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10335A - 드레인보드의 코어재 - Google Patents

드레인보드의 코어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0335A
KR20070010335A KR1020050064828A KR20050064828A KR20070010335A KR 20070010335 A KR20070010335 A KR 20070010335A KR 1020050064828 A KR1020050064828 A KR 1020050064828A KR 20050064828 A KR20050064828 A KR 20050064828A KR 20070010335 A KR20070010335 A KR 200700103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material
vertical support
drain board
support
auxiliary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48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99726B1 (ko
Inventor
이임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한아이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한아이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한아이엠
Priority to KR10200500648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9726B1/ko
Publication of KR200700103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03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97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97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02Improving by compacting
    • E02D3/10Improving by compacting by watering, draining, de-aerating or blasting, e.g. by installing sand or wick drains
    • E02D3/103Improving by compacting by watering, draining, de-aerating or blasting, e.g. by installing sand or wick drains by installing wick drains or sand bag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5Shapes polygon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And Reinforcement Of Foundation Soil By Compacting Or Drain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 철도, 공항, 준설토 매립지개량, 항만부지 조성공사 등의 대심도 연약지반 개량 및 수평배수, 건축구조물의 벽면 유입수와 용수처리배수 및 기타 연약지반 내에 타입 또는 압입하여 지중의 간극수를 제거함으로써 지반을 안정화시키기 위한 것으로 드레인 보드의 지반 내부 설치시 토압의 영향으로 인하여 수직지지대와 수직지지대 사이로 필터재가 삽입되어 유로를 폐쇄시켜 배수성능을 감소시키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드레인보드의 코어재에 관한 것인바, 본 발명은 수직지지대와 수직지지대가 일정간격으로 연속 반복되게 설치되고 수평판이 교차로 수직지지대와 수직지지대의 끝단부를 일체로 연결하여 유로를 형성하도록 한 드레인보드의 코어재에 있어서, 상기 수직지지대와 수직지지대 사이에 보조지지대를 형성시킨 것에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드레인보드의 코어재{Core of drain board}
도 1은 일반적인 드레인보드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2는 종래의 코어재가 삽입된 드레인보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종래의 코어재가 삽입된 드레인보드의 작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드레인보드의 코어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a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코어재의 구조를 보여주는 정단면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코어재가 삽입된 드레인보드의 작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정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코어재
2 : 수직지지대
3 : 수평판
4 : 유로
5 : 보조지지대
본 발명은 도로, 철도, 공항, 준설토 매립지개량, 항만부지 조성공사 등의 대심도 연약지반 개량 및 수평배수, 건축구조물의 벽면 유입수와 용수처리배수 및 기타 연약지반 내에 타입 또는 압입하여 지중의 간극수를 제거함으로써 지반을 안정화시키기 위한 것으로 드레인 보드의 지반 내부 설치시 토압의 영향으로 인하여 수직지지대와 수직지지대 사이로 필터재가 삽입되어 유로를 폐쇄시켜 배수성능을 감소시키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드레인보드의 코어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늪지대나 갯벌지대와 같이 토양중에 수분이 많이 포함되어 있는 지대에는 지반이 연약하여 지반 상부에 토목구조물이나 건축물 등이 안정되게 건설될 수 없으므로, 이러한 연약지반에 토목공사나 건축공사를 시행하기 위해서는 먼저 연약한 지반을 단단하게 개량시키는 연약지반 개량공사가 선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연약지반을 단단하게 개량시키는 공사에 채용되는 연약지반 개량공법으로써는, 연약지반에 무수히 많은 기둥을 박고 그 기둥의 선단부에 콘크리트구조물을 설치하여 연약지반을 개량하는 방법과, 연약지반에 약액을 주입하여 약액이 굳어지면서 연약지반에 다수의 파일을 형성하고 그들 파일의 선단부에 구조물을 설치하는 방법과, 연약지반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을 제거하면서 땅을 다져서 연약지반을 단단하게 하는 방법 등이 있다.
