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15615A - 이동단말 위치 결정 - Google Patents

이동단말 위치 결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5615A
KR20070015615A KR1020067026155A KR20067026155A KR20070015615A KR 20070015615 A KR20070015615 A KR 20070015615A KR 1020067026155 A KR1020067026155 A KR 1020067026155A KR 20067026155 A KR20067026155 A KR 20067026155A KR 20070015615 A KR20070015615 A KR 200700156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sections
site
distance
mobile station
estim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61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76314B1 (ko
Inventor
마우리지오 에이. 스피리토
에로 실라스토
Original Assignee
노키아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키아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노키아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700156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56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63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63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14Determining absolute distances from a plurality of spaced points of known loc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87Combinations of radar systems, e.g. primary radar and secondary radar
    • G01S13/878Combination of several spaced transmitters or receivers of known location for determining the position of a transponder or a reflect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0205Details
    • G01S5/021Calibration, monitoring or corr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무선통신망에서 이동국에 관한 위치추정치를 생성하는 방법이며, 이 방법은, 이동국 및 제1사이트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무선링크에 관련한 제1측정데이터를 수신하고 제1측정데이터에 기초하여 제1사이트로부터 이동국의 제1거리추정치를 제공하는 단계; 이동국 및 제2사이트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무선링크에 관련한 제2측정데이터를 수신하고 제2측정데이터에 기초하여 제2사이트로부터 이동국의 제2거리추정치를 제공하는 단계; 제1거리추정치에 상응하는 제1반경의 제1사이트에 중심을 둔 제1원과 제2거리추정치에 상응하는 제2반경의 제2사이트에 중심을 둔 제2원 사이의 제1 및 제2 교차점들을 결정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1 및 제2 교차점들은 제1 및 제2 사이트들을 통과하는 선의 대향 측면들에 놓이는 단계; 및 제1 및 제2 교차점들 중의 적어도 하나를 위치추정치의 결정에 이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동단말 위치 결정{Locating mobile terminals}
본 발명은 특히 다수의 정보원들을 이용하지만 그것에 한정되지는 않는 상황에서 이동단말의 통신망에서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동단말의 위치를 정확하게 나타내는 능력은 이동전화망의 바람직한 특징이다. 이것은 고객 서비스들의 사용자들의 소재를 아는 것에 의존하여 그 서비스들을 제공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최신의 국소 트래픽 정보는 사용자가 근처의 트래픽 정체(jam)를 피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는 예를 들면 그들의 현재 위치로부터 가장 가까운 여관이나 레스토랑에 어떻게 가야할지를 알고 싶어할 수도 있다. 분명히 사용자의 위치는 운행하는 이 유형의 서비스들에 대해 수 미터 내까지도 확인되어야만 한다.
이동단말의 위치를 알고 있고 싶어하는 다른 이유는 정확한 개인 위치를 제공할 수 없는 발신자를 응급서비스가 위치 추적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동전화기의 위치를 그 전화기가 위치하는 네트워크의 셀에 관해서 제공하는 것은 GSM이동통신망에서 알려져 있다. 각 셀은 하나의 기지국을 포함하고 전화기는 주어진 시간에 하나의 기지국과만 트래픽 통신하고 있다. 그래서 셀 영역 정확도까지의 전화기의 위치는 전화기가 어느 기지국과 통신하고 있는가를 단순히 확 인하는 것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그런 방법들은 셀기반 위치결정 방법들로서 알려져 있다. 다른 방법들은 셀 신원(cell identity; CI), 이를테면 삼각측량방식(triangulation system)과 조합될 수 있는데, 삼각측량방식에서는 특정 이동전화기의 위치가 그것에 가장 가까운 적어도 3개의 기지국들(그것들 중의 2개는 이동전화기기 위치된 셀에 인접한 셀들에 위치됨)로부터의 제어신호들을 이용하여 계산된다. 이 방식은 전화기의 기지국으로부터의 거리가 기지국이 전화기로부터 수신하는 신호의 강도 또는 전화기와 개별 기지국 사이를 이동하는 신호가 걸린 시간에 비례한다는 가정을 이용한다. 그래서 전화기의 위치는 3개의 기지국들 사이의 수신된 신호들의 상대강도들 또는 이동시간들을 비교하여 사용자의 각 기지국으로부터의 거리를 평가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그러면 기지국들의 위치가 알려지고 정해지므로 사용자의 실제 위치는 기하학적으로 얻어질 수 있게 된다.
광대역 부호분할 다중접속(W-CDMA) 시그널링 시스템을 이용하는 3세대 파터너십 프로젝트(3GPP) 네트워크에서, 이동단말이 임의의 한 때에 하나를 넘는 기지국들과 능동 통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상황은 "소프트 핸드오버(soft handover)"로서 알려져 있고, 그것은 이동단말이 네트워크의 셀들 사이를 이동할 때 그 이동단말이 하나의 기지국에서부터 다른 기지국으로 핸드오버되는 GSM시스템의 하드 핸드오버와는 다르다. 소프트 핸드오버의 성질 때문에, GSM에 적합한 전술한 셀기반 모바일 위치결정 절차들은 W-CDMA형 시그널링 시스템에서 항상 사용될 수는 없다. 그러므로, 이 유형의 시그널링 시스템에서 이동단말의 위치를 결정하는 더 믿을만한 방법들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게 되었다.
W-CDMA에서 "소프터 핸드오버"도 정의되어 있다. "소프터 핸드오버"의 경우에 이동국이 통신하고 있는 기지국들의 안테나들은 함께 위치된다(예컨대 그것들은 동일한 물리적 위치 또는 사이트에 설치된다). 이 문서의 나머지부문에서, 용어 "소프트 핸드오버"는 "소프터(softer) 핸드오버"의 경우도 포괄하도록 사용되기도 할 것이고, 이 기술분야의 당업자에 의해서는 이 발명과 그것의 설명되는 실시예들이 소프트 핸드오버뿐 아니라 소프터 핸드오버에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위치 추정치의 계산 및 사용자장비(User Equipment; UE)의 위치 추정치에 연관된 "신뢰 영역(confidence region)"을 지향하는 위치결정 기법들이 알려져 있다.
하나의 그러한 기법은 셀 신원 및 왕복소요시간(Cell Identity and Round Trip Time; CI+RTT) 위치결정 방법이다.
UMTS에서의 CI+RTT 위치결정 방법은 왕복소요시간(RTT) 및 Rx-Tx시간차(RxTxTD) 측정치들의 가용성에 의지한다. RTT 및 RxTxTD 측정치들은 UMTS FDD(Frequency division duplex)에 도입되어 CI+RTT 위치결정 방법의 구현을 허용한다.
RTT는 RTT = TRx UL - TTx DL로서 정의되고 여기서 TTx DL은 사용자장비(UE)로의 다운링크 전용 물리채널(DPCH) 프레임의 처음의 전송시간이고 TRx UL은 사용자장비(UE)로부터의 상응하는 업링크 DPCCH(Dedicated Physical Control Channel)/DPDCH(Dedicated Physical Data Channel) 프레임의 처음(시간상 처음 검출된 경로)의 수신시간이다.
RTxTxTD = TTx UL - TRx DL은 UE 업링크 DPCCH/DPDCH 프레임 전송(TTx UL)과 측정된 무선링크로부터의 다운링크 DPCH의 (시간상) 처음 검출된 경로(TRx DL) 사이의 시간상의 차이이다.
RTT들은 기지국들에 의해 측정되며, RxTxTD들은 UE에 의해 측정된다.
동일한 기지국에 의지하는 한 쌍의 RTT 및 RxTxTD 측정치들을 조합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장비(UE)와 기지국 사이의 거리는 추정될 수 있다. 그러한 거리추정치는 GSM에서 하나의 시간선행치(Timing Advance; TA)로부터 얻어질 수 있는 거리추정치와 유사하다. 이 의미에서, CI+RTT 위치결정 방법은 GSM에서의 셀 신원+시간선행(CI+TA) 위치결정 방법에 상응한다. 그러나, UMTS FDD의 다음 2가지의 특정 특징들은 CI+RTT 방법을 GSM의 CI+TA 방법보다 잠재적으로 더 정확해지게 만든다:
1. GSM 비트 주기에 비해 훨씬 짧은 UMTS 칩 주기는 GSM의 시간선행치(TA)로부터 또는 UMTS의 (RTT, RxTxTD)쌍으로부터 거리추정치가 결정될 수 있게 하는 분해능에 영향을 미친다. 하나의 GSM 비트 주기는 대략 1100미터에 맞먹지만 하나의 UMTS 칩 주기는 대략 80미터에 맞먹고, 그래서 UMTS의 거리측정치 분해능은 GSM에서보다 양호하다.
