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10355A -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발신번호 삭제 방법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발신번호 삭제 방법 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0355A
KR20070010355A KR1020050064860A KR20050064860A KR20070010355A KR 20070010355 A KR20070010355 A KR 20070010355A KR 1020050064860 A KR1020050064860 A KR 1020050064860A KR 20050064860 A KR20050064860 A KR 20050064860A KR 20070010355 A KR20070010355 A KR 200700103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ing
information
caller
message
request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48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03384B1 (ko
Inventor
김미향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648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3384B1/ko
Publication of KR200700103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03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33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33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발신번호를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삭제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발신번호를 삭제하기 위한 발신번호삭제요청 메시지가 작성되고 상기 작성된 발신번호삭제요청 메시지를 상기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상기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와, 상기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발신번호삭제요청 메시지 수신시, 상기 수신된 발신번호삭제요청 메시지에 따라 저장된 발신번호를 삭제하는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와, 상기 발신번호삭제요청 메시지를 상기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달하는 기지국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발신번호삭제, 발신번호 삭제요청 메시지, 수신측 단말기, 발신측 단말기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발신번호 삭제 방법 및 그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DELETING THE SEND NUMBER IN MOBIL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체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발신번호 삭제서비스 시스템의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발신번호 삭제서비스 요청 동작의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발신번호 삭제서비스 요청 동작의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발신번호 삭제서비스 동작의 흐름도.
도 6은 상기 도 3에 적용되는 표시 예시도.
도 7은 상기 도 4에 적용되는 표시 예시도.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발신전화번호 표시 서비스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 표시된 발신번호를 발신 측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삭제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는 셀룰러 폰(Cellular Phone), 개인용 정보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개인용 통신 서비스 폰(PCS: 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s Phone), IMT-2000 단말기(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단말기 등과 같이, 이동하면서 통화를 하거나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는 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기기를 말한다.
이러한 이동 통신 단말기는 전화 통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지만 이러한 전화 통화 기능 이외에 단문 메시지 송수신 기능, 전화번호 저장 및 검색을 위한 메모리 기능, 잠금 기능, 경보 기능, 배경화면 설정 기능, 지역번호 확인 기능을 비롯하여 최근에는 카메라 기능, 디지털 방송 수신 기능, 게임 기능 및 발신번호 확인 서비스 기능등과 같은 각종 부가적인 기능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통해 이동 통신 단말기는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사용자들에게 있어 많은 편리함을 제공하고 있다.
특히, 상기 부가적인 기능 중 발신번호 확인 서비스 기능은 미국 일본 대만 등에서 활발히 활용되고 있다. 상기 발신번호 확인 서비스는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액정표시장치(LCD)를 통해 발신측 단말기의 전화번호와 전화가 걸려온 시 간을 표시하며 상기 전화가 걸려온 발신측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해당 발신자 이름 또는 아이디(ID)로 표시하거나 특정 벨소리로 표시하는 기능 등을 갖추고 있다. 이와 같은 발신번호 확인 서비스는 발신자의 전화번호를 미리 확인할 수 있음으로, 스토킹이나 장난전화를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전화예약이나 배달업체의 경우에 고객의 전화번호를 즉시 알 수 있고 이를 저장해둘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실수 또는 다른 이유로 인하여 잘못된 호 연결 즉, 전화 통화연결을 시도하는 경우에도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 상기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가 표시 및 저장되게 된다. 즉, 상기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 발신자와 수신자 모두가 원하지 않는 정보(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가 표시 및/또는 저장되게 됨으로 수신자로 하여금 혼란을 야기 시키고 상기 수신자가 상기 표시 및/또는 저장된 정보(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로 전화 통화연결을 시도하도록 유도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발신번호를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삭제하는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발신번호를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삭제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수 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발신번호를 삭제하기 위한 발신번호삭제요청 메시지가 작성되고 상기 작성된 발신번호삭제요청 메시지를 상기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상기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와, 상기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발신번호삭제요청 메시지 수신시, 상기 수신된 발신번호삭제요청 메시지에 따라 저장된 발신번호를 삭제하는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와, 상기 발신번호삭제요청 메시지를 상기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달하는 기지국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발신번호를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삭제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발신번호를 삭제하는 방법에 있어서, 발신번호 삭제요청키 입력이 감지되면, 발신번호 삭제요청 메시지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생성된 발신번호 삭제요청 메시지를 상기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과정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임을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체 블록도이다. 여 기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가 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RF부(21)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신을 수행한다. RF부(21)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수신기 등을 포함한다.
