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11699A - 편광판어셈블리와,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패널어셈블리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편광판어셈블리와,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패널어셈블리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1699A
KR20070011699A KR1020050066191A KR20050066191A KR20070011699A KR 20070011699 A KR20070011699 A KR 20070011699A KR 1020050066191 A KR1020050066191 A KR 1020050066191A KR 20050066191 A KR20050066191 A KR 20050066191A KR 20070011699 A KR20070011699 A KR 200700116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arizing plate
adhesive layer
protective film
plate assembly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61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상건
공향식
이재호
홍권삼
손현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661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11699A/ko
Priority to JP2006103635A priority patent/JP2006313330A/ja
Priority to US11/417,016 priority patent/US20060251844A1/en
Priority to TW095115926A priority patent/TW200702756A/zh
Publication of KR200700116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16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02B5/3041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58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comprising electrically conductive elements, e.g. wire grids, conductive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2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electrical or magnetic properties, e.g. piezoelectric
    • B32B2307/21Anti-sta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2Polarizing, birefringent, filter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영상의 표시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편광판어셈블리와,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패널어셈블리의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편광판어셈블리는 편광판, 점착층, 점착층보호필름 및 정전기방지부를 포함한다. 편광판은 광을 소정의 방향으로 편광시킨다. 점착층은 편광판의 일면에 형성된다. 점착층보호필름은 점착층에 부착되어 배치된다. 정전기방지부는 점착층보호필름의 박리에 따라 발생되는 정전기를 흡수한다. 이와 같이, 정전기방지부가 보호필름을 편광판어셈블리에서 분리시킬 때 발생하는 정전기를 흡수하여 제거함에 따라, 영상의 표시품질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편광판, 점착층, 점착층보호필름, 도전층

Description

편광판어셈블리와,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패널어셈블리의 제조방법{POLARIZER ASSEMBL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AND METHOD FOR MAKING PANEL ASSEMBLY US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편광판어셈블리를 Ⅰ-Ⅰ'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어셈블리의 일부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어셈블리의 일부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편광판어셈블리를 Ⅱ-Ⅱ'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7a 내지 도 7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어셈블리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단면도들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널어셈블리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단면도들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200, 300, 400 : 편광판어셈블리 110, 210, 310, 410 : 편광판
120, 220, 320, 420 : 편광판보호필름 130, 230, 330, 430 : 점착층
140, 240, 340, 440 : 점착층보호필름
150, 250, 350, 450 : 정전기방지부
본 발명은 편광판어셈블리와,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패널어셈블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정전기 발생을 억제하기 위한 편광판어셈블리와,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패널어셈블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정보처리기기는 다양한 형태, 다양한 기능을 갖고, 더욱 빠른 속도로 정보를 처리하고 있다. 정보처리장치에서 처리된 정보는 전기적인 신호 포맷 형태를 갖는다. 따라서 사용자가 정보처리장치에서 처리된 정보를 육안으로 확인하기 위해서는 정보를 영상으로 표시하는 표시장치들을 필요로 한다.
상기 표시장치들 중 하나인 액정 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는 액정(liquid crystal)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상기 액정 표시장치는 다른 표시장치에 비해 두께가 얇고 무게가 가벼우며, 소비전력이 적고, 낮은 구동전압을 갖는 장점을 갖는다.
상기 액정 표시장치는 일반적으로 액정의 광투과율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액정 표시패널(liquid crystal display panel)과, 상기 액정 표시패널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액정 표시패널로 광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back-light assembly)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일반적으로 여러 방향으로 진동하는 비편광된 광(non polarized light)을 발생한다.
상기 액정 표시패널 내에 개재된 액정은 광의 복굴절을 이용하여 광투과율을 결정하기 때문에, 상기 액정 표시패널로 어느 한쪽으로 편광된 광(polarized light)이 입사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액정 표시장치는 상기 비편광된 광을 편광된 광으로 전환시키는 편광판(polarizer)을 더 구비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편광판은 편광판어셈블리 형태로 제조되며, 상기 편광판어셈블리는 상기 편광판, 상기 편광판의 상면에 형성된 점착층, 상기 점착층 상에 배치된 점착층보호필름 및 상기 편광판의 하면에 배치된 편광판보호필름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편광판은 상기 편광판어셈블리 중 상기 점착층보호필름을 제거한 후, 상기 점착층을 통해 상기 액정 표시패널의 일면에 부착된다.