2. UMTS에서 사용자장비(UE)는 소프트 핸드오브될 수 있다. UMTS 표준들은 각 활동성 무선링크에 대해 RTT들 및 RxTxTD들이 측정되는 것을 필요로 하며 그래서 다수의 거리추정치들이 UMTS에서 하나의 UE를 위치 결정하는데 잠재적으로 이용가능하게 될 수 있다. GSM에서는 TA가 고유한 서빙 셀에 대해서만 이용가능하므로 이것은 가능하지 않다.
CI+RTT 위치결정 방법에서 위치가 결정되는 것이 소망되는 사용자단말(UE)의 미지의 지리좌표들은 활동집합(active set)에서 UE 및 기지국들 간의 절대거리 측정치들을 조합하는 것에 의해 추정된다. 각 절대거리 측정치는 각 (RTT, RxTxTD)쌍으로부터 계산된다.
현존하는 CI+RTT 위치결정 방법들은 넓게는 2개의 일반 범주들인 단일-사이트 위치결정 방법들 및 다수-사이트 위치결정 방법들에 속한다고 여겨진다. 사용자단말(UE)이 3곳 이상의 사이트들에 위치되는 셀들과 활동성 무선링크들을 가질 때 다수-사이트 위치결정 방법들을 구현하기 위한 다수의 양호하고 알맞게 정확한 알고리즘들이 있다. 그러나, 그런 방법들은 둘 이하의 사이트들이 위치 계산을 위해 이용 가능할 때 자주 실패한다.
W-CDMA UE에 할당된 활동성 무선링크들의 수를 (네트워크 부하를 제한하기 위해) 제한할 필요성은, 2개의 사이트만을 이용하여 위치추정치를 계산할 가능성이 위치추정치를 계산하기 위해 이용가능한 사이트들을 3개 이상 가질 가능성보다 훨씬 높아지게 한다. 그러므로, 2개의 자리만이 이용가능할 때 UE 위치의 양호한 추정치를 제공할 수 있는 위치결정 방법이 진정 필요하다.
여기서는 논의되는 위치결정 방법들은 3개 미만의 사이트가 이용가능한 상황 에서 특히 가치있지만 그것들은 3개 이상의 사이트들을 가지는 상황에서도 당연히 잘 이용될 수 있다는 것에 주의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에 따르면, 무선통신망에서 이동국에 관한 위치추정치를 생성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이 방법은, 이동국 및 제1사이트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무선링크에 관련한 제1측정데이터를 수신하고 제1측정데이터에 기초하여 제1사이트로부터 이동국의 제1거리추정치를 제공하는 단계; 이동국 및 제2사이트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무선링크에 관련한 제2측정데이터를 수신하고 제2측정데이터에 기초하여 제2사이트로부터 이동국의 제2거리추정치를 제공하는 단계; 제1거리추정치에 상응하는 제1반경의 제1사이트에 중심을 둔 제1원과 제2거리추정치에 상응하는 제2반경의 제2사이트에 중심을 둔 제2원 사이의 제1 및 제2 교차점들을 결정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1 및 제2 교차점들은 제1 및 제2 사이트들을 통과하는 선의 대향 측면들에 놓이는 단계; 및 제1 및 제2 교차점들 중의 적어도 하나를 위치추정치의 결정에 이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가 양태는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에 이동국을 위해 위치추정치를 생성하기에 적합하게 된 네트워크 엔티티를 제공하며, 이 네트워크 엔티티는, 이동국과 제1 및 제2 사이트들 각각 사이에 확립된 무선링크들에 관련한 측정데이터를 수신하고, 측정데이터에 기초하여 제1 및 제2 사이트들 각각으로부터 이동국의 제1 및 제2 거리추정치들을 제공하는 수단; 제1거리추정치에 상응하는 제1반경의 제1사이트에 중심을 둔 제1원과 제2거리추정치에 상응하는 제2반경의 제2사이트에 중심을 둔 제2원 사이의 제1 및 제2 교차점들을 결정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제1 및 제2 교차점들은 제1 및 제2 사이트들을 통과하는 선의 대향 측면들에 놓이는, 수단; 및 위치추정치의 결정에 제1 및 제2 교차점들 중의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양호한 이해를 위해 그리고 본 발명이 이행될 방법을 보이기 위해, 첨부 도면들에 대해 참조될 것이다.
도 1은 거리 추정 장비의 개념 블록도이며;
도 2는 RTT 및 TD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3은 셀룰러 통신망의 부분의 스케치이며;
도 3a는 SELRP 위치결정 방법의 개요도이며;
도 3b는 도 3a의 SELRP 위치결정 방법의 흐름도이며;
도 4는 WSS 위치결정 방법의 개요도이며;
도 5는 WSC 위치결정 방법의 개요도이며;
도 6은 CI+RTT 위치결정 방법을 이행하기 위한 장치의 개념 블록도이며;
도 7은 아크(원호) 형상의 신뢰영역을 보이며;
도 8은 네트워크의 구조의 개요도이며; 그리고
도 9는 IDI방법의 개요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을 설명하기 전에, 거리추정치를 계산하기 위한 하나의 가능성의 상세한 설명이 도 1을 참조하여 먼저 설명될 것인데, 이것이 다음에 논의된 위치결정 방법들의 중요한 구성요소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다른 거리추정기법들이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인정될 것이다.
도 1은 왕복소요시간(RTT) 및 Rx-Tx시간차(TD)로 된 측정치 쌍들의 집합으로부터 얻어지는 거리추정계산에 연루된 블록들을 도시하는 개념 블록도이다. 도 2는 이 거리들이 이동통신망에서 무엇을 나타내는지를 도시한다. 도 2는 이동전화기 또는 다른 이동단말의 형태일 수 있는 사용자장비(UE)와, 범용 전기통신 무선접속망(UTRAN) 시스템에서의 기지국을 나타내는 노드 B를 도시한다. 노드 B로부터 디스패치되는 도 2의 DL DPCH로 표시된 다운링크 전용 물리채널 신호는 사용자장비(UE)에 도달하기 위해 일정량의 시간을 요한다. 다운링크 신호에 대한 업링크 응답이 사용자장비로부터 노드 B에 되돌아가기 전에 사용자장비에서 시간지연(TD)이 있다. 이 응답은 도 2에서 UL DP(C/D)CH라고 표시된다. 다운링크 신호의 디스패치부터 상응하는 업링크 신호의 수신까지 측정된 총 회선시간은 왕복소요시간(RTT)이다. 즉, 그것은 다운링크 전용 물리채널(DPCH) 프레임의 사용자장비(UE)로의 처음의 전송시간과 상응하는 업링크(UL) 전용 물리제어채널(DPCCH)/전용 물리데이터 채널(DPDCH) 프레임의 사용자장비로부터의 처음의 수신시간 사이의 차를 나타낸다.
시간차 TD는 설명된 것처럼 업링크 UL DPCCH/DPDCH 프레임 전송과 다운링크 DPCH 프레임의 처음 검출된 부분 사이의 시간상의 차이이다. 이 지연(TD)은 전형적인 경우에는 1024개의 칩 주기들과 명목상 동일하다. RTTi, TDi 값들의 측정치 쌍이 이동통신망에서 각 i번째 활동성 무선링크로부터 거리추정장비에 공급된다. 함 께 위치되는 셀들을 위한 측정들이 다루어지는 방식은 이행되어야 할 위치결정 방법에 의존하여 달라지는데 그것은 다음에서 명료하게 될 것이다. 도 1을 설명할 목적으로, 하나의 거리추정치는 함께 위치되는 셀들에 의해 공급되는 활동성 무선링크들로부터 측정된 RTT, TD 측정치 쌍들의 집합으로부터 얻어진다고 가정된다.
