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19087A - 액정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기기 및 그 액정디스플레이의 전력소모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액정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기기 및 그 액정디스플레이의 전력소모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9087A
KR20070019087A KR1020050073564A KR20050073564A KR20070019087A KR 20070019087 A KR20070019087 A KR 20070019087A KR 1020050073564 A KR1020050073564 A KR 1020050073564A KR 20050073564 A KR20050073564 A KR 20050073564A KR 20070019087 A KR20070019087 A KR 200700190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backlight
battery
power saving
crystal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35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치연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735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19087A/ko
Publication of KR200700190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90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644Constructional arrangements
    • G01R31/3646Constructional arrangements for indicating electrical conditions or variables, e.g. visual or audible indica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96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by lowering the supply or operating voltag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96Generation of voltages supplied to electrode driv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전자기기는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전극이 매트릭스 형태로 종횡 배열된 기판상에 액정이 구비된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광원이 되는 백라이트 유닛;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절전모드의 기준 배터리량을 설정하는 조작부; 배터리의 잔량을 검출하고 그 결과를 기준 배터리량과 비교하여 절전모드로의 진입을 트리거하는 제1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제1제어신호에 응답하여 백라이트 유닛의 구동전류를 정상모드/절전모드로 조정하는 백라이트 구동부; 및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는 패널 구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전자기기에 의하면 사용자가 배터리 절전모드로의 진입시기를 설정함으로써 백라이트가 절전모드로 동작하는 시점의 배터리 잔량을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는 편리함이 있다.

Description

액정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기기 및 그 액정 디스플레이의 전력소모 제어방법{Electronic device comprising liquid crystal display and power consumption conrtol method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도 1은 본 발명의 개념이 적용될 수 있는 전자기기로서 예시적인 디지털 카메라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전자기기의 일예로서 도 1과 같은 디지털 카메라의 뒷면의 일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기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기기의 액정 디스플레이 전력소모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5는 도 4의 S100, S102 단계가 전자기기에서 구현된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 예이다.
도 6은 도 4의 S110 단계가 전자기기에서 구현된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 예이다.
본 발명은, 배터리를 전원으로 사용하고 백라이트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이하 LCD) 패널을 구비한 디지털 카메라 등의 전자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배터리 잔량 부족시에 절전모드로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는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요즈음 디지털 카메라와 같은 휴대형 전자기기의 가장 두드러진 추세 중에 하나가 바로 LCD의 대형화이다. 그만큼 보는 즐거움은 사진을 찍는 즐거움과 같이 사용자들에게 크게 어필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LCD의 대형화는 그 광원이 되는 내부 백라이트 수의 증가를 가져 온다. 예를 들어, 2.0 인치(inch) LCD 에는 보통 3개의 LED가 구비되지만 3.5 인치 LCD 에는 6개의 LED 가 구비된다. 이 경우 LCD 대형화로 인하여 약 2배 이상의 배터리 전원을 소모하게 된다.
실제 LCD 소비전력의 약 80% 정도를 백라이트에서 소비하게 되며 이는 전체 전체 디지털 카메라의 전력 소모의 20~30%를 차지한다.
