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17359A - Electrical connector latch - Google Patents

Electrical connector latch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7359A
KR20070017359A KR1020067021763A KR20067021763A KR20070017359A KR 20070017359 A KR20070017359 A KR 20070017359A KR 1020067021763 A KR1020067021763 A KR 1020067021763A KR 20067021763 A KR20067021763 A KR 20067021763A KR 20070017359 A KR20070017359 A KR 200700173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ch
housing member
electrical connector
housing
deflec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176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193324B1 (en
Inventor
프랭클린 앤쏘니 홀러브
Original Assignee
에프씨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프씨아이 filed Critical 에프씨아이
Priority claimed from PCT/US2005/007832 external-priority patent/WO2006135352A2/en
Publication of KR200700173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735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33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332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9Sealing means between coupling parts, e.g. interfacial seal
    • H01R13/5221Sealing means between coupling parts, e.g. interfacial seal having cable seal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06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assembled by snap action of the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01R13/6272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comprising a single latching ar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1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correct or full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5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exchangeable elements on case or base
    • H01R13/6456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exchangeable elements on case or base comprising keying elements at different positions along the periphery of the connector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접점, 제1 하우징 부재 및 제2 하우징 부재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제1 하우징 부재는 접점 수용 영역을 갖는다. 전기 접점은 접점 수용 영역 내에 위치된다. 제2 하우징 부재는 제1 하우징 부재에 연결되고 래치의 전방 단부에서 래치 표면 및 래치의 전방 단부로부터 후향으로 연장하는 레버 아암을 포함하는 정합 전기 커넥터 래치를 포함한다. 레버 아암은 제2 하우징 부재의 일부의 상부에서 피봇하도록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al connector comprising an electrical contact, a first housing member and a second housing member. The first housing member has a contact receiving region. The electrical contact is located in the contact receiving area. The second housing member includes a mating electrical connector latch coupled to the first housing member and including a latch surface at the front end of the latch and a lever arm extending back from the front end of the latch. The lever arm is configured to pivot on top of a portion of the second housing member.

전기 접점, 접점 수용 영역, 래치, 레버 아암, 시일 리테이너 Electrical contacts, contact receiving area, latches, lever arms, seal retainers

Description

전기 커넥터 래치 {ELECTRICAL CONNECTOR LATCH}Electrical connector latch {ELECTRICAL CONNECTOR LATCH}

본 발명은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정합하는 제2 전기 커넥터와 래칭하기 위한 전기 커넥터 상의 래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al connec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latch on an electrical connector for latching with a mating second electrical connector.

전기 커넥터들을 이들이 정합된 후에 함께 보유하기 위한 래치가 본 기술 분야에 일반적으로 잘 알려져 있다. 미국 특허 제5,947,763호는 커넥터 위치 보장(CPA) 부재로 래칭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는 토션 아암을 갖는 피봇팅 래치를 개시한다.Latches for holding electrical connectors together after they are mated are generally well known in the art. US Pat. No. 5,947,763 discloses a pivoting latch having a torsion arm that can be secured in a position latched with a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CPA) member.

보다 큰 가청(audible) 클릭음 및 보다 큰 래칭 강도를 위한 더 높은 램프 힘을 필요로 하는 전기 커넥터 상에 래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요구가 있다. 또한 커넥터 부품의 제조를 위한 간략화된 툴링(tooling) 및 큰 기계적인 유연성을 제공하는 래치 피봇팅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요구가 있다. 또한 전기 커넥터 내에 레버 래치의 과응력(overstress)을 방지하고 사용자에 의한 커넥터 분리를 위한 하우징의 우수한 파지를 허용하는 시스템에 대한 요구가 있다.There is a desire to provide a latch on an electrical connector that requires higher audible clicks and higher lamp force for greater latching strength. There is also a need to provide a latch pivoting system that provides simplified tooling and greater mechanical flexibility for the manufacture of connector parts. There is also a need for a system that prevents overstress of the lever latches in the electrical connector and allows for good gripping of the housing for connector disconnection by the user.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전기 접점, 제1 하우징 부재 및 제2 하우징 부재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가 제공된다. 제1 하우징 부재는 접점 수용 영역을 갖는다. 전기 접점은 접점 수용 영역 내에 위치된다. 제2 하우징 부재는 제1 하우징 부재에 연결되고 래치의 전방 단부에서 래치 표면 및 래치의 전방 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하는 레버 아암을 구비하는 정합 전기 커넥터 래치를 포함한다. 레버 아암은 제2 하우징 부재의 일부의 상부 상에서 피봇되도록 구성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lectrical connector comprising an electrical contact, a first housing member and a second housing member. The first housing member has a contact receiving region. The electrical contact is located in the contact receiving area. The second housing member includes a mating electrical connector latch connected to the first housing member and having a latch surface at the front end of the latch and a lever arm extending rearward from the front end of the latch. The lever arm is configured to pivot on top of a portion of the second housing member.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제1 하우징 부재 및 제2 하우징 부재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하우징이 제공된다. 제1 하우징 부재는 가동 정합 전기 커넥터 래치를 포함한다. 래치는 래칭 표면을 갖는 제1 단부 및 대향하는 제2 단부를 포함한다. 제2 하우징 부재는 제1 하우징 부재에 연결되고, 래치의 제2 단부의 외향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래치의 제2 단부에 의해서 접촉되도록 구성된 제2 하우징 부재의 일부를 포함하는 래칭 과응력 방지 섹션(latching overstress protection section)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lectrical connector housing comprising a first housing member and a second housing member. The first housing member includes a movable mating electrical connector latch. The latch includes a first end having a latching surface and an opposing second end. The second housing member is connected to the first housing member and latches overstress includes a portion of the second housing member configured to be contacted by the second end of the latch to limit the outward movement of the second end of the latch. A latching overstress protection section.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주 하우징 및 시일 리테이너(seal retainer)을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하우징이 제공된다. 주 하우징은 가동 정합 전기 커넥터 래치를 갖는다. 래치는 래칭 표면을 갖는 전방 단부 및 핑거 접점 섹션을 갖는 대향하는 후방 단부를 포함한다. 시일 리테이너는 주 하우징 내부에 시일(seal)을 보유하도록 주 하우징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시일 리테이너는 래치가 그 상에서 피봇되는 받침대 및 래치의 후방 단부가 내향으로 가압될 때에만 래치의 후방 단부 위로 수직방향으로 위치되는 상부 표면을 갖는 래치의 후방 단부 뒤의 그립 리브(grip rib)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lectrical connector housing comprising a main housing and a seal retainer. The main housing has a movable mating electrical connector latch. The latch includes a front end with a latching surface and an opposing back end with a finger contact section. The seal retainer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main housing to hold a seal inside the main housing. The seal retainer includes a grip rib behind the rear end of the latch having a pedestal on which the latch is pivoted thereon and an upper surface positioned vertically over the rear end of the latch only when the rear end of the latch is pressed inward. do.

