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11890A - 전표(또는 서식)처리장치 및 전표(또는 서식)처리 시스템과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전표(또는 서식)처리장치 및 전표(또는 서식)처리 시스템과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1890A
KR20070011890A KR1020050066537A KR20050066537A KR20070011890A KR 20070011890 A KR20070011890 A KR 20070011890A KR 1020050066537 A KR1020050066537 A KR 1020050066537A KR 20050066537 A KR20050066537 A KR 20050066537A KR 20070011890 A KR20070011890 A KR 200700118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customer
document
slip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65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형
홍종철
윤종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Priority to KR10200500665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11890A/ko
Publication of KR200700118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18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4Billing or invoic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chnology Law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표(또는 서식)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고객이 소정의 데이터(또는 신호)입력수단을 통해 입력하는 전표(또는 서식) 선택 신호에 대응하는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를 소정의 메모리로부터 추출, 이를 화면 상에 출력하여 고객에게 제공하고, 상기 출력된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를 고객이 상기 데이터(또는 신호)입력수단을 통해 작성하면, 작성된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을 서버(또는 창구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기존의 종이로 된 전표(또는 서식) 작성과 동일한 형태로 전자펜 등으로 전표(또는 서식)를 작성하므로, 전표(또는 서식) 발행 비용을 줄이면서 거부감 없이 전표(또는 서식)처리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기존에 고객이 작성한 전표(또는 서식)를 보관하는 과정에서 요구되었던 상기 전표(또는 서식)의 스캐닝 등의 별도 작업없이 상기 전표(또는 서식)를 저장할 수 있다.
전표,기기

Description

전표(또는 서식)처리장치 및 전표(또는 서식)처리 시스템과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Devices for Processing Paying-out(or Receiving) Slip(or Form), System for Processing Paying-out(or Receiving) Slip(or Form) and Recording Medium}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전표(또는 서식)처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른 전표(또는 서식)처리 과정에 대한 간단한 흐름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른 전표(또는 서식)처리 과정에 대한 간단한 흐름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른 전표(또는 서식)처리장치에 대한 간단한 기능 구성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른 전표(또는 서식)처리장치를 통한 전표(또는 서식)처리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른 전표(또는 서식)처리장치를 통한 전표(또는 서식)처리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다(B-1).
도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른 전표(또는 서식)처리장치를 통 한 전표(또는 서식)처리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다(B-2).
도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른 창구 단말에 대한 간단한 기능 구성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른 창구 단말을 통해 입력 완료된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를 저장하는 과정에 대한 간단한 흐름도이다.
도면10 내지는 도면11은 본 발명에 따라 상기 도면4에 도시된 전표(또는 서식)처리장치를 통해 고객이 소정의 데이터(또는 신호) 입력수단으로 전표(또는 서식)를 작성하는 화면예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00 : 서버(또는 중계장치) 105 : 저장부
110 : 추출부 115 : 전송부
120 : 저장매체 125 : 창구 단말
400 : 전표(또는 서식)처리장치 405 : 제어부
410 : 순번 할당부 415 : 메모리
420 : 출력부 425 : 입력부
430 : 고객 인증정보 입력부 435 : 저장부
440 : 전송부 445 : 저장매체
본 발명은 고객이 소정의 금융 업무 등에 대한 전표(또는 서식)를 입력하여 작성토록 하고 이에 대한 순번 할당을 하여, 상기 입력된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 및 상기 순번 할당 데이터를 서버(또는 중계장치) 및/또는 창구 단말로 전송하는 전표(또는 서식)처리장치 및 전표(또는 서식)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은행(또는 은행지점)에 방문한 고객은, 소정의 번호표 단말로부터 순번 대기표를 뽑고, 상기 은행(또는 은행지점)에 구비된 소정의 전표(또는 서식) 용지에 소정의 금융거래 정보를 기입한 후, 상기 순번 대기표에 표기된 순번이 도달하면, 상기 금융거래 정보를 기입한 전표(또는 서식) 용지 등을 업무 창구로 제출하여야 하는데, 고객은 작성한 전표(또는 서식)를 대기표 순번까지 소지하고 있어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상기 고객의 금융정보(예컨대, 계좌번호 등) 등이 유출될 가능성이 높고 소지에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은행 등은 기존에 고객이 작성한 전표(또는 서식)를 보관하여야 하는데, 상기 전표(또는 서식)에 대한 스캐닝 등의 작업을 일일이 수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를 저장하며, 고객이 소정의 데이터(또는 신호)입력수단을 통해 입력하는 전표(또는 서식) 선택 신호에 대응하는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를 메모리로부터 추출하여, 화면 상에 출력시키고, 상기 데이터(또는 신호)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상기 출력된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입력 영역에 입력시켜, 상기 고객에게 순번을 할당하고, 상기 입력이 완료된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와 상기 고객에게 할당된 순번 데이터를 서버(또는 창구단말)로 전송하는 전표(또는 서식)처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전표(또는 서식) 처리 장치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 구성부의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른 전표(또는 서식)처리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고객이 소정의 데이터(또는 신호)입력수단을 통해 입력하는 전표(또는 서식) 선택 신호에 대응하는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를 메모리로부터 추출하여, 화면 상에 출력시키는 출력부와, 상기 데이터(또는 신호)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상기 출력된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입력 영역에 입력시키는 입력부와, 상기 고객에게 순번을 할당하는 순번 할당부 및 상기 입력이 완료된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와 상기 고객에게 할당된 순번 데이터를 서버(또는 창구단말)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표(또는 서식)처리장치는, 상기 입력이 완료된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와 상기 고객에게 할당된 순번 데이터를 소정의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구비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표(또는 서식)처리장치는, 상기 입력이 완료된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와 상기 고객에게 할당된 순번 데이터를 소정의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전송부는, 창구 단말에서 순번 데이터 전송시, 상기 저장매체와 연계하여, 상기 창구 단말에서 전송한 순번 데이터에 대응하는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를 상기 창구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표(또는 서식)처리장치는, 상기 입력이 완료된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를 소정의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구비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표(또는 서식)처리장치에 구비되는 상기 메모리는, 상기 전표(또는 서식)처리장치 내부에 구비되거나, 또는 상기 전표(또는 서식)처리장치 외부에 구비되어, 상기 전표(또는 서식)처리장치와 소정의 네트워크 망으 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표(또는 서식)처리장치에 구비되는 상기 데이터(또는 신호)입력수단은, 화면 상에 직접 데이터를 입력하는 전자펜과, 핀패드(PinPad)와, 키보드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는, 고객이 은행 창구 또는 고객 서비스 센터 창구로 제공하는 전표(또는 서식) 및 장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전표(또는 서식)처리장치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 구성부의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표(또는 서식)처리장치의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 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루는 기술적 구성요소를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각각의 시스템 기능구성에 기 구비되어 있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시스템 기능구성은 가능한 생략하고, 본 발명을 위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기능구성을 위주로 설명한다.
만약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에 도시하지 않고 생략된 기능구성 중에서 종래에 기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의 기능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상기와 같이 생략된 구성요소와 본 발명을 위해 추가된 구성요소 사이의 관계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면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전표(또는 서식)처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1을 참조하면, 전표(또는 서식)처리 시스템은 고객인 소정의 전표(또는 서식)를 작성하는 전표(또는 서식)처리장치(400)와, 상기 전표(또는 서식)처리장치(400)를 통해 상기 고객의 전표(또는 서식) 작성이 완료되면, 상기 작성 완료된 전 자적 전표(또는 서식)를 수신하여 창구 단말(125)과 연계시키는 서버(또는 중계장치)(100)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표(또는 서식)처리장치(400)는, 고객이 작성하고자 하는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를 화면 상에 출력시키고, 소정의 데이터(또는 신호)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상기 출력된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에 입력시키고, 상기 고객에게 순번을 할당하고, 상기 입력이 완료된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와 상기 고객에게 할당된 순번 데이터를 서버(또는 중계장치)(100)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표(또는 서식)처리장치(400)는, 상기 고객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증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전표(또는 서식)처리장치(400)가 상기 고객으로부터 상기 인증정보를 입력받는 것은, 상기 고객의 지문 등 생체정보를 스캔 또는 입력받거나, 및/또는 상기 고객의 공인인증서를 입력받거나, 및/또는 상기 고객의 주민등록증을 스캔 또는 입력받거나, 및/또는 상기 고객의 인장을 스캔 또는 입력받는 것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표(또는 서식)처리장치(400)는, 상기 고객에게 할당된 순번 데이터를 상기 고객에게 출력하여 제공하거나, 또는 상기 고객 무선 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표(또는 서식)처리장치(400)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하기의 도면4를 통해 기술하기로 한다.
