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10753A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0753A
KR20070010753A KR1020050065606A KR20050065606A KR20070010753A KR 20070010753 A KR20070010753 A KR 20070010753A KR 1020050065606 A KR1020050065606 A KR 1020050065606A KR 20050065606 A KR20050065606 A KR 20050065606A KR 20070010753 A KR20070010753 A KR 200700107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oor unit
fastening
air
air conditioner
gri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56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656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10753A/ko
Publication of KR200700107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07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4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the ceiling or at the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F24F13/084Grilles, registers or guards with mounting arrangements, e.g. snap fasteners for mounting to the wall or duct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이 편리하며 파손이 예방되는 잠금장치가 구비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외부의 공기가 흡입되도록 중앙부가 천공 형성되는 전면판넬(200)과, 상기 전면판넬(200)의 중앙부 전면에 구비되어 이물질의 흡입을 방지하는 전면그릴(210)과, 상기 전면그릴(210)과 전면판넬(200)이 선택적으로 체결되도록 전면그릴(210)에 형성되는 체결부(300)가 구비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300)는, 전단부가 곡률을 가지면서 경사지게 성형되는 체결바(310)와, 상기 체결바(310)의 후단부에 구비되어 체결바(310)의 체결을 보조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체결바(310)의 일면에 고정되고, 체결바(310)를 이동시키도록 구비되는 손잡이(3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전면그릴의 여닫음이 용이하게 되고, 서비스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공기조화기, 실내기, 전면판넬, 전면그릴, 체결부, 탄성부재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도 1 은 종래 기술에 의한 일반적인 공기조화기가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설치상태도.
도 2 는 종래 기술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
도 3 은 종래 기술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구비되는 전면그릴을 나타낸 사시도.
도 4 는 종래 기술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잠금장치를 나타낸 부분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공기조화기 실내기를 나타낸 저면도.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전면그릴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8 은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요부 구성인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체결부를 나타낸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실내기 200. 전면판넬
202. 토출구 204. 루버(louver)
206. 체결공 210. 전면그릴
212. 공기흡입공 214. 손잡이공
220. 에어필터 230. 캐비넷
240. 흡입팬 242. 팬모터
246. 모터마운트 250. 드레인팬
260. 베이스지지대 270. 베이스
280. 실내열교환기 300. 체결부
310. 체결바 320. 코일스프링
330. 연장부 340. 손잡이
342. 파지부 344. 고정편
350. 보조돌기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이 편리하며 파손이 예방되는 잠금장치가 구비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는 최근 소득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삶의 질 향상에 따른 욕구가 증대되고, 무더운 날씨에도 보다 편안하고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하여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실내의 공기를 목적에 따라 가장 최적의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장치로써 실내의 더운 공기를 흡입하여 저온의 냉매로 열교환한 후 이를 실내로 토출하는 반복 작용에 의해 실내를 냉방시키거나 또는 반대 작용에 의해 실내를 난방시키는 기기이다.
이러한 공기조화기의 일련의 사이클을 보면 고온고압의 기체냉매를 제공하는 압축기→상온고압의 액체냉매를 제공하는 응축기→저온저압의 액체냉매를 제공하는 팽창밸브→액체냉매의 증발에 의해 저온을 형성하는 증발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최근에는 냉·난방 외에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여 필터링한 후 깨끗한 공기를 실내로 재투입하는 공기 정화기능과, 다습한 공기를 건습공기로 만들어 실내로 재투입하는 제습기능 등 여러가지 부가적인 기능이 추가되고 있다.
한편, 주지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는 실외기와 실내기가 각각 분리되어 설치되는 분리형 공기조화기와, 실외기와 실내기가 일체로 설치되는 일체형 공기조화기로 크게 구분된다.
근래에는 한 가정에 2대 이상의 공기조화기를 설치하고자 할 때나 여러개의 사무실을 구비한 건물에서 각각의 사무실마다 공기조화기를 설치하고자 할 때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멀티형 공기조화기가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멀티형 공기조화기는 하나의 실외기에 다수개의 실내기를 연결하여 분리형 공기조화기를 여러대 설치한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하에서는 최근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도면 을 참고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일반적인 공기조화기가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설치상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구비되는 전면그릴을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잠금장치를 나타낸 부분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살펴보면, 상기 실내기(10)의 전면은 전면판넬(20)과 흡입그릴(30)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전면판넬(20)은 대략 사각판재 형상으로 성형되며, 상기 전면판넬(20)의 중앙부는 공기 조화를 위한 공간의 공기를 흡입하기 위해 천공 형성된다. 이처럼 천공 형성되는 전면판넬(20)의 중앙부에는 외부의 공기가 흡입될 때, 이물질의 흡입을 방지하기 위한 흡입그릴(30)이 구비된다.