본 발명의 전술한 태양 및 다른 특징이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취해진 하기의 기술에서 설명된다.The foregoing aspects and other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1은 종래의 전기 접속 시스템의 분해 사시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electrical connection system.

도2는 본 발명의 특징을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의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ical connector incorporating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3은 도2에 도시된 전기 커넥터의 단면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electrical connector shown in FIG.

도4는 도2 및 도3에 도시된 전기 커넥터에 사용된 래치의 사시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of a latch used in the electrical connector shown in FIGS. 2 and 3;

도5는 전방측에서 취한 도4에 도시된 래치의 사시도이다.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latch shown in Fig. 4 taken from the front side.

도1을 참조하면, 전기 도전체의 2개의 그룹(12, 14)을 전기적으로 서로 접속하는 종래의 전기 접속 시스템(10)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된다. 전기 접속 시스템(10)은 전기 도전체(13)의 제1 그룹(12)에 접속된 제1 전기 커넥터(16) 및 전기 도전체의 제2 그룹(14)에 접속된 제2 전기 커넥터(18)를 포함한다. 제1 전기 커넥터(16)는 하우징(20) 및 하우징(20) 내부에 위치된 전기 접점(22)을 포함한다. 하우징(20)은 제2 전기 커넥터(18)의 수형 접점(26)을 수용하기 위하여 그 전방면에 수용 영역(24)을 갖는다. 하우징(20)은 또한 제2 전기 커넥터(18)의 하우징(30)의 전방 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영역(28)을 포함한다. 수용 영역(28)은 제2 전기 커넥터(18)의 극성화 리브(34; polarizing ribs)를 수용하는 슬롯(32)을 포함한다. 하우징(20)은 또한 수용 영역(28) 내부로 연장하는 래치(36)를 포함한다. 래치(36)는 제2 전기 커넥터(18)의 하우징(30)의 래치 돌기(38)와 스냅 고정식(snap lock)으로 래칭하도록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1, there is shown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electrical connection system 10 that electrically connects two groups 12, 14 of electrical conductors to each other. The electrical connection system 10 includes a first electrical connector 16 connected to a first group 12 of electrical conductors 13 and a second electrical connector 18 connected to a second group 14 of electrical conductors. ). The first electrical connector 16 includes a housing 20 and an electrical contact 22 located inside the housing 20. The housing 20 has a receiving area 24 on its front face for receiving the male contact 26 of the second electrical connector 18. The housing 20 also includes a receiving area 28 for receiving the front end of the housing 30 of the second electrical connector 18. Receiving region 28 includes a slot 32 for receiving polarizing ribs 34 of second electrical connector 18. The housing 20 also includes a latch 36 extending into the receiving area 28. The latch 36 is configured to latch with a latch projection 38 of the housing 30 of the second electrical connector 18 and a snap lock.

이제, 도2 및 도3을 또한 참조하면, 본 발명의 특징을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40)가 도시된다. 비록 본 발명이 도면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지만, 본 발명이 많은 대안적인 형태의 실시예들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임의의 적절한 크기, 형상 또는 유형의 요소 또는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Referring now also to FIGS. 2 and 3, an electrical connector 40 is shown that incorporates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in many alternative forms of embodiments. In addition, any suitable size, shape or type of elements or materials may be used.

