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10762A - 재생음의 화음 이미지 출력장치와 그 방법 및 그 기능을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재생음의 화음 이미지 출력장치와 그 방법 및 그 기능을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0762A
KR20070010762A KR1020050065622A KR20050065622A KR20070010762A KR 20070010762 A KR20070010762 A KR 20070010762A KR 1020050065622 A KR1020050065622 A KR 1020050065622A KR 20050065622 A KR20050065622 A KR 20050065622A KR 20070010762 A KR20070010762 A KR 200700107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ord
sound source
image
unit
sourc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56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장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656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10762A/ko
Priority to CNA2006100912008A priority patent/CN1901086A/zh
Publication of KR200700107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07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4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playing music 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01Circuits for selecting or indicating operating m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image or video messaging

Abstract

본원 발명은 음원재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재생되는 음원의 화음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재생음의 화음 이미지 출력 장치와 그 방법 및 그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본원발명은, 음원데이터와 화음 대응 이미지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음원데이터를 재생하여 오디오신호를 출력하고 재생되는 오디오신호의 화음을 추출하여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음원재생부와; 상기 저장부의 음원데이터를 읽어들인 후 상기 음원재생부로 출력하고, 상기 음원재생부로부터 입력되는 재생음의 화음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추출한 후 표시부로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화음 이미지를 출력하는 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MP3, MIDI, 음원데이터, DSP, 화음, 화음 이미지