상기 흡입그릴(30)은 외부 공기가 상기 실내기(10)의 내부로 흡입되는 통로 역할을 수행하며, 대략 사각 판재 형상으로 성형된다. 그리고, 각각의 테두리는 후방으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된다. 이처럼 연장 형성되는 테두리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체결봉이 관통되도록 그릴공이 천공 형성된다.
상기 흡입그릴(30)은 가로방향으로 길게 성형되는 다수개의 공기흡입공(32)이 절제(切除)되어 형성된다. 상기 공기흡입공(32)은 공기 조화를 위한 공간과 상기 실내기(10)를 상호 연통되도록 함으로써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의 공기를 실내기 (10)의 내부로 안내하게 된다.
상기 전면판넬(20)의 각각의 변, 다시말해 상기 흡입그릴(30)이 구비되는 사각형의 중앙부를 제외한 각 변에는 토출구(22)가 형성된다. 상기 토출구(22)는 상기 실내기(10)의 내부에서 조화된 공기를 공기 조화를 위한 공간으로 토출하기 위해 형성된다. 상기 토출구(22)는 전면판넬(20)의 각각의 변 즉, 각 방향에 성형되어 조화된 공기가 공기 조화를 위한 공간으로 골고루 토출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토출구(22)에는 루버(louver,24)가 구비된다. 상기 루버(24)는 소정의 모터(도시되지 않음)와 연결되어 조화된 공기의 토출 방향을 제어할 수 있도록 성형된다. 즉, 상기 루버(24)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조화된 공기가 토출하거나, 각 방향으로 토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전면그릴(30)의 후측에는 에어필터(40)가 구비된다. 상기 에어필터(40)는 상기 흡입그릴(30)에 성형되는 공기흡입공(32)을 통해 흡입되는 공기 조화를 위한 공간의 공기를 필터링함으로써 상기 실내기(10)의 내부로 이물질이 흡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다시 말해, 상기 흡입그릴(30)은 비교적 큰 이물질의 흡입을 방지하게 되고, 상기 에어필터(40)는 흡입그릴(30)에서 걸러지지 못한 미세한 이물질의 흡입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에어필터(40)의 후측에는 에어필터(40)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를 실내기(10)의 내부로 안내하는 캐비넷이 상방(도 2에서 볼 때)으로 돌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흡입그릴(30)의 일측 테두리에는 상기 전면판넬(20)과 회동 가능 하게 체결되도록 그릴행거(34)가 돌출 성형된다. 상기 그릴행거(34)는 소정의 면적을 가지고 대략 갈고리 형상으로 성형되어 상기 전면판넬(20)의 일부에 억지끼움으로 체결된다.
한편, 상기 흡입그릴(30)의 전면 일측 즉, 상기 그릴행거(34)의 대향되는 위치에는 다음에 설명할 잠금장치(50)의 손잡이(56)가 관통 형성되도록 손잡이공(36)이 천공 형성된다.
상기 잠금장치(50)는 수평 방향의 원기둥 형상으로 성형되는 체결봉과, 상기 체결봉을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56), 상기 체결봉의 후단부에 성형되는 걸림돌기 그리고, 상기 걸림돌기의 상면이 접하도록 하방으로 돌출 성형되는 걸림턱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체결봉(52)의 전단부는 상기 전면그릴(30)의 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체결봉(52)의 후반부에는 손잡이(56)가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56)는 상기 체결봉(52)의 상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전면그릴(30)에 성형되는 손잡이공(36)을 관통하여 전면그릴(30)의 전면보다 돌출되도록 성형된다.
상기 손잡이(56)의 연장부 후측에는 걸림돌기(54)가 손잡이(56)와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성형된다. 상기 걸림돌기(54)는 상기 손잡이(56)의 연장부와 타측으로 형성된다. 다시말해, 상기 손잡이(56)의 연장부가 상기 체결봉(52)의 상면 좌측에 성형되면, 상기 걸림돌기(54)는 체결봉(52)의 우측에 성형된다.