모뎀(MODEM)(23)은 상기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 및 상기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는 수신기 등을 구비한다.
오디오 처리부(25)는 코덱을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코덱은 패킷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코덱을 구비한다. 상기 오디오 처리부(25)는 상기 모뎀(23)에서 수신되는 디지털 오디오신호를 상기 오디오코덱을 통해 아날로그신호를 변환하여 재생하거나 또는 마이크로부터 발생되는 송신되는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를 상기 오디오코덱을 통해 디지털 오디오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모뎀(23)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코덱은 별도로 구비거나 또는 제어부(10)에 포함될 수 있다.
키패드(27)는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 및 각종 기능 들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키들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라 발신번호 취소기능 키가 구비된다.
메모리(29)는 프로그램 메모리, 데이터 메모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들 및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라 발신번호 취소 기능을 실행하는데 필요한 프로그램들 을 저장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 메모리는 상기 프로그램들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하는 데이터들을 일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라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저장한다.
제어부(10)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모뎀(23) 및 코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0)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라 발신번호 삭제요청키 입력이 감지되면, 발신번호 삭제요청 메시지를 생성하고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또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라 발신번호 삭제요청키 입력이 감지되면, 발신번호삭제요청 메시지 작성창을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적용하여 발신번호삭제요청 메시지를 생성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메시지가 수신되면, 수신된 메시지의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메시지의 종류를 판단하고 상기 수신된 메시지가 발신번호를 삭제하기 위한 발신번호삭제요청 메시지이면, 상기 메시지의 정보에 대응되는 발신번호를 검색하고 삭제하도록 제어한다.
카메라(50)는 영상 데이터를 촬영하며, 촬영된 광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 센서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 센서는 CCD센서라 가정한다.
신호처리부(60)는 상기 카메라(5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이미지신호로 변환한다. 여기서 상기 신호처리부(60)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 DSP)로 구현할 수 있다.
영상처리부(70)는 상기 신호처리부(6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표시하기 위한 화면 데이터를 발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영상처리부(70)는 상기 제어부(10)의 제어 하에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상기 표시부(80)의 규격에 맞춰 하는 전송하며, 또한 상기 영상데이터를 압축 및 신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표시부(80)에 출력되는 영상데이터의 시작주소 값을 전송하거나 제어부(10)의 제어 하에 상기 시작주소 값을 변경 설정하여 전송한다.
표시부(80)는 상기 영상처리부(70)에서 출력되는 영상데이터를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80)는 LCD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상기 표시부(80)는 LCD제어부(LCD controller), 영상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및 LCD표시소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LCD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방식으로 구현하는 경우, 상기 키패드(27)와 LCD는 입력부가 될 수 있다. 표시부(80)는 영상데이터가 출력되는 영상데이터 표시부를 포함한다.
