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8764A - 모션 센서를 이용한 정보 거울 디바이스의 동작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모션 센서를 이용한 정보 거울 디바이스의 동작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8764A
KR20070008764A KR1020050062527A KR20050062527A KR20070008764A KR 20070008764 A KR20070008764 A KR 20070008764A KR 1020050062527 A KR1020050062527 A KR 1020050062527A KR 20050062527 A KR20050062527 A KR 20050062527A KR 20070008764 A KR20070008764 A KR 200700087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device
mode
motion sensor
information mirror
mo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25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호
라인환
이지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625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08764A/ko
Publication of KR200700087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87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23Reporting information sensed by appliance or service execution status of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27Reporting to a device within the home network; wherein the reception of the information reported automatically triggers the execution of a home appliance function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5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ine communication networks, e.g. low power modes or reduced link 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션 센서를 이용한 정보 거울 디바이스의 동작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예를 들어 가정 내의 현관 거울 또는 화장 대 등에 설치되는 정보 거울 디바이스에 설치된 모션 센서(Motion Sensor)를 모니터링하여, 소정 시간 동안, 아무런 모션이 감지되지 않으면, 정보 거울 디바이스의 동작 모드를 외출 모드 또는 절전 모드를 변경 설정함으로써, 사용자가, 외부로 외출하기 이전에, 정보 거울 디바이스의 동작 모드가, 외출 모드로 잘못 설정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예방할 수 있게 되며, 또한, 정보 거울 디바이스가 소정 시간 동안 사용되고 있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임의의 동작 모드가 불필요하게 계속 유지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예방할 수 있게 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정보 거울 디바이스, 모션 센서, 외출 모드, 절전 모드, 소정 시간 경과

Description

모션 센서를 이용한 정보 거울 디바이스의 동작 제어방법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information mirror device using motion senso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보 거울 디바이스와 홈 서버가 연결 접속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정보 거울 디바이스에 대한 구성을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션 센서를 이용한 정보 거울 디바이스의 동작 제어방법에 대한 제1 실시예의 동작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모션 센서를 이용한 정보 거울 디바이스의 동작 제어방법에 대한 제2 실시예의 동작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홈 서버 110 : 냉장고
120 : 에어컨 130 : 세탁기
140 : 조명 200 : 디지털 텔레비전
210 : 비디오 도어 폰 300 : 라우터
400 : 정보 거울 디바이스 500 : 인터넷
600 : 콘텐츠 제공서버 700 : 단지 서버
본 발명은, 모션 센서를 이용한 정보 거울 디바이스의 동작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예를 들어 가정 내의 현관 거울 또는 화장 대 등에 설치되는 정보 거울 디바이스(Information Mirror Device)의 동작 모드를, 모션 센서를 이용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모션 센서를 이용한 정보 거울 디바이스의 동작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홈 네트워크(Home Network)란, 사용자가 집안 또는 집밖에서 언제든지 편리하고 안전하게 경제적인 생활 서비스를 즐길 수 있도록 다양한 디지털 가전기기들이 서로 연결된 네트워크를 의미하는 것으로, 디지털 신호 처리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냉장고 또는 세탁기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가전기기들이 점차 디지털 화되고 있다.
