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11018A - 오폐수 정수장치용 필터 카트리지 - Google Patents

오폐수 정수장치용 필터 카트리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1018A
KR20070011018A KR1020050066072A KR20050066072A KR20070011018A KR 20070011018 A KR20070011018 A KR 20070011018A KR 1020050066072 A KR1020050066072 A KR 1020050066072A KR 20050066072 A KR20050066072 A KR 20050066072A KR 20070011018 A KR20070011018 A KR 200700110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cartridge
catalyst
water
support ring
supporting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60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00447B1 (ko
Inventor
심희진
Original Assignee
심희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희진 filed Critical 심희진
Priority to KR10200500660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0447B1/ko
Publication of KR200700110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10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04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04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5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5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 B01D29/52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in parallel conn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5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 B01D29/56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in series connection
    • B01D29/58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in series connection arranged concentrically or coaxially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29Filter cartridge constru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6Cartridg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ataly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수 및 폐수를 정수하도록 정수장치에 내장되는 필터를 간편하게 교환 할 수 있는 오폐수 정수장치용 필터 카트리지에 관한 것으로서, 그 특징적인 구성은 소정의 크기를 갖으며, 중앙에는 촉매가 충입되는 수용홈(10a)이 관통되게 형성된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상부 외측 둘레면에 외향 돌출되게 형성된 상부 지지링(11)과, 상기 상부 지지링(11)의 내측 둘레면에 형성된 결합홈(12)과, 상기 몸체(10)의 하부 외측 둘레면에 외향 돌출되게 형성된 하부 지지링(13)과, 상기 하부 지지링(13)의 저면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부 지지링(11)에 형성된 결합홈(12)에 끼워지는 결합돌기(14)와, 상기 수용홈(10a)에 충입된 촉매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수용홈(10a)의 상/하부에 설치되고 무수히 많은 통공(15a)이 형성된 커버(15)가 포함된 것이다.
오수, 폐수, 정수, 필터, 촉매, 카트리지

Description

오폐수 정수장치용 필터 카트리지{filter cartridge for dirty water and waste water clean water apparatus}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카트리지를 나타낸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카트리지를 나타낸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카트리지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카트리지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카트리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몸체 10a : 수용홈
11 : 상부 지지링 12 : 결합홈
12a : 연장홈 13 : 하부 지지링
14 : 결합돌기 15 : 커버
15a : 통공
본 발명은 오폐수 정수장치용 필터 카트리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 게는 오수 및 폐수를 정수하도록 정수장치에 내장되는 필터를 간편하게 교환 할 수 있는 오폐수 정수장치용 필터 카트리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간이 활동(각종 제품의 생산 및 생활)하는 주변에는 오수 및 폐수가 발생하고 있으며, 대기의 오염으로 인하여 빗물에도 많은 오염 물질이 포함되어 있다.
특히 도시지역, 공업지역, 도로, 농경지, 공사장 등 넓은 토지 표층에 산재하고 있는 오염물질을 비점오염물질이라고 한다.
이 비점오염물질은 인간의 생활, 산업활동, 교통이용, 각종 개발사업, 강하분진 등에 의해 발생한 것이다.
유역에 내린 강우는 토양에 침투되며 토양이 포화되면 유출이 일어나고, 지표면에 분포하고 있는 오염물질은 이때 빗물과 함께 유출하게 되는데, 유출이 일어나면 오염물질이 수로나 하천으로 유입하며 강우가 지속되어 유출량이 늘어나면 토사 등과 함께 유출하며 이들은 유속에 따라서 침전되기도 하고 부상하여 재유출하기도 한다.
비점오염물질이 포함된 초기 강우 유출수의 수질은 유역의 토지이용상태, 토지, 지형 등 유역 특성과 강우량 지속시간, 재현 빈도 등 강우 패턴에 따라서 달라지게 된다.
특히 도시지역, 공업지역, 시가화지역 등 인간이 고밀도로 활동하는 지역은 다양한 종류의 오염물질이 지표면에 쌓여서 이들 지역의 초기 강우 유출수에는 부유물질, 유기물질, 영양염류, 중금속, 기름 등의 오염물질이 많이 포함되어서 높은 오염도를 보이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농촌지역, 공사장, 공원, 나대지 등은 대부분 비포장지대로서 오염물질이 토지 표면 및 그 하부 층에도 분포하고 있으며 강우시 오염물질이 토사와 함께 유출하게 되며 이들 지역의 초기 강우 유출수에는 많은 토사류와 유기물, 질소, 인 등이 포함되어 있다.