그러나, 상기 편광판어셈블리 중 상기 점착층보호필름을 제거할 때, 상기 점착층 내에 정전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정전기를 포함하는 점착층은 상기 편광판을 상기 액정 표시패널의 일면에 부착시킬 때, 상기 액정 표시패널에 악영향을 주어 정전기 얼룩을 발생시키고, 그에 따라 표시품질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을 갖는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정전기 발생을 억제함으로써 영상의 표시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편광판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편광판어셈블리를 제조하기 위한 편광판어셈블리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한 편광판어셈블리를 이용하는 패널어셈블리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어셈블리는 편광판, 점착층, 점착층보호필름 및 정전기방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편광판은 광을 소정의 방향으로 편광시킨다. 상기 점착층은 상기 편광판의 일면에 형성된다. 상기 점착층보호필름은 상기 점착층에 부착되어 배치된다. 상기 정전기방지부는 상기 점착층보호필름의 박리에 따라 발생되는 정전기를 흡수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어셈블리의 제조방법은 편광판을 마련하는 단계와, 상기 편광판의 일면에 점착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점착층보호필름을 상기 점착층에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패널어셈블리의 제조방법은 점착층보호필름을 편광판어셈블리에서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 점착층보호필름이 제거된 편광판어셈블리를 표시패널과 일치하도록 얼라인하는 단계와, 상기 점착층보호필름이 제거된 편광판어셈블리를 상기 표시패널에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편광판어셈블리와,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패널어셈블리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정전기방지부가 점착층보호필름을 편광판어셈블리에서 분리시킬 때 발생하는 정전기를 흡수하여 제거함에 따라, 정전기에 의한 표시품질 저하를 방지하여 영상의 표시품질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편광판어셈블리의 실시예-1>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편광판어셈블리를 Ⅰ-Ⅰ'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편광판어셈블리(100)는 편광판(110), 편광판보호필름(120), 점착층(130), 점착층보호필름(140) 및 정전기방지부(150)를 포함한다.
상기 편광판(110)은 플레이트 형상을 갖고,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편광시켜 출사시킨다. 즉, 상기 편광판(110)은 여러 방향으로 진동하는 비편광된 광을 한쪽 방향으로만 진동하는 편광된 광으로 변경시킨다.
상기 편광판(110)은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콜(Poly Vinyl Alcohol, PVA) 및 상기 폴리비닐알콜 내에 광을 특정 방향으로 편광시키는 이색성 물질(I2, Cl2)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이색성 물질(I2, Cl2)이 상기 폴리비닐알콜(PVA) 내에 어떤 형태로 배치되고, 어떤 사이즈를 갖는지에 따라 상기 편광판(110)의 편광축이 결정된다. 상기 편광판(110)은 일례로, 약 200 um 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편광판(110)은 습기에 의해 쉽게 변질되기 때문에, 상기 편광판(110)의 끝단에는 상기 습기가 상기 편광판(110) 내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방수제 (미도시)가 도포될 수 있다.
상기 편광판보호필름(120)은 상기 편광판(110)의 일면에 배치되어, 상기 편광판(110)을 보호한다. 즉, 상기 편광판보호필름(120)은 외부로부터의 스크래치 및 오염물질로 인해 상기 편광판(110)이 손상되거나 오염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편광판보호필름(120)은 투명한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며, 일례로 폴리비닐(Poly Vinyl, PV) 필름, 저밀도 폴리에스테르(low density polyester) 필름 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필름일 수 있다. 상기 편광판보호필름(120)의 두께는 상기 편광판(110)의 두께보다 얇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점착층(130)은 상기 편광판(110)의 일면과 대향하는 타면에 형성된다. 상기 점착층(130)은 요소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일례로 점착력, 내열성 및 내습성이 우수한 PSA(Pressure Sensitive Adhesive)로 이루어진다. 상기 점착층(130)은 상기 편광판(110)을 표시패널(미도시)의 일면에 부착시킨다. 이때, 상기 점착층(130)의 두께는 약 15 um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점착층보호필름(140)은 상기 점착층(130) 상에 배치되어, 상기 점착층(130)을 보호한다. 즉, 상기 점착층보호필름(140)은 외부의 환경으로부터 상기 점착층(130)을 보호함으로써, 상기 점착층(130)의 점착력을 유지시킨다. 상기 점착층보호필름(140)은 상기 편광판(110) 및 점착층(130)을 시각적으로 검사하여 이물질유입 및 결함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광이 투과될 수 있는 투명한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점착층보호필름(140)은 상기 편광판어셈블리(100)에서 제거됨으로써, 상기 편광판(110)이 상기 점착층(130)에 의해 상기 표시패널의 일면에 부착된다. 이때, 상기 점착층보호필름(140)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점착층(130)과 쉽게 분리될 수 있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정전기방지부(150)는 상기 편광판(110) 내부에 소정의 밀도를 갖으며 불규칙하게 분포된 복수의 도전물질들이다. 이하, 상기 도전물질은 상기 정전기방지부(150)와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상기 도전물질로는 폴리피롤(PolyPyrrole), 폴리티오펜(Polythiophene), 폴리아닐린(Polyaniline) 등의 도전성 고분자가 주로 사용된다. 상기 도전물질(150)이 상기 편광판(110) 내부에 고루 분포됨에 따라, 상기 도전물질(150)은 상기 점착층보호필름(140)이 상기 편광판어셈블리(100)에서 분리될 때 발생하는 정전기를 흡수한다. 그 결과, 상기 도전물질(150)은 상기 정전기의 발생을 억제한다.