상기 손잡이공(36)의 일측 즉, 상기 손잡이공(36)과 소정간격을 가지고 이격되어 상기 전면그릴(30)의 하면(도 4에서 볼 때)에 상기 걸림돌기(54)의 상단부와 접하도록 하방으로 돌출되는 걸림턱(58)이 성형된다. 상기 걸림턱(58)은 하면이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원호형상으로 돌출된다.
따라서, 상기 손잡이(56)를 사용자가 파지하여 오픈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면, 상기 걸림턱(58)의 하면과 상기 걸림돌기(54)의 상면이 접하면서 걸림턱(58)의 하면을 따라 상기 걸림돌기(54)의 상면이 이동하게 된다. 이 때, 상기 걸림돌기(54)의 상면이 상기 걸림턱(58)의 하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체결봉(52)이 오픈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걸림돌기(54)의 타측에는 보조돌기(54')가 상방으로 돌출 성형된다. 상기 보조돌기(54')는 상기 걸림돌기(54)가 상기 걸림턱(58)의 하면을 따라 이동하게 될 때, 상기 체결부(50) 전체가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소정의 높이를 가지고 상기 체결봉(52)의 상방으로 돌출 성형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걸림돌기(54)의 상면과 상기 걸림턱(58)의 하면이 접하면서 상기 체결부(50)는 상기 전면그릴(30)을 전면판넬(20)에 고정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전면그릴(30)의 개폐시 걸림돌기(54)와 걸림턱(58)의 마모가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마모로 인하여 상기 체결부(50) 전체가 고정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체결부(50)가 고정되지 않게됨에 따라 체결부(50)의 좌·우 유동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 체결부(50)의 유동에 의해 원하지 않는 시점에서 상기 전면그릴(30)이 개방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부(50)가 고정되지 않게됨에 따라 상기 전면그릴(30)이 열린 상태에서 체결부(50)가 닫힘 상태로 위치하게 될 경우 사용자가 체결부(50)의 닫힘 상태에서 전면그릴(30)을 닫게 되는 경우 파손이 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전면그릴의 여닫음이 용이하며, 여닫음의 품질이 향상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외부의 공기가 흡입되도록 중앙부가 천공 형성되는 전면판넬과, 상기 전면판넬의 중앙부 전면에 구비되어 이물질의 흡입을 방지하는 전면그릴과, 상기 전면그릴과 전면판넬이 선택적으로 체결되도록 전면그릴에 형성되는 체결부가 구비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전단부가 곡률을 가지면서 경사지게 성형되는 체결바와, 상기 체결바의 후단부에 구비되어 체결바의 체결을 보조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체결바의 일면에 고정되고, 체결바를 이동시키도록 구비되는 손잡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면판넬에는 상기 체결바와 체결되는 체결공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면그릴은 상기 전면판넬의 중앙부의 일측과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전면그릴에는 상기 손잡이가 관통되도록 손잡이공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결바에는 잠금장치의 유동을 방지하는 보조돌기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결바에는 탄성부재를 지지하는 연장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전면그릴의 여닫음이 용이하게 되고, 서비스가 용이해지는 이점이 있으며, 유지 보수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대해 보다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도 5에는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공기조화기 실내기를 나타낸 저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6에는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에는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전면그릴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8에는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요부 구성인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체결부를 나타낸 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00)는 일부가 천장의 내부에 삽입되어 설치된다. 상기 실내기(100)의 전면은 전면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전면판넬(200)과, 상기 전면판넬(200)의 중앙부에 구비되는 전면그릴(210) 등으로 구성되며, 상기 전면판넬(200)에는 조화된 공기를 공기 조화가 필요한 공간으로 토출하는 토출구(202)가 형성된다.
상기 전면판넬(200)은 대략 사각판재 형상으로 성형되며, 전면판넬(200)은, 공기 조화가 필요한 공간의 공기를 흡입하기 위해 중앙부가 천공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전면판넬(200)의 중앙부에는 공기의 조화가 필요한 공간의 공기를 흡입할 때 이물질이 흡입되지 않도록 전면그릴(210)이 성형된다.
상기 전면그릴(210)은 대략 사각 판재형상으로 성형되며, 각각의 테두리는 후방으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된다. 상기 전면그릴(210)에는 다수의 공기흡입공(212)이 가로방향으로 절제(切除)되어 성형된다. 이러한 공기흡입공(212)은 공기의 조화가 필요한 공간의 공기를 상기 실내기(100)의 내부로 흡입되도록 안내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전면그릴(210)의 일측 테두리에는 상기 전면그릴(210)이 전방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회동수단이 구비된다. 상기 회동수단은 힌지로 체결되기도 하며, 소정의 면적을 가지는 갈고리 형상의 돌기가 성형되어 억지끼움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기도 한다.