전기 커넥터(40)는 제1 전기 커넥터(16)를 대체하거나 또는 그 대신에 사용되기 위한 것이다. 특히, 전기 커넥터(40)는 전기 도전체의 제1 그룹(12)에 접속되고 제2 전기 커넥터(18)에 제거가능하게 접속되도록 구성된다. 전기 커넥터(40)는 하우징(42) 및 전기 접점(44)을 포함한다. 전기 접점(44)은 다만 간명성을 위하여 도3에 도시되지 않는다. 전기 접점(44)은 전기 도전체의 제1 그룹(12)에서 전기 도전체(13)에 결합되는 접점을 포함한다. 전기 접점(44)은 제2 전기 커넥터(18)의 수형 접점(26)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암형 접점 섹션을 포함한다. 임의의 적절한 유형의 전기 접점이 하우징(42) 내부에 제공될 수 있다.The electrical connector 40 is intended to be used in place of or in place of the first electrical connector 16. In particular, the electrical connector 40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first group 12 of electrical conductors and to be removably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ical connector 18. The electrical connector 40 includes a housing 42 and an electrical contact 44. The electrical contact 44 is not shown in FIG. 3 for simplicity only. The electrical contact 44 comprises a contact coupled to the electrical conductor 13 in a first group 12 of electrical conductors. The electrical contact 44 includes a female contact section configured to receive the male contact 26 of the second electrical connector 18. Any suitable type of electrical contact may be provided inside the housing 42.

하우징(42)은 주 하우징 부재(46) 및 시일 리테이너(48)를 포함한다. 시일 리테이너(48)는 주 하우징 부재(46)와 시일 리테이너(48) 사이에서 시일(50)을 포획하기 위하여 스냅 고정식 연결 등에 의해서 주 하우징 부재(46)의 후방 단부에 고정되게 연결된다. 시일(50)은 전기 커넥터(13)와의 밀봉을 제공한다. 전기 커넥터(40)는 또한 주 하우징 부재(46)의 수용 영역(54)에서 제2 전기 도전체(18)의 하우징(30)과 결합하도록 구성된 제2 시일(52)을 포함한다. 전방 시일 리테이너(53)는 주 하우징 부재(46)의 전방에 부착되어 주 하우징 부재(46) 상에서 전방 시일(52)을 보유한다.The housing 42 includes a main housing member 46 and a seal retainer 48. The seal retainer 48 is fixedly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main housing member 46 by a snap-fast connection or the like to capture the seal 50 between the main housing member 46 and the seal retainer 48. Seal 50 provides a seal with electrical connector 13. The electrical connector 40 also includes a second seal 52 configured to engage the housing 30 of the second electrical conductor 18 in the receiving region 54 of the main housing member 46. The front seal retainer 53 is attached to the front of the main housing member 46 to hold the front seal 52 on the main housing member 46.

주 하우징 부재(46)는 접점 수용 영역(56)을 포함한다. 전기 접점(44)은 접점 수용 영역(56) 내에 위치된다. 주 하우징 부재(46)의 전방 단부는 접점 수용 영역(56) 내로의 개구(58)를 포함한다. 개구(58)는 접점 수용 영역(56) 내부로 수형 접점(26)이 삽입되어 전기 접점(44)과 정합 전기 접속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된다. 전기 도전체(13)는 시일 리테이너(48)의 개구(60)를 통해 그리고 이들이 전기 접점(44)에 접속되는 접점 수용 영역(56) 내부로 연장하도록 구성된다. 시일(50)은 전기 도전체(13)가 주 하우징 부재(46)의 후방 단부 내부로 통과하는 주 하우징 부재(46)의 후방 단부에서 접점 수용 영역(56)의 후방 단부를 밀봉하도록 구성된다.The main housing member 46 includes a contact receiving region 56. The electrical contact 44 is located in the contact receiving area 56. The front end of the main housing member 46 includes an opening 58 into the contact receiving region 56. The opening 58 is configured to allow the male contact 26 to be inserted into the contact receiving region 56 to be mate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ical contact 44. The electrical conductor 13 is configured to extend through the opening 60 of the seal retainer 48 and into the contact receiving region 56 where they are connected to the electrical contact 44. The seal 50 is configured to seal the rear end of the contact receiving region 56 at the rear end of the main housing member 46 through which the electrical conductor 13 passes into the rear end of the main housing member 46.

주 하우징 부재(46)는 정합 전기 커넥터 래치(60)를 포함한다. 전기 커넥터(40)가 제2 전기 커넥터(18)에 접속된 때, 래치(60)는 제2 전기 커넥터(18)의 래치 돌기(38)와 제거가능하게 래칭하도록 구성된다. 도4 및 도5를 또한 참조하면, 래치(60)는 일반적으로 전방 단부(64)에서 래치 표면(62) 및 후방 단부에서 사용자 핑거 접촉 표면(66)을 갖는 레버 아암(70)과, 2개의 편항가능한 아암(72; deflectable arm)을 포함한다.The main housing member 46 includes a mating electrical connector latch 60. When the electrical connector 40 is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ical connector 18, the latch 60 is configured to removably latch with the latch protrusion 38 of the second electrical connector 18. Referring also to FIGS. 4 and 5, the latch 60 generally includes a lever arm 70 having a latch surface 62 at the front end 64 and a user finger contact surface 66 at the rear end, and two And a deflectable arm 72.

