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17594A - 이동통신 시스템의 일체형 전원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시스템의 일체형 전원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7594A
KR20070017594A KR1020050072057A KR20050072057A KR20070017594A KR 20070017594 A KR20070017594 A KR 20070017594A KR 1020050072057 A KR1020050072057 A KR 1020050072057A KR 20050072057 A KR20050072057 A KR 20050072057A KR 20070017594 A KR20070017594 A KR 200700175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battery
communication system
mobile communication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20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만
Original Assignee
엘지노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노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노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720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17594A/ko
Publication of KR200700175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75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0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surface mounting on a wal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concerning the insertion or the connection of the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0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04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1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7/145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hyratron or thyristor type requiring extinguishing means
    • H02M7/155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hyratron or thyristor type requiring extinguishing mean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7/16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hyratron or thyristor type requiring extinguishing mean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in a bridge configuration
    • H02M7/1623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hyratron or thyristor type requiring extinguishing mean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in a bridge configuration with control circuit
    • H02M7/1626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hyratron or thyristor type requiring extinguishing mean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in a bridge configuration with control circuit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output voltage or curr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의 전원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통신 시스템 장비에 연결되어 1상 3W 220V 또는 3상 4W 380V 교류전원을 공급받아 통신 시스템에 안정된 직류 전원을 공급하고 동시에 백업(Backup)용 배터리가 항상 풀(Full) 충전 상태를 유지하여 정전 시에 안정된 직류전원을 공급하고 전원공급장치의 전면과 측면에서 간편하게 유지보수 할 수 있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일체형 전원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정류기와 배터리가 공동실장 되는 구조로, 세계최초의 좌 측면 분배와 유지보수 구조로 전원공급 장치를 벽면에 부착이 가능하여 설치 공간을 획기적으로 축소하였으며, 전원공급 시간(Backup Time)의 증가에 따른 배터리 확장도 용이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일체형 전원 공급장치이다. 본 발명은 1상 3W 220V 또는 3상 4W 380V 교류전원을 공급받아 통신 시스템에 안정된 직류 전원을 공급하는 동시에 직류 전원 공급용 배터리가 항상 풀(Full) 충전 상태를 유지하여 정전 시에는 이동통신 시스템 장치에 안정된 직류전원을 공급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일체형 전원 공급장치이다.
전원 공급장치, 정류모듈, 제어모듈, 배터리 릴레이부, 직류분배부.

Description

이동통신 시스템의 일체형 전원 공급장치 {An apparatus of one body power source for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도 1은 본 발명의 이동통신 시스템의 일체형 전원 공급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체형 전원 공급장치를 랙(Rack)에 장착한 블럭도이고,
도 3은 도 2의 전원공급 장치를 랙에 장착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20 : 교류(AC) 입력부 22 : 교류 스위치부
28 : 정류모듈 30 : 제어모듈
34 : 배터리 릴레이부 36 : 내부 퓨즈부
38 : 확장 퓨즈부 40, 42 : 배터리
44 : 직류(DC) 분배부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의 전원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통신 시스템 장비에 연결되어 1상 3W 220V 또는 3상 4W 380V 교류전원을 공급 받아 통신 시스템에 안정된 직류 전원을 공급하고 동시에 백업(Backup)용 배터리가 항상 풀(Full) 충전 상태를 유지하여 정전 시에 안정된 직류전원을 공급하고 전원공급장치의 전면과 측면에서 간편하게 유지보수 할 수 있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일체형 전원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원공급장치는 전자장비에 연결되어 안정적으로 전원을 공급하고 비상시에도 전원을 계속 공급하여 해당 전자장비를 중단 없이 구동시키는 장치로 고가의 장비이다.
종래의 직류(DC) 공급장치는 정류기와 배터리를 별도로 설치하여 넓은 설치 상면을 필요로 하는 구조와, 동일 랙(rack)에 같이 실장 하나 배터리 용량이 적은 구조로 되어 있다.
정류기는 교류 전원 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 받아 연결장비에 직류 전원을 공급하고, 정전 시에도 직류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배터리가 연결되어 사업자가 요구하는 정전 시 보상시간에 대해 보장되도록 구성되고 있다.