상기 도전물질(150)의 분포밀도는 상기 정전기 발생의 억제 효율을 결정한다. 즉, 상기 도전물질(150)이 보다 높은 밀도를 가지며 상기 편광판(110) 내부에 분포될 경우, 상기 정전기 발생은 보다 억제된다. 반면, 상기 도전물질(150)이 높은 밀도로 분포될 경우, 상기 편광판(110)을 투과하는 광의 광투과율은 저하된다. 따라서, 상기 도전물질(150)은 상기 광투과율을 기준치 이하로 저하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상기 편광판(110) 내부에 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편광판(110) 내부에 상기 도전물질(150)들이 배치됨에 따라, 상기 점착층보호필름(140)을 상기 편광판어셈블리(100)로부터 분리시킬 때 발생하는 정전기를 흡수하여 제거할 수 있다.
<편광판어셈블리의 실시예-2>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어셈블리의 일부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편광판어셈블리(200)는 편광판(210), 편광판보호필름(220), 점착층(230), 점착층보호필름(240) 및 정전기방지부(250)를 포함한다.
상기 편광판(210)은 플레이트 형상을 갖고, 여러 방향으로 진동하며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비편광된 광을 한쪽 방향으로만 진동하는 편광된 광으로 변경시켜 출사시킨다.
상기 편광판보호필름(220)은 상기 편광판(210)의 일면에 배치되어, 상기 편광판(210)을 보호한다.
상기 점착층(230)은 상기 편광판(210)의 일면과 대향하는 타면에 형성된다. 상기 점착층(230)은 상기 편광판(210)을 표시패널(미도시)의 일면에 부착시킨다. 이때, 상기 점착층(230)의 두께는 약 15 um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점착층보호필름(240)은 상기 점착층(230) 상에 배치되어, 상기 점착층(230)의 점착력을 유지시키도록 상기 점착층(230)을 보호한다.
상기 정전기방지부(250)는 상기 점착층(230) 내부에 소정의 밀도를 갖으며 불규칙하게 분포된 복수의 도전물질들이다. 이하, 상기 도전물질은 상기 정전기방지부(250)와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상기 도전물질로는 폴리피롤(PolyPyrrole), 폴리티오펜(Polythiophene), 폴리아닐린(Polyaniline) 등의 도전성 고분자가 주로 사용된다. 상기 도전물질(250) 이 상기 점착층(230) 내부에 고루 분포됨에 따라, 상기 점착층보호필름(240)이 상기 편광판어셈블리(200)에서 분리될 때 발생하는 정전기를 흡수한다. 그 결과, 상기 도전물질(250)은 상기 정전기의 발생을 억제한다.
상기 도전물질(250)의 분포밀도는 상기 정전기 발생의 억제 효율을 결정한다. 즉, 상기 도전물질(250)이 높은 밀도로 분포될 경우, 상기 정전기 발생은 보다 억제된다. 그러나, 상기 도전물질(250)이 높은 밀도분포를 가질 경우, 상기 점착층(230)을 투과하는 광의 광투과율은 저하되기 때문에, 상기 도전물질(250)은 상기 광투과율이 기준치 이상을 갖도록 상기 점착층(230) 내부에 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점착층(230) 내부에 상기 도전물질(250)들이 배치됨에 따라, 상기 점착층보호필름(240)을 상기 편광판어셈블리(200)로부터 분리시킬 때 발생하는 정전기를 흡수하여 제거할 수 있다.
<편광판어셈블리의 실시예-3>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어셈블리의 일부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편광판어셈블리(300)는 편광판(310), 편광판보호필름(320), 점착층(330), 점착층보호필름(340) 및 정전기방지부(350)를 포함한다.
