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11004A -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안테나 공유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안테나 공유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1004A
KR20070011004A KR1020050066051A KR20050066051A KR20070011004A KR 20070011004 A KR20070011004 A KR 20070011004A KR 1020050066051 A KR1020050066051 A KR 1020050066051A KR 20050066051 A KR20050066051 A KR 20050066051A KR 20070011004 A KR20070011004 A KR 200700110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signal
1xevdo
antenna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60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주승
이진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660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11004A/ko
Publication of KR200700110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10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707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direct sequence modulation
    • H04B1/7097Interference-related aspects
    • H04B1/711Interference-related aspects the interference being multi-path interference
    • H04B1/7115Constructive combining of multi-path signals, i.e. RAKE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02Resource partitioning among network components, e.g. reuse partitioning
    • H04W16/12Fixed resource partitio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안테나 공유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1xEVDO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신규 기지국을 추가로 설치하고자 할 경우, RF 안테나를 별도로 설치하지 않고 기존의 1x 기지국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1xEVDO 기지국의 RF 신호 송수신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기지국, RF 신호, 1xEVDO

Description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안테나 공유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SHARING ANTENNA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도 1은 일반적인 형태의 1x 기지국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안테나 공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안테나 공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안테나 공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안테나 공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안테나 공유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지국들의 안테나 공유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이동통신 시스템(cdma 2000 1x)은 음성 서비스(Voice Service)를 기본으로 하며, 부가적으로 데이터 서비스(Data Service)를 제공하여 왔다. 그런데, 데이터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 요구가 증대되면서 고속의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이 개발되어 고속 데이터 서비스만을 제공하는 1x EVDO 시스템과 음성 서비스 및 다중의 고속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1x EV_DV 시스템이 등장하기에 이르렀다.
이동통신 서비스에 대한 가입자의 요구가 음성에서 고속의 데이터 서비스로 점차 이동됨에 따라,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Operator)는 이를 위해 기존 1x 서비스를 제공하는 cdma 2000 1x 시스템(이하, '1x 기지국'이라 칭함)에 1xEVDO 서비스를 제공하는 1x EV_DO 시스템(이하, '1xEVDO 기지국'이라 칭함)을 신규로 증설하거나, 기존 1x 기지국에서 1xEVDO 서비스의 지원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기지국이 1x 서비스만 지원하는 경우, 1xEVDO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추가로 1xEVDO 기지국을 설치를 해야 된다. 이때, 1xEVDO 기지국을 설치하는 위치는 1x 기지국과 서비스하는 영역(Cell coverage)을 동일하게 유지하기 위해서 1x 기지국에 인접하여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하나의 기지국은 3개의 섹터(Sector)를 가지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각 섹터마다 보통 2 개의 RF 안테나가 설치되어 하나의 섹터를 담당하게 된다. 따라서, 하나의 기지국에는 6 개의 RF 안테나가 필요하다.