서버(또는 중계장치)(100)는, 상기 고객에게 할당된 순번을 처리하는 창구 단말(125)로 상기 전표(또는 서식)처리장치(400)가 전송한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서버(또는 중계장치)(100)는, 전술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소정의 기능 구성부를 구비할 수 있는데,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서버(또는 중계장치)(100)는, 상기 전표(또는 서식)처리장치(400)가 전송한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와 상기 고객에게 할당된 순번 데이터를 소정의 저장매체(120)에 저장하는 저장부(150)와, 창구 단말(125)에서 순번 데이터에 대응하는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 요청시, 상기 저장매체(120)와 연계하여, 상기 창구 단말(125)에서 요청한 순번 데이터에 대응하는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를 추출하는 추출부(110) 및 상기 추출된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를 상기 창구단말로 전송하는 전송부(115)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또는 중계장치)(100)는 상기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를 소정의 저장매체(120)에 저장하는 저장부(105)를 더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된 상기 창구단말(125)은, 상기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 또는 상기 전표 (또는 서식) 데이터의 처리결과 데이터를 소정의 저장매체(120)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창구 단말(125)은 상기 서버(또는 중계장치)(100) 또는 전표(또는 서식)처리장치(400)로부터 전송되는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예컨대, 고객이 작성한 고객용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에 대응하는 소정의 금융업무 처리 작업(예컨대, 상기 고객이 작성한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가 입금에 관한 사항을 때, 상기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에 포함된 입금 정보에 따른 입금처리작업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창구 단말(125)은 금융거래 처리가 완료된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예컨대, 금융거래 처리 결과로서 은행이 보관해야 하는 은행용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를 소정의 저장매체(120)에 저장할 수 있는데, 여기서 상기 저장매체(120)는 상기 서버(또는 중계장치)(100)에 구비되거나, 및/또는 별도의 저장수단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융거래 처리가 완료된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예컨대, 금융거래 처리 결과로서 은행이 보관해야 하는 은행용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는 상기 창구 단말(125)에 임시저장된 후, 주기적으로 상기 저장매체(120)로 전송되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창구 단말(125)을 통해 금융거래 처리가 완료된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예컨대, 금융거래 처리 결과로서 은행이 보관해야 하는 은행용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가 상기 저장매체(120)에 저장되는 과정에 있어서, 상기 저장매체(120)에 저장된 이후에 상기 은행 및/또는 제3자에 의해 상기 저장된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의 무결성(Integrity)이 훼손되지 않았음을 보장하기 위해, 상기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에 소정의 해시(Hash) 함수를 적용하여 전표(또는 서식) 인증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와 상기 전표(또는 서식) 인증코드를 연계하여 상기 저장매체(120)에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창구 단말(125)을 통해 금융거래 처리가 완료된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예컨대, 금융거래 처리 결과로서 은행이 보관해야 하는 은행용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가 상기 저장매체(120)에 저장되는 과정에 있어서, 상기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의 무결성과 상기 금융거래 정보의 무결성을 동시에 보장하기 위해, 상기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와 상기 금융거래 정보를 연접하고, 상기 연접된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와 금융거래 정보에 소정의 해시 함수를 적용하여 전표(또는 서식) 인증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 및/또는 금융거래 정보와 상기 전표(또는 서식) 인증코드가 연계되어 상기 저장매체(12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금융거래 처리 완료된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의 무결성과 상기 금융거래 정보의 무결성을 개별적/통합적으로 보장하기 위해, 상기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가 저장매체(120)에 저장되는 과정에서 상기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에 소정의 해시 함수를 적용하여 인증코드(1)를 생성하고, 상기 금융거래 정보에 소정의 해시 함수를 적용하여 인증코드(2)를 생성하고, 상기 인증코드(1)와 인증코드(2)를 연접한 후, 상기 연접된 인증코드(1)와 인증코드(2)에 소정의 해시 함수를 적용하여 전표(또는 서식) 인증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 및/또는 금융거래 정보와 상기 전표(또는 서식) 인증코드(및/또는 실시 방법에 따라 인증코드(1)와 인증코드(2)를 더 포함 가능)를 연계하여 상기 저장매체(120)에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에 대한 무결성은 상기 인증코드(1)에 의해 보장되며, 상기 금융거래 정보에 대한 무결성은 상기 인증코드(2)에 의해 보장되며, 상기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와 금융거래 정보에 대한 통합적인 무결성은 상기 전표(또는 서식) 인증코드에 의해 보장될 수 있다.
이하, 도면2 내지는 도면3은 상기 도면1에서 전술한 전표(또는 서식)처리 시스템 상에서 전표(또는 서식)처리 장치를 통해 작성된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가 창구 단말(125)로 전달되어 처리되는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면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른 전표(또는 서식)처리 과정에 대한 간단한 흐름도이다.
도면2는 상기 도면1에서 전술한 전표(또는 서식)처리 시스템 상에서 전표(또 는 서식)처리 장치를 통해 작성된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가 서버(또는 중계장치)(100)를 통해 창구 단말(125)로 전달되어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고객이 본 발명에 따른 전표(또는 서식)처리장치(400)가 구비된 은행이나 우체국 등의 관공서를 방문하여, 상기 전표(또는 서식)처리장치(400)를 통해 작성하고자 하는 전표(또는 서식)를 선택하면(1), 상기 전표(또는 서식)처리장치(400)는 상기 고객인 선택한 전표(또는 서식)를 상기 고객이 작성할 수 있도록 화면 출력한다(2).
그러면, 상기 고객은 상기 화면 출력된 전표(또는 서식)를 화면 상에 직접 데이터를 입력하는 전자펜이나, 핀패드(PinPad)나, 키보드 등을 이용하여 작성하고(3), 상기 전표(또는 서식)의 작성이 완료되면, 상기 전표(또는 서식)처리장치(400)는 상기 고객에게 상기 전표(또는 서식)에 대응하는 업무 대기 순번을 할당한다(4).
그리고, 상기 전표(또는 서식)처리장치(400)는 상기 작성된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와 상기 고객에게 할당된 순번 데이터를 서버(또는 중계장치)(100)로 전송하고(5), 상기 서버(또는 중계장치)(100)는 상기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와 상기 순번 데이터를 소정의 저장매체(120)에 저장한다.
상기 고객은 상기 고객에게 할당된 순번이 될 때까지 대기하고(6), 상기 고 객 순번 차례가 되면, 창구 단말(125)은 상기 서버(또는 중계장치)(100)로 해당 순번에 대응하는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를 요청하고(7), 상기 서버(또는 중계장치)(100)는 상기 요청된 순번에 대응하는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를 상기 저장매체(120)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창구 단말(125)로 전송한다(8).
그러면, 상기 창구 단말(125)은 상기 고객의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를 수신하여 업무 처리를 수행하고, 상기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 처리 내역을 소정의 저장매체(120)에 저장한다(9).
이 과정에서, 상기 도면1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상기 창구 단말(125)(또는 서버(또는 중계장치)(100))은 상기 저장매체(120)에 저장된 이후에 상기 은행 및/또는 제3자에 의해 상기 저장된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의 무결성(Integrity)이 훼손되지 않았음을 보장하기 위해, 상기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에 소정의 해시(Hash) 함수를 적용하여 전표(또는 서식) 인증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와 상기 전표(또는 서식) 인증코드를 연계하여 상기 저장매체(120)에 저장하거나, 및/또는 상기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의 무결성과 상기 금융거래 정보의 무결성을 동시에 보장하기 위해, 상기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와 상기 금융거래 정보를 연접하고, 상기 연접된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와 금융거래 정보에 소정의 해시 함수를 적용하여 전표(또는 서식) 인증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 및/또는 금융거래 정보와 상기 전표(또는 서식) 인증코드가 연계되어 상기 저장매체(120)에 저장하거나, 및/또는 상기 금융거래 처리 완료된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의 무결성과 상기 금융거래 정보의 무결성을 개별적/통합적으로 보장하기 위해, 상기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가 저장매체(120)에 저장되는 과정에서 상기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에 소정의 해시 함수를 적용하여 인증코드(1)를 생성하고, 상기 금융거래 정보에 소정의 해시 함수를 적용하여 인증코드(2)를 생성하고, 상기 인증코드(1)와 인증코드(2)를 연접한 후, 상기 연접된 인증코드(1)와 인증코드(2)에 소정의 해시 함수를 적용하여 전표(또는 서식) 인증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 및/또는 금융거래 정보와 상기 전표(또는 서식) 인증코드(및/또는 실시 방법에 따라 인증코드(1)와 인증코드(2)를 더 포함 가능)를 연계하여 상기 저장매체(120)에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면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른 전표(또는 서식)처리 과정에 대한 간단한 흐름도이다.
도면3은 상기 도면1에서 전술한 전표(또는 서식)처리 시스템 상에서 전표(또는 서식)처리 장치를 통해 작성된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가 서버(또는 중계장치)(100) 없이, 창구 단말(125)로 직접 전달되어 처리되는 경우에 대한 것이다.
따라서, 도면3에 도시된 흐름(1) 내지는 흐름(4)의 과정은 상기 도면2와 동일하게 진행될 수 있음을 밝힌다.
고객이 본 발명에 따른 전표(또는 서식)처리장치(400)가 구비된 은행이나 우 체국 등의 관공서를 방문하여, 상기 전표(또는 서식)처리장치(400)를 통해 작성하고자 하는 전표(또는 서식)를 선택하면(1), 상기 전표(또는 서식)처리장치(400)는 상기 고객인 선택한 전표(또는 서식)를 상기 고객이 작성할 수 있도록 화면 출력한다(2).