상기 편광판(310)은 플레이트 형상을 갖고, 여러 방향으로 진동하며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비편광된 광을 한쪽 방향으로만 진동하는 편광된 광으로 변경시켜 출사시킨다.
상기 편광판보호필름(320)은 상기 편광판(310)의 일면에 배치되어, 상기 편광판(310)을 보호한다.
상기 점착층(330)은 상기 편광판(310)의 일면과 대향하는 타면에 형성된다. 상기 점착층(330)은 상기 편광판(310)을 표시패널(미도시)의 일면에 부착시킨다.
상기 점착층보호필름(340)은 상기 점착층(330) 상에 배치되어, 상기 점착층(330)의 점착력을 유지시키도록 상기 점착층(330)을 보호한다.
상기 정전기방지부(350)는 상기 편광판(310) 및 점착층(330) 사이에 형성된 도전층이다. 이하, 상기 도전층은 상기 정전기방지부(350)와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상기 도전층(350)은 유기물 또는 계면활성제로 형성되거나 도전물질로 이루어지며, 도전물질로는 구리(Cu), 알루미늄(Al), 은(Ag), ITO(Indium-Tin Oxide) 등의 금속 또는 폴리피롤(PolyPyrrole), 폴리티오펜(Polythiophene), 폴리아닐린(Polyaniline) 등의 도전성 고분자를 들 수 있다. 상기 도전층(350)은 상기 점착층보호필름(340)을 상기 편광판어셈블리(300)로부터 분리시 발생되는 정전기를 흡수하여 제거한다. 그에 따라, 상기 도전층(350)은 상기 정전기의 발생을 억제한다.
상기 도전층(350)은 상기 편광판을 투과한 광이 투과될 수 있는 두께를 갖는다. 예를 들어, 상기 도전층(350)의 두께는 50 내지 500 옹스트롬의 범위를 갖고, 바람직하게 100 내지 200 옹스트롬의 범위를 갖는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편광판(310) 및 점착층(330) 사이에 상기 도전층(350)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점착층보호필름(340)을 상기 편광판어셈블리(300)로 부터 분리시킬 때 발생하는 정전기를 흡수하여 제거할 수 있다.
<편광판어셈블리의 실시예-4>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1의 편광판어셈블리를 Ⅰ-Ⅰ'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편광판어셈블리(400)는 편광판(410), 편광판보호필름(420), 점착층(430), 점착층보호필름(440) 및 정전기방지부(450)를 포함한다.
상기 편광판(410)은 플레이트 형상을 갖고, 여러 방향으로 진동하며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비편광된 광을 한쪽 방향으로만 진동하는 편광된 광으로 변경시켜 출사시킨다.
상기 편광판보호필름(420)은 상기 편광판(410)의 일면에 배치되어, 상기 편광판(410)을 보호한다.
상기 점착층(430)은 상기 편광판(410)의 일면과 대향하는 타면에 형성된다. 상기 점착층(430)은 상기 편광판(410)을 표시패널(미도시)의 일면에 부착시킨다.
상기 점착층보호필름(440)은 상기 점착층(430) 상에 배치되어, 상기 점착층(430)의 점착력을 유지시키도록 상기 점착층(430)을 보호한다.
상기 정전기방지부(450)는 상기 점착층보호필름(440) 상에 형성된 도전층이다. 이하, 상기 도전층은 상기 정전기방지부(450)와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상기 도전층(450)은 상기 점착층(430)과 접하지 않도록 상기 점착층보호필름(440)을 가운데로 하여 상기 점착층(430)의 반대편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전층(450)은 유기물 또는 계면활성제로 형성되거나 도전물질로 이루어지며, 도전물질로는 구리(Cu), 알루미늄(Al), 은(Ag), ITO(Indium-Tin Oxide) 등의 금속 또는 폴리피롤(PolyPyrrole), 폴리티오펜(Polythiophene), 폴리아닐린(Polyaniline) 등의 도전성 고분자를 들 수 있다. 등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도전층(450)은 증착이나 도금 방식에 의해 상기 점착층보호필름(44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전층(450)은 상기 점착층보호필름(440)을 상기 편광판어셈블리(400)로부터 분리시킬 때 발생하는 정전기를 흡수하여 제거한다. 그에 따라, 상기 도전층(450)은 상기 정전기의 발생을 억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점착층보호필름(440) 상에 상기 도전층(450)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점착층보호필름(440)을 상기 편광판어셈블리(400)로부터 분리시킬 때 발생하는 정전기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점착층보호필름(440)이 상기 편광판어셈블리(400)로부터 분리될 때, 상기 도전층(450)도 함께 제거되기 때문에, 제1 내지 제3 실시예에처럼 광투과율의 저하의 문제점은 발생하기 않는다.
