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15315A - 카메라 장착기기의 플래쉬 장치 - Google Patents

카메라 장착기기의 플래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5315A
KR20070015315A KR1020050070036A KR20050070036A KR20070015315A KR 20070015315 A KR20070015315 A KR 20070015315A KR 1020050070036 A KR1020050070036 A KR 1020050070036A KR 20050070036 A KR20050070036 A KR 20050070036A KR 20070015315 A KR20070015315 A KR 200700153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flash
flash led
isp
cur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00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지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to KR10200500700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15315A/ko
Publication of KR200700153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53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02Illuminating scene
    • G03B15/03Combinations of cameras with lighting apparatus; Flash units
    • G03B15/05Combinations of cameras with electronic flash apparatus; Electronic flash uni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7/00Modulating pulses with a continuously-variable modulating signal
    • H03K7/08Duration or width modulation ; Duty cycle 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6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provided with illuminat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4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by influencing the scene brightness using illuminating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2215/05Combinations of cameras with electronic flash units
    • G03B2215/0564Combinations of cameras with electronic flash uni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G03B2215/0567Solid-state light source, e.g. LED, la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 장착기기의 플래쉬 장치에 관한 것으로, 카메라 장착기기의 카메라 제어부(ISP : Image Signal Processor)로부터 출력되는 펄스폭 변조(PWM : Pulse Width Modulation) 신호의 듀티비(Duty Rate)에 따라 카메라 장착기기의 플래쉬 LED의 밝기를 가변시키도록 구현함으로써 플래쉬 LED 점등을 아날로그 방식으로 제어할 수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밝기의 영상을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카메라, 플래쉬 LED, 펄스폭 변조(PWM), 듀티비(Duty Rate)

Description

카메라 장착기기의 플래쉬 장치{Flash unit for an electronic apparatus built in a camera module}
도 1 은 종래의 카메라 장착기기의 플래쉬 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회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장착기기의 플래쉬 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장착기기의 플래쉬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로도
도 4 는 플래쉬 LED 제어전의 영상 픽셀의 일 예를 도시한 개요도
도 5 는 플래쉬 LED 제어후의 영상 픽셀의 일 예를 도시한 개요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200, 300 : 플래쉬 장치 110, 310 : 스위칭 수단
120, 220, 320, 340 : 플래쉬 LED 210, 330 : 전류 가변수단
230, 350 : 필터
본 발명은 카메라 장착기기의 플래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카메라를 탑 재한 이동통신 단말기, 디지탈 카메라 등의 플래쉬 LED 점등제어 기술과 관련된 것이다.
카메라 장착기기의 카메라 센서로 입력되는 영상의 각 픽셀에 대한 밝기(YUV에서 Y값)의 평균값을 구하면 영상의 밝기를 얻을 수 있다. 종래의 경우 영상이 원하는 밝기보다 어두울 경우 노출 시간을 길게하거나, 영상 신호를 증폭하는 방법들을 이용하여 더 밝은 영상을 얻을 수 있었다.
그러나, 노출 시간을 길게할 경우에는 단위시간당 프리뷰(Preview)할 수 있는 프레임 속도(Frame Rate)가 떨어지게 되고, 영상 신호를 증폭할 경우에는 노이즈도 함께 증폭되므로 영상의 선명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방법 대신 도 1 에 도시한 바와같은 플래쉬 LED를 이용해 밝은 영상을 얻을 수 도 있다.
도 1 은 종래의 카메라 장착기기의 플래쉬 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카메라 장착기기의 플래쉬 장치(100)는 스위칭 수단(110)과, 플래쉬 LED(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스위칭 수단(110)은 카메라 장착기기의 카메라 제어부(ISP : Image Signal Processor)로부터 출력되는 온/오프 신호에 따라 상기 플래쉬 LED 구동전류를 온/오프시킨다.
상기 플래쉬 LED(120)는 상기 스위칭 수단(110)에 의해 온/오프되어 점멸된다.