그러면, 상기 고객은 상기 화면 출력된 전표(또는 서식)를 화면 상에 직접 데이터를 입력하는 전자펜이나, 핀패드(PinPad)나, 키보드 등을 이용하여 작성하고(3), 상기 전표(또는 서식)의 작성이 완료되면, 상기 전표(또는 서식)처리장치(400)는 상기 고객에게 상기 전표(또는 서식)에 대응하는 업무 대기 순번을 할당한다(4).
상기 고객은 상기 고객에게 할당된 순번이 될 때까지 대기하고(5), 상기 고객 순번 차례가 되면, 창구 단말(125)은 상기 전표(또는 서식)처리장치(400)로 해당 순번에 대응하는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를 요청하고(6), 상기 전표(또는 서식)처리장치(400)는 상기 요청된 순번에 대응하는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를 상기 저장매체(120)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창구 단말(125)로 전송한다(7).
그러면, 상기 창구 단말(125)은 상기 고객의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를 수신하여 업무 처리를 수행하고, 상기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 처리 내역을 소정의 저장매체(120)에 저장한다(8).
이 과정에서, 상기 창구 단말(125)은 상기 도면1 내지는 도면2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저장매체(120)에 저장된 이후에 상기 은행 및/또는 제3자에 의해 상기 저장된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의 무결성(Integrity)이 훼손되지 않았음을 보장하기 위해 상기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에 소정의 해시(Hash) 함수를 적용하여 저장할 수 있다.
도면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른 전표(또는 서식)처리장치(400)에 대한 간단한 기능 구성도이다.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른 전표(또는 서식)처리장치(400)의 각 기능 구성요소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시된 전표(또는 서식)처리장치(400)는, 제어부(405)와, 순번 할당부(410)와, 메모리(415)와, 저장부(435)와, 출력부(420)와, 전송부(440)와, 입력부(425) 및 고객 인증정보 입력부(430) 등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전표(또는 서식)처리장치(400)를 통해 상기 고객에게 화면 출력 및 상기 고객이 소정의 데이터(또는 신호) 입력수단을 통해 작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는, 고객이 은행 창구 또는 고객 서비스 센터 창구로 제공하는 전표(또는 서식) 또는 장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표(또는 서식)처리장치(400)의 제어부(405)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MPU(Micro Processing Unit)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와 실행 메모리(예컨대, 레지스터 및/또는 RAM(Random Access Memory)) 및 소정의 데이터를 입출력하는 버스(BUS)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405)는 고객의 전표(또는 서식) 작성 요청에 따라 상기 고객이 선택한 전표(또는 서식)에 대응하는 전표(또는 서식)를 추출하여 화면 출력하고, 소정의 데이터(또는 신호)입력수단을 통해 상기 고객이 상기 화면 출력된 전표(또는 서식)를 작성하는 작업을 처리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로부터 상기 실행 메모리로 로딩(Loading)되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연산 처리되는 소정의 프로그램 루틴(Routine) 및/또는 프로그램 데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표(또는 서식)처리장치(400)의 제어부(405)는, 상기 전표(또는 서식)처리장치(400)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 구성부(예컨대, 순번 할당부(410), 저장부(435)와, 출력부(420)와, 전송부(440)와, 입력부(425) 및 고객 인증정보 입력부(430) 등)에 대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각 구성요소로 본 발명을 실현하기 위한 명령전달 및 구성요소 간 정보 또는 데이터의 흐름을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제어(405)부는, 본 발명에 따른 고객이 소정의 데이터(또는 신호)입력수단을 이용하여, 소정의 전표(또는 서식)를 작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 상의 기능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도면4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405)는 순번 할당부(4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순번 할당부(410)는, 상기 전표(또는 서식)처리장치(400)를 통해 소정의 전표(또는 서식)를 작성하는 상기 고객에게 상기 전표(또는 서식)의 처리 순번을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순번 할당부(410)가 상기 전표(또는 서식) 작성 고객의 업무 처리 순번을 할당하는 과정은, 상기 고객이 상기 전표(또는 서식)처리장치(400)에 구비된 소정의 순번 할당 키 입력(또는 클릭)을 통해서 이루지거나 및/또는 전표(또는 서식)처리장치(400)의 화면상에 출력되는 소정의 전표(또는 서식) 작성 메뉴를 선택하는 과정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고객은 화면 상에 직접 데이터를 입력하는 전자펜과, 핀패드(PinPad)와, 키보드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소정의 데이터(또는 신호)입력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순번 할당부(410)는, 상기 고객에게 할당된 순번 데이터를 상기 고객에게 출력하여 제공하거나, 또는 상기 고객 무선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도면4를 참조하면, 상기 전표(또는 서식)처리장치(400)에 구비되는 메모리 (415)는, 상기 전표(또는 서식)처리장치(4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소정의 프로그램 루틴(또는 코드) 및/또는 프로그램 데이터(예컨대, 프로그램 루틴(또는 코드)에 의한 동작이 수행될 때 입출력되는 정보 또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415)는, 하드웨어적으로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및/또는 FM(Flash Memory) 및/또는 HDD(Hard Disk Drive)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저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415)는, 상기 제어부(405)가 본 발명에 따른 전표(또는 서식) 작성 작업의 제어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소정의 프로그램 루틴과 프로그램 데이터(예컨대, 프로그램 루틴이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데이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가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메모리(415)는, 상기 전표(또는 서식)처리장치(400) 내부에 구비되거나, 또는 상기 전표(또는 서식)처리장치(400) 외부에 구비되어, 상기 전표(또는 서식)처리장치(400)와 소정의 네트워크 망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면4에 도시된 출력부(420)는, 본 발명에 따른 전표(또는 서식)처리장치(400)가 동작하는 과정에서, 고객이 소정의 데이터(또는 신호)입력수단을 통해 입 력하는 전표(또는 서식) 선택 신호에 대응하는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를 메모리로부터 추출하여, 화면 상에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출력부(420)는, 상기 입력부(425)를 통해 상기 고객이 데이터(또는 신호)입력수단을 이용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입력되는 데이터 신호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고객의 전표(또는 서식) 선택 신호에 대응하는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가 화면 상에 출력된 후, 상기 고객이 전자펜 등을 이용하여 상기 출력된 전표(또는 서식) 상의 해당 항목에 해당 내용(예컨대, 출금 금액, 입금 금액 등)을 입력하면, 상기 입력된 내용을 화면 상에 출력한다.
도시된, 전표(또는 서식)처리장치(400)의 입력부(425)는, 상기 데이터(또는 신호)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상기 출력부(420)를 통해 화면 출력된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입력 영역에 입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도면4에서는 상기 입력부(425)와 고객 인증정보 입력부(430)를 별도로 도시하고 있지만, 상기 입력부(425)는 상기 고객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증정보를 입력받는 고객 인증정보 입력부(4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상기 고객 인증정보 입력부(430)는, 상기 고객의 지문 등 생체정보를 스캔 또는 입력받거나, 및/또는 상기 고객의 공인인증서를 입력받거나, 및/또는 상기 고객의 주민등록증, 및/또는 전자주민등록증 등을 스캔 또는 입력받거나, 및/또는 상기 고객의 인장을 스캔 또는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례로, 상기 고객 인증정보 입력부(430)는, 소정의 발광소자와 평면 및/또는 곡면 형태의 유리(Glass) 또는 거울(Mirror)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학장치를 통해 상기 고객이 제공하는 지문 등 생체정보, 및/또는 상기 고객의 주민등록증, 및/또는 상기 고객의 인장을 스캐닝하여 광학적으로 인식하고, 소정의 CCD(Charge-Coupled Device) 소자를 통해 상기와 같이 광학적으로 인식된 상기 고객 인증 정보를 픽셀단위로 디지털화하여 소정의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객 인증정보 입력부(430)는, 상기 고객의 공인인증서를 입력받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고객의 공인인증서 정보를 포함하는 저장매체(120)(예컨대, 플로피 디스크, USB 메모리, IC카드, 무선 단말기, RFID 태그 등)와 연동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고객의 공인인증서 및/또는 소정의 고객 인증 정보가 플로피 디스크 또는 USB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플로피 디스크 또는 USB 메모리와 인터페이싱할 수 있는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 또는 USB 포트 등이 상기 인터 페이스가 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고객의 공인인증서 및/또는 소정의 고객 인증 정보가 소정의 RFID 태그에 저장되어 경우, 상기 RFID 태그와 연동하는 RFID 리더기 등이 상기 인터페이스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객 인증정보 입력부(430)를 통해 입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객 인증정보는 상기 고객이 입력하는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에 첨부 및/또는 삽입될 수 있다.