상기 도 1을 참조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을 살펴보면, 발신시 사용자가 키패드(27)를 통해 다이얼링 동작을 수행한 후 발신모드를 설정하면, 상기 제어부(10)는 이를 감지하고 모뎀(23)을 통해 수신되는 다이얼정보를 처리한 후 RF부(21)를 통해 RF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후 상대 가입자가 응답신호를 발생하면, 상기 RF부(21) 및 모뎀(23)을 통해 이를 감지한다. 이후 사용자는 오디오처리부(25)를 통해 음성 통화로가 형성되어 통신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착신모드시 상기 제어부(10)는 모뎀(23)을 통해 착신모드임을 감지하고, 오디오처리부(25)를 통해 링신호를 발생한다. 이후 사용자가 응답하면 상기 제어부(10)는 이를 감지하고, 역시 오디오처리부(25)를 통해 음성 통화로가 형성되어 통신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발신 및 착신모드에서는 음성통신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상기 음성 통신 이외에 패킷 데이터 및 영상데이터를 통신하는 데이터 통신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대기모드 또는 문자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0)는 모뎀(23)을 통해 처리되는 문자데이터를 표시부(80) 상에 표시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발신번호 삭제서비스 요청하는 동작을 설명하면, 사용자가 키패드(27)를 이용하여 발신번호 삭제요청키를 입력하면 제어부(10)는 이를 감지하고 메모리(29)를 제어하여 발신번호 삭제요청 메시지를 생성하고 사용자가 키패드(27)를 이용하여 전송키를 입력하면, 상기 생성된 발신번호 삭제요청 메시지를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부(10)는 수신된 메시지의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메시지의 종류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결과 상기 수신된 메시지가 발신번호를 삭제하기 위한 발신번호삭제요청 메시지이면, 상기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부(10)는 메모리(29)를 제어하여 상기 메시지의 정보에 대응되는 발신번호를 삭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발신번호 삭제서비스 시스템의 흐름도이다. 먼저, 도 2를 참조하여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발신번호를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삭제하는 시스템을 설명하면, 상기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발신번호를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삭제하는 시스템은 발신측 단말기(100),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50) 및 기지국(130)을 포함한다. 상기 발신측 단말기(100)는 음성 통화를 위한 호 또는 메시지 전송을 기지국(130)을 통하여 발생하고,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50)는 상기 발신측 단말기(100)에 의해 발생된 호(통화) 또는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130)을 통하여 수신한다.
상기 발신측 단말기(100)는 이동 통신망에 접속되는 이동통신 단말기로 메시지 전송 및 수신이 가능한 전화 단말기가 될 수 있다. 상기 발신측 단말기(100)는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50)에 접속되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상기 발신측 단말기(100)는 발신번호삭제 서비스 실행시, 발신번호 삭제 메시지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수신측 단말기(150)에 전송하여 상기 수신측 단말기(150)에 저장된 발신번호를 삭제할 수 있다.
상기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50)는 호(통화)가 설정될 시, 기지국(110)과 무선 구간(Air interface)을 통해 연결된다. 상기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50)는 음성 통화를 수행할 수 있으며, 문자 또는 영상 등의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하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상기 발신측 단말기(100)로부터 호(통화)접속시 상기 발신측 단말기(100)의 전화번호와 전화가 걸려온 시간을 표시하며 상기 전화가 걸려온 발신측 단말기(100)의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발신번호 확인 서비스가 가능하다.
상기 기지국(130)은 기지국 제어기 및 이동통신 교환기와 연결되며, 상기 호 설정 시, 이동통신 단말기와 무선 구간을 통해 연결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라 상기 기지국(130)은 상기 발신측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되는 통화연결 요청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수신측 단말기(150)가 발신번호 확인 서비스 등록 단말기인지 확인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기지국(130)은 기지국 제어기로부터 단말기의 호 설정이 요구되면, 해당 단말기로 페이징 신호(Paging signal)를 송출한다. 또한 상기 기지국(130)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발호 요구 신호 수신 시, 이를 상기 기지국 제어기로 전달한다. 상기 기지국 제어기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130)과 연결이 된다. 상기 기지국 제어기는 각 이동통신 단말기들에 대한 음성호(Voice Call), 패킷호(Packet Call)등과 같이 전반적인 호 처리(Call Processing) 과정을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통신 교환기는 방문자 위치 등록기(VLR :Visitor Location Register)를 포함하고 있고, 홈 위치 등록기(HLR: Home Location Register)와 직접 연결되는 경우와 다른 교환기를 통해서 연결되는 경우가 있다. 상기 이동통신 교환기는 이동통신 단말기로의 수신 및 발신 요구를 처리하기 위한 호 연결 교환 기능을 수행하며, 다른 이동통신 교환기와의 망을 통해 연동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방문자 위치 등록기 및 홈 위치 등록기로 가입자의 정보를 소정의 시간 주기 동안 저장, 유지, 삭제, 갱신한다. 상기 방문자 위치 등록기에 저장되는 상기 이동통신 가입자 정보에는 가입자 단말의 위치 정보, 파워 온/오프(ON/OFF), 수신측 단말기의 전환번호, 상기 가입자 단말의 서비스 종류 등이 저장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2를 참조하여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발신번호를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삭제하는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면, 상기 발신측 단말기 사용자가 수신측 단말기(150)의 전화번호 및 통화키를 입력하는 동작을 수행하여 음성 통화를 위한 통화연결을 시도하면(201), 상기 발신측 단말기(100)는 상기 기지국(130)에 통화연결 요청정보를 전송한다(203). 여기서 상기 통화연결 요청정보는 발신측 단말기의 전화번호 정보, 통화연결 요청신호 정보 및 수신측 단말기의 전화번호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기지국(130)은 상기 발신측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된 통화연결 요청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분석한다(205). 그리고 상기 통화연결 요청정보 중 수신측 단말기의 전화번호가 상기 발신번호 확인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지 판단한다(207). 상기 판단결과, 상기 수신측 단말기의 전화번호가 상기 발신번호 확인서비스에 가입되어 있지 않으면 통화연결 요청신호 정보 만 상기 수신측 단말기(150)에 전송하고(209) 상기 수신측 단말기(150)는 상기 통화연결 요청신호 정보 수신시, 통화요청 신호음을 출력 및/또는 표시한다(211).