상기 전면그릴(210)을 제외한 전면판넬(200) 각각의 면 즉, 상기 전면그릴(210) 각 변의 측방에는 조화된 공기를 공기의 조화가 필요한 공간으로 토출하는 토출구(202)가 소정의 크기로 형성된다. 상기 토출구(202)에는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제어하는 루버(louver, 204)가 구비된다.
즉, 상기 루버(204)는 소정의 모터(도시되지 않음)와 체결되어 토출되는 공 기의 방향을 제어하게 된다. 상기 루버(204)의 각도에 따라 토출되는 공기의 각도가 달라지게 되며,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의 공기 토출이 가능해지고, 사방으로 골고루 토출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전면그릴(210)의 테두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회동 가능하도록 회동수단이 구비되는 테두리와 대응되는 테두리에는 다음에 설명할 체결부(300)가 성형된다. 또한, 상기 체결부(300)가 성형되는 전면그릴(210)의 전면에는 상기 체결부(300)의 손잡이(340)가 관통 형성되기 위한 손잡이공(214)이 좌·우측에 각각 천공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공(214)은 가로가 긴 타원형의 형상으로 천공 성형된다. 이는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340)를 파지하여 좌·우방향으로 손잡이(340)를 슬라이딩시킴으로써 상기 전면판넬(200)의 중앙부를 선택적으로 개방시킬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손잡이공(214)은 테두리가 전면그릴(210)의 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성형된다.
도 6을 참조하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00)를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전면그릴(210)의 후방에는 에어필터(220)가 구비된다. 상기 에어필터(220)는 상기 전면그릴(210)의 공기흡입공(212)을 통해 흡입되는 공기를 필터링하게 된다. 즉, 상기 전면그릴(210)을 통해 비교적 큰 이물질이 걸러지고, 상기 에어필터(220)에서 보다 작은 이물질이 걸러지게 된다. 상기 에어필터(220)는 다양한 소재로 형성 가능하며, 항균 및 항습 등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전면판넬(200)의 후측에는 캐비넷(230)이 구비된다. 상기 캐비넷(230) 은 소정의 폭을 가지는 다수개의 사각 판재형상의 판넬이 체결되면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전면판넬(200)의 후방으로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캐비넷(230)의 내부 공간 중앙부에는 흡입팬(240)이 구비되며, 상기 흡입팬(240)은 공기 조화를 위한 공간의 공기를 상기 실내기(100)의 내부로 흡입하게 된다. 상기 흡입팬(240)은 다수개의 날개를 가지는 다익(多翼)팬을 사용하며, 상기 흡입팬(240)은 팬모터(242)와 체결된다. 따라서, 상기 흡입팬(240)은 상기 팬모터(242)로부터 회전 동력을 전달받게 된다. 상기 팬모터(242)는 팬모터(242)의 후측에 구비되는 모터마운트(246)에 안착되어 설치된다.
상기 흡입팬(240)의 외주면에는 외주면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이격 설치되는 실내열교환기(280)가 구비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280)는 공기 조화를 위한 공간의 공기가 흡입되면, 작동 유체인 냉매와 열교환되도록 설치된다.
즉, 상기 실내열교환기(280)의 내부는 작동 유체인 냉매가 유동되도록 관통 형성되며, 소정의 지름을 가지는 원통 형상의 관으로 성형된다. 이러한 원통 형상의 관들이 다수회 절곡되면서 실내열교환기(280)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흡입팬(240)의 회전에 의해 실내기(100)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는 상기 실내열교환기(280)의 사이사이를 통과하면서 작동유체인 냉매와 열교환하게 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280)를 통과하면서 열교환된 공기는 다시 공기 조화를 위한 공간으로 토출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280)의 하측에는 드레인팬(250)이 구비된다. 상기 드레인팬(250)은 상기 실내열교환기(280)에서 열교환되는 공기의 응축으로 인해 실내열교 환기(280)의 표면 또는 캐비넷(230)의 내주면에 발생되는 수분을 수집하여 외부로 방출하는 부품이다. 상기 드레인팬(250)은 중앙부가 하방으로 함몰 형성되어 단면이 대략 “∪”형상으로 성형되는 관들이 연결되어 형성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280)의 후측에는 상기 실내기를 천정에 고정시키도록 하는 베이스(270)가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270)의 후면이 천정의 하면에 부착되고, 상기 베이스(270)의 전면에는 베이스지지대(260)가 체결된다.