만약, 1x 기지국에 1xEVDO 기지국을 추가로 설치할 경우, 하나의 기지국에서 최소 6 개의 RF 안테나가 추가로 설치가 되어야 하기 때문에 1x 기지국의 RF 안테 나 수와 1xEVDO 기지국의 RF 안테나 수와 합하면, 동일 장소에 최소 12개의 RF 안테나가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1xEVDO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1x 기지국에 1xEVDO 기지국을 추가로 설치하는 것은 최소 12개의 RF 안테나가 존재하므로 비용적인 측면이나 설치 공간 측면에서 낭비를 초래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1xEVDO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1xEVDO 기지국에 RF 안테나를 별도로 설치하지 않고 기존의 1x 기지국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1xEVDO 기지국의 RF 신호 송수신을 제공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안테나 공유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1x 기지국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1xEVDO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안테나 공유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1xEVDO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1x 기지국의 안테나를 공유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안테나 공유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안테나 공유 방법은 이동 단말로 음성 서비스와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며, RF 필터가 안테나 경로에 모두 장착되어 있고, FA가 적어서 RF 송신 신호는 하나의 경로만을 이용하고, 다른 경로상의 전송용(Tx) RF 필터는 사용되지 않는 제1 기지국과, 상기 제1 기지국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 단말로 고속의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2 기지국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안테나 공유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지국의 RF 송신 신호를 제2 기지국의 전송용 RF 필터를 통하지 않고, 상기 제1 기지국에서 사용되지 않는 전송용 RF 필터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Tx RF 필터로 송신된 제2 기지국의 RF 송신 신호를 RF 안테나를 통해서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안테나 공유 방법은 이동 단말로 음성 서비스와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며, 송신측 RF 필터를 설치하지 않은 제1 기지국과, 상기 제1 기지국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 단말로 고속의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2 기지국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안테나 공유 방법에 있어서, 수신 전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제1 기지국의 RF 안테나를 제2 기지국으로 이동하여 장착하고, 상기 제2 기지국에 장착된 상기 제1 기지국의 RF 안테나를 통해서 제2 기지국의 RF 신호를 송신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안테나 공유 방법은 이동 단말로 음성 서비스와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며, 서비스하고 있는 FA 수량이 많아서 모든 안테나와 RF 필터를 사용하는 제1 기지국과, 상기 제1 기지국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 단말로 고속의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2 기지국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제1 기지국에서의 안테나 공유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지국에서 송신할 RF 신호를 상기 제1 기지국에서 RF 송신용으로 사용되지 않는 전송용 RF 필터로 전송하기 전에, 상기 제1 기지국의 RF 신호와 합성하는 과정과, 합성된 RF 신호를 제1 기지국의 전송용 RF 필터로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안테나 공유 방법은 이동 단말로 음성 서비스와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며, 서비스하고 있는 FA 수량이 많아서 모든 안테나와 RF 필터를 사용하는 제1 기지국과, 상기 제1 기지국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 단말로 고속의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2 기지국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안테나 공유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지국에서 송신할 RF 신호를 제2 기지국의 안테나를 통해서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제1 기지국의 메인 경로를 통해서 수신된 1x RF/1xEVDO RF호를 제1 기지국의 분배기를 통해서 제2 기지국으로 전달되는 과정과, 상기 제1 기지국의 다이버시티 경로를 통해서 수신된 1x RF/1xEVDO RF 신호를 제1 기지국의 분배기를 통해서 제2 기지국으로 전달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안테나 공유 장치는 이동 단말로 음성 서비스와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며, 서비스하고 있는 FA 수량이 많아서 모든 안테나와 RF 필터를 사용하는 제1 기지국과, 상기 제1 기지국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 단말로 고속의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2 기지국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안테나 공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지국에서 송신할 RF 신호를 상기 제1 기지국에서 RF 송신용으로 사용되지 않는 Tx RF 필터로 전송하기 전에, 상기 제1 기지국의 RF 신호와 합성하는 신호 합성기와, 합성된 신호를 RF 신호를 적절한 주파수에 맞도록 조절하는 Tx RF 필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안테나 공유 방법을 설명하기 이전에 1x 기지국을 설명하기로 한다.
1x 기지국은 크게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는 구성과 RF 신호를 처리하는 구성으로 나뉜다. 상기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는 구성은 본 발명과 무관하므로 도시하지 않았고, RF 신호를 처리하는 구성은 도 1의 (A), (B),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 다른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 중에서 도 1의 (A) 형태의 기지국을 설명하기에 앞서 1x 기지국에 존재하는 2 개의 RF 안테나 중 하나의 RF 안테나를 통해 송수신하는 경로를 'A 경로(103)'라 하고, 나머지 하나의 RF 안테나를 통해 송수신하는 경로를 'B 경로(107)'라 정의한다.
도 1의 (A) 형태의 1x 기지국은 A 경로(103)를 통해 RF 신호를 송신할 경우, 트랜시버(transceiver)(100)에서 채널카드(도면에 도시하지 않음)로부터 디지털 (digital) 신호를 수신하여 캐리어 주파수(carrier frequency) 즉, RF 신호로 상향 변환시킨다.