다음의 표 1은 상기 실시예 4에 따라 점착층보호필름(440)에 정전기 방지 처리를 하였을 때 면저항에 따른 이물질에 의한 불량률 및 정전기에 의한 불량률을 실험한 데이터이다.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면저항(Ω/□) 미처리 109 108
박리시 대전압(㎸) 11.99 0.69 0.11
이물질 불량률 자재성 1% 0.7% 0.5%
공정성 1% 0.6% 0.2%
정전기 불량률 6~8% 2~3% 0.5%이하
여기서, 불량률은 단위 파일럿 플랜트(Pilot Plant)에서 검사한 결과이다.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비교예에 따르면, 정전기 방지 처리를 하지 않을 경우, 점착층보호필름을 편광판으로부터 박리시킬 때 발생하는 대전압은 11.99[㎸]이었다. 이 경우, 자재성 이물질에 의해 1%, 공정성 이물질에 의해 1%의 불량률이 발생하였다. 또한, 정전기에 의해 6% 내지 8% 불량이 발생하였다.
제2 비교예에 따르면, 면저항 값이 대략 109 [Ω/ □] 이 되도록 정전기 방지 처리를 하였을 경우, 상기 점착층보호필름의 박리시 발생하는 대전압은 약 0.69 [㎸] 이었다. 이 경우, 자재성 이물질에 의해 약 0.7%, 공정성 이물질에 의해 약 0.6% 의 불량이 발생하였다. 또한, 정전기에 의해 대략 2% 내지 3% 의 불량이 발생하였다. 유기물, 계면 활성제류를 이용해 정전기 방지처리를 하는 경우에는 대략 109 ~ 108 정도의 면저항 값을 얻을 수 있다.
제3 비교예에 따르면, 면저항 값이 대략 108 [Ω/ □] 이 되도록 정전기 방지 처리를 하였을 경우, 자재성 이물질에 의해 약 0.5 %, 공정성 이물질에 의해 약 0.2% 의 불량이 발생하였다. 또한, 정전기에 의한 불량은 0.5% 이하로 발생하였다. 금속 또는 도전성 고분자 등의 도전물질을 코팅하는 경우 대략 108 이하의 면저항 값을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정전기 방지 처리를 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점착층보호필름의 박리시 11.99[㎸]의 대전압이 발생한 반면, 면저항 값이 109 [Ω/ □] 이상이 되도록 정전기 방지 처리를 하였을 경우에는 대전압이 0.69[㎸]으로 현저하게 감소되었다. 한편, 면저항 값이 108 [Ω/ □] 이하가 되도록 정전기 방지 처리를 하였을 경우에는 대전압이 0.11[㎸]로 상기 109 [Ω/□] 이상으로 하였을 경우 보다 현저히 감소하고 그로 인해 이물질에 의한 불량률 및 정전기에 의한 불량률도 현저하게 감소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물질에 의한 불량률은 제1 비교예에 따르면 대략 2%이고, 제2 비교예에 따르면 대략 1.3 %이며, 제3 비교예에 따르면 대략 0.7 % 로서, 면저항 값이 108 [Ω/ □] 이하가 되도록 정전기 방지 처리를 하는 경우 이물질에 의한 불량률이 현저하게 낮아짐을 알 수 있다.
또한, 정전기에 의한 불량률은 제1 비교예에 따르면 6% 내지 8% 이고, 제2 비교예에 따르면 2% 내지 3%이며, 제3 비교예에 따르면 0.5% 이하로서, 면저항 값이 108 [Ω/ □] 이하가 되도록 정전기 방지 처리를 하는 경우 정전기에 의한 불량률 또한 현저하게 낮아짐을 알 수 있다.
이상의 실험결과에 따르면, 정전기 방지 처리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전기방지부들(150, 250, 350, 450)의 면저항(Ω/□) 값이 108 [Ω/ □] 이하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알 수 있다.
<편광판어셈블리의 제조방법의 실시예>
도 7a 내지 도 7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어셈블리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단면도들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편광판어셈블리의 제조방법으로 우선, 플레이트 형상을 갖는 편광판(410)을 마련한다. 상기 편광판(410)은 입사되는 비편광된 광을 편광된 광으로 변경하여 출가한다.