그러나 상기 판단결과, 상기 수신측 단말기의 전화번호가 상기 발신번호 확인서비스에 가입되어 있으면 통화연결 요청신호 정보 및 발신측 단말기의 전화번호 정보를 상기 수신측 단말기(150)에 전송하고(213) 상기 수신측 단말기(150)는 상기 통화연결 요청신호 정보 수신시, 상기 발신측 단말기(100)의 전화번호를 표시하고 저장한다(215).
이후, 상기 발신측 단말기 사용자가 실수 또는 다른 이유로 인하여 잘못된 통화연결을 시도했음을 인식하고 상기 수신측 단말기(150)에 저장된 상기 발신측 단말기(100)의 전화번호를 삭제하기 위한 서비스를 실행하여 발신번호 삭제요청 메시지를 생성하면(217), 상기 발신측 단말기(100)는 상기 기지국(130)에 발신번호 삭제요청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13)을 통하여 상기 수신측 단말기(150)에 전송한다(219). 여기서 상기 발신번호 삭제요청 메시지에는 발신번호 삭제요청 메시지임을 나타내는 아이디(ID)정보, 발신측 단말기의 전화번호정보 및 수신측 단말기의 전화번호정보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수신측 단말기(150)는 상기 발신번호 삭제요청 메시지 수신시, 상기 발신번호 삭제요청 메시지를 분석하고(221) 저장된 상기 발신측 단말기(100)의 전화번호를 삭제한다(223).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발신번호 삭제서비스 요청 동작의 흐름도이고 도 6은 상기 도 3에 적용되는 표시 예시도 이다. 도 3과 도6을 참조하여 발신측 단말기에서 발신통화목록을 이용하여 발신번호 삭제서비스 요청을 실행하는 동작을 설명하면, 대기상태인 301단계에서 발신측 단말기 사용자가 키패드(27)를 이용하여 발신번호 삭제요청 키를 입력하면, 제어부(10)는 30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메모리(29)와 표시부(80)를 제어하여 발신통화목록을 도 6의(A)와 같이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 발신측 단말기 사용자가 키패드(27)를 이용하여 발신번호를 삭제하고자하는 수신측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선택하면, 제어부(10)는 307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309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309단계에서 제어부(10)는 메모리(29)를 제어하여 발신번호 삭제요청 메시지를 도 6의 (B)와 같이 생성한다.