트랜시버(100)에서 출력된 캐리어 주파수는 전력 증폭부(Power Amplifier Unit, 이하, 'PAU'라 칭함)(101)로 입력된다. 상기 전력 증폭부(101)는 트랜시버로부터 전달된 RF 신호를 RF 안테나를 통해서 방출될 수 있도록 RF 신호를 증폭시켜 출력한다. 이때, RF 주파수는 대역에 따라 FA(Frequency Assignment)라고 하는 단위로 구분되며, 통상적으로 1 FA는 1.25MHz 대역을 점유한다. PAU(101)는 몇 개의 FA를 동시에 신호 증폭할 수 있느냐에 따라 두 가지로 구분 할 수 있다. 즉, 하나의 FA만 증폭할 수 있는 HPA(High Power Amplifier)와 두 개 이상의 FA를 동시에 증폭할 수 있는 LPA(Linear Power Amplifier)로 구분된다. 상기 PAU(101, 112)는 하나의 FA만 증폭할 수 있는 HPA(High Power Amplifier)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PAU(101)에서 증폭되어 출력된 RF 신호는 Tx RF 필터(102)로 입력된다. 상기 Tx RF 필터(102)는 상기 PAU(101)에서 증폭되어 전달되는 RF 신호를 사업자의 주파수 대역에 맞도록 최적화시킨 후, RF 안테나, 즉 A 경로(103)를 통해 송신한다. 이때 RF 안테나 즉, A 경로(103)는 상기 Tx RF 필터(102)와 Rx RF 필터(104)와 연결되며, 기지국의 RF 신호를 송수신한다.
한편, A 경로(103)를 통해서 RF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A 경로(103)를 통해서 수신된 RF 신호는 Rx RF 필터(104)를 통해서 LNA(105)로 입력된다. 여기서, Rx RF 필터(104)는 수신용 RF 필터로서, A 경로(103)를 통해서 수신된 RF 신호 중에 사업자의 주파수 대역에 해당되는 부분만을 검출하고, 상기 LNA(105)는 상기 Rx RF 필터(104)로부터 수신된 RF 신호의 세기가 너무 작기 때문에 이를 트랜시버(100)에서 처리할 수 있도록 RF 신호 세기를 증폭한다.
상기 LNA(105)에서 증폭되어 출력된 RF 신호는 분배기(Divider)(106)로 입력된다. 상기 분배기(106)는 상기 LNA(105)에서 증폭된 RF 신호를 여러 개의 트랜시버(100)에 나누어 전달 할 수 있도록 분기한다. 분기된 RF 신호는 트랜시버(100)에 입력된다. 상기 트랜시버(100)에서는 디지털 신호로 하향 변환한다.
한편, 도 1의 (A) 기지국에서 B 경로(107)를 통해 RF 신호를 송수신하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우선, B 경로(107)를 통해서 RF 신호를 송신할 수 없다. Tx RF 필터(109)가 존재하지만, RF 신호를 송신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되지 않는다.
반면에, B 경로(107)를 통해 RF 신호를 수신할 수는 있다. B 경로(107)를 통해 RF 신호를 수신할 경우는, 상기 A 경로(103)를 통해서 RF를 수신할 경우와 동작이 동일하다.
B 경로(107)를 통해서 수신된 RF 신호는 Rx RF 필터(108)를 통해서 LNA(110)로 입력된다. 여기서, Rx RF 필터(108)는 수신용 RF 필터로서, B 경로(107)를 통해서 수신된 RF 신호 중에 사업자의 주파수 대역에 해당되는 부분만을 검출하고, 상기 LNA(110)는 상기 Rx RF 필터(108)로부터 수신된 RF 신호의 세기가 너무 작기 때문에 이를 트랜시버(100)에서 처리할 수 있도록 RF 신호 세기를 증폭한다.
