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12366A - 무선 주파수 인증 트랜스폰더의 의한 연속 데이터 제공 - Google Patents

무선 주파수 인증 트랜스폰더의 의한 연속 데이터 제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2366A
KR20070012366A KR1020067018900A KR20067018900A KR20070012366A KR 20070012366 A KR20070012366 A KR 20070012366A KR 1020067018900 A KR1020067018900 A KR 1020067018900A KR 20067018900 A KR20067018900 A KR 20067018900A KR 20070012366 A KR20070012366 A KR 200700123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radio frequency
transponder
memory
inte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89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카르멘 쿠흘
Original Assignee
노키아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키아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노키아 코포레이션
Priority to KR10200670189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12366A/ko
Publication of KR200700123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23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2/00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ng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12/02Addressing or allocation; Relo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2/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on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2212/10Providing a specific technical effect
    • G06F2212/1028Power efficienc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거리 통신시스템의 분야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고정된 물리적 메모리 용량을 확장하는 무선 주파수 인증 트랜스폰더에 의해 상당한 양의 데이터 제공을 허용하는 유연한 가상 메모리 용량을 갖는 고정된 물리적 메모리 용량이 있는 무선 주파수 인증 트랜스폰더에 대한 것이다. 따라서, 무선 주파수 인증 트랜스폰더에 의하여 연속 데이터 제공을 위한 방법과 무선 주파수 인증 트랜스폰더가 제공된다. 데이터의 스트림은 트랜스폰더를 위한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수신되고 수신된 데이터는 트랜스폰더 메모리에 저장된다. 그 다음에 저장된 데이터는 트랜스폰더 메모리로부터 판독되고 그것과 함께 통신되기 위해 무선 주파수 인터페이스에 공급된다. 다음으로, 이전에 판독된 현재 데이터 저장에 사용되는 메모리는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다음에 수신되는 데이터를 나중에 저장하는데 제공된다.

Description

무선 주파수 인증 트랜스폰더의 의한 연속 데이터 제공{Continuous data provision by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RFID) transponders}
본 발명은 단거리 통신시스템의 분야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고정된 물리적 메모리 용량을 확장하는 무선 주파수 인증 트랜스폰더에 의해 상당한 양의 데이터 제공을 허용하는 유연한 가상 메모리 용량을 갖는 고정된 물리적 메모리 용량이 있는 무선 주파수 인증 트랜스폰더에 관한 것이다.
무선 주파수 인증(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기술은 기본적으로 지역 통신 기술 특히 전자기 결합 및/또는 정전 결합 기술과 관련된 지역 통신 기술의 분야에 관한 것이다. 가령 무선 주파수 인증 기술을 이용하는 경우, 전자기 결합 및/또는 정전 결합은 전자 스펙트럼의 무선 주파수(RF) 부분에서 구현된다. 그리고 무선 주파수 인증 기술은 주로 무선 주파수 인증(RFID) 태그로 나타나는 무선 주파수 인증(RFID) 트랜스폰더와 단순함을 위해 무선 주파수 인증(RFID) 판독기로도 나타나는 무선 주파수 인증(RFID) 트랜스폰더를 위한 판독 장치를 포함한다.
본래, 무선 주파수 인증(RFID) 기술은 지금까지 물품 관리 목적과 물류를 위해 사용된 바코드 인증 라벨을 주로 대체하기 위해 전자 물품 감시, 물품 관리 목 적 및 물류를 위하여 개발 및 소개되었다. 전형적인 기술의 무선 주파수 인증(RFID) 트랜스폰더 구현은 도 1에서 도시된다. 전형적인 무선 주파수 인증(RFID) 트랜스폰더 모듈(10)은 관례적으로, 트랜스폰더 논리(11)로서 대표적으로 도시된, 전자 회로를 포함한다. 상기 전자회로는 트랜스폰더 메모리(12)로 도시된 데이터 저장 용량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상기 무선 주파수 인증(RFID) 트랜스폰더 모듈(10)은 트랜스폰더 논리(11)에 안테나(13)를 연결하는 무선 주파수(RF) 인터페이스를 갖는다. 여기서 무선 주파수(RF) 인터페이스는 명확하게 도시되지 않았다. 오히려 무선 주파수(RF) 인터페이스는 트랜스폰더 논리(11)에 통합된다. 무선 주파수 인증(RFID) 트랜스폰더는 전형적으로 작은 컨테이너에 수용된다. 무선 주파수 인증(RFID) 트랜스폰더에 구상된 적용에 검토된 요구(가령, 데이터 전송 비율, 호출 에너지, 전송 범위 등)에 의존하는 경우, 다른 유형은 몇 10-100KHz에서 몇 GHz까지의 범위 내 다른 무선 주파수(가령 134KHz, 13,56MHz, 860-928MHz 등; 단지 설명을 위한 것임.)에서의 데이터/정보 전송에 제공된다. 무선 주파수 인증(RFID) 트랜스폰더의 두 가지 주된 종류가 구별될 수 있다. 수동 무선 주파수 인증(RFID) 트랜스폰더는 무선 주파수 인증(RFID) 판독기에 의하여 활성화되고 에너지를 공급받는다. 무선 주파수 인증(RFID) 판독기는 가령 특정 주파수에서의 무선 주파수(RF) 신호와 같은 호출 신호를 생성한다. 능동 무선 주파수 인증(RFID) 트랜스폰더는 에너지 공급을 위한 배터리나 축전지와 같은 자체 전력 공급원을 포함한다.
무선 주파수 인증(RFID) 판독기에 의한 무선 주파수 인증(RFID) 트랜스폰더 의 활동화시, 트랜스폰더 메모리(12)에 저장된 정보 내용은 무선 주파수(RF)신호로 변조된다. 그리고 그것은 무선 주파수 인증(RFID) 판독기에 의하여 탐지되고 수신되기 위하여 무선 주파수 인증(RFID) 트랜스폰더의 안테나(13)를 통해 방사된다. 전형적인 기술의 무선 주파수 인증(RFID) 트랜스폰더는 ISO 14443 타입A 표준이나 Mifare 표준과 같은 무선 주파수 인증(RFID)표준에 부합한다. 무선 주파수 인증(RFID) 트랜스폰더의 적용 목적에 따라서, 트랜스폰더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는 하드-코드 될 수도 있고 소프트-코드 될 수도 있다. 하드-코드된다는 것은 트랜스폰더 메모리(13)에 저장된 데이터가 미리 결정되고 변경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소프트-코드된다는 것은 트랜스폰더(13)에 저장된 데이터가 외부 개체에 의하여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트랜스폰더 메모리의 구성는 안테나(13)와 무선 주파수(RF)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무선 주파수(RF) 신호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고 트랜스폰더 메모리(13)와 직접 연결을 허용하는 구성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럼에도, 트랜스폰더 메모리(13)에 의하여 저장된 정보 내용의 크기와 데이터의 양은 고정된 최대 용량 한계를 나타내는 트랜스폰더 메모리(13)의 용량과 같은 트랜스폰더 메모리의 물리적 구현 한계에 의하여 각각 제한된다.
실제로, 종래 기술의 무선 주파수 인증(RFID) 트랜스폰더, 특히 수동 무선 주파수 인증(RFID) 트랜스폰더는 무선 연결이 가능한 저장 매체로서 시스템 형태로 고려될 수 있다. 그리고 그것은 내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판독하는 것을 허용하고 궁극적으로 일종의 쓰기 접근에 의하여 저장된 데이터를 구성하는 것을 허용한다.
무선 주파수 인증(RFID) 기술의 개발 초기 단계 동안에 무선 주파수 인증(RFID) 기술의 기능은 휴대용 소비자 전자(consumer electronics: CE) 장치의 분야에서 주로 무선 정보 통신에 대한 추가 예정된 용도에 적용 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특별히, 구성가능한 무선 주파수 인증(RFID) 트랜스폰더는 전자 달력 엔트리(vCal)에 대한 정보, 전자 방문 카드(vCard)에 대한 정보, 디지털 오거나이저 디렉터리에 대한 정보, 전화 연결음에 대한 데이터, 디지털 사진에 대한 데이터, 파일 데이터, RFID에 기반한 블루투스 연결 설정 등과 같은 무선 연결 설정에 대한 구성 정보 같은 데이터를 통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게다가, 무선 주파수 인증(RFID) 트랜스폰더는 전자 티켓 애플리케이션, 결제 애플리케이션, 접근 제어 애플리케이션 등에 대한 정보를 통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전술한 용도와 통신될 정보 내용은 그것으로부터 단지 비-제한적인 예의 리스트만을 형성한다. 비록 추가 정보 내용, 적용 및 용도가 설명되지 않았지만, 가능하다.
한편, 인접 통신 (near-field communication: NFC)이라 불리는 부가 무선 통신이 있다. 그것은 데이터 통신을 위한 무선 통신 인증(RFID) 기술에 기반한다. 상세히, 인접 통신(NFC) 표준은 능동 통신을 규정한다. 그리고 NFC가 가능한 무선 주파수 인증(RFID) 판독기는 사용된 무선 주파수 인증(RFID) 기술의 가능성과 한계에 적합한 통신 프로토콜 및 통신 연결에 의하여 서로 통신하는데 채용된다. 비록 인접 통신(NFC) 표준은 사용된 무선 주파수 인증(RFID) 기술에 기반하고 있지만, 인접 통신(NFC)은 복잡한 통신 프로토콜 스택을 사용하고 양 지향성(bi-directional)의 능동 통신 연결을 요구하기 때문에, 인접 통신(NFC) 표준은 본래 무선 주파수 인증(RFID) 기술보다 다양한 무선 통신 기술로부터 알려진 전형적인 베어러 기술과 필적할 가능성이 크다. 복잡한 통신 프로토콜 스택과 능동 통신 연결 모두는 전력을 소비한다. 그리고 그것은 휴대용 소비자 전자(CE) 장치의 주요 관심부분이다.