측정치 쌍들은 도 1에서 화살표 2에 의해 표시되는데, 각 쌍은 개별 확률함수결정 블록(4)에 공급되고 있다. 각 확률결정 블록(4)은 각 RTT 및 TD 측정치 쌍으로부터 이중통달거리(double range distance) 추정치(dDR)를 계산하는 이중통달거리 추정계산기(6)를 포함한다. dDR은 사용자장비 및 서빙 셀의 사이트에 있는 노드 B의 위치 사이의 거리의 미터로 표현되는 추정치이다. 그것은 RTT로부터 TD값 기여분을 제함으로써 얻어지는 이른바 이중통달거리(DR)를 미터 단위의 정수로 변환하는 것에 의해 계산된다. 통계데이터 블록(8)은 이중통달거리 추정에서 있음직한 측정오차의 추정치를 제공하는 모아져 있는 선험적 통계데이터를 유지한다. 즉, 사용자장비(UE) 및 서빙 셀 사이의 정확한 거리(d)가 주어지면, 이중통달거리 측정오차인 x = d - dDR이 계산될 수 있다. 그러한 오차는 다중경로와 비가시선 전파, 측정 알고리즘 부정확성, 측정 유한 분해능에 의해 도입된 입도(granularity) 등의 몇몇 요인들의 결과로서 일어날 수 있다. 이 종류의 데이터를 미리 측정하는 것에 의해, 이중통달거리 측정오차의 확률밀도함수는 결정될 수 있고 이것은 확률밀도함수(probability density function; PDF)결정 블록(10)에 공급되며, PDF결정 블록은 DR 측정오차의 PDF인 fX |DR(x|DR)를 DR거리추정치(dDR)와 조합하여, 각각의 함께 위치 되는 서빙 셀로부터의 UE거리의 PDF인 fd | DR(d|DR)=fx | DR(x=d-dDR|DR)을 얻는다.
그 다음 모든 함께 위치되는 서빙 셀들로부터의 거리들의 확률밀도함수들이 하나의 확률밀도함수인 fd(d)로 조합(combine)되는데 그것은 모든 서빙 셀들의 안테나들이 설치되는 사이트로부터의 사용자장비(UE)의 거리의 확률밀도함수를 나타낸다. 이것은 PDF조합 블록(12)에서 행해진다. 일단 조합된 PDF가 이용가능하면, 거리추정은 거리추정 블록(14)에서 수행된다. 거리추정의 결과는 다음 3개의 값들로 표현된다:
Figure 112006092041231-PCT00001
거리추정치 dESTμ0
Figure 112006092041231-PCT00002
내부 반경 0[R1[dEST
Figure 112006092041231-PCT00003
불확실성 반경 R2μ0
거리추정치(dEST)는 PDF들로부터의 조합된 거리분포의 중앙값으로서 계산된다. 내부 반경 및 불확실성 반경은 신뢰구간 [R1, R1+R2]을 정의하는데 이 신뢰구간 내에서 사용자장비(UE)의 정확한 거리(d)가 미리 정해진 신뢰계수(
Figure 112006092041231-PCT00004
)와 부합되도록 추정된다. 이 신뢰계수의 값은 위치결정 알고리즘의 사용자에 의해 요구된 목표(target) 신뢰레벨에 의존하고, 도 1에 보인 바와 같은 거리추정 블록(14)에 입력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서 사용자장비(UE)의 위치를 추정하기 위한 기법의 설명이 이제 기술될 것이다. 도 3은 이 방법이 사용될 수 있는 물리적 상황을 도시한다.
도 3은 사이트 A의 제1기지국과 사이트 B의 제2기지국을 도시하는 셀룰러 통신시스템의 부분을 나타낸다. 각 기지국은 적절히 지향된 안테나들로 3개의 셀에 서비스한다. 셀들은 C1, C2 등으로 표시되고 안테나들은 a1, a2 등으로 표시된다. 각 사이트에서의 안테나의 배향(orientation)은 알려져 있고, 셀 신원(CI)은 예를 들면 안테나 배향 데이터를 포함한 네트워크 데이터를 제공한다고 가정된다. 사용자장비(UE)는 사이트 A에서는 소프터 핸드오버로 보이고 있고, 즉 안테나(1)로 확립된 제1무선링크(RL1)와 안테나(3)로 확립된 제2무선링크(RL3)를 가진다. 사용자장비(UE)는 또한 사이트 B에서는 기지국의 안테나(5)와의 확립된 무선링크(RL5)를 가진다.
도 3a는 위치결정 방법들을 위한 선택방법(SELM)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네트워크들에서 이행되는 SELRP(selecting reference point) 방법이라고 하는 위치추정방법의 결정을 도시하는 개요도이다. 도 3a는 사이트 A 및 사이트 B로 표시된 2개의 기지국들을 보이며 그것들의 개별 안테나들은 안테나 방향들을 대략적으로 화살표에 의해 도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SELRP 위치결정 방법의 흐름도가 도 3b에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3a는 사이트 A에 중심을 둔 다른 반경들의 2개의 원들(21, 23)과 사이트 B에 중심을 둔 원(24)을 도시한다. 이 원들의 반경들은 도 1을 참조하여 위에서 논의된 거리추정장비를 이용하여, 사이트 A 및 사이트 B에 위치될 이동국으로 부터 수신된 RTT 측정데이터에 기초하여, 얻어졌던 거리추정치들이다. 또한 도 3a는 사이트교차선(50)을 도시하는데, 그것은 사이트 A 및 B를 통과하고 그 영역을 제1 및 제2 측들인 사이드 1 및 사이드 2로 분할한다. 원들(21 및 23)은 원(24)과는 교차점들에서 교차하는데, 그 교차점들은 그것들이 속한 측에 따라 사이드 1에 속한 점들인 I1 ,1, I1 ,2와 사이드 2에 속한 점들인 I2 ,1, I2 ,2로 표시된다. 이 교차점들은 그것들이 2개의 다른 사이트들로부터의 2개의 다른 추정들을 완전히 만족한다는 요건을 충족하지만, 사이드들 중 어느 것을 선택할 것인지, 그리고 교차점들이 하나를 넘을 경우 교차점들 중의 어느 것이 특정 사이드에 있는지의 문제는 남아있다.
가장 가능한 교차들의 추론에 기초하여 선택을 행하는 절차가 이제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첫단계로서, 복수 개의 다른 위치추정치들이 다수의 다른 위치추정치 생성방법들을 이행하는 것에 의해 생성된다. 이것은 도 3b에서 단계 S1으로 표시된다. 2개의 그러한 방법들의 결과로서 생성완료된 추정치들은 도 3a에서 Est WSS 및 Est WCS로 표시되어 있다. Est WSS는 가중된 단일 사이트(weighted single site; WSS) 방법에 의해 생성되는 위치추정치이다. Est WCS는 가중된 단일 셀(weighted single cell; WSC) 방법에 의해 생성되는 위치추정치이다. 이 방법들은 다음에서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단계 S2에서, 원들의 모든 교차들을 위한 좌표들이 정의된다. 각 사이트에 관해 하나 이상의 교차점들이 있을 수 있는데, 그 수는 얻어지는 거리추정치들의 수에 의존하고, 그래서 확립된 교차원들의 수에 의존한다.
단계 S3에서, 교차점들은 사이트교차선(50)에 의해 2개의 집합으로 분리된다. 그 집합들은 I1, I2로서 정의되고, 여기서 I1은 교차점들(I1 ,1:I1 ,k)을 포함하고 I2는 교차점들(I2 ,1:I2 ,k)을 포함하며, 여기서 k는 집합들(I1 및 I2)의 각각에서 원소(구성원들)의 수를 나타낸다. I1의 모든 원소들은 사이트교차선(50)의 일 측에 놓인다고 먼저 정의되고 I2의 모든 원소들은 사이트교차선(50)의 타 측에 놓인다고 정의된다. 도 3a에서, k=2이고, 집합 I1은 I1 ,1, I1 ,2를 포함하는데 집합 I2는 I2,1, I2 ,2를 포함한다.
단계 S4에 의하면, 예를 들면 다음 중의 하나일 수 있는 거리계산방법을 이용하여 그 사이드의 확률에 관련된 수치들이 계산된다:
1. n번째 사이트로부터 m번째 위치추정치의 거리(rmn)를 계산하고, 이것을 원래의 거리추정치에 이용하여 에러에 기초한 비용함수를 최소화한다:
emn = dest ,n - rmn
여기서 dest ,n은 원들(21, 23, 24)의 반경들을 확립하기 위해 얻어졌던 거리추정치이다.