상기 LNA(110)에서 증폭되어 출력된 RF 신호는 분배기(Divider)(111)로 입력된다. 상기 분배기(111)는 상기 LNA(110)에서 증폭된 RF 신호를 여러 개의 트랜시 버(100)에 나누어 전달 할 수 있도록 분기한다. 분기된 RF 신호는 트랜시버(100)에 입력된다. 상기 트랜시버(100)에서는 디지털 신호로 하향 변환한다.
한편, 도 1의 (B) 기지국은, 도 1의 (A) 기지국과 유사하나, 차이점은 사용하지 않는 B 경로(107)상의 Tx RF 필터(109)를 가격 절감을 위해서 설치하지 않는 점이다.
또한, 도 1의 (C) 기지국은 도 1의 (A) 기지국과 유사하나, 차이점은 사업자가 서비스하고 있는 FA의 수량이 많아서 A 경로(115)와 B 경로(114)상의 RF 필터(113, 114, 116, 117)와 RF 안테나를 모두 사용한다는 점이다. 즉, 도 1의 (A)에서는 B 경로(107)에서 Tx RF 필터(109)가 존재하지만 사용하지 않았으나, 도 1의 (C)에서는 Tx RF 필터(113)를 사용한다. 다시 말해서, PAU(112)에서 증폭된 RF 신호는 Tx RF 필터(113)에서 수신하여 사업자의 서비스 주파수 대역에 맞도록 최적화시킨 후 B 경로(114)를 통해서 송신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1x 기지국의 형태에 따라 각각 하기에서 설명할 본 발명의 실시 예와 같은 방식으로 1x EVDO 기지국과 안테나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안테나 공유 방법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도 1의 (A) 형태의 1x 기지국(150)과 1xEVDO 기지국(250) 의 안테나를 공유하는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 2의 1x 기지국(150)에서 B 경로(107)를 통해서 송신되는 RF 신호가 없다. 이 점을 이용하여 1xEVDO 기지국(250)에서 송신할 RF 신호를 도 2의 1x 기지국 (150)을 통해서 송신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1xEVDO 기지국(250)의 PAU(201)의 출력을 1x 기지국(150)의 Tx RF 필터(109)로 입력한다. Tx RF 필터(109)는 입력된 RF 신호를 B 경로(107)를 통해서 송신한다. 따라서, 1xEVDO 시스템(250)의 RF 신호가 송신된다.
한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고속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페이딩(fading)을 잘 극복해야 한다. 페이딩은 수신 신호의 진폭을 수 dB에서 수십 dB까지 감소시킨다. 페이딩을 잘 극복하기 위해서 여러 가지 다이버시티 기술이 사용된다. 따라서, 1x 기지국(150)의 RF 수신 경로는 메인(Main) 경로와 다이버시티(Diversity) 경로로 구분된다.
상기 메인 경로로부터 수신된 1x/1x-EVDO RF 신호를 1X 기지국(150)의 분배기(106)에서 분기하여 1xEVDO 기지국(250)으로 전달하고, 다이버시티 경로를 통해 수신된 1x/1x-EVDO RF 신호를 1X 기지국(150)의 분배기(111)에서 분기하여 1xEVDO 기지국(250)으로 전달한다. 1X 기지국(150)의 분배기(106)에서 분기된 RF 신호는 1xEVDO 기지국(250)의 LNA(205)로 입력된다. 반면에, 1X 기지국(150)의 분배기(111)에서 분기된 RF 신호는 1xEVDO 기지국(250)의 LNA(210)로 입력된다. 도 2의 1xEVDO 기지국(250)에서의 Tx RF 필터(202, 209), Rx RF 필터(204, 208)는 기지국 내에 존재하나, 제1 실시 예에서는 사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도 1의 (A) 형태의 1x 기지국(150)과 1xEVDO 기지국(250)의 안테나를 공유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안테나 공유 방법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도 1의 (B)형태의 1x 기지국(150)과 1xEVDO 기지국(250)의 안테나를 공유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1의 (B)형태의 1x 기지국(150)은 RF 송신시, RF 안테나 A 경로(103)만을 사용하고, B 경로(107)상에 있는 Tx RF 필터(109)를 가격절감 차원에서 설치하지 않는다. 이러한 특징을 이용하여 수신 전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1x 기지국 B 경로(107)의 RF 안테나를 1xEVDO 기지국(250)의 A 경로(212)의 RF 안테나가 설치되는 위치로 이동하여 1xEVDO 기지국(250)의 RF 송수신용으로 사용한다. 이러한 RF 안테나 배치를 통해 1xEVDO 기지국(250)에서 PAU(201)의 출력은 Tx RF 필터(202)와 1xEVDO 기지국(250)으로 이동한 안테나(A 경로)(212)를 통해서 송신된다.