여기서 상기 발신번호 삭제요청 메시지는 발신번호 삭제요청 메시지임을 나 타내는 아이디(ID)정보, 발신측 단말기의 전화번호정보 및 수신측 단말기의 전화번호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발신번호 삭제요청 메시지임을 나타내는 아이디(ID)정보는 코드정보를 부여하거나 콘트롤 케릭터(control character)를 삽입하여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반 문자메시지의 경우'4098'이라는 코드정보를 헤더정보에 부여하여 문자메시지임을 알려주고, 긴급함을 알려주는 SOS메시지의 경우 특정 기호 또는 모양을 헤더정보에 삽입하여 SOS메시지임을 알려준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상기 발신번호 삭제요청 메시지에 미리 약속된 코드정보(예를 들어'5000')를 부여하거나 특정 기호 또는 모양을 헤더정보에 삽입함으로써 발신번호 삭제요청 메시지임을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발신측 단말기 사용자가 키패드(27)를 이용하여 전송키를 입력하면, 제어부(10)는 31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313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313단계에서 제어부(10)는 RF부(21)를 제어하여 상기 생성한 발신번호 삭제요청 메시지를 상기 수신측 단말기(150)에 전송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발신번호 삭제서비스 요청 동작의 흐름도이고 도 7은 상기 도 4에 적용되는 표시 예시도이다. 상기 도 4와 도 7을 참조하여 발신측 단말기에서 발신번호 삭제요청 메시지창을 이용하여 발신번호 삭제서비스 요청을 실행하는 동작을 설명하면, 대기상태인 401단계에서 발신측 단말기 사용자가 키패드(27)를 이용하여 발신번호 삭제요청 키를 입력하면, 제어부(10)는 40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405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405단계에서 제어부(10)는 메모리(29)를 제어하여 발신번호 상제요청 메시지 모드로 진행하고 미리 약속된 코드정보(예를 들어'5000')를 부여하거나 특정 기호 또는 모양을 헤더정보에 삽입한다. 그리고 제어부(10)는 407단계에서 메모리(29)와 표시부(80)를 제어하여 발신번호 삭제요청 메시지 작성창을 도 7의(A)와 같이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 발신측 단말기 사용자가 키패드(27)를 이용하여 발신번호를 삭제하고자하는 수신측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입력하면, 제어부(10)는 409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411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411단계에서 제어부(10)는 메모리(29)를 제어하여 상기 입력된 수신측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적용하여 발신번호 삭제요청 메시지를 도 7의 (B)와 같이 생성한다. 여기서 상기 발신번호 삭제요청 메시지는 발신번호 삭제요청 메시지임을 나타내는 아이디(ID)정보, 발신측 단말기의 전화번호정보 및 수신측 단말기의 전화번호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발신측 단말기 사용자가 키패드(27)를 이용하여 전송키를 입력하면, 제어부(10)는 41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415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415단계에서 제어부(10)는 RF부(21)를 제어하여 상기 생성한 발신번호 삭제요청 메시지를 상기 수신측 단말기(150)에 전송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발신번호 삭제서비스 동작의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발신번호 삭제요청 메시지 수신시, 발신번호 삭제서비스를 실행하는 동작을 설명하면, 대기상태인 501단계에서 메시지가 수신되면 제어부(10)는 503단계에서 RF부(21)와 모뎀(23)을 제어하여 수신된 메시지를 감지한다. 그리고 505단계에서 제어부(10)는 수신된 메시지의 메시지 정보를 분석한다. 상기 메시지 정보는 메시지의 종류를 나타내는 아이디(ID)정보, 발신측 단말기의 전화번호정보 및 수신측 단말기의 전화번호정보를 포함한다. 그리고 507단계에서 제어부(10)는 상기 수신된 메시지의 종류가 발신번호 삭제요청 메시지인지 판단한다. 상기 판단결과 발신번호 삭제요청 메시지이면, 제어부(10)는 509단계에서 메모리(29)를 제어하여 발신번호 삭제 프로그램을 구동하고 511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511단계에서 제어부(10)는 메모리(29)를 제어하여 저장된 발신번호 중 상기 메시지정보에 속하는 발신측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추출한다. 그리고 제어부(10)는 513단계에서 메모리(29)를 제어하여 상기 추출된 발신측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삭제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특히, 상기 발신번호 삭제요청 메시지를 통하여 상기 수신측 단말기에 저장된 발신측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모두 삭제하거나 최근에 저장된 발신측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삭제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발신번호를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삭제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수신자의 혼란을 미연에 방지하여 수신자가 잘못 제공된 정보(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로 전화 통화연결을 시도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5)

  1.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발신번호를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삭제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발신번호를 삭제하기 위한 발신번호삭제요청 메시지가 작성되고 상기 작성된 발신번호 삭제요청 메시지를 상기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상기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와,
    상기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발신번호 삭제요청 메시지 수신시, 상기 수신된 발신번호 삭제요청 메시지 정보에 따라 저장된 발신번호를 삭제하는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와,
    상기 발신번호삭제요청 메시지를 상기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달하는 기지국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번호삭제요청 메시지 정보는 메시지의 종류를 나타내는 아이디(ID)정보,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정보 및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의 종류를 나타내는 아이디(ID)정보는 미리 약 속된 코드정보 또는 특정 기호로 나타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번호는 상기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시스템.