종래의 전원공급장치는 단가가 매우 높으며, 설치공간이 넓어서 공간을 많이 차지하고, 배터리의 무게가 무거워서 설치하기 용이하기 않고, 배터리의 증설이 쉽지 않은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전원공급장치는 전후면 유지보수를 할 수 있도록 설계 제작되었으며, 작업시에 전원공급장치의 전 후면으로 이동하여야 하므로 많은 설치공간이 장비 설 치시 필요하다. 또한, 정류기와 축전기는 두 개의 랙에 별도로 구비되고 서로 연결되는 충방전선의 굵기가 거리에 따라 영향을 받게 되며, 랙에 공동 실장 되는 경우에는 배터리 용량이 작아 사업자가 요구하는 배터리 백업 시간(Back up Time) 조건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중대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동통신 시스템의 운영자는 크기가 소형이어서 공간을 적게 차지하고, 성능이 향상되어 비용이 절감되고 이동통신 시스템 장비의 중단 없이 유지 보수와 배터리의 확장이 용이한 전원공급장치를 기대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원공급장치의 전면과 측면에서 유지 보수가 간편하고 크기가 대폭 줄어들며 제조 비용이 대폭 절감되고 성능이 향상된 이동통신 시스템의 일체형 전원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정류기와 배터리가 공동실장 되는 구조로, 세계최초의 좌 측면 분배와 유지보수 구조로 전원공급 장치를 벽면에 부착이 가능하여 설치 공간을 획기적으로 축소하였으며, 전원공급 시간(Backup Time)의 증가에 따른 배터리 확장도 용이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일체형 전원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1상 3W 220V 또는 3상 4W 380V 교류전원을 공급 받아 통신 시스템에 안정된 직류 전원을 공급하는 동시에 직류 전원 공급용 배터리가 항상 풀(Full) 충전 상태를 유지하여 정전 시에는 이동통신 시스템 장치에 안정된 직류전원을 공 급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일체형 전원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등에 연결되어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으며, 공간절약, 비용절약, 무게 감소 등의 여러 효과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일체형 전원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동통신 시스템의 일체형 전원 공급장치는 교류전원을 입력 받아 제공하는 교류입력부와, 교류입력부에서 교류를 입력 받아 직류로 정류하여 제공하는 정류모듈과, 교류전원의 입력을 체크하고 상기 정류모듈의 동작을 검출 제어하고, 정류모듈의 운용 상태를 표시하며 정류 시스템이 운용 중에 발생되는 모든 경보를 송출하고 제어하는 제어모듈과, 정류모듈로부터 정류된 직류를 수신하여 이동통신 시스템 장치로 분배 제공하는 직류분배부와,교류전원을 수신하지 못하는 정정 발생시에 상기 직류분배부로 직류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정전 발생시에 상기 제어모듈의 제어에 따라 직류의 공급을 상기 배터리에서 공급하도록 상기 배터리와 상기 직류분배부를 연결하는 릴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어모듈은, 직류분배부로 공급되는 직류의 세기를 파악하여 상기 정류모듈의 정류 동작을 제어하고 필요시 상기 배터리로 직류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고, 본 발명의 일체형 전원 공급장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 연결되어 정전시에도 안정적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포함 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정류모듈과 제어모듈, 직류분배부는 장착시에 랙(rack)의 최상단의 하나의 셀프에 모두 구비되고, 배터리는 랙의 4단의 셀프에 2열로 상기 정류모듈 아래에 공동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의 릴레이부는, 정전시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배터리를 확장 연결시 전원을 오프하지 않고 상기 배터리를 확장 퓨즈부에 추가 장착하고 스위칭하면 계속적으로 직류전원을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 장치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이동통신 시스템의 일체형 전원 공급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체형 전원 공급장치를 하나의 랙(Rack)에 장착한 블럭도이고, 도 3은 도 2의 전원공급 장치를 랙에 장착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CDMA(코드분활다중접속) 기지국, 무인 교환국, 통신 장치 및 통신장비 등에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27 볼트(Volt)용과, -48 볼트(Volt)용 두 가지로 나뉘며, 특히 정전 시에도 장시간 안정적으로 전원을 공급하여 전원이 중단되는 일이 없게 하는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며, 설치공간을 획기적으로 줄이기 위해 정류기 및 배터리가 공동 실장 되는 일체형 타입(Type)으로, 벽면 부착이 가능한 좌 측면 유지 보수 형태로 개발되었다.