도시된, 전표(또는 서식)처리장치(400)의 전송부(440)는, 상기 입력부(425) 및/또는 고객 인증정보 입력부(430)를 통해 상기 고객의 입력이 완료된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와 상기 고객에게 할당된 순번 데이터를 서버(또는 창구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송부(440)는, 창구 단말(125)에서 순번 데이터 전송시, 상기 저장매체(120)와 연계하여, 상기 창구 단말(125) 또는 서버(또는 중계장치)(100)에서 전송한 순번 데이터에 대응하는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를 상기 창구 단말(125)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송부(440)는,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전표(또는 서식)처리장치 (400)가 전표(또는 서식) 작성 처리 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네트워크 상의 서버(또는 중계장치 또는 창구 단말(125)) 및/또는 상기 전표(또는 서식)처리장치(400)와 소정의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는 서버(또는 중계장치 또는 단말) 및/또는 상기 전표(또는 서식)처리장치(400)와 소정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되는 서버(또는 중계장치 또는 단말)와 통신세션을 연결하여, 상기 입력이 완료된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와 상기 고객에게 할당된 순번 데이터를 상기 서버(또는 창구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송부(440)와 연결되는 네트워크는, 금융공동망 또는 부가가치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또는 초고속 인터넷(예컨대, ADSL/VDSL/Cable Network/.../위성통신)을 포함하는 소정의 유선 네트워크 및/또는 이동 통신망 또는 무선 데이터 통신망을 포함하는 소정의 무선 네트워크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전표(또는 서식)처리장치(400)의 저장부(435)는, 상기 입력이 완료된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와 상기 고객에게 할당된 순번 데이터를 소정의 저장매체(120)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저장매체(120)는 상기 전표(또는 서식)처리장치(400) 내에 구비되거나, 및/또는 네트워크 상에서 소정의 저장매체(120) 관리 서버(예컨대, 데이터베이스 서버) 형태로 구비되거나, 및/또는 창구 단말(125) 등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도면4에 도시된 전표(또는 서식)처리장치(400)에는 별도로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전표(또는 서식)처리장치(400)는 고객의 카드(또는 금융통장)로부터 접촉식 또는 비접촉식으로 연결되어 소정의 카드(또는 금융통장)정보를 입력받는 카드(또는 금융통장) 인터페이스를 더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카드(또는 금융통장) 인터페이스는, 상기 전표(또는 서식)처리장치(400)가 본 발명에 따른 전표(또는 서식) 출력 및 작성 작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고객의 MS(Magnetic Stripe)카드, IC카드, 무선단말기에 탑재 또는 이탈착되는 금융 IC칩, 전자통장을 포함하는 카드(또는 금융통장)로부터 소정의 카드(또는 금융통장)정보(예컨대, 카드번호 정보, 금융계좌번호 정보, 자주 사용하는(이체하는) 계좌정보, 칩 관련 정보 등)를 입력받을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상기 카드(또는 금융통장) 인터페이스는, 접촉식 인터페이스 및/또는 비접촉식 인터페이스 및/또는, 무선단말기와의 근거리 통신 인터페이스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력부(420)를 통해 고객이 소정의 데이터(또는 신호)입력수단을 통해 화면 상에 출력되는 전표(또는 서식)에 상기 카드(또는 금융통장)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고객 카드(또는 금융통장)정보는 자동으로 기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드(또는 금융통장) 인터페이스는,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전표( 또는 서식)처리장치(400)가 전표(또는 서식) 작성 처리를 수행함에 있어서, 고객 무선단말기로부터 소정의 정보(예컨대, 금융정보 등)를 제공받는 경우, 상기 무선단말기와 소정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근거리 통신 인터페이스를 더 구비할 수 있는데, 여기서, 상기 근거리 통신은, 휴대 인터넷 통신, 적외선(Infrared Ray) 통신, RF(Radio Frequency) 통신,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무선랜(Wireless LAN) 통신, 와이파이(Wi-Fi) 통신, ZigBee 통신, UWB 통신 등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카드(또는 금융통장) 인터페이스에 구비되는 근거리 통신 수단은 상기 전표(또는 서식)처리장치(400) 운영자(또는 사업자)와 상기 무선단말기 제조사(또는 공급자)간의 소정의 협약 등에 의해 탑재된 해당 근거리 통신 수단일 수 있다.
또한, 도면4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전표(또는 서식)처리장치(400)는 본 발명에 따른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 및/또는 순번 데이터를 보다 안전한 환경에서 처리하기 위하여, 및/또는 보다 안전하게 상기 서버(또는 창구 단말(125))로 전송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기밀성(Confidentiality) 및/또는 인증(Authentication) 및/또는 무결성(Integrity) 및/또는 부인방지(Nonrepudiation) 등을 포함하는 보안 요구사항을 상기 전표(또는 서식)처리장치(400) 내에서 안전하고 신뢰 가능한 구조로 수행하기 위한 보안응용모듈(Secure Application Module; SAM)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보안응용모듈(Secure Application Module; SAM)은 소정의 보안 요구 기능(예컨대, 고객으로부터 소정의 데이터(또는 신호) 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융 관련 정보, 카드(또는 금융통장)와의 정보 등 처리 및 송수신 기능 등)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처리되는 소정의 메시지(정보 또는 데이터)를 암호화하거나 복호화하고, 상기 메시지의 위조(또는 변조)를 방지하는 인증자를 부가하거나, 또는 상기 보안 요구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핵심정보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도시된 전표(또는 서식)처리장치(400)는, 전술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 구성부의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표(또는 서식)처리장치(400)에 포함되는 기록매체는, 고객 요청에 대응하는 소정의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를 화면 상에 출력시키는 기능과, 데이터(또는 신호)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상기 출력된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입력 영역에 입력시키는 기능과, 상기 고객에게 순번을 할당하고, 상기 입력이 완료된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와 상기 고객에게 할당된 순번 데이터를 서버(또는 창구단말)로 전송하는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바람직한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도면4에 도시된 전표(또는 서식)처리장치(400)는 하기와 같은 기능 구성부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바람직한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른 전표(또는 서식)처리장치(400)는, 고객이 작성하고자 하는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를 화면 상에 출력시키는 출력부(420)와, 상기 데이터(또는 신호)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상기 출력된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에 입력하는 입력부(425)와, 상기 고객에게 순번을 할당하는 순번 할당부(410) 및 상기 입력이 완료된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와 상기 고객에게 할당된 순번 데이터를 창구 단말(또는 서버)로 전송하는 전송부(440)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표(또는 서식)처리장치(400)는, 상기 입력이 완료된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와 상기 고객에게 할당된 순번 데이터를 소정의 저장매체(120)에 저장하는 저장부(435)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전송부(440)는, 창구 단말(125)에서 순번 데이터 전송시, 상기 저장매체(120)와 연계하여, 상기 창구 단말(125)에서 전송한 순번 데이터에 대응하는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를 상기 창구 단말(125)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표(또는 서식)처리장치(400)에 구비되는 상기 입력부(425)는, 상기 고객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증정보를 입력받는 고객 인증정보 입력부(4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순번 할당부(410)는, 상기 고객에게 할당된 순번 데이터를 상기 고객에게 출력하여 제공하거나, 또는 상기 고객 무선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바람직한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른 전표(또는 서식)처리장치(400)는, 전술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 구성부의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도면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른 전표(또는 서식)처리장치(400)를 통한 전표(또는 서식)처리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면5는 본 발명에 따른 전표(또는 서식)처리장치(400)를 통해 고객의 작성하고자 하는 전표(서식) 데이터의 선택 및 입력을 완료하고, 상기 고객의 할당 순번이 되기까지 상기 입력된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 및/또는 할당 순번 데이터의 전송을 대기하는 과정에 대한 간단한 실시예도이다.
도면5를 참조하면, 상기 도면4에 도시된 은행 또는 우체국 등의 관공서에 구비 가능한 전표(서식)처리장치가 본 발명에 따른 전표(또는 서식) 작성 및 전송 과정을 위해 초기화되는 과정으로부터 개시될 수 있다(500).
전표(서식)처리장치가 초기화되고, 상기 은행 또는 우체국 등의 관공서에 방문한 고객으로부터 소정의 데이터(또는 신호) 입력수단(예컨대, 상기 전표(또는 서 식)처리장치(400)에 구비될 수 있는, 화면 상에 직접 데이터를 입력하는 전자펜과, 핀패드(PinPad)와, 키보드 등)을 통해 상기 고객이 작성하고자 하는 전표(또는 서식)를 선택하면, 상기 고객이 선택한 전표(또는 서식)에 대응하는 전표(서식) 선택 신호가 발생된다(505).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전표(또는 서식)처리장치(400)는 상기 고객이 소정의 전표(또는 서식)를 선택하기 전에, 상기 고객의 선택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소정의 메뉴를 상기 전표(서식)처리장치의 출력부(420)를 통해 출력시킬 수 있다.
상기 고객이 선택한 전표(또는 서식)에 대응하는 전표(서식) 선택 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전표(또는 서식)처리장치(400)의 출력부(420)는 상기 발생된 전표(서식) 선택 신호에 대응하는 전표(서식) 데이터를 메모리(415)로부터 추출한다(510).
그리고, 상기 출력부(420)는 상기 고객이 상기 선택한 전표(또는 서식)를 확인 및/또는 입력할 수 있도록 상기 추출된 전표(서식) 데이터를 화면상에 출력한다(515).