비용함수(fm)은
Figure 112006092041231-PCT00005
또는
Figure 112006092041231-PCT00006
일 수 있다.
2. m번째 위치추정치로부터 각 교차점까지의 거리들을 각각 계산하고, m번째 위치추정치로부터 모든 교차점들까지의 거리들을 분리하여 합산한다(SUM1, SUM2).
단계 S5에서, 미리 결정된 위치추정치들의 위치(이 경우, Est WSC 및 Est WSS)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가장 가능성 있는 사이드가 선택된다. 도 3a에서, 사이드 2가 선택된다는 것은 분명하다. 그러나, 그렇게 분명하지 않을 수도 있는데(예를 들면 생성된 위치추정치들이 교차선(50)의 서로 다른 측들에 위치되는 경우), 그 경우에, 그 사이드를 위한 확률은 단계 S4에서 결정되었던 거리들에 기초하여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방법 1)이 사용되는 경우에, 1)에서 사용된 함수들로부터의 결과들이 WSS의 경우 f_WSS=10이고 WSC의 경우 f_WSC=73이라고 가정한다. 이제, f_WSS의 값이 양호하므로(작으므로), estWSS가 오른쪽에 있다고 결정될 수 있다. 하지만 만일 f_WSC가 15였다면, 사이드는 그렇게 자명하지 않다. 확률들이 제공될 수 있는데, 예컨대, WSS의 사이드 = function_A(f_WSS, F_WSC)이고 다른 사이드의 확률은 (1-WSS_probability)일 수 있다. 1)에서 이용되는 함수에 자연스레 의존하여 많은 함수들이 이용될 수 있다.
방법 2)의 경우에, WSS_1=48 및 WSS_2=973과 같이 각 추정치에 대해 2개의 거리들이 있을 수 있고 WSC_1=66, WSC_1=60은 2개의 사이드들을 언급한다. 합산방법을 이용하면, 48+66=114와 973+60=1033을 얻을 수 있고, 사이드 1을 선택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면 1033/(114+1033)=90%와 같이 사이드 1에 더 큰 확률을 부여할 수 있다. 많은 함수들이 이용될 수 있다.
단계 S4 및 S5의 결과들에 기초하여, 단계 S6에 의하면, 집합 I1과 집합 I2 중의 어느 하나가 선택된 사이드에 기초하여 선택된다. 계산에서 이용되었었던 어느 확률들이라도 이 집합들을 상속하고 있다. 만일 사례가 명료하지 않다면(예를 들면 사이드 1과 2에 대해 20%/80%와 같은 확률들을 얻는다면), 사이드를 선택하는 것을 계속하지 않아야 하지만, 그 지식을 위치결정에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이드 1의 예비추정치들에 20% 가중치를 줄 수 있고 사이드 2에서는 80%의 가중치를 줄 수 있고, 가중된 평균을 취할 수 있다. 대안으로, IDI 방법(나중에 논의됨)이 이용될 수 있다.
이 결과의 중간결과들은 전체 절차가 수행되지 않을 수 있는 경우에도 위치결정에 유익하도록 이용될 수 있다.
집합 내의 최상의 교차점은 거리들에 관련하여 단계 S4에서 수집된 정보에 기초한 확률을 이용하여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만일 방법 1) 또는 2)에 의해 사이드 1이 선택되었다면, 그리고 그 사이드에서 교차지점 A 및 B까지의 거리가 WSS_A=223, WSS_B=20이라면, 다양한 확률방법들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이 수치들에 기초하여 확률들을 결정할 수 있다. 이것은 단계 S7에서 나타나 있다. 정확한 집합을 해가 정확하다는 합리적인 확률로 선택할 가능성이 있었다면 단계 S7에 도달된다. 단계 S6에서, 만일 그 경우가 아니라면, 절차는 단계 S8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중단된다. 이것은 예를 들면 서로 다른 사이트들에서의 안테나 배향들 때문에 결과들이 적당한 선택을 행하는데 너무 물의를 일으킨다고 생각되는 경우일 수 있다. 만일 최종 선택에 도달된다면 그것은 최종 위치 추정으로서 주어질 수 있다(적어도 그것의 확률이 얼마간의 정확한 한계(50%, 75%, 또는 99%와 같이)에 도달한다면). 만일 교차들의 최고 확률들의 그러한 집합이 취해지지 않는다면 그것은 정확도 한계를 충족하지 않고 최종 추정은 그것들로는, 예컨대, 가중된 평균에 의해서는 행해질 수 없다. 그 방법은 2개의 사이트에 적용되었지만, 2개를 쌍으로 하는 많은 사이트들에 대해서도 활용될 수 있다.
도 3c는 위에 기재된 방법을 이행하기 위한 기능 블록도의 개요 블록도이다. 이 기능블록들은 예시 목적만을 위한 것이고, 그 방법은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임의의 적당한 조합을 이용하여 이행될 수 있다는 것에 주의한다. 그러므로 기능 블록들은 서로 다른 기능들을 이행하기 위한 서로 다른 프로그램들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들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들의 부분을 나타낸다고 간주될 수 있다. 기능블록(100)은 거리추정치들을 수신하고 제1 및 제2 교차점들 또는 교차점들의 집합들을 결정한다. 부가하여, 그것은 확률결정기(102)를 구비하는데 확률결정기는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연관된 확률들을 계산한다. 확률들 및 교차점들은 기능블록(104)에 공급되고 기능블록(104)은 그 정보를 위치추정치(Est)를 결정할 때에 이용한다. 선택수단(106)은 확률들을 이용하여 가장 그럴듯한 사이드 또는 교차점들의 집합을 선택한다. 만일 선택이 행해질 수 없다면, 확률정보(P)가 출력되거나 다르게는 IDI방법(108)이 이행될 수 있다.
WSS 및 WSC 방법들은 이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4는 위치추정치를 WSS방법을 이용하여 얻을 수 있는 방법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4에서 Est 4로 표시된 제1추정위치는 다음의 방식으로 얻어진다. 무 선링크들(RL1 및 RL3) 각각으로부터의 (RTT, TD)쌍들은 도 1에 도시된 거리추정장비에서 조합되고, 도 4에서 전부 보이고 20으로 표시된 원의 반경을 나타내는 추정된 거리(dEST)가 생성된다. 원(20) 바로 안과 밖의 점선 원들은 추정된 거리를 위한 다른 측정들을 나타내는데, 그것은 아래에 논의되는 WSS방법에 관련하여 더 충분히 논의될 것이라는 점에 주의한다.
예비 단일 사이트 CI+RTT 위치추정치는, 도 1에 관해서 위에서 설명된 기법을 이용하여 얻어진 거리추정치와, CI로부터 네트워크 데이터에 기초하여 단일 사이트 CI+RTT 로케이션을 이용하여 도달된 각도추정치를 이용하여 얻어진다. 무선링크들을 생성하는 2개의 안테나, 이 경우 a1 및 a3의 "평균된" 배향이 생성된다. 각 예비위치추정치는, 나중에 논의되는 단일 사이트 CI+RTT 방법을 이용하여, 각 셀의 사이트에 중심을 둔 극 기준계(polar reference system)로 계산된다. 그래서 제1위치추정치(Est 4)는 안테나들(a1, a3)의 평균화된 배향을 따라 거리 dEST4에 놓이는 것으로 보일 수 있다. 2개의 안테나의 배향의 평균에 기초한 것인 사용되는 배향값은 단순하지만 기본인 측정치라는 것이 쉽사리 인식될이다. 사용자장비(UE)에 관련한 더 정확한 배향 정보가 이용가능하다면, 그것은 제1위치추정치(Est 4)를 결정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다.