특히 인은 보존성 물질로서 토양에 흡착되어 있거나 입자상으로 존재하다가 강우시 토사와 함께 수역으로 유입하게 되어 정체수역에서 부영양화를 일으키게 된다.
종래의 초기 강우 유출을 포함한 빗물 정화방법은 각 나라의 사정에 따라서 다양한 방법이 적용되고 있다.
특히 선진외국의 경우를 보면 빗물저류지 설치, 습지설치, 토양에의 침투, 우수관로 시설에서의 여과 등 다양한 방법들이 적용되고 있는데 이들 방법중 저류지 설치에 관한 방법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저류지에 유입된 빗물은 일정시간 체류하면서 입자상 물질이 침전하게 된다.
현재 국내외에 설치된 빗물저류지는 홍수예방을 주목적으로 하천변이나 유수지 등 저지대에 설치된 시설로서 홍수시 빗물의 저류를 위하여 저류조를 완전히 비워두는 것과 일정 수위만 비워두는 것이 있다.
그러나 이들 시설은 초기 강우 유출수만을 분리하여 저장하는 시설이 아니고 유역에서 발생하는 유출수가 전부 유입하는 구조로서 저류지의 저장 용량만큼 빗물을 저장할 수 있으나 여수로(spill way)가 설치되어 있어서 저장량 이상의 유입량 은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유입량이 많으면 저류지내는 난류상태가 되어서 수중의 미세한 입자상 물질이 침전이 되지 않고 부유상태에서 이 여수로를 통하여 월류하여 외부로 유출하므로 침전에 의한 수질정화 효과가 적어지게 된다.
더욱이 첨두유량시에는 체류시간이 짧아지고 소류력이 커져서 침전되어 있던 입자들도 부상하여 유출하기도 하며 저류시설의 안전성이 염려되기도 한다.
또한 이 저류지는 강우시에는 많은 유량과 함께 많은 토사가 유입되어 모래 등이 쌓여서 바닥이 높아져 많은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이와 같이 현재의 빗물저류지는 홍수예방 목적으로 설치되어 홍수조절 효과는 있으나 수질정화효과는 기대할 수 없는 결점이 있다.
최근에는 오수 및 폐수를 정화할 수 있는 필터가 내장된 정화장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정화장치에는 소정의 크기를 갖는 함체 내부에 촉매 충진되어 있다.
한편, 상기 함체의 내부가 한 개의 공간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수질의 오염도 및 오염 물질을 정화할 수 있도록 입자상태로 이루어진 여러 종류의 촉매(모래, 자갈, 질석, 활성탄, 안트라사이트, 제오라이트, 이온교환수지, 경량기포콘크리트, 발포우레탄 등)가 함체 내부에 적층되어 있는 것으므로, 장기간 사용하여 촉매의 정화능력이 저하된 경우에는 함체에 충진된 모든 촉매를 교환하고 있다.