상기와 같은 연약지반 개량공법 중 연약지반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을 제거하여 연약지반을 개량하게 되는 공법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연약지반 (800)의 내부에 삽입공을 깊게 형성하여 드레인보드(100)를 수직으로 삽입 설치하거나 또는 전용압입장치가 설치된 크레인을 이용하여 드레인보드(100)를 압입시켜 설치하게 되는데, 이때 연약지반(800)에 포함되어 있던 수분은 수직으로 설치된 드레인보드(100)를 통해 모세관현상에 의해서 지표면으로 상승하게 되며, 이와 같이 지표면으로 상승된 수분은 태양열과 바람에 의해 증발되어 제거되도록 하거나 또는 연약지반(800)의 표면에 도포된 모래층을 통해 지반외부로 배출되도록 하여 제거하므로써, 지반이 자중에 의해 점차 침하되면서 단단하게 다져지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수분제거를 통하여 지반을 압밀시키는 공법에 사용되고 있는 종래의 드레인 보드 코어재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
Figure 112005038745736-PAT00001
” 형과 도면상 미도시된 “
Figure 112005038745736-PAT00002
” 형으로 대별 할 수 있으며 양 측면에 골(공간부)이 형성된 코어재(300)와, 코어재(300)의 외측면을 감싸며 지반내부에 포함된 수분을 흡수하게 되는 필터재(200)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와 같이 구성된 드레인 보드(100)를 연약지반(800)내부에 수직으로 삽입 설치하게 되면, 토양은 필터재(200)에 걸리게 되고 토양내부에 포함된 수분만이 필터재(200)를 통과하여 필터재(200)와 코어재(300)의 골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에 저장되며, 이렇게 저장된 수분은 모세관현상에 의해 코어재(300)의 골을 따라 드레인 보드(100)의 상단부로 상승하여 지표면으로 배출된다.
그러나, 종래의 코어재가 사용되는 드레인 보드(100)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연약지반(800)내부에 수직으로 삽입 설치되어 토양내부에 포함된 수분을 흡수 및 상승시켜 배출하는 과정에서 점차 수분이 배출되어 침하되는 연약지반(800)에 의해 드레인 보드(100)의 양측면으로 강한 토압을 받게 되는데, 이때 드레인 보드(100)의 양측면에 가해지는 강한 토압에 의해서 코어재(300)의 외측면을 감싸는 필터재(200)가 코어재(300)의 골 사이로 함몰되어 필터재(200)와 코어재(300)의 골 사이에 형성되어 수분이 상승하게 되는 공간부가 현저히 감소하게 되거나 심한 경우에는 필터재(200)와 코어재(300)가 협착되어 공간부가 완전히 막혀버리게 되어, 드레인 보드(100)의 시공 작업 후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드레인 보드(100)의 배수성능이 현저히 저하되거나 배수성능 또는 통수기능을 전혀 발휘할 수 없게 되는 치명적인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었다.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고토압에 의한 필터재의 눌림, 수축현상과 수직지지대의 찌그러짐을 방지하여 대심도에서 시간이 경과하여도 통수기능 저하를 최대로 방지하여 배수의 효율을 극대화하도록 한 드레인보드의 코어재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직지지대와 수직지지대가 일정간격으로 연속 반복되게 설치되고 수평판이 지그제그 형태로 수직지지대와 수직지지대의 끝단부를 일체로 연결하여 유로를 형성하도록 한 드레인 보드의 코어재에 있어서, 상기 수직 지지대와 수직지지대 사이에 보조지지대를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인보드의 코어재에 의하여 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드레인 보드의 코어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코어재가 삽입된 드레인 보드의 작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코어재(1)는 수직지지대(2)와 수직지지대(2)가 일정간격으로 연속 반복되게 설치되고 수평판(3)이 지그제그로 수직지지대(2)와 수직지지대(2)의 끝단부를 일체로 연결하여 유로(4)를 형성하도록 한 드레인 보드의 코어재(1)에 있어서, 상기 수직지지대(2)와 수직지지대(2) 사이에 보조지지대(5)를 형성시킨 구조이다.