배터리를 전원으로 사용하고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LCD를 구비한 전자기기에서 배터리 소모를 절감하기 위한 종래 기술의 가장 큰 흐름은 배터리 잔량이 기준 레벨 이하가 되면 자동적으로 LCD 백라이트를 파워오프 하거나, 주변의 광환경에 대응하여 자동적으로 LCD의 휘도레벨을 변경하는 것이다. 물론, 이런 기술이 밧데리 소모를 방지하는 좋은 방법이기는 하나, 사용자에서 선택의 권한을 주지 않은 채 파워오프되거나, 사용자가 원치않는 상황에서 광환경에 따라 휘도레벨이 변경되어 오히려 사용자에게 불편을 주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가 배터리 절전모드로의 진입시기를 설정할 수 있는 전자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전자기기는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전극이 매트릭스 형태로 종횡 배열된 기판상에 액정이 구비된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광원이 되는 백라이트 유닛;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절전모드의 기준 배터리량을 설정하는 조작부; 상기 배터리의 잔량을 검출하고 그 결과를 상기 기준 배터리량과 비교하여 절전모드로의 진입을 트리거하는 제1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제1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구동전류를 정상모드/절전모드로 조정하는 백라이트 구동부; 및 상기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는 패널 구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패널 구동부는 제1제어신호에 응답하여 감마값 하향 조정, 컬러계조를 상향 조정, 명암대비율을 상향 조정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위한 계조전압 설정을 변경하여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구동전류 강하에 따른 백라이트 발광량 감소를 보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전자기기의 액정 디스플레이 전력소모 제어방법은 (a) 배터리 절전모드가 선택되었는가를 계속적으로 판단하는 단계; (b) 절전모드로 진입하기 위한 배터리 잔량의 기준 레벨을 설정하는 단계; (c) 배터리 잔량을 검출하는 단계; (d) 상기 검출 배터리 잔량이 상기 기준 레 벨 이하인가를 판단하는 단계; (e) 상기 검출 배터리 잔량이 상기 기준 레벨 이하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백라이트를 정상동작 모드로 작동하면서 소정 기간이 도과하면 상기 (c) 단계로 이동하는 단계; 및 (f) 상기 검출 배터리 잔량이 상기 기준 레벨 이하라고 판단되면 백라이트를 절전동작 모드로 작동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f) 단계는 백라이트를 절전동작 모드로 작동하면서, 액정 디스플레이의 감마값 하향 조정, 컬러계조를 상향 조정, 명암대비율을 상향 조정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과 동작을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도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개념이 적용될 수 있는 전자기기로서 예시적인 디지털 카메라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렌즈부와 필터부를 포함한 광학계(OPS)는 피사체로부터의 빛을 광학적으로 처리한다. 광학계(OPS) 안의 렌즈부는 줌 렌즈, 포커스 렌즈, 및 보상 렌즈를 포함한다.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MOS (Complementary Metal-Oxide-Semiconductor)의 광전 변환부(OEC)는 광학계(OPS)로부터의 빛을 전기적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킨다. 여기서, DSP(7)는 타이밍 회로(2)를 제어하여 광전 변환부(OEC)와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1)의 동작을 제어한다.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 로서의 CDS-ADC(Correlation Double Sampler and Analog-to-Digital Converter) 소자(1)는, 광전 변환부(OEC)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를 처리하여, 그 고주파 노이즈를 제거하고 진폭을 조정(auto gain control, AGC)한 후,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킨다. DSP(7)는 CDS-ADC 소자(1)로부터의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여 휘도 및 색도 신호로 분류된 디지털 이미지 신호를 발생시킨다.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4)에는 DSP(7)로부터의 디지털 이미지 신호 및 기타 임시 처리 데이터가 임시 저장된다.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5)에는 DSP(7)의 동작에 필요한 알고리듬 및 설정 데이터가 저장된다. 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6)에는 사용자의 메모리 카드가 착탈된다.
DSP(Digital Signal Processor, 7)로부터의 디지털 이미지 신호는 LCD 구동부(14)에서 LCD 패널의 디스플레이 신호로 변환되어 칼라 LCD 패널(17)에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된다.
한편, DSP(7)로부터의 디지털 이미지 신호는, USB(Universal Serial Bus) 접속부(18) 또는 RS232C 인터페이스(8)와 그 접속부(19)를 통하여 직렬 통신으로써 전송될 수 있고, 비데오 필터(9) 및 비데오 출력부(20)를 통하여 비데오 신호로서 전송될 수 있다.
오디오 처리기(13)는, 마이크로폰(MIC)으로부터의 음성 신호를 DSP(7) 또는 스피커(SP)로 출력하고, DSP(7)로부터의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SP)로 출력한다.
사용자 입력부(INP)에는, 셔터 버튼, 모드 선택 버튼, 기능 선택 버튼, 줌 버튼, 방향이동 버튼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INP)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각 기능 수행을 위한 명령을 발생한다.