주 하우징 부재(46)는 바람직하게는 성형된 플라스틱 또한 중합체 재료로 구성된 일편 부재이다. 따라서, 래치(60)는 바람직하게는 주 하우징 부재(46)의 나머지 부분과 일체로 형성된다. 레버 아암(70)의 전방 단부(64)는 수용 영역(54) 내부로 연장한다. 레버 아암(70)의 후방 단부(68)는 주 하우징 부재의 상부 후방 측에서 주 하우징 부재(46)로부터 연장한다. 편향 가능한 아암(72)은 레버 아암(70)의 대향하는 측방향 면들 상에 위치된다.The main housing member 46 is preferably a one-piece member composed of molded plastic or polymeric material. Thus, the latch 60 is preferably formed integrally with the rest of the main housing member 46. The front end 64 of the lever arm 70 extends into the receiving area 54. The rear end 68 of the lever arm 70 extends from the main housing member 46 at the upper rear side of the main housing member. The deflectable arm 72 is located on opposite lateral faces of the lever arm 70.

편향 가능한 아암(72)은 레버 아암(70)의 전방 단부(64)에 부착된 제1 단부(74)를 포함한다. 편향 가능한 아암(72)은 주 하우징 부재(46)의 상부 레일(78)에 부착되는 제2 단부(76)를 포함한다. 편향 가능한 아암(72)은 서로를 향해 내향으로 그리고 레버 아암(70)의 전방 단부(64)을 향해 전방으로 연장한다. 편향 가능한 아암(72)은 결합된 토션 바아 및 판 스프링(spring leaf)을 형성하여 주 하우징 부재(46)의 나머지 부분에 대한 레버 아암(70)의 피봇 이동을 허용한다. 제2 단부(76)는 후방 단부(68)에 가까운 레버 아암(70)의 중간 또는 중심 섹션 부근에 위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편향 가능한 아암(72)이 주 하우징 부재와 일체로 전방 대면 래치 비임을 제공하여, 보다 큰 가청 클릭음 및 더 큰 래칭 강도를 위한 정합하는 전기 커넥터(18)의 래치 돌기(38)에 더 높은 램프 힘(ramp force)을 제공한다. 시일 리테이너(48)의 주 하우징 부재(46)로의 연결 전에, 레버 아암(70)은 실질적으로 자유롭게 부유되고(free-floating), 전방 단부(64)에서 편향 가능한 아암(72)의 연결에 의해서만 지지된다.The deflectable arm 72 includes a first end 74 attached to the front end 64 of the lever arm 70. The deflectable arm 72 includes a second end 76 attached to the upper rail 78 of the main housing member 46. The deflectable arms 72 extend inwardly toward each other and forwardly toward the front end 64 of the lever arm 70. The deflectable arm 72 forms a combined torsion bar and spring leaf to allow pivotal movement of the lever arm 70 relative to the rest of the main housing member 46. The second end 76 is located near the middle or center section of the lever arm 70 near the rear end 68.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eflectable arm 72 provides a front face latch beam integrally with the main housing member, such that the latch projection 38 of the mating electrical connector 18 for greater audible click sound and greater latching strength. ) Provides a higher ramp force. Prior to the connection of the seal retainer 48 to the main housing member 46, the lever arm 70 is substantially free-floating and supported only by the connection of the deflectable arm 72 at the front end 64. do.

도2 및 도3에 가장 잘 도시된 것과 같이, 시일 리테이너(48)는 시일 리테이너의 상부측에서 상승된 부분(80)을 포함한다. 상승된 부분(80)은 전방 레일(82) 및 후방 레일(84)을 포함한다. 전방 레일(82)은 레버 아암(70) 아래에 위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시일 리테이너(48)가 주 하우징 부재(46)에 연결된 때, 레버 아암(70)의 바닥 표면은 전방 레일(82)의 상부 표면에 대항하여 설치된다. 전방 레 일(82)은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추가로 이해되는 바과 같이 레버 아암(70)을 위한 받침대 리브를 형성한다. 전방 레일(82)은 주 하우징 부재(46)보다는 시일 리테이너(48) 상에 제공된다. 이는 더 큰 기계적인 유연성 및 간략화된 툴링을 허용하는, 시일 리테이너에 의해 제공되는 피봇 특징을 제공한다. 후방 레일(84)은 이의 상부측에 전방 돌출 레지(86; ledge)를 포함한다. 후방 레일(84)은 이하에서 추가로 설명되는 래치 과응력 방지 시스템의 일부뿐만 아니라 그립 리브(grip rib)를 형성한다.As best shown in Figures 2 and 3, the seal retainer 48 includes a raised portion 80 at the top side of the seal retainer. The raised portion 80 includes a front rail 82 and a rear rail 84. The front rail 82 is located below the lever arm 70. More specifically, when the seal retainer 48 is connected to the main housing member 46, the bottom surface of the lever arm 70 is installed against the top surface of the front rail 82. The front rail 82 forms a pedestal rib for the lever arm 70 as further understood from the description below. The front rail 82 is provided on the seal retainer 48 rather than the main housing member 46. This provides the pivot feature provided by the seal retainer, allowing greater mechanical flexibility and simplified tooling. The rear rail 84 includes a front protruding ledge 86 on its upper side. The rear rails 84 form grip ribs as well as portions of the latch overstress prevention system described further below.