한편, 첨부도면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지지대(5)가 수직지지대(2) 보다 끝단부가 길게 형성 되거나 또는 짧게 형성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보조지지대(5)가 수직지지대(2) 보다 끝단부가 길게 형성되면 드레인 보드의 양 측면에 가해지는 강한 토압에 의해서 코어재(3)의 외측면을 감싸는 필터재(200)가 코어재(1)의 유로(4)를 형성하는 골 사이로 함몰시 1차적으로 필터재(200)를 먼저 지지하면서 골 사이로의 인입을 방지하여 배수성능 저하를 방지하게 되며, 또한 보조지지대(5)가 수직지지대(4) 보다 끝단부가 짧게 형성되면 코 어재(1)의 골 사이로 인입되는 필터재(1)를 지지 및 차단하는 효과를 갖게 된다.
한편, 첨부도면 도 8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지지대(5)의 두께가 수직지지대(2) 보다 더 두껍게 형성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보조지지대(5)가 수직지지대(2) 보다 두께가 더 두껍게 형성하여 사용하면 드레인 보드의 양 측면에 가해지는 강한 토압에 의해서 지지력이 향상되어 코어재(3)의 파손을 방지하는 효과를 부가하여 얻을 수 있으며, 또한 보조지지대(5)가 복수개 설치되면 드레인 보드의 양 측면에 가해지는 강한 토압에 의해서 코어재(3)의 골 사이로 필터재의 인입이 방지된다.
첨부도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지지대(5)가 형성된 수직지지대(2)와 수평판(3)의 단면형태가 사다리형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예컨데 첨부도면 도 8에서와 같이 U형 및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지지대(5)가 형성된 수직지지대(2)와 수평판(3)의 단면형태가 사각형태를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첨부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보조지지대(5)의 끝단부의 단면이 T형을 형성하도록 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보조지지대(5)의 끝단부의 단면이 T형을 형성시키는 주된 이유는 드레인 보드의 양 측면에 가해지는 강한 토압에 의해서 코어재(1)의 골 사이로 필터재(200)가 인입될 때 상기 필터재(200)를 보다 넓은 면적으로 받쳐주는 효과가 있기 때문이며 상기와 같은 형상으로의 제조도 가능한 이유는 압출 또는 사출에 의해 코어재(1)가 생산되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수직지지대(2)와 수평판(3)에 의해 반복적으로 연속하게 형성된 골에는 보조지지대(5)가 일체로 구비됨에 있어서 토압의 영향으로 인하여 함몰되거나 변형되지 않고 원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토양내부의 수분이 계속 유입되어 배출될 수 있게 됨으로써 연약지반의 배수 작업이 완료될 때까지 드레인 보드의 배수성능이 저하됨이 없이 일정한 배수성능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드레인 보드 코어재의 수직지지대와 수직지지대 사이에 보조지지대를 형성시켜 드레인 보드가 지반내부에 삽입 설치될 때 수직지지대와 수직지지대 사이로 부직포가 삽입되어 유로를 폐쇄시키는 것을 방지되도록 하여 드레인 보드의 배수성능 및 통수기능을 더욱 더 향상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고 기존의 제품보다 탁월한 배수성능 효과를 발휘함으로써 공사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한 건설공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수직지지대와 수직지지대가 일정간격으로 연속 반복되게 설치되고 수평판이 교차로 수직지지대와 수직지지대의 끝단부를 일체로 연결하여 유로를 형성하도록 한 드레인 보드의 코어재에 있어서,
    상기 수직지지대와 수직지지대 사이에 보조지지대를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인보드의 코어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지지대가 수직지지대 보다 끝단부가 길게 형성 되거나 또는 짧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인보드의 코어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지지대가 수직지지대 두께 보다 더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인보드의 코어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지지대와 수평판이 접하는 부분에 리브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인보드의 코어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지지대가 형성된 수직지지대와 수평판의 단면형태가 사각형, 사다리형, U형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인보드의 코어재.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지지대가 2개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인보드의 코어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지지대의 끝단부의 단면이 T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인보드의 코어재.