또한, 1x 기지국(150)과 1xEVDO 기지국(250)의 RF 수신 시, RF 수신 경로는 RF 수신 신호를 상호 공유하여 수신 다이버시티를 제공하기 위해서 메인(Main) 경로와 다이버시티(Diversity) 경로로 구분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안테나 배치, 메인 경로를 통해 수신된 1xEVDO RF 신호는 Rx RF 필터(204)를 통해서 LNA(205)로 입력된다. 상기 LNA(205)의 출력을 자신의 분배기(206)를 통해 트랜서버(100)로 입력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안테나 배치, 다이버시티 경로를 통해 수신된 1x RF 신호는 Rx RF 필터(204)를 통해서 LNA(205)로 입력된다. 상기 LNA(205)의 출력을 자신의 분배기(206)를 통해 1x 기지국(150)의 LNA(110)로 입력되도록 한다. 이 신호는 1x 기지국(150)의 RF 수신 신호가 되는 것이다.
한편, 1x 기지국(150)으로 수신되는 RF 신호의 경우, 1x 기지국(150)은 자신 의 RF 안테나 메인 경로를 통해 1x RF 신호를 수신한다. 메인 경로를 통해 1x 기지국(150)에 수신된 1x RF 신호는 Rx RF 필터(104)를 통해서 LNA(105)로 전송된다. 상기 LNA(105)의 출력을 분배기(106)를 통해 트랜시버(106)로 입력된다. 그러나, 1x 기지국(150)의 다이버시티 경로를 통해서 1xEVDO RF 신호를 수신할 경우, 다이버시티 경로를 통해 1x 기지국(150)에 수신된 1xEVDO RF 신호는 Rx RF 필터(104)를 통해서 LNA(105)로 전송된다. 상기 LNA(105)의 출력을 분배기(106)를 통해 1xEVDO 기지국(250)의 LNA(210)로 입력되도록 한다.
결국, 1x 기지국(150)과 1xEVDO 기지국(250)의 LNA 출력을 자신의 다이버시티 경로를 통해서 상대방 기지국의 LNA로 입력하는 것이다.
따라서, 도 1의 (B)형태의 1x 기지국(150)과 1xEVDO 기지국(250)의 안테나를 공유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안테나 공유 방법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도 1의 (C) 형태의 기지국(1x 기지국)(150)과 1xEVDO 기지국(250)의 안테나를 공유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1x 기지국(150)에서 A 경로(103)를 통해서 송신하는 신호는 1x RF 신호이고, 1x 기지국(150)에서 메인 경로를 통해서 수신하는 신호는 1x RF 신호와 1x EVDO RF 신호이다.
또한, 1x 기지국(150)에서 B 경로(107)를 통해서 송신하는 신호는 1x RF 신호와 1xEVDO RF 신호이고, 1x 기지국(150)에서 다이버시티 경로를 통해서 수신하는 신호는 1x RF 신호와 1x EVDO RF 신호이다.