마이크로제어기(12)는 렌즈 구동부(10)를 제어하고, 이에 따라 줌 모터(MZ), 포커스 모터(MF), 및 조리개(aperture) 모터(MA)가 광학계(OPS) 안의 줌 렌즈, 포커스 렌즈, 및 조리개를 각각 구동한다. 마이크로제어기(12)에 의하여 구동되는 발광부(LAMP)에는, 셀프-타이머 램프, 자동-초점 램프, 플래시 대기 램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마이크로제어기(12)는 플래시-광량 센서(16)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플래시 제어기(11)의 동작을 제어하여 플래시(15)를 구동한다.
마이크로제어기(12)의 기능은 DSP(7)와 원칩(one chip)화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디지털 카메라는, 도 1의 구성요소들을 모두 구비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라면 사양에 따라 그 구성요소 중 일부가 삭제되거나, 또 다른 구성요소가 추가되거나, 일부 구성요소가 변형되거나, 여러 구성요소의 기능이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전자기기의 일예로서 도 2와 같은 디지털 카메라의 뒷면의 일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의 디지털 카메라의 뒤쪽에는, 뷰 파인더(100), 자동초점램프(101), 플래시 상태램프(102), 모드다이얼(103), 셔터버튼(104), LCD버튼(105), 광각줌 버튼(106), 망원줌 버튼(107), 그립부(108), 5기능버튼(109), DC전원입력단자(110), 외 부출력단자(111), 재생모드버튼(112), LCD 모니터(113), 수동초점 버튼(114), 자동노출 잠금버튼(115), 촬영화질 조정버튼(116) 등이 구비된다.
LCD 모니터(113)에는 디지털 카메라의 현재 설정된 촬영모드와 상태를 나타내는 OSD(On Screen Display)가 표시되어 있다.
5기능 버튼(106)은 중앙에 메뉴(MENU)진입/확인(OK) 버튼, 상하좌우 방향 버튼을 구비한다. 모니터에 메뉴가 표시된 경우에 상하좌우 방향 버튼은 방향이동이 아닌 특수한 기능 버튼으로 작용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여러 기능 버튼들은 그 명칭에서 나타나는 기능 이외에도 두 가지 이상의 복합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기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로서, 전자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200), 제어부(202), 백라이트 구동부(204), 백라이트 유닛(206), 패널 구동부(208),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부(210)를 구비한다.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부(210)는 종 구동회로(Column driver, 212), 횡 구동회로(Row driver, 214), LCD 패널(210)을 구비할 수 있다. LCD 패널(210)은 구동전극이 매트릭스 형태로 종횡 배열된 기판상에 액정이 구비된다. 그리고 액정은 종 전극과 횡 전극에 인가되는 구동신호에 의해 구동된다. 하나의 화소는 R(red), G(green), B(blue)를 표현하는 3개의 부화소(sub-pixel)로 구성된다.
LCD 패널(210)이 TFT(Thin Film Transistor)에 의해 구비된 경우에, TFT의 게이트(gate)는 주사선(scan line)에 연결되고, 소스(source)는 데이터선(data line)에 연결되고, 드레인(drain)은 화소전극에 연결된다.
종 구동회로(212)는 LCD 패널(210)의 데이터선을 구동하고, 횡 구동회로(214)는 LCD 패널(210)의 주사선을 구동한다.
백라이트 유닛(206)은 LCD 패널(210)의 광원이 된다. 백라이트 유닛(206)은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백라이트 램프의 위치에 따라 에지(edge)형과 직하형이 있다. 에지형은 램프가 도광판(light guide plate)의 측면에 위치하며, 직하형은 램프가 도광판(light guide plate)의 아래쪽에 위치한다. 백라이트 유닛(206)의 소비전력은 LCD 모듈 전체 소비전력의 80% 이상을 차지하므로, 배터리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는 휴대용 전자기기에 있어서는 백라이트 유닛(206)의 소비전력을 절감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조작부(218)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절전모드의 기준 배터리량을 설정하는 키 데이터를 발생한다.
제어부(202)는 본 발명의 전자기기에서 LCD 패널(216)에 디스플레이 할 디지털 데이터를 처리하고, 도 1의 디지털 카메라와 같은 전자기기의 구성요소들을 제어한다. 특히 도 3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부(202)는 배터리(200)의 잔량을 검출하고 그 결과를 조작부(218)로부터 입력된 기준 배터리량과 비교하여 절전모드로의 진입을 트리거하는 제1제어신호를 백라이트 구동부(204)로 출력한다.
