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17315A - 재흡수성 외과적 고정 장치 - Google Patents

재흡수성 외과적 고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7315A
KR20070017315A KR1020067015047A KR20067015047A KR20070017315A KR 20070017315 A KR20070017315 A KR 20070017315A KR 1020067015047 A KR1020067015047 A KR 1020067015047A KR 20067015047 A KR20067015047 A KR 20067015047A KR 20070017315 A KR20070017315 A KR 200700173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orbable
fixation device
fastener
plates
b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5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더글라스 바우겐
조셉 에이. 란자
랄프 에프. 쥘른만
Original Assignee
더글라스 바우겐
조셉 에이. 란자
랄프 에프. 쥘른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글라스 바우겐, 조셉 에이. 란자, 랄프 에프. 쥘른만 filed Critical 더글라스 바우겐
Priority to KR10200670150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17315A/ko
Publication of KR200700173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73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80Cortical plates, i.e. bone plates; Instrumen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cortical plates, or for compressing bones attached to cortical plates
    • A61B17/8085Cortical plates, i.e. bone plates; Instrumen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cortical plates, or for compressing bones attached to cortical plates with pliable or malleable elements or having a mesh-like structure, e.g. small stri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004(bio)absorbable, (bio)resorbable, resorptiv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흡수성 재료로부터 만들어지고 뼈 재구성에 유용한 향상된 외과적 윤곽가공성 고정 장치를 제시한다. 한 구체예에서, 고정 장치는 중합성 재료로 만들어진다. 고정 장치는 복수의 이격된 붙임 플레이트(fastening plate), 이들 플레이트를 서로 연결하는 링크(link), 링크와 붙임 플레이트에 의해 붙임 플레이트 사이에 한정된 통로(opening)를 포함한다. 한 구체예에서, 붙임 플레이트 중에서 적어도 일부는 뼈에 고정 장치를 안정적으로 부착시키는 스크루(screw) 또는 압정(tack)과 같은 파스너(fastener)를 수용하기 위한 파스너 구멍(fastener hole)을 보유한다. 본 발명은 고정 장치가 부착되는 뼈의 해부학적 모양에 근접하도록 3차원에서 윤곽가공(contouring)될 수 있는 개방-구조의 고정 장치를 제시한다.
외과적 윤곽가공성 고정 장치

Description

재흡수성 외과적 고정 장치{RESORBABLE SURGICAL FIXATION DEVICE}
전반적으로, 본 발명은 뼈 재구성을 위한 재흡수성 외과적 고정 장치, 더욱 구체적으로 메시(mesh)가 부착되는 뼈의 모양에 근접하도록 3차원에서 윤곽가공(contouring)될 수 있고 재흡수성 재료로부터 만들어지는 개방-구조의 고정 장치에 관계한다. 본 발명은 특히, 골절 회복 및 안악면 골격(craniofacial skeleton)의 재구성에 적합하지만, 이들 용도에 한정되지 않는다.
3차원 골격 해부학적 구조에 합치되도록 형성되고 윤곽가공될 수 있는 생물학적 적합성 금속성 메시는 외과적 이용이 알려져 있다. 이들 메시는 외상(즉, 골절) 및/또는 뼈의 절골술(osteotomy)을 필요로 하는 외과적 절차로부터 발생된 뼈 단절을 재접합하고 회복시키는 골합성(osteosynthesis)에 이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스크루와 압정과 같은 파스너(fastener)에 의해 뼈에 부착되는 다양한 형태의 윤곽가공성 메시가 이용되고 있다. 한 종류의 메시는 전체적으로 직사각형의 평평한 재료 시트에 복수의 원형 파스너 통로(fastener opening)를 단순히 천공함으로써 형성된다. 이들 천공된 시트 메시는 전체적으로 견고하거나 막힌 구조로 인하여 제한된 유연성(flexibility) 및 제한된 3차원 윤곽가공성(contourability)을 보유한다. 따라서, 이들은 일부 경우에 골격 해부학적 구조 의 불규칙한 부분에서 3차원적 윤곽가공이 어렵고 비틀리는 경향이 있다. 비틀림(kinking) 문제를 해결하고 윤곽가공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외과 의사들은 전형적으로, 닫혀있고 고형 구조 천공된 이들 시트 메시의 복수 부분 및/또는 넓은 부분을 절단해야 한다. 비틀림은 유조직(soft tissue) 자극 및 다른 문제를 유발한다는 점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도 1에서는 이와 같은 선행 기술의 고형 천공된 시트 메시의 실례를 도시하는데, 이런 유형의 메시는 두개골의 이마 부분에 부착되기 위하여 외과 의사에 의해 전형적으로 삼각 릴리프 절단(triangular relief cut)이 수행된다. 이런 맞춤된 릴리프 절단의 한가지 단점은 이런 과정이 수술 시간을 확대시킨다는 점이다. 다른 단점은 컷아웃(cutout) 자체가 최종 메시 구조물의 강도를 약화시킨다는 점인데, 그 이유는 아래에 더욱 상세하게 기술된 바와 같이, 메시의 중심에서 A-A 라인을 따라 좁은 구역이 굽힘 강성(flexural rigidity)을 감소시키기 때문이다.
전술한 종류의 고형-시트 천공된 메시와 대조적으로, 다른 종류의 더욱 높은 윤곽가공성 메시는 상대적으로 더욱 개방되고 유연한 구조로 특성화된다. 일반적으로, 더욱 유연한 이들 메시는 전체적으로 원형의 고리에 의해 둘러싸인 원형 파스너의 어레이를 보유하는데, 이들 고리는 파스너 구멍(fastener hole)을 서로 연결하는 복수의 팔-유사 구조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개방된 시트-유사 형태를 형성한다. 팔-유사 구조의 어레이 및 파스너 구멍은 이들 사이에서 다양한 형태의 복수의 비-파스너 통로를 한정하고, 따라서 닫힌-구조의 천공된 시트 메시보다 더욱 높은 유연성과 3차원 윤곽가공성을 보유하는 더욱 개방된 메시 형태를 제공한다. 더욱 높은 윤곽가공성의 이들 메시는 금속성이고, 전형적으로 작업실 온도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강도와 가단성(melleability)을 보유하는 티타늄으로부터 만들어진다. 이들 금속성 메시는 대략 0.3-0.5 ㎜의 두께로 상대적으로 얇다. 이들 메시의 금속성 팔의 전형적인 너비는 동등하게 작고, 일부 경우에 0.3 ㎜이다. 전형적으로, 이들 금속성 개방-구조 메시는 금속성 파스너에 의해 뼈에 부착된다.
하지만, 더욱 높은 윤곽가공성의 이들 개방-구조 금속성 메시는 모든 외과적 용도에 적합하지는 않으며 일부 단점을 안고 있다. 가령, 이들 개방-구조 금속성 메시는 상대적으로 유연하긴 하지만, 유연성을 개선하고, 메시가 부착되는 뼈의 해부학적 모양에 근접하는데 요구되는 소요의 최종 3차원 형태를 달성하는 성형(shaping)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수술동안 팔 부재(arm member)의 일부 절단을 요한다. 이런 절단은 수술 시간을 확대시킬 뿐만 아니라 유조직 자극과 환자 불만을 유발할 수 있는 날카로운 금속성 거친 부분을 남기는 경향이 있다. 금속성 메시의 다른 단점은 파스너 구멍을 서로 연결하는 팔이 3차원에서 윤곽가공될 때 외부로 돌출되는 경향으로 인하여, 뼈에 대하여 평평하지 않은 상승된 부분이나 포인트가 발생하고 유조직 자극이 유발될 수 있다는 점이다.
유의하게는, 개방-구조의 금속성 메시의 주요 단점은 뼈가 완전히 회복된 이후 메시를 제거하기 위한 2차 외과적 절차를 필요로 한다는 점이다. 남겨진 금속성 메시가 정상적인 뼈 성장과 발달을 간섭할 수 있는 소아의 경우에 특히 제거가 필요하다. 하지만, 성인 환자의 경우에도, 뼈가 회복된 이후에 금속성 메시와 파스너를 제거하는 것이 통상적인 관례이다. 금속성 메시가 생체내에 계속 남아있도록 하 는 것은 특히 뼈 상부의 피부가 엷은 환자의 경우에 메시가 보이고 느껴질 수 있다는 점을 비롯한 여러 이유로 바람직하지 않다. 금속성 메시를 제거하기 위한 이런 2차 외과적 절차는 일부 환자에게 고통스럽고, 전체 치료비를 증가시킨다.
생물분해성 재흡수성 재료, 특히 락티드 및/또는 글리콜리드 중합체를 함유하는 재료와 같은 중합성 재흡수성 재료로부터 만들어진 이식물이 통상적으로 이용된다. 재흡수성 재료는 이식과 뼈 회복이후 시간이 흐름에 따라 궁극적으로 분해되고, 따라서 상기한 2차 외과적 절차가 필요하지 않다. 이런 이유로, 재흡수성 재료는 전체적으로 고형 구조, 예를 들면, 뼈 스크루, 고정 플레이트, 상기한 닫힌-구조의 천공된 시트 메시와 함께 이식물에 이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중합성 재흡수성 이식물은 금속성 대응물에 비하여 본질적으로 약한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따라서, 강도에서 불균형을 상쇄하기 위하여, 재흡수성 이식물은 동일 이식물이 금속으로부터 만들어지는 경우에 비하여 더욱 크고 두껍다. 이런 이유로, 본질적으로 약한 재흡수성 중합체는 더욱 복잡하고 섬세한 개방-구조 이식물, 예를 들면, 상기한 높은 윤곽가공성 메시를 만드는데 전반적으로 적합하지 않기 때문에, 이들 이식물은 금속으로부터 만들어져야 한다는 것이 일반적인 인식이다. 게다가, 상대적으로 얇은 개방-구조의 금속성 메시에 필적하는 두께는 강도를 희생해야만 달성될 수 있다. 이런 이유로, 닫힌-구조의 천공된 시트 유형의 재흡수성 메시가 골격 해부학적 구조의 불규칙하고 복잡한 외형 부분에 적용되는 경우에 발생하는 일부 단점(즉, 비틀림, 릴리프 컷아웃은 메시의 강도를 약화시키고 수술 기간을 증가시킨다)에도 불구하고, 이런 외과적 용도에 여전히 폭넓 게 이용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한 닫힌-구조의 금속성 재흡수성 메시의 단점 없이, 골격 해부학적 구조의 복잡하고 불규칙한 모양으로 쉽게 윤곽가공될 수 있는 재흡수성 메시가 필요하다.