1x 기지국(150)에서 RF 송신시, RF 안테나 A 경로(103)와 B 경로(107)를 모두 사용한다. 또한, 1x 기지국(150)의 B 경로(107)상에 있는 Tx RF 필터(109)를 1xEVDO 기지국(250)의 RF 송신 용도로 공용화한다. 이를 위해 1xEVDO 기지국(250)의 PAU(201)의 출력을 1x 기지국(150)의 Tx RF 필터(109)로 입력한다. 1xEVDO 기지국(250)의 PAU(201)의 출력이 1x 기지국(150)의 TX RF 필터(109)로 입력되기 전에, 1x 기지국(150)의 PAU(112)의 출력과 합성이 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수행해 주는 것이 신호합성기(Combiner)(400)이다. 상기 신호합성기(400)에서 합성된 RF 신호는 1x 기지국(150)의 TX RF 필터(109), B 경로(107)를 통해서 송신된다. 따라서, 1x 기지국(150)의 B 경로를 통해서 1x EVDO RF 신호를 송신된다.
1x 기지국(150)은 메인 경로를 통해서 1x/1x-EVDO RF 신호를 수신하면 분배기(106)에서 분기하여 1xEVDO 기지국(250)으로 공급해 준다. 이를 위해서 1x 기지국의 분배기(106)에서 분기된 1x/1x-EVDO RF 신호(메인 신호)는 1xEVDO 기지국(250)의 LNA(205)로 입력된다.
또한, 1x 기지국(150)은 다이버시티 경로를 통해서 1x/1x-EVDO RF 신호를 수신하면 분배기(111)에서 분기하여 1xEVDO 기지국(250)으로 공급해 준다. 이를 위해서 1x 기지국의 분배기(111)에서 분기된 1x/1x-EVDO RF 신호는 1xEVDO 기지국(250)의 LNA(210)로 입력된다. 따라서, 1xEVDO 기지국(250)은 1x 기지국(150)의 RF 안테나를 통해서 RF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안테나 공유 방법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도 1의 (C) 형태의 1x 기지국(150)과 1xEVDO 기지국(250)의 안테나를 공유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5는 1x 기지국(150)의 PAU(112)의 출력과 1xEVDO 기지국(250)의 PAU(201) 출력을 합성하기 어려운 경우, 1xEVDO 기지국(250)에 RF 송신 전용 안테나(500)를 추가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1x 기지국(150)의 A 경로(103)를 통해서 송신하는 신호는 1x RF 신호이고, 1x 기지국(150)의 메인 경로를 통해서 수신하는 신호는 1x RF 신호와 1x EVDO RF 신호이다.
또한, 1x 기지국(150)의 B 경로(107)를 통해서 송신하는 신호는 1x RF 신호이고, 1x 기지국(150)의 다이버시티 경로를 통해서 수신하는 신호는 1x RF 신호와 1x EVDO RF 신호이다.
따라서, 1x 기지국(150)의 RF 송신은 RF 안테나 A 경로와 B 경로를 모두 사용함을 알 수 있다.
1xEVDO 기지국(250)의 RF 송신을 위해 별도로 RF 안테나(500)를 추가한다. 1x 기지국(150)의 메인 경로로 1x/1xEVDO RF 신호를 수신한다. 수신된 1x RF/1xEVDO RF 신호는 분배기(106)에서 분기하여 1xEVDO 기지국(250)의 LNA(205)로 입력된다. LNA(205)에 입력된 RF 신호가 1xEVDO 기지국(250)의 A 경로 상의 RF 수신 신호가 된다.
반면에, 1x 기지국(150)의 다이버시티 경로로 수신된 1x RF/1xEVDO RF 신호는 분배기(111)에서 분기하여 1xEVDO 기지국(250)의 LNA(210)로 입력된다. LNA(210)에 입력된 RF 신호가 1xEVDO 기지국(250)의 B 경로 상의 RF 수신 신호가 된다.