본 발명의 전자기기의 특징은 배터리 잔량이 일정량 이하로 떨어지면 항상 절전모드로 진입하는 종래의 방식과 달리 사용자가 절전모드로 진입하기 위한 배터리 잔량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가 조작부(218)를 이 용하여 절전모드의 기준 배터리량을 설정하면, 제어부(202)는 배터리 잔량을 검출하고 그 결과를 사용자가 설정한 기준 배터리량과 비교하여 절전모드로의 진입을 트리거하는 제1제어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백라이트 구동부(204)는 백라이트 유닛(206)에 전원을 공급하며 램프 전류를 조절하여 LCD 패널(210)의 밝기를 조절한다. 특히 도 3의 실시예에 있어서 백라이트 구동부(204)는 제1제어신호에 응답하여 백라이트 유닛(206)의 구동전류를 정상모드/절전모드로 조정한다. 백라이트 구동부(204)는 제1제어신호 발생 전에는 예컨대 램프당 구동전류를 정상모드인 20mA로 유지하다가, 제1제어신호가 발생하면 램프당 구동전류를 절전모드인 16mA로 조정한다.
패널 구동부(208)는 LCD 패널(210)의 구조 및 주사방식에 따른 적합한 구동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제어부(202)로부터의 데이터 신호를 LCD 패널(210)에 출력할 수 있도록 변조한다. TFT LCD 패널(210)의 경우에 패널 구동부(208)는 종 구동회로(212)와 횡 구동회로(214)의 구동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패널 구동부(208)는 감마(gamma) 조정 회로, LCD 패널(210)의 공통전극 전압 생성회로, 컬러 계조(color gray scale) 데이터 생성 회로 등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전자기기가 도 1의 디지털 카메라로서 구현된 경우를 예시하면, 백라이트 구동부(204), 패널 구동부(208)는 도 1의 LCD 구동부(14)로서 구비될 수 있다. 제어부(202)는 도 1의 DSP(7), DRAM(4), EEPROM(5)으로서 구비될 수 있다. 조작부(218)는 도 1의 사용자 입력부(INP)로 구비되고 도 2의 5기능버튼(109)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특히 패널 구동부(208)는 제어부(202)로부터의 제1제어신호에 응답하여 감마값 하향 조정, 컬러계조를 상향 조정, 명암대비율(contrast ratio)을 상향 조정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위한 구동 신호 조정을 수행하여 백라이트 유닛의 구동전류 강하에 따른 백라이트 발광량 감소를 보상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감마값 조정은 종 구동회로(212) 내부에 계조전압을 배분하는 저항 어레이가 구비되고, 패널 구동부(208)에서 저항 어레이의 정보를 바탕으로 기준전압을 조정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컬러계조의 조정은 소스 신호의 레벨을 조정하는 것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명암대비율 조정은 게이트 신호의 펄스폭을 조정하는 것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감마값, 컬러계조, 명암대비율 조정은 LCD 패널 제조 업체에서 제공하는 제어 사양에 따라 패널 구동부(202)에서 LCD 구동부의 화면 밝기 제어 레지스터값을 조정하는 것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감마값 하향 조정, 컬러계조 상향 조정, 명암대비율 상향 조정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수행함으로써, 절전모드에서의 백라이트 발광량 감소를 보상할 수 있다. 즉 백라이트 유닛(206)의 소비전력이 LCD 모듈 전체 소비전력의 80% 이상을 차지하는 상황에서 백라이트 구동전류 강하에 의하여 실제적으로는 배터리 소모의 절전효과를 크게 거두면서도, 사용자 시인성을 상당부분 보상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기기의 액정 디스플레이 전력소모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먼저 배터리 절전모드가 선택되었는가를 계속적으로 판단한다(S100).
배터리 절전모드가 선택된 경우에 절전모드로 진입하기 위한 배터리 잔량의 기준 레벨을 설정한다(S102).