이하에서는 도 7과 도 8을 참조하여 상기 전면그릴이 전면판넬과 체결되도록 하는 체결부(30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전면그릴(210)은 선택적으로 전면판넬(200)의 중앙부를 개방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이처럼 상기 전면그릴(210)의 일측에는 전면그릴(210)이 전면판넬(200)의 중앙부를 선택적으로 개방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체결부(300)가 성형된다.
상기 체결부(300)를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체결부(300)는 체결바(310)와, 손잡이(340), 연장부(330), 탄성부재, 보조돌기(350) 등으로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탄성부재를 코일스프링으로 사용한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먼저, 상기 체결부(300)에는 체결바(310)가 구비된다. 상기 체결바(310)는 수평 방향의 원기둥 형상으로 성형되며, 체결바(310)의 전단부는 상기 전면그릴(210)의 측면을 관통하여 성형된다. 상기 체결바(310)의 전단부는 하면(도 8에서 볼 때)에서 상면으로 갈수록 돌출되면서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원호형상으로 성형된다.
이처럼 원호형상으로 성형되는 체결바(310)의 전단부가 상기 전면판넬(200)의 내측면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체결공(206)에 관통되면서 상기 전면그릴 (210)이 전면판넬(200)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체결바(310)의 후단부에는 연장부(330)가 성형된다.
상기 연장부(330)는 상기 체결바(310)의 후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330)의 외주면에 탄성부재인 코일스프링(320)이 구비된다. 상기 연장부(330)의 전단부는 상기 체결바(310)의 후단부에서부터 연장 형성되는데, 상기 체결바(310)의 단면적보다 적은 단면적을 가지도록 성형된다.
이는 상기 체결바(310)의 후단부 면적이 연장부(330)의 전단부 면적보다 크게 성형되어 상기 연장부(330)의 전단부에 외주면 방향으로 턱이 형성되므로 이러한 턱에 상기 탄성부재인 코일스프링(320)의 전단부가 지지되도록 형성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연장부의 후단부는 상기 전면그릴(210)의 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성형되는 상기 손잡이공(214)의 테두리면에 관통되면서 형성된다. 따라서, 탄성부재인 코일스프링(320)의 전단부는 상기 연장부의 전단면 턱에 의해 지지되고, 후단부는 상기 손잡이공(214)의 테두리에 의해 지지되면서 탄성력이 발휘된다.
이러한 코일스프링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스프링의 한 종류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체결바(310)의 후단부 상면에는 사용자가 상기 체결부(300)를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손잡이(340)가 소정의 넓이를 가지면서 구비된다. 상기 손잡이(340)는 고정편(344)에 의해 상기 체결바(310)와 고정된다. 즉, 상기 체결바(310)의 후단부 상면에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고정편(344)의 하면이 고정되고, 이러한 고정편(344)의 상면에 상기 손잡이(340)의 좌반부 하면이 고정되어 손잡이(340)와 체결바(310)가 일체로 성형된다.
상기 고정편(344)이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길이는 상기 손잡이공(214)의 절곡면보다 길어야 한다. 상기 손잡이공(214)의 테두리는 상기 전면그릴의 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된다. 이러한 손잡이공(214)의 절곡면보다 짧게 성형되면 상기 손잡이(340)가 상기 전면그릴(210)의 전면으로 돌출되지 못하게 된다.
상기 손잡이(340)가 전면그릴(210)의 전면의 전방으로 돌출되지 않게 되면,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340)를 파지하기 어려움으로 인해 사용상의 불편을 가중시킴으로 상기 고정편(344)이 상기 손잡이공(214)의 절곡면보다 길게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340)가 상기 전면그릴(210)의 전면보다 돌출되도록 성형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340)의 상면 중앙부에는 파지부(342)가 손잡이(340)의 상면을 가로질러 상방(도 8에서 볼 때)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는 사용자가 상기 전면그릴(210)을 상기 전면판넬(200)로부터 이탈시키고자 할 때 상기 손잡이(340)의 파지부(342)를 파지하여 체결부(300)를 슬라이딩시킴으로써 체결부(300)의 작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체결바(310)의 전단부는 상방(도 8에서 볼 때)으로 갈수록 소정의 곡률을 가지면서 돌출되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는 상기 전면그릴(210)을 전면판넬(200)로부터 회동시켜 개방시킨 후 필요한 작업을 수행한 다음 전면그릴(210)을 전면판넬(200)에 고정하게 될 때 상기 전면그릴(210)을 전면판넬(200) 방향으로 회 동시키게 된다.