결정적으로, 무선 주파수 인증(RFID) 기술과 그에 기반된 인접 통신(NFC)은 정보와 데이터를 무선으로 교환하기 위한 증가하는 요구와 소비자의 필요를 만족한다. 그리고 그것은 디지털 비디오 플레이어, 디지털 음악 플레이어, 디지털 카메라,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 카메라 기능을 갖는 이동 전화 등과 같은 휴대용 소비자 전자장치의 향상된 기능에 의하여 부분적으로 작동된다. 일반적인 기술 경향에 따르면, 데이터가 전송되는 때 통신되는 데이터 양과 데이터 비율이 증가할 것이라고 추정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그럼에도, 무선 주파수 인증(RFID) 기술의 분야의 현존하는 발전에서는 상기 언급한 몇 가지 단점이 발견될 수밖에 없다. 이용가능한 무선 주파수 인증(RFID) 트랜스폰더는 비록 구성할 수 있지만 저장되는 데이터와 통신되는 데이터 모두에 대한 데이터 용량으로 제한된다. 그것은 무선 주파수 인증(RFID) 트랜스폰더 내 데이터 저장 용량의 제한 때문이다. 무선 주파수 인증(RFID) 기술에 기반한 인접 통신(NFC)은 이러한 용량의 제한을 극복하지만 인접 통신(NFC)은 전력을 소비하는 기술이다. 그러나 배터리나 축전지에 의하여 에너지를 공급받는 휴대용 소비자 전자 장치의 분야에서 전력을 소비하는 것은 주된 관심부분이다. 그것은 인접 통신(NFC) 표준에 기초한 통신 수단의 구현이 휴대용 소비자 전자장치의 일반적 설계 요구와 모순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특별히 적당하거나 그 이상의 전력을 소비하는 현존 무선 주파수 인증(RFID) 트랜스폰더의 장점을 유지하는 반면에, 무선 주파수 인증(RFID) 트랜스폰더의 물리적 용량 제한을 극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본 발명에 첨부된 독립 청구항에서 규정된 바와 같은 방법, 무선 주파수 인증(RFID) 트랜스폰더 및 시스템에 의하여 해결된다.
본 발명의 첫 번째 관점에 따르면, 무선 주파수 인증 장치에서 연속 데이터 제공을 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데이터의 스트림은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수신되고 수신된 데이터는 트랜스폰더 메모리에 저장된다. 이어서, 저장된 데이터는 트랜스폰더 메모리로부터 판독되고 그것과 함께 통신되기 위하여 무선 주파수 인터페이스로 공급된다. 이전에 판독된 데이터 저장하는데 사용되는 트랜스폰더 메모리는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차후에 수신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이용된다. 이것은 트랜스폰더 메모리가 바람직하게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판독한 것을 삭제하고 새로운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할당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동작을 저장하고 판독하는 것은 실질적으로 동시에 또는 연속으로 반복 교대로 수행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수신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는 할당된다. 즉, 부분적으로 할당된다. 그리고 저장된 데이터의 판독 다음에는 할당 해제된다. 말하자면, 또한 최소한 부분적으로 할당 해제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트랜스폰더 메모리는 최소한 두 개의 메모리 영역으로 분할된다. 먼저, 메모리 영역의 하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적용될 수 있고 메모리 영역의 다른 하나는 데이터를 판독하는데 적용될 수 있다. 메모리 영역으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고 및/또는 저장을 위한 메모리 영역을 다 사용한 다음에, 메모리 영역의 사용은 변경된다.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위상 중계기 메모리는 버퍼 메모리로서 동작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위상 중계기 메모리는 선입선출(first-in-first-out: FIFO) 버퍼 메모리나 혹은 링-버퍼 메모리로서 동작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을 판독하고 공급하는 것은 데이터를 판독하는 것을 포함한다. 그리고 그러한 데이터는 할당된 메모리에 저장된다. 판독될 데이터는 판독 위치에 의하여 나타난다. 판독된 데이터는 무선 주파수 인터페이스에 공급된다. 그리고 판독 위치에 의하여 나타난 판독 데이터를 포함하는 메모리가 최소한 부분적으로 할당 해제된다. 그 후에 판독 위치는 갱신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을 수신하고 저장하는 것은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전자 장치로부터 데이터의 스트림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쓰기 위치에 의하여 나타나는 사용되지 않은(즉, 메모리 영역의 할당 해제에 대하여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은 의미에서 할당되지 않거나 할당 해체된) 메모리는 내부의 스트링 데이터를 위해 할당된다. 수신된 데이터는 할당된 메모리 영역에 쓰이고 쓰기 위치는 차후에 추가 데이터 쓰기를 허용에 수반하여 갱신된다. 충돌을 피하기 위하여 판독위치와 쓰기 위치는 서로 다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판독 및 쓰기 위치들은 미리 결정된 오프셋에 의하여 분리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미리 수신된 판독된 데이터는 연속하여 무선 주파수 인터페이스로 공급된다. 잘 형성된 데이터 스트림을 수신하는 데이터 인터페이스에서 관측되는 데이터 연속은 무선 주파수 인터페이스와 작동가능한 전송에서 유지된다.
본 발명의 두 번째 관점에 따르면, 무선 주파수 인증 트랜스폰더에 의한 연속 데이터 제공을 위한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컴퓨터 프로그램 생성물이 제공된다. 프로그램이 제어기, 프로세서 기반 장치, 컴퓨터, 단말기, 네트워크 장치, 이동 단말기, 또는 이동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에서 작동하는 경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생성물은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 부분을 포함한다. 대안으로, 주문형 반도체(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는 전술한 컴퓨터 프로그램 생성물과 마찬가지로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 방법의 전술한 단계를 실현하는데 채택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명령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세 번째 관점에 따르면, 컴퓨터 프로그램 생성물이 제공된다. 그리고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제어기, 프로세서 기반 장치, 컴퓨터, 단말기, 네트워크 장치, 이동 단말기, 혹은 이동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에서 작동하는 경우, 컴퓨터 프로그램 생성물은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기계 판독 가능 매체(machine readable medium)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 부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네 번째 관점에 따르면, 소프트웨어 도구가 제공된다. 소프트웨어 도구가 컴퓨터 프로그램에서 실행되거나 및/또는 수행되는 경우 소프트웨어 도구는 전술한 방법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부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섯 번째 관점에 따르면, 반송파(carrier wave)에서 구현되는 컴퓨터 데이터 신호로서, 프로세서에 의하여 수행되는 때에 전술한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단계가 수행되게 하는 명령어를 나타내는 컴퓨터 데이터 신호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여섯 번째 관점에 따르면, 연속 데이터 제공을 하는 무선 주파수 인증 장치는 제공된다. 무선 주파수 인증 장치는 데이터 인터페이스, 트랜스폰더 메모리, 무선 주파수 인터페이스 및 트랜스폰더 논리를 포함한다. 데이터 인터페이스는 전자 장치와 작동할 수 있고 데이터 스트림의 형태로 전자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채택된다. 수신된 데이터는 트랜스폰더 메모리에 저장된다. 트랜스폰더 논리는 트랜스폰더 메모리로부터 저장된 데이터를 판독할 수 있고 판독된 데이터를 무선 주파수 인터페이스에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그것은 오히려 안테나를 통하여 공급된 데이터의 전송을 수행한다. 미리 데이터가 판독된 트랜스폰더 메모리는 차후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수신된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이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트랜스폰더 메모리는 버퍼 메모리로서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트랜스폰더 메모리는 최소한 두 개의 영역으로 분할된다. 우선적으로, 최소한 두 개의 메모리 영역 중 한 메모리 영역은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수신된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적용될 수 있다. 게다가, 최소한 두 개의 영역 중 다른 메모리 영역은 우선적으로 미리 즉, 데이터 판독 이전에 저장된 데이터를 판독하는데 적용 될 수 있다. 메모리 영역으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고 및/또는 저장을 위해 메모리 영역을 쓴 후, 메모리 영역의 사용은 바뀐다.
그러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트랜스폰더 메모리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메모리를 할당하고 저장된 데이터를 판독한 다음에 할당된 메모리를 할당 해체하는데 채택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트랜스폰더 논리는 같은 순서로 판독된 데이터를 무선 주파수 인터페이스에 공급하는데 적용된다. 그리고 그러한 순서는 데이터가 이전에 수신된 데이터 인터페이스에서 관측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주파수 인증 장치는 무선 주파수 인증 트랜스폰더이거나 무선 주파수 인증 트랜스폰더 기능뿐 아니라 무선 주파수 인증 판독기 기능까지 갖는 무선 주파수 인증 모듈이다.
본 발명의 네 번째 관점에 따르면, 무선 주파수 인증 장치와 전자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이 제공된다. 무선 주파수 인증 장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주파수 인증 장치이다. 그리고 전자 장치는 데이터를 무선 주파수 인증 장치로 공급하는데 채택된다. 무선 주파수 인증 트랜스폰더는 전자 장치의 제어 아래 동작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은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자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전형적인 기술의 RFID 트랜스폰더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고;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FID 트랜스폰더의 구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2a에서 도시된 RFID 트랜스폰더의 구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도 2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안적인 RFID 모듈의 구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설명을 위한 동작 단계를 포함하는 흐름도를 개략적으로 보여주고;
도 4a는 본 발명의 첫 번째 실시예에 따른 RFID 트랜스폰더 메모리의 구조와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도 4b는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예에 따른 RFID 트랜스폰더 메모리의 구조와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및
도 4c 내지 4e는 본 발명의 세 번째 실시예에 따른 RFID 트랜스폰더 메모리의 구조와 동작을 개략적으로 보여준다.