본 발명은 랙(Rack)의 상단에 정류 모듈과 제어모듈을 장착시키고 나머지 하단부에 충전기를 장착시키고, 일체형 전원공급장치의 전면과 측면에서 유지보수 가 가능하도록 구비하여 설치 공간이 대폭 줄어들고 비용이 절감되는 전원공급장치이다.
도 1의 이동통신 시스템의 일체형 전원 공급장치의 구성도에는 1상 220V 또는 3상 380V를 공급받는 AC 입력부(20)와 전원 공급을 스위칭하는 AC 스위치부(22), 서지(surge) 전류 인가시 보호하는 서지 검출부(24), 입력되는 전원을 검출하는 입력 전압 검출부(26)가 구비된다.
정류모듈(28)은 AC 전원이 입력되면 4개의 정류기에서 교류전원을 직류로 정류하여 제공하고, 제어모듈(30)는 교류 입력 전원의 상태를 파악하고, 공급되는 직류 전원의 상태를 파악하여 전원 공급장치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모듈(30)는 교류전원의 공급이 중단되는 것을 검출하고 직류 전원을 배터리로 공급하여 이동통신 시스템 장비가 정전이 발생되어도 계속 작동하도록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한다.
제어모듈(30)은 4개의 정류모듈(REC-100)을 제어하고, 정류기 운용 상태를 표시하며 정류 시스템이 운용 중에 발생되는 모든 경보를 송출하는 기능이 있다. AC 입력전압과 DC 출력전압의 값을 표시할 수 있는 선택 스위치와 부하전류와 배터리 충전 전류를 선택하여 볼 수 있는 선택 스위치가 있다
제어모듈(30)은 정류모듈의 이상이나, 직류전압의 과공급(DC Over Voltage), 직류전원의 저공급(DC Low Voltage), 교류 입력 전압 이상, 배터리 릴레이 오픈(Battery Relay Open), 출력 과전류, 배터리 셀(Battery Cell)의 이상 경보, 배터리(Battery) 과방전 검출 신호 등을 제공한다.
정류모듈(REC-100)(28)은 교류 단상 220V 또는 삼상 380V의 상용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장치로서 정류모듈의 정상 동작상태 여부를 표시하는 녹색 LED와 이상 상태를 표시하는 적색 LED, 대기(STANDBY) 상태를 표시하는 LED 등이 있으며, 전원을 온/오프(ON/OFF) 할 수 있는 스위치, 출력전압을 가변하는 가변저항 등을 구비한다.
본 발명은 정류모듈의 규격 개선을 통하여 재료비를 절감한 것으로, 충전시간을 단축 향상하고 충전 전류의 보상을 개량하였다. 정류모듈은 회로 집적화, 반도체 리액턴스류의 소형화를 통화여 100 암페어 모듈을 장착하였다.
관리자는 LED의 색을 보고 전압공급 장치의 동작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정류 시스템의 입력전원은 AC 단상 220V 또는 삼상 380V를 수용할 수 있으며, 출력분배는 정류기 좌 측면에 출력단자가 4회로로 사용 가능하다.
시스템 정상 운전시 정류모듈의 출력은 배터리의 자기방전을 보상하는 소량의 충전전류를 공급하는 것 이외에는 전부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전원을 공급한다.
정류모듈이 정상적인 동작중 상용 교류 입력전원이 정전되면 정류모듈이 직류출력을 발생하지 못하게 되므로, 이때부터는 시스템에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하게 된다.
제어모듈(30)은 정전시 교류전원의 공급의 중단을 입력 전압검출부(26)에서 감지하여 제공하고, 이상 표시등(적색 LED)이 점등됨과 동시에 경보 신호가 발생 된다. 정류모듈(28)은 입력 전압을 공급받지 못하여 전원 표시등(녹색 LED)이 소등됨과 동시에 모든 기능이 정지된다.
교류 입력 전원이 복전됨과 동시에 정류모듈(28)이 자동적으로 재가동하여 이동통신 시스템에 전원을 공급함과 동시에 그동안 방전되었던 배터리에 충전전류를 공급하게 되며, 제어모듈(30)에 정상 표시등(녹색 LED)이 점등된다.
정전시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연결을 위해 연결 단자가 좌측면에 구성되어 있으며 보호용 퓨즈(내부 500A, 확장 500A 용량)가 내장되어 있다.