상기 전면그릴(210)을 전면판넬(200)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체결바(310)의 하면(도 8에서 볼 때) 전단부가 상기 전면판넬(200)의 내주면 상단부와 접하게된다. 이 때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340)를 잡고 체결바(310)를 이동시키는 것이 아니라, 전면그릴(210) 전면을 전면판넬(200) 방향으로 밀게되면, 상기 체결바(310)의 하면 전단부가 전면판넬(200)의 상단부와 접하면서 상기 체결바(310)의 전단부에 성형되는 원호형상을 따라 상기 체결바(310)가 우측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체결바(310)가 우측방(도 8에서 볼 때)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코일스프링(320)이 압착되면서, 탄성을 가지게 된다. 상기 체결바(310)의 전단부가 완전히 전면판넬(200)의 내주면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전면판넬(20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체결공(206)까지 체결바(310)의 전단부가 이동하게 된다.
이와같이 체결바(310)의 전단부가 상기 체결공(206)까지 이동하게 되면, 상기 코일스프링(320)의 탄성으로 체결바(310)의 전단부는 체결공(206)에 삽입된다.
또한, 상기 체결바(310)의 상면,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고정편(344)의 전방에는 보조돌기(350)가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성형된다. 사용자는 상기 전면그릴(210)을 개방시키기 위해 상기 손잡이(340)를 파지하여 상기 체결부(300)를 이동시키게 된다. 이 때, 상기 체결부(300)는 상기 손잡이공(214)의 길이만큼 이동하게 된다.
상기 체결부(300)가 슬라이딩 될 때, 체결부(300)는 손잡이공(214)의 폭만큼 유동 된다. 즉, 상기 손잡이공(214)의 폭이 상기 고정편(344)의 폭보다 크기 때문 에 상기 체결부(300)가 손잡이공(214)의 폭 내부에서 체결바(310)의 슬라이딩 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유동된다.
이와 같은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보조돌기(350)가 성형된다. 상기 보조돌기(350)는 상기 손잡이공(214)의 절곡면보다 길게 성형되면 상기 손잡이(340)의 하면과 접하게 되므로 절곡면보다 짧게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조돌기(350)는 상기 손잡이공(214)의 내부에 구비되어 손잡이공(214)의 절곡면과 접하면서 손잡이(340)의 유동을 방지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외부의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팬모터(242)가 회전동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러한 팬모터(242)의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흡입팬(240)이 회전하게 된다. 상기 흡입팬(240)의 회전으로 인해 공기 조화를 위한 공간의 공기가 실내기(100)의 내부로 흡입된다.
이 때, 흡입되는 공기는 상기 전면그릴(210)과 에어필터(220)를 통과하여 실내기의 내부로 흡입된다. 흡입되는 공기가 전면그릴(210)을 통과할 때 비교적 큰 이물질이 여과되고, 상기 에어필터(220)를 통과하면서 작은 이물질까지도 여과된다.
상기 전면그릴(210)과 에어필터(220)를 통과하면서 여과된 공기는 상기 실내기(100)의 내부로 유동된다. 상기 실내기(100)의 내부로 유동된 공기는 상기 흡입팬(240)의 회전으로 인해 외주면 방향으로 유동된다. 외주면 방향으로 유동되는 공기는 상기 실내열교환기(280)의 사이사이를 통과하면서 작동 유체인 냉매와 열교환하게 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280)를 통과하면서 열교환된 공기는 다시 공기 조화를 위한 공간으로 토출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이처럼 상기 실내열교환기(280)와 열교환된 공기는 상기 전면판넬(200)에 구비되는 토출구(202)를 통해 공기 조화를 위한 공간으로 배출된다. 이 때, 상기 토출구(202)에 구비되는 상기 루버(204)를 이용하여 토출되는 공기의 세기 및 양을 조절하게 된다.