상세한 설명 설명과 첨부된 도면 전부에 걸쳐 같거나 혹은 유사한 구성부분, 유닛 또는 장치는 명확성을 위하여 같은 참조 번호에 의하여 참조 될 것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RFID 트랜스폰더를 갖춘 휴대용 소비자 전자(CE) 장치의 구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2b는 도 2a의 RFID 트랜스폰더의 구현을 더욱 자세하게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아래 설명에서는 도 2a 및 도 2b를 모두 참조한다.
도 2a의 블록 선도는 셀룰러 단말기의 주요한 구조 설계를 나타낸다. 그것은 본 발명의 경우에 일종의 휴대용 소비자 전자(CE) 장치(100)를 나타내야 한다. 본 발명이 특정한 종류의 휴대용 소비자 전자(CE) 장치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이해돼야 한다. 설명된 셀룰러 단말기는 전형적으로 중앙 처리 장치(CPU)(110), 데이터 저장(120), 애플리케이션 저장 장치(130), 오디오 입력/출력(I/O) 수단을 포함하는 입력/출력 수단(150), 입력 제어기(Ctrl)를 갖는 키패드(160) 및 디스플레이 제어기(Ctrl)를 갖는 디스플레이(170)를 포함한다. 셀룰러 안테나(도시되지 않음)에 결합한 셀룰러 인터페이스(I/F)(180)는 오버 더 에어(over-the-air)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그리고 그것은 공중 육상 이동 통신망(public land mobile network: PLMN)의 대응 무선 접속망(radio access network: RAN)과 셀룰러 통신을 하기 위해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SIM)과 관련한 기능을 제공한다.
셀룰러 안테나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신호를 복호하고, 그것들을 복조하고 또한, 그것들을 베이스 밴드 주파수(base band frequency)로 축소시키기 위하여 셀룰러 인터페이스(I/F)(180)는 셀룰러 송수신기로서 구성된다. 따라서 셀룰러 인터페이스(I/F)(180)의 출력은 중앙 처리 장치(CPU)(110)에 의하여 추가로 처리되는 것을 요구하는 데이터의 스트림으로 구성된다. 또한, 셀룰러 송수신기로 구성되는 셀룰러 인터페이스(I/F)(180)는 중앙 처리 장치(CPU)(11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다. 그리고 데이터는 오버 더 에어(over-the-air)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무선 접속망(RAN)으로 전송된다. 따라서, 셀룰러 인터페이스(I/F)(180)는 암호화하고, 변조하고 그리고 신호를 사용되는 무선 주파수로 상향 변환한다. 그 다음에 셀룰러 안테나는 결과 무선 주파수 신호를 공중 육상 이동 통신망(PLMN)의 대응하는 무선 접근망(RAN)에 전송한다.
디스플레이와 디스플레이 제어기(Ctrl)(170)는 중앙 처리 장치(CPU)(110)에 의하여 제어되고 전형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의하여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키패드와 키패드 제어기(Ctrl)(160)는 사용자에게 정보를 입력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키패드를 통한 정보 입력은 중앙 처리 장치(CPU)(110)에 공급된다. 그리고 그것은 입력 정보에 따라 제어될 수 있다. 오디오 입력/출력(I/O) 수단(150)은 최소한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기 위한 스피커와 오디오 신호를 기록하기 위한 마이크로폰을 포함한다. 오디오 데이터가 셀룰러 전송을 위한 적합한 포맷을 갖고 있는 경우, 중앙 처리 장치(CPU)(110)는 오디오 데이터의 오디오 출력 신호로의 변환과 오디오 입력 신호의 오디오 데이터로의 변환을 제어할 수 있다.
무선 주파수 인증(RFID) 트랜스폰더 모듈(200)은 설명을 위하여 셀룰러 폰으로 구현된 전술한 휴대용 소비자 전자(CE) 장치와 동작할 수 있다. 대체로, 설명된 무선 주파수 인증(RFID) 트랜스폰더 모듈(200)은 무선 주파수 인증(RFID) 트랜스폰더 모듈(200)의 동작 기능을 제공하는 트랜스폰더 논리(210), 무선 주파수 인증(RFID) 트랜스폰더 모듈(200)을 통하여 통신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트랜스폰더 메모리(220) 및 안테나(230)를 포함한다. 각각 트랜스폰더 논리(210)는 무선 주파수(RF) 인터페이스(235)를 통하여 안테나(230)와 접속하고, 안테나(230)는 동작을 위해 배치된 미리 정해진 무선 주파수/주파수들에 채택된다.
무선 주파수(RF) 인터페이스(235)와 안테나(230)는 하나 이상의 호출 신호를 수신하고 트랜스폰더 메모리(220)로부터 검색된 정보를 운반하는 하나 이상의 응답 신호를 전송하는데 적절히 채택된다.
안테나는 무선 주파수(RF) 인터페이스(235)와 접속한다. 그리고 그것은 무선 주파수(RF) 인터페이스(235)에 의하여 생성된 RF 신호를 안테나(230)로 보내고 안테나(230)에 의하여 수신된 RF 신호를 수락한다. 무선 주파수(RF) 인터페이스(235)는 안테나(230)에 의하여 각각 전송되고 수신될 신호의 변조와 복조 모두를 책임진다.
전형적으로 무선 주파수(RF) 인터페이스(235)는 복조된 신호를 트랜스폰더 논리(210)로 전송할 수 있고 변조되고 전송될 신호를 트랜스폰더 논리(21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더욱 특별하게, 무선 주파수(RF) 인터페이스(235)는 트랜스폰더 논리(210)의 동작에 필요한 추가 신호를 제공한다. 그리고 그것은 상세히 전원 공 급 신호(전압 신호)와 클록 신호이다. 전원 공급 신호는 호출 전자기장의 안테나(230)의 결합에서 획득된다. 반면에 클록 신호는 무선 주파수(RF) 인터페이스(235)에 포함된 복조기로부터 획득된다. 전원 공급 신호와 클록 신호는 트랜스폰더 논리(210)를 동작하는데 불가피하다. 그리고 트랜스폰더 논리는 외부 호출 개체, 바람직하게는, RFID 판독기에 의하여 보내지는 호출 신호에 의하여 실행된다.
트랜스폰더 논리(210)는 인터페이스와 결합한다. 여기서는 데이터 인터페이스(I/F)(215)가 그것인데 그것은 대응하는 데이터 인터페이스(I/F)(190)를 갖는 휴대용 소비자 전자 장치(100)로부터 데이터의 수신을 허용하기 위하여 접속(201)을 통하여 결합한다. 판독기 논리(210)와 구현된 셀룰러 폰 사이를 접속하는 데이터 인터페이스(I/F)(215)는 적합한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인터페이스에 의하여 설정될 수 있다.
트랜스폰더 메모리(220)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그리고 그것은 대응하는 무선 주파수 인증(RFID) 판독기에 의하여 검색될 수 있다. 따라서, 트랜스폰더 메모리(220)는 트랜스폰더 논리(210)와 연결되고 트랜스폰더 메모리(220)는 구성가능한 메모리로서 구현된다. 따라서 다양한 저장 기술은 구성 가능한 메모리를 구현하는데 이용가능하고 특별히 비휘발성이고 구성가능한 저장 기술은 그것을 위해 적용될 수 있다. 구성가능한 트랜스폰더 메모리(220)는 트랜스폰더 논리(210)의 제어하에 있다. 따라서, 트랜스폰더 논리(210)는 데이터 인터페이스(I/F)(215)를 통하여 휴대용 소비자 전자 장치(100)의 데이터 인터페이스(I/F)(190)에 결합한다. 데이터 인터페이스(I/F)를 통하여 트랜스폰더 논리에 의하여 수신된 데이터는 최소한 내부에 임시로 저장되기 위하여 트랜스폰더 메모리(220)에 공급된다.
도 2a와 도 2b에 구현된 바와 같이 상기 무선 주파수 인증(RFID) 트랜스폰더 모듈(200)은 설명을 위하여 셀룰러 폰으로 여기서 구현된 휴대용 소비자 전자 장치에 첨부되거나 내장될 수 있다. 무선 주파수 인증(RFID) 트랜스폰더 모듈(200)은 일련의 인터페이스, 전용 인터페이스 또는 다른 종류의 알려진 데이터 인터페이스와 같은 데이터 인터페이스(I/F)(215)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그것은 무선 주파수 인증(RFID) 트랜스폰더 모듈(200)과 데이터 인터페이스(I/F)(215)에 대응하는 데이터 인터페이스(I/F)(190)를 갖는 구현된 셀룰러 폰 사이에서 인터페이스 하는데에 적용된다. 구현된 셀룰러 폰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은 무선 주파수 인증(RFID) 트랜스폰더 모듈(200)의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API) 층은 애플리케이션과 무선 주파수 인증(RFID) 트랜스폰더 모듈(200) 사이의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도 2a와 도 2b에 도시된 무선 주파수 인증(RFID) 트랜스폰더 모듈(200)의 실시예가 그의 한가지 가능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것이라는 점을 유념해야 한다. 도시된 (논리와 메모리) 유닛은 기능적 유닛을 나타낸 것이다. 당업자는 위에서 주어진 설명에 기초하에 여전히 인증 모듈의 기능을 허용하는 반면에 기능적 유닛은 또 다른 방법으로 구성될 것이라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원칙적으로, 본 발명의 사상은 임시적인 데이터 저장을 위한 로컬 버퍼 메모리로서 무선 주파수 인증(RFID) 트랜스폰더 모듈(200)의 트랜스폰더 메모리(220)를 사용하기 위하여 아이디어를 소개한다. 그리고 그러한 데이터는 무선 주파수(RF) 인터페이스(I/F)(235)를 통하여 전달된다. 특별히, 임시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트랜스폰더 메모리(220)는 각각 선입선출 버퍼나 링 버퍼의 방식으로 동작되어야 한다.