배터리 릴레이부(34)는 배터리의 전압을 감지하여, 배터리 과방전시 배터리와 부하 간의 전원을 차단한다.
또한, 제어모듈(30)에서는 배터리의 방전 테스트를 일정 간격으로 실시하여 배터리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여 시스템에 양질의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설계 제작되었으며, 필요한 경보기능 및 보호회로가 내장되어 있고, 모든 경보를 송출할 수 있는 기능이 내장된 시스템이다.
배터리 릴레이부(34)는 제어모듈(30)의 제어를 받아서 정전시에 배터리에서 직류전원을 이동통신 시스템 장치에 공급하도록 스위칭하고, 배터리(40)의 확장시에도 전원공급 장치의 전원을 오프할 필요 없이 바로 확장 배터리(42)를 장착시킬 수 있다.
기본적으로 장착되는 배터리(40)는 12V 220AH를 출력하고 내부 퓨즈부(36)와 연결되고 제어모듈(30)에서 정전시에 배터리 릴레이부(34)를 제어하여 정전시에 직류(DC) 분배부(44)로 전원을 공급하여 이동통신 시스템의 장치로 전원을 공급하여 동작을 계속 유지시키고 8개의 셀(Cell)로 구성된다. 배터리는 확장 설치가 가능하다.
또한, 제어모듈은 직류분배부로 공급되는 27볼트 /400암페어 버스(Bus)로 공급되는 직류의 세기 정보를 변류기 등을 이용하여 수신하여 정류모듈의 정류 동작을 제어하며, 필요시에는 배터리 릴레이부를 제어하여 배터리로 직류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한다. 버스는 -48볼트를 공급하는 경우에는 -48볼트/200 암페어를 공급하고 버스의 종류는 여러 가지로 구현한다.
확장 퓨즈부(38)는 현재 장착된 배터리(40)로는 계속적인 전원 공급이 어려운 경우에 제어모듈(30)의 경보 등으로 파악되면, 관리자는 확장 배터리(42)를 확장 퓨즈부(38)에 연결시키고, 배터리 릴레이부(34)를 간편히 스위칭하면 배터리가 추가 장착된다. 따라서 전원 공급장치의 전원을 오프하지 않아도 간편하게 배터리(42)를 장착하므로, 배터리의 추가 장착으로 인한 이동통신 시스템 장치의 동작 중단을 방지한다.
확장 배터리(42)는 랙의 좌측면(62)에 구비되어 단자만을 연결하고 배터리 릴레이부(34)를 스위칭하면 전원이 계속적으로 공급되며, 확장배터리(42)는 별도의 랙에 구비될 수 있다.
직류분배부(44)는 입력되는 직류 전원을 이동통신 시스템 장치로 200 암페어씩 4개 이상의 경로로 분배하여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배터리(40)는 소용량 배터리에 적용하던 슬림화 극판을 적용하여 무게를 대폭 줄였으며, 축전기의 집적도를 향상하고, 양극판과 음극판의 무게를 줄이고, 연결부의 폭과 간격을 줄이며, 외부단자를 L 타입의 단자에서 I 타입의 단자로 교체시켜 배터리의 무게와 외형의 크기를 줄였다.
랙(Rack)의 크기는 건물의 하중과 직접적인 영향을 주므로 평방 미터당 일반 사무실 기준으로 250kg 이상을 넘지 않아야 하며, 본 발명은 축전기의 규격 개선을 통한 무게 감소로 평당 하중이 200kg/m2 이내로 구비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체형 전원 공급장치의 전면을 나타낸 블럭도로, 전원공급장치의 상단(52)에는 제어모듈과 4개의 정류 모듈, 직류분배부(44)가 장착되고, 아래의 4개의 하단(54)의 셀프(shelf)에는 8개의 배터리가 장착되어, 정전시에도 4시간 정도의 전원을 공급하며, 배터리를 확장하는 경우에는 8시간 이상 동안 정전시에도 직류전원을 안정적으로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전원공급 장치를 전면과 일측면에서 유지 보수가 가능하도록 구비하므로, 설치공간이 클 필요가 없으며, 유지보수가 편리하다.
종래의 전원공급장치는 전후면 유지보수 구조이고, 배터리의 경우에는 별도의 랙에 구비되며, 크기가 매우 크므로 설치 공간과 유지보수가 어려우며 무게가 무겁고 고가이다.