한편, 상기 외부의 공기가 흡입되면 상기 전면그릴(210)과 상기 에어필터(220)에 의해 여과된다. 따라서, 상기 에어필터(220)의 청소 또는 실내기(100) 내부의 수리 등이 요구된다. 이 때, 상기 전면그릴(210)을 회동시켜 전면판넬(200)의 중앙부를 개방시키게 된다.
상기 전면그릴(210)의 일측 테두리에는 전면그릴(210)이 상기 전면판넬(200)과 회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므로, 상기 체결부(300)의 손잡이(340)를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면, 상기 체결부(300)의 단부가 상기 체결공(206)으로부터 이탈된다. 따라서, 상기 전면그릴(210)은 상기 전면판넬(200)로부터 회동 가능하게 성형되는 측은 이탈되지 않고 회동하게 되고, 타측(상기 체결부(300)가 구비되는 측)은 전면판넬(200)로부터 이탈되므로 상기 에어필터(220)의 전면이 개방된다.
또한, 필요한 작업이 종료되면 상기 체결부(300)가 형성되는 부분을 전면판넬(200) 방향으로 밀게되면, 상기 체결바(310)의 전단부가 상기 전면판넬(200)의 선단부에 의해 안내되어 지면서 상기 체결바(310)가 상기 체결공(206)에 삽입되어 상기 전면그릴(210)이 전면판넬(200)의 중앙부에 고정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여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탄성부재를 코일스프링(320)으로 사용하였으나, 판스프링 또는 다양한 탄성부재를 사용하는 것도 당연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의하면, 상기 체결부에 탄성부재를 채용하여 전면그릴이 전면판넬에 고정될 때 반자동으로 고정되므로 사용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전면판넬과 전면그릴의 체결이 용이해짐에 따라 실내기(100) 내부의 청소 또는 애프터서비스가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뿐만아니라, 부품의 파손이 방지되며, 반영구적인 사용이 가능함으로 인해 제품의 유지비용이 절감되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사용의 편의성이 향상됨에 따라 제품의 인지도가 향상되는 효과도 있다.

Claims (6)

  1. 외부의 공기가 흡입되도록 중앙부가 천공 형성되는 전면판넬과,
    상기 전면판넬의 중앙부 전면에 구비되어 이물질의 흡입을 방지하는 전면그릴과,
    상기 전면그릴과 전면판넬이 선택적으로 체결되도록 전면그릴에 형성되는 체결부가 구비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전단부가 곡률을 가지면서 경사지게 성형되는 체결바와,
    상기 체결바의 후단부에 구비되어 체결바의 체결을 보조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체결바의 일면에 고정되어 체결바를 이동시키도록 구비되는 손잡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넬에는 상기 체결바와 체결되는 체결공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그릴은 상기 전면판넬의 중앙부의 일측과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그릴에는 상기 손잡이가 관통되도록 손잡이공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바에는 잠금장치의 유동을 방지하는 보조돌기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바에는 탄성부재를 지지하는 연장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20050065606A 2005-07-20 2005-07-20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700107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5606A KR20070010753A (ko) 2005-07-20 2005-07-20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5606A KR20070010753A (ko) 2005-07-20 2005-07-20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0753A true KR20070010753A (ko) 2007-01-24

Family

ID=38011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5606A KR20070010753A (ko) 2005-07-20 2005-07-20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1075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8550Y1 (ko) * 2010-06-14 2012-02-27 김대욱 실내 공기조화용 흡기유닛
CN105909153A (zh) * 2016-06-16 2016-08-31 嘉兴亨泰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扣接式易拆卸安装的通风窗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8550Y1 (ko) * 2010-06-14 2012-02-27 김대욱 실내 공기조화용 흡기유닛
CN105909153A (zh) * 2016-06-16 2016-08-31 嘉兴亨泰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扣接式易拆卸安装的通风窗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07259A (ko) 공기조화기
KR20080051974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US6059021A (en) Horizontal air direction control vane arrangement of an air conditioner
KR20070044291A (ko) 일체형 공기조화기
KR100748965B1 (ko) 공기조화기
KR20070010753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70094052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547675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20050047159A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20060126042A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토출그릴
KR100607285B1 (ko) 공기조화기의 필터 장착구조
KR100626446B1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257509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553037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101250159B1 (ko) 분리형 공기조화기
KR101101576B1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154579Y1 (ko) 공기조화기용 실내기의 전면그릴 설치구조
KR20050024798A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20070053549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547685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20060022425A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토출그릴구조
KR100547676B1 (ko)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공기 안내 구조
KR100547677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20070113371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70077842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