데이터는 적당한 반송파로 변조되는 경우, 상기 설명과 같이, 트랜스폰더 논리(212)는 트랜스폰더 메모리(220)에 저장된 데이터를 무선 주파수(RF) 인터페이스(I/F)(235)에 공급한다. 데이터를 전달하는 변조된 반송파는 안테나(230)에 의하여 보내진다. 그리고 변조된 반송파는 대응하는 무선 주파수 인증(RFID) 판독기에 의하여 탐지될 것이다. 트랜스폰더 안테나(230)를 통하여 최종적으로 전송되는 데이터의 양은 트랜스폰더 메모리(220)의 물리적 용량에 의하여 제한된다.
상기 언급한 발명사상을 참조하는 경우,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기 위한 로컬 버퍼 메모리로 이용되는 트랜스폰더 메모리(220)는 상기 언급한 용량 한계의 극복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주파수 인증(RFID) 트랜스폰더 모듈(200)이 데이터를 운반하는 변조된 반송파를 보낸다고 가정하면, 트랜스폰더 논리(210)는 그에 따라서 판독된 데이터를 트랜스폰더 메모리(220)로부터 무선 주파수(RF) 인터페이스(I/F)(235)로 공급하게 된다. 이것은 트랜스폰더 논리(212)가 계속적으로 데이터를 무선 주파수(RF) 인터페이스(I/F)(235)로 전송하는 것(데이터 전송(250))을 의미한다. 무선 주파수(RF) 인터페이스(I/F)(235)로 데이터를 보내는 것과 병행하여, 트랜스폰더 논리(212)는 데이터 인터페이스(I/F)(215)를 통하여 무선 주파수 인증(RFID) 트랜스폰더 모듈(200)과 결합한 휴대용 소비자 전자(CE) 장치(100)로부터 데이터 스트림(데이터 접속(300)과 데이터 스트림(240)에 의하여 각각 표시됨.)을 수신한다. 트랜스폰더 메모리(220)가 버퍼 메모리로서 사용되고 데이터가 판독되어 무선 주파수(RF) 인터페이스(I/F)(235)로 공급되는 동안, 이러한 판독된 데이터는 더 이상 필요하지 않다. 이것은 이러한 데이터가 판독 전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저장 위치가 이제 다른(새롭게 수신된)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이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특징은 트랜스폰더 메모리(220)에 있는 데이터 인터페이스(I/F)(215)를 통하여 휴대용 소비자 전자(CE)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스트림의 데이터를 계속적으로 저장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안테나(230)에 의하여 보내지기 위하여 트랜스폰더 메모리(220)에 저장된 데이터를 병행하고 계속적으로 무선 주파수(RF) 인터페이스(I/F)(235)로 공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2c는 트랜스폰더 기능과 판독 기능을 가진 RFID 모듈이 실현될 수 있는 기능 블록 선도를 도시한다. 개략적으로 도시된 무선 주파수 인증(RFID) 모듈은 무선 주파수 인증(RFID) 판독 논리(211)와 무선 주파수 인증(RFID) 트랜스폰더 논리(212)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무선 주파수 인증(RFID) 판독 논리(211)는 무선 주파수 인증(RFID) 판독 기능을 나타내고 무선 주파수 인증(RFID) 트랜스폰더 논리(212)는 무선 주파수 인증(RFID) 트랜스폰더 기능을 나타낼 것이다. 기능적 논리 유닛, 즉, 무선 주파수 인증(RFID) 트랜스폰더 논리(212)뿐 아니라 무선 주파수 인증(RFID) 판독 논리(211), 모두는 동작을 위하여 배치된 무선 주파수(RF)에 적용되는 무선 주파수(RF) 인터페이스(I/F)(235)와 안테나(230)를 요구한다. 도 2c에 도시된 실시예는 기능적 논리 유닛 양자 모두와 동작하기 위하여 공통의 무선 주파수(RF) 인터페이스(I/F)(235)와 공통의 안테나(230)를 이용하는 것을 의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본 설명에 제시된 안테나(230)뿐 아니라 무선 주파수(RF) 인터페이스(I/F)(235)가 무선 주파수 인증(RFID) 기술의 분야에서 사용되는 적합한 무선 주파수나 주파수들 사용하는 데에 채택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특별히, 전술한 바와 같이 최소한 전형적인 동작 주파수는 예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함께 적용될 수 있다.
무선 주파수 인증(RFID) 판독기 기능의 경우에, 안테나(230)는 하나 이상의 호출 신호를 보내고 무선 주파수 인증(RFID) 트랜스폰더로부터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데 채택된다.
무선 주파수 인증(RFID) 트랜스폰더 기능의 경우에, 안테나(230)는 하나 이상의 호출 신호를 수신하고 그리고 호출된 무선 주파수 인증(RFID) 트랜스폰더 논리(212)와 트랜스폰더 메모리(220) 각각으로부터 검색되는 정보를 운반하는 하나 이상의 응답 신호를 보내는데 적합하다.
안테나(230)는 하나 이상의 신호 접속을 통하여 무선 주파수(RF) 인터페이스(I/F)(235)와 접속된다. 그리고 그러한 신호 접속은 무선 주파수(RF) 인터페이스(I/F)(235)에 의하여 생성된 무선 주파수(RF) 신호를 안테나(230)로 공급하고 안테나(230)에 의하여 수신된 무선 주파수(RF) 신호를 수락한다.
무선 주파수(RF) 인터페이스(I/F)(235)는 안테나(230)에 의하여 전송되고 수신되는 신호를 각각 변조하고 복조하는 것 모두를 책임진다. 따라서, 무선 주파 수(RF) 인터페이스(I/F)(235)는 무선 주파수 인증(RFID) 판독기 논리(211)와 무선 주파수 인증(RFID) 트랜스폰더 논리(212)와 각각 결합한다. 특별히, 무선 주파수(RF) 인터페이스(I/F)(235)는 무선 주파수 인증(RFID) 판독기 논리(211)로부터 변조되어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고 복조된 신호를 무선 주파수 인증(RFID) 판독 논리(212)에 전송한다. 게다가, 무선 주파수(RF) 인터페이스(I/F)(235)는 복조된 신호를 무선 주파수 인증(RFID) 트랜스폰더 논리(212)에 전송하고 무선 주파수 인증(RFID) 트랜스폰더 논리(212)로부터 변조되어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한다. 더욱 특별하게, 무선 주파수(RF) 인터페이스는 무선 주파수 인증(RFID) 트랜스폰더 논리(212)의 동작에 필요한 추가 신호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세히 그러한 신호는 전력 공급 신호(전압 신호)와 클록 신호이다. 전력 공급 신호는 호출 전자기장의 결합으로부터 얻는다. 반면에 클록 신호는 무선 주파수(RF) 인터페이스(I/F)(235)에 의하여 포함된 복조기로부터 얻는다. 전력 공급 신호와 클록 신호 각각은 무선 주파수 인증(RFID) 트랜스폰더 논리(212)의 동작에 불가피하다. 특별히 예시된 무선 주파수 인증(RFID) 모듈이 외부 무선 주파수 인증(RFID) 판독기 장치의 호출 신호에 의하여 에너지를 공급받는 수동 무선 주파수 인증(RFID) 트랜스폰더를 모의(simulate)하는 경우에는 그러하다.
도 2c에 도시된 무선 주파수 인증(RFID) 모듈은 추가로 스위칭 논리(213)를 포함한다. 그리고 그러한 스위칭 논리(213)는 무선 주파수 인증(RFID) 판독기 기능과 무선 주파수 인증(RFID) 트랜스폰더 기능 사이에서 스위치 동작이 가능하다. 상기 스위칭 논리(213)는 무선 주파수 인증(RFID) 판독기 논리(211), 무선 주파수 인증(RFID) 트랜스폰더 논리(212) 및 무선 주파수(RF) 인터페이스(I/F)(235) 사이에 기능적으로 삽입한다. 그리고 스위칭 논리(213)는 휴대용 소비자 전자(CE) 장치(100)에 의하여 생성되는 스위칭 신호에 따라 공급되는 스위칭 입력으로 동작이 가능하다. 상세히, 스위칭 논리(213)는 무선 주파수 인증(RFID) 판독기 논리(211)를 무선 주파수(RF) 인터페이스(I/F)(235)에 결합하거나 무선 주파수 인증(RFID) 트랜스폰더 논리(212)를 무선 주파수(RF) 인터페이스(I/F)(235)에 결합하는데 동작할 수 있다. 스위칭 상태와 스위칭 논리(213)의 위치에 각각 의존하는 경우, 무선 주파수 인증(RFID) 판독기 기능 또는 무선 주파수 인증(RFID) 트랜스폰더 기능은 각각 무선 주파수 인증(RFID) 모듈로 동작할 수 있다.
