수 있도록 변환하여 표시한다.
따라서, 전용 단말기(400)를 사용하여 링크 안테나(100)의 설치 위치를 선정하는 사용자들은 초기 검색된 최적 상태의 위치 내에서 확정 모드 키를 사용하여 링크 안테나(100)를 설치할 수 있는 최적의 위치를 확정할 수 있다.
전용 단말기(400)를 사용하여 링크 안테나(100)의 지향 방향을 선정하는 경우에도 상기한 바와 같이, 스캔 모드 키를 사용하여 지향 방향을 초기 검색한 후, 확정 모드 키를 사용하여 초기 검색된 방향 중에서 최적의 방향을 확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는 전용 단말기(400)가 하나의 통신 방식만을 사용하여 링크 안테나(100)의 설치 위치와 지향 방향을 선정하는 것으로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전용 단말기(400)가 최근 사용이 많이 되고 있는 이중 모드 단말기와 유사한 구조를 갖도록 설계될 수 있다. 즉, 첨부한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용 단말기(400)의 무선 송수신부(460)는 이중 모드로써 동작할 수 있는 무선 송수신부(460)를 각각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송수신부(460)가 CDMA용 무선 송수신부(461)와 WCDMA용 무선 송수신부(462)를 포함할 수 있다. 따 라서, 설치하고자 하는 링크 안테나(100)를 통해 서비스되는 통신 방식이 전용 키패드(420)를 통해 선택되는 경우, 제어부(410)는 선택된 통신 방식에 해당하는 무선 송수신부(460)를 사용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은 필요한 경우 3개 이상의 통신 방식에 대해서도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은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쉽게 이해될 것이다.
비록, 본 발명이 가장 실제적이며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상기 개시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 청구범위 내에 속하는 다양한 변형 및 등가물들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최적의 위치에 인빌딩 RF 중계기의 링크 안테나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최적의 방향으로 인빌딩 RF 중계기의 링크 안테나가 지향하도록 설치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빌딩 내에서의 Ec/Io, 인빌딩 스루풋(throughout), RSSI, Tx_adj(Transmission adjust), Tx_pwr(Transmission Power) 등이 현저하게 개선될 수 있다. 이러한 RSSI 개선으로 인해 인빌딩 RF 중계기의 순방향 파워의 증가로 이러지고, 결과적으로는 인빌딩 RF 중계기의 커버리지가 확대되는 효과가 발생된다. 또한, Tx_adj의 개선으로 인해 역방향 경로가 개선되어 단말기가 적은 파워를 가지고 품질을 유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인빌딩 RF 중계기의 역방향 파워 앰프의 출력이 적게 드므로 역방향 앰프의 열화가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주변으로부터의 PN 오염이 제거될 수 있다.
또한, 네트웍 무선 부하율 측면에서 RF 부하율이 획기적으로 경감되고, 아울러 네트웍 유선 부하율 측면에서 기지국 LPA, 트랜시버, 채널카드, 전용회선 등의 부하율이 크게 감소된다.
따라서, 고객의 체감 품질이 향상되며, 이로 인해 인빌딩 RF 중계기의 앰프의 부하가 경감될 수 있다.
또한, 인빌딩 RF 중계기를 설치하는 인건비를 포함한 전체 비용이 감소된다.

Claims (21)

  1. 인빌딩 RF 중계기의 링크 안테나에 연결된 단말기에서 상기 링크 안테나의 설치 위치를 선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링크 안테나를 설치할 대상 영역 내의 특정 위치에서 상기 링크 안테나의 지향성을 이용하여 통신 상태값을 측정하는 단계;
    b) 상기 대상 영역 내의 다른 위치에 대해 상기 a) 단계의 측정을 반복하여 측정된 상기 통신 상태값과 이미 측정된 통신 상태값을 비교하는 단계; 및
    c) 상기 비교 단계를 거쳐 상기 대상 영역 내에서 측정된 통신 상태값이 최고가 되는 위치를 상기 인빌딩 RF 중계기의 링크 안테나가 설치될 위치로 선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인빌딩 RF 중계기의 링크 안테나 설치 위치 선정 방법.