도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승된 부분(80)은 또한 전방 레일(82)과 후방 레일(84) 사이에 위치된 2개의 측벽(90)을 포함한다. 측벽(90)은 그 사이에서 레버 아암(70)의 후방 단부(68)의 자유로운 이동을 허용하도록 서로로부터 이격된다. 측벽(90)은 주 하우징 부재(46)보다는 시일 리테이너(48)에 의해서 제공된 스내그 방지 벽(anti-snag walls)을 제공하여, 후방 단부(68)의 래치 버튼 특징부가, 이와 같지 않은 경우에 주 하우징 부재(46) 상에 등가의 특징부를 제조하기 위하여 필요하였을 복잡한 툴링의 필요 없이 확실하게 보호될 수 있게 한다. 스내그 방지 측벽(90)을 갖는 시일 리테이너(46)의 제조자는 복잡한 툴링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As shown in FIG. 2, the raised portion 80 also includes two sidewalls 90 positioned between the front rail 82 and the rear rail 84. The side walls 9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allow free movement of the rear end 68 of the lever arm 70 therebetween. The side wall 90 provides anti-snag walls provided by the seal retainer 48 rather than the main housing member 46, such that the latch button feature of the rear end 68, if this is not the case. It can be reliably protected without the need for complicated tooling which would have been necessary to produce equivalent features on the housing member 46. Manufacturers of seal retainers 46 with anti-snag sidewalls 90 do not require complex tooling.

레버 아암(70)의 후방 단부(68)는 2개의 돌기(88)를 포함한다. 돌기(88)는 후방 레일(84)의 레지(86) 아래에 위치된다. 돌기(88)는 레지(86)의 바닥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후방 단부(68)가 과도하게 외향으로 이동되는 것과 같이 영구 변형을 초래할 수 있는 래치(60)의 과응력을 방지한다. 이는 시일 리테이너와 주 하우징 부재의 결합에 의해 제공되는 스내그 과응력 특징(snag overstress feature)을 제공하여, 인체공학적인 래치 과응력 방지를 위한 용이한 툴링을 제공한다.The rear end 68 of the lever arm 70 includes two protrusions 88. The protrusion 88 is located below the ledge 86 of the rear rail 84. The protrusion 88 is configured to contact the bottom surface of the ledge 86 to prevent overstress of the latch 60 which may cause permanent deformation, such as the rear end 68 being excessively outwardly moved. This provides the snag overstress feature provided by the engagement of the seal retainer and the main housing member, providing easy tooling for preventing ergonomic latch overstress.

제2 전기 커넥터(18)가 전기 커넥터(40)에 부착된 때, 하우징(30)의 전방은 하우징(42)의 수용 영역(54) 내부로 연장할 것이다. 래치 돌기(38)는 래치의 전방 단부(64)와 접촉하여 래치 돌기(38)가 전방 단부를 지나갈 때까지 전방 단부(64)를 외향으로 편향시킬 것이다. 이 과정 동안, 편향 가능한 아암(72)은 전방 단부(64)가 외향으로 편향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굴곡되고 레버 아암(70)은 전방 레일(82)의 상부에서 피봇할 것이다. 래치 돌기(38)가 전방 단부(64)를 지나간 후, 전방 단부(64)는 편향된 아암(72)에 의해 가해지는 힘 때문에 스냅 백(snap back)되어, 래치 표면(62)을 래치 돌기(38) 뒤에 위치시킬 것이다.When the second electrical connector 18 is attached to the electrical connector 40, the front of the housing 30 will extend into the receiving area 54 of the housing 42. The latch protrusion 38 will contact the front end 64 of the latch and deflect the front end 64 outward until the latch protrusion 38 passes the front end. During this process, the deflectable arm 72 will bend to allow the front end 64 to deflect outwardly and the lever arm 70 will pivot on top of the front rail 82. After the latch protrusion 38 passes the front end 64, the front end 64 snaps back due to the force exerted by the deflected arm 72, thereby latching the latch surface 62. Will be placed after the.