그런 함체에 충진된 촉매는 그 종류에 따라서 사용기간이 서로 다른 물질이 지만, 사용기간이 초과된 촉매를 교체하기 위해서 모든 촉매를 교체하여야 하므로 비용의 증가는 물론, 폐기물의 발생으로 환경이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각종 오수 및 폐수를 정화하는 정화장치 내부에 설치되는 다양한 종류의 촉매를 각각 카트리지에 충입하고 그 카트리지를 다단으로 적층하여 각 촉매의 사용 기간에 따라서 간편하게 교환 및 제거할 수 있는 오폐수 정수장치용 필터 카트리지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오폐수 정수장치용 필터 카트리지는 소정의 크기를 갖으며, 중앙에는 촉매가 충입되는 수용홈이 관통되게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 외측 둘레면에 외향 돌출되게 형성된 상부 지지링과, 상기 상부 지지링의 내측 둘레면에 형성된 결합홈과, 상기 몸체의 하부 외측 둘레면에 외향 돌출되게 형성된 하부 지지링과, 상기 하부 지지링의 저면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부 지지링에 형성된 결합홈에 끼워지는 결합돌기와, 상기 수용홈에 충입된 촉매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수용홈의 상/하부에 설치되고 무수히 많은 통공이 형성된 커버가 포함된 것이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카트리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카트리지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카트리지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카트리지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카트리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여기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소정의 크기를 갖는 몸체(10)의 중앙에는 촉매가 충입되는 수용홈(10a)이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몸체(10)의 상부 외측 둘레면에는 상부 지지링(11)이 외향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 지지링(11)의 내측 둘레면에는 결합홈(12)이 형성되어 있되, 그 결합홈(12)의 하단부에는 이후에 설명할 결합돌기(14)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내측 벽면에 연장홈(12a)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몸체(10)의 하부 외측 둘레면에는 하부 지지링(13)의 외향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고, 그 하부 지지링(13)의 저면에는 상부 지지링(11)에 형성된 결합홈(12)에 끼워지는 결합돌기(1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수용홈(10a)의 상하부에는 그 수용홈(10a)에 충입된 촉매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오수 및 폐수가 원활하게 통과될 수 있도록 무수히 많은 통공(15a)이 형성된 커버(15)가 체결부재(16)를 매개로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몸체(10)는 도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형으로 형성하거나, 도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각형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몸체(10)의 저면에 체결부재(16)를 매개로 커버(15)를 고정시킨 후 몸체(10)의 상부로부터 촉매를 충입하는 것이며, 이와 같이 촉매의 충입이 완료된 후 몸체(10)의 상면에 체결부재(16)를 매개로 커버(15)를 고정시키면, 상기 촉매는 몸체(10)에 형성된 수용홈(10a)에서 유출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다양한 종류의 촉매를 각각 수용홈(10a)에 충입하는 것이다.
한편, 각 촉매가 충입된 몸체(10)는 오수 및 폐수의 종류에 따라서 정수장치에 설치된 함체(1)의 내부에 다단으로 적층하는 것이며, 이때에는 최 하단(오수 및 폐수가 유입되는 방향)에 몸체(10)를 안착시키고, 그 상부에 또 다른 몸체(10)를 결합하되, 상부에 결합되는 몸체(10)의 하부에 형성된 결합돌기(14)가 하부에 위치된 결합홈(12)에 끼워지도록 하는 것이며, 이때 상측에 결합된 몸체(10)를 회전시키면 결합돌기(14)는 연장홈(12a)에 끼워지게 되므로 각 몸체(10)가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촉매가 충입된 몸체(10)가 적층된 후 오수 및 폐수가 유입되면 그 오수 및 폐수는 커버(15)에 형성된 통공 및 수용홈(10a)에 충입된 촉매를 통과면서 정화 된 후 배출되는 것이다.
한편, 장기간 사용으로 인하여 촉매를 교환할 경우에는 그 촉매가 충입된 몸체(10)를 분리시킨 후 신품의 촉매가 충입된 몸체(10)를 결합하면 필터의 교환작업이 완료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오수 및 폐수를 정화시키는 정수장치의 촉매를 각각 분리되게 충입하는 한편, 그 촉매가 충입된 몸체를 간편하게 분리시킬 수 있게 되므로 촉매를 교환할 때 발생되는 비용 및 작업시간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불필요한 촉매의 교환이 방지되므로 폐기되는 촉매로 인한 환경오염을 최소화 할 수 있게되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소정의 크기를 갖으며, 중앙에는 촉매가 충입되는 수용홈(10a)이 관통되게 형성된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상부 외측 둘레면에 외향 돌출되게 형성된 상부 지지링(11)과, 상기 상부 지지링(11)의 내측 둘레면에 형성된 결합홈(12)과, 상기 몸체(10)의 하부 외측 둘레면에 외향 돌출되게 형성된 하부 지지링(13)과, 상기 하부 지지링(13)의 저면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부 지지링(11)에 형성된 결합홈(12)에 끼워지는 결합돌기(14)와, 상기 수용홈(10a)에 충입된 촉매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수용홈(10a)의 상/하부에 설치되고 무수히 많은 통공(15a)이 형성된 커버(15)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정수장치용 필터 카트리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는 원형 또는 사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정수장치용 필터 카트리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12)의 하단부에는 결합돌기(14)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내측 벽면에 연장홈(12a)이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정수장치용 필터 카트리지.
