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14747A - 중계기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중계기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4747A
KR20070014747A KR1020050069647A KR20050069647A KR20070014747A KR 20070014747 A KR20070014747 A KR 20070014747A KR 1020050069647 A KR1020050069647 A KR 1020050069647A KR 20050069647 A KR20050069647 A KR 20050069647A KR 20070014747 A KR20070014747 A KR 200700147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peater
wireless communication
monitoring
module
communication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96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병렬
박영호
임철호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696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14747A/ko
Publication of KR200700147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47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40Monitoring; Testing of relay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28Control of operation parameters of a relay station to exploit the physical medium
    • H04B7/15535Control of relay amplifier ga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라 건물내부와 같은 협소한 공간에 설치되어 이동단말기와 기지국 사이의 신호를 증폭하여 중계하는 중계기; 및 상기 중계기의 운용상태를 감시하는 중계기 감시장치를 포함하는 중계기 감시 시스템은, 상기 중계기의 운용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시하며, 해당 운용상태를 무선 데이터 망을 이용하여 상기 중계기 감시장치로 전송하는 원격 측정장치를 포함함으로써, 도로이동 및 정지상태에서 접근하기 어려운 건물내부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형 중계기에, 직접 접근하지 않고서도 상기 소형 중계기의 운용상태관리 및 실물자산관리가 가능하다.
중계기, 감시, 무선통신

Description

중계기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REPEATER}
도1은 일반적인 중계기 감시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2는 종래기술에 따른 중계기 감시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 감시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 감시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 감시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 감시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 소형 중계기
200: 휴대용 감시장치
300: 기지국
400: 중계기 감시장치
본 발명은 중계기 감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 송수신 장 치를 이용한 중계기 감시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시스템은 서비스지역을 하나의 넓은 지역으로 사용하는 광역방식과는 달리 전체 서비스 지역을 셀이라는 소규모의 서비스 영역으로 분할하고, 각 셀 당 기지국을 설치하여 이동단말기에 대해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런데, 일반 도심 지역이나 또는 산간 지역의 경우에는 고층 건물이나 높은 산등에 의해 기지국과 이동 통신 단말기간의 시야 거리가 차단되는 경우가 발생하고, 또한 이동 통신 단말기를 소유하는 사용자가 건물 내에 있는 경우 기지국과 이동 통신 단말기간에 시야 거리가 차단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와 같이, 기지국과 이동 통신 단말기간의 시야 거리가 차단되는 음영 지역의 경우에는 주파수 송수신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게 됨으로써 통화가 단절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한 통신 음영 지역 형성에 따른 통신 서비스의 질 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증폭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로 송출하고, 또한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증폭하여 기지국으로 송출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용 중계기가 운영되고 있다. 즉, 중계기는 주로 전계 강도가 부족하여 발생하는 부분적인 음영 지역을 커버하기 위하여 기지국의 신호를 재 증폭하는 동작을 수행하는데, CDMA 기지국과 CDMA 단말기의 경로 사이에 설치되어 동작 운용된다.
통상적으로 중계기는 운용 중 장애가 발생하는데, 이러한 중계기의 운용 상태를 주기적으로 감지하여 장애의 발생 여부 및 그 원인을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와 같은 감지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중계기 감시장치이다.