본 발명의 요약
전체적으로, 본 발명은 재흡수성 재료로부터 만들어지는 개방-구조의 고도 윤곽가공성 메시에 관계한다. 상기 윤곽가공성 메시는 복수의 이격된 붙임 플레이트(fastening plate), 이들 플레이트를 서로 연결하는 변형가능 링크(deformable link), 붙임 플레이트에 사이에 산재된 통로(opening)를 포함한다. 적절하게는, 링크는 활모양이고 부드럽게 휘어진다. 통로는 링크와 붙임 플레이트의 외면의 적어도 일부분에 의해 한정된다. 적절하게는, 통로는 가늘고 긴 모양이고, 메시를 뼈에 안정적으로 부착시키기 위한 파스너를 수용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통로는 메시 구조물 내에 공간을 제공하여 링크가 3차원에서 변형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윤곽가공성 메시는 비틀림 없이 3차원적으로 윤곽가공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붙임 플레이트의 적어도 일부는 메시를 뼈에 안정적으로 부착시키는 파스너, 예를 들면, 스크루 또는 압정을 수용하기 위한 구멍을 보유한다. 다른 구체예에서, 붙임 플레이트의 적어도 일부는 구멍을 보유하지 않고, 외과 의사는 수술동안 원하는 위치에서 붙임 플레이트에 구멍을 추가할 수 있다. 외과 의사는 당분야에 공지된 통상적인 수단, 예를 들면, 드릴을 이용하여 수술동안 붙임 플레이트에 필요한 파스너 구멍을 추가할 수 있다. 적절하게는, 메시와 함께 이용되는 파스너 역시 재흡수성 재료로 만들어진다; 하지만, 파스너는 메시와 상이한 재흡수성 재료, 또는 비-재흡수성 생체적합성 재료로부터 만들어질 수도 있다.
금속성 메시와 달리,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 메시는 가급적 방사성 투과성(즉, 의료 업계에 이용되는 x-레이, 방사선 사진술, CT 스캔, 다른 유사한 촬영 기술에 투과성)의 재흡수성 재료로 만들어진다. 이런 이유로, 재흡수성 윤곽가공성 메시는 상기한 촬영 기술과 양립하고, 골절 고정과 회복이후 뼈 회복 상태를 평가하기 위하여 의료 전문가에 의해 이용되는 경우에 이들 기술을 간섭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형성된 개방-구조의 윤곽가공성 메시는 재흡수성 중합체의 상대적으로 얇은 모놀리식 압축 성형된 고형 시트로부터 절단될 수 있는데, 시트의 두께는 전형적으로 대략 0.25 ㎜ 내지 1.5 ㎜이다. 메시의 다양한 특징(즉, 붙임 플레이트, 링크, 파스너 통로 등)은 메시에 가공되거나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재흡수성 개방-구조의 메시는 재흡수성 재료의 고형 시트로부터 절단되면 평평한 2차원 상태에서 상대적으로 약하지만, 3차원으로 윤곽가공되면 자기-지지할 수 있다. 3차원 성형은 본질적으로 약한 재흡수성 재료를 보충하고, 상기 재료는 이들 유형의 메시에 이용될 만큼 충분한 강도를 획득한다. 이에 더하여, 유사한 금속성 메시에 필적하는 두께를 보유하는 개방-구조의 고도-윤곽가공성 메시가 재흡수성 재료로부터 만들어 질 만큼 충분한 강도가 메시에 부여된다. 3차원적으로 윤곽가공된 재흡수성 개방-구조 메시 구조물은 이런 구조물이 부착되는 뼈에 의해 제공되는 임의의 서포트와는 독립적으로 강도가 발생한다.
또한 중요하게는, 본 발명의 배경 기술에서 언급된 유형의 닫힌-구조의 고형 천공된 시트 재흡수성 메시에 필적하는 굽힘 강성(flexural rigidity)이 본 발명의 개방-구조의 고도 윤곽가공성 재흡수성 메시에서 달성될 수 있다. 굽힘 강성은 당분야에서 이식물 강도의 중요한 척도중의 하나이다. 굽힘 강도는 이식물의 가장 약한 부분에 기초하는데, 상기 부분은 이식이후 메시에 가해지는 휨 모멘트(bending moment)에 저항할 수 있는 최소량의 재료를 보유하는 메시의 횡단 부분과 전형적으로 일치한다. 예로써 도 1에 도시된 선행 기술의 닫힌-구조 천공된 시트 메시의 경우에, 가장 약한 부분은 메시의 중심에서 A-A 라인을 따라 나타나는데, 상기 라인은 실제적인 문제로서, 전술한 바와 같이 이런 유형의 시트 메시를 3차원적으로 성형하고 비틀림을 회피하기 위한 삼각 릴리프 컷아웃 변형을 수행하기 위하여 필연적으로 축소된다. 횡단면에서 A-A 라인을 따라, 메시에 가해지는 휨 모멘트에 저항할 수 있는 단지 5개의 시트 연줄(sheet ligament)만 스크루 구멍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메시의 유효 보호 범위는 도 9에 도시된 본 발명의 원형 메시 구체예(80)에 필적한다. 대조적으로,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재흡수성 메시는 3차원 윤곽가공을 위한 릴리프 컷아웃을 필요로 하지 않고 비틀리지 않기 때문에, 중심을 통한 횡단면이 이런 컷아웃에 의해 좁혀지지 않고, 붙임 플레이트 사이의 링크가 도 1의 고형 시트 천공된 메시의 5개의 스크루 구멍 연줄보다 휨 모멘트에 저항하는 훨씬 많은 재료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메시는 선행 기술의 변형된 고형 시트-유사 메시에 적어도 필적하거나 이보다 높은 굽힘 강성을 보유하고, 따라서 재흡수성 재료의 이점을 유지하면서도 고형 시트-유사 재흡수성 메시의 단점이 없도록 제조될 수 있다.
선행 기술의 개방-구조 금속성 메시와 비교하여, 본 발명의 고도-윤곽가공성 메시의 이점은 다양하다. 상기한 더욱 높은 윤곽가공성 개방-구조 메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금속과 달리, 재흡수성 재료는 메시를 제거하는 2차 외과적 절차가 필요하지 않다. 가령,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형성된 재흡수성 메시는 3차원적으로 용이하게 윤곽가공되어 메시가 부착되는 뼈의 해부학적 모양에 합치될 수 있다. 적절하게는, 재흡수성 메시는 뼈 단절(외상성 골절 및/또는 다른 외과적 목적으로 수행된 의도적 절단)이 회복될 수 있도록 이식이후 미리 결정된 기간동안 필요 강도를 유지한다. 이후, 뼈가 완전히 회복되어 메시의 이용 목적이 달성되면, 재흡수성 메시는 가수분해와 같은 자연적인 기전을 통하여 환자 신체에 의해 분해되고 흡수된다. 재흡수 특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소아 환자에게 특히 유익한데, 그 이유는 소아의 경우에 뼈 성장이 계속 진행되고 있어 뼈가 회복된 이후에 제거되지 않은 영구 금속성 메시가 성장을 저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재흡수성 메시는 시간이 흐름에 따라 유사한 방식으로 분해되는 재흡수성 파스너, 예를 들면, 스크루와 압정을 이용하여 뼈에 안정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재흡수성 메시는 금속 메시에서처럼 날카롭고 거친 부분을 남기지 않고 적당한 크기로 절단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재흡수성 메시는 금속성 메시에서 빈번하게 요구되는 3차원 성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팔이나 링크의 절단 없이, 유사한 금속성 메시보다 더욱 용이하게 성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형성된 재흡수성 윤곽가공성 메시의 다른 구체예에서, 메시는 복수의 활모양 변형가능 링크에 의해 2차원 매트릭스에서 서로 연결되는 복수의 이격된 붙임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링크는 붙임 플레이트 사이의 공간을 가교하고 이들을 연결함으로써 링크와 붙임 플레이트 사이에 통로가 산재하는 복수의 개방-구조 변형가능 링크를 형성한다. 메시는 3차원에서 윤곽가공되어 부착되는 뼈의 모양에 합치될 수 있다. 적절하게는, 통로는 가늘고 긴 모양이고, 한 구체예에서 좁은 중심 부분 및 양 단부에서 넓은 부분을 보유한다. 적절하게는, 링크는 실질적으로 가늘고 길며 부드럽게 휘어지고 활모양으로 성형되어 임의의 날카로운 굽힘이 발생하지 않는다. 적절하게는, 각 링크는 제 1 붙임 플레이트에 연결되는 제 1 단부 및 제 2 붙임 플레이트에 연결되는 제 2 단부를 보유한다. 적절하게는, 붙임 플레이트 중에서 적어도 일부는 메시를 뼈에 안정적으로 부착시키기 위한 파스너를 수용하는 구멍이 배치된다. 한 구체예에서, 파스너 구멍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접시머리(countersunk) 구멍이다. 다른 구체예에서, 메시는 적어도 4개의 붙임 플레이트를 추가로 포함한다. 플레이트는 각 열에서 적어도 2개의 붙임 플레이트의 적어도 2개의 열에 정렬되고, 이들 열은 서로 이격된 관계로 정렬된다.
다른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형성된 재흡수성 메시는 이격된 붙임 플레이트의 적어도 2개의 열을 보유한다; 열 각각은 적어도 2개의 붙임 플레이트를 보유한다. 적어도 하나의 활모양 링크는 붙임 플레이트 각각을 적어도 하나의 다른 붙임 플레이트에 서로 연결시킨다. 한 구체예에서, 링크는 나선 패턴으로 붙임 플레이트로부터 외부로 방사상으로 연장되고, 단일 붙임 플레이트에 연결된 링크는 서로 방사상으로 이격된 관계로 정렬된다. 붙임 플레이트와 링크는 메시에서 복수의 가늘고 긴 모양 통로를 한정하는 방식으로 정렬된다. 다른 구체예에서, 가늘고 긴 통로의 적어도 일부는 수직으로 배향되고, 가늘고 긴 통로의 적어도 일부는 메시에 대하여 수평으로 배향된다. 붙임 플레이트, 링크, 가늘고 긴 통로는 메시가 부착되는 뼈의 모양에 합치되도록 3차원에서 윤곽가공될 수 있는 개방 구조 메시를 한정한다.