도3에서 가장 잘 도시된 것과 같이, 레버 아암(70)의 후방 단부(68)에서 사용자 접촉 표면(65)의 상부는 후방 레일(84)의 상부 표면 위에 보통 위치된다. 전기 커넥터(40)를 제2 전기 커넥터(18)로부터 분리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래치 돌기(38)로부터 래치(60)를 먼저 분리시켜야 한다.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화살표(96)에 의해 지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 접촉 섹션(66)을 내향으로 누른다. 레버 아암(70)은 화살표(98)에 의해 지시된 것과 같이 래치 돌기(38)의 후방 단부로부터 전방 단부(64)를 외부로 멀리 이동시키기 위하여 전방 레일(82) 상에서 피봇할 수 있다. 사용자 접촉 표면(66)이 내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사용자 접촉 표면(66)의 상부는 후방 레일(84)의 상부 표면 아래로 이동될 수 있다. 후방 레일(84)의 상부 표면은 래치의 후방 단부(68)가 내향으로 눌러질 때에만 래치의 후 방 단부 위로 수직으로 위치되는 상부 표면을 갖는 래치의 후방 단부 뒤의 그립 리브를 형성한다. 후방 레일(84)의 상부 표면에 의해 형성된 이 그립 리브는 사용자를 위한 향상된 접촉 표면을 제공하고 제2 전기 커넥터(18)로부터의 전기 커넥터(43)의 후퇴가 보다 용이하게 달성되게 한다. 주 하우징 부재(46)보다는 시일 리테이너(48)에 의해 제공되는 그립 리브는 커넥터 분리를 위한 우수한 파지를 허용한다.As best shown in FIG. 3, the upper portion of the user contact surface 65 at the rear end 68 of the lever arm 70 is usually located above the upper surface of the rear rail 84. In order to disconnect the electrical connector 40 from the second electrical connector 18, the user must first detach the latch 60 from the latch protrusion 38. To accomplish this, the user presses the user contact section 66 inwardly as indicated by arrow 96. The lever arm 70 can pivot on the front rail 82 to move the front end 64 away from the rear end of the latch protrusion 38 as indicated by arrow 98. As the user contact surface 66 is moved inward, the top of the user contact surface 66 can be moved below the top surface of the rear rail 84. The upper surface of the rear rail 84 forms a grip rib behind the rear end of the latch with the upper surface positioned vertically above the rear end of the latch only when the rear end 68 of the latch is pressed inward. This grip rib formed by the upper surface of the rear rail 84 provides an improved contact surface for the user and allows the retraction of the electrical connector 43 from the second electrical connector 18 to be more easily achieved. The grip ribs provided by the seal retainer 48 rather than the main housing member 46 allow good gripping for connector separation.

도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주 하우징 부재(46)의 상부 레일(78)은 (도시되지 않은) 커넥터 위치 보장(CPA) 부재의 외부면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측면 슬롯(92)을 형성한다. 그러므로, 주 하우징 부재(46)는 래치(60) 위에 CPA 부재를 위한 채널을 제공한다. CPA 부재는 래치(60)가 래치 돌기(38)로부터 우연히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래치(60) 위의 주 하우징 부재(46) 내부로 그리고 레버 아암(70) 위의 위치(94) 내로 활주될 수 있다. 그러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CPA 부재는 제공되지 않을 수도 있다. 레버 아암(70)의 후방 단부(68)는 전기 커넥터(40)로부터 CPA 부재의 실수로 인한 제거를 방지하기 위하여 CPA 부재의 후향 경로 내에 위치될 수 있다. 후방 단부(68)는 CPA 부재가 주 하우징 부재(46)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CPA 부재의 후향 이동 동안 가압되어야 할 것이다.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2, the upper rail 78 of the main housing member 46 defines a side slot 92 configured to receive the outer surface of the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CPA) member (not shown). Therefore, the main housing member 46 provides a channel for the CPA member over the latch 60. The CPA member may slide into the main housing member 46 above the latch 60 and into the location 94 above the lever arm 70 to prevent the latch 60 from accidentally detaching from the latch protrusion 38. have. However, in alternative embodiments, no CPA member may be provided. The rear end 68 of the lever arm 70 may be located in the rearward path of the CPA member to prevent accidental removal of the CPA member from the electrical connector 40. The rear end 68 will have to be pressed during the backward movement of the CPA member to allow the CPA member to be removed from the main housing member 46.

전술한 설명은 발명의 예시만을 위한 것이라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다양한 대안 및 변형이 발명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본 기술분야의 숙련자에 의해 고안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의 범위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이러한 모든 대안, 변형 및 변경을 포함하고자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 descrip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Various alternatives and modifications can be devis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embrace all such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that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Claims (20)