중계기 감시장치는 광 중계기나, RF중계기에서 광 중계기의 회선을 이용하거나 중계기에 단말기를 설치하여 원격으로 감시 제어를 수행하여 왔으나, 소형류 중계기와 같은 초소형 저 출력 중계기는 원격감시가 불가능하여 인력의 방문에 의한 자산관리나 고장관리가 수행되어 왔으나, 건물 출입이 용이하지 못한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감시업무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도1은 일반적인 중계기 감시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로서, 중계기(10)와 기지국(20) 및 중계기 감시서버(30)가 서로 유선 망으로 연결되어 중계기(10)의 오작동을 감시한다. 그러나, 초소형 중계기의 경우에는 RF방식을 이용하여 기지국과 통신하므로 유선 망을 이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도2는 종래기술에 따른 중계기 감시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로서, RF중계기(40)에 CDMA모뎀 또는 무선단말기(41)를 구비하여 기지국(20)과 무선망을 통해 연결됨으로써, 중계기 감시서버(30)에서 RF중계기(40)의 오작동을 감시한다. 그러나, CDMA모뎀 또는 무선단말기(41)를 이용하므로 기지국(20)의 트래픽을 점유하게 되고 무선단말기를 탑재하는데 비용이 발생하여 경제성이 떨어지므로 중형급 이상의 중계기에 제한적으로 사용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관리가 힘든 상태에 해당하는 소형류 중계기의 운용상태 및 실물자산관리가 가능한 중계기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라 건물내부와 같은 협소한 공간에 설치되어 이동단말기와 기지국 사이의 신호를 증폭하여 중계하는 중계기; 및 상기 중계기의 운용상태를 감시하는 중계기 감시장치를 포함하는 중계기 감시 시스템은, 상기 중계기의 운용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시하며, 해당 운용상태를 무선 데이터 망을 이용하여 상기 중계기 감시장치로 전송하는 원격 측정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건물내부와 같은 협소한 공간에 설치되어 이동단말기와 기지국 사이의 신호를 증폭하여 중계하는 복수의 중계기; 및 상기 복수의 중계기 운용상태를 감시하는 중계기 감시장치를 포함하는 중계기 감시 시스템은, 상기 복수의 중계기 운용상태를 감시하며, 각각의 운용상태를 무선 데이터 망을 이용하여 상기 중계기 감시장치로 전송하는 원격멀티 측정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계기의 운용상태를 측정하여 중계기 감시서버로 전송하는 원격 측정장치의 중계기 감시방법은, (1) 상기 중계기와 무선통신을 위한 호를 설정하는 단계; (2) 상기 중계기로부터 운용상태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3) 상기 중계기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4) 상기 운용상태정보 및/또는 위치정보를 무선데이터 망을 이용하여 중계기 감시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상에서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였다.
도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 감시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시스템은, 소형 중계기(100); 상기 소형 중계기(100)와 무선통신이 가능한 휴대용 측정장치(200); 상기 휴대용 측정장치(200)와 무선통신이 가능한 기지국(300); 상기 기지국(300)과 연결되어 소형중계기의 운용 중 장애 여부를 판단하는 중계기 감시서버(400)를 포함한다.
소형 중계기(100)는 보통 건물내부와 같은 협소한 공간에 설치되어 이동단말기(도시하지 않음)와 기지국(300) 사이의 신호를 증폭하여 원활하게 송수신 되도록 하며, 휴대용 측정장치(200)와의 무선통신을 위한 무선통신모듈(110); 및 상기 소형중계기(100)와 무선통신모듈(110) 각각이 공용으로 사용하는 안테나(120)를 포함한다.
휴대용 측정장치(200)는 상기 소형 중계기(100)의 운용상태를 감시하며, 해당 운용상태를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해 기지국(300)으로 전송한다. 이러한, 휴대용 측정장치(200)는, 무선통신모듈(210); GPS모듈(220); 정보처리모듈(230); 단말모듈(240); 유선망모듈(250); 및 안테나(260)를 포함한다.
무선통신모듈(210)은, 소형중계기(100)의 무선통신모듈(110)과 페어로 이루어지며, 운용상태에 해당하는 다양한 정보를 상기 무선통신모듈(110, 210)을 통해 휴대용 측정장치(200)로 전송한다. 특히, 무선통신모듈(110, 210)은 근거리 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무선통신수단을 내장한다. 예컨대, RFID, ZigBee, AM/FM, PCM송수신, 적외선 통신등과 같다.
RFID의 경우에는, 휴대용 측정장치(200)에 RIFD리더기를 설치하고, 소형 중계기(100)에 RFID태그를 설치한다. 이에 따라, 소형 중계기(100)는 RFID태그에 운용상태에 관한 정보를 기록하고, 휴대용 측정장치(200)는 상기 RFID리더기를 통해 읽은 RFID태그 정보를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해 기지국(300)으로 전송한다.