도 7b를 참조하면, 상기 편광판(410)의 일면에 점착층(430)을 형성한다. 상기 점착층(430)은 점착력을 갖는 요소수지가 상기 편광판(430)의 일면에 도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점착층(430)은 일례로 점착력, 내열성 및 내습성이 우수한 PSA(Pressure Sensitive Adhesive)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c를 참조하면, 상기 점착층(430) 상에 점착층보호필름(440)을 부착시킨다. 상기 점착층보호필름(440)은 상기 점착층(430)을 보호하여 상기 점착층(430)의 점착력을 유지시킨다. 상기 점착층보호필름(440)은 이미 표면에 도전층(450)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도전층(450)은 상기 도전층(450)이 형성되지 않은 상기 점착층보호필름(440)을 상기 점착층(430)에 우선 부착시킨 후, 나중에 상기 점착층보호필름(44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전층(450)은 유기물 또는 계면활성제를 표면에 코팅하여 형성하거나, 도전성 금속을 표면에 증착 또는 도금하여 형성하거나, 전도성 고분자를 가용성으로 만들어 코팅, 증착하여 형성하거나, ITO 또는 ATO를 알코올 등의 용매에 분산시켜 코팅, 증착하는 방식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증착 등의 제전처리시 필름의 온도가 상승하여 변형이 올 수 있으므로 저온을 유지하면서 공정을 진행 한다. 점착층 보호필름(440)과 편광판 보호필름(420)은 대개 폴리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poly(ethylene terephthalte))로 이루어지므로 공정온도를 PET의 유리전이온도(Tg)인 약 80 ℃ 이하로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도 7d를 참조하면, 상기 편광판(410)의 타면에 편광판보호필름(420)을 부착시킨다. 즉, 상기 편광판보호필름(420)은 상기 점착층(430)이 형성된 상기 편광판(410)의 일면과 대향하도록 상기 편광판(410)의 타면에 부착된다. 도면에서는 상기 편광판보호필름(420)은 부착시키는 단계를 마지막 단계로 도시하였으나, 이와 다르게 그 이전 어느 단계에서도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서 도시된 상기 편광판어셈블리는 상기 편광판보호필름(420) 상에 형성된 상기 도전층(450)을 포함하고 있으나, 이와 다르게 상기 편광판어셈블리는 상기 편광판(410) 및 점착층(430) 사이에 형성된 다른 도전층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점착층(430)이 상기 편광판(410)의 일면에 형성되기 전에 상기 다른 도전층이 우선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와 다르게, 상기 편광판(410)의 내부에 도전물질이 불규칙하게 형성되거나, 상기 점착층(430) 내부에 도전물질이 불규칙하게 형성될 수 있다.
<패널어셈블리의 제조방법의 실시예>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널어셈블리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단면도들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도전층(450)이 형성된 점착층보호필름(440)을 편광판어셈블리로부터 제거한다. 이때, 상기 편광판어셈블리는 일례로, 편광판(410), 편광판보호필름(420), 점착층(430), 상기 점착층보호필름(440) 및 상기 도전층(450)을 포함한다.
상기 편광판(410)은 여러 방향으로 진동하는 비편광된 광을 한쪽 방향으로만 진동하는 편광된 광으로 변경시키고, 상기 편광판보호필름(420)은 상기 편광판(410)의 일면에 배치되어, 상기 편광판(410)을 보호한다. 상기 점착층(430)은 상기 편광판(410)의 일면과 대향하는 타면에 형성되고, 상기 점착층보호필름(440)은 상기 점착층(430) 상에 배치되어 상기 점착층(430)을 보호하며, 상기 도전층(450)은 상기 점착층보호필름(440) 상에 형성된다.
상기 도전층(450)이 형성된 상기 점착층보호필름(440)을 상기 편광판어셈블리로부터 분리시킬 때, 일반적으로 마찰 등에 상기 점착층(430) 내에 정전기(10)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정전기(10)는 상기 도전층(450)에 의해 흡수되어 상기 도전층(450)의 전 영역으로 퍼짐으로써, 제거된다.
도 8b를 참조하면, 상기 점착층보호필름(440)이 제거된 편광판어셈블리를 표시패널(500)과 일치하도록 얼라인한다. 이러한 얼라인 작업은 지그(zig)와 같은 기계적 장치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상기 점착층보호필름(440)이 제거된 편광판어셈블리를 상기 표시패널(500)의 일면에 부착한다. 즉, 상기 편광판어셈블리는 상기 점착층보호필름(440)이 제거됨에 따라 외부로 노출된 점착층(430)에 의해 상기 표시패널(500)의 일면에 부착된다.