예컨데, 상기 스위칭 수단(110)으로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사용한 경우를 예로들면, 카메라 장착기기의 카메라 제어부(ISP : Image Signal Processor)측에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베이스(Base)를 연결하고,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컬렉터(Collector)측에 공급 전원을 연결하고,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이미터(Emitter)측을 그라운드(Ground)시킨 상태에서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컬렉터(Collector)와 공급 전원간에 플래쉬 LED를 연결함으로써 카메라 장착기기의 플래쉬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이 경우의 플래쉬 LED 제어 동작을 알아보면,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의해 또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자동으로 플래쉬 LED에 대한 온/오프 이벤트(Event)가 발생하면, 카메라 장착기기의 카메라 제어부(ISP : Image Signal Processor)가 플래쉬 LED를 온/오프시키기 위한 온/오프 신호를 출력한다.
이 온/오프 신호는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베이스(Base)에 인가되어,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컬렉터(Collector)와 이미터(Emitter)간의 전류 흐름을 도통 또는 차단시키는 스위칭 동작이 이루어진다.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컬렉터(Collector)와 이미터(Emitter)간에 도통되는 전류가 플래쉬 LED 구동전류가 되어 플래쉬 LED를 점등시키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카메라 장착기기의 플래쉬 장치(100)는 단순히 플래쉬 LED를 온/오프함에 의해 밝은 영상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원하는 밝기의 영상을 얻을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카메라 장착기기의 플래쉬 장치의 플래쉬 LED 점등을 아날로그 방식으로 제어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밝기의 영상을 얻을 수 있는 기술에 대한 연구를 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취지하에 발명된 것으로, 카메라 장착기기의 플래쉬 장치의 플래쉬 LED 점등을 아날로그 방식으로 제어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밝기의 영상을 얻을 수 있는 카메라 장착기기의 플래쉬 장치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일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장착기기의 플래쉬 장치는 카메라 장착기기의 카메라 제어부(ISP : Image Signal Processor)로부터 출력되는 펄스폭 변조(PWM : Pulse Width Modulation) 신호의 듀티비(Duty Rate)에 따라 카메라 장착기기의 플래쉬 LED의 밝기를 가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카메라 장착기기의 플래쉬 장치의 플래쉬 LED 점등을 아날로그 방식으로 제어할 수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밝기의 영상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장착기기의 플래쉬 장치는 카메라 장착기기의 카메라 제어부(ISP : Image Signal Processor)로부터 출력되는 펄스폭 변조(PWM : Pulse Width Modulation) 신호의 듀티비(Duty Rate)에 따라 카메라 장착기기의 플래쉬 LED의 밝기를 가변시키도록 구현하여 플래쉬 LED 점등을 아날로그 방식으로 제어할 수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밝기의 영상을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장착기기의 플래쉬 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로도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같이, 이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착기기의 플래쉬 장치(200)는 전류 가변수단(210)과, 플래쉬 LED(220)를 포함한다.
상기 전류 가변수단(210)은 카메라 장착기기의 카메라 제어부(ISP : Image Signal Processor)로부터 출력되는 펄스폭 변조(PWM : Pulse Width Modulation) 신호의 듀티비(Duty Ratio)에 따라 플래쉬 LED 구동전류를 가변시킨다.
상기 플래쉬 LED(220)는 상기 전류 가변수단(210)에 의해 가변되는 플래쉬 LED 구동전류에 의해 구동되되, 가변되는 플래쉬 LED 구동전류에 의해 밝기가 가변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장착기기의 플래쉬 장치(200)는 카메라 장착기기의 카메라 제어부(ISP : Image Signal Processor)로부터 출력되는 펄스폭 변조(PWM : Pulse Width Modulation) 신호의 듀티비(Duty Rate)에 따라 상기 전류 가변수단(210)이 플래쉬 LED 구동전류를 가변시킴으로써 이 가변되는 플래쉬 LED 구동전류에 의해 구동되는 플래쉬 LED(220)의 밝기를 아날로그 방식으로 제어할 수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밝기의 영상을 얻을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전류 가변수단(210)이 카메 라 장착기기의 카메라 제어부(ISP : Image Signal Processor)측에 베이스(Base)가 연결되어, 이 베이스에 인가되는 펄스폭 변조(Pulse Width Modulation) 신호의 듀티비(Duty Rate)에 따라 컬렉터(Collector)와 이미터(Emitter)간에 흐르는 플래쉬 LED 구동전류를 가변하는 전류 증폭용 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카메라 장착기기의 카메라 제어부(ISP : Image Signal Processor)측에 전류 증폭용 트랜지스터의 베이스(Base)를 연결하고, 상기 전류 증폭용 트랜지스터의 컬렉터(Collector)측에 공급 전원을 연결하고, 상기 전류 증폭용 트랜지스터의 이미터(Emitter)측을 그라운드(Ground)시킨 상태에서 상기 전류 증폭용 트랜지스터의 컬렉터(Collector)와 공급 전원간에 플래쉬 LED를 연결함으로써 플래쉬 LED(220)의 밝기를 아날로그 방식으로 제어할 수 있는 카메라 장착기기의 플래쉬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도면에서 상기 전류 증폭용 트랜지스터의 이미터(Emitter)와 그라운드(Ground)간에 연결된 저항은 감쇄용 저항이다.