제2위치추정치가 사이트 B에 대해 얻어지며, 이 경우에 단일 RTT, TD 측정치 쌍을 도 1의 위치추정장비에 인가하고 이 경우에 도 4에서 24로 표시된 원의 반경 을 나타내는 추정된 거리(dEST1)를 생성한다. 단일 RTT, TD 쌍이 도 1의 거리추정장비에 입력될 때, 블록(12)의 PDF조합단계를 수행할 필요가 없는데, 거리추정 블록(14)에 직접 공급되는 단일 PDF만이 결정되기 때문이라는 것에 주의한다. 이 경우에, 단일 무선링크(RL5)가 있고 그래서 도 4에서 Est 1로 표시되며 추정된 거리(DEST1)를 그 안테나(a5)의 배향으로 획득함으로써 생성되는 위치추정이 가장 단순한 경우이다. 다시, 안테나 배향을 위한 각도 추정치는 단일 사이트 CI+RTT 위치결정 방법을 사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Est WSS라고 표시된 최종 위치추정치는 예비 위치추정치들(Est 1, Est 4)의 가중된 질량중심으로서 얻어진다. 즉, 예비 위치추정치의 좌표들은 (극 또는 데카르트 기준 프레임에 대해) 취해지며, 가중된 다음 평균 된다.
데카르트 기준계(Cartesian reference system)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이용될 수 있는 알고리즘은 그것의 신호가 MS에 의해 수신되는 UE의 추정된 x (및 개별적으로 y)의 좌표들을 다음에 주어지는 x (및 개별적으로 y) 사이트 좌표들의 가중된 평균으로서 얻으며:
Figure 112006092041231-PCT00007
여기서 w1,...,wN 은 N개 추정치들 중의 관련된 각 하나에 할당된 적당한 가중치들 이며,
Figure 112006092041231-PCT00008
,
Figure 112006092041231-PCT00009
는 최종 추정치들의 좌표들이고 xii, yi는 각각의 예비 위치추정치의 좌표들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i-번째 가중치를 위한 하나의 적당한 정의는 각각의 예비 위치추정치에 연관되는 다음의 추정된 거리(dESTi)의 역수를 이용하는 것이다:
Figure 112006092041231-PCT00010
대체예는 모든 셀들에 대해 일정한 가중치들을 적용하는 것이다. 추가적인 대체예는 예비적인 단일 사이트 CI+RTT 위치 계산(나중에 논의됨)의 부산물로서 결정되는 원호 형상의 신뢰영역의 면적의 역수와 동일한 가중치를 이용하는 것이다. 가중치들을 결정하기 위한 다른 가능한 규준(criterion)은 더 정확한 거리측정치들로부터 비롯된다고 믿어지는 예비 위치추정치들에 더 높은 가중들을 할당하는 것이다.
가중 단일 셀(Weighted Single Cell; WSC) 방법이 지금 도 5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이 방법은 WSS방법과 유사한데 함께 위치되는 셀들로부터의 측정들이 다루어지는 방식에서 둘 간의 주요한 차이가 있다. 이 실시예가 이용될 수 있는 물리적 상황은 제1실시예를 위한 것과 즉 도 3의 상황과 유사하다는 점에 주의한다. WSC 방법에서 각 셀은 다른 셀들과 별개로 고려된다. 그래서, 예비 위치추정치들의 수는 RTT, TD 측정치 쌍들의 수와 동일하다. 이 방법은 다음과 같이 이행된다.
첫째로, 서빙 셀들의 각각을 위한 거리추정치는 도 1의 거리추정장비를 사용하여 3개의 활동성 무선링크들(RL1, RL2, RL3)의 각각에 형성된 RTT, TD 측정치 쌍들을 이용하여 얻어진다. 이 거리추정치들은 21, 23 및 24로 (앞에서처럼) 표시된 원들의 개별 반경들이다. 원들(21 및 23)은 도 4의 실시예에서 점선으로 도시되었던 그것들이다.
그러면 별도의 예비 단일 사이트 CI+RTT 위치추정치가 각 셀 사이트에 중심을 둔 극 기준계에서 계산되는 각각의 거리추정치를 위해 획득된다. 각 예비 위치추정치는 거리추정치와 동일한 셀 사이트로부터의 거리와, 그 무선링크를 위한 특정 안테나의 배향에 기초한 배향(더 정확한 방향정보가 이용가능하지 않는 한)을 가진다. 예비 위치추정치는 도 5에서 Est 1, Est 2 및 Est 3로 표시된다. 안테나 배향들은 단일 사이트 CI+RTT 위치결정 방법을 사용하여 설정될 수 있다.
Est WSC라고 표시된 최종 위치추정치는 예비 위치추정치들(Est 1, Est 2, Est 3)의 가중된 질량중심이다. 가중된 질량중심이 얻어지고 가중치들은 위에 기술된 WSS 방법에 관한 것과 동일하다.
각 사이트에서 활동성 링크들을 가지는 2개를 넘는 셀들이 있을 수 있고, 이 경우에 더 풍부한 RTT데이터가 취해질 수 있다.
위의 방법들에서, CI+RTT 위치결정 방법이 참조된다. 그러한 위치결정 방법의 일 예가 지금 도 6에 관해서 기술될 것이다. 이 방법의 목적은 UE의 지리적 좌표들과 진정한 UE 위치가 주어진 신뢰도(⑤)로 아마도 위치되는 신뢰영역을 추정하는 것이다. 추정된 UE 좌표들은 극 기준계에서 표현되는 서빙 사이트로부터 UE의 거리(⑧) 및 방위(
Figure 112006092041231-PCT00011
)이다. 도 6의 ⑧은 도 1의 dEST에 상응한다는 것에 주의한다. 다음에서, 위에서 이미 논의된 거리추정에 관련한 일부 중복 설명이 있지만, 이 경우에 다수의 사이트를 다루는 방법의 논의는 없다. 도 6에서의 유사한 번호들은 도 1에서의 유사한 부분들을 나타낸다는 것도 주의한다.
추정치들은 UE 지리적 위치의 확률분포로부터 얻어지는데, 이 확률분포는 관측들 및 선험적 통계 정보를 조합하는 것에 의해 결정된다. 선험적 통계 정보는 DR의 정확도에 관한 통계정보를 셀들의 경계 내의 UE 배향의 거리 측정치 및 분포로서 포함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위치결정 절차는 다음에서 간단히 기술되는 다른 처리단계들의 조합으로서 볼 수 있다. UMTS 기술 규격들에서의 RTT 및 Rx-Tx 시간차이의 정의를 기초로 한 양자화규칙들은 블록 6에서 각 {RTT, TD} 쌍으로부터 이중통달거리(DR), 및 이중통달거리 추정치(dDR)를 계산하는데 이용된다. 이중통달거리는 차이 RTT-TD와 동일하게 표시되는 정수이며; 그래서 그것은 활동성 무선링크를 제공하는 (함께 위치하는) 셀들 및 타겟 UE 사이의 절대거리의 2배의 추정치를 나타낸다.
공칭 거리추정의 결과로서 관측치 a=[RI,DR](블록 7)이 이용가능하다. RI는 무선링크 식별자, 예를 들면 셀 식별자 CI이며 네트워크 데이터를 제공한다.
예를 들면, 관심 있는 사용자장비와는 활동성 무선링크를 가지는 모든 셀들을 위한 무선네트워크 데이터는,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Figure 112006092041231-PCT00012
안테나 좌표들
Figure 112006092041231-PCT00013
x-축부터 시계방향으로 부채꼴로 측정된 노드 B의 안테나의 방위(bearing)
Figure 112006092041231-PCT00014
Figure 112006092041231-PCT00015
노드 B의 안테나의 반분 출력빔 폭(HPBW)
Figure 112006092041231-PCT00016
Figure 112006092041231-PCT00017
서비스 셀에 대한 최대 전방 반경 RF
Figure 112006092041231-PCT00018
서비스 셀에 대한 최대 후방 반경 RB
이중통달거리 추정치는 거리추정치에서 UMTS 네트워크 요소들로부터 보고된 RTT 및 TD의 가공하지 않은 변환치이다. 이 변환치는 UE 및 노드 B 사이의 정확한 거리(⑧)와 이중통달거리 추정치(dDR) 사이의 차이로서 정의되는 이른바 이중통달거리 측정오차(
Figure 112006092041231-PCT00019
=⑧-dDR)를 결정하는데 기여하는 측정프로세스 손상들(이동 무선채널 상의 다중경로 및 비 가시선 전파, 측정오차들, 양자화오차들 등)의 영향들을 고려하지 않는다. 이중통달거리 측정오차를 고려하며 GSM애플리케이션들에서 매우 성공적이라고 증명된 하나의 방법은, 블록 8에서와 같은 이중통달거리 측정오차(
Figure 112006092041231-PCT00020
)의 통계적 행동을 기술하는 선험적 정보를 위치결정 알고리즘에 공급하는 것이다.