한편, 가전기기 용 운영체제(Operation System) 기술과 고속 멀티 미디어(Multi-Media) 통신 기술 등이 디지털 가전기기에 접목됨과 아울러, 새로운 형태의 정보 가전기기들이 등장함에 따라 홈 네트워크 시스템이 더욱 발전하고 있다,
또한, 상기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총괄 제어하는 홈 서버(Home Server)에는, 예를 들어 냉장고, 에어컨, 세탁기, 그리고 조명 등과 같은 다양한 가전기기들이, 전력선 제어(PLC: Power Line Control) 방식 등을 통해 연결 접속될 수 있으며, 또 한 디지털 텔레비전(D-TV) 또는 비디오 도어 폰(Video Door Phone) 등과 같은 다양한 A/V 기기들이, TCP/IP 또는 A/V 신호 라인을 통해, 상기 홈 서버와 연결 접속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홈 서버는, 아파트 단지 내에 설치되는 단지 서버(Complex Server)와 연결 접속될 수 있는 데, 이에 따라, 상기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설치된 가정 내에 거주하는 사용자는, 상기 홈 서버를 통해, 자신이 원하는 임의의 가전기기들을 원격 제어할 수 있게 되며, 또한, 상기 단지 서버와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원하는 정보를 검색 및 요청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최근에는, 가정 내의 현관 거울 또는 화장 대 등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마치 거울을 보듯이 다양한 정보들을 검색 확인할 수 있는 '정보 거울 디바이스(또는 디지털 미러(Digital Mirror) 라고 함)'이 개발 출시되어 상용화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정보 거울 디바이스는, 기기 내의 하드디스크 등과 같은 스토리지(Storage)에 저장된 정보들을, 오디오 및 비디오로 출력 표시하거나, 또는 인터넷을 통해 연결 접속된 콘텐츠 제공 서버(Content Provide Server)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오디오 및 비디오로 출력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상기 정보 거울 디바이스와 홈 서버간의 인터페이스 동작을 통해, 외부 침입자를 감시함과 아울러, 그에 상응하는 일련의 신고 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해결 방안이 아직 마련되어 있지 않아, 그 해결 방안 마련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외부 침입자를 감시하기 위한 동작 모드, 예를 들어 정보 거울 디바이스에서의 외출 모드를 보다 효율적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해결방안과, 사용자가 부재중인 상태에서, 정보 거울 디바이스가, 불필요하게 임의의 동작 모드를 계속 수행 및 유지하게 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예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해결 방안 마련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창작된 것으로서, 예를 들어 가정 내의 현관 거울 또는 화장 대 등에 설치되는 정보 거울 디바이스에 설치된 모션 센서(Motion Sensor)를 모니터링하여, 소정 시간 동안, 아무런 모션이 감지되지 않으면, 정보 거울 디바이스의 동작 모드를, 외출 모드로 변경 설정하거나, 또는 절전 모드로 변경 설정함으로써, 정보 거울 디바이스의 동작 모드를 보다 효율적으로 변경시킬 수 있게 되는 모션 센서를 이용한 정보 거울 디바이스의 동작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모션 센서를 이용한 정보 거울 디바이스의 동작 제어방법은, 정보 거울 디바이스의 동작 모드를, 외출 모드로 변경 설정하기 이전에, 모션 센서를 모니터링하는 1단계; 및 상기 모니터링 결과, 소정 시간 동안, 아무런 모션이 감지되지 않으면, 외출 모드를 설정하여, 그에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2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모션 센서를 이용한 정보 거울 디바이스의 동작 제어방법은, 정보 거울 디바이스에 설치된 모션 센서를 모니터링하는 1단계; 및 상기 모니터링 결과, 소정 시간 동안, 아무런 모션이 감지되지 않으면, 절전모드를 자동으로 설정하는 2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모션 센서를 이용한 정보 거울 디바이스의 동작 제어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보 거울 디바이스와 홈 서버가 연결 접속된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홈 서버(100)에는, 전력선 제어(PLC) 방식을 통해, 냉장고(110), 에어컨(120), 세탁기(130), 그리고 조명(140) 등과 같은 다양한 가전기기들이 연결 접속될 수 있으며, 또한 디지털 텔레비전(200)과 비디오 도어 폰(210) 등과 같은 다양한 A/V 기기들이, TCP/IP 또는 A/V 신호 라인을 통해 연결 접속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홈 서버(10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TCP/IP를 통해 라우터(300)와 연결되므로, 인터넷(500)을 통해 연결 접속된 콘텐츠 제공 서버(600)로부터 제공되는 다양한 정보들을 검색 및 수신할 수 있게 되며, 또한 아파트 단지 내에 설치되는 단지 서버(700)와 랜(LAN)을 통해 연결 접속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정보 거울 디바이스(400)는, 상기 라우터(300)와 TCP/IP를 통해 연결 접속되어, 상기 홈 서버(100)와 인터페이스 동작을 수행하게 되는 데, 상기 정보 거울 디바이스(400)에는,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러 및 터치 스크린부(40), 하프 미러(41), 디스플레이부(42), 카메라(43), 마이크(44), 스피커(45), 디스플레이 구동부(46), A/V 신호 처리부(47), 모션 센서(48), 키 스캔부(49), 마이컴(50), 키 패드(51), 인터페이스부(52), 스토리지(53), 그리고 타이머(54) 등이 포함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 거울 디바이스(400)에서는, 예를 들어, 상기 홈 서버(100)와의 인터페이스 동작을 수행하여, 외출 모드를 설정한 후, 상기 모션 센서(48)에 의해 외부 침입자가 감지되면, 상기 카메라(43)에 의해 촬영되는 감시 영상을 홈 서버(100)로 전송하고, 상기 홈 서버에서는, 외부 침입자 발생을 알리는 메시지를, 사용자의 휴대폰 또는 아파트 단지 내에 설치된 단지 서버(700)로 전송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정보 거울 디바이스(400)에서는, 상기 홈 서버와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출 모드를 설정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키 입력에 의해 외출 모드를 설정하게 되는 경우, 그 이전에, 상기 모션 센서(48)를 모니터링하여, 소정 시간 동안 아무런 모션이 감지되지 않으면, 비로소 외출 모드를 설정하여, 사용자가 미처 외출하지 않은 상태에서, 외출 모드가 잘못 설정되는 오류를 미연에 예방하게 되는 데, 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션 센서를 이용한 정보 거울 디바이스의 동작 제어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를 도시한 것으로, 예를 들어, 상기 정보 거울 디바이스(400)와 홈 서버(100)가 TCP/IP를 통해 연결 접속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홈 서버(100) 상에서, 외출 모드를 선택 입력하는 경우, 상기 홈 서버(100)에서는, 동작 모드를 외출 모드로 설정함(S10)과 아울러, 상기 정보 거울 디바이스(400)를 외출 모드로 변경 설정하기 위한 메시지, 예를 들어 외출 모드 이벤트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정보 거울 디바이스(400)로 송신하게 된다(S11).