또한, ZigBee의 경우에는 저전력으로 구동 가능한 장점이 있으며, 휴대용 측정장치(200)에 ZigBee 기반의 수신기를 내장하고, 소형 중계기(100)에는 ZigBee 기반의 송신기와 스택을 내장한다. 이에 따라, 소형 중계기(100)의 운용상태를 스택에 저장한 후, 휴대용 측정장치(200)가 근접했을 때 수신기를 통해 운용상태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외에, AM/FM/PCM 송수신기, 적외선 송수신기를 상기 ZigBee의 경우와 유사하게 휴대용 측정장치(200) 및 소형 중계기(100)에 내장하여 상기 소형 중계기(100)의 운용상태를 수신한다.
GPS모듈(220)은 소형 중계기(100)의 위치정보를 얻는데 이용되며, 정보처리모듈(230)은 상기 무선통신모듈(210)을 통해 수집된 소형 중계기(100)의 운용상태정보 및 위치정보를 휴대용 측정장치(200)의 화면에 디스플레이 한다.
단말모듈(240)은 상기 수집된 소형 중계기(100)의 운용상태정보 및 위치정보를 기지국(300)으로 트래픽 채널을 통해 전송하거나, 상기 트래픽 채널이 바쁜 (busy) 경우에는 무선데이터 채널을 통해 전송한다.
유선망 모듈(250)은 유선 인터페이스로서, 상기 휴대용 측정장치(200)와 중계기 감시장치(400)를 유선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안테나(260)는, 상기 무선통신모듈(110)이 저출력이어서 상기 무선통신모듈(210)과의 무선통신 시 거리상의 한계를 지니므로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소형중계기(100)와 공통으로 접속된 안테나(120)와 무선통신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상기 무선통신모듈(110, 210)간 무선통신을 상기 안테나(120, 260)가 대체하게 되어 거리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 예컨대, 무선통신모듈(110, 210)을 이용하여 건물내부에 위치된 상기 소형중계기(100)의 상태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소정 범위이내에서 근접 측정하여야 하므로, 해당 소형중계기(100)의 정확한 위치정보가 필요하다. 그러나, 안테나(120, 260)를 이용하면 건물 외부에서도 상기 소형중계기(100)의 상태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휴대용 측정장치(200)은 소정 메모리장치(미도시)를 더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장치를 통해 상기 운용상태정보 및 위치정보를 저장하여 중계기 감시서버(400)로 직접 전송할 수 도 있다(예컨대, 상기 메모리장치를 휴대용 측정장치(200)로부터 분리한 후, 중계기 감시서버(400)에서 직접 리드 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 감시 시스템의 감시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휴대용 측정장치(200)가 소형 중계기(100)와 무선통신을 위한 호를 설 정하여 소형 중계기(100)의 운용상태정보를 수신한다(S401). 예컨대, RFID리더기를 통해 RFID태그를 읽거나, ZigBee 수신기를 통해 ZigBee송신기에서 전송된 운용상태정보를 수신한다.
이어, 휴대용 측정장치(200)가 GPS모듈(220)을 통해 소형 중계기(100)의 위치정보를 얻는다(S402). 이때, 상기 운용상태정보 및/또는 위치정보를 휴대용 측정장치(200)의 화면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그런 다음, 휴대용 측정장치(200)가 상기 운용상태정보 및/또는 위치정보를 단말모듈(240)을 통해 기지국(300)으로 전송한다(S403). 이때, 트래픽 채널을 이용하거나, 무선데이터 망을 이용하여 전송한다.