도 5에서는 1x EVDO 기지국에서의 A 경로와 연결된 Rx RF 필터(205), B 경로와 연결된 Tx RF 필터(209), Rx RF 필터(208)는 존재하지만 사용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발명청구의 범위뿐 만 아니라 이 발명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CDMA 시스템의 실시 예만을 이용하여 설명하였으나 UMTS시스템 또는 OFDM을 사용하는 시스템등 다른 시스템에도 적용 가능함은 자명한 사실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동작하는 본 발명에 있어서, 개시되는 발명 중 대표적인 것에 의하여 얻어지는 효과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1xEVDO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신규 기지국을 추가로 설치하고자 할 경우, RF 안테나를 별도로 설치하지 않고 기존의 1x 기지국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1xEVDO 기지국의 RF 신호 송수신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1x 기지국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1xEVDO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1xEVDO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1x 기지국의 안테나를 공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1xEVDO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1xEVDO 기지국에 안테나를 설치를 줄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1)

  1. 이동 단말로 음성 서비스와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며, RF 필터가 안테나 경로에 모두 장착되어 있고, FA가 적어서 RF 송신 신호는 하나의 경로만을 이용하고, 다른 경로상의 전송용(Tx) RF 필터는 사용되지 않는 제1 기지국과, 상기 제1 기지국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 단말로 고속의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2 기지국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안테나 공유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지국의 RF 송신 신호를 제2 기지국의 전송용 RF 필터를 통하지 않고, 상기 제1 기지국에서 사용되지 않는 전송용 RF 필터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제1 기지국의 Tx RF 필터로 송신된 제2 기지국의 RF 송신 신호를 RF 안테나를 통해서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지국의 메인 경로를 통해서 수신된 1x RF/1xEVDO RF 신호를 제1 기지국의 분배기에서 분기하는 과정과,
    상기 제1 기지국의 분배기를 통해서 분기된 1x RF/1xEVDO RF 신호를 제2 기지국으로 전달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지국의 다이버시티 경로를 통해서 수신된 1x RF/1xEVDO RF 신호를 제1 기지국의 분배기를 통해서 분기하는 과정과,
    상기 분배기를 통해서 분기된 1x RF/1xEVDO RF를 제2 기지국으로 전달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4. 이동 단말로 음성 서비스와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며, 송신측 RF 필터를 설치하지 않은 제1 기지국과, 상기 제1 기지국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 단말로 고속의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2 기지국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안테나 공유 방법에 있어서,
    수신 전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제1 기지국의 RF 안테나를 제2 기지국으로 이동하여 장착하고, 상기 제2 기지국에 장착된 상기 제1 기지국의 RF 안테나를 통해서 제2 기지국의 RF 신호를 송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지국의 메인 경로를 통해서 1x RF 신호를 수신하고, 다이버시티 경로를 통해서 1xEVDO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다이버시티 경로를 통해서 수신한 1xEVDO 신호를 제1 기지국의 분배기 를 통하여 상기 제2 기지국으로 전달함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지국의 메인 경로를 통해서 1xEVDO RF신호를 수신하고, 다이버시티 경로를 통해서 1xRF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다이버시티 경로를 통해서 수신한 1xRF 신호를 제2 기지국의 분배기를 통하여 상기 제1 기지국으로 전달함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7. 이동 단말로 음성 서비스와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며, 서비스하고 있는 FA 수량이 많아서 모든 안테나와 RF 필터를 사용하는 제1 기지국과, 상기 제1 기지국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 단말로 고속의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2 기지국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제1 기지국에서의 안테나 공유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지국에서 송신할 RF 신호를 상기 제1 기지국에서 RF 송신용으로 사용되지 않는 전송용 RF 필터로 전송하기 전에, 상기 제1 기지국의 RF 신호와 합성하는 과정과,
    합성된 RF 신호를 제1 기지국의 전송용 RF 필터로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지국의 메인 경로를 통해서 수신된 1x/1xEVDO RF 신호가 제1 기지국의 분배기를 통해서 제2 기지국으로 전달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지국의 다이버시티 경로를 통해서 수신된 1x/1xEVDO RF 신호가 제1 기지국의 분배기를 통해서 제2 기지국으로 전달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0. 이동 단말로 음성 서비스와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며, 서비스하고 있는 FA 수량이 많아서 모든 안테나와 RF 필터를 사용하는 제1 기지국과, 상기 제1 기지국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 단말로 고속의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2 기지국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제2 기지국에서의 안테나 공유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지국에서 송신할 RF 신호를 제2 기지국의 안테나를 통해서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제1 기지국의 메인 경로를 통해서 수신된 1x RF/1xEVDO RF신호를 제1 기지국의 분배기를 통해서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제1 기지국의 다이버시티 경로를 통해서 수신된 1x/1xEVDO RF 신호를 제1 기지국의 분배기를 통해서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1. 