한편, 상기 정보 거울 디바이스(400)에서는, 상기 외출 모드 이벤트 메시지에 상응하여, 동작 모드를 외출 모드로 설정하게 되는 데, 이때, 상기 정보 거울 디바이스의 마이컴(50)에서는, 현재의 동작 모드를, 외출 모드로 변경하기 이전에, 상기 모션 센서(48)를 모니터링하게 된다(S12).
그리고, 상기 모션 센서(48)에 의해 아무런 모션이 감지되지 않으면서(S13), 상기 타이머(54)에 의해 카운트된 시간이, 사전에 설정된 소정 시간(예: 5분)을 경과하는 경우(S14), 상기 마이컴(50)에서는, 사용자가 외부로 외출한 상태라고 판단하여, 정보 거울 디바이스의 동작 모드를 외출 모드로 설정하게 된다(S15).
반면, 상기 소정 시간이 경과하기 이전에 모션이 감지되면, 상기 타이머(54)를 리셋(Reset)시킨 후, 다시 모션 센서(48)를 모니터링하는 일련의 동작을 반복 수행하게 되며,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 외출 모드를 설정하게 되면, 상기 모션 센서(48)와 카메라(43) 등을 동작 제어하여, 외부 침입자를 감시 및 촬영하는 일련의 감시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S16).
이에 따라, 상기 정보 거울 디바이스에서는, 외출 모드를 설정하기 이전에, 사용자가 실제로 외출한 상태인 지를 판별한 후, 그 판별 결과에 따라 외출 모드를 설정함으로써, 사용자가 미처 외출하지 않은 상태에서, 외출 모드가 잘못 설정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모션 센서를 이용한 정보 거울 디바이스의 동작 제어방법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동작 흐름도를 도시한 것으로,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정보 거울 디바이스(400) 상에 임의의 한 동작 모드를 설정하게 되면(S20), 상기 마이컴(50)에서는, 그에 상응하는 일련의 동작을 수행하게 되는 데, 이때 상기 마이컴(50)에서는, 사용자가 부재중인 지를 판별하기 위하여, 상기 모션 센서(48)를 모니터링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모션 센서(48)에 의해 아무런 모션이 감지되지 않으면서(S21), 상기 타이머(54)에 의해 카운트된 시간이, 사전에 설정된 소정 시간(예: 5분)을 경과하는 경우(S22), 상기 마이컴(50)에서는, 사용자가 부재중이라고 판단하여, 정보 거울 디바이스의 동작 모드를 절전 모드로 변경 설정하게 된다(S23).