만약, 상기 고객이 상기 출력부(420)를 통해 화면 출력된 전표(또는 서식)에 대한 작성을 하지 않는다면(520), 상기 전표(또는 서식)처리장치(400)는 상기 고객의 전표(또는 서식) 재 선택 여부 등을 확인할 수 있는데, 여기서, 상기 고객이 전표(또는 서식)를 재 선택하고자 한다면(525), 도시된 전표(또는 서식) 처리 과정은 상기 (505)과정으로 돌아가며, 상기 고객의 전표(또는 서식) 재 선택 등이 없다면(530), 본 실시예는 종료된다.
한편, 상기 고객이 상기 출력부(420)를 통해 화면 출력된 전표(또는 서식)에 대한 작성을 하고자 하는 경우(535), 상기 고객은 전술한 전자펜과, 핀패드(PinPad)와, 키보드 등을 통해 상기 화면 출력된 전표(또는 서식) 상에 소정의 데이터(또는 신호)를 입력하게 되며(540), 이 때 상기 전표(또는 서식)처리장치(400)의 입력부(425)는 상기 고객으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또는 신호)를 상기 화면 출력된 전표(또는 서식) 상의 해당 입력 영역에 입력시킨다(545).
이 과정에서 상기 전표(또는 서식)처리장치(400)의 순번 할당부(410)는 기 할당된 순번 데이터를 참조하여, 상기 고객에게 상기 입력된 전표(또는 서식)의 처리를 위한 순번을 할당할 수 있다(550).
또한, 상기 전표(또는 서식)처리장치(400)의 고객 인증정보 입력부(430)는 소정의 데이터(또는 신호) 입력수단을 통해 상기 고객으로부터 소정의 고객 인증 정보를 입력받아 확인할 수 있다(555).
예컨대, 상기 고객 인증정보 입력부(430)가 상기 고객으로부터 소정의 고객 인증 정보를 입력받는 과정은, 상기 고객의 지문 등 생체정보를 스캔 또는 입력받거나, 및/또는 상기 고객의 공인인증서를 입력받거나, 및/또는 상기 고객의 주민등 록증을 스캔 또는 입력받거나, 및/또는 상기 고객의 인장을 스캔 또는 입력받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객 인증정보 입력부(430)의 고객 인증 정보 확인 과정은, 상기 고객이 작성하고자 하는 전표(또는 서식)를 선택하는 과정 전후에서, 및/또는 상기 선택한 전표(또는 서식)에 대한 입력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고객 인증 정보 확인 과정은, 상기 전표(또는 서식)처리장치(400)를 통해 상기 고객이 선택한 전표(또는 서식)에 대한 입력이 완료되고, 상기 입력 완료된 전표(또는 서식)가 창구 단말(125)로 전송된 후, 상기 창구 단말(125)에서 소정의 금융업무 처리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전술한 과정을 통해서도 상기 고객의 전표(또는 서식) 작성이 완료되지 않는다면(560), 상기 전표(또는 서식)처리장치(400)는 상기 고객으로부터 작성된 전표(또는 서식) 취소 및/또는 새로운 서식(또는 전표) 작성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565).
여기서, 상기 고객으로부터 새로운 전표(또는 서식)를 작성하고자 한다면(570), 도시된 전표(또는 서식) 처리 과정은 상기 (505)과정으로 돌아가며, 상기 고객이 새로운 전표(또는 서식)를 작성하지 않거나, 및/또는 작성 취소를 요청하거나, 및/또는 전표(또는 서식) 작성 종료를 요청한다면(575), 본 실시예는 종료된 다.
한편, 전술한 과정을 통해서 상기 고객의 전표(또는 서식) 작성이 완료되었다면(580), 상기 전표(또는 서식)처리장치(400)의 저장부(435)는 상기 작성(입력) 완료된 전표(서식) 데이터 및 그에 대응하는 순번 데이터를 소정의 저장매체(120)(또는 메모리)에 저장하고(585), 상기 전표(또는 서식)처리장치(400)의 전송부(440)는 상기 작성 완료된 전표(서식) 데이터를 서버(또는 창구단말)로 전송하기 위해 대기한다.
이후 과정은 하기의 도면6을 통해 기술하기로 한다.
도면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른 전표(또는 서식)처리장치(400)를 통한 전표(또는 서식)처리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면6은 전술한 도면5의 과정을 참조하여, 상기 전표(또는 서식)처리장치(400)를 통해 상기 고객의 작성하고자 하는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에 대한 선택 및 입력 완료된 후, 상기 고객의 할당 순번이 되어 상기 입력된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 및/또는 할당 순번 데이터가 서버(또는 중계장치)(100)를 통해 창구 단말(125)로 전송되는 과정에 대한 간단한 실시예도이다.
도면6을 참조하면, 도시된 실시예는 상기 전표(또는 서식)처리장치(400)의 전송부(440)가 상기 도면5를 통해 작성 완료된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 및 대응하는 순번 데이터를 서버(또는 중계장치)(100)로 전송하는 과정으로부터 개시될 수 있다(600).
상기 전표(또는 서식)처리장치(400)가 소정의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서버(또는 중계장치)(100)로 전송되면, 상기 전표(또는 서식)처리장치(400)의 저장부(435)는 상기 고객의 보안을 위해 상기 전송 완료된 전표(서식) 데이터를 삭제 처리하고, 그에 대응하는 순번 데이터는 고객에 대한 순번 할당을 위해 메모리에 누적 저장할 수 있다(605).
여기서, 복수개의 전표(또는 서식)처리장치(400)(1~N)가 운용되는 경우, 상기 고객에게 할당되는 순번 데이터는 상기 복수개의 전표(또는 서식)처리장치(400)간에 통합적으로 운용될 수 있다.
예컨대, 전표(또는 서식)처리장치(400)(1)에서 순번 "N"이 할당되면, 순번 "N+1"의 할당은 가장 먼저 전표(또는 서식) 작성 처리가 수행되는 전표(또는 서식)처리장치(400)(1~N)의 사용 고객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또는 중계장치)(100)의 저장부(105)는 상기 전표(또는 서식)처리장치(400)로부터 전송된 전표(서식) 데이터 및 순번 데이터를 소정의 저장매체(120)에 저장한다(610).
상기 고객의 순번이 될 때까지(615), 상기 서버(또는 중계장치)(100)는 상기 고객의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를 전송을 대기한다(620).
상기 고객의 전표(또는 서식)의 처리 순서가 되면(625), 상기 창구 단말(125)은 상기 서버(또는 중계장치)(100)로 해당 고객 순번 데이터에 대응하는 전표(서식) 데이터를 요청한다(630).
그러면, 상기 서버(또는 중계장치)(100)의 추출부(110)는 상기 고객 순번에 대응하는 전표(서식) 데이터를 상기 저장매체(120)로부터 추출하고(635), 상기 서버(또는 중계장치)(100)의 전송부(115)는 상기 추출부(110)를 통해 추출된 전표(서식) 데이터를 상기 전표(서식) 데이터 요청 창구 단말(125)로 전송한다(640).
또한, 상기 창구 단말(125)은 소정의 금융거래 업무 처리를 위해 상기 서버(또는 중계장치)(100)로부터 전송된 전표(서식) 데이터를 임시저장한다(645).
도면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른 전표(또는 서식)처리장치(400)를 통한 전표(또는 서식)처리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면7은 전술한 도면5의 과정을 참조하여, 상기 전표(또는 서식)처리장치(400)를 통해 상기 고객의 작성하고자 하는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에 대한 선택 및 입력 완료된 후, 상기 고객의 할당 순번이 되어 상기 입력된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를 소정의 창구 단말(125)로 전송하는 과정에 대한 간단한 실시예도이다.
도면7에 따르면, 해당 고객 순번이 될 때까지(700), 상기 전표(또는 서식)처리장치(400)의 전송부(440)는 상기 작성 완료된 전표(서식) 데이터를 창구 단말(125)로 전송하기 위해 대기한다(705).
상기 고객의 순번이 되면(710), 상기 고객의 순번에 따른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를 처리하고자 하는 창구 단말(125)은 상기 서버(또는 중계장치)(100)로 해당 고객 순번 데이터에 대응하는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를 요청한다(715).
그리고, 상기 전표(또는 서식)처리장치(400)의 저장부(435)는 상기 전송 완료된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를 삭제처리하고, 상기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에 대응하는 순번 데이터는 메모리에 누적 저장할 수 있다(720).
상기 창구 단말(125)의 요청에 따라, 상기 전표(또는 서식)처리장치(400)의 전송부(440)는 상기 작성 완료된 전표(서식) 데이터 및 대응하는 순번 데이터를 상기 창구 단말(125)로 전송하고(725), 상기 창구 단말(125)은 소정의 금융거래 업무 처리를 위해 상기 서버(또는 중계장치)(100)로부터 전송된 전표(서식) 데이터를 임시저장한다(730).
도면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른 창구 단말(125)에 대한 간단한 기능 구성도이다.