Figure 112006092041231-PCT00021
의 행동은 많은 요인들에 의존하며 그 중에서 UE 및 노드 B 사이의 환경 및 거리에 의존한다. 이 이유로, 관측에 의해 조정되는
Figure 112006092041231-PCT00022
의 PDF인 f(
Figure 112006092041231-PCT00023
|a)는 서빙 사이트로부터 UE거리의 통계적 행동이 도출되게 하는 선험적 PDF로서 이용된다. 일단 PDF( f(
Figure 112006092041231-PCT00024
|a))가 이용가능하면, DR거리 추정치(dDR)는 활동성 무선링크를 제공하는 셀 내에서 UE거리의 확률밀도함수(PDF)인 f(⑧|a)를 얻는데 이용된다(블록 10).
유사하지만 더 단순한 절차가 활동성 무선링크를 제공하는 셀에서 UE배향의 PDF(f(
Figure 112006092041231-PCT00025
|a))를 결정하는데 이용된다. 부가적인 단순함은 배향 측정이 이용가능하지 않다는 사실 때문이고, 그래서 UE 각도 기여분의 통계 분포는 셀 배향, 폭 등과 같은 선험적 셀 기반 배향정보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서만 정의될 수 있다(블록 9).
그러면 관측에 의해 조정되는 거리의 그리고 관측들에 의해 조정되는 배향의 PDF들은 각각의 활동성 무선링크를 제공하는 셀 내의 UE거리 및 배향의 결합된 PDF인 f(⑧,
Figure 112006092041231-PCT00026
a)를 결정하기 위해 서로 조합될 수 있다(블록 11). 이 단계에서 이용가능한 PDF들은 각 활동성 무선링크를 제공하는 노드 B에 의해 서비스되는 각각의 단일 셀의 경계들 내의 사용자들의 지리적 분포를 기술한다.
일단 활동성 무선링크를 제공하는 모든 셀들 내의 거리 및 배향의 결합된 PDF들이 이용가능하게 되면(블록 4'), 그것들은 거리 및 배향의 최종 결합 PDF인 f(⑧,
Figure 112006092041231-PCT00027
)를 결정하기 위해 조합된다(블록 12'). 그런 분포는 관측들(무선링크 식별자들 및 측정들)과 선험적 통계로부터 모아진 모든 정보를 포함하며; 그래서 그것은 UE 좌표들(
Figure 112006092041231-PCT00028
,
Figure 112006092041231-PCT00029
)과 신뢰영역(R)을 추정하기 위해 최종 이용될 수 있다(블록 14'). 블록들(4', 12', 14')의 프라이밍(priming)은 그 블록들이 도 1의 블록들인 4, 12 및 14와 동등하지만 더 복잡한 기능을 제공함을 나타낸다.
그래서, CI+RTT 위치결정 알고리즘은 출력들로서 다음을 제공한다:
Figure 112006092041231-PCT00030
위치추정치의 좌표들을 식별하는 매개변수들 및 특정 신뢰영역(정확한 UE 위치가 일정한 확률을 가진다고 추정되는 지리적 영역)의 매개변수들의 집합인 위치계산결과들
Figure 112006092041231-PCT00031
위치계산결과들이 서비스 매개변수들의 입력 품질에서 설정된 정확성 요건을만족하는지의 표시인 QoS데이터
CI+RTT 위치결정 방법은 다음 2개의 주요한 단계들을 포함한다:
1. x-y 좌표들에 관해서 UE의 위치를 추정하는 단계와
2. 이 위치추정치를 위해 신뢰영역을 계산하는 단계.
신뢰영역은 정확한 UE 위치가 신뢰계수(0 < ξ ≤ 1)라고 하는 주어진 확률을 가진다고 추정되는 지리적 영역이다.
위치계산방법은 위치계산 알고리즘들에 의해 이행된다. 다음 두 부류의 위치계산 알고리즘들이 사용된다:
Figure 112006092041231-PCT00032
단계 1을 이행하는 위치추정치 계산 알고리즘들
Figure 112006092041231-PCT00033
단계 2를 이행하는 신뢰영역 계산 알고리즘들
위치추정치 및 신뢰영역 매개변수들의 조합은 "형상(shape)"이라고 한다. 위에서 기술된 위치 계산 알고리즘들에 의해 지원되는 형상 정의들은 다음과 같다:
(ⅰ) 점 형상(즉, 위치추정치만을 포함)
(ⅱ) 불확실성 타원을 가지는 점 형상(신뢰영역이 타원임)
(ⅲ) 불확실성 다각형을 가지는 점 형상(신뢰영역이 다각형임)
(ⅳ) 불확실성 아크(arc)를 가지는 점 형상(신뢰영역이 원호임)
여기에서 설명될 유일한 신뢰영역은 도 7에 보인 원호 형상이다.
이것은 다음 특징들을 가진다:
Figure 112006092041231-PCT00034
위치추정치의 좌표들인 (
Figure 112006092041231-PCT00035
,
Figure 112006092041231-PCT00036
)
Figure 112006092041231-PCT00037
원점의 좌표들인 x0 및 y0
Figure 112006092041231-PCT00038
내부 반경(R1) 및 불확실성 반경(R2)
Figure 112006092041231-PCT00039
오프셋(배향)각(α) 및 끼인각(β)
Figure 112006092041231-PCT00040
신뢰계수값(ξ)
단일 사이트 CI+RTT 방법의 맥락에서, 극좌표들은 다음의 R의 형식적 정의를 도입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Figure 112006092041231-PCT00041
아크는 단일 사이트 CI+RTT 신뢰영역을 위한 "자연의" 형상이다. 아크의 원점은 위치된 UE에 활동성 무선링크를 제공하는 모든 셀들에 공통인 안테나 좌표들에 있다:
Figure 112006092041231-PCT00042
내부 반경(R1), 불확실성 반경(R2), 오프셋각(
Figure 112006092041231-PCT00043
) 및 끼인각(
Figure 112006092041231-PCT00044
)(도 7 참조)은 위의 수식에 의해 계산되고, 그것은 신뢰영역이 아크 형상이고 관심 있는 PDF들이 관측들에 의해 조정되지 않을 때 다음과 같이 고쳐 쓸 수 있다:
Figure 112006092041231-PCT00045
전체 확률 정리(total probability theorem)가 f(ρ,θ)를 다음과 같이 쓰도 록 호출될 수 있다:
Figure 112006092041231-PCT00046
그래서
Figure 112006092041231-PCT00047
신뢰영역 매개변수들인 R1, R2,
Figure 112006092041231-PCT00048
, 및
Figure 112006092041231-PCT00049
는 특정한 이행의 요건들에 따른 적당한 부가적인 구속들이 도입된다면 고유하게 결정된다.
도 8은 위에서 기술된 위치결정 방법들이 이행되는 곳을 도시하는 네트워크의 구조의 개략도이다. 단일 기지국(BTS)이 보이는데, 그것은 예를 들면 사이트 A 또는 사이트 B에서의 기지국일 수 있다. 사실, 사이트 A 및 사이트 B 둘 다에서의 기지국들은 도 8에서 단일 기지국에 대해 도시된 바와 같은 무선통신망 제어기(RNC)와 통신할 것이다. 무선통신망 제어기는 이동교환센터(MSC)와 통신하며 그 MSC는 게이트웨이 이동위치결정 센터(gateway mobile location center; GMLC)와 통신한다. 게이트웨이 이동위치결정 센터는 이 통신망에서 이행되는 상업용 애플리케이션들로부터 LIF(Location Interoperability Forum) 요구를 수신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 이동위치결정 센터는 위치결정 요구를 이동교환센터에 디스패치하고 이동교환센터는 무선통신망 제어기에 접촉하여 필요한 네트워크 데이터를 얻고 그것을 이동교환센터에 반환한다. 그래서 응답이 게이트웨이 이동위치결정 센터에 반환되면 게이트웨이 이동위치결정 센터는 CI+RTT, TD 쌍들을 서빙 이동위치결정 센 터(serving mobile location center; SMLC)에 공급한다. 위에서 설명된 위치결정 방법들은 서빙 이동위치결정 센터에서 이행되고 x, y 데이터는 게이트웨이 이동위치결정 센터에 반환된다. 게이트웨이 이동위치결정 센터는 위치결정 데이터를 요구했던 상업용 애플리케이션에 이 x, y 데이터를 신뢰영역과 함께 반환한다.