따라서,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의해 또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자동으로 펄스폭 변조(Pulse Width Modulation) 신호의 듀티비(Duty Rate)가 설정되었다면, 카메라 장착기기의 카메라 제어부(ISP : Image Signal Processor)는 설정된 듀티비를 가진 펄스폭 변조(Pulse Width Modulation) 신호를 GPIO 포트 등을 이용해 출력한다.
상기 펄스폭 변조(PWM) 신호는 전류 증폭용 트랜지스터의 베이스(Base)에 인가되어 상기 전류 증폭용 트랜지스터의 컬렉터(Collector)와 이미터(Emitter)간에 전류가 흐르도록 하는데, 이 때 펄스폭 변조(Pulse Width Modulation) 신호의 듀티 비(Duty Rate)에 따라 상기 전류 증폭용 트랜지스터의 컬렉터(Collector)와 이미터(Emitter)간에 흐르는 전류가 가변되므로, 플래쉬 LED(220)의 밝기가 변하게 된다.
따라서, 카메라 장착기기의 카메라 제어부(ISP : Image Signal Processor)로부터 출력되는 펄스폭 변조(PWM) 신호의 듀티비를 제어함에 의해 카메라 장착기기의 플래쉬 LED 밝기를 아날로그 방식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카메라 장착기기의 플래쉬 장치(200)가 필터(Filter)(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Filter)(230)는 카메라 장착기기의 상기 카메라 제어부(ISP : Image Signal Processor)와 전류 가변수단(21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카메라 제어부(ISP : Image Signal Processor)로부터 출력되는 펄스폭 변조(Pulse Width Modulation) 신호를 필터링(Filtering)하여 출력한다. 이 때, 상기 필터(230)가 고주파 제거를 위한 저역필터(LPF : Low Path Filter)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 실시예는 필터(Filter)(230)를 이용해 플래쉬 LED 밝기를 아날로그 방식으로 제어하는 제어신호로 이용되는 펄스폭 변조(PWM) 신호를 안정적인 DC전압으로 변환하여 안정적인 플래쉬 LED 밝기 제어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장착기기의 플래쉬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로도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같이, 이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착기기의 플래쉬 장치(300)는 스위칭 수단(310)과, 제 1 플래쉬 LED(320)와, 전류 가변수단(330)과, 제 2 플래쉬 LED(3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스위칭 수단(310)은 카메라 장착기기의 카메라 제어부(ISP : Image Signal Processor)로부터 출력되는 온/오프 신호에 따라 제 1 플래쉬 LED 구동전류를 온/오프시킨다.
이 때, 상기 스위칭 수단(310)이 카메라 장착기기의 카메라 제어부(ISP : Image Signal Processor)측에 베이스(Base)가 연결되어, 이 베이스에 인가되는 온/오프 신호에 따라 컬렉터(Collector)와 이미터(Emitter)간에 제 1 플래쉬 LED 구동전류가 도통 또는 차단되도록 하는 스위칭 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상기 제 1 플래쉬 LED(320)는 상기 스위칭 수단(310)에 의해 온/오프되는 제 1 플래쉬 LED 구동전류에 따라 온/오프 즉, 점등 또는 점멸된다.
상기 전류 가변수단(330)은 카메라 장착기기의 카메라 제어부(ISP : Image Signal Processor)로부터 출력되는 펄스폭 변조(Pulse Width Modulation) 신호의 듀티비(Duty Ratio)에 따라 제 2 플래쉬 LED 구동전류를 가변시킨다.