도면8을 참조하면, 창구 단말(125)은 상기 전표(또는 서식)처리장치(400) 및/또는 서버(또는 중계장치)(100)로부터 전송된 전표(또는 서식)(상기 고객으로부터 상기 전표(또는 서식)처리장치(400)를 통해 입력 완료된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에 대응하는 소정의 금융거래 업무를 처리하고, 상기 금융거래 처리가 완료된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은행용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를 소정의 저장매체(120)에 저장하는 창구 단말(125)에 대한 실시예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창구 단말(125)은 제어부(800)와, 화면 출력부(820)와, 키 입력부(825)와, 고객 인증정보 입력부(830)와, 통신부(835)와, 인쇄부(845) 및 메모리(840)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창구 단말(125)에 구비되는 제어부(800)는, 하드웨어적으로 CPU/MPU를 포함하는 프로세서와 실행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840)로부터 상기 창구 단말(125)을 운영하기 위한 소정의 프로그램 루틴 및/또는 프로그램 데이터를 입출력하는 버스(BUS)와 이를 위한 소정의 전자회로(또는 집적회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소프트웨어적으로 상기 메모리(840)로부터 상기 실행 메모리로 로딩되어 상기 프로세서를 통해 연산 처리되는 프로그램 루틴 및/또는 프로그램 데이터의 총칭(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전표(또는 서식)의 처리 및 저장을 위해 창구 단말(125)의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소정의 프로그램 루틴이 본 제어부 내에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함)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창구 단말(125)의 제어부(800)는, 상기 창구 단말(125)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 구성부(예컨대, 화면 출력부, 키 입력부, 고객 인증정보 입력부, 통신부, 메모리, 인쇄부 등)에 대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각 구성요소로 본 발명을 실현하기 위한 명령전달 및 구성요소 간 정보 또는 데이터의 흐름을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제어부(800)는, 본 발명에 따른 고객이 소정의 데이터(또는 신호)입력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전표(또는 서식)처리장치(400)로부터 입력 완료된 전표(또는 서식)를 처리 및 저장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도면8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800)는 순번 요청부(805), 전표(또는 서식) 처리부(810), 저장부(815)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순번 요청부(805)는, 상기 창구 단말(125)을 통해 N번째 고객의 전표(또는 서식)에 대한 처리 및 저장 작업이 수행된 후, 자동으로 N번째 또는 N+1번째, ... 고객의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를 요청하는 신호를 상기 서버(또는 중계장치)(100) 및/또는 전표(또는 서식)처리장치(400)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표(또는 서식) 처리부(810)는, 상기 서버(또는 중계장치)(100) 또는 전표(또는 서식)처리장치(400)로부터 상기 고객의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가 전송되고, 상기 전송된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를 상기 창구 단말(125)에 구비된 화면 출력부(820)를 통해 모니터 등에 출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표(또는 서식) 처리부(810)는, 상기 창구 단말(125)에 구비된 고객 인증정보 입력부(830)를 통해 상기 전표(또는 서식) 작성 고객의 인증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고객 인증정보에 대한 유효성 판단이 수행된 후, 상기 입력된 고객 인증정보를 상기 고객이 입력한 전표(또는 서식) 상에 삽입 및/또는 첨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저장부(815)는, 상기 서버(또는 중계장치)(100) 또는 전표(또는 서식)처리장치(400)로부터 전송한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예컨대, 고객이 작성한 고객용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 및/또는 상기 창구 단말(125)로부터 금융거래 처리가 완료된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예컨대, 금융거래 처리 결과로서 은행이 보관해야 하는 은행용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를 소정의 저장매체(120)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저장매체(120)는 상기 창구 단말(125)에 구비되거나, 및/또는 상기 서버(또는 중계장치)(100)에 구비되거나, 및/또는 상기 창구 단말(125)과 소정의 네트워크로 연결된 별도의 서버(또는 단말)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저장부(815)는 상기 금융거래 처리가 완료된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은행용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를 저장하는 과정에서, 상기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를 통해 처리된 금융거래 정보를 더 포함하여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저장부(815)는 상기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가 상기 저장매체(120)에 저장된 이후에 상기 은행 및/또는 제3자에 의해 상기 저장된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의 무결성(Integrity)이 훼손되지 않았음을 보장하기 위해, 상기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에 소정의 해시(Hash) 함수를 적용하여 전표(또는 서식) 인증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와 상기 전표(또는 서식) 인증코드를 연계하여 상기 저장매체(120)에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저장부(815)는 상기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의 무결성과 상기 금융거래 정보의 무결성을 동시에 보장하기 위해, 상기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와 상기 금융거래 정보를 연접하고, 상기 연접된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와 금융거래 정보에 소정의 해시 함수를 적용하여 전표(또는 서식) 인증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 및/또는 금융거래 정보와 상기 전표(또는 서식) 인증코드를 연계하여 상기 저장매체(12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저장부(815)는 상기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의 무결성과 상기 금융거래 정보의 무결성을 개별적/통합적으로 보장하기 위해, 상기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에 소정의 해시 함수를 적용하여 인증코드(1)를 생성하고, 상기 금융거래 정보에 소정의 해시 함수를 적용하여 인증코드(2)를 생성하고, 상기 인증코드(1)와 인증코드(2)를 연접한 후, 상기 연접된 인증코드(1)와 인증코드(2)에 소정의 해시 함수를 적용하여 전표(또는 서식) 인증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 및/또는 금융거래 정보와 상기 전표(또는 서식) 인증코드(및/또는 실시 방법에 따라 인증코드(1)와 인증코드(2)를 더 포함 가능)를 연계하여 상기 저장매체(120)(2)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에 대한 무결성은 상기 인증코드(1)에 의해 보장되며, 상기 금융거래 정보에 대한 무결성은 상기 인증코드(2)에 의해 보장되며, 상기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와 금융거래 정보에 대한 통합적인 무결성은 상기 전표(또는 서식) 인증코드에 의해 보장될 수 있다.
도면8에 도시된 창구 단말(125)의 화면 출력부(820)는, 상기 창구 단말(125)이 소정의 기능(예컨대,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 처리 및 저장 기능 등)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어부(800)에 의해 LCD(Liquid Crystal Display) 및/또는 CRT(Cathode Ray Tube)를 포함하는 소정의 화면 출력수단으로 출력되도록 미리 정의되거나 또는 실시간 정의되어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 또는 데이터를 미리 정의된 화면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창구 단말(125)에서 상기 화면에 출력되도록 미리 정의된 정보 또는 데이터는, 상기 키 입력부(825) 또는 고객 인증정보 입력부(830)를 통해 입력되는 키 데이터, 및/또는 상기 창구 단말(125) 내 구비되어 있는 구성요소에 의해 저장 또는 생성되는 정보(또는 데이터), 통신부를 통해 송수신되는 정보(또는 데이터), 및/또는 상기 창구 단말(125)에서 수행하는 소정의 연산결과에 대응하는 정보(또는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화면 출력부(820)는 상기 서버(또는 중계장치)(100) 또는 전표(또는 서식)처리장치(400)로부터 전송된 고객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소정의 화면 인터페이스, 및/또는 상기 고객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화면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키 입력부(825)에서 상기 고객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를 처리 및 저장을 하기 위한 기능키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화면 출력수단으로 상기 화면 인터페이스를 미리 정의된 절차에 따라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창구 단말(125)의 키 입력부(825)는, 다수의 숫자키(Number Key)와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문자키(Character Key), 그리고 기능키(Function Key)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소정의 키 입력수단으로부터 창구 단말(125) 운영자 및/또는 사용자가 소정의 키를 클릭하여 발생하는 해당 키 데이터(Key Data)를 상기 제어부(800)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 때, 상기 제어부(800)는 키 입력부(825)를 통해 입력되는 키 데이터를 판독 및 상기 창구 단말(125)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와 연계하여 상기 키 데이터에 대응하는 소정의 기능 및/또는 미리 정의된 작업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키 입력부(825)는 상기 서버(또는 중계장치)(100) 또는 전표(또는 서식)처리장치(400)로부터 전송된 고객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를 처리 및 저장하기 위한 숫자키 및/또는 문자키 및/또는 기능키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창구 단말(125)의 고객 인증정보 입력부(830)는, 상기 고객의 지문 등 생체정보를 스캔 또는 입력받거나, 및/또는 상기 고객의 공인인증서를 입력받거나, 및/또는 상기 고객의 주민등록증, 및/또는 전자주민등록증 등을 스캔 또는 입력받거나, 및/또는 상기 고객의 인장을 스캔 또는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고객 인증정보 입력부(830)는, 소정의 발광소자와 평면 및/또는 곡면 형태의 유리(Glass) 또는 거울(Mirror)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학장치를 통해 상기 고객이 제공하는 지문 등 생체정보, 및/또는 상기 고객의 주민등록증, 및/또는 상기 고객의 인장을 스캐닝하여 광학적으로 인식하고, 소정의 CCD(Charge-Coupled Device) 소자를 통해 상기와 같이 광학적으로 인식된 상기 고객 인증 정보를 픽셀단위로 디지털화하여 소정의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객 인증정보 입력부(830)는, 상기 고객의 공인인증서를 입력받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고객의 공인인증서 정보를 포함하는 저장매체(120)(예컨대, 플로피 디스크, USB 메모리, IC카드, 무선 단말기, RFID 태그 등)와 연동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고객의 공인인증서 및/또는 소정의 고객 인증 정보가 플로피 디스크 또는 USB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플로피 디스크 또는 USB 메모리와 인터페이싱할 수 있는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 또는 USB 포트 등이 상기 인터페이스가 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고객의 공인인증서 및/또는 소정의 고객 인증 정보가 소정의 RFID 태그에 저장되어 경우, 상기 RFID 태그와 연동하는 RFID 리더기 등이 상기 인터페이스가 될 수 있다.