무선 주파수 인증(RFID) 모듈, 결과적으로는 무선 주파수 인증(RFID) 판독기 논리(211)는 애플리케이션을 허용하기 위하여 데이터 인터페이스(I/F)(215)를 포함한다. 그리고 그러한 애플리케이션은 무선 주파수 인증(RFID) 모듈과 특별히 데이터 접속(300, 320)을 통하여 무선 주파수 인증(RFID) 판독기 논리(211)와 통신하기 위한 휴대용 소비자 전자(CE) 장치에서 작동한다. 무선 주파수 인증(RFID) 모듈과 휴대용 소비자 전자(CE) 장치 사이를 연결하는 데이터 인터페이스(I/F)(215)는 무선 주파수 인증(RFID) 판독기 논리(211)와의 통신을 허용하는 적합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에 의하여 설정된다.
구현된 무선 주파수 인증(RFID) 판독 논리(211)는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무선 주파수 인증(RFID) 판독 기능을 허용한다. 게다가, 무선 주파수 인증(RFID) 판독기 논리(211)는 무선 주파수 인증(RFID) 쓰기 기능에 채택될 수 있다. 상세히, 판독 기능을 갖춘 무선 주파수 인증(RFID) 판독기는 하나 이상의 RFID 트랜스폰더에 저장된 정보를 검색하는데 채택된다. 판독 기능은 무선 주파수 인증(RFID) 판독기의 최소한의 기본 기능이다. 쓰기 기능을 갖춘 무선 주파수 인증(RFID) 판독기는 무선 주파수 인증(RFID) 트랜스폰더에 저장될 데이터를 추가하는데 채택될 수 있고 및/또는 무선 주파수 인증(RFID) 트랜스폰더에 저장되는 데이터를 수정하는데 채택될 수 있다. RFID 트랜스폰더에 저장되는 데이터를 추가 및/또는 수정하는 것은 무선 주파수 인증(RFID) 트랜스폰더의 용량 및/또는 무선 주파수 인증(RFID) 판독기의 인가에 의존한다. 쓰기 기능은 무선 주파수 인증(RFID) 판독기의 향상된 기능이다.
게다가, 무선 주파수 인증(RFID) 기술에 기반한 인접 통신(NFC)이라 불리는 데이터 통신 표준은 무선 주파수 인증(RFID)통신 기술을 개선하는데 소개되었다. 인접 통신 표준(ECMA-340)은 무선 주파수 인증(RFID) 판독기의 동작을 명확하게 다룬다.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무선 주파수 인증(RFID) 판독기간 통신에 사용되는 능동 통신 모드 및 바람직하게는 무선 주파수 인증(RFID) 판독기간 통신에 예정된 수동 통신 모드를 특별히 규정한다. 능동과 수동 통신 모드 모두는 반드시 전력 공급원을 통한 통신 무선 주파수 인증(RFID) 판독기의 전력 공급을 요구한다. 통신은 활성화되고 바람직하게는 무선 주파수 인증(RFID) 판독기에 의하여 에너지를 공급받기 때문에, 능동 통신 모드의 경우에 전원 공급의 필요성은 명백하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무선 주파수 인증(RFID) 트랜스폰더 기능은 통신 모드를 설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그것은 쇼 통신 모드로 표시된다. 쇼 통신 모드에서 무선 주파수 인증(RFID) 판독기 기능은 꺼지게 되는데, 즉, 동작되지 않음에, 반하여, 무선 주파수 인증(RFID) 트랜스폰더 기능은 켜진다. 쇼 통신 모드는 무선 주파수 인증(RFID) 트랜스폰더 기능이 특별히 어떤 내부 전원 공급을 필요로 하지 않는 수동 무선 주파수 인증(RFID) 트랜스폰더의 물리적 이점을 제공하게끔 종래 통신 모드와 구별된다. 그리고 예시된 쇼 통신 모드는 심지어 무선 주파수 인증(RFID) 모듈이 외부/내부 전력 공급원이 아닌 단지 제한된 전력 공급원의 기능만을 제공할 수 있는 호출 신호에 의하여 에너지를 공급받는 경우에도 무선 주파수 인증(RFID) 트랜스폰더 기능을 제공하는 요건을 주로 고려한다.
상기의 설명과 같이 무선 주파수 인증(RFID) 판독기에 의하여 검색가능한, 무선 주파수 인증(RFID) 모듈에 저장된 데이터는 트랜스폰더 메모리(220)와 같은 적당한 저장 구성부분에 저장된다. 저장 구성부분은 바람직하게는 구성 가능한 저장 구성부분이다. 많은 저장 기술들은 구성 가능한 저장 구성부분을 구현하는데 적용가능하고 특별히 비휘발성 구성 가능한 저장 기술들은 관심사이다.
무선 주파수 인증(RFID) 모듈과 결과적으로, 무선 주파수 인증(RFID) 트랜스폰더 논리(212)는 애플리케이션이 데이터를 무선 주파수 인증(RFID) 모듈에 특별히 트랜스폰더 메모리(220)를 갖는 무선 주파수 인증(RFID) 트랜스폰더 논리(212)에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휴대용 소비자 전자(CE) 장치(100)에서 작동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데이터 인터페이스(I/F)(215)를 가지고 있다. 무선 주파수 인증(RFID) 모듈과 휴대용 소비자 전자(CE) 장치(100) 사이를 연결하는 데이터 인터페이스(I/F)(215)는 무선 주파수 인증(RFID) 트랜스폰더 논리(212)와 트랜스폰더 메모 리(220)와의 통신을 허용하는 적당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인터페이스에 의하여 설정된다.
도 2b와 마찬가지로, 도 2c에 구현된 바와 같은 RFID 모듈은 휴대용 소비자 전자(CE) 장치(100)에 첨부되거나 내장된다는 것이 가정된다. 종래, 무선 주파수 인증(RFID) 모듈은 무선 주파수 인증(RFID) 모듈과 휴대용 소비자 전자(CE) 장치(100) 사이에서 데이터를 연결하는 직렬 및/또는 병렬 데이터 버스 인터페이스와 같은 데이터 인터페이스(I/F)를 가지고 있을 수 있다. 그러한 휴대용 소비자 전자(CE) 장치(100)에서 실행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은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그러한 기능은 무선 주파수 인증(RFID) 모듈, 특별히 쇼 통신 모드에 의하여 제공된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 층은 휴대용 소비자 전자(CE) 장치(100)와 동작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과 무선 주파수 인증(RFID) 모듈 사이의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도 2a와 도 2b를 참조하여 예시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도 2c에 구체화된 무선 주파수 인증(RFID) 모듈(200)의 트랜스폰더 메모리(220)는 임시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로컬 버퍼 메모리로서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그러한 임시로 저장된 데이터는 무선 주파수(RF) 인터페이스(I/F)(235)를 통하여 전송된다. 특별히, 임시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트랜스폰더 메모리(220)는 선입선출 버퍼와 링 버퍼 각각의 방법으로 동작되어야 한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트랜스폰더 논리(212)는 트랜스폰더 메모리(220)에 저장된 데이터를 무선 주파수(RF) 인터페이스(I/F)(235)로 제공한다. 그리고 그러한 인터페이스에서 데이터는 적당 한 반송파로 변조된다. 데이터를 운반하는 변조된 반송파는 안테나(230)에 의하여 보내지고 변조된 반송파는 대응 무선 주파수 인증(RFID) 판독기에 의하여 탐지될 수 있다. 트랜스폰더 안테나(230)를 통하여 최종적으로 전송되는 데이터의 양은 트랜스폰더 메모리(220)의 물리적 용량에 의하여 제한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사상을 참조하는 경우, 임시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하여 로컬 버퍼 메모리로서 사용되는 트랜스폰더 메모리(220)는 전술한 용량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주파수 인증(RFID) 모듈이 데이터를 운반하는 변조된 반송파를 보낸다는 것을 가정하면, 트랜스폰더 논리(212)는 그에 따라서 판독된 데이터를 트랜스폰더 메모리(220)로부터 무선 주파수(RF) 인터페이스(I/F)(235)로 공급하게 된다. 이것은 트랜스폰더 논리(212)가 계속해서 데이터를 무선 주파수(RF) 인터페이스(I/F)(235)로 전송하는 것(데이터 전송(250))을 의미한다. 데이터 무선 주파수(RF) 인터페이스(I/F)(235)로 전송하는 것과 병행하여, 트랜스폰더 논리(212)는 휴대용 소비자 전자(CE) 장치(100)로 부터 데이터 스트림(데이터 스트림(300, 240))을 수신한다. 그리고 휴대용 소비자 전자(CE) 장치(100)는 데이터 인터페이스(I/F)(215)를 통하여 무선 주파수 인증(RFID) 모듈에 결합한다. 트랜스폰더 메모리(220)가 버퍼 메모리로서 사용되고 데이터가 판독되어 무선 주파수(RF) 인터페이스(I/F)(235)로 공급되는 동안, 이러한 판독된 데이터는 더 이상 필요하지 않다. 이것은 이러한 데이터가 판독 전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저장 위치가 이제 다른(새롭게 수신된)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특징은 트랜스폰더 메모 리(220)에 있는 데이터 인터페이스(I/F)(215)를 통하여 휴대용 소비자 전자(CE)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스트림의 데이터를 계속해서 저장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안테나(230)에 의하여 보내지기 위하여 트랜스폰더 메모리(220)에 저장된 데이터를 병행하고 연속해서 무선 주파수(RF) 인터페이스(I/F)(235)로 공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3은 한가지 가능한 동작 순서를 나타낸다. 그리고 그것은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간단히 설명된 무선 주파수 인증(RFID) 트랜스폰더와 무선 주파수 인증(RFID) 모듈의 동작을 가능하게 한다.