전기 접점과,Electrical contacts, 상기 전기 접점이 그 내부에 위치되는 접점 수용 영역을 갖는 제1 하우징 부재와,A first housing member having a contact receiving region in which the electrical contact is located; 상기 제1 하우징 부재에 연결되는 제2 하우징 부재를 포함하고,A second housing member connected to the first housing member, 상기 제1 하우징 부재는 래치의 전방 단부에 래치 표면과 래치의 전방 단부로부터 후향 연장하는 레버 아암을 갖는 정합 전기 커넥터 래치를 포함하며, 상기 레버 아암은 제2 하우징 부재의 일부분의 상부에서 피봇하도록 된 전기 커넥터.The first housing member includes a mating electrical connector latch having a latch surface at the front end of the latch and a lever arm extending back from the front end of the latch, wherein the lever arm is adapted to pivot on top of a portion of the second housing member. Electrical connector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 부재는 제1 하우징 부재에 래치를 연결하는 편향 가능한 제1 아암을 포함하며, 상기 편형가능한 제1 아암은 래치의 전방 단부에서 래치에 연결되는 전기 커넥터.The electrical connector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housing member comprises a deflectable first arm connecting the latch to the first housing member, the first deflectable arm being connected to the latch at the front end of the latch.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 부재는 제1 하우징 부재에 래치를 연결하는 편향 가능한 제2 아암을 포함하며, 상기 편향 가능한 제2 아암은 래치의 전방 단부에서 래치에 연결되는 전기 커넥터.The electrical connector of claim 2 wherein the first housing member includes a deflectable second arm connecting the latch to the first housing member, the second deflectable arm connected to the latch at the front end of the latch.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편향 가능한 제1 및 제2 아암은 래치의 중심 섹션 부근에서 제1 하우징 부재에 연결되는 전기 커넥터.4. The electrical connector of claim 3 wherein the deflectable first and second arms are connected to the first housing member near a central section of the latc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의 후방 단부는 핑거 접촉 섹션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하우징 부재의 부분은 전방 단부와 후방 단부 사이에서 레버의 바닥면에 접촉하는 받침대 리브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The electrical connector of claim 1 wherein the rear end of the latch includes a finger contact section and the portion of the second housing member includes a pedestal rib contact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lever between the front and rear end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의 후방 단부는 제2 하우징 부재의 레지 아래에 위치된 돌기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The electrical connector of claim 1 wherein the rear end of the latch includes a protrusion located below the ledge of the second housing membe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 부재의 레지 및 래치 과응력 방지 시스템을 위한 래치의 후방 단부 상의 돌기는 외향 방향으로의 래치의 제2 단부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된 전기 커넥터.7. The electrical connector of claim 6 wherein the projection on the rear end of the latch for the latch and latch overstress prevention system of the second housing member is adapted to limit movement of the second end of the latch in an outward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전기 도전체 시일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하우징 부재는 상기 제1 하우징 부재와 함께 시일을 보유하기 위하여 제1 하우징 부재에 연결된 시일 리테이너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The electrical connector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electrical conductor seal, wherein the second housing member includes a seal retainer coupled to the first housing member for retaining a seal with the first housing memb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 부재는 래치의 후방 단부가 내향으로 가압된 때에만 상기 래치의 후방 단부 위에 수직으로 위치되는 상부 표면을 갖는 래치의 후방 단부 뒤의 그립 리브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The electrical connector of claim 1 wherein the second housing member includes a grip rib behind the rear end of the latch having an upper surface located vertically above the rear end of the latch only when the rear end of the latch is pressed inward. . 래칭 표면을 갖는 제1 단부와, 대향하는 제2 단부를 갖는 가동 정합 전기 커넥터 래치를 포함하는 제1 하우징 부재와,A first housing member comprising a first end having a latching surface, and a movable mating electrical connector latch having an opposing second end; 상기 제1 하우징 부재에 연결되는 제2 하우징 부재에 있어서, 외향 방향으로의 래치의 제2 단부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래치의 제2 단부에 의해서 접촉되도록 된 제2 하우징 부재의 일부분을 포함하는 래치 과응력 방지 섹션을 갖는 제2 하우징 부재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하우징.A second housing member coupled to the first housing member, the latch including a portion of the second housing member adapted to be contacted by the second end of the latch to limit movement of the second end of the latch in an outward direction An electrical connector housing comprising a second housing member having an overstress preventing section.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 부재는 피봇 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래치는 상기 피봇 리브의 상부에 위치되고 래칭 표면을 내향 및 외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피봇 리브 상에서 피봇되도록 된 전기 커넥터 하우징.11. The electrical connector housing of claim 10 wherein the second housing member includes a pivot rib and the latch is positioned on top of the pivot rib and adapted to pivot on the pivot rib to move the latching surface inward and outward.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 부재는 상기 제1 하우징 부재에 래치를 연결하는 편향 가능한 제1 아암을 포함하며, 상기 편향 가능한 제1 아암은 상기 래치의 제1 단부에서 래치에 연결되는 전기 커넥터 하우징.12. The apparatus of claim 10, wherein the first housing member includes a deflectable first arm connecting the latch to the first housing member, the first deflectable arm being connected to the latch at a first end of the latch. Connector housing.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 부재는 제1 하우징 부재에 래치를 연결하는 편향 가능한 제2 아암을 포함하며, 상기 편향 가능한 제2 아암은 래치의 제1 단부에서 래치에 연결되는 전기 커넥터 하우징.13. The electrical connector housing of claim 12 wherein the first housing member includes a deflectable second arm connecting the latch to the first housing member, the second deflectable arm connected to the latch at the first end of the latch.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편향 가능한 제1 및 제2 아암은 래치의 중심 섹션 부 근에서 제1 하우징 부재에 연결되는 전기 커넥터 하우징.The electrical connector housing of claim 13, wherein the deflectable first and second arms are connected to the first housing member near a central section of the latch.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의 제2 단부는 핑거 접촉 섹션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하우징 부재의 일부분은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에서 레버의 바닥면에 접촉하는 받침대 리브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하우징.The electrical system of claim 10, wherein the second end of the latch includes a finger contact section, wherein a portion of the second housing member includes pedestal ribs contact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lever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nds. Connector housing.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의 제2 단부는 상기 제2 하우징 부재의 래치 과응력 방지 섹션 아래에 위치되는 돌기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하우징.12. The electrical connector housing of claim 10 wherein the second end of the latch includes a protrusion located below the latch overstress prevention section of the second housing member. 제10항에 있어서, 전기 도전체 시일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하우징 부재는 제1 하우징 부재와 함께 시일을 보유하기 위하여 상기 제1 하우징 부재에 연결된 시일 리테이너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하우징.11. The electrical connector housing of claim 10 further comprising an electrical conductor seal, wherein the second housing member includes a seal retainer coupled to the first housing member for retaining the seal with the first housing member.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 부재는 상기 래치의 제2 단부가 내향 가압된 때에만 래치의 제2 단부 위로 수직으로 위치되는 상부 표면을 갖는 래치의 제2 단부 뒤의 그립 리브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하우징. 12. The grip of claim 10 wherein the second housing member includes a grip rib behind the second end of the latch having an upper surface vertically positioned above the second end of the latch only when the second end of the latch is pressed inward. Electrical connector housing. 래칭 표면을 갖는 전방 단부와 핑거 접촉 섹션을 갖는 대향하는 후방 단부를 포함하는 가동 정합 전기 커넥터 래치를 구비하는 주 하우징과,A main housing having a movable mating electrical connector latch having a front end having a latching surface and an opposing rear end having a finger contact section; 상기 주 하우징 내부에 시일을 보유하도록 주 하우징에 연결되도록 되어 있 는 시일 리테이너에 있어서, 래치가 그 상에서 피봇하는 받침대 섹션과, 래치의 후방 단부가 내향으로 가압된 때에만 래치의 후방 단부 위에 수직으로 위치되는 상부 표면을 갖는 래치의 후방 단부 뒤의 그립 리브를 갖는 시일 리테이너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하우징.A seal retainer adapted to be connected to the main housing to hold the seal inside the main housing, the seal retainer having a pedestal section pivoted thereon and a vertically above the rear end of the latch only when the rear end of the latch is pressed inward. An electrical connector housing comprising a seal retainer having grip ribs behind a rear end of a latch having a top surface positioned thereon. 제19항에 있어서, 제1 하우징 부재는 상기 제1 하우징 부재에 래치를 연결하는 2개의 편향 가능한 아암을 포함하며, 상기 편향 가능한 아암은 래치의 전방 단부에서 래치에 연결되고 래치의 중간 섹션 부근에서 상기 제1 하우징 부재에 연결되는 전기 커넥터 하우징. 20. The system of claim 19, wherein the first housing member includes two deflectable arms connecting the latch to the first housing member, the deflectable arm being connected to the latch at the front end of the latch and near the middle section of the latch. An electrical connector housing coupled to the first housing member.
KR1020067021763A 2004-03-23 2005-03-11 Electrical connector latch KR101193324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806,731 2004-03-23
PCT/US2005/007832 WO2006135352A2 (en) 2004-03-23 2005-03-11 Electrical connector latch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7359A true KR20070017359A (en) 2007-02-09
KR101193324B1 KR101193324B1 (en) 2012-10-19