도 3은 도 2의 전원공급 장치를 랙에 장착한 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3(a)는 전면의 랙(60)에 장착된 전원공급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고, 도 3(b)는 좌측면 랙(62)에 장착된 전원공급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전면의 랙(60)의 상단에는 4개의 정류모듈(28)과 제어모듈(30)과 직류분배부(44)를 장착하고, 4개의 하단에는 배터리(40) 8개의 셀을 장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원공급장치의 좌측에서 유지보수를 할 수 있도록 좌측면 에 입출력 결선을 구비한 것으로, 도 3(b)에는 직류출력단자, 확장형 배터리(-)(+) 연결부와 교류입력부(20)와 내부 배터리 연결부(-)(+), 직류전원 접지부 단자 등을 구비하여 관리자가 전후면이 아니라, 전면과 측면에서 유지보수가 가능하여 공간을 절약하고, 벽면에 부착할 수 있다. 전원공급장치의 좌측면 분배구조는 본 발명이 세계 최초의 구성으로 알고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종래의 정류기와, 배터리의 공동 설치, 좌 측면 유지 보수 및 벽면 부착 구조로 설치 상면을 획기적으로 축소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였다.
또한, 장시간 정전을 대비하여 배터리 하중을 고려한 최대 용량을 설치하여 신뢰성을 높였으며 또한, 릴레이(Relay)를 활용하여 배터리 확장이 용이하도록 제작되었다. 또한, 무엇보다 같은 용량의 정류기, 배터리보다 가격을 절감할 수 있도록 개발된 것이 큰 장점이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원공급장치는 설치 상면이 적게 차지하고, 고 신뢰 저비용 제품이며, 전면 및 측면 유지보수 타입이고, 하중 분산 및 상면을 고려한 벽면 밀착형의 이동통신 시스템의 전원공급장치이다.
또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전원공급 장치는 간편하게 배터리를 증설할 수 있고, 정류모듈과 배터리가 동일한 랙(Rack) 내에 설치되고, 편리한 시공으로 공기 단축 및 인건비를 절감한다. 좌 측면에는 교류(AC) 전원 인입과, 배터리 충방전선 취합 및 직류(DC) 전원이 분배되는 구조이다.
본 발명의 전원공급 장치의 경우 -48V를 출력하는 경우에 정류모듈은 50A 4 개의 모듈로 구성되고, 배터리는 12V 220AH로 8개의 셀(Cell)로 구성되고, 확장시에는 별도의 랙에 추가할 수 있으며, 직류분배 회로는 100A 4회로로 구성되고, 그 중에 2개는 비상시에 사용하도록 한다.
전원공급 장치의 경우 +27 볼트를 출력하는 경우의 경우 -48볼트를 출력하는 경우와 직류분배회로를 제외하고는 거의 동일하게 구성된다.
직류분배 회로는 200A 정격의 4개의 회로로 구비되고, 그 중에 2개는 비상시에 사용할 수 있는 백업용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로 정류모듈과 배터리를 랙의 상단에 공동 실장하는 구조를 채택하였으며, 설치공간을 획기적으로 줄이기 위해 세계 최초로 모든 전원을 좌측면에서 분배토록 하고 유지보수할 수 있어서 설치시에 최소한의 공간만을 사용 가능하도록 구성된 효과가 있다.