도 5는 도 4의 S100, S102 단계가 전자기기에서 구현된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 예이다. 첫번째 화면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배터리 소모모드 메뉴에서 절전모드를 선택(S100)하면, 절전모드의 세부메뉴로서 두번째 화면의 절전 레벨 선택 메뉴로 진입한다. 사용자는 메뉴에 예시된 배터리 잔량 중에서 어느 하나 예컨대 20%를 설정한다(S102).
도 4를 참조하면 S102 단계 후에 현재 배터리 잔량을 검출한다(S104). 배터리 잔량의 검출은 전자기기가 턴온되어 배터리가 소모되는 기간에 소정 시간간격으로 수행될 수 있다.
검출된 배터리 잔량이 기준 레벨 이하인가를 판단한다(S106)
검출 배터리 잔량이 기준 레벨 이하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백라이트를 정상동작 모드로 작동한다(S108). 정상 동작 모드에서는 소정 기간 간격으로 배터리 잔량을 검출하는 S106 단계를 수행한다.
검출된 배터리 잔량이 기준 레벨 이하라고 판단되면 백라이트를 절전동작 모드로 작동한다(S110). S110 단계는 백라이트 절전동작 모드로 작동하면서 LCD의 감마값 하향 조정, 컬러계조를 상향 조정, 명암대비율을 상향 조정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S110 단계는 절전동작 모드에 진입하였음을 경보음으로 알리도록 구 현될 수 있다. 또한 S110 단계는 절전동작 모드에 진입하였음을 OSD로 알리는 단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6은 도 4의 S110 단계가 전자기기에서 구현된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 예이다.
도 6의 첫번째 화면을 참조하면 검출된 배터리 잔량이 사용자가 설정한 기준 레벨 예컨대 도 5에서 설정한 20% 이하라고 판단되면 "절전 모드 진입" 을 OSD로서 표시하고, 백라이트 구동 전류를 강하시킨다. "절전 모드 진입"을 OSD 로서 표시하는 이외에 경고음이나 전자기기에 구비된 LED 램프 점멸로서 표시할 수도 있다.
도 6의 두번째 화면을 참조하면 절전 모드에서 "밝기 보상중..."을 표시하고 백라이트 발광량이 감소한 것에 대한 밝기 보상을 수행한다. 밝기 보상은 전술한 바와 같이 LCD의 감마값 하향 조정, 컬러계조의 상향 조정, 명암대비율 상향 조정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밝기 보상이 완료되면 도 6의 세번재 화면에서 우측 상단에 표시된 "절전모드"와 같이 절전동작 모드에 진입하였음을 OSD로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절전동작 모드에 진입하였음을 짧은 경보음 등으로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사용자는 OSD 또는 경보음에 의하여 절전동작 모드에 진입하였음을 인지하게 된다.
사용자가 배터리 절전레벨을 설정한다 하더라도 실제 절전모드로 진입하는 순간은 사용자가 원치 않는 시점일 수 있다. 이러한 경보음 등으로 절전모드를 인지한 사용자가 원치 않는 상황에서는 절전모드를 해제하도록 할 수 있는 편리함이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전자기기의 일예로서 디지털 카메라를 중심으로 기술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이 배터리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고 LCD 패널을 구비한 캠코더, 휴대폰, 휴대형 LCD TV,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의 모든 전자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 PMP는 MP3와 같은 음악 재생, 방송수신, 게임, 전자사전, 동영상 재생, 디지털카메라 등의 복합적인 기능을 갖춘 휴대형의 차세대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이다.
이상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자기기에 의하면 사용자가 배터리 절전모드로의 진입시기를 설정함으로써 백라이트가 절전모드로 동작하는 시점의 배터리 잔량을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는 편리함이 있다.