  2. 인빌딩 RF 중계기의 링크 안테나에 연결된 단말기에서 상기 링크 안테나의 지향 방향을 선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링크 안테나가 지향할 대상 방향 내의 특정 방향에서 상기 링크 안테나의 지향성을 이용하여 통신 상태값을 측정하는 단계;
    b) 상기 대상 방향 내의 다른 방향에 대해 상기 a) 단계의 측정을 반복하여 측정된 통신 상태값과 이미 측정된 통신 상태값을 비교하는 단계; 및
    c) 상기 비교 단계를 거쳐 상기 대상 방향 내에서 측정된 통신 상태값이 최 고가 되는 방향을 상기 인빌딩 RF 중계기의 링크 안테나가 지향할 방향으로 선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인빌딩 RF 중계기의 링크 안테나 설치 위치 선정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링크 안테나의 지향성을 이용한 통신 상태값 측정은 상기 링크 안테나에 특정 접속 케이블을 통해 접속된 단말기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빌딩 RF 중계기의 링크 안테나 설치 위치 선정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상태값 측정이 수행되는 단말기는 상기 링크 안테나를 통해 이동통신 트래픽을 발생시킬 수 있는 단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빌딩 RF 중계기의 링크 안테나 설치 위치 선정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상태값은 상기 단말기에서 측정된 Ec/Io(Energy per Chip over Interface noise), Tx_pwr(Transmission Power) 및 Tx_adj(Transmission Adjust)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빌딩 RF 중계기의 링크 안테나 설치 위치 선정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안테나의 급전부―여기서 급전부는 상기 링크 안테나가 빌딩 내에서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리모트 유닛으로 RF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동축 케이블을 체결하는 요소임―에 상기 특정 접속 케이블이 체결되어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빌딩 RF 중계기의 링크 안테나 설치 위치 선정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와의 RF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RF 포트에 상기 특정 접속 케이블이 체결되어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빌딩 RF 중계기의 링크 안테나 설치 위치 선정 방법.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접속 케이블은 상기 링크 안테나와 상기 단말기 사이의 RF 신호 전송이 가능하도록 하는 RF 케이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빌딩 RF 중계기의 링크 안테나 설치 위치 선정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 후에,
    d) 상기 c) 단계에서 선정된 위치에 설치된 링크 안테나가 지향할 대상 방향 내의 특정 방향에서 상기 링크 안테나의 지향성을 이용하여 통신 상태값이 측정되 는 단계;
    e) 상기 대상 방향 내의 다른 방향에 대해 상기 d) 단계의 측정을 반복하여 측정된 통신 상태값과 이미 측정된 통신 상태값이 비교되는 단계; 및
    f) 상기 비교 단계를 거쳐 상기 대상 방향 내에서 측정된 통신 상태값이 최고가 되는 방향이 상기 인빌딩 RF 중계기의 링크 안테나가 지향할 방향으로 선정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인빌딩 RF 중계기의 링크 안테나 설치 위치 선정 방법.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안테나가 야기(Yagi) 안테나, 패치 안테나, 섹터형 안테나 및 접시형 안테나 중 어느 하나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빌딩 RF 중계기의 링크 안테나 설치 위치 선정 방법.
  11. 인빌딩 RF 중계기의 링크 안테나의 급전부에 체결 가능한 N-타입 콘넥터;
    단말기-여기서 상기 링크 안테나를 통해 이동통신 트래픽을 발생시킬 수 있는 단말기임-와의 RF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RF 포트에 체결 가능한 RF 잭; 및
    상기 N-타입 콘넥터와 상기 RF 잭 사이에 접속되 RF 케이블
    을 포함하며,
    상기 단말기가 상기 링크 안테나의 지향성을 이용한 통신 상태값 측정이 가능하도록 상기 링크 안테나와 상기 단말기 사이에 RF 신호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RF 케이블 중 상기 N-타입 콘넥터와 상기 RF 잭에 각각 접속되는 부분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 튜브를 더 포함하는 케이블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튜브는 상기 RF 케이블의 열 수축을 방지하기 위한 열 수축 튜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장치.
  14.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상태값은 상기 단말기에서 측정된 Ec/Io(Energy per Chip over Interface noise), Tx_pwr(Transmission Power) 및 Tx_adj(Transmission Adjust)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장치.