창구 단말(125)의 메모리(840)는, 상기 창구 단말(125)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소정의 프로그램 루틴(또는 코드) 및/또는 프로그램 데이터(예컨대, 프로그램 루틴(또는 코드)에 의한 동작이 수행될 때 입출력되는 정보 또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비휘발성 메모리의 총칭으로서, 하드웨어적으로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및/또는 FM(Flash Memory) 및/또는 HDD(Hard Disk Drive)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저장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상기 메모리(840)에는 상기 제어부가 소정의 제어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소정의 프로그램 루틴과 프로그램 데이터(예컨대, 프로그램 루틴이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메모리(840)는 상기 서버(또는 중계장치)(100) 또는 전표(또는 서식)처리장치(400)로부터 전송된 고객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를 처리 및 저장하기 위한 프로그램 루틴 및 프로그램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창구 단말(125)의 인쇄부(845)는, 프린터 등의 프린팅 수단과 연동하여, 상기 제어부(800)를 통해 처리되는 소정의 처리 결과 데이터(예컨대, 상기 고객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 처리에 대응하는 영수증, 처리내역 결과 등)를 종이에 인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창구 단말(125)의 통신부(835)는, 상기 창구 단말(125)이 소정의 기능(예컨대, 상기 고객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 처리 및/또는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네트워크 상의 서버(또는 중계 장치) 및/또는 상기 창구 단말(125)과 소정의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는 전표(또는 서식)처리장치(400)와 소정의 통신세션을 연결 하기 위한 소정의 통신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통신부(835)는, 하드웨어적으로 부가가치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또는 금융공동망 또는 초고속 인터넷(예컨대, ADSL/VDSL/Cable Network/.../위성통신)을 포함하는 소정의 유선 네트워크 및/또는 이동 통신망 또는 무선 데이터 통신망을 포함하는 소정의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유무선 네트워크 상의 서버(또는 단말)와 통신채널을 연결하는 네트워크 통신부, 및/또는 소정의 케이블 통신을 통해 소정의 단말(또는 장치)과 통신세션을 연결하는 케이블 통신부, 및/또는 적외선(Infrared Ray) 통신, RF(Radio Frequency) 통신, 블루투스(BlueTooth), 무선랜(Wireless LAN), 와이파이(Wi-Fi)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근거리 무선 통신수단을 통해 소정의 단말(또는 장치)과 근거리 무선 통신세션을 연결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소프트웨어적으로 상기 통신채널(또는 통신세션)을 연결하기 위한 통신 프로토콜 및/또는 드라이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통신부(835)는 네트워크 상의 서버(또는 중계장치)(100) 또는 전표(또는 서식)처리장치(400)와 소정의 통신채널을 연결하여 상기 전표(또는 서식)처리장치(400)를 통해 고객이 입력 완료한 소정의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를 요청 또는 수신하는 통신수단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및/또는 네트워크 상의 인증 서버(또는 금융서버)와 소정의 통신채널을 연결하여 상기 전표 작성 고객(및/또는 고객 정보)에 대한 인증 요청을 하는 통신수 단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른 창구 단말(125)을 통해 입력 완료된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를 저장하는 과정에 대한 간단한 흐름도이다.
도면9는 상기 도면5 및 도면6(또는 도면7)의 과정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전표(또는 서식)처리장치(400)를 통해 상기 고객으로부터 입력 완료된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 및 상기 고객의 할당 순번 데이터가 서버(또는 중계장치)(100)로 전달되고, 상기 고객의 할당 순번이 되어 해당 창구 단말(125)로 전송된 후, 상기 창구 단말(125)에서 상기 입력 완료된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에 대한 금융거래 처리가 완료되어 소정의 저장매체(120)에 상기 금융거래 처리 완료된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가 저장되는 과정에 대한 간단한 실시예도이다.
도면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상기 창구 단말(125)에서 상기 서버(또는 중계장치)(100) 또는 전표(또는 서식)처리장치(400)로부터 전송된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 및 순번 데이터를 메모리(또는 소정의 저장매체(120))에 임시 저장하는 과정으로부터 개시될 수 있다(900).
상기 창구 단말(125)에서 상기 저장된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를 화면 출력하여 고객에게 확인후 상기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에 대응하는 소정의 금융업무 처리가 개시되면(905), 상기 창구 단말(125)은 상기 고객으로부터 소정의 고객 인 증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910).
여기서, 창구 단말(125)의 고객 인증정보 입력부(830)는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 작성 고객으로부터 상기 고객의 지문 등 생체정보를 스캔 또는 입력받거나, 및/또는 상기 고객의 공인인증서를 입력받거나, 및/또는 상기 고객의 주민등록증, 및/또는 전자주민등록증 등을 스캔 또는 입력받거나, 및/또는 상기 고객의 인장을 스캔 또는 입력받을 수 있다(915).
그러면, 상기 창구 단말(125)은 상기 고객 인증정보 입력부(830)를 통해 입력된 상기 고객 인증 정보를 확인하고(920), 고객 인증의 실패시(925), 고객인증 실패에 대한 소정의 메시지 출력하거나 및/또는, 고객인증 정보의 재입력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930).
상기 고객 인증이 이루어지면(935), 상기 창구 단말(125)은 상기 고객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에 대응하는 금융업무를 처리하고(940), 상기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에 대응하는 금융업무가 완료되면, 상기 창구 단말(125)의 저장부(815)는 상기 금융업무 처리완료된 고객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에 소정의 해쉬함수를 적용하여, 상기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에 대응하는 인증코드를 생성한다(945).
그리고, 상기 창구 단말(125)의 저장부(815)는 상기 금융업무 처리완료된 고객 전표(서식) 데이터와 상기 생성된 전표(또는 서식)에 대응하는 인증코드를 연계 하여 소정의 저장매체(120)에 저장한다(950).
여기서, 상기 저장매체(120)는 상기 창구 단말(125)에 구비되거나, 네트워크 상의 서버(또는 중계장치)(100)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10 내지는 도면11은 본 발명에 따라 상기 도면4에 도시된 전표(또는 서식)처리장치(400)를 통해 고객이 소정의 데이터(또는 신호)입력수단(예컨대, 전자펜 등)을 통해 입력하는 전표(또는 서식) 선택 신호에 대응하는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를 메모리로부터 추출하여, 화면 상에 출력시키는 화면 예시도(도면10) 및 상기 데이터(또는 신호)입력수단(예컨대, 전자펜 등)을 통해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상기 출력된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입력 영역에 입력시키는 화면 예시도(도면11)에 대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표(또는 서식)처리장치를 통하여, 고객이 소정의 금융 업무 등에 대한 전표(또는 서식)를 입력하여 작성토록 하고 이에 대한 순번 할당을 하여, 상기 입력된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 및 상기 순번 할당 데이터를 서버(또는 중계장치) 및/또는 창구 단말로 전송함으로서, 고객은 기존의 종이로 된 전표(또는 서식) 작성과 동일한 형태로 전자펜 등으로 전표(또는 서식)를 작성하므로, 전표(또는 서식) 발행 비용을 줄이면서 거부감 없이 전표(또는 서식)처리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고객은 작성한 전표(또는 서식)를 해당 순번이 되기까지 일일이 지니고 있을 필요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은행 등은 기존에 고객이 작성한 전표(또는 서식)를 보관함에 있어서, 상기 전표(또는 서식)의 스캐닝 등의 별도 작업없이 상기 전표(또는 서식)를 저장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31)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고객이 소정의 데이터(또는 신호)입력수단을 통해 입력하는 전표(또는 서식) 선택 신호에 대응하는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를 메모리로부터 추출하여, 화면 상에 출력시키는 출력부;
    상기 데이터(또는 신호)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상기 출력된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입력 영역에 입력시키는 입력부;
    상기 고객에게 순번을 할당하는 순번 할당부;
    상기 입력이 완료된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와 상기 고객에게 할당된 순번 데이터를 서버(또는 창구단말)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표(또는 서식)처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이 완료된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와 상기 고객에게 할당된 순번 데이터를 소정의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표(또는 서식)처리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이 완료된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와 상기 고객에게 할당된 순번 데이터를 소정의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전송부는,
    창구 단말에서 순번 데이터 전송시, 상기 저장매체와 연계하여, 상기 창구 단말에서 전송한 순번 데이터에 대응하는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를 상기 창구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표(또는 서식)처리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이 완료된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를 소정의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표(또는 서식)처리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전표(또는 서식)처리장치 내부에 구비되거나, 또는
    상기 전표(또는 서식)처리장치 외부에 구비되어, 상기 전표(또는 서식)처리장치와 소정의 네트워크 망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표(또는 서식)처리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또는 신호)입력수단은,
    화면 상에 직접 데이터를 입력하는 전자펜과,
    핀패드(PinPad)와,
    키보드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표(또는 서식)처리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고객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증정보를 입력받는 고객 인증정보 입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표(또는 서식)처리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 인증정보 입력부는,
    상기 고객의 지문 등 생체정보를 스캔 또는 입력받거나, 및/또는
    상기 고객의 공인인증서를 입력받거나, 및/또는
    상기 고객의 주민등록증을 스캔 또는 입력받거나, 및/또는
    상기 고객의 인장을 스캔 또는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표(또는 서식)처리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순번 할당부는,
    상기 고객에게 할당된 순번 데이터를 상기 고객에게 출력하여 제공하거나, 또는 상기 고객 무선 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표(또는 서식)처리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는,
    고객이 은행 창구 또는 고객 서비스 센터 창구로 제공하는 전표(또는 서식)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표(또는 서식)처리장치.