동작(S400)에서, 무선 주파수 인증(RFID) 트랜스폰더 모듈(200)과 같은 무선 주파수 인증(RFID) 트랜스폰더의 동작 절차는 시작한다. 설명된 실시예에 따른 동작 절차는 두 개의 동작 절차로 구성된다. 그 중 하나는 전술한 외부 전자 장치에서 시작하는 데이터 스트림의 저장에 대한 것이고, 다른 하나는 전술한 무선 주파수(RF) 인터페이스(I/F)로 데이터 스트림을 공급하는 것에 대한 것이다. 동작 하위절차는 실질적으로 독립적이고 병행적으로 동작될 것이다. 그러나 서로 조정/협력하여 수행된다.
첫 번째 동작 하위절차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동작(S410 내지 S416)을 포함한다. 반면에 두 번째 동작 하위절차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동작(S420 내지 S426)을 포함한다.
동작(S410)에서, 데이터 버퍼링이 시작된다. 데이터는 데이터 스트림의 데이터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로부터 데이터 인터페이스(I/F)를 통하여 데이터 스트림 의 형태로 수신된다. 동작(S410)에서, 데이터는 트랜스폰더 메모리에 저장되기 위하여 데이터 인터페이스(I/F)를 통하여 데이터가 수신된다. 동작(S412)에서, 충분한 데이터 저장 용량을 갖는 데이터 저장 영역이 트랜스폰더 메모리에 할당된다. 동작(S413)에서, 수신된 데이터는 트랜스폰더 메모리의 할당된 데이터 저장 영역에 쓰인다. 데이터 저장 영역의 할당은 인가되지 않은 쓰기 접근으로부터 할당된 데이터 저장 영역을 보호한다. 충분한 데이터 저장 용량은 저장되거나/쓰인 데이터의 양에 의하여 규정된다.
동작(S414)에서, 데이터 버퍼링이 끝났는지 여부가 확인된다. 예를 들면, 데이터 버퍼링 하위절차의 종료는 버퍼링될 모든 데이터는 미리 또는 대안으로 데이터 스트림의 인터럽트에서 수신된다는 것을 나타내는 특유한 데이터 순서를 수신할 때 탐지될 것이다.
데이터 버퍼링이 종료되지 않은 경우, 동작 순서는 동작(S415)으로 분기하게 되고 이어서 추가 데이터를 다루기 위하여 동작(S411)으로 돌아가게 된다. 동작(S415)에서, 외부 전자 장치에서 시작하고 데이터 인터페이스(I/F)를 통하여 수신된 추가 데이터는 트랜스폰더 메모리에 있는 다음 데이터 저장 영역에 저장될 것이다. 그러한 데이터 저장 영역은 종래 데이터 버퍼링 하위절차에 의하여 할당되지 않는다. 그것은 다음 할당 동작이 충분한 데이터 용량을 가지고 종래 각각 사용되지 않고 빈 데이터 저장 영역을 할당할 것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데이터 버퍼링이 종료되는 경우, 동작 순서는 동작(S416)에서 계속된다.
동작(S416)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의 버퍼링은 완성된다.
동작(S420)에서, 무선 주파수(RF) 인터페이스(I/F)를 통한 데이터의 제공은 시작한다.
동작(S421)에서, 데이터는 이전의 데이터 버퍼링 하위절차에 의하여 할당된 트랜스폰더 메모리의 현재 데이터 저장 영역으로부터 판독된다. 동작(S422)에서, 판독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저장 영역은 할당 해제(deallocate)된 데이터 저장 영역이 다른 데이터,상기 설명된 데이터 버퍼링 절차에 따른 다른 데이터, 저장을 위하여 다시 비워지게 끔 할당 해제된다. 동작(S423)에서, 판독된 데이터는 안테나를 통하여 무선 주파수 인증(RFID) 판독기와 같은 외부 데이터 획득 개체로 공급되기 위하여 무선 주파수(RF) 인터페이스(I/F)로 제공된다.
동작(S424)에서, 데이터 제공이 종료되었는지가 확인된다. 특히, 트랜스폰더 메모리에 저장된 모든 데이터가 무선 주파수(RF) 인터페이스(I/F)와 안테나를 통하여 제공되는 경우에 상기 데이터 제공은 종료한다.
데이터 제공이 종료되지 않은 경우에, 동작 순서는 동작(S425)으로 분기하게 되고 이어서 추가 데이터를 다루기 위하여 동작(S421)으로 돌아가게 된다. 동작(S425)에서, 무선 주파수 인터페이스(I/F)로 공급되는 추가 데이터는 미리 데이터 버퍼링 하위절차에 의하여 데이터가 저장된 트랜스폰더 메모리의 다음 데이터 저장 영역으로부터 판독된다. 이것은 다음 판독 동작이 데이터 저장을 위하여 각각 예약되고 할당된 데이터 저장 영역에 접근하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당업자들은 상기 설명의 기초에서, 트랜스폰더 메모리로의 접근을 읽기 위한 다음 데이터 위치는 데이터 버퍼링 하위절차 동안 저장 공간의 할당을 위해 순서에 의하여 미리 규정된다는 것을 이해하게 될 것이다. 데이터가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수신되는 순서는 유지되어야 한다. 즉 데이터 인터페이스에서 관측할 수 있는 데이터 순서는 또한 무선 주파수 인터페이스와 안테나에서 각각 관측할 수 있게 된다.
데이터 제공이 종료되는 경우, 동작 순서는 동작(S426)에서 계속된다.
데이터 버퍼링 하위절차와 데이터 제공 하위절차의 시작은 때맞추어 바뀔 것이다. 판독을 위해 데이터 제공 하위절차가 접근하는 데이터가 데이터 버퍼링 하위절차에 의하여 미리 저장되어야 한다는 사실 때문에, 데이터 버퍼링 하위절차의 개시에 대해 시간 지연된 데이터 제공 하위절차의 시작은 데이터 제공 하위절차가 유효한 데이터에 접근하는 것을 보증한다. 따라서 데이터 제공 하위절차의 종료는 데이터 버퍼링 하위절차의 종료에 대한 시간만큼 딜레이된다.
동작(S426)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주파수 인증(RFID) 트랜스폰더의 동작 절차는 동작 하위절차가 동작(S416, S426)에 모두 도달한 경우에 종료된다. 그리고 동작(S416, S426)은 각각 개개의 하위절차가 성공적으로 완성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당업자는 예시된 동작 하위절차는 서로 실질적으로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 있지만 개별 하위절차의 동작은 서로 조정을 요구한다는 것을 이해하게 된다. 서로 조정이라는 용어는 데이터 버퍼링과 데이터 제공 하위절차에 각각 포함되는 할당과 할당 해제 동작은 트랜스폰더 메모리의 저장 영역으로의 판독과 쓰기 접근 때문에 발생하는 원치 않는 충돌과 대립을 막기 위해서 트랜스폰더 메모리의 사용을 조정 하는 것을 나타낸다. 할당과 할당 해제 동작은 데이터 버퍼링 하위절차가 데이터가 데이터 저장을 위하여 미리 무선 주파수(RF) 인터페이스(I/F)에 공급되지 않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저장 영역을 이용하는 것이 방해된다는 것을 보증한다.
따라서, 데이터 버퍼링과 데이터 제공 하위절차는 실질적으로 병행하거나 대안으로 동작된다. 데이터 버퍼링과 데이터 제공 하위절차의 동작은 메모리에 데이터의 쓰기와 이러한 데이터의 동시 판독이 관례적으로 예방되어야 한다는 것을 실질적으로 병행하여 고려해야 한다. 그러한 동시적인 데이터 쓰기와 판독을 하는 동안에, 일관성은 가령 제때에 판독과 쓰기 동작이 바뀌는 것(최소한 같은 데이터 저장 위치에 대하여)이나 다른 적합한 예방에 의하여 보장되어야 한다.
실질적으로 병행이나 대안으로 실행되는 동작이 독립적인 경우, 전체적인 데이터 일관성은 고려되어야 한다.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수신된 데이터는 각각 데이터의 손실 및 데이터 연속의 손실 없이 무선 주파수 인터페이스에 공급되어야 한다. 이에 대응하여,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한 데이터 스트림의 수신에 대한 타이밍 요건과 무선 주파수 인터페이스로의 데이터 스트림의 공급은 관측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예시된 무선 주파수 인증(RFID) 트랜스폰더 모듈(200)과 그것의 트랜스폰더 논리(22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 순서를 도시한 도 4a 내지 도 4e를 참조할 것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트랜스폰더 메모리는 논리적으로 및/또는 물리적으로 두 개의 독립적인 트랜스폰더 메모리로 분할될 수 있다. 그리고 거기서 메모리 1(221)과 메모리 2(222)로 지정된다. 도 3에 대하여 예시된 동작 순서에 대하여, 메모리 1(221)은 데이터 버퍼링 하위절차와 관련된다. 반면에, 메모리 2(222)는 데이터 제공 하위절차와 관련된다. 전술한 연관에 대한 결과로서, 무선 주파수 인증(RFID) 트랜스폰더 모듈(200)에 의하여 데이터 인터페이스(I/F)를 통하여 수신된 데이터는 동작(S100)의 메모리 1(221)에 각각 쓰이고 저장된다. 반면에 동작(S110)에서, 무선 주파수(RF) 인터페이스(I/F)로 전송되는 데이터는 메모리 2(222)로부터 판독되고 그곳으로 전송된다. 일단 메모리 1(221)의 저장 용량이 데이터 인터페이스(I/F)를 통하여 수신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하여 완전히 할당되고 및/또는 메모리 2(222)에 저장된 모든 데이터는 무선 주파수(RF)인터페이스(I/F)로 공급되고 그에 따라 메모리 2(222)가 할당 해제되면, 메모리 1(221)과 메모리 2(222)의 관계는 동작(S120)에서 서로 바뀐다. 이것은 메모리 1(221)이 메모리 제공 하위절차와 연관되고 메모리 2(222)가 데이터 버퍼링 하위절차와 연관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새로운 연관에 수반하여 데이터 버퍼링과 데이터 제공 하위절차에 따른 동작은 각각 계속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트랜스폰더 메모리는 논리적으로 및/또는 물리적으로 몇 가지 독립적인 트랜스폰더 메모리로 분할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 페이지 1 내지 n으로 지정된다. 메모리 페이지 2는 현재 데이터 버퍼링 하위절차와 연관되고 메모리 페이지 3은 현재 메모리 제공 하위절차와 연관된다는 것이 가정된다.