  15. 인빌딩 RF 중계기의 링크 안테나의 설치 위치를 선정하는데 사용되는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링크 안테나의 설치 위치를 선정하기 위한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아서 전달하는 키패드;
    상기 단말기의 상태나 성능을 나타내는 통신 상태값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부;
    상기 링크 안테나와 상기 단말기 사이의 무선 신호 전달이 가능하도록 상기 링크 안테나와의 접속이 가능한 링크 안테나 접속부;
    상기 링크 안테나 접속부를 통해 상기 링크 안테나와의 무선 신호 송수신이 가능한 무선 송수신부; 및
    상기 키패드를 통해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되는 경우, 상기 무선 송수신부와 상기 링크 안테나 접속부를 통해 접속된 상기 링크 안테나를 통해서 상기 단말기의 통신 상태값을 측정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단말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비-슬롯 모드(Non-slot mode)에서 측정되는 통신 상태값을 측정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하여, 상기 링크 안테나를 설치할 위치와 지향 방향을 초기 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트래픽(Traffic) 상태에서 측정되는 통신 상태값을 측정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하여, 상기 링크 안테나를 설치할 위치와 지향 방향을 확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확정되는 링크 안테나를 설치할 위치와 지향 방향은 상기 초기 선정된 위치와 지향 방향 중에서 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는 상기 초기 선정을 위한 통신 상태값 측정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스캔 모드(scan mode) 키와, 상기 확정을 위한 통신 상태값 측정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확정 모드(confirm mode) 키를 포함하는 단말기.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기의 상태를 복수의 상태로 구분하고, 측정되는 통신 상태값에 따라 상기 복수의 상태 중 대응되는 상태로 변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21.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송수신부는 다른 방식으로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둘 이상의 무선 송수신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키패드를 통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둘 이상의 무선 송수신 수단 중 하나가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KR1020060076003A 2005-08-12 2006-08-11 인빌딩 rf 중계기의 링크 안테나 설치 위치 선정 방법,이를 위한 케이블 장치 및 단말기 KR1008177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6003A KR100817780B1 (ko) 2005-08-12 2006-08-11 인빌딩 rf 중계기의 링크 안테나 설치 위치 선정 방법,이를 위한 케이블 장치 및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4237 2005-08-12
KR1020060076003A KR100817780B1 (ko) 2005-08-12 2006-08-11 인빌딩 rf 중계기의 링크 안테나 설치 위치 선정 방법,이를 위한 케이블 장치 및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9598A true KR20070019598A (ko) 2007-02-15
KR100817780B1 KR100817780B1 (ko) 2008-03-31

Family

ID=41640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6003A KR100817780B1 (ko) 2005-08-12 2006-08-11 인빌딩 rf 중계기의 링크 안테나 설치 위치 선정 방법,이를 위한 케이블 장치 및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778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88583A3 (en) * 2007-12-31 2009-09-11 Intel Corporation Techniques for optimal location and configuration of infrastructure relay nodes in wireless networks
KR20230175006A (ko) * 2022-06-22 2023-12-29 주식회사 케이티 Voc 데이터를 이용하여 중계기를 관리하는 서버,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1418B1 (ko) 2009-09-23 2012-07-02 (주)주니코리아 링크 안테나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3620B1 (ko) * 2002-01-28 2004-10-20 주식회사 위다스 무선중계기의 기지국 방향 탐지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88583A3 (en) * 2007-12-31 2009-09-11 Intel Corporation Techniques for optimal location and configuration of infrastructure relay nodes in wireless networks
GB2468463B (en) * 2007-12-31 2012-05-09 Intel Corp Techniques for optimal location and configuration of infrastructure relay nodes in wireless networks
US8718541B2 (en) 2007-12-31 2014-05-06 Intel Corporation Techniques for optimal location and configuration of infrastructure relay nodes in wireless networks
KR20230175006A (ko) * 2022-06-22 2023-12-29 주식회사 케이티 Voc 데이터를 이용하여 중계기를 관리하는 서버,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7780B1 (ko) 2008-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8700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릴레이 링크 셋업 방법 및 장치
US1055529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signal in beam forming-based communication system
US8447230B2 (en) Variable gain antenna for cellular repeater
EP2323216B1 (en) Antenna apparatus and antenna selection method
US8244173B2 (en) RF repeater
JP4670106B2 (ja) 室内rf中継器のリンクアンテナ設置位置選定方法、ケーブル装置及び端末機
US11764860B2 (en) Radio frequency signal boosters for providing indoor coverage of high frequency cellular networks
EP2951605B1 (en) A method for alignment of multi-beam antennas in a non line-of-sight scenario
US2007013503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signal in a communication system
US11595110B1 (en) Radio frequency signal boosters for providing indoor coverage of high frequency cellular networks
KR100817780B1 (ko) 인빌딩 rf 중계기의 링크 안테나 설치 위치 선정 방법,이를 위한 케이블 장치 및 단말기
KR20000019793A (ko) 터널내부의 이동통신 서비스를 위한 중계장치및 그 설치방법
JP2022067016A (ja) 無線中継装置および無線中継方法
KR19990053963A (ko) 최적 기지국 자동 탐색형 중계기용 스마트 안테나 및 복사 패턴생성 방법
US11909499B2 (en) Transmitting and receiving antenna system of LPWAN repeat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3188697A (zh) 识别无线网络天线方位角调反的方法和装置
Seltzer Indoor coverage requirements and solutions
KR102631820B1 (ko) Tvws 지향성 안테나를 이용한 원거리 통신 시스템 제어 방법
Lee An Analysis of an RF Link Budget and RSSI Circuit Design for Long-Range Communications
Lempiäinen et al. Configuration Planning and Power Budget
BUDGET Configuration Planning and Power Budget
Schwarz et al. Measuring Immissions of 5G Base Stations with Beamforming
US20190327617A1 (en) Bi-directional high power user equipment
CN115580886A (zh) 5g无线直放站智能寻优系统及方法
JP2004112554A (ja) 無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