이동 단말로 음성 서비스와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며, 서비스하고 있는 FA 수량이 많아서 모든 안테나와 RF 필터를 사용하는 제1 기지국과, 상기 제1 기지국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 단말로 고속의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2 기지국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제1 기지국에서의 안테나 공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지국에서 송신할 RF 신호를 상기 제1 기지국에서 RF 송신용으로 사용되지 않는 Tx RF 필터로 전송하기 전에, 상기 제1 기지국의 RF 신호와 합성하는 신호 합성기와,
    합성된 신호를 RF 신호를 적절한 주파수에 맞도록 조절하는 Tx RF 필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KR1020050066051A 2005-07-20 2005-07-20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안테나 공유 장치 및 방법 KR200700110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6051A KR20070011004A (ko) 2005-07-20 2005-07-20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안테나 공유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6051A KR20070011004A (ko) 2005-07-20 2005-07-20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안테나 공유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1004A true KR20070011004A (ko) 2007-01-24

Family

ID=38012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6051A KR20070011004A (ko) 2005-07-20 2005-07-20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안테나 공유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1100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370828A1 (en) * 2013-06-14 2014-12-18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Apparatus and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 for sharing wireless lan antenna
US10547290B2 (en) 2017-09-13 2020-01-28 Apple Inc. Multi-radio front-end circuitry for radio frequency imbalanced antenna sharing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370828A1 (en) * 2013-06-14 2014-12-18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Apparatus and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 for sharing wireless lan antenna
US10547290B2 (en) 2017-09-13 2020-01-28 Apple Inc. Multi-radio front-end circuitry for radio frequency imbalanced antenna sharing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32095B2 (en) Distributed antenna system for MIMO technologies
US5457734A (en) Multi-band cellular radiotelephone system architecture
US8565701B2 (en) Multi-band and multi-mode antenna system and method
US7120465B2 (en) Transceiver system including multiple radio base stations that share an antenna
JP4491654B2 (ja) アンテナダイバシティ装置とその方法
JP2012130021A (ja) マルチセクタオムニ基地局におけるコンバイナ損失を低減するための方法と装置
AU2010249770A1 (en) Method of inserting CDMA beacon pilots in output of distributed remote antenna nodes
JP2001501793A (ja) 多重信号送信システムにおける相互変調効果を緩和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20120149317A1 (en) Communication Signal Transmission Method, Device and System
CN103348600A (zh) 在两个相邻频带中工作的同时接入的双频带终端
US20020123306A1 (en) Channelized booster amplifier for cellular communications
CN101772896B (zh) 无线基站装置
US20180083673A1 (en) Distributed antenna system for mimo technologies
US6987990B2 (en) Cellular base station augmentation system and method
US20220271908A1 (en) Tdd (time division duplex) radio configuration for reduction in transmit and receive path resources
KR20080046423A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안테나 공유를 위한 장치
EP1243147B1 (en) Base station with a first and a second base unit
KR20070011004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안테나 공유 장치 및 방법
RU2543515C2 (ru) Способ, устройство и система передачи сигнала связи
JP4865870B2 (ja) アンテナシステムにおける受信信号を導く装置及び方法
KR20100007472A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다중 밴드 컴바이너
KR20010060268A (ko) 전자기 신호용 송신/수신 장치, 송신/수신 셀, 송신/수신국 및 주파수 호핑 방법
CN110800160A (zh) 天线系统、基站以及通信系统
US20220271907A1 (en) Multiband fdd (frequency division duplex) radio configuration for reduction in transmit and receive path resources
WO2024016125A1 (zh) 一种射频隔离模块及通信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