전술한 연관의 결과로 그리고 상기 예시한 동작 순서를 참조하여, 무선 주파수 인증(RFID) 트랜스폰더 모듈(200)에 의하여 데이터 인터페이스(I/F)를 통하여 수신된 데이터는 동작(S210)의 메모리 페이지 3에 각각 쓰이고 저장된다. 이와 병행하여, 동작(S200)에서 무선 주파수(RF) 인터페이스(I/F)에 공급되는 데이터는 메모리 페이지 2로부터 판독되고 거기로 공급된다.
일단 메모리 페이지 3의 저장 용량이 데이터 인터페이스(I/F)를 통하여 수신된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완전히 할당되고 및/또는 메모리 페이지 2에 저장된 모든 데이터가 무선 주파수(RF) 인터페이스(I/F)에 공급되면, 메모리 페이지의 연관은 "앞으로" 바뀐다. 이것은 무선 주파수(RF) 인터페이스(I/F)로 공급되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다음 메모리 페이지가 데이터 제공 하위절차 ,즉 가령 여기서 메모리 페이지 3, 와 관련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용가능하고 사용하고 있지 않은 메모리 페이지는 데이터 버퍼링 하위절차, 즉 가령 여기서 다음 메모리 페이지 4, 와 관련된다. 게다가, 전술한 동작(S200) 동안에 판독된 메모리 페이지 2는 할당 해제되고 상기 데이터 버퍼링 하위절차에 이용가능하다.
도 4b에 대하여, 예는 페이지 번호를 증가시킴에 따른 메모리 페이지의 연속적인 이용을 나타낸다. 데이터 버퍼링 하위절차는 데이터를 쓰기 위한 메모리 페이지 1에서 시작한다. 그리고 그러한 데이터는 데이터 인터페이스(I/F)를 통하여 수신되고 이어서 메모리 페이지 번호를 증가시켜서 다음 메모리 페이지를 선택한다. 최대한의 메모리 페이지, 즉 여기서는 메모리 페이지 번호 n, 에 이르게 되면 데이터 버퍼링 하위절차는 메모리 페이지 1로 돌아간다. 따라서, 데이터 제공 하위절차는 데이터 버퍼링 하위절차의 메모리 할당을 따른다. 또한, 이것은 데이터 제공 하위절차가 무선 주파수(RF) 인터페이스(I/F)로 공급된 데이터를 판독하기 위 하여 메모리 페이지 1에서 시작하고 그리고 연속적으로 메모리 페이지 번호를 증가하여 다음 메모리 페이지 번호로 계속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마지막 메모리 페이지, 즉 여기서는 메모리 페이지 n, 를 판독한 다음에, 데이터 제공 하위절차는 메모리 페이지 1로와 같이 돌아간다. 마지막으로, 데이터 제공 하위절차는 마지막 저장 위치에서 종료된다. 그러한 마지막 저장 위치는 데이터 버퍼링 하위절차에 의하여 할당되고 유효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마지막 저장 위치를 나타낸다.
도 4c 내지 도e를 참조하면, 트랜스폰더 메모리는 논리적으로 및/또는 물리적으로 몇 개의 독립적인 트랜스폰더 메모리 셀로 분할될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 셀 1에서 n까지 지정된다. 메모리 페이지는 보통 미리 정해진 양의 데이터를 위한 저장 용량을 제공하는 반면, 저장 셀은 바이트, 8비트, 16비트 및 32비트 단어 또는 이와 같은 최소한의 데이터 저장 유닛을 지정할 것이다. 데이터 저장 유닛은 보통 논리적 및/또는 물리적 구조 또는 메모리 조직 및/또는 논리 제어 및 메모리에의 접근에 의하여 미리 정해진다.
도 4c를 참조하면, 메모리 셀 1 내지 6은 데이터 버퍼링 하위절차에 의하여 이전에 할당되고 메모리 셀 1 내지 6은 데이터 제공 하위절차를 위하여 데이터를 저장한다고 가정된다. 게다가, 메모리 셀 1 내지 3은 판독되고 메모리 셀 1 내지 3의 데이터는 무선 주파수(RF) 인터페이스(I/F)로 공급된다고 가정된다. 따라서, 메모리 셀 1 내지 3은 데이터 제공 하위절차에 의하여 할당 해제된다.
도 4c에 도시된 현재 모습에서, 메모리 셀 7은 할당되고 데이터는 동작(S300
)에서 거기에 쓰인다. 도 4c에 나타난 바와 같이, 데이터 버퍼링 하위절차는 메모 리 셀 8로 계속된다. 이와 병행하여, 메모리 셀 4에 저장된 데이터는 판독되고, 무선 주파수(RF) 인터페이스(I/F)로 공급되고, 메모리 셀 4는 할당 해제된다. 또한, 도 4c에 나타난 바와 같이, 데이터 제공 하위절차는 데이터 버퍼링 하위절차의 쓰기/할당 동작의 순서를 따르고 결과적으로 메모리 셀 5에서 계속된다. 데이터 제공 하위절차는 데이터 제공 하위절차에 따른 판독된 데이터는 유효하다는 것을 보증하기 위하여 미리 정해진 메모리 셀 오프셋을 가진 데이터 버퍼링 하위절차를 따른다. 예시를 위해, 미리 정해진 오프셋△은 여기서 두 개의 메모리 셀이 되도록 선택된다.
도 4d를 참조하면, 데이터 버퍼링 하위절차는 메모리 셀 n에 도달한다. 그리고 여기서 메모리 셀 n은 트랜스폰더 메모리의 마지막 메모리 셀로서 가정된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 순서에 대하여, 메모리 셀 n은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할당되고 데이터 인터페이스(I/F)를 통하여 수신된 데이터는 쓰이고 거기에서 동작(S310)으로서 나타난다. 도 4c를 참조하여 위에 예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제공 하위절차는 동작(S311)으로 나타난 두 개의 메모리 셀의 전술한 미리 정해진 오프셋을 갖는 데이터 버퍼링 하위절차를 따른다. 그것은 메모리 셀 "n-(△+1)=n-3"이 판독되고 할당 해제된다는 것을 각각 의미하고 또한 거기의 데이터는 무선 주파수(RF) 인터페이스(I/F)로 공급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동작(S312)에서, 데이터 버퍼링 하위절차는 동작(S313)으로 나타나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셀 1에서 계속된다. 데이터 제공 하위절차는 미리 결정된 메모리 셀 오프셋을 유지하는 셀 번호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계속된다.
도 4e를 참조하면, 데이터 버퍼링 하위절차는 메모리 셀 3에 도달하고 데이터 제공 하위절차는 그에 따라 메모리 셀 n에 도달한다. 상세히, 메모리 셀 3은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할당되고 데이터 인터페이스(I/F)를 통하여 수신된 데이터는 쓰이고 거기에서 동작(S320)으로 나타난다. 이와 병행하여, 메모리 셀 n은 각각 판독되고 할당 해제된다. 그리고 거기서 데이터는 동작(S321)으로 나타나는 무선 주파수(RF) 인터페이스(I/F)로 공급된다. 동작(S322)에서, 데이터 제공 하위절차는 동작(S323)으로 나타나는 메모리 셀 1로 계속된다. 도 4e에 나타난 바와 같이, 메모리 셀 2의 미리 정해진 오프셋은 여전히 유지된다.
도 4b와 도 4c 내지 도 4e를 참조하면, 설명된 동작 순서 사이의 방법적인 유사성은 각 도면에 대한 설명을 읽는 경우 당업자에게 명확해질 것이다. 트랜스폰더 메모리는 몇 가지 부분의 시퀀스로 분할된다. 다음에 데이터 제공 하위절차는 데이터 버퍼링 하위절차에 대하여 만들어진 관련의 시퀀스/순서에서의 메모리 부분과 관련되는 반면에, 메모리 부분은 데이터 버퍼링 하위절차와 관련된다. 메모리 버퍼링 하위절차와 관련되고 이와 병행하여 데이터 제공 하위절차와 관련된 메모리 부분 사이의 메모리 부분의 시퀀스/순서에서 미리 정해진 오프셋은 메모리 접근이 경합(즉, 판독과 쓰기 접근)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충돌과 대립이 예방된다는 것을 보장한다.