Description

재생음의 화음 이미지 출력장치와 그 방법 및 그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Chord image display apparatus, the method thereof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said function}
도 1은 본원 발명에 따르는 재생음의 화음 이미지 출력장치의 블록 구성도이고,
도 2는 본원 발명에 따르는 재생음의 화음 이미지 출력방법의 처리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며,
도 3은 화음에 대한 화음 이미지 설정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원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재생음의 화음 이미지 출력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며,
도 5는 상기 도 4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재생음의 화음 이미지 출력을 위한 동작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 화음 이미지 출력장치 11: 제어부
12, : 음원재생부 13: 저장부
14: 표시부 15: 오디오출력부
100: 이동통신 단말기
110: 엠에스엠(MSM) 12O: 음원처리부(MP3 codec 또는 MID chip)
130: 메모리부 140: LCD부
150: 오디오처리부 160: 카메라부
170: 키패드부
본원 발명은 음원재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재생되는 음원의 화음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재생음의 화음 이미지 출력 장치와 그 방법 및 그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현재의 오디오장치 기술은 레코드판, 광디스크, 카세트 테이프 등의 기록 매체에 의하지 않고, 오디오 음원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 후 이를 메모리소자 등에 저장한 후 디지털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재생하는 MP3칩, MIDI칩 등의 DSP 칩에 의해 재생될 수 있게 되었으며, 이로 인해 오디오 재생 장치가 MP3 등의 형태로 극 소형화를 이루게 되었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경우에도 상술한 MP3 및 MIDI 등의 디지털 음원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는 디지털 신호 처리 프로세서를 장착함으로써 훌륭한 오디오 재생 기능을 가질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MP3 장치나 MP3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디지털 음원데이터를 재생하는 경우 LCD 등의 표시부에는 재생되는 음원데이터의 곡명, 재생 시간 정보 등의 단조로운 정보를 제공하는 것에 그칠 뿐 재생되는 음원 데이터의 화음 정보는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진다.
따라서, 본원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에서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재생되는 음원의 각 마디의 화음을 추출한 후 화음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이미지를 출력하여 줄 수 있도록 하는 재생음의 화음 이미지 출력장치와 그 방법 및 그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원발명의 재생음의 화음 이미지 출력 장치는, 음원데이터와 화음 대응 이미지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음원데이터를 재생하여 오디오신호를 출력하고 재생되는 오디오신호의 화음을 추출하여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음원재생부와; 상기 저장부의 음원데이터를 읽어들인 후 상기 음원재생부로 출력하고, 상기 음원재생부로부터 입력되는 재생음의 화음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추출한 후 표시부로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화음 이미지를 출력하는 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원 발명의 재생음의 화음 이미지 출력 방법은, 사용자 입력 명령에 따라 화음과 화음 이미지를 대응시켜 저장하는 화음 이미지설정과정과; 음원의 재생이 있는 경우 상기 재생음의 화음을 검출하는 화음추출과정과; 상기 화음추출과정에서 추출된 화음에 대응되는 화음 이미지를 검색하여 출력하는 화음 이미지출력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본원 발명에서 상술한 음원은 미디(MIDI) 또는 MP3 등의 디지털 음원 데이터를 말하며, 상기 음원재생부는 MIDI재생기 또는 MP3 등의 디지털 음원 데이터에 대한 신호처리를 수행하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로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화음 이미지 출력 장치 및 방법은 음악재생 기능의 단조로움을 해소할 수 있도록 이동통신 단말기에 적용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원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원 발명에 따르는 재생음의 화음 이미지 출력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의 재생음의 화음 이미지 출력장치(이하 "화음 이미지 출력장치"라 함)는, 화음 이미지 출력 장치(10)를 제어하는 제어부(11)와, 음원 데이터에 대한 재생 및 재생 음원에서 화음을 추출하여 제어부(11)로 출력하는 음원재생부(12)와, 음원데이터 및 화음 대응 이미지를 저장하는 저장부(13)와, 제어부(11)에서 출력되는 화음 이미지를 출력하는 표시부(14)와, 제어부(11) 또는 음원재생부(12)에서 재생된 음원 데이터에 대한 오디오 신호를 소리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오디오출력부(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술한 제어부(11)는 저장부(13)의 음원데이터 및 화음 대응 이미지 데이터의 저장, 변경 갱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저장부(13)는 사용자로 하여금 저장부에 저장되는 데이터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저장데이터 제어 인터페이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상기 제어부(11)는 또한 음원 데이터의 재생을 위해 음원재생부(12)를 구동 한 후 저장부(13)에 저장된 음원데이터를 읽어 들인 후 음원재생부(11)로 출력한다. 그리고 음원재생부(12)로부터 출력되는 재생음원의 마디별 화음 정보를 음원재생부(12)로부터 입력받으면 저장부(13)에 저장된 화음 대응 화음 이미지를 검색한 후 표시부(14)로 출력한다.
상술한 음원재생부(12)는 미디(MIDI) 음원칩, MP3코덱 등으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제어부(11)로부터 입력되는 미디(MIDI), MP3등의 음원 데이터에 대한 디지털 신호처리를 수행하여 전기적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오디오출력부(15)로 출력함과 동시에 재생되는 음원 데이터의 전기적인 오디오 신호로부터 화음 정보를 추출한 후 이를 제어부(11)로 출력한다.
저장부(13)는 화음 이미지 출력장치의 구동을 위한 데이터 및 음원 데이터, 그리고 화음에 대응되는 화음 이미지를 화음과 함께 저장한다. 여기서, 화음 이미지는 화음정보를 나타내는 화음문자코드(C, D, E....)이거나, 사용자가 화음문자코드에 설정한 영상 또는 동영상 이미지, 문자메시지 정보 등일 수 있다.
상술한 표시부(14)는 LCD표시부 등으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제어부(11)에서 출력되는 화음 이미지를 화면상에 출력한다.
오디오출력부(15)는 전기적인 오디오 신호를 물리적인 소리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여기서, 상술한 전기적인 오디오신호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이거나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전기적인 오디신호가 디지털 오디오 신호인 경우에는 오디오출력부(15)가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을 수행한 후 물리적인 소리신호로 출력한다. 이와 달리 음원재생부(12)에서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된 아날로 그 전기신호인 경우에는 아날로그 전기 신호에 따라 물리적인 소리를 출력한다.
도 2는 본원 발명의 재생음의 화음 이미지 출력 방법(이하 "화음 이미지 출력 방법"이라 함)의 처리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원 발명의 재생음의 화음 이미지 출력 방법은 먼저, 사용자가 화음별로 출력되기를 원하는 이미지(Image) 데이터의 선택에 따라 화음과 화음 이미지를 서로 연결하여 저장하는 화음 이미지 설정과정을 수행한다(S1).
다음으로, 제어부(11)의 제어에 따라 구동된 음원재생부(12)가 저장부(13)에 저장된 특정 MIDI 또는 MP3 등의 음원데이터를 재생하며, 이 과정에서 음원재생부(12)는 재생되는 음원데이터의 재생 마디 마다의 화음 정보를 추출한 후 제어부(11)로 출력하는 화음추출과정을 수행한다(S2).
상기 S2과정의 화음추출과정에서 추출된 화음 정보를 수신한 제어부(11)는 저장부(13)에서 수신된 화음에 대응되는 화음 이미지를 검색하여 표시부(14)에 출력하는 화음 이미지출력과정을 수행한다(S3).
상술한 도 1의 구성 및 도 2의 방법을 가지는 본원 발명은 음원의 재생이 있는 경우 재생되는 음원의 화음을 검출한 후, 검출된 화음에 대응하도록 사용자가 설정한 화음 이미지를 검색하여 표시부(14)에 출력함으로써 화음의 변화를 시각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도 3은 화음에 대한 화음 이미지 설정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돌아와요 부산항에"라는 가사를 가지는 음원 데이터의 C, F, F#M, C 등의 화음에서 화음문자코드 C에는 사진 1을, 화음문자코드 F에는 사진 2 등을 지정하는 것을 나 타낸다.
도 4는 본원 발명의 화음 이미지 출력 장치가 적용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상기 도 4의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화음 이미지 출력을 위한 동작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 4의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체 기능을 제어하는 엠에스엠(MSM)(110)과, MP3 디지털 음원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을 수행한 후 전기적인 오디오신호로 재생하며, 재생되는 오디오 신호의 마디별 화음 정보를 검출하여 엠에스엠(110)으로 출력하는 MP3처리부(120)와, 엠에스엠(110)에서 출력되는 화음 이미지를 출력하는 LCD부(140)와, 오디오신호를 소리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오디오처리부(15)와, 외부 영상 촬영을 위한 카메라부(160), 사용자 제어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키패드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에 더하여 종래기술의 이동통신 단말기와 같이 RF안테나부 ,마이크 등을 구비한다.
상술한 엠에스엠(MSM)(110)은 MP3처리부(120), 저장부(130) 및 LCD부(140) 등을 제어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통한 보이스 송수신 서비스 및 문자메시지, 무선인터넷 서비스 등의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리고 메모리부(130)에 저장된 구동 소프트웨어를 구동하여 전화번호부, 스케줄 등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특히, 상술한 엠에스엠(110)은 이동통신 서비스 이외에 사용자가 화음에 이미지 데이터를 연결하여 메모리부(130)에 저장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저장된 화음 이미지에 대한 변경, 갱신 등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화음 이미지 편집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능을 제공한다. 그리고 화음에 대응되는 화음 이미지를 메모리부(130)에서 검색하여 LCD부(140)로 출력한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화음을 출력하고, 화음에 대응시킬 이미지를 메모리부(130)에서 검색하여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갖도록 구현될 수 있다.
MP3처리부(120)는 MP3코덱(MP3 codec)을 말하나, MIDI 음원의 재생을 수행하는 MIDI 재생기 등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처리를 수행하는 디지털 신호처리 프로세서(DSP: Digital Signal Processor) 등으로 구성될 수도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상기 메모리부(130)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동을 위한 소프트웨어, 사용자 입력정보, 수신 데이터 정보 및 음원 데이터 등을 저장한다. 특히, 상기 메모리부(130)는 사용자가 화음 이미지 처리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이용해 입력한 화음 이미지를 화음과 연결하여 저장한다.
상기 LCD부(140)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동 정보를 출력하는 것으로서, 엠에스엠(110)의 제어에 의해 구동되어 다양한 이미지를 출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오디오처리부(150)는 마이크와 스피커를 구비한 것으로서, 마이크를 통해 입력한 사용자 음성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엠에스엠(MSM)(110)으로 입력하고, 엠에스엠(MSM)(110)에서 재생되는 보이스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 후 스피커로 출력한다. 또한, MP3처리부(120)에서 재생된 음원데이터의 오디오신호를 스피커를 통해서 출력한다.
카메라부(160)는 외부 영상을 입력받아서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한다.
그리고 키패드부(170)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동을 위해 사용자가 사용자 제 어 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에서의 화음 이미지가 출력되는 동작과정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의 설명에 앞서 사용자는 각각의 화음 이미지 제어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화음에 대응되는 화음 이미지를 선택하여 저장한 것을 가정한다.
상술한 가정하에서 사용자는 키패드부(170)를 통해 메모리부(130)에 저장된 음원 데이터 검색 인터페이스를 구동한 후 재생될 음원 데이터를 선택한다. MP3 음원데이터의 선택 신호가 입력되면 엠에스엠(110)은 MP3처리부(120)를 구동하고 메모리부(130)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MP3음원 데이터를 읽어 들여 MP3처리부(120)로 출력한다. MP3처리부(120)는 엠에스엠(MSM)(110)으로부터 입력된 음원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을 수행하여 음원 데이터에서 재생한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처리부(150)로 출력한다(S111).
S111과정의 음원데이터 재생이 시작되면 MP3처리부(120)는 재생되는 음원데이터의 마디에서 화음 정보를 추출하여 엠에스엠(MSM)(110)으로 출력한다(S112). 상술한 화음데이터는 MP3음원데이터에 화음정보로 포함되거나, 또는 재생음의 음계를 검출하여 화음 정보로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S112, S113)).
S112과정에 의해 화음정보를 수신한 제어부는 메모리부(130)에서 화음 정보에 대응되는 화음 이미지를 검색하여 읽어 들인 후 LCD부(140)를 통해 출력한다(S114).
상술한 S111 내지 S114 과정은 MP3처리부(120)로부터 화음 정보의 수신이 있는 한 계속 반복 수행하게 된다(S115).
이에 따라 상술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음원데이터의 재생 과정에서 화음정보의 출력이 있는 경우 해당 화음 정보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계속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본원 발명은 음원 데이터의 재생시 재생되는 음원데이터의 화음 정보를 사용자에게 출력하여 줌으로써 음원 데이터의 재생에 의한 사용자 만족감을 향상시킴은 물론, 화음 정보에 대한 교육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5)