정류모듈은 회로의 집적화와 리액턴스류의 소형화로 100 암페어 모듈을 적용하여 비용과 성능을 대폭 개선하고, 12V 1220AH의 배터리는 극판 슬림화로 무게를 최소화하며, 극판의 무게, 극판 연결단자와 외부단자를 개량하여 크기, 무게 성능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단상 220 볼트 또는 삼상 380 볼트의 교류전원을 입력 받아 제공하는 교류입력부와;
    상기 교류입력부에서 교류를 입력 받아 직류로 정류하여 제공하는 정류모듈과;
    상기 교류전원의 입력을 체크하고 상기 정류모듈의 동작을 검출 제어하고, 정류모듈의 운용 상태를 표시하며 정류 시스템이 운용 중에 발생되는 모든 경보를 송출하고 제어하는 제어모듈과;
    상기 정류모듈로부터 정류된 직류를 수신하여 이동통신 시스템 장치로 분배 제공하는 직류분배부와;
    상기 교류전원을 수신하지 못하는 정정 발생시에 상기 직류분배부로 직류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정전 발생시에 상기 제어모듈의 제어에 따라 직류의 공급을 상기 배터리에서 공급하도록 상기 배터리와 상기 직류분배부를 연결하는 릴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일체형 전원 공급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직류분배부로 공급되는 직류의 세기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정류모듈의 정류 용량 등을 제어하고 필요시 상기 배터리로 직류 전원을 공급하도록 상기 릴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일체형 전원 공급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모듈, 제어모듈, 직류분배부는 장착시에 랙(Rack)의 최상단의 하나의 셀프에 구비되고,
    상기 배터리는 상기 랙의 4단의 셀프에 2열로 상기 정류모듈 아래에 공동 구비되며,
    상기 랙의 좌측면에는 내부 배터리 연결을 위한 내부 배터리 연결부와 상기 배터리 증설이 편리하도록 확장 연결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일체형 전원 공급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부는, 정전시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 장치에 계속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배터리의 확장 연결이 필요시에 전원을 오프하지 않고 별도의 랙에 장착된 확장 배터리를 확장 퓨즈부에 추가 장착하고 스위칭하면 계속적으로 직류전원을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 장치로 공급하는 것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 스템의 일체형 전원 공급장치.
KR1020050072057A 2005-08-08 2005-08-08 이동통신 시스템의 일체형 전원 공급장치 KR200700175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2057A KR20070017594A (ko) 2005-08-08 2005-08-08 이동통신 시스템의 일체형 전원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2057A KR20070017594A (ko) 2005-08-08 2005-08-08 이동통신 시스템의 일체형 전원 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7594A true KR20070017594A (ko) 2007-02-13

Family

ID=43651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2057A KR20070017594A (ko) 2005-08-08 2005-08-08 이동통신 시스템의 일체형 전원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1759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5237B1 (ko) * 2016-09-06 2017-02-09 이창구 반도체 검사장비용 전원공급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210039138A (ko) 2019-10-01 2021-04-09 주식회사 텔라움 3상 전원 장애 발생시에 단상 및 3상 전원을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기지국용 3상 전력 변환 장치
KR20210039124A (ko) 2019-10-01 2021-04-09 (주)보명이앤씨 3상 전원 장애 발생시에 단상 및 3상 전원을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3상 전력 변환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5237B1 (ko) * 2016-09-06 2017-02-09 이창구 반도체 검사장비용 전원공급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210039138A (ko) 2019-10-01 2021-04-09 주식회사 텔라움 3상 전원 장애 발생시에 단상 및 3상 전원을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기지국용 3상 전력 변환 장치
KR20210039124A (ko) 2019-10-01 2021-04-09 (주)보명이앤씨 3상 전원 장애 발생시에 단상 및 3상 전원을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3상 전력 변환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572454B (zh) 一种电动汽车智能充电站充电系统
CN106208350B (zh) 一种供电方法及装置
CN203312887U (zh) 一种直流备用电源
CN111987791B (zh) 电池模组控制装置和方法、电源设备和系统
CN107947344A (zh) 一种用于通信基站的应急组合式后备电源一体设备
CN111987792A (zh) 供电设备及其供电方法
CN113964928B (zh) 一种dc-dc适配电源及其转换控制方法
CN101710728A (zh) 一种通信机房机架设备的供电方法及装置
KR20070017594A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일체형 전원 공급장치
CN214176917U (zh) 一种具有普适性的家庭储能柜
CN113258605A (zh) 一种基站能源智能共享方法、系统及控制方法
CN208571667U (zh) 一种延长变电站通信设备供电时间装置
JP3927848B2 (ja) 分散型電力貯蔵システム
CN210350851U (zh) 一种医用配电箱
CN114884168A (zh) 基于磷酸铁锂蓄电池的变电站直流系统
KR20140033811A (ko)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비상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CN113258474A (zh) 一种插框式基站能源共享装置
Kuroda et al. High-efficiency power supply system for server machines in data center
CN112398155A (zh) 基于三站合一的数据中心电源系统
CN108879866A (zh) 变电站通信设备延长供电装置
CN101741103B (zh) 具备内置后备电池的综合接入设备
CN201315624Y (zh) 具备内置后备电池的综合接入设备
CN217087556U (zh) 供电装置及数据中心
CN211556967U (zh) 通信基站应急供电装置
CN218867973U (zh) 供电控制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