KR1020050064828A 2005-07-18 2005-07-18 드레인보드의 코어재 KR1006997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4828A KR100699726B1 (ko) 2005-07-18 2005-07-18 드레인보드의 코어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4828A KR100699726B1 (ko) 2005-07-18 2005-07-18 드레인보드의 코어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0851U Division KR200398454Y1 (ko) 2005-07-18 2005-07-18 드레인보드의 코어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0335A true KR20070010335A (ko) 2007-01-24
KR100699726B1 KR100699726B1 (ko) 2007-03-27

Family

ID=38011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4828A KR100699726B1 (ko) 2005-07-18 2005-07-18 드레인보드의 코어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972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3777B1 (ko) * 2007-02-16 2007-11-12 최호길 연약지반의 배수를 위한 nw형 드레인보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6694B1 (ko) 2007-09-18 2009-11-17 주식회사 서웅이엔씨 지하구조물 하부지반의 지하수 집배수장치
KR101307168B1 (ko) * 2013-04-17 2013-09-11 지에스이앤씨(주) 건축물용 영구배수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7013B1 (ko) * 2002-02-04 2004-11-16 배병권 연약지반의 압밀촉진배수용 드레인보드의 코어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3777B1 (ko) * 2007-02-16 2007-11-12 최호길 연약지반의 배수를 위한 nw형 드레인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99726B1 (ko) 2007-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083175A1 (en) Method and device for improving drainage away from buildings
KR100699726B1 (ko) 드레인보드의 코어재
CN110952574A (zh) 用于滑坡变形体治理的方法
KR101045314B1 (ko) 배수 안내구조를 구비하는 옹벽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625658B1 (ko) 개구형 산마루 측구 및 시공방법
KR100789976B1 (ko) 연속배수공간이 구비된 드레인 보드를 이용한 연약지반배수방법
JP4859002B1 (ja) 排水パイプ、排水パイプの製造方法及び地盤の補強工法
KR200398454Y1 (ko) 드레인보드의 코어재
KR100711500B1 (ko) 유공관 보호부재가 구비된 드레인 보드 코어재
KR100457013B1 (ko) 연약지반의 압밀촉진배수용 드레인보드의 코어재
KR100458821B1 (ko) 길이조절식 토류판과 이를 이용한 토류벽 가시설 설치공법
KR100326868B1 (ko) 배수판 및 배수판을 이용한 건물 지하 배수방법
KR101684271B1 (ko) 연약지반 배수재
KR100467234B1 (ko) 패널 삽입식 옹벽 및 옹벽시공방법
KR100932106B1 (ko) 배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배수공법
KR200270268Y1 (ko) 길이조절식 토류판
KR100773777B1 (ko) 연약지반의 배수를 위한 nw형 드레인보드
KR100583558B1 (ko) 건축단지의 조립식 옹벽 구조물
KR200275393Y1 (ko) 연약지반의 압밀촉진배수용 드레인보드의 코어재
KR200405526Y1 (ko) 연약지반 간극수 수평배수구조체
KR200431569Y1 (ko) 판형 배수재
KR102284576B1 (ko) 전방향 배수 구조를 가지는 실린더형 코어재
CN215165261U (zh) 一种水利工程用边坡防护结构
KR200277695Y1 (ko) 연약지반의 압밀촉진용 드레인보드의 심재
JP7266086B2 (ja) ハニカム補強法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