한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형성된 재흡수가능 메시는 복수의 반복 기부 메시 단위(repeating base mesh unit)로부터 형성된다. 각 기부 메시 단위는 4개의 이격된 붙임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붙임 플레이트는 실질적으로 원형이다. 붙임 플레이트는 동등하게 이격되고 정렬되어 전체적으로 정사각형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적절하게는, 붙임 플레이트는 각 붙임 플레이트가 기부 메시 단위의 모서리를 형성하도록 정렬된다. 한 구체예에서, 붙임 플레이트 중에서 적어도 일부는 메시 단위를 뼈에 부착시키기 위한 파스너를 수용하는 구멍 통로(hole passing)를 보유한다.
기부 메시 단위는 붙임 플레이트를 서로 연결하는 적어도 4개의 활처럼 휘어진 링크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절하게는, 적어도 4개의 링크는 붙임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된 중심 통로(central opening) 주변에 정렬되고, 링크 및 붙임 플레이트의 적어도 일부분에 의해 중심 통로에 대한 경계가 형성된다. 한 구체예에서, 적어도 4개의 활처럼 휘어진 링크 중에서 2개는 중심 통로를 향하여 내부로 돌출되고, 적어도 4개의 활처럼 휘어진 링크 중에서 2개는 중심 통로로부터 외부로 돌출된다. 다른 구체예에서, 중심 통로는 실질적으로 가늘고 길며 모양에서 대칭이다.
적절하게는, 반복 기부 메시 단위는 유리 전이 온도(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를 보유하는 재흡수성 재료로부터 만들어진다. 기부 메시 단위는 (a) 기부 메시 단위의 온도가 유리 전이 온도(Tg) 미만이고, 기부 메시 단위가 실질적으로 경직된 첫 번째 상태 및 (b) 기부 메시 단위의 온도가 유리 전이 온도(Tg) 이상이고, 부착되는 골격 해부학적 구조에 합치될 만큼 기부 메시 단위가 유연하고 윤곽가공되는 두 번째 상태 사이에서 변화된다.
재흡수성 윤곽가공성 고정 장치 키트가 제시된다. 키트는 (a) 복수의 이격된 붙임 플레이트, 이들 붙임 플레이트를 서로 연결하는 복수의 변형가능 링크, 붙임 플레이트 사이에 산재된 복수의 가늘고 긴 통로를 보유하는 적어도 첫 번째 재흡수성 고정 장치, 여기서 붙임 플레이트와 링크는 재흡수성 재료로 만들어지고, 상기 고정 장치는 3차원에서 윤곽가공된다; (b) 상기 고정 장치를 뼈에 부착시키기 위한 복수의 파스너를 포함한다. 한 구체예에서, 파스너 중에서 적어도 일부는 재흡수성 재료로부터 만들어진다. 적절하게는, 다른 구체예에서, 파스너는 고정 장치를 뼈에 부착시키기 위한 적당한 치수의 스크루 및/또는 압정을 보유한다. 적절하게는, 첫 번째 고정 장치는 정사각형, 원형, 초승달 모양에서 선택되는 모양을 갖는다.
재흡수성 윤곽가공성 고정 장치 키트의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키트는 적어도 두 번째 재흡수성 고정 장치를 추가로 포함한다. 두 번째 고정 장치는 첫 번째 고정 장치와 상이한 전체 치수(즉, 외목 치수(outside dimension))를 보유할 수 있다. 대안으로, 두 번째 재흡수성 고정 장치는 첫 번째 고정 장치와 상이한 모양(가령, 정사각형, 원형, 초승달 모양 등) 및/또는 치수를 보유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키트는 적어도 세 번째 재흡수성 고정 장치를 추가로 포함한다. 키트는 임의의 개수, 치수 및/또는 모양의 고정 장치 조합 및 이들 장치를 뼈에 안정적으로 부착시키기 위한 파스너를 제한 없이 보유할 수 있다.
재흡수성 메시를 윤곽가공하고 이를 뼈에 부착시키는 방법 역시 제시된다. 한가지 방법은 아래의 단계를 포함한다: 평균 인간 체온보다 높은 유리 전이 온도(Tg)를 보유하는 재흡수성 메시를 제공하고, 상기 메시는 복수의 이격된 붙임 플레이트, 이들 붙임 플레이트를 서로 연결하는 복수의 활모양 변형가능 링크를 포함하고, 이들 링크는 상기 붙임 플레이트 사이에 가늘고 긴 통로를 한정하도록 정렬되고, 상기 메시는 뼈의 모양에 합치되도록 3차원에서 윤곽가공될 수 있고; 메시 온도를 유리 전이 온도(Tg) 이상으로 상승시키고; 뼈의 해부학적 모양에 실질적으로 합치되도록 메시를 변형시키고; 메시 온도를 유리 전이 온도(Tg) 미만으로 냉각시키고; 메시를 뼈 위에 위치시키고; 메시를 뼈에 부착시킨다. 붙임 플레이트 중에서 적어도 일부는 파스너 통로를 보유하고, 상기 방법은 파스너를 제공하고 파스너 통로의 적어도 일부를 통하여 파스너를 삽입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여기서 이들 파스너는 메시를 뼈에 부착시키는데 이용된다.
다른 구체예에서, 재흡수성 메시를 윤곽가공하고 이를 뼈에 부착시키는 방법은 아래의 단계를 포함한다: 평균 인간 체온보다 높은 유리 전이 온도(Tg)를 보유하는 재흡수성 메시를 제공하고, 상기 메시는 복수의 이격된 붙임 플레이트, 이들 붙임 플레이트를 서로 연결하는 복수의 활모양 변형가능 링크를 포함하고, 이들 링크는 상기 붙임 플레이트 사이에 가늘고 긴 통로를 한정하도록 정렬되고, 상기 메시는 뼈의 모양에 합치되도록 3차원에서 윤곽가공될 수 있고; 메시 온도를 유리 전이 온도(Tg) 이상으로 상승시키고; 메시를 뼈 위에 위치시키고; 뼈의 해부학적 모양에 실질적으로 합치되도록 메시를 변형시키고; 메시 온도를 유리 전이 온도(Tg) 미만으로 냉각시키고; 메시를 뼈에 부착시킨다.
붙임 플레이트 중에서 적어도 일부는 파스너 통로를 보유하고, 상기 방법은 파스너를 제공하고 파스너 통로의 적어도 일부를 통하여 파스너를 삽입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여기서 이들 파스너는 메시를 뼈에 부착시키는데 이용된다.
메시 온도를 유리 전이 온도(Tg) 미만으로 냉각시키는 단계는 제한 없이, 예로써 가열된 메시를 냉각된 물이나 염수 용액조에 위치시키거나, 가열된 메시를 실온의 작업실 온도에 노출시키거나, 또는 가열된 메시를 뼈 위에 배치함으로써, 가열된 메시를 유리 전이 온도(Tg) 미만의 환경에 종속시키는 단계를 수반한다.
본 발명의 특징과 이점은 아래에 기술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하다.
도 1은 메시를 뼈의 해부학적 모양으로 3차원적으로 성형하기 위하여 외과 의사에 의해 수행되는 전형적인 릴리프 컷아웃을 보여주는 선행 기술의 고형 닫힌-구조의 천공된 메시의 평면도(top plan view)이다.
도 2는 실질적으로 정사각형 모양을 보유하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형성된 윤곽가공성 메시의 첫 번째 구체예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전형적인 반복 기부 메시 단위(repeating base mesh unit)를 보여주는 도 2로부터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2로부터 파스너 구멍의 한 구체예의 단면도(cross-sectional view)이다.
도 5는 실질적으로 정사각형 모양을 보유하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형성된 윤곽가공성 메시의 두 번째 구체예의 평면도이다.
도 6은 전형적인 반복 기부 메시 단위를 보여주는 도 5로부터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5로부터 파스너 구멍의 한 구체예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이용될 수 있는 스크루의 측면도(side view)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이용될 수 있는 압정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실질적으로 원형 모양을 보유하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형성된 윤곽가공성 메시의 세 번째 구체예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실질적으로 초승달 모양을 보유하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형성된 윤곽가공성 메시의 네 번째 구체예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뼈의 해부학적 모양에 근접하도록 3차원적으로 성형된 이후,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형성된 도 10의 윤곽가공성 메시의 투시도(perspective view)이다.
도 13은 인간 두개골에서 전형적인 위치에 배치된 도 12의 해부학적으로 성형된 메시의 투시도이다.
선호되는 구체예의 설명
아래의 선호되는 구체예의 설명은 단순히 예시를 목적으로 하며, 본 발명의 범위, 적용, 또는 이용을 제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메시는 임의의 적절한 중합체로부터 만들어질 수 있다. 적절하게는, 메시는 재흡수성(즉, 생물분해성과 생물흡수성) 재료로 만들어지는데, 상기 재료는 이식이후 생체내에서 궁극적으로 분해되고 흡수된다. 가령, 메시는 다양한 중합체; 공중합체, 삼중합체 등을 제조하기 위한 2개이상 중합체의 조합; 중합체 합금과 복합물, 동일하거나 상이한 유형의 중합체의 중합성 섬유를 보유하는 중합체 등으로부터 만들어질 수 있다. 재료 및 개별 중합체 또는 다양한 중합체 조합의 선택, 중합체와 메시를 제조하는데 이용되는 방법, 기타 인자가 재흡수성 이식물의 기능적 특성, 예를 들면, 이식이후 생체내에서 구조적 강도와 치수 안정성(dimensional stability)이 얼마나 오랫동안 유지되는 지의 여부 및 완전한 흡수에 요구되는 시간에 영향을 준다.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메시는 설계 선택의 문제인 메시를 제조하는데 선택되는 특정 재료 및 메시를 제조하는데 이용되는 방법에 따라 결정성 또는 무정형(즉, 비-결정성) 구조의 재흡수성 재료로부터 만들어질 수 있다. 이러한 메시 제조 방법, 중합체 원료를 제조하고 가공하는 방법(즉, 어닐링 등), 다른 유사한 인자들이 원료와 최종 산물의 결정화도(crystallinity)에 영향을 준다. 따라서, 결정성 재료의 경우에, 중합체 원료와 최종 메시 산물의 결정화도는 설계 선택의 문제로서 변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메시를 제조하는데 이용되는 재료는 재료와 메시의 가공, 제조 및/또는 성능 특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다양한 첨가제, 충전제, 화학적/생물학적 활성제(즉, 항생제, 조합약, 단백질, 성장 인자 등), 표면 처리, 코팅 등을 포함하거나 이들이 주입될 수 있다.