상기 편광판어셈블리는 상기 정전기(10)가 제거된 상태이므로, 상기 표시패널(500)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이때, 상기 표시패널(500)은 제1 기판(510), 제2 기판(520) 및 액정층(530)을 포함한다.
상기 제1 기판(510)은 복수개가 매트릭스(matrix) 형태로 배치된 화소전극(pixel electrode)들, 상기 각 화소전극에 구동전압을 인가하는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들 및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TFT)들을 각각 작동시키기 위한 신호선(signal line)들을 포함한다.
상기 제2 기판(520)은 상기 제1 기판(510)과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상기 제2 기판(520)은 상기 제2 기판(520)의 전면에 배치되며 투명하면서 도전성인 공통 전극(common electrode) 및 상기 화소전극들과 마주보는 곳에 배치된 컬러필터(color filter)들을 포함한다.
상기 액정층(530)은 상기 제1 및 제2 기판(510, 520)의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화소전극 및 상기 공통 전극의 사이에 형성된 전기장에 의하여 재배열된다. 재배열된 상기 액정층(530)은 외부에서 발생된 광의 광투과율을 조절하고, 광투과율이 조절된 광은 상기 컬러필터들을 통과함으로써 영상이 표시된다.
도면에서는 상기 점착층보호필름(440)이 제거된 편광판어셈블리가 상기 표시패널(500)의 제1 기판(510)에 부착되는 것만을 도시하였으나, 이와 다르게 상기 편광판어셈블리가 상기 제1 및 제2 기판(510, 520)의 양면에 대향하도록 한 쌍이 부착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점착층보호필름(440)을 편광판어셈블리로부터 분리시 발생하는 상기 정전기(10)를 상기 도전층(450)을 통해 제거함으로써, 상기 정전기(10)가 상기 편광판(410)을 부착한 상기 표시패널(500)로 악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면에서 도시된 상기 편광판어셈블리는 상기 편광판보호필름(420) 상에 형성된 상기 도전층(450)을 포함하고 있으나, 이와 다르게 상기 편광판어셈블리는 상기 편광판(410) 및 점착층(430) 사이에 형성된 다른 도전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와 다르게, 상기 편광판(410)의 내부에 도전물질이 불규칙하게 형성되거나, 상기 점착층(430) 내부에 도전물질이 불규칙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점착층보호필름을 편광판어셈블리에서 분리시킬 때 발생하는 정전기를 정전기방지부가 흡수하여 제거함에 따라, 정전기에 의한 표시장치의 표시품질 저하를 방지하여 영상의 표시품질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9)

  1. 광을 소정의 방향으로 편광시키는 편광판;
    상기 편광판의 일면에 형성된 점착층;
    상기 점착층에 부착되어 배치된 점착층보호필름; 및
    상기 점착층보호필름의 박리에 따라 발생되는 정전기를 흡수하는 정전기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기방지부는 상기 점착층보호필름의 외측면에 형성된 도전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어셈블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기방지부는 상기 편광판 내부에 불규칙하게 분포된 도전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어셈블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기방지부는 상기 점착층 내부에 불규칙하게 분포된 도전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어셈블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기방지부는 상기 편광판 및 점착층 사이에 형성된 도전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어셈블리.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기방지부의 면저항[Ω/ □]은 108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어셈블리.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층의 두께는 50 내지 500 옹스트롬의 범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어셈블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판을 보호하기 위해 상기 편광판의 타면에 배치된 편광판보호필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어셈블리.
  9. 편광판을 마련하는 단계;
    상기 편광판의 일면에 점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점착층보호필름을 상기 점착층에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어셈블리의 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보호필름의 외측면에는 도전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어셈블리의 제조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판을 마련하는 단계는
    상기 편광판을 마련하는 단계; 및
    상기 편광판의 내부에 불규칙하게 도전물질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어셈블리의 제조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의 내부에는 도전물질이 불규칙하게 분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어셈블리의 제조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판의 일면에 점착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편광판의 일면에 도전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도전층 상에 상기 점착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어셈블리의 제조방법.