  1. 음원데이터와 화음 대응 이미지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음원데이터를 재생하여 오디오신호를 출력하고 재생되는 오디오신호의 화음을 추출하여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음원재생부와;
    상기 저장부의 음원데이터를 읽어들인 후 상기 음원재생부로 출력하고, 상기 음원재생부로부터 입력되는 재생음의 화음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추출한 후 표시부로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화음 이미지를 출력하는 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음의 화음 이미지 출력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재생부는 MIDI재생기 또는 MP3 등의 디지털 음원 데이터에 대한 신호처리를 수행하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음의 화음 이미지 출력 장치.
  3. 사용자 입력 명령에 따라 화음과 화음 이미지를 대응시켜 저장하는 화음 이미지설정과정과;
    음원의 재생이 있는 경우 상기 재생음의 화음을 검출하는 화음추출과정과;
    상기 화음추출과정에서 추출된 화음에 대응되는 화음 이미지를 검색하여 출력하는 화음 이미지출력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음의 화음 이미지 출력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음원은 미디(MIDI) 또는 MP3 중 어느 하나의 디지털 음원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음의 화음 이미지 출력 방법.
  5. 음원데이터 재생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음원데이터와 화음 대응 이미지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음원데이터를 재생하여 오디오신호를 출력하고 재생되는 오디오신호의 화음을 추출하여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음원재생부와;
    상기 저장부의 음원데이터를 읽어들인 후 상기 음원재생부로 출력하고, 상기 음원재생부로부터 입력되는 재생음의 화음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추출한 후 표시부로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화음 이미지를 출력하는 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음의 화음 이미지 출력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20050065622A 2005-07-20 2005-07-20 재생음의 화음 이미지 출력장치와 그 방법 및 그 기능을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 KR2007001076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5622A KR20070010762A (ko) 2005-07-20 2005-07-20 재생음의 화음 이미지 출력장치와 그 방법 및 그 기능을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
CNA2006100912008A CN1901086A (zh) 2005-07-20 2006-07-06 播放音的和音图形输出装置、输出方法及其移动通信终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5622A KR20070010762A (ko) 2005-07-20 2005-07-20 재생음의 화음 이미지 출력장치와 그 방법 및 그 기능을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0762A true KR20070010762A (ko) 2007-01-24