반면, 상기 소정 시간이 경과하기 이전에 모션이 감지되면, 상기 타이머(54)를 리셋(Reset)시킨 후, 다시 모션 센서(48)를 모니터링하는 일련의 동작을 반복 수행하게 되며,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 절전 모드를 설정한 이후에는, 상기 모션 센서(48)에 의해 모션이 감지되면(S24), 그 즉시 절전 모드를 해제하여(S25), 이전의 동작 모드로 변경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정보 거울 디바이스에서는, 소정 시간 동안 사용자가 부재중인 경우, 자동으로 절전 모드를 설정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이상, 전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으로, 당업자라면, 이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개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또다른 다양한 실시예들을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모션 센서를 이용한 정보 거울 디바이스의 동작 제어방법은, 예를 들어 가정 내의 현관 거울 또는 화장 대 등에 설치되는 정보 거울 디바이스에 설치된 모션 센서(Motion Sensor)를 모니터링하여, 소정 시간 동안, 아무런 모션이 감지되지 않으면, 정보 거울 디바이스의 동작 모드를 외출 모드 또는 절전 모드를 변경 설정함으로써, 사용자가, 외부로 외출하기 이전에, 정보 거울 디바이스의 동작 모드가, 외출 모드로 잘못 설정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예방할 수 있게 되며, 또한, 정보 거울 디바이스가 소정 시간 동안 사용되고 있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임의의 동작 모드가 불필요하게 계속 유지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예방할 수 있게 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4)

  1. 정보 거울 디바이스의 동작 모드를, 외출 모드로 변경 설정하기 이전에, 모션 센서를 모니터링하는 1단계; 및
    상기 모니터링 결과, 소정 시간 동안, 아무런 모션이 감지되지 않으면, 외출 모드를 설정하여, 그에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2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션 센서를 이용한 정보 거울 디바이스의 동작 제어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결과, 소정 시간 이내에 모션이 감지되면, 외출 모드 설정을 지연시킨 상태에서, 상기 모션 센서를 계속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모션 센서를 이용한 정보 거울 디바이스의 동작 제어방법.
  3. 정보 거울 디바이스에 설치된 모션 센서를 모니터링하는 1단계; 및
    상기 모니터링 결과, 소정 시간 동안, 아무런 모션이 감지되지 않으면, 절전모드를 자동으로 설정하는 2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션 센서를 이용한 정보 거울 디바이스의 동작 제어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결과, 소정 시간 이내에 모션이 감지되면, 현재의 동작 모드 를 유지시킨 상태에서, 상기 모션 센서를 계속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모션 센서를 이용한 정보 거울 디바이스의 동작 제어방법.
KR1020050062527A 2005-07-12 2005-07-12 모션 센서를 이용한 정보 거울 디바이스의 동작 제어방법 KR200700087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2527A KR20070008764A (ko) 2005-07-12 2005-07-12 모션 센서를 이용한 정보 거울 디바이스의 동작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2527A KR20070008764A (ko) 2005-07-12 2005-07-12 모션 센서를 이용한 정보 거울 디바이스의 동작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8764A true KR20070008764A (ko) 2007-01-18

Family

ID=38010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2527A KR20070008764A (ko) 2005-07-12 2005-07-12 모션 센서를 이용한 정보 거울 디바이스의 동작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0876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0858B1 (ko) * 2010-05-12 2010-07-20 박태용 조명기구의 절전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0858B1 (ko) * 2010-05-12 2010-07-20 박태용 조명기구의 절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73514B2 (en) Network device management technology
US11410535B1 (en) Monitoring system control technology using multiple sensors, cameras, lighting devices, and a thermostat
US9947191B2 (en) Monitoring system
JP2006279927A (ja) 監視制御装置、監視システム、監視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5866551B1 (ja) 監視システム及び監視システムにおける監視方法
JP2007179555A (ja) 監視システム
KR101788770B1 (ko) 가정용 스마트 소켓의 제어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JP5012902B2 (ja) 録画装置
JP2006245829A (ja) 電気機器制御装置、電気機器制御システム、電気機器制御方法、電気機器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06279926A (ja)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CN115668910A (zh) 操作无线设备和图像数据系统
KR20070008764A (ko) 모션 센서를 이용한 정보 거울 디바이스의 동작 제어방법
JP4956160B2 (ja) 監視制御端末
JP5049029B2 (ja) 遠隔監視システム
US11133952B2 (en) Notification control apparatus, detection apparatus, notification control system, notification control method, and detection method
KR20070008765A (ko) 정보 거울 디바이스의 방범 서비스 제공방법
AU2016336004B2 (en) Home automation system device power optimization
KR100682685B1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메시지 전달방법
KR101442235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원격 제어장치
JP5312809B2 (ja) 画面表示装置
JP2008205630A (ja) 遠隔監視システム
JP2008211384A (ja) 住宅設備監視制御システム
JP2006178533A (ja) 遠方監視システム
JP2004289382A (ja) 遠隔制御システム
JP2011066789A (ja) 携帯アプリケーション操作システムおよび該システムを組み込んだ携帯電話ならびにそのための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