  11.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의 전표(또는 서식)처리장치 구성부의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12. 고객 요청에 대응하는 소정의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를 화면 상에 출력시키는 기능;
    데이터(또는 신호)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상기 출력된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입력 영역에 입력시키는 기능;
    상기 고객에게 순번을 할당하고, 상기 입력이 완료된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와 상기 고객에게 할당된 순번 데이터를 서버(또는 창구단말)로 전송하는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13. 고객이 작성하고자 하는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를 화면 상에 출력시키는 출력부;
    상기 데이터(또는 신호)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상기 출력된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에 입력하는 입력부;
    상기 고객에게 순번을 할당하는 순번 할당부; 및
    상기 입력이 완료된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와 상기 고객에게 할당된 순번 데이터를 창구단말(또는 서버)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표(또는 서식)처리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이 완료된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와 상기 고객에게 할당된 순번 데이터를 소정의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표(또는 서식)처리장치.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이 완료된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와 상기 고객에게 할당된 순번 데이터를 소정의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전송부는,
    창구 단말에서 순번 데이터 전송시, 상기 저장매체와 연계하여, 상기 창구 단말에서 전송한 순번 데이터에 대응하는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를 상기 창구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표(또는 서식)처리장치.
  16.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이 완료된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를 소정의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표(또는 서식)처리장치
  17.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또는 신호)입력수단은,
    화면 상에 직접 데이터를 입력하는 전자펜과,
    핀패드(PinPad)와,
    키보드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표(또는 서식)처리장치.
  18.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고객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증정보를 입력받는 고객 인증정보 입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표(또는 서식)처리장치.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 인증정보 입력부는,
    상기 고객의 지문 등 생체정보를 스캔 또는 입력받거나, 및/또는
    상기 고객의 공인인증서를 입력받거나, 및/또는
    상기 고객의 주민등록증을 스캔 또는 입력받거나, 및/또는
    상기 고객의 인장을 스캔 또는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표(또는 서식)처리장치.
  20.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순번 할당부는,
    상기 고객에게 할당된 순번 데이터를 상기 고객에게 출력하여 제공하거나, 또는 상기 고객 무선 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표(또는 서식)처리장치.
  21.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는,
    고객이 은행 창구 또는 고객 서비스 센터 창구로 제공하는 전표(또는 서식)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표(또는 서식)처리장치.
  22. 제 13항 내지 제 20항 중 어느 한 항의 전표(또는 서식)처리장치 구성부의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23. 고객이 작성하고자 하는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를 화면 상에 출력시키고, 소정의 데이터(또는 신호)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상기 출력된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에 입력시키고, 상기 고객에게 순번을 할당하고, 상기 입력이 완료된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와 상기 고객에게 할당된 순번 데이터를 서버(또는 중계장치)로 전송하는 전표(또는 서식)처리장치; 및
    상기 고객에게 할당된 순번을 처리하는 창구 단말로 상기 전표(또는 서식)처리장치가 전송한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를 전송하는 서버(또는 중계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표(또는 서식)처리 시스템.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또는 중계장치)는,
    상기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를 소정의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표(또는 서식)처리 시스템.
  25.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또는 중계장치)는,
    상기 전표(또는 서식)처리장치가 전송한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와 상기 고객에게 할당된 순번 데이터를 소정의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저장부;
    창구 단말에서 순번 데이터에 대응하는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 요청시, 상기 저장매체와 연계하여, 상기 창구 단말에서 요청한 순번 데이터에 대응하는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를 추출하는 추출부; 및
    상기 추출된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를 상기 창구단말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표(또는 서식)처리 시스템.
  26.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창구단말은,
    상기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 또는 상기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의 처리결과 데이터를 소정의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표(또는 서식)처리 시스템.
  27.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또는 신호)입력수단은,
    화면 상에 직접 데이터를 입력하는 전자펜과,
    핀패드(PinPad)와,
    키보드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표(또는 서식)처리 시스템.
  28.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전표(또는 서식)처리장치는,
    상기 고객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증정보를 입력받는 고객 인증정보 입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표(또는 서식)처리 시스템.
  29.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 인증정보 입력부는,
    상기 고객의 지문 등 생체정보를 스캔 또는 입력받거나, 및/또는
    상기 고객의 공인인증서를 입력받거나, 및/또는
    상기 고객의 주민등록증을 스캔 또는 입력받거나, 및/또는
    상기 고객의 인장을 스캔 또는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표(또는 서식)처리 시스템.
  30.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전표(또는 서식)처리장치는,
    상기 고객에게 할당된 순번 데이터를 상기 고객에게 출력하여 제공하거나, 또는 상기 고객 무선 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표(또는 서식)처리 시스템.
  31.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표(또는 서식) 데이터는,
    고객이 은행 창구 또는 고객 서비스 센터 창구로 제공하는 전표(또는 서식)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표(또는 서식)처리 시스템.
KR1020050066537A 2005-07-22 2005-07-22 전표(또는 서식)처리장치 및 전표(또는 서식)처리 시스템과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기록매체 KR200700118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6537A KR20070011890A (ko) 2005-07-22 2005-07-22 전표(또는 서식)처리장치 및 전표(또는 서식)처리 시스템과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6537A KR20070011890A (ko) 2005-07-22 2005-07-22 전표(또는 서식)처리장치 및 전표(또는 서식)처리 시스템과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기록매체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1105A Division KR20100097084A (ko) 2010-07-22 2010-07-22 전표(또는 서식)처리 시스템
KR1020120052734A Division KR20120069637A (ko) 2012-05-17 2012-05-17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지점 거래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1890A true KR20070011890A (ko) 2007-01-25

Family

ID=38012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6537A KR20070011890A (ko) 2005-07-22 2005-07-22 전표(또는 서식)처리장치 및 전표(또는 서식)처리 시스템과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1189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0676B1 (ko) * 2009-02-06 2010-09-07 한국컴퓨터 주식회사 하이브리드형 고객 단말기
KR101018873B1 (ko) * 2008-07-31 2011-03-04 한국컴퓨터 주식회사 디지털 필경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8873B1 (ko) * 2008-07-31 2011-03-04 한국컴퓨터 주식회사 디지털 필경대
KR100980676B1 (ko) * 2009-02-06 2010-09-07 한국컴퓨터 주식회사 하이브리드형 고객 단말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77952B2 (en) User alerts for monitored transactions at automatic teller machines
EP2128830A1 (en) A method and an electronic device for transferring application data from a source electronic device to a destination electronic device
US20190295055A1 (en) System and method for financial transactions
CN105389725A (zh) 预输入平台及方法、录入设备及方法、填单方法及系统
CN108230139B (zh) 一种利用自助设备进行存单开户的方法及系统
CN103177364A (zh) 基于电子签名的交易处理方法
KR20070011890A (ko) 전표(또는 서식)처리장치 및 전표(또는 서식)처리 시스템과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기록매체
KR20050111366A (ko) 수표 발행 및 수납이 가능한 다기능 금융 단말기 및 그시스템
KR100977678B1 (ko)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가입자정보 인증시스템
KR20100097084A (ko) 전표(또는 서식)처리 시스템
KR20120069637A (ko)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지점 거래 제공 방법
KR100822936B1 (ko) 번호표 발급장치
JP2021077336A (ja) 顧客情報管理サーバ及び顧客情報の管理方法
JP2010066951A (ja) 電子申込システム及びそのホストコンピュータ
KR100822960B1 (ko) 전자문서(또는 전자전표) 처리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전자문서(또는 전자전표) 처리단말과 프로그램 기록매체
JP7486635B1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100982294B1 (ko) 금융거래 신청서 처리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JP2007257059A (ja) 認証システム
KR20090000819A (ko) 금융거래 현장 정보 제공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프로그램 기록매체
KR20150119544A (ko) 복합 스마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보 처리 방법
KR20060093360A (ko) 환전처리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JPH11143962A (ja) 電子伝票システム
KR20190121061A (ko) 금융 보안카드의 정보 확인 방법 및 장치
KR20100045047A (ko) 결제계좌와 연계된 복수의 체크카드 별 가상계좌 운영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KR20090003401A (ko) 현금 영수증 자진발급제도를 이용한 현금 영수증 처리방법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단말장치와 프로그램 기록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501 Disposition of invalidation of tr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