이에 따라, 중계기 감시서버(400)는 상기 트래픽 채널 또는 무선데이터 망을 통해 전송된 상기 운용상태정보 및/또는 위치정보를 분석한다. 상기 분석자료로는 신호대 잡음비, 역방향/순방향 메시지의 신호강도 및 신호 컨트롤 파라미터 등과 같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측정장치(200)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운용상태정보 및 위치정보를 중계기 감시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감시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시스템은, 건물내부에 설치된 복수의 소형 중계기(100a, 100b, ..., 100n); 상기 복수의 소형 중계기(100a, 100b, ..., 100n)와 N:1무선통신이 가능한 차량용 측정장치(500); 상기 차량용 측정장치(500)와 무선통신이 가능한 기지국(300); 및 상기 기지국(300)과 연결되어 소형중계기(100a, 100b, ..., 100n)의 운용 중 장애 여부를 판단하는 중계기 감시서버(400)를 포함한다.
복수의 소형 중계기(100a, 100b, ..., 100n)는 보통 건물내부와 같은 협소한 공간에 각각 설치되며, 차량용 측정장치(500)와 N:1 무선통신을 위하여, 각 소형 중계기(100a, 100b, ..., 100n)는 특정 ID를 할당한다. 이를 위하여, 소형 중계기(100a, 100b, ..., 100n)에 각각에 내장된 무선통신모듈(110)에서는 운용상태정보에 무선통신모듈(110)의 ID를 포함시켜 전송한다. 또한, 복수의 소형 중계기(100a, 100b, ..., 100n)는, 상기 무선통신모듈(110)과 공통으로 사용하는 안테나(120)를 더 포함한다.
차량용 측정장치(500)는 휴대용 측정장치(200)와는 다르게, 고감도의 안테나 모듈(510)을 이용하여 복수의 소형 중계기(100a, 100b, ..., 100n)로부터 운용상태정보를 실시간으로 전송 받는다. 이러한 차량용 측정장치(500)는, 휴대용 측정장치(530); 안테나 모듈(510); 증폭기(520); 및 안테나(540)를 포함한다.
안테나 모듈(510)은 상기 안테나(540)와 접속되어 상기 중계기용 안테나(120)와 무선통신을 수행함으로써, 건물 내부에 위치한 소형 중계기(100a, 100b, ..., 100n)에 접근 할 수 없을 경우에 활용되는 차량용 회전식 고감도 안테나 모듈이며, 증폭기(520)는 안테나 모듈(510)에서 수신된 복수의 소형 중계기(100a, 100b, ..., 100n)로부터의 전송신호를 증폭한다.
또한, 휴대용 측정장치(530)는, 멀티무선통신모듈(531); GPS모듈(220); 정보처리모듈(230); 단말모듈(240); 유선망 모듈(250); 및 안테나(540)를 포함하며, 도3에 도시한 휴대용 측정장치(200)와는 멀티무선통신모듈(531) 이외에는 거의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멀티무선통신모듈(531)은 상술한 도3의 무선통신모듈(210)과 유사하며, 복수의 소형 중계기(100a, 100b, ..., 100n)에서 전송된 각 운용상태정보를 해석하여 해당 ID에 따른 운용상태정보를 정보처리모듈(230)로 전송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중계기 감시 시스템의 감시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차량용 측정장치(500)가 복수의 소형 중계기(100a, 100b, ..., 100n)와 무선통신을 위한 호를 각각 설정하여 해당 ID별로 운용상태정보를 수신한다(S601). 이때, 각 소형 중계기(100a, 100b, ..., 100n)의 무선모듈(120)과 상기 차량용 측정장치(500)의 멀티무선통신모듈(531) 사이에는 멀티 접속이 가능한 무선통신방식을 적용한다.
이어, 차량용 측정장치(500)가 GPS모듈(220)을 통해 각 소형 중계기(100a, 100b, ..., 100n)의 위치정보를 얻는다(S602). 이때, 상기 운용상태정보 및/또는 위치정보를 차량용 측정장치(500)의 화면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차량용 측정장치(500)가 각 소형 중계기(100a, 100b, ..., 100n)의 운용상태정보 및/또는 위치정보를 단말모듈(240)을 통해 기지국(300)으로 전송 한다(S603). 이때, 트래픽 채널을 이용하거나, 무선데이터 망을 이용하여 전송한다.