Family

ID=37656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5622A KR20070010762A (ko) 2005-07-20 2005-07-20 재생음의 화음 이미지 출력장치와 그 방법 및 그 기능을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70010762A (ko)
CN (1) CN190108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119553B (zh) * 2007-09-07 2013-03-13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移动通信终端设备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119553B (zh) * 2007-09-07 2013-03-13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移动通信终端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901086A (zh) 2007-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11220518A (ja) 携帯電話機
CN101534407B (zh) 信息记录装置
WO1998042110A1 (fr) Telephone mobile
US7122731B2 (en) Musical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control method therefor, and program for implementing the method
KR20070010762A (ko) 재생음의 화음 이미지 출력장치와 그 방법 및 그 기능을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0597669B1 (ko)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재생방법
JP3859200B2 (ja) ポータブルミキシング記録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4023535A (ja) 通信端末、通信端末制御プログラム及び通信端末制御方法
KR20090024458A (ko) 동영상의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067517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오디오파일 반복 재생 구간 설정 방법
KR100447371B1 (ko) 녹음 비교 기능을 갖는 어학 학습 장치 및 이를 이용한어학학습 방법
KR100762634B1 (ko) 휴대단말기에서 미디어데이터 생성 및 디스플레이 방법
KR100525777B1 (ko)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기기의 배경음원과 외부 입력오디오신호의 믹싱 처리장치 및 방법
JP4294502B2 (ja) 電話端末及び画像生成方法
KR100748918B1 (ko) 환경 조건에 따른 음악 파일 검색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및 이를 이용한 음악 파일 검색 방법
JP2004343392A (ja) 議事録機能付き携帯電話機およびその議事録生成処理方法
JP2000305575A (ja) カラオケ装置の歌い出し同期装置
KR100754606B1 (ko) 휴대 단말기의 오디오 파일 편집 방법
JP2005184182A (ja) 携帯端末装置
KR100713432B1 (ko) 음원 속도 제어 장치 및 방법
JP2002164969A (ja) 携帯電話機への着信メロディ転送機能付き機器及び転送方法
JP2009094813A (ja) 通話録音装置
KR20060114143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음악파일 재생방법
KR20100010151A (ko) 음원 재생 기능을 갖는 휴대용 촬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020074816A (ko) 휴대용 다기능 전자책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