다르게는, 위치결정 방법들은 RNC에서 또는 네트워크의 어느 딴 곳의 독립형 모듈에서 실행될 수 있다.
이제 도 9를 참조하여 앞서 설명된 기법들 중의 어느 하나에서 이용될 수 있는 방향정보를 향상시키는 방법(이른바 개선된 방향정보(Improved Direction Information; IDI))를 기술한다. 예를 들면, 그것은 사이드 선택을 위한 확률들이 충분히 양호하지 않은 경우에 사이드를 선택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도 9는 제2사이드가 가장 가능한 사이트로서 선택된 경우에 도 3a 및 3b에 대해 기술되는 선택 방법들의 이행 후의 상황을 보이고 있다. 즉, 도 9는 도 3b의 단계 S6에서 최종 선택된 것인 교차점들(I2 ,1, I2 ,2)의 집합(I2)을 보이며, 이 기준점들의 각각이 그것에 연관된 합당한 확률들을 가진다고 가정된다. 선택된 집합에서의 각각의 교차점은 서로 다른 다수의 방법으로 방향정보를 개선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새로운 가상 측정을 나타낸다. 가정측정 벡터들은 사이트 A에 대해 rA2 ,1, rA2 ,2로 그리고 사이트 B에 대해 rB2 ,1, rB2 ,2로 표시된다. 각각의 가상 측정치는 거리(새로운 측정벡터(r)의 길이)와 방향(새로운 측정벡터(r)의 배향)을 가진다. 거리들과 배향들은 생성된 추정치의 정확도를 개선하기 위해 방향성 정보를 이용하는 어떠한 위치결정 방법에 서, 예컨대, WSS, WSC와 같은 앞서 설명된 위치결정 방법들 중의 하나에서 이용될 수 있다.
위치결정 방법들 중의 하나에서 이용될 있는 가상 측정들의 수는 가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든 사이트들은 선택되는 지점들로서 많은 새로운, 가상 측정들을 가질 수 있다.
추가의 대체예로서, 2개 이상의 가상 측정들이 하나에 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9의 사이트 B에 대해 2개의 가상 측정들(rB2 ,1, rB2 ,2)이 있을 수 있지만, 하나의 원래의 측정(원(24)에 대해 행해지는 하나)만이 행해졌다. 그러므로, 단일 가상 측정은 2개의 가상 측정 벡터들(rB2 ,1, rB2 ,2)의 평균으로서 도출될 것이다.
가상 측정들은 예를 들면 위에서 논의되는 SELRP 방법들의 서로 다른 단계들로부터 도출된 확률들에 연관될 수 있다.
개선된 방향정보를 가지는 것에 의해, 이동국의 위치의 더 나은 추정치들이 얻어질 수 있다.

Claims (17)

  1. 무선통신망에서 이동국에 관한 위치추정치를 생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이동국 및 제1사이트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무선링크에 관련한 제1측정데이터를 수신하고 제1측정데이터에 기초하여 제1사이트로부터 이동국의 제1거리추정치를 제공하는 단계;
    이동국 및 제2사이트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무선링크에 관련한 제2측정데이터를 수신하고 제2측정데이터에 기초하여 제2사이트로부터 이동국의 제2거리추정치를 제공하는 단계;
    제1거리추정치에 상응하는 제1반경의 제1사이트에 중심을 둔 제1원과 제2거리추정치에 상응하는 제2반경의 제2사이트에 중심을 둔 제2원 사이의 제1 및 제2 교차점들을 결정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1 및 제2 교차점들은 제1 및 제2 사이트들을 통과하는 선의 대향 측면들에 놓이는 단계; 및
    제1 및 제2 교차점들 중의 적어도 하나를 위치추정치의 결정에 이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선의 어떤 측면이 이동국이 놓일 확률이 높은 측면인지에 기초하여 제1 및 제2 교차점들 중의 상기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교차점들을 결정하는 단계는, 각각의 교차점 집합이 하나를 넘는 교차점을 가지는 제1 교차점 집합 및 제2 교차점 집합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교차점들 중의 상기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는, 이동국 및 제1사이트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무선링크에 관련한 제1측정데이터 및 이동국 및 제2사이트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무선링크에 관련한 제2측정데이터를 이용하여 이동국의 위치에 관한 적어도 하나의 임시 위치추정치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교차점은 적어도 하나의 임시위치추정치가 놓이는 선 측면에 놓이도록 선택되는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가중된 단일 셀 위치결정 방법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임시위치추정치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가중된 단일 사이트 위치결정 방법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임시위치추정치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8. 제4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임시위치추정치는 서로 다른 위치결정 방법들을 이용하여 생성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사이트들 중의 적어도 하나로부터 제1 및 제2 교차점들 중의 상기 적어도 하나까지의 거리와, 제1 및 제2 사이트들 중의 상기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제1 및 제2 교차점들 중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향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거리 및 배향을 위치계산방법에서 이용하여 개선된 위치추정치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1. 제2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사이트들의 각각으로부터 제1 및 제2 교차점들 중의 상기 적어도 하나로부터의 거리를 각각 결정하고, 상기 거리들을 이용하여 이동국이 선의 한 측면 또는 다른 측면에 놓일 확률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2. 제2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교차점들의 각각은 이동국이 선의 측면들에 놓이는 개별 확률들에 연관되는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교차점들에 확률들을 할당하고 상기 위치계산방법에서 상기 결정된 거리 및 배향과 함께 상기 확률들을 이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4.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네트워크 엔티티로서, 네트워크에서 이동국을 위해 위치추정치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네트워크 엔티티에 있어서,
    이동국과 제1 및 제2 사이트들 각각 사이에 확립된 무선링크들에 관련한 측정데이터를 수신하고, 측정데이터에 기초하여 제1 및 제2 사이트들 각각으로부터 이동국의 제1 및 제2 거리추정치들을 제공하는 수단;
    제1거리추정치에 상응하는 제1반경의 제1사이트에 중심을 둔 제1원과 제2거리추정치에 상응하는 제2반경의 제2사이트에 중심을 둔 제2원 사이의 제1 및 제2 교차점들을 결정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제1 및 제2 교차점들은 제1 및 제2 사이트들을 통과하는 선의 대향 측면들에 놓이는, 수단; 및
    위치추정치의 결정에 제1 및 제2 교차점들 중의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엔티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교차점들의 각각이 이동국과 동일한 선 측면에 놓일 확률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 엔티티.
  16. 제14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사이트들 중의 적어도 하나로부터 제1 및 제2 교차점들 중의 상기 적어도 하나까지의 거리와, 제1 및 제2 사이트들 중의 상기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제1 및 제2 교차점들 중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향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 엔티티.
  17. 서빙(serving) 모바일 위치결정 센터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엔티티.