이 때, 상기 전류 가변수단(330)이 카메라 장착기기의 카메라 제어부(ISP : Image Signal Processor)측에 베이스(Base)가 연결되어, 이 베이스에 인가되는 펄스폭 변조(Pulse Width Modulation) 신호의 듀티비(Duty Rate)에 따라 컬렉터(Collector)와 이미터(Emitter)간에 흐르는 제 2 플래쉬 LED 구동전류를 가변하는 전류 증폭용 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상기 제 2 플래쉬 LED(340)는 상기 전류 가변수단(330)에 의해 가변되는 제 2 플래쉬 LED 구동전류에 의해 구동되되, 가변되는 제 2 플래쉬 LED 구동전류에 의해 밝기가 가변된다.
즉, 이 실시예는 도 1 에 도시한 종래의 온/오프 방식 플래쉬 LED와 도 2 에 도시한 가변방식 플래쉬 LED를 동시에 채용한 플래쉬 장치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온/오프 방식의 제 1 플래쉬 LED(320)를 사용할지, 아니면 가변방식의 2 플래쉬 LED(340)를 사용할지를 선택할 수 있도록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함으로써 상기한 두가지 방식 모두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만일, 사용자가 온/오프 방식의 제 1 플래쉬 LED(320)를 사용할 것을 선택하면, 도 1 에 설명한 것과 동일하게 카메라 장착기기의 카메라 제어부(ISP : Image Signal Processor)로부터 출력되는 온/오프 신호에 따라 상기 스위칭 수단(310)이 제 1 플래쉬 LED 구동전류를 온/오프시켜 상기 제 1 플래쉬 LED(320)를 단순히 점등 또는 점멸시킨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동작 설명은 상기한 도 1 의 플래쉬 장치와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만일, 사용자가 가변방식의 제 2 플래쉬 LED(340)를 사용할 것을 선택하면, 도 2 에 설명한 것과 동일하게 카메라 장착기기의 카메라 제어부(ISP : Image Signal Processor)로부터 출력되는 펄스폭 변조(Pulse Width Modulation) 신호의 듀티비(Duty Ratio)에 따라 상기 전류 가변수단(330)이 제 2 플래쉬 LED 구동전류를 가변시킴으로써 제 2 플래쉬 LED(340)의 밝기가 가변되도록 한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동작 설명은 상기한 도 2 의 플래쉬 장치와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카메라 장착기기의 플래쉬 장치(300)가 필터(Filter)(350)를 더 포함할 수 도 있다.
상기 필터(Filter)(350)는 상기 카메라 제어부(ISP : Image Signal Processor)와 전류 가변수단(33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카메라 제어부(ISP : Image Signal Processor)로부터 출력되는 펄스폭 변조(Pulse Width Modulation) 신호를 필터링(Filtering)하여 출력한다. 이 때, 상기 필터(350)가 고주파 제거를 위한 저역필터(LPF : Low Path Filter)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 실시예는 필터(Filter)(350)를 이용해 제 2 플래쉬 LED(340) 밝기를 아날로그 방식으로 제어하는 제어신호로 이용되는 펄스폭 변조(PWM) 신호를 안정적인 DC 전압으로 변환하여 보다 안정적인 제 2 플래쉬 LED(340) 밝기 제어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도 4 는 플래쉬 LED 제어전의 영상 픽셀의 일 예를 도시한 개요도, 도 5 는 플래쉬 LED 제어후의 영상 픽셀의 일 예를 도시한 개요도이다.
가로, 세로 각각 5개씩 총 25개의 픽셀이 있으며, 노출 시간이 0.05초일 때 도 4 에 도시한 밝기 값을 가진다고 가정한다.
도 4 에 도시한 각 픽셀의 밝기값 전체를 더하여 평균을 내면 220이 되며, 이 영상이 너무 어둡다고 판단되어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의해 또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자동으로 도 5 에 도시한 420의 평균 밝기값을 가지도록 영상을 밝게 조정한다고 가정한다.
종래의 경우 노출 시간이 0.05 초일 때 초당 프레임(Frame)수가 20이라고 하고, 노출 시간이 0.01초 증가함에 따라 밝기값이 10씩 증가한다고 가정하면, 420이라는 밝기값을 얻기 위해서는 노출시간을 0.2초 증가시켜 0.25초가 되어야 한다. 그러면, 노출 시간이 0.25초일 때 초당 프레임수는 4가 된다. 초당 프레임이 작다 는 말은 화면의 흔들림이 심하여 피사체가 조금만 움직이거나 작은 손떨림에 의해서도 흔들리는 영상을 얻을 수 밖에 없다는 의미이다.