KR1020050066072A 2005-07-20 2005-07-20 오폐수 정수장치용 필터 카트리지 KR1007004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6072A KR100700447B1 (ko) 2005-07-20 2005-07-20 오폐수 정수장치용 필터 카트리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6072A KR100700447B1 (ko) 2005-07-20 2005-07-20 오폐수 정수장치용 필터 카트리지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1195U Division KR200398981Y1 (ko) 2005-07-20 2005-07-20 오폐수 정수장치용 필터 카트리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1018A true KR20070011018A (ko) 2007-01-24
KR100700447B1 KR100700447B1 (ko) 2007-04-02

Family

ID=38012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6072A KR100700447B1 (ko) 2005-07-20 2005-07-20 오폐수 정수장치용 필터 카트리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04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8792B1 (ko) * 2010-05-14 2017-02-22 코웨이 주식회사 다단 활성탄 필터 모듈을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기
KR101632734B1 (ko) 2015-11-09 2016-06-23 푸름환경화학(주) 부직포를 이용한 공극제어형 오폐수 여과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48323Y2 (ko) 1974-06-20 1981-11-12
US4419234A (en) 1981-09-24 1983-12-06 Pall Corporation Multiple cartridge filter assembly with removable filter cartridge array
JPS6086412U (ja) 1983-11-22 1985-06-14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フイルタカ−トリツジユニツト
DE3930042A1 (de) 1989-09-08 1991-03-21 Oase Pumpen Teichfilter
FR2740049A1 (fr) * 1995-10-20 1997-04-25 Siebec Sa Cartouche de filtrage a ame tubulaire rigide
EP1266682B1 (de) 2001-06-11 2004-01-28 Filtertek B.V. Kombinationsfilter-Anordn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0447B1 (ko) 2007-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1819B1 (ko)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
KR100991492B1 (ko) 다단처리를 통한 자연형 초기 우수 정화 장치 및 그 정화 방법
WO2001089998A1 (fr) Dispositif de traitement des eaux residuaires des revetements de route et ensemble tubulaire de traitement des eaux
KR100987316B1 (ko) 유수분리 및 상향여과 복합방식의 비점 오염물질 처리장치 및 정화 방법
KR100905693B1 (ko) 초기 우수 처리 장치
KR101614687B1 (ko) 우수 정화처리장치에 설치되는 더블유형 스크린장치
JP3148921U (ja) 雨水濾過器
KR101226206B1 (ko) 6방향 여과기를 이용한 수질정화장치 및 정화방법
KR100570957B1 (ko) 도로 배수 시설의 오염물질 처리 장치
KR100848011B1 (ko) 상향류형 여과조를 이용한 우수 내 오염물질 제거장치
KR100913315B1 (ko) 비점오염 저감장치
KR101578551B1 (ko) 우수 오염 방지와 건강한 도시환경 조성을 위한 식생체류지
KR101113989B1 (ko) 모듈식 측면여과형 비점오염저감장치
KR100951098B1 (ko) 카트리지필터를 이용한 비점 오염원 여과처리장치
KR101547484B1 (ko) 스월 장치와 여재를 이용한 비점오염원 처리장치
KR101244122B1 (ko) 부유식 디캔터를 이용한 정체수 배출 및 자동역세가 가능한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1842653B1 (ko) 유수통공이 형성된 여과카트리지 및 이를 이용한 비점오염 처리시설
KR100904081B1 (ko) 바이패스 수로가 부설된 비점오염물질 저감을 위한 여과형 수로
KR200398981Y1 (ko) 오폐수 정수장치용 필터 카트리지
JP2006316529A (ja) 非点汚染源除去装置
KR100437075B1 (ko) 저류지를 이용한 빗물 정화방법 및 장치
KR100814790B1 (ko) 비점오염물질 저감을 위한 여과형 수로
KR100700447B1 (ko) 오폐수 정수장치용 필터 카트리지
KR20050117479A (ko) 매립시설 침출수 정화장치 및 방법
KR100978075B1 (ko) 초기우수 처리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