KR1020067026155A 2004-05-12 2005-05-11 이동단말 위치 결정 KR1008763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GB0410608.4A GB0410608D0 (en) 2004-05-12 2004-05-12 Locating mobile terminals
GB0410608.4 2004-05-12
PCT/IB2005/001796 WO2005111652A1 (en) 2004-05-12 2005-05-11 Locating mobile terminal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5615A true KR20070015615A (ko) 2007-02-05
KR100876314B1 KR100876314B1 (ko) 2008-12-31

Family

ID=32526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6155A KR100876314B1 (ko) 2004-05-12 2005-05-11 이동단말 위치 결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706814B2 (ko)
EP (1) EP1756616B1 (ko)
KR (1) KR100876314B1 (ko)
CN (1) CN1985186B (ko)
AT (1) ATE446519T1 (ko)
DE (1) DE602005017265D1 (ko)
DK (1) DK1756616T3 (ko)
GB (1) GB0410608D0 (ko)
WO (1) WO2005111652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68330B2 (en) 2008-01-07 2014-10-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estimating location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KR20180047490A (ko) * 2016-10-31 2018-05-10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동단말의 위치 결정 장치와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65465B2 (ja) * 2004-09-07 2011-04-0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
KR100721517B1 (ko) * 2004-09-20 2007-05-2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결정 장치 및 방법
US8369264B2 (en) 2005-10-28 2013-02-05 Skyhook Wireless, Inc. Method and system for selecting and providing a relevant subset of Wi-Fi location information to a mobile client device so the client device may estimate its position with efficient utilization of resources
KR101249178B1 (ko) 2005-02-22 2013-04-03 스카이후크 와이어리스, 인크. 위치 확인 시스템의 연속 데이터 최적화
US20060194593A1 (en) * 2005-02-25 2006-08-31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 for locating a mobile unit in a wireless telecommnunication network
US7577440B2 (en) * 2005-04-14 2009-08-18 Nokia Corporation Intelligent intersec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network-based positioning
US7657269B2 (en) * 2005-09-06 2010-02-02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 and apparatus for locating multimode communication devices
US7715852B2 (en) * 2006-01-06 2010-05-11 Mediatek Inc. Location estimation method
WO2007143238A2 (en) * 2006-03-24 2007-12-13 Sensi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correlating radar position data with target identification data, and determining target position using round trip delay data
EP2118810B1 (en) * 2007-02-05 2012-08-15 Andrew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optimizing location estimate of mobile unit
DE102008021614B4 (de) * 2008-01-14 2015-09-24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Vorrichtung, Knoten und Computerprogramm zum Bestimmen einer Position eines Knotens in einem Ad-Hoc-Netzwerk
US8761719B1 (en) * 2008-01-30 2014-06-24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Systems and method for provisioning location determination systems
JP2009281793A (ja) * 2008-05-20 2009-12-03 Brother Ind Ltd 移動局測位システム
KR101556225B1 (ko) * 2008-08-04 2015-09-30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거리의 확장을 이용한 통신 방법 및 장치
US8380222B2 (en) 2008-11-26 2013-02-19 Andrew Llc System and method for multiple range estimation location
US8249622B2 (en) * 2008-11-26 2012-08-21 Andrew, Llc System and method for multiple range estimation location
US7986953B2 (en) * 2009-06-01 2011-07-26 Microsoft Corporation Location determination with geographic and bias tuning
US10068178B2 (en) * 2010-01-13 2018-09-04 Oath, Inc. Methods and system for associating locations with annotations
US8619643B2 (en) * 2010-03-24 2013-12-31 Skyhook Wireless, Inc. System and method for estimating the probability of movement of access points in a WLAN-based positioning system
US9014715B2 (en) 2010-06-11 2015-04-21 Skyhook Wireless, Inc. Systems for and methods of determining likelihood of atypical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of reference points in a positioning system
US8977287B1 (en) 2011-04-26 2015-03-10 Andrew Joseph Gold Method and system for indoor RF mapping
US8781495B1 (en) 2011-04-26 2014-07-15 Andrew Joseph Gold Method and system for indoor RF mapping
US9008685B1 (en) 2011-04-26 2015-04-14 Andrew Joseph Gold Method and system for indoor RF mapping
US8666432B2 (en) 2011-08-11 2014-03-04 Rf Spot Inc. Method and system for indoor RF mapping
EP3131238B1 (en) 2011-11-25 2018-01-17 Bandwidthx Inc. System for providing intelligent network access selection for a mobile wireless device
TWI442079B (zh) * 2011-12-12 2014-06-21 Univ Nat Pingtung Sci & Tech 速度估計方法
CN103308908B (zh) * 2012-03-08 2015-03-1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人体位置的识别方法及装置和空调器
US9826464B2 (en) * 2013-03-26 2017-11-21 Bandwidthx Inc. Systems and methods for establishing wireless connections based on access conditions
US9591603B2 (en) * 2013-12-10 2017-03-07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Dynamic network configuration based on passive location analytics
CN105282267B (zh) * 2015-08-31 2018-08-14 刘粉林 一种基于地标聚类的网络实体城市级定位方法
WO2017062958A1 (en) * 2015-10-09 2017-04-13 Zte Corporation Method for transmitting a quantized value in a communication system
CN106004482B (zh) * 2016-05-26 2018-10-23 国网电力科学研究院武汉南瑞有限责任公司 电动汽车应急救援站点布置方法
US10194382B2 (en) 2016-12-27 2019-01-29 Bandwidthx Inc. Auto-discovery of amenities
WO2018125704A1 (en) 2016-12-27 2018-07-05 Bandwidthx Inc. Radio management based on user intervention
US10327218B2 (en) * 2017-03-16 2019-06-18 Qualcomm Incorporated Robust downlink positioning
CN107421536A (zh) * 2017-06-29 2017-12-01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全景采集图像点的定位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EP3859359B8 (en) 2020-01-28 2024-04-10 Rohde & Schwarz GmbH & Co. KG Signal analysis method and test system
US11550021B2 (en) * 2020-11-25 2023-01-10 Rohde & Schwarz Gmbh & Co. Kg Method and direction finding system for localizing a near vertical incidence skywave emitter
KR20240005718A (ko) * 2021-05-09 2024-01-12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스케줄링된 로케이션에 대한 로케이션 불확실성을 지원하기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JP7433546B2 (ja) 2021-10-20 2024-02-19 三菱電機株式会社 端末位置推定装置、端末位置推定方法、及び車両無線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31801A (en) * 1968-05-29 1970-09-29 Hazeltine Corp Signal processing apparatus
US5293642A (en) * 1990-12-19 1994-03-08 Northern Telecom Limited Method of locating a mobile station
US5945948A (en) * 1996-09-03 1999-08-31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location finding in a communication system
US6665332B1 (en) * 1998-09-09 2003-12-16 Allen Telecom, Inc. CDMA geolocation system
US20040002346A1 (en) * 2000-12-14 2004-01-01 John Santhoff Ultra-wideband geographic location system and method
US7254401B2 (en) * 2000-12-19 2007-08-07 Nokia Corporation Network-based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a location of user equipment in CDMA networks
US6728545B1 (en) * 2001-11-16 2004-04-27 Meshnetworks, Inc. System and method for computing the location of a mobile terminal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US7233799B2 (en) * 2003-02-24 2007-06-19 Polaris Wireless, Inc. Location estimation of wireless terminals based on combinations of signal strength measurements and geometry-of-arrival measurement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68330B2 (en) 2008-01-07 2014-10-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estimating location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KR20180047490A (ko) * 2016-10-31 2018-05-10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동단말의 위치 결정 장치와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5111652A1 (en) 2005-11-24
CN1985186A (zh) 2007-06-20
US20050255865A1 (en) 2005-11-17
ATE446519T1 (de) 2009-11-15
EP1756616B1 (en) 2009-10-21
DK1756616T3 (da) 2010-01-04
EP1756616A1 (en) 2007-02-28
CN1985186B (zh) 2013-02-13
GB0410608D0 (en) 2004-06-16
DE602005017265D1 (de) 2009-12-03
US7706814B2 (en) 2010-04-27
KR100876314B1 (ko) 2008-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6314B1 (ko) 이동단말 위치 결정
KR100939027B1 (ko) 이동단말 위치 결정
KR100876204B1 (ko) 이동단말 위치 결정
KR100767550B1 (ko) 무선 단말 장치 및 측위 시스템
CN102550092B (zh) 用于减少定位测量期间干扰的方法和设备
EP1506686B1 (en) Improved position determin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EP119399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stimating the location of a mobile terminal
KR100705730B1 (ko) 무선 측위 시스템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
US8606275B2 (en) Method for identifying missing neighbors and for updating current neighbors in wireless networks
US7633443B2 (en) Estimating location of a communications device
KR100652259B1 (ko) 중계기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에 대한 신호 경로 검출
WO2005029878A2 (en)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for network overlay geolocation system with repeaters
KR20190018139A (ko) 턴-어라운드 교정 팩터를 추정하기 위한 결합된 ftm(fine timing measurement) 및 비-ftm 메시징
KR20040067533A (ko) 기지국 위치정보와 이동전화로부터 수신된 전파특성정보및 기 측정된 전파특성정보를 이용한 이동전화 위치추정방법
EP2159594B1 (en) Method and an apparatus for determining the location of a device in a network
Pham et al. Mobile Positioning System for Cellular Networks Using 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Borkowski et al. Novel mobile-based location techniques for UM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