  5.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발신번호를 삭제하는 방법에 있어서,
    발신번호 삭제요청키 입력이 감지되면, 발신번호 삭제요청 메시지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생성된 발신번호 삭제요청 메시지를 상기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과정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번호 삭제요청 메시지는 메시지의 종류를 나타내는 아이디(ID)정보,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정보 및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의 종류를 나타내는 아이디(ID)정보는 미리 약속된 코드정보 또는 특정 기호로 나타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시스템.
  8.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발신번호를 삭제하는 방법에 있어서,
    발신번호 삭제요청키 입력이 감지되면, 발신번호삭제요청 메시지 작성창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적용하여 발신번호삭제요청 메시지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생성된 발신번호삭제요청 메시지를 상기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과정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번호 삭제요청 메시지는 메시지의 종류를 나타내는 아이디(ID)정보,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정보 및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의 종류를 나타내는 아이디(ID)정보는 미리 약속된 코드정보 또는 특정 모양으로 나타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정보 또는 특정 기호를 헤더정보에 삽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시스템.
  12.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저장된 발신번호를 삭제하는 방법에 있어서,
    메시지가 수신되면, 수신된 메시지의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메시지의 종류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메시지가 발신번호를 삭제하기 위한 발신번호삭제요청 메시지이면, 상기 메시지의 정보에 대응되는 발신번호를 삭제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메시지의 정보는 메시지의 종류를 나타내는 아이디(ID)정보,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정보 및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의 종류를 나타내는 아이디(ID)정보는 미리 약속된 코드정보 또는 특정 모양으로 나타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번호는 상기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시스템.
KR1020050064860A 2005-07-18 2005-07-18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발신번호 삭제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7033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4860A KR100703384B1 (ko) 2005-07-18 2005-07-18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발신번호 삭제 방법 및 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4860A KR100703384B1 (ko) 2005-07-18 2005-07-18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발신번호 삭제 방법 및 그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0355A true KR20070010355A (ko) 2007-01-24
KR100703384B1 KR100703384B1 (ko) 2007-04-03

Family

ID=38011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4860A KR100703384B1 (ko) 2005-07-18 2005-07-18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발신번호 삭제 방법 및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3384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9742A (ko) * 2004-06-17 2005-12-22 주식회사 팬택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발신자 표시 정보 처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3384B1 (ko) 2007-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138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착신알림 설정방법
KR100691128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통화불능 대처방법 및 그 이동통신단말기
KR20070098128A (ko) 이동 단말기에서 전화번호 저장/발신 장치 및 방법
KR100762642B1 (ko) 단말기에서 sms 메시지 배경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및 그 단말기
KR100810246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멀티미디어 메시지 수신 방법
KR100725946B1 (ko) 휴대단말의 지역정보 표시방법 및 장치
KR10070338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발신번호 삭제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60016426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관리 방법
KR100850991B1 (ko) 휴대 단말기의 단축 다이얼을 이용하는 방법
KR10055685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 방법
KR100637593B1 (ko) 멀티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0547769B1 (ko) 휴대 단말기에서 통화 중 전화번호 전송방법
KR100681198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메시지를 표시하기 위한 방법
KR100834281B1 (ko) 양방향 레터링 서비스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레터링서비스 방법
KR100557152B1 (ko) 휴대 단말기의 멀티단축기능 수행방법
KR100605956B1 (ko) 휴대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방법
KR100663427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메시지 전송 및 수신방법
KR10107599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수신메시지를 특정 메시지수신함에저장하는 방법
KR100663468B1 (ko) 휴대용 전화기의 단축키를 이용한 이메일 주소 입력방법
KR100605875B1 (ko) 휴대 단말기에서 통화 중 번호 전송방법
KR10079017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메시지 송수신 장치 및 방법
JP2000101735A (ja) 文字情報送受信機能付き電話機
KR100493728B1 (ko) 휴대폰용 전화기의 무료통화서비스 방법
KR101394262B1 (ko) 통신 단말기의 통화 발신 방법
KR101409587B1 (ko) 분실된 휴대 단말기 관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