또한 백라이트 절전모드에서 부족한 LCD 휘도를 감마값, 컬러계조, 콘트라스트에 의해 보상함으로써, 절전모드에서의 사용자의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되고 도면들에 표현된 예시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실시 예들에 의해 가르침 받은 당업자라면, 다음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 및 목적 내에서 치환, 소거, 병합 등에 의하여 전술한 실시 예들에 대해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4)

  1.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전극이 매트릭스 형태로 종횡 배열된 기판상에 액정이 구비된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광원이 되는 백라이트 유닛;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절전모드의 기준 배터리량을 설정하는 키 데이터를 발생하는 조작부;
    상기 배터리의 잔량을 검출하고 그 결과를 상기 기준 배터리량과 비교하여 절전모드로의 진입을 트리거하는 제1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제1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구동전류를 정상모드/절전모드로 조정하는 백라이트 구동부; 및
    상기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는 패널 구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구동부는
    제1제어신호에 응답하여 감마값 하향 조정, 컬러계조를 상향 조정, 명암대비율을 상향 조정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위한 구동 신호 조정을 수행하여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구동전류 강하에 따른 백라이트 발광량 감소를 보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3. (a) 배터리 절전모드가 선택되었는가를 계속적으로 판단하는 단계;
    (b) 절전모드로 진입하기 위한 배터리 잔량의 기준 레벨을 설정하는 단계;
    (c) 배터리 잔량을 검출하는 단계;
    (d) 상기 검출 배터리 잔량이 상기 기준 레벨 이하인가를 판단하는 단계;
    (e) 상기 검출 배터리 잔량이 상기 기준 레벨 이하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백라이트를 정상동작 모드로 작동하면서 소정 기간이 도과하면 상기 (c) 단계로 이동하는 단계; 및
    (f) 상기 검출 배터리 잔량이 상기 기준 레벨 이하라고 판단되면 백라이트를 절전동작 모드로 작동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액정 디스플레이 전력소모 제어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f) 단계는
    백라이트를 절전동작 모드로 작동하면서,
    액정 디스플레이의 감마값 하향 조정, 컬러계조를 상향 조정, 명암대비율을 상향 조정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액정 디스플레이 전력소모 제어방법.
KR1020050073564A 2005-08-11 2005-08-11 액정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기기 및 그 액정디스플레이의 전력소모 제어방법 KR200700190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3564A KR20070019087A (ko) 2005-08-11 2005-08-11 액정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기기 및 그 액정디스플레이의 전력소모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3564A KR20070019087A (ko) 2005-08-11 2005-08-11 액정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기기 및 그 액정디스플레이의 전력소모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9087A true KR20070019087A (ko) 2007-02-15

Family

ID=43652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3564A KR20070019087A (ko) 2005-08-11 2005-08-11 액정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기기 및 그 액정디스플레이의 전력소모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1908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54592A1 (ko) * 2021-01-15 2022-07-2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WO2022154593A1 (ko) * 2021-01-15 2022-07-2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54592A1 (ko) * 2021-01-15 2022-07-2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WO2022154593A1 (ko) * 2021-01-15 2022-07-2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US11837157B2 (en) 2021-01-15 2023-12-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module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94716B2 (ja) 表示制御装置及び表示制御方法
US7423639B2 (en) Photosenso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photosensor
JP5079384B2 (ja) 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101839748B1 (ko) 디스플레이 휘도를 감소시키는 방법 및 장치
KR100667666B1 (ko) 광센서, 광센서 출력 처리 방법, 표시 장치 및 전자 기기
US8049743B2 (en) Display apparatus with brightness control function
US2007015311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ing display-related setting of an electronic device
US8212743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image signal processing method, program for implementing the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the program
RU2648583C2 (ru) Жидкокристаллический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отображения
KR20090022394A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장치 및 그 방법
JP4049058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2010160272A (ja) 表示制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07316599A (ja) 表示制御装置、及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US8654046B2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ing method thereof
US7773141B2 (en) Monitor control apparatus for optical device
US8072413B2 (en) Display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and electronic equipment
KR20070019087A (ko) 액정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기기 및 그 액정디스플레이의 전력소모 제어방법
JP2007336169A (ja) 携帯機器
JP5133202B2 (ja) 情報処理装置、その色調整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が実行可能なプログラム
JP2006091051A (ja) 表示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電子機器
JP4457791B2 (ja) 表示装置
JP2007264124A (ja) 表示装置
KR100987772B1 (ko) 디지털 카메라의 제어방법
KR20050080365A (ko) 카메라 촬영 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제어 방법
JP2007078823A (ja) カメ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