이에 따라, 차량용 측정장치(500)는 복수의 소형 중계기(100a, 100b, ..., 100n)로부터 전송된 운용상태정보를 ID별로 기지국(3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운용자가 휴대할 수 있는 휴대용 측정장치 및/또는 차량에 탑재된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도로이동 및 정지상태에서 접근하기 어려운 건물내부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형 중계기에, 직접 접근하지 않고서도 상기 소형 중계기의 운용상태관리 및 실물자산관리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Claims (21)

  1. 건물내부와 같은 협소한 공간에 설치되어 이동단말기와 기지국 사이의 신호를 증폭하여 중계하는 중계기; 및 상기 중계기의 운용상태를 감시하는 중계기 감시장치를 포함하는 중계기 감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중계기의 운용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시하며, 해당 운용상태를 무선 데이터 망을 이용하여 상기 중계기 감시장치로 전송하는 원격 측정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감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기는,
    상기 중계기의 운용상태정보를 송신하는 제1무선통신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감시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무선통신모듈은,
    RFID기반의 무선통신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감시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무선통신모듈은,
    지그비(ZigBee) 기반의 무선통신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감시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무선통신모듈은,
    AM 및/또는 FM 기반의 무선통신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감시 시스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무선통신모듈은,
    PCM송수신을 통한 무선통신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감시 시스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무선통신모듈은,
    적외선 통신 기반의 무선통신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감시 시스템.
  8. 제1항 내지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측정장치는,
    상기 중계기의 운용상태정보를 수신하는 제2무선통신모듈;
    상기 중계기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GPS모듈;
    상기 제2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수집된 운용상태정보 및 상기 GPS모듈을 통해 수집된 위치정보를 저장하고, 화면 표시 키 선택을 통해 상기 운용상태정보 및 위치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정보처리모듈;
    상기 수집된 중계기의 운용상태정보 및 위치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무선 망을 통해 전송하는 단말모듈; 및
    상기 수집된 중계기의 운용상태정보 및 위치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유선 망 을 통해 전송하는 유선망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감시 시스템.
  9. 제1항 내지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기는
    상기 중계기와 상기 제1무선통신모듈이 공통으로 접속된 제1안테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감시 시스템.
  10. 건물내부와 같은 협소한 공간에 설치되어 이동단말기와 기지국 사이의 신호를 증폭하여 중계하는 복수의 중계기; 및 상기 복수의 중계기 운용상태를 감시하는 중계기 감시장치를 포함하는 중계기 감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중계기 운용상태를 감시하며, 각각의 운용상태를 무선 데이터 망을 이용하여 상기 중계기 감시장치로 전송하는 원격멀티 측정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감시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멀티 측정장치는
    건물 내부에 위치한 중계기에 접근 할 수 없을 경우에 상기 복수의 중계기로부터 전송되는 운용상태정보를 수신하는 안테나 모듈;
    상기 안테나 모듈에서 수신된 복수의 중계기로부터의 전송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 및
    상기 증폭된 전송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복수의 중계기 각각의 운용상태를 분 류한 후, 무선 데이터 망을 이용하여 상기 중계기 감시장치로 전송하는 멀티 측정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감시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 측정장치는,
    상기 복수의 중계기 운용상태정보를 상기 증폭기로부터 수신하는 멀티무선통신모듈;
    상기 복수의 중계기 위치정보를 각각 획득하는 GPS모듈;
    상기 멀티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수집된 운용상태정보 및 상기 GPS모듈을 통해 수집된 위치정보를 저장하고, 화면 표시 키 선택을 통해 상기 운용상태정보 및 위치정보를 각각 디스플레이 하는 정보처리모듈; 및
    상기 수집된 중계기의 운용상태정보 및 위치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무선데이터 망을 통해 전송하는 단말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감시 시스템.
  13.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중계기는
    해당 ID가 각각 설정되며, 상기 운용상태정보 전송 시 상기 ID를 포함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감시 시스템.