전체적으로, 트랜스폰더 메모리의 예사된 동작은 선입선출(first-in-first-out) 저장 기술과 링 버퍼 기술 각각에 의하여 이해될 수 있다. 당업자들은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기 설명된 본 발명을 기본으로 하여 개량된 발명 사상은 구현된 트랜스폰더 메모리의 물리적 메모리 용량을 넘는 메모리 용량을 갖는 가상 메모리를 갖는 무선 주파수 인증(RFID) 트랜스폰더를 실현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주파수 인증(RFID) 트랜스폰더를 통하여 전송되는 데이터의 양은 물리적 트랜스폰더 메모리의 용량에 의하여 더 이상 제한되지 않는다. 그리고 그것은 구성할 수 있는 메모리를 가진 최신 기술의 트랜스폰더의 상태에 실질적으로 효과적이다. 반면에, 가상 메모리 용량의 한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주파수 인증(RFID) 트랜스폰더에 결합한 전자 장치의 용량과 능력에 의하여 단지 결정된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무선 주파수 인증(RFID) 트랜스폰더를 통하여 전송되는 데이터는 전자 장치에 저장될 수 있다. 즉, 결합한 전자 장치의 메모리 용량은 가상 메모리의 용량을 결정한다. 대안으로, 본 발명의 무선 주파수 인증(RFID) 트랜스폰더를 통하여 전송되는 데이터는 예를 들면 전송하는 동안에 결합한 전자 장치에 의하여 최소한 부분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즉 메모리 용량은 가상적으로 무한적으로 된다.
본 발명이 첨부된 도면에 따른 실시예에 대하여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은 거기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위 내에서 몇 가지 방법으로 수정될 수 있다는 것은 명확하다.

Claims (20)

  1. 무선 주파수 인증 장치에서 연속 데이터 제공의 방법에 있어서,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데이터의 스트림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트랜스폰더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트랜스폰더 메모리로부터 상기 저장된 데이터를 판독하고 상기 판독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무선 주파수 인터페이스로 보내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이어서 수신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하여, 상기 데이터가 이전에 판독된 트랜스폰더 메모리를 이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과 상기 판독 동작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또는 연속적으로 반복된 교체로 실질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최소한 부분적으로 상기 메모리를 할당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장된 데이터를 판독 다음에 최소한 부분적으로 상기 할당된 메모리를 할당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폰더 메모리는 최소한 두 개의 메모리 영역으로 분할되고, 그 중 하나의 메모리 영역은 우선적으로 상기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동작될 수 있고 다른 메모리 영역은 우선적으로 상기 데이터를 판독하는데 동작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폰더 메모리는 버퍼 메모리로서 동작 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판독과 공급 동작이 추가로
    -판독 위치에 따라 할당된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데이터를 판독하는 단계;
    -상기 판독 데이터를 상기 무선 주파수 인터페이스에 공급하는 단계;
    -상기 할당된 메모리를 최소한 부분적으로 할당 해제하는 단계; 및
    -상기 판독 위치를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및 저장 단계가 추가로
    -상기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데이터 스트림을 수신하는 단계;
    -쓰기 위치에 따라 최소한 부분적으로 상기 메모리를 할당하는 단계로서, 상기 할당된 메모리는 미리 할당 해제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상기 할당된 메모리 영역에 쓰는 단계; 및
    -상기 쓰기 위치를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판독 위치와 상기 쓰기 위치는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판독과 쓰기 위치는 미리 결정된 오프셋에 의하여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판독된 데이터는 연속으로 상기 무선 주파수 인터페이스로 공급되고, 상기 데이터는 미리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무선 주파수 인증 트랜스폰더에 의하여 연속 데이터 제공을 위한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생성물에 있어서, 프로그램이 제어기, 프로세서 기반 장치, 컴퓨터, 마이크로프로세서 기반 장치, 단말기, 네트워크 장치, 이동 단말기 또는 이동 통신 가능 단말기에서 작동하는 경우, 제1항 내지 제9항 중의 어느 하나의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생성물.
  11. 무선 주파수 인증 트랜스폰더에 의하여 연속 데이터 제공을 위한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생성물에 있어서, 프로그램이 제어기, 프로세서 기반 장치, 컴퓨터, 마이크로프로세서 기반 장치, 단말기, 네트워크 장치, 이동 단말기 또는 이동 통신 가능 단말기에서 작동하는 경우, 제1항 내지 제9항 중의 어느 하나의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기계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는 프로그램 코드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생성물.
  12. 무선 주파수 인증 트랜스폰더에 의한 연속 데이터 제공을 위한 소프트웨어 도구에 있어서, 프로그램이 제어기, 프로세서 기반 장치, 마이크로프로세서 기반 장치, 처리 장치, 단말기 장치, 네트워크 장치, 이동 단말기 혹은 이동 통신 가능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에서 구현되는 경우, 제1항 내지 제9항 중의 어느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웨어 도구.
  13. 반송파에서 구현되고 명령을 나타내는 컴퓨터 데이터 신호에 있어서,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는 경우에 제1항 내지 제9항 중의 어느 하나의 단계가 수행되는 것을 야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데이터 신호.
  14. 연속 데이터 제공을 하는 무선 주파수 인증 장치에 있어서,
    -전자 장치로 동작할 수 있는 데이터 인터페이스로서 상기 데이터 인터페이스는 데이터 스트림을 수신하고 제공하는데 적용되는 데이터 인터페이스;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적용되는 트랜스폰더 메모리; 및
    -상기 트랜스폰더 메모리로부터 상기 저장된 데이터를 판독하고, 상기 판독된 데이터를 무선 주파수 인터페이스에 공급하고, 그리고 상기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다음에 수신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하여 상기 데이터가 이전에 판독되는 상기 트랜스폰더 메모리를 사용하는데 적용되는 트랜스폰더 논리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주파수 인터페이스는 상기 공급된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주파수 인증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폰더 메모리가 버퍼 메모리로서 동작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주파수 인증 장치.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폰더 메모리는 최소한 두 개의 메모리 영역으로 분할되고, 그 중 하나의 메모리 영역은 우선적으로 상기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동작할 수 있고 다른 하나의 메모리 영역은 우선적으로 상기 데이터를 판독하는데 동작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주파수 인증 장치.
  17. 제14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폰더 메모리는 상기 데이터 저장을 위하여 상기 메모리를 할당하고 상기 저장된 데이터를 판독한 다음에 상기 할당된 메모리를 할당 해제하는데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주파수 인증 장치.
  18. 제14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폰더가 같은 차례로 상기 판독된 데이터를 상기 무선 주파수 인터페이스에 공급하는데 적용되고,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는데 적용되는 데이터 인터페이스에서 그러한 순서가 관측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9. 제14항 내지 제 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주파수 인증 장치가 무선 주파수 인증 트랜스폰더 기능뿐 아니라 무선 주파수 인증 판독기 기능을 갖는 무선 주파수 인증 모듈 또는 무선 주파수 인증 트랜스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0. 시스템에 있어서, 무선 주파수 인증 장치와 전자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주파수 인증 장치가 제14항 내지 제19항 중의 어느 하나에 따른 무선 주파수 인증 장치이고, 상기 전자 장치는 데이터를 상기 무선 주파수 인증 장치로 공급하고 상기 무선 주파수 인증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의 제어하에 동작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KR1020067018900A 2006-09-14 2004-03-17 무선 주파수 인증 트랜스폰더의 의한 연속 데이터 제공 KR200700123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18900A KR20070012366A (ko) 2006-09-14 2004-03-17 무선 주파수 인증 트랜스폰더의 의한 연속 데이터 제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18900A KR20070012366A (ko) 2006-09-14 2004-03-17 무선 주파수 인증 트랜스폰더의 의한 연속 데이터 제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2366A true KR20070012366A (ko) 2007-01-25

Family

ID=38012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8900A KR20070012366A (ko) 2006-09-14 2004-03-17 무선 주파수 인증 트랜스폰더의 의한 연속 데이터 제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1236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57405A1 (en) * 2018-11-23 2020-05-27 Nxp B.V. Method of operating an nfc device, the nfc device, and a communication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57405A1 (en) * 2018-11-23 2020-05-27 Nxp B.V. Method of operating an nfc device, the nfc device, and a communication system
US10790880B2 (en) 2018-11-23 2020-09-29 Nxp B.V. Method of operating an NFC device, the NFC device, and a communication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25976B1 (en) Continuous data provision by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transponders
US8811896B2 (en) Non-volatile memory for contactless systems
US8260199B2 (en) NFC module, in particular for mobile phone
US8410908B2 (en) Method and device for emulating multiple RFID tags within a single mobile electronic device
US7194038B1 (en) Method for data communication between a wireless device and an electric device, and a data communication device
US8615196B2 (en) Portable apparatus for supporting electronic wallet
EP2157705B1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power receiving device
JP3180086B2 (ja) 携帯通信装置、情報伝達システム及び方法、携帯通信装置で利用可能な非接触icメディア
JP2008210301A (ja) 記憶媒体、通信システム、並びに制御装置。
US8504434B2 (en)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system
JP2009181332A (ja) 記憶媒体並びに競合制御方法
EP1783660A2 (en) Memory card and terminal equipment incorporating the same
US7345586B2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ferring data to an electronic device
JP2007226812A (ja) Icカード、携帯端末機及び携帯端末機の制御方法
JP2008536431A (ja) 改良型トランスポンダ
US8604902B2 (en) Communication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product
CN105512716A (zh) 一种多功能ic卡
KR20070012366A (ko) 무선 주파수 인증 트랜스폰더의 의한 연속 데이터 제공
JP2004341634A (ja) 移動機、データ送受信方法、及びデータ送受信プログラム
JP2000322528A (ja) 非接触データ供給システム及びこれに用いる送受信器
JP2001014433A (ja) 非接触icメディア及びそれを応用したシステム
CN203414989U (zh) 一种智能存储卡及其系统
WO2020234099A1 (en) Exchange of data between a nfc reader and a dual nfc interface transponder
JP2004192289A (ja) 情報処理装置
EP1122961A3 (en) Communication system and IC card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