그런데, 본 발명의 경우 플래쉬 LED에서 소비하는 전류가 10mA 증가할때마다 영상의 밝기값이 20씩 증가한다고 가정하면, 420이라는 밝기값을 얻기 위해서는 100mA를 증가시켜야된다. 따라서, 펄스폭 변조(PWM) 신호의 듀티비를 5% 증가시킬 때 플래쉬 LED에 흐르는 전류가 10mA가 증가하도록 소자값들을 적절하게 선택하여 회로 구성한다면, 카메라 장착기기의 카메라 제어부(ISP : Image Signal Processor)로부터 출력되는 펄스폭 변조(PWM) 신호의 듀티비를 50% 증가시키면 플래쉬 LED의 밝기값을 420으로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장착기기의 플래쉬 장치는 플래쉬 LED 점등을 아날로그 방식으로 제어할 수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밝기의 영상을 얻을 수 있게되므로, 상기에서 제시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장착기기의 플래쉬 장치는 카메라 장착기기의 카메라 제어부(ISP : Image Signal Processor)로부터 출력되는 펄스폭 변조(PWM : Pulse Width Modulation) 신호의 듀티비(Duty Rate)에 따라 카메라 장착기기의 플래쉬 LED의 밝기를 가변시키도록 구현함으로써 플래쉬 LED 점등을 아날로그 방식으로 제어할 수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밝기의 영상을 얻을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의해 참조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 었지만, 이러한 기재로부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포괄되는 범위내에서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Claims (10)

  1. 카메라 장착기기의 카메라 제어부(ISP : Image Signal Processor)로부터 출력되는 펄스폭 변조(PWM : Pulse Width Modulation) 신호의 듀티비(Duty Rate)에 따라 카메라 장착기기의 플래쉬 LED의 밝기를 가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장착기기의 플래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장착기기의 플래쉬 장치가:
    카메라 장착기기의 카메라 제어부(ISP : Image Signal Processor)로부터 출력되는 펄스폭 변조(PWM : Pulse Width Modulation) 신호의 듀티비(Duty Ratio)에 따라 플래쉬 LED 구동전류를 가변시키는 전류 가변수단과;
    상기 전류 가변수단에 의해 가변되는 플래쉬 LED 구동전류에 의해 구동되되, 가변되는 플래쉬 LED 구동전류에 의해 밝기가 가변되는 플래쉬 LED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장착기기의 플래쉬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가변수단이:
    카메라 장착기기의 카메라 제어부(ISP : Image Signal Processor)측에 베이스(Base)가 연결되어, 이 베이스에 인가되는 펄스폭 변조(Pulse Width Modulation) 신호의 듀티비(Duty Rate)에 따라 컬렉터(Collector)와 이미터(Emitter)간에 흐르는 플래쉬 LED 구동전류를 가변하는 전류 증폭용 트랜지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장착기기의 플래쉬 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장착기기의 플래쉬 장치가:
    상기 카메라 제어부(ISP : Image Signal Processor)와 전류 가변수단 사이에 상기 카메라 제어부(ISP : Image Signal Processor)로부터 출력되는 펄스폭 변조(Pulse Width Modulation) 신호를 필터링(Filtering)하여 출력하는 필터(Filter)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장착기기의 플래쉬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가:
    고주파 제거를 위한 저역필터(LPF : Low Path Filt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장착기기의 플래쉬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장착기기의 플래쉬 장치가:
    카메라 장착기기의 카메라 제어부(ISP : Image Signal Processor)로부터 출 력되는 온/오프 신호에 따라 제 1 플래쉬 LED 구동전류를 온/오프시키는 스위칭 수단과;
    상기 스위칭 수단에 의해 온/오프되는 제 1 플래쉬 LED 구동전류에 따라 온/오프되는 제 1 플래쉬 LED와;
    카메라 장착기기의 카메라 제어부(ISP : Image Signal Processor)로부터 출력되는 펄스폭 변조(PWM : Pulse Width Modulation) 신호의 듀티비(Duty Ratio)에 따라 제 2 플래쉬 LED 구동전류를 가변시키는 전류 가변수단과;
    상기 전류 가변수단에 의해 가변되는 제 2 플래쉬 LED 구동전류에 의해 구동되되, 가변되는 제 2 플래쉬 LED 구동전류에 의해 밝기가 가변되는 제 2 플래쉬 LED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장착기기의 플래쉬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가변수단이:
    카메라 장착기기의 카메라 제어부(ISP : Image Signal Processor)측에 베이스(Base)가 연결되어, 이 베이스에 인가되는 펄스폭 변조(Pulse Width Modulation) 신호의 듀티비(Duty Rate)에 따라 컬렉터(Collector)와 이미터(Emitter)간에 흐르는 제 2 플래쉬 LED 구동전류를 가변하는 전류 증폭용 트랜지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장착기기의 플래쉬 장치.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장착기기의 플래쉬 장치가:
    상기 카메라 제어부(ISP : Image Signal Processor)와 전류 가변수단 사이에 상기 카메라 제어부(ISP : Image Signal Processor)로부터 출력되는 펄스폭 변조(Pulse Width Modulation) 신호를 필터링(Filtering)하여 출력하는 필터(Filter)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장착기기의 플래쉬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가:
    고주파 제거를 위한 저역필터(LPF : Low Path Filt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장착기기의 플래쉬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수단이:
    카메라 장착기기의 카메라 제어부(ISP : Image Signal Processor)측에 베이스(Base)가 연결되어, 이 베이스에 인가되는 온/오프 신호에 따라 컬렉터(Collector)와 이미터(Emitter)간에 제 1 플래쉬 LED 구동전류가 도통 또는 차단되도록 하는 스위칭 트랜지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장착기기의 플래쉬 장치.
KR1020050070036A 2005-07-30 2005-07-30 카메라 장착기기의 플래쉬 장치 KR200700153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0036A KR20070015315A (ko) 2005-07-30 2005-07-30 카메라 장착기기의 플래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0036A KR20070015315A (ko) 2005-07-30 2005-07-30 카메라 장착기기의 플래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5315A true KR20070015315A (ko) 2007-02-02

Family

ID=38080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0036A KR20070015315A (ko) 2005-07-30 2005-07-30 카메라 장착기기의 플래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1531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9366B1 (ko) * 2009-07-17 2011-01-19 주식회사 씨앤비텍 동화상 카메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9366B1 (ko) * 2009-07-17 2011-01-19 주식회사 씨앤비텍 동화상 카메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63079B2 (ja) 発光制御回路
US7550932B2 (en) Control method and device for a power-converting module that drives a light-emitting component
US20050270413A1 (en) Adjustment of illumination light quantity for moving picture in moving picture image pickup device
US8111234B2 (en)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liquid-crystal-display controll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JP2007149752A (ja) 発光素子の輝度調整装置
KR101010380B1 (ko) 적어도 하나의 광원을 제어하는 회로 장치 및 방법
JP3833646B2 (ja) 画像撮影装置
JP2008139429A (ja) 表示装置及び携帯機器
KR20070015315A (ko) 카메라 장착기기의 플래쉬 장치
JP2004102244A5 (ko)
US7372474B2 (en) Image display controlling apparatus and method, imaging apparatus and viewfinder device
US7400356B2 (en) Lighting control apparatus
JP4083952B2 (ja) 液晶表示装置のバックライト制御装置および方法
JP2006148272A (ja) 電子カメラ
US7643084B2 (en) Lighting control apparatus
KR20050027970A (ko) 화상 촬영 장치
KR101162264B1 (ko) 이미지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촬영 장치
KR100523142B1 (ko) 피디엠신호를 이용한 부하제어장치
JP2013148621A (ja) プロジェクタ
KR100962307B1 (ko) 촬상 장치에서 컬러 모드 절환 방법
KR101184911B1 (ko) 카메라 모듈의 플래쉬 제어방법 및 상기 플래쉬 제어방법이 적용된 카메라 모듈과 상기 카메라 모듈을 탑재한 장치
JP4314968B2 (ja) カメラ装置および光量制御方法
JP2021162686A (ja) 映像表示装置
JP2547273B2 (ja) 撮像装置のフリッカ除去回路
JP2009116053A (ja) プロジェクタ付きカメ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