골절 고정을 위한 외과적 이식물에 이용되는 재흡수성 중합성 재료는 일반적으로, 실온의 작업실과 인간 체온에서 다소 경직되고 굽어지지 않는다. 중합체에 내재하는 이들 재료는 온도가 재료의 유리 전이 온도(Tg) 이상으로 상승하면 더욱 용이하게 굽어지고 연해진다. 따라서, 재흡수성 메시는 이들 메시를 재료의 유리 전이 온도(Tg) 이상으로 가열함으로써 이들이 부착되는 뼈 표면의 3차원적 외형에 합치되도록 굽어지고 윤곽가공될 수 있다. 뜨거운 물이나 염수 용액조, 벤치/커터 아이론(cutter iron), 열풍기(hot air gun), 또는 당분야에 공지된 다른 적합한 수단을 이용하여 중합체를 가열할 수 있다. 재흡수성 메시는 윤곽가공되고 뼈에 안정적으로 부착된 이후, 온도가 유리 전이 온도(Tg) 미만으로 떨어짐에 따라 강성(rigidity)이 회복된다. 적절하게는, 재흡수성 중합성 재료의 유리 전이 온도(Tg)는 대략 98.6 ℉의 평균적인 정상 인간 체온보다 높다.
적절하게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형성된 메시는 락티드와 같은 중합체 및 락티드와 글리콜리드의 공중합체로부터 만들어진다. 더욱 적절하게는, 메시는 70/30 폴리(L, D/L-락티드) 공중합체 또는 85/15 폴리(L-락티드-글리콜리드) 공중합체 조성물로부터 만들어진다.
70/30 폴리(L, D/L-락티드) 공중합체 조성물은 재흡수성 중합체로서 폭넓게 이용되고 있다. 적절하게는, 70/30 조성물의 중합체 원료는 대략 9.8-11.8% 범위의 결정화도를 보유한다. 70/30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최종 메시는 가급적, 실질적으로 무정형(즉, 구조에서 적어도 10% 이하의 결정성)이다.
85/15 폴리(L- 락티드-글리콜리드) 공중합체 조성물의 공중합체 원료(원료)는 전형적으로, 대략 18.9-32.1%의 결정화도를 보유한다. 85/15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최종 메시는 가급적, 실질적으로 무정형(즉, 구조에서 적어도 10% 이하의 결정성)이다.
적절하게는, 선택된 재흡수성 재료 및 이의 설계 형태는 뼈가 회복될 만큼 충분한 기간 동안 생체내에서 충분한 강도를 유지한다. 적절하게는, 70/30 폴리(L, D/L-락티드) 공중합체 조성물로부터 만들어진 메시는 이식된 이후 대략 3(+/-)년 이내에 완전히 재흡수된다. 적절하게는, 85/15 폴리(L-락티드-글리콜리드) 공중합체 조성물로부터 만들어진 메시는 이식된 이후 대략 1(+/-)년 이내에 완전히 재흡수된다. 메시의 두께 및 개별 환자의 신체 화학작용(body chemistry)이 재흡수 시간(resorption time)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더 나아가, 메시의 조성과 형태를 조정함으로써 메시가 흡수되는 시간을 변화시킬 수 있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형성된 재흡수성 메시는 다양한 모양과 치수로 제조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메시는 다양한 위치에서 링크를 적절히 절단함으로써 외과적 현장에서 요구되는 임의의 모양으로 절단될 수 있다.
재흡수성 메시는 가급적, 파스너를 이용하여 뼈에 안정적으로 부착되지만, 접착제와 같은 대안적 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 접착제가 이용되면, 붙임 플레이트는 파스너를 수용하기 위한 구멍이 불필요하다.
도 2에서,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형성된 재흡수성 메시의 한 구체예(20)는 복수의 이격된 붙임 플레이트(22), 붙임 플레이트(22)를 서로 연결하는 휘어진 링크(24), 링크와 붙임 플레이트의 적어도 일부분에 의해 붙임 플레이트 사이에 한정된 통로(28)를 포함한다. 적절하게는, 붙임 플레이트(22)는 전체적으로 환형이나 원형이고, 가급적 대략 3.5 ㎜의 직경(76)을 보유한다(도 4). 붙임 플레이트(22)의 다른 적합한 직경은 설계 선택의 문제로서 이용될 수 있다.
붙임 플레이트(22)는 임의의 적절한 거리로 서로 분리되고 임의의 적절한 패턴으로 정렬될 수 있는데, 이들 모두 설계 선택의 문제이다. 일반적으로, 붙임 플레이트(22) 사이의 거리가 짧아질수록 메시(20)가 강해지는데, 그 이유는 링크(24)가 동시적으로 더욱 짧아지고 더욱 경직되기 때문이다. 메시(20)의 두께(25)(도 4) 역시 메시의 강도 및 링크(24)의 경직도(stiffness)에 영향을 주는데, 전형적인 두께는 대략 0.25 ㎜ 내지 1.5 ㎜이다. 링크와 붙임 플레이트는 동일한 두께인 것으로 보이지만, 링커가 붙임 플레이트보다 얇거나 두꺼울 수도 있다. 더 나아가, 링크는 가급적, 붙임 플레이트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더욱 유연하고 변형가능하다. 이는 공장이나 외과적 현장에서 붙임 플레이트에 형성된 임의의 파스너 구멍의 기하도형적 외형이 메시를 가열하고 윤곽가공한 이후에도 실질적으로 변화되지 않도록 하는데 도움을 준다.
적절하게는, 붙임 플레이트(2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칭적 패턴으로 정렬되고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되며 인접 붙임 플레이트(22) 사이의 수평 거리(horizontal distance, 21)와 수직 거리(vertical distance, 23)가 거의 동일하다. 한 구체예에서, 붙임 플레이트(22) 사이의 수평 거리(21)와 수직 거리(23)(중심에서부터 중심까지)는 대략 5 ㎜이다. 하지만, 수평 거리(21)와 수직 거리(23)는 동일할 필요가 없으며, 비-대칭적 패턴 역시 붙임 플레이트(22)에 이용될 수 있다.
적절하게는, 링크(24)는 부드럽게 휘어지고 정확하게 성형되기 때문에, 뼈의 해부학적 모양에 근접하도록 3차원적으로 윤곽가공될 때 유조직 자극 문제를 유발할 수 있는 임의의 날카로운 굽힘을 도입하지 않으면서 메시(20)에 유연성을 제공한다. 따라서, 링크(24)는 오목부(71)와 볼록부(73)를 보유한다. 한 구체예에서, 링크(24)는 대략 0.8 ㎜의 전형적인 너비(27), 대략 2.0-3.0 ㎜, 바람직하게는 대략 2.2 ㎜의 곡률 내측 반경(72), 대략 2.5-3.5 ㎜, 바람직하게는 대략 3 ㎜의 곡률 외측 반경(74)을 보유한다. 적적하게는, 링크(24)의 붙임 플레이트(22)로의 전이(transition)는 모서리가 날카로운 응력 상승(stress riser)의 도입을 예방하기 위하여 반경에서 약간 휘어진다. 한 구체예에서, 대략 0.6 ㎜의 반경이 링크(24)의 오목부(71)의 붙임 플레이트(22)로의 전이에 제공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붙임 플레이트(22)에 연결된 링크(24)의 개수는 붙임 플레이트(22)가 메시(20)의 외부 또는 내부에 위치하는 지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적절하게는, 각 붙임 플레이트는 적어도 2개의 링크(24)를 보유한다. 도 2에 도시된 구체예에서, 내부 붙임 플레이트(30)는 가급적, 적어도 4개의 링크(24)를 보유하고, 외부 모서리 붙임 플레이트(31)는 가급적, 적어도 2개의 링크(24)를 보유하고, 외부 측면 붙임 플레이트(32)는 가급적, 적어도 3개의 링크(24)를 보유한다. 적절하게는, 붙임 플레이트(22)의 각 사분면은 1개 정도의 링크(24)를 보유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와 관련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임의 개수의 링크(24)가 붙임 플레이트(22) 주변의 임의의 위치에서 붙임 플레이트(22)에 연결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링크(24)는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나선 패턴으로 붙임 플레이트(22)로부터 외부로 연장되거나 방사된다. 적절하게는, 한 붙임 플레이트(22)의 링크(24)는 동일한 방향으로 외부로 연장되거나 방사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와 관련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링크(24)와 붙임 플레이트(22)의 정렬에 의해 붙임 플레이트(22) 사이에 한정된 통로(28)는 치수와 모양에서 변화될 수 있다. 링크(24)의 모양과 위치가 통로(28)의 모양에 영향을 주게 된다. 적절하게는, 통로(28)는 예로써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늘고 긴 모양이다.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한 구체예에서, 통로(28)는 좁은 중간 부분(33) 및 넓은 단부 부분(34)을 보유한다. 이런 가늘고 긴 통로는 대략 7.0-7.5 ㎜, 바람직하게는 대략 7.2 ㎜의 전형적인 길이(77) 및 대략 1.2 ㎜의 최소 너비(78)(길이의 중간 지점 부근)를 보유한다.
적절하게는, 메시(20)는 일종의 뼈 스크루 또는 압정과 같은 파스너에 의해 뼈에 부착된다. 적절하게는, 파스너는 메시와 동일하거나 상이한 재흡수성 재료로 만들어진다. 따라서,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붙임 플레이트(22) 중에서 적어도 일부는 메시(20)를 뼈에 안정적으로 부착시키기 위한 파스너를 수용하는 파스너 구멍(26)을 보유한다. 구멍(26)의 치수와 형태는 구멍에 삽입되는 파스너의 치수와 모양에 좌우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메시(20)의 파스너 구멍(26)의 단면도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멍(26)은 메시(20)의 상부면(44)과 하부면(44) 사이에서 연장되는 직립 측벽(35)을 보유한다.
대안으로, 붙임 플레이트(22)에는 접시머리 파스너 구멍이 제공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메시(40)의 파스너 구멍(36)의 단면도인 도 7에서는 이중-경사벽을 보유하는 접시머리 파스너 구멍(36)의 한가지 바람직한 구체예를 도시한다. 메시(40)의 상부면(42)에서 시작하여, 파스너 구멍(36)은 가급적, 제 1 경사벽(37), 인접한 제 2 경사벽(38), 메시의 하부면(43)에 접하는 직립벽(39)을 순차적으로 포함한다. 구멍(36)의 제 1 경사벽(37)은 일정한 각도(47)를 보유하는 제 2 경사벽(38)과 상이한 각도(48)를 보유한다. 적절하게는, 한 구체예에서, 각도(48)는 대략 20도이고, 각도(47)는 대략 140도이다.