Family

ID=43651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1763A KR101193324B1 (en) 2004-03-23 2005-03-11 Electrical connector latch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332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1901A (en) * 2018-03-23 2020-11-24 티이 커넥티비티 코포레이션 No connector position guarante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1901A (en) * 2018-03-23 2020-11-24 티이 커넥티비티 코포레이션 No connector position guarante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3324B1 (en) 2012-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01599B2 (en) Electrical connector latch
JP3767779B2 (en) Connector locking mechanism
KR101001826B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member and method of assuring a position of an electrical connector
KR101271347B1 (en) Connector, connector assembly and connection method
US5820399A (en) Connector fitting construction
US7252556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locking claw
JP4174149B2 (en) Half-mating prevention connector
US6533601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a laterally deflectable latch member and CPA
JP2009531829A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pre-locked terminal position assurance (TPA)
US6736663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latching mechanism
JPH1041018A (en) Terminal fitting for short-circuit
EP1107380B1 (en) Connector
GB2308755A (en) Half-fitting prevention connector
EP1548894B1 (en) A connector
US20100124832A1 (en) Wire Connector System with Lock Mechanism
KR101676884B1 (en) Connector
CN114080734A (en) Connector with a locking member
US7785130B2 (en) Cable end connector having improved latch
JP6322596B2 (en) Connector with slider and connector fitting structure
KR101193324B1 (en) Electrical connector latch
JP2008140731A (en) Connector
JP2024055303A (en) connector
JP2004006429A (en)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