  14. 점착층보호필름을 편광판어셈블리에서 제거하는 단계;
    상기 점착층보호필름이 제거된 편광판어셈블리를 표시패널과 일치하도록 얼라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점착층보호필름이 제거된 편광판어셈블리를 상기 표시패널에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어셈블리의 제조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보호필름의 외측면에는 도전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어셈블리의 제조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판어셈블리는 내부에 도전물질이 불규칙하게 분포된 편광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어셈블리의 제조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판어셈블리는 편광판, 상기 편광판의 일면에 형성된 점착층 및 상기 점착층에 부착된 점착층보호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점착층보호필름이 제거된 편광판어셈블리는 상기 점착층에 의해 상기 표시패널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어셈블리의 제조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의 내부에는 도전물질이 불규칙하게 분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어셈블리의 제조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판어셈블리는 상기 편광판 및 점착층 사이에 형성된 도전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어셈블리의 제조방법.
KR1020050066191A 2005-05-04 2005-07-21 편광판어셈블리와,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패널어셈블리의 제조방법 KR20070011699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6191A KR20070011699A (ko) 2005-07-21 2005-07-21 편광판어셈블리와,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패널어셈블리의 제조방법
JP2006103635A JP2006313330A (ja) 2005-05-04 2006-04-04 偏光板アセンブリと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パネルアセンブリの製造方法
US11/417,016 US20060251844A1 (en) 2005-05-04 2006-05-03 Polarizer assembly,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panel assembly having the same
TW095115926A TW200702756A (en) 2005-05-04 2006-05-04 Polarizer assembly,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panel assembly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6191A KR20070011699A (ko) 2005-07-21 2005-07-21 편광판어셈블리와,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패널어셈블리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1699A true KR20070011699A (ko) 2007-01-25

Family

ID=38012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6191A KR20070011699A (ko) 2005-05-04 2005-07-21 편광판어셈블리와,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패널어셈블리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1169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5378B1 (ko) * 2010-03-19 2013-09-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인식 횡전계형 액정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307962B1 (ko) * 2010-03-19 2013-09-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인식 횡전계형 액정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9600109B2 (en) 2010-03-19 2017-03-21 Lg Display Co., Ltd. Touch sensing typ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5378B1 (ko) * 2010-03-19 2013-09-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인식 횡전계형 액정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307962B1 (ko) * 2010-03-19 2013-09-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인식 횡전계형 액정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8704962B2 (en) 2010-03-19 2014-04-22 Lg Display Co., Ltd. Touch sensing typ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mprising a touch sensing unit that includes X and Y direction sensing lines and a plurality of touch blocks
US9218080B2 (en) 2010-03-19 2015-12-22 Lg Display Co., Ltd. Touch sensing typ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anti-static outer layer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9600109B2 (en) 2010-03-19 2017-03-21 Lg Display Co., Ltd. Touch sensing typ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9727158B2 (en) 2010-03-19 2017-08-08 Lg Display Co., Ltd. Touch sensing typ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10620729B2 (en) 2010-03-19 2020-04-14 Lg Display Co., Ltd. Touch sensing typ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11016594B2 (en) 2010-03-19 2021-05-25 Lg Display Co., Ltd. Touch sensing typ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11620009B2 (en) 2010-03-19 2023-04-04 Lg Display Co., Ltd. Touch sensing type display device
US11907460B2 (en) 2010-03-19 2024-02-20 Lg Display Co., Ltd. Touch sensing type display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84331B2 (ja) 液晶装置の作製方法
US20060251844A1 (en) Polarizer assembly,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panel assembly having the same
US20070195255A1 (en) Assembled substrate for liquid crystal panel, method of cutting the assembled substrate, and liquid crystal panel manufatured thereby
US10495912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d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manufactured by the same
JP5455615B2 (ja) 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液晶表示装置の製造装置
KR20030058541A (ko) 액정표시장치의 전도성 편광판
US20130260105A1 (en) Glass substrate for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0320416B1 (ko) 횡전계방식액정표시소자
KR20070078111A (ko) 편광판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KR20060103114A (ko) 접착제를 가진 편광판 및 액정 디스플레이
KR102618293B1 (ko) 표시장치용 지지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US20200166809A1 (en) Liquid crystal displa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170079359A (ko) 투명 접착제 조성물, 투명 접착층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US20230251521A1 (en) Polarizer, display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80053136A (ko)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20070011699A (ko) 편광판어셈블리와,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패널어셈블리의 제조방법
KR101232732B1 (ko) 편광판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JP2005249886A (ja) 電気光学表示装置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KR20060115168A (ko) 편광판 및 이를 이용하는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JP2007033982A (ja) 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20180069522A (ko) 플렉서블 기판과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80060187A (ko) 플렉서블 기판과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TWI284749B (en) Polarizer structure,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and protective film structure capable of preventing ESD from damaging ICs
KR101328848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007720B1 (ko) 액정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