파스너 구멍(22)은 임의의 모양으로 만들어 질 수 있고, 상기한 모양에 한정되지 않는다. 가령, 파스너 구멍(22)은 단일 경사벽을 보유하는 원뿔 접시머리 모양이거나, 또는 구멍(22)은 단면 모양에서 구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구멍(22)의 모양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도 7에 도시된 메시(40)의 원뿔 접시머리 구멍(36)은 가급적, 보완적인 파스너 머리 형태를 보유하는 파스너와 함께 이용되고, 파스너의 머리는 유조직 자극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붙임 플레이트(22)의 상부면과 실질적으로 접한다. 가령, 도 8에 도시된 스크루(50)는 머리에 이중-경사면을 보유하고, 구멍(36)에 이용될 수 있다. 스크루(50)는 모양에서 구멍(36)의 제 1과 제 2 경사벽(37,38)에 해당하는 제 1과 제 2 경사면(51,53)을 갖는 머리(56)를 보유한다. 따라서, 스크루 머리(56)의 경사면(51,53)은 경사벽(37,38)의 각도(48,47)에 대략적으로 일치하는 각도(52,54)를 보유한다. 한 구체예에서, 각도(48,52)는 대략 20도이고, 각도(47,54)는 대략 140도이다.
대안으로, 도 9에 도시된 압정(60)이 메시(40)의 파스너 구멍(36)(도 4에 도시됨)에 이용될 수 있다. 적절하게는, 압정(60)은 파스너 구멍(36)의 제 2 경사벽(38)의 모양에 대략적으로 일치하는 경사면(63)을 갖는 머리(61)를 보유한다. 따라서, 경사면(63)은 제 2 경사벽(38)의 각도(47)에 대략적으로 일치하는 각도(62)를 보유한다. 한 구체예에서, 각도(47,62)는 대략 140도이다.
스크루(50) 또는 압정(60)이 메시(40)의 구멍(36)에 삽입되는 경우에, 머리(각각, 56,61)는 메시(40)의 상부면(42)과 실질적으로 접하도록 정렬된다(스크루 또는 압정 머리의 정점에서 약간의 요철 제외). 이는 메시가 이식될 때 유조직 자극을 감소시키고, 특히 뼈 위의 피부 보호 범위가 상대적으로 얇은 부위에서 피부 아래에 파스너를 느낄 수 없도록 하는데 도움이 된다.
스크루(50) 또는 압정(60)은 메시(20)의 직립벽이 위치하는 파스너 구멍(26)(도 4)에도 이용될 수 있다. 대안으로, 다양한 머리 형태를 보유하는 다른 파스너(도시하지 않음) 역시 파스너 구멍(26)에 이용될 수 있다.
적절하게는, 메시(20)(도 2)와 메시(40)(도 5) 모두 1.5 ㎜와 2.0 ㎜ 명목 치수(normal size) 파스너를 수용하는 크기의 파스너 구멍(각각, 26과 36)이 구체예에서 제공된다. 이들 메시는 통상적으로, 1.5 ㎜와 2.0 ㎜ 메시라고 한다. 따라 서, 일부 구체예에서, 상기한 스크루(50)와 압정 역시 이들 메시에서 1.5와 2.0 ㎜ 명목 치수로 제공된다. 또한, 적절하게는, 외과 의사가 2.0 ㎜ 스크루에 의한 뼈의 적절한 부착을 위한 구멍을 너무 큰 직경으로 천공하는 경우에 메시에서 2.0 ㎜ 명목 치수 파스너 구멍으로의 삽입을 위한 비상 스크루로서 기능하는 2.5 ㎜ 명목 치수 스크루(50)가 제공된다. 2.0 ㎜ 명목 치수 스크루(50)는 메시에서 1.5 ㎜ 파스너 구멍에 대한 비상 스크루로서 기능할 수 있다.
메시(20)를 뼈에 안정적으로 부착시키기 위하여 통로(28)를 통하여 파스너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긴 하지만, 파스너는 가급적,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에 더욱 높은 강도를 보유하고 실패할 가능성이 더욱 낮은 붙임 플레이트에서 파스너 통로를 통하여 설치된다. 또한, 파스너는 모든 파스너 구멍에 설치될 필요가 없고, 모든 붙임 플레이트가 파스너 구멍을 필요로 하지도 않는다. 메시를 뼈에 안정적으로 부착시키기 위하여 접착제가 이용되는 경우에, 붙임 플레이트는 파스너 구멍 역시 필요로 하지 않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붙임 플레이트는 파스너 구멍 없이 제공될 수 있고, 필요한 경우에 외과 의사가 수술동안 붙임 플레이트에 이런 구멍을 만들 수 있다.
일부 구체예에서, 메시(20,40)는 대략 0.25 ㎜ 내지 1.25의 두께(각각, 25,46)를 보유한다. 하지만, 메시(20,40)는 상기한 범위를 초과하는 임의의 두께를 보유할 수도 있는데, 이는 설계 선택의 문제이다. 또한, 메시의 두께는 이의 강도와 재흡수 시간과 같은 파라미터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이들 인자는 메시의 적절한 두께를 선택하는 경우에 우선적으로 고려된다.
도 2에서, 메시(20)는 가급적 반복적인 패턴을 형성하고 붙임 플레이트(22)와 링크(24)의 어레이를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개별적이고 서로 연결된 기부 메시 단위(base mesh unit)로부터 실제로 형성되고 이들로서 개념화된다. 도 3은 도 2의 확대도이며, 링크(24)에 의해 연결된 4개의 이격된 붙임 플레이트(22)에 기초하여 메시(20)에 이용된 반복 기부 메시 단위(repeating base mesh unit, 70)의 한가지 가능 구체예를 도시한다. 반복 기부 메시 단위는 임의 유형의 파스너 구멍, 예를 들면, 직립벽이 위치하는 구멍(26)(도 4), 이중-경사진 원뿔 접시머리 구멍(36)(도 7),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모양을 보유할 수 있다. 대안으로, 붙임 플레이트(22)는 예로써 메시가 접착제에 의해 뼈에 안정적으로 부착되는 경우, 구멍이 수술동안 추가되는 경우, 또는 메시를 뼈에 안정적으로 부착시키기 위한 통로(28)를 통하여 파스너가 삽입되는 경우에는 구멍을 보유하지 않는다.
반복 기부 메시 단위(70)는 설계 선택의 문제로서, 붙임 플레이트(22)를 서로 연결하는 임의 개수의 링크(24)를 보유할 수 있고, 전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메시 단위가 메시의 외부 또는 내부에 존재하는 지의 여부에 부분적으로 좌우된다. 따라서, 반복 기부 메시 단위(70)에서 각 붙임 플레이트와 결합된 링크(24)의 개수는 변화될 수 있고,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는다.
다양한 정렬 또는 레이아웃에서 다수의 반복 기부 메시 단위(70)를 제조하고 서로 연결함으로써 다양한 메스 모양과 치수가 가능하다. 가령, 도 2와 5에 도시된 메시(각각, 20,40)는 모양에서 전체적으로 정사각형이고, 편의하게 정사각형 메시로 지칭된다. 일부 구체예에서 이들 정사각형 메시는 전형적으로, 대략 20 ㎜ x 20 ㎜ 평방 내지 대략 150 ㎜ x 150 ㎜ 평방의 외목 치수(outside dimension)(즉, 파스너 구멍에서부터 파스너 구멍까지 외곽 너비(86) x 외곽 길이(88))로 측정된다.
도 10에서는 반복 기부 메시 단위(70)로부터 형성된 전체적으로 원형 형태를 갖는 메시(80)를 도시한다. 이런 메시(80)는 편의하게 원형 또는 직경 메시로 지칭된다. 일부 구체예에서 이들 원형 메시는 전형적으로, 직경(82)에서 대략 20 ㎜ 내지 직경(82)에서 대략 150 ㎜(외목 치수)로 측정된다. 도 11에서는 반복 기부 메시 단위(70)로 구성되는 초승달 모양 메시(90)를 도시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이런 초승달 모양 메시는 전형적으로, 길이(84)에서 대략 45 ㎜ 내지 대략 75 ㎜(외목 치수)로 측정된다.
도 10과 11에서 직립벽이 존재하는 파스너 구멍(26)을 도시하긴 하지만, 이들 파스너 구멍은 대안으로, 도 7에 도시된 구멍(36)과 같은 이중-경사진 원뿔 접시머리 구멍,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모양을 보유할 수 있다.
반복 기부 메시 단위의 개수 및 반복 기부 메시 단위가 서로 연결되는 방식을 변화시킴으로써 다양한 모양, 치수 및/또는 두께의 메시를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가능한 일부 형태를 예시하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모양과 수치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양한 모양과 치수의 메시를 제조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다른 방법은 다양한 붙임 플레이트(22)와 링크(24)를 이전하여 개별 환자의 특정 목적에 적합된 메시 모양을 제조함으로써 외과 의사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외과 의사는 임의의 편의한 2차원 메시 모양으로 시작하고, 이후 외과용 가위를 이용하여 상기 한 방식으로 모양을 적합하게 변형시킬 수 있다.
재흡수성 윤곽가공성 고정 장치 키트를 제시한다. 상기 키트는 (a) 복수의 이격된 붙임 플레이트, 이들 붙임 플레이트를 서로 연결하는 복수의 변형가능 링크, 붙임 플레이트 사이에 산재된 복수의 가늘고 긴 통로를 보유하는 적어도 첫 번째 재흡수성 고정 장치, 여기서 붙임 플레이트와 링크는 재흡수성 재료로 만들어지고, 상기 고정 장치는 3차원에서 윤곽가공된다; (b) 상기 고정 장치를 뼈에 부착시키기 위한 복수의 파스너를 포함한다. 한 구체예에서, 파스너 중에서 적어도 일부는 재흡수성 재료로부터 만들어진다. 적절하게는, 다른 구체예에서, 파스너는 고정 장치를 뼈에 부착시키기 위한 적당한 치수의 스크루 및/또는 압정을 보유한다. 적절하게는, 첫 번째 고정 장치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정사각형, 원형, 초승달 모양에서 선택되는 모양을 갖는다.