  14.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계기의 운용상태를 측정하여 중계기 감시서버로 전송하는 원격 측정장치의 중계기 감시방법에 있어서,
    (1) 상기 중계기와 무선통신을 위한 호를 설정하는 단계;
    (2) 상기 중계기로부터 운용상태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3) 상기 중계기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4) 상기 운용상태정보 및/또는 위치정보를 무선데이터 망을 이용하여 중계기 감시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감시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는,
    RFID기반의 무선통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감시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는,
    지그비(ZigBee) 기반의 무선통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감시 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는,
    AM 및/또는 FM 기반의 무선통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감시 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는,
    PCM송수신을 통한 무선통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감시 방법.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는,
    적외선 통신 기반의 무선통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감시 방법.
  20. 제14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중계기에 해당 ID가 각각 설정되며, 상기 운용상태정보 수신 시 상기 ID별로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감시 방법.
  21. 제14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중계기에 해당 ID가 각각 설정되며, 상기 위치정보 획득 시 상기 ID를 통해 구분하여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감시 방법.
KR1020050069647A 2005-07-29 2005-07-29 중계기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700147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9647A KR20070014747A (ko) 2005-07-29 2005-07-29 중계기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9647A KR20070014747A (ko) 2005-07-29 2005-07-29 중계기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4747A true KR20070014747A (ko) 2007-02-01

Family

ID=38080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9647A KR20070014747A (ko) 2005-07-29 2005-07-29 중계기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1474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15822A1 (ko) * 2014-01-29 2015-08-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중계 기능 상태 보고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단말
WO2015156444A1 (ko) * 2014-04-10 2015-10-15 주식회사 쏠리드 소출력 rf 중계기의 상태 감시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15822A1 (ko) * 2014-01-29 2015-08-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중계 기능 상태 보고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단말
KR101876951B1 (ko) * 2014-01-29 2018-07-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중계 기능 상태 보고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단말
US10136347B2 (en) 2014-01-29 2018-11-20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reporting state of relay function performed by terminal in radio communication system and terminal using same
WO2015156444A1 (ko) * 2014-04-10 2015-10-15 주식회사 쏠리드 소출력 rf 중계기의 상태 감시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48349B2 (en) IOT automation and data collection system
US6333975B1 (en) Method and system for reading intelligent utility meters
US20120083289A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determining position information
CN105493546A (zh) 用于无线增强器的远程控制应用
US10044424B2 (en) Method for operating a mobile transceiver
KR20070110574A (ko)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교통 정보 서비스 시스템 및 그방법
KR101592895B1 (ko) 원격검침 시스템 장치
WO2010102970A3 (fr) Systeme d'aide au deploiement d'un reseau fixe de tele releve de compteurs
KR101847282B1 (ko) 다채널 점대점 통신을 지원하는 모바일 중계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KR20070014747A (ko) 중계기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58041B1 (ko) 원격 검침을 위한 단말기의 통신 경로 설정 방법 및 시스템
CN204990658U (zh) 一种压力传感装置和数据监控系统
KR100872704B1 (ko) 중계기 원격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305289B1 (ko) 이동전화기를 이용한 기지국 및 중계기 관리 시스템
KR100367079B1 (ko) 이동통신용 중계기의 오류 검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610864B1 (ko) 소형류 중계기 감시 장치 및 방법
KR100986422B1 (ko) 중계기 감시장치 및 이를 구비한 감시 관리시스템
KR20090029060A (ko) 광 중계기 게인 자동 세팅 및 불요파 검출 방법 및 장치
JP4529806B2 (ja) 自動無線検針システム
KR100600498B1 (ko) 무선 중계기 실시간 감시 장치
JP2006350594A (ja) 自動無線計測装置とそのプロウラム
KR20030022633A (ko) 광중계기의 원격감시장치
JPH11110640A (ja) 自動販売機用無線posシステムの構成装置
CN113691968A (zh) 一种应急通讯小型微波通讯远程群控系统
KR101304435B1 (ko) 중계기 원격 감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