재흡수성 윤곽가공성 고정 장치 키트의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키트는 적어도 두 번째 재흡수성 고정 장치를 추가로 포함한다. 두 번째 고정 장치는 첫 번째 고정 장치와 상이한 전체 치수(즉, 상기한 외목 치수))를 보유할 수 있다. 가령, 제한 없이, 키트는 가급적, 20 ㎜ x 20 ㎜ 내지 150 ㎜ 내지 150 ㎜ 또는 그 이상의 치수 범위에서 복수의 정사각형 메시를 보유한다. 대안으로, 두 번째 재흡수성 고정 장치는 첫 번째 고정 장치와 상이한 모양(가령, 정사각형, 원형, 초승달 모양 등), 전체 치수 및/또는 두께를 보유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키트는 적어도 세 번째 재흡수성 고정 장치를 추가로 포함한다. 세 번째 고정 장치 역시 첫 번째 또는 두 번째 고정 장치와 상이한 모양, 전체 치수 및/또는 두께를 보유할 수 있다. 따라서, 키트는 임의의 개수, 치수 및/또는 모양의 고정 장치 조합 및 이들 장치를 뼈에 안정적으로 부착시키기 위한 파스너를 제한 없이 보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형성된 재흡수성 윤곽가공성 메시를 윤곽가공하고 이식하는 방법은 편의를 위하여 도 2와 메시(20)를 참조하여 기술한다. 가급적 무균 포장에 수용되고 상기한 특징을 보유하는 메시(20)는 최초의 경직되고 평평한 2차원 형태로 외과 의사에게 제공된다. 적절하게는, 외과 의사는 뼈에서 이식 수용 부위 및 수용 부위의 해부학적 3차원 모양에 기초한 메시(20)의 최종 3차원 모양을 먼저 결정한다. 이후, 외과 의사는 당분야에 공지된 임의의 적절한 수단, 예를 들면, 뜨거운 물이나 염수 용액조, 열풍기, 벤치/커터 아이론, 또는 당분야에 공지된 다른 적합한 수단으로 재흡수성 메시(20)를 유리 전이 온도(Tg) 이상으로 가열하여 메시를 유연하게 만든다. 적절하게는, 유리 전이 온도(Tg)는 실온의 작업실과 인간 체온 이상이다. 한 구체예에서, 메시(20)가 제조되는 재흡수성 재료는 대략 50-55℃ 또는 그 이상의 유리 전이 온도(Tg)를 보유한다. 이후, 외과 의사는 메시(20)를 뼈 수용 부위에 직접 위치시키고 원하는 3차원 모양으로 윤곽가공할 수 있다. 메시(20)는 온도를 유리 전이 온도(Tg) 미만으로 낮춤으로써 냉각시키는데, 여기서 메시는 경직된 상태로 환원되고 3차원 윤곽가공된 모양을 유지한다. 대안으로, 메시(20)는 뼈에 위치시키기에 앞서 원하는 3차원 모양으로 윤곽가공하고, 이후 유리 전이 온도(Tg) 미만으로 냉각시킬 수도 있는데, 여기서 메시는 경직된 상태로 환원되고 3차원 윤곽가공된 모양을 유지한다. 냉각 단계는 메시(20)의 요구되는 최종 모양을 유도할 뿐만 아니라 최초 평평한 2차원 형태보다 높은 강도를 보유하는 3차 원 메시 구조물을 유도한다. 따라서, 최종 3차원 메시(20) 구조물은 실패 없이 생체내 하중(in vivo load)에 저항할 만큼 충분한 강도를 보유한다.
메시를 뼈에 위치시키거나 붙이기에 앞서 가열된 메시를 성형하는 상기한 대체 단계를 외과 의사가 선택한다면, 메시를 가열하고 성형하는 과정은 외과 의사가 메시의 3차원 모양이 뼈의 해부학적 모양에 적절히 합치된다고 느낄 때까지 반복될 수 있다. 적절하게는, 재가열 단계는 최대 10회로 제한된다. 또한 적절하게는, 성형을 위하여 메시를 충분히 가열하는 가열 단계의 지속 시간(즉, 유리 전이 온도(Tg) 이상으로 유지되는 시간)은 대략 10초이다.
외과 의사는 메시(20)의 3차원 모양이 만족스러우면, 이후 본 명세서에 기술된 뼈 스크루(50) 또는 압정(60)과 같은 재흡수성 파스너를 수용하기 위하여 다양한 부위에서 뼈에 구멍을 천공한다. 적절하게는, 구멍이 뼈에 적절히 위치하도록 하기 위하여 이들 구멍은 뼈에 위치된 메시(20)에서 천공한다. 메시(20) 없이 뼈에 구멍을 천공하는 경우에, 메시(20)는 후속으로 뼈에 위치시켜 파스너 구멍(26)과 미리-천공된 뼈-수용 구멍을 함께 정렬시킨다. 어떤 경우든, 파스너는 메시(20)를 뼈에 안정적으로 부착시키기 위하여 파스너 구멍(26)을 통하여 미리-천공된 뼈-수용 구멍으로 삽입된다.
대안으로, 상기한 바와 같이 공장에서 파스너 구멍이 미리 만들어지지 않은 붙임 플레이트(22)가 메시(20)에 제공되는 경우에, 외과 의사는 원하는 경우에 예로써 천공(drilling)과 같은 수단으로 붙임 플레이트(22)에 파스너 구멍을 추가할 수 있다. 이후, 뼈에 뼈-수용 구멍을 천공하고 파스너 구멍을 통하여 파스너를 뼈 로 삽입하는 과정은 상기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구멍은 메시(20)가 뼈에 위치하는 동안 붙임 플레이트(22)와 뼈를 통하여 동시에 천공할 수도 있다.
메시(20)를 뼈에 부착시키기 위하여 접착제를 이용하는 경우에, 뼈에 구멍을 천공하고 메시를 통하여 뼈-수용 구멍으로 파스너를 삽입하는 과정을 수반하는 상기 단계는 생략될 수 있다. 대안으로, 메시(20)의 원하는 최종 3차원 모양이 산출된 이후, 붙임 플레이트(22) 중에서 적어도 일부에 접착제를 이용한다(이런 경우에, 붙임 플레이트는 파스너 구멍(26 및/또는 36)을 보유할 필요가 없다). 이후, 메시(20)는 뼈에 위치시키고, 접착제-적재된 붙임 플레이트를 뼈와 접촉시킨다.
대안으로, 접착제를 이용하여 메시(20)를 뼈에 부착시키는 다른 가능성은 미리-천공된 구멍(26 및/또는 36)을 갖는 메시(20)를 제공하거나, 또는 외과적 현장에서 붙임 플레이트(22)를 통하여 구멍을 천공하는 것이다. 이후, 구멍을 통하여 뼈에 위치된 메시(20)에 접착제를 삽입한다. 적절한 유형의 접착제는 뼈에 부착되고 경화(curing)이후 고체로 굳어져, 메시(20)를 뼈에 안정적으로 부착시키는 붙임 플레이트(22) 구멍을 통한 리벳(rivet)-유사 부착을 형성한다. 이는 접착제와 물리적 수단에 의해 메시(20)와 뼈 사이에 고정을 유도한다. 한 구체예에서, 하부 뼈-접촉 통로보다 넓은 상부 통로를 갖는 구멍(36)(도 7)과 유사한 파스너 구멍을 이용할 수 있는데, 이는 경화성 접착제가 경화됨에 따라 리벳-유사 머리를 형성하게 된다.
도 12에서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형성되고 최종의 3차원적으로 윤곽가공되고 경직된 모양(즉, 이용된 재흡수성 재료의 유리 전이 온도(Tg) 미만의 메시 온 도)으로 존재하는 재흡수성 메시(80)를 보여준다. 메시(8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개골의 상부 부위, 또는 두개골에서 임의의 적절한 부분에 부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메시(80)의 최종 3차원 모양은 이식이후 메시(80)에 가해지는 생체내 하중(in vivo load)에 저항할 만큼 충분한 강도를 보유한다. 3차원 모양 이외에, 메시(80)의 상호 접촉하는 구조적 특징 사이의 물리적 간섭이 메시의 강도를 더욱 가중시킨다. 가령,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상적으로 이격된 붙임 플레이트(22) 중에서 일부와 링크(24)는 메시(80)의 3차원 윤곽가공에 따라, 위치(102)에서 관찰되는 바와 같이 서로 접촉하게 된다. 이에 더하여, 일부 링크(124) 역시 위치(104)에서 관찰되는 바와 같이 서로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파스너 구멍(22)과 링크(24) 사이의 이런 접촉은 메시(80) 구조의 강성과 강도를 동시에 증가시키는데 유익하다. 이에 더하여, 앞서 기술된 방식으로 변형되는 메시(20)의 능력은 더욱 높고 및/또는 급격한 강도를 보유하는 최종 메시 모양을 가능하게 하는데, 이런 모양은 메시가 예로써 미간(bridge of nose) 주변의 두개골 부위와 같은 복잡한 형태의 메시가 요구되는 특정 해부학적 골격 부위에서 유리하다.
메시(80)가 도 7에 도시된 유형의 접시머리 파스너 구멍(36)을 보유하긴 하지만, 통상의 구멍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유형의 파스너 구멍이 이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재흡수성 윤곽가공성 메시의 여러 이점중의 하나는 상기 메시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선행 기술의 닫힌-구조의 천공된 시트 유형 메시에서 발생하는 윤곽가공동안 주름이나 비틀림을 유발하지 않으면서 골격 해부 학적 모양에 합치될 수 있다는 점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들 선행 기술 메시는 원치않는 비틀림을 회피하기 위하여 메시에서 외과 의사에 의한 릴리프 컷아웃(도 1)을 요하는데, 이는 복잡한 결합 구조의 해부학적 골격 부위에서 특히 심하게 나타난다. 이런 컷아웃을 수행하는 과정은 외과 의사에게 성가시고 수술 시간을 증가시키는데, 이들 문제는 윤곽가공될 때 비틀림에 저항하는 본 발명의 고도 윤곽가공성 재흡수성 메시에 의해 극복된다. 본 발명의 메시에서 절단 요구를 필요 없게 하는 한가지 기전은 3차원 윤곽가공 단계동안 필요에 따라 이동되고 조정되는 링크(24)의 능력이다. 가령, 도 12의 메시(8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윤곽가공이후 최초 링크(24)의 일부는 서로 접촉하거나(위치 104), 또는 파스너 구멍의 일부(위치 102)와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파스너 구멍 사이에 비-파스너 통로를 보유하는 선행 기술의 닫힌-구조 메시에서 발생하는 비틀림과 대조적으로, 메시(80)의 링크(24)가 가늘고 긴 통로(28)에 들어가고, 따라서 비틀림 문제를 피한다. 따라서, 가늘고 긴 통로(28)는 메시(80)의 평면 내에서 링크(24) 또는 붙임 플레이트(22)로의 대체를 허용하는 메시(80) 구조물내 구역 또는 공간을 제공한다. 이런 이유로, 윤곽가공에 앞서 모양이 대칭적이었던 통로(28) 중에서 일부의 모양은 링크(24) 및/또는 붙임 플레이트(22)의 통로(28)로의 이동으로 인하여 윤곽가공이후 더 이상 대칭적이지 않다.
적절하게는, 본 발명의 재흡수성 윤곽가공성 메시는 재흡수성 중합체, 바람직하게는 상기한 70/30 락티드 또는 85/15 락티드-글리콜리드 공중합체의 압축-성형된 평평한 고형 시트로부터 생산된다. 적절하게는, 메시와 이의 다양한 구조적 특징(즉, 파스너 구멍(26,36), 링크(24), 가늘고 긴 통로(28) 등)은 엔드 밀(end mill), 확공기(reamer), 커터, 드릴 및/또는 유사한 절단 도구를 비롯한 임의의 적절한 수단을 이용하여 평평한 중합성 시트를 가공 및/또는 절단함으로써 만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재흡수성 윤곽가공성 메시를 제조하는데 적합한 다른 수단, 예를 들면, 당업자에게 공지된 수단이 고려되고, 단독으로 또는 조합으로 이용될 수 있다. 가령, 제한 없이, 재흡수성 윤곽가공성 메시는 천공 또는 스탬핑(stamping)(당분야에 공지된 단일 또는 진행성 다이 스탬핑(die stamping) 과정을 이용), 고압 물 절삭(high pressure water cutting), 레이저 절삭(laser cutting) 등으로 생산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재흡수성 윤곽가공성 메시를 제조하는데 이용되는 임의의 수단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한 설명과 도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를 대표하긴 하지만,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정의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다양한 추가, 변형, 치환이 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또는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른 요소, 재료, 성분에 의해 다른 특정한 형태, 구조, 정렬, 비율로 구현될 수 있다. 당업자가 인지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구조, 정렬, 비율, 재료, 성분이 상당히 변화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원리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특정 환경과 작업 조건에 맞게 조정될 수 있다. 이런 이유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구체예는 모든 관점에서 예시로서 간주되고,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Claims (63)

  1. 복수의 이격된 붙임 플레이트(fastening plate);
    이들 붙임 플레이트를 서로 연결하는 복수의 변형가능 링크(deformable link)를 포함하는 재흡수성 윤곽가공성 고정 장치에 있어서,
    여기서, 상기 붙임 플레이트와 상기 링크는 재흡수성 재료로 만들어지고, 고정 장치는 3차원에서 윤곽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흡수성 고정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붙임 플레이트 사이에 산재된 복수의 가늘고 긴 통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흡수성 고정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링크는 부드럽게 휘어지는 활모양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흡수성 고정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활모양 링크는 0.8 ㎜의 너비, 2.2 ㎜의 곡률(curvature) 내측 반경(inside radius), 3 ㎜의 곡률 외측 반경(outside radius)을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흡수성 고정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붙임 플레이트는 고정 장치가 윤곽가공(contouring)될 때 변형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흡수성 고정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고정 장치는 모놀리식 단일 재료 시트로부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흡수성 고정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재료 시트는 압축 성형(compression molding)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흡수성 고정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붙임 플레이트의 적어도 일부는 고정 장치를 뼈에 안정적으로 부착시키기 위한 파스너(fastener)를 수용하는 구멍을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흡수성 고정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파스너 구멍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접시머리(countersunk) 구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흡수성 고정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접시머리 구멍은 제 1 경사 각도(wall angle)를 형성하는 제 1 경사벽(inclined wall) 및 제 2 경사 각도를 형성하는 제 2 경사벽을 보유하는 이중 경사벽을 추가로 포함하고, 제 1 각도와 제 2 각도는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흡수성 고정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제 1 각도는 20도이고, 제 2 각도는 140도인 것을 특징으 로 하는 재흡수성 고정 장치.
  12. 제 10항에 있어서, 재흡수성 재료로 만들어진 파스너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파스너는 제 1 헤드 각도(head angle)를 형성하는 제 1 경사면(inclined surface) 및 제 2 헤드 각도를 형성하는 제 2 경사면을 보유하는 헤드를 포함하고,
    여기서 제 1과 제 2 헤드 각도는 상기 접시머리 파스너 구멍의 제 1과 제 2 경사 각도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도록 배치되고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흡수성 고정 장치.
  13. 제 1항에 있어서, 파스너 구멍은 각 파스너 구멍의 중심 간에 5 ㎜의 거리로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흡수성 고정 장치.
  14. 제 1항에 있어서, 붙임 플레이트는 전체적으로 원형 모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흡수성 고정 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4개의 붙임 플레이트의 일부 외면(periphery)과 4개의 링크의 일부 외면은 고정 장치에서 가늘고 긴 통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흡수성 고정 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가늘고 긴 통로는 7.0 ㎜ 내지 8.0 ㎜의 길이 및 1.0 ㎜ 내지 1.5 ㎜의 최소 너비(minimum width)를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흡수성 고정 장치.
  17. 제 15항에 있어서, 윤곽가공(contouring)에 앞서 가늘고 긴 통로는 모양에서 대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흡수성 고정 장치.
  18. 제 17항에 있어서, 윤곽가공이후 적어도 두 평면에서 가늘고 긴 통로의 적어도 일부는 모양에서 비-대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흡수성 고정 장치.
  19. 제 18항에 있어서, 윤곽가공이후 링크의 적어도 일부가 서로 접촉하거나 붙임 플레이트와 접촉하여 고정 장치의 강성(rigidity)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흡수성 고정 장치.
  20. 제 1항에 있어서, 각 링크는 붙임 플레이트 중에서 하나에 연결되는 제 1 단부 및 다른 붙임 플레이트에 연결되는 제 2 단부를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흡수성 고정 장치.
  21. 제 20항에 있어서, 링크는 이들 링크가 나선 패턴으로 붙임 플레이트로부터 외부로 방사상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붙임 플레이트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흡수성 고정 장치.
  22. 제 21항에 있어서, 링크는 오목부(concave side)를 보유하고, 링크의 오목부와 붙임 플레이트 사이의 연결 부분(connection)은 0.6 ㎜의 내측 반경을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흡수성 고정 장치.
  23. 제 1항에 있어서, 고정 장치는 0.25 ㎜ 내지 1.2 ㎜의 두께를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흡수성 고정 장치.
  24. 제 1항에 있어서, 고정 장치는 실질적으로 정사각형 모양을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흡수성 고정 장치
  25. 제 24항에 있어서, 고정 장치는 20 ㎜ x 20 ㎜ 평방 내지 150 ㎜ x 150 ㎜ 평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흡수성 고정 장치.
  26. 제 1항에 있어서, 고정 장치는 실질적으로 원형 모양을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흡수성 고정 장치.
  27. 제 26항에 있어서, 고정 장치는 20 ㎜ 내지 150 ㎜의 직경을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흡수성 고정 장치.
  28. 제 1항에 있어서, 고정 장치는 실질적으로 초승달 모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흡수성 고정 장치.
  29. 제 28항에 있어서, 고정 장치는 45 ㎜ 내지 75 ㎜의 길이를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흡수성 고정 장치.
  30. 제 1항에 있어서, 이격된 붙임 플레이트의 적어도 2개의 열(row)을 추가로 포함하고, 각 열은 적어도 2개의 붙임 플레이트를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흡수성 고정 장치.
  31. 제 1항에 있어서, 재흡수성 재료는 락티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흡수성 고정 장치.
  32. 제 31항에 있어서, 재흡수성 고정 장치는 글리콜리드를 추가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흡수성 고정 장치.
  33. 복수의 이격된 붙임 플레이트, 이들 붙임 플레이트 중에서 적어도 일부는 고정 장치를 뼈에 안정적으로 부착시키기 위한 파스너를 수용하는 파스너 구멍을 보유하고;
    이들 붙임 플레이트를 서로 연결하고 나선 패턴으로 붙임 플레이트로부터 연 장되는 복수의 활모양 링크를 포함하고 뼈에 안정적으로 부착될 수 있는 재흡수성 고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붙임 플레이트와 링크는 재흡수성 재료로 만들어지고,
    복수의 붙임 플레이트는 4개의 링크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서로 연결된 이들 붙임 플레이트와 링크는 가늘고 긴 통로를 보유하는 개방-구조의 변형가능 고정 장치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 장치는 3차원에서 윤곽가공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흡수성 고정 장치.
  34. 제 33항에 있어서, 파스너 구멍의 적어도 일부는 접시머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흡수성 고정 장치.
  35. 제 33항에 있어서, 고정 장치는 적어도 4개의 붙임 플레이트를 추가로 포함하고, 이들 플레이트는 각 열에서 적어도 2개의 붙임 플레이트의 적어도 2개의 열에 정렬되고, 상기 열은 서로 이격된 관계로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흡수성 고정 장치.
  36. 이격된 붙임 플레이트의 적어도 2개의 열, 각 열은 적어도 2개의 붙임 플레이트를 보유하고;
    각 붙임 플레이트를 적어도 하나의 다른 붙임 플레이트에 서로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활모양 링크를 포함하는 재흡수성 윤곽가공성 고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붙임 플레이트와 링크는 고정 장치에서 복수의 가늘고 긴 모양의 통로를 한정하도록 정렬되고;
    이들 붙임 플레이트와 상기 링크는 재흡수성 재료로부터 만들어지고,
    붙임 플레이트, 링크, 가늘고 긴 통로는 3차원에서 윤곽가공될 수 있는 개방-구조의 고정 장치를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흡수성 윤곽가공성 고정 장치.
  37. 제 36항에 있어서, 가늘고 긴 통로의 적어도 일부는 수직으로 배향되고, 가늘고 긴 통로의 적어도 일부는 고정 장치에 대하여 수평으로 배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흡수성 고정 장치.
  38. 제 36항에 있어서, 링크는 나선 패턴으로 붙임 플레이트로부터 외부로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흡수성 고정 장치.
  39. 제 36항에 있어서, 재흡수성 재료는 락티드를 함유하는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흡수성 고정 장치
  40. 제 36항에 있어서, 재흡수성 재료는 락티드와 글리콜리드의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흡수성 고정 장치.
  41. 복수의 반복 기부 고정 장치 단위(repeating base fixation device unit)로부터 형성되는 재흡수성 윤곽가공성 고정 장치에 있어서, 각 기부 고정 장치 단위는 아래의 요소를 포함하고:
    4개의 이격된 붙임 플레이트, 이들 붙임 플레이트는 각 붙임 플레이트가 기부 고정 장치 단위의 모서리를 형성하도록 정렬되고, 붙임 플레이트의 적어도 일부는 기부 고정 장치 단위를 뼈에 부착시키기 위한 파스너를 수용하는 구멍 통로를 보유한다;
    이들 붙임 플레이트를 서로 연결하는 적어도 4개의 활처럼 휘어진 링크, 이들 적어도 4개의 링크는 상기 링크 및 붙임 플레이트의 적어도 일부분에 의해 형성되는 통로 주변에 정렬되고;
    여기서, 상기 기부 고정 장치는 유리 전이 온도(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를 보유하는 재흡수성 재료로부터 만들어지고;
    기부 고정 장치 단위는 (a) 기부 고정 장치 단위의 온도가 유리 전이 온도(Tg) 미만이고, 기부 고정 장치 단위가 실질적으로 경직된 첫 번째 상태 및 (b) 기부 고정 장치 단위의 온도가 유리 전이 온도(Tg) 이상이고, 기부 고정 장치 단위가 유연하고 3차원에서 윤곽가공되는 두 번째 상태 사이에서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흡수성 윤곽가공성 고정 장치.
  42. 제 41항에 있어서, 붙임 플레이트는 실질적으로 원형 모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흡수성 고정 장치.
  43. 제 41항에 있어서, 붙임 플레이트는 동등하게 이격되어 실질적으로 정사각형 모양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흡수성 고정 장치.
  44. 제 41항에 있어서, 적어도 4개의 활처럼 휘어진 링크 중에서 2개는 통로를 향하여 내부로 돌출되고, 적어도 4개의 활처럼 휘어진 링크 중에서 2개는 통로로부터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흡수성 고정 장치.
  45. 제 44항에 있어서, 통로는 실질적으로 가늘고 길며 모양에서 대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흡수성 고정 장치.
  46. 재흡수성 고정 장치를 윤곽가공하고 이를 뼈에 부착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아래의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평균 인간 체온보다 높은 유리 전이 온도(Tg)를 보유하는 재흡수성 고정 장치를 제공하고, 상기 고정 장치는 아래의 요소를 포함하고:
    a) 복수의 이격된 붙임 플레이트,
    b) 이들 붙임 플레이트를 서로 연결하는 복수의 활모양 변형가능
    링크, 이들 링크는 상기 붙임 플레이트 사이에 가늘고 긴 통로를
    한정하도록 정렬되고, 상기 고정 장치는 뼈의 모양에 합치되도록
    3차원에서 윤곽가공될 수 있고;
    고정 장치의 온도를 유리 전이 온도(Tg) 이상으로 상승시키고;
    뼈의 해부학적 모양에 실질적으로 합치되도록 고정 장치를 변형시키고;
    고정 장치의 온도를 유리 전이 온도(Tg) 미만으로 냉각시키고;
    고정 장치를 뼈 위에 위치시키고;
    고정 장치를 뼈에 부착시킨다.
  47. 제 46항에 있어서, 붙임 플레이트 중에서 적어도 일부는 파스너 구멍을 보유하고, 상기 방법은 파스너를 제공하고, 파스너 구멍의 적어도 일부를 통하여 파스너를 삽입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여기서 이들 파스너는 고정 장치를 뼈에 부착시키는데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8. 제 46항에 있어서, 붙임 플레이트 중에서 적어도 일부에 파스너 구멍을 형성하고, 파스너를 제공하고, 파스너 구멍의 적어도 일부를 통하여 파스너를 삽입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여기서 이들 파스너는 고정 장치를 뼈에 부착시키는데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9. 재흡수성 고정 장치를 윤곽가공하고 이를 뼈에 부착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아래의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평균 인간 체온보다 높은 유리 전이 온도(Tg)를 보유하는 재흡수성 고정 장치를 제공하고, 상기 고정 장치는 아래의 요소를 포함하고:
    a) 복수의 이격된 붙임 플레이트,
    b) 이들 붙임 플레이트를 서로 연결하는 복수의 활모양 변형가능
    링크, 이들 링크는 상기 붙임 플레이트 사이에 가늘고 긴 통로를
    한정하도록 정렬되고, 상기 고정 장치는 뼈의 모양에 합치되도록
    3차원에서 윤곽가공될 수 있고;
    고정 장치의 온도를 유리 전이 온도(Tg) 이상으로 상승시키고;
    고정 장치를 뼈 위에 위치시키고;
    뼈의 해부학적 모양에 실질적으로 합치되도록 고정 장치를 변형시키고;
    고정 장치의 온도를 유리 전이 온도(Tg) 미만으로 냉각시키고;
    고정 장치를 뼈에 부착시킨다.
  50. 제 49항에 있어서, 붙임 플레이트 중에서 적어도 일부는 파스너 구멍을 보유하고, 상기 방법은 파스너를 제공하고, 파스너 구멍의 적어도 일부를 통하여 파스너를 삽입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여기서 이들 파스너는 고정 장치를 뼈에 부착시키는데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1. 제 49항에 있어서, 붙임 플레이트 중에서 적어도 일부에 파스너 구멍을 형성하고, 파스너를 제공하고, 파스너 구멍의 적어도 일부를 통하여 파스너를 삽입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여기서 이들 파스너는 고정 장치를 뼈에 부착시키는데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2. a) 복수의 이격된 붙임 플레이트;
    b) 이들 붙임 플레이트를 서로 연결하는 복수의 변형가능 링크;
    c) 붙임 플레이트 사이에 산재된 복수의 가늘고 긴 통로를 보유하는 적어도 첫 번째 재흡수성 고정 장치;
    상기 고정 장치를 뼈에 부착시키기 위한 복수의 파스너를 포함하는 재흡수성 윤곽가공성 고정 장치 키트에 있어서,
    상기 붙임 플레이트와 링크는 재흡수성 재료로 만들어지고,
    상기 고정 장치는 3차원에서 윤곽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흡수성 윤곽가공성 고정 장치 키트.
  53. 제 52항에 있어서, 링크는 휘어진 활 모양을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54. 제 53항에 있어서, 링크는 나선 패턴으로 붙임 플레이트로부터 외부로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55. 제 52항에 있어서, 붙임 플레이트 중에서 적어도 일부는 파스너 구멍을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56. 제 52항에 있어서, 파스너 중에서 적어도 일부는 재흡수성 재료로부터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57. 제 52항에 있어서, 파스너는 스크루 또는 압정을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58. 제 52항에 있어서, 적어도 첫 번째 고정 장치는 정사각형, 원형, 초승달 모양에서 선택되는 모양을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59. 제 52항에 있어서, 적어도 두 번째 재흡수성 고정 장치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두 번째 고정 장치는 적어도 첫 번째 고정 장치와 상이한 전체 치수를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60. 제 52항에 있어서, 적어도 두 번째 재흡수성 고정 장치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두 번째 고정 장치는 적어도 첫 번째 고정 장치와 상이한 모양을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61. 제 52항에 있어서, 적어도 두 번째 재흡수성 고정 장치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두 번째 고정 장치는 적어도 첫 번째 고정 장치와 상이한 두께를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62. 제 60항에 있어서, 적어도 세 번째 재흡수성 고정 장치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세 번째 고정 장치는 적어도 첫 번째와 두 번째 고정 장치와 상이한 모양을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63. 제 1항에 있어서, 재흡수성 재료는 방사성 투과성인 것을 특징으로 재흡수성 고정 장치.
KR1020067015047A 2003-12-30 2004-12-22 재흡수성 외과적 고정 장치 KR200700173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15047A KR20070017315A (ko) 2003-12-30 2004-12-22 재흡수성 외과적 고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749,345 2003-12-30
KR1020067015047A KR20070017315A (ko) 2003-12-30 2004-12-22 재흡수성 외과적 고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7315A true KR20070017315A (ko) 2007-02-09

Family

ID=43651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5047A KR20070017315A (ko) 2003-12-30 2004-12-22 재흡수성 외과적 고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1731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2730B1 (ko) * 2007-12-18 2010-04-13 주식회사 제일메디칼코퍼레이션 뼈 고정부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2730B1 (ko) * 2007-12-18 2010-04-13 주식회사 제일메디칼코퍼레이션 뼈 고정부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149032A1 (en) Resorbable surgical fixation device
JP2007530140A (ja) 骨固定用インプラント
US5139497A (en) Orbital repair implant
US9468480B2 (en) Completely resorbable connective tissue distraction devices and techniques
US586874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ing adjacent bone portions
US5814048A (en) Cranioplasty plates and method of installation
US20060116682A1 (en) Surgical implant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US5373860A (en) Apparatus for and method of contouring plates for bone fixation
JP2004512090A (ja) 非金属製インプラント装置と、術中に組み立ておよび固定する方法
EP1957128A2 (en) Craniofacial implant
MX2011008822A (es) Soporte o placa de fijacion para femur pediatrico.
WO2021240427A1 (en) Expandable medical implant for adolescent cranium defects
KR20070017315A (ko) 재흡수성 외과적 고정 장치
CN207666681U (zh) 一种高强度可吸收骨折内固定骨板
JP3099430U (ja) 医療用骨板
Yaremchuk et al. Microfixation of acute orbital fractures
CN214104584U (zh) 一种用于踇外翻截骨矫正的异形钢板
CN217744559U (zh) 记忆合金钉脚固定器
CN216823620U (zh) 一种掌骨矫形加压锁定板
CN110368150B (zh) 一种椎体复合性修复系统
CN212089703U (zh) 一种前路枕颈固定手术钢板
CN112353476A (zh) 一种用于踇外翻截骨矫正的异形钢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