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7994A -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핸드오버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핸드오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7994A
KR20070007994A KR1020050062883A KR20050062883A KR20070007994A KR 20070007994 A KR20070007994 A KR 20070007994A KR 1020050062883 A KR1020050062883 A KR 1020050062883A KR 20050062883 A KR20050062883 A KR 20050062883A KR 20070007994 A KR20070007994 A KR 200700079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node
packet
map
address
n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2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00526B1 (ko
Inventor
김재권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628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0526B1/ko
Publication of KR200700079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79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05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05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2Reselecting a serving backbone network switching or routing n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2Buffering or recovering information during reselection ; Modification of the traffic flow during hand-off
    • H04W36/023Buffering or recovering information during re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8Re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6Network addressing or numbering for mobility supp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4Network layer protocols, e.g. mobile IP [Internet Protocol]
    • H04W80/045Network layer protocols, e.g. mobile IP [Internet Protocol] involving different protocol versions, e.g. MIPv4 and MIPv6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핸드오버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마이크로 모빌리티(mobility) 환경에서 계층적 핸드오버 시에 터널링(tunneling) 방식이 아닌 주소변환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오버헤드(overhead) 및 패킷 단편화를 제거하여 원활한 패킷 송수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의 본 발명은 이동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노드와, 상기 이동노드와 통신하는 상대노드와, 상기 이동노드와 링크되어 통신하는 복수의 라우터와, 상기 복수의 라우터 간의 통신을 중계하는 모빌리티 앵커 포인트(Mobility Anchor Point, 이하 "MAP"라 약칭함)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에서의 패킷 전송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노드가 현재 위치한 라우터로부터 의탁주소(CoA)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노드가 상기 획득한 의탁주소를 상대노드 및 상기 MAP에 등록하는 단계와, 상기 MAP가 상대노드로부터 이동노드로의 전송 패킷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MAP가 상대노드에서 이동노드로의 전송 패킷을 확인하면 상기 MAP가 해당 패킷을 가로채서 패킷 내의 목적지 주소를 상기 이동노드의 의탁주소로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노드에 링크된 상기 라우터가 상기 패킷을 상기 이동노드에 라우팅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한다.

Description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핸드오버 방법{METHOD FOR HANDOVER ON MOBILITY NETWORK}
도1은 HMIPv6 기반 네트워크의 토폴로지(topology).
도2는 종래의 핸드오버 과정을 보인 신호 흐름도.
도3은 도2에서 터널링 방식을 보인 신호 흐름도.
도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메시지 처리 흐름을 보인 신호 흐름도.
도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주소변환 과정을 보인 신호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410 : 이동노드(MN) 421,422 : 액세스 라우터(AR)
430 : MAP(모빌리티 앵커 포인트) 440 : 상대노드(CN)
본 발명은 모바일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핸드오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 단말기의 보급, 고속 네트워크의 실현에 따라 인터넷 서비스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즉, 휴대용 컴퓨터나 PDA와 같은 이동 단말기의 성능 향상과 무선통신 기술의 발전으로 사용자 수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인터넷 주소 체계인 IP 주소는 네트워크 식별자 필드와 호스트 식별자 필드로 구성된다. 네트워크 식별자 필드는 네트워크를 구분하기 위한 부분이고, 호스트 식별자 필드는 하나의 네트워크 내에서 호스트를 구분하기 위한 부분이다.
이동 단말기가 다른 네트워크로 이동하면 네트워크 식별자가 달라지고 따라서 이동 단말기의 IP 주소도 달라지게 된다. 이는 IP 계층에서 패킷들은 목적지 주소의 네트워크 식별자에 따라 라우팅(routing)되기 때문에 이동 단말기가 다른 네트워크로 이동한 경우에는 통신을 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만일, 이동한 다른 네트워크에서 계속 통신을 위해서는 네트워크를 옮길 때마다 IP 주소에 해당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식별자를 갖도록 변경하여야 한다.
하지만, IP 주소에 해당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식별자를 갖도록 변경하는 경우에는 상위계층 연결이 보장되지 않는다.
따라서, 기존의 IP 주소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계속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이동성을 보장하여야 한다.
현재 인터넷 환경에서 이동성을 보장하기 위해 Mobile IP(이하 'MIP'라 약칭함)가 제시되었다.
그런데, 근래와 같은 무선 인터넷 사용자의 증가 추세라면 MIPv4의 주소체계가 32비트이기 때문에 계속적으로 늘어나는 IP 주소 요구량을 충족시킬 수 없으므로 현재 차세대 인터넷 프로토콜로 주목받고 있는 128비트 주소체계의 MIPv6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이동성을 제공하고자 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MIPv6는 3개의 관련노드 즉, 상대노드(CN : Correspondent Node), 홈 에이전트(HA : Home Agent), 이동노드(MN : Mobile Node)에만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면 되기 때문에 투명성이 장점으로 부각되었다.
또한, MIPv6는 링크 단절 감지 및 새로운 서브넷으로의 등록도 기존의 IP가 가지고 있던 절차를 그대로 사용하면 된다.
이러한 MIPv6의 기본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동노드(MN)가 홈 네트워크에서 외부 네트워크로 이동하면 상기 이동노드(MN)는 현재 위치한 서브넷의 에이전트로부터 Care-of-Address(의탁 주소, 이하 'CoA'라 약칭함)를 획득한다. 즉, 이동노드(MN)가 현재의 서브넷에서 다른 서브넷으로 이동할 때 상기 이동노드(MN)는 새로운 서브넷으로부터 신규 CoA를 획득한다.
상기 이동노드(MN)는 홈 주소와 상기 신규 CoA를 바인딩(binding)하여 홈 네트워크의 홈 에이전트(HA)와 이동노드(MN) 자신이 통신하고 있는 상대노드(CN)에게 등록한다.
이에 따라, 상대노드(CN)는 이동노드(MN)로 전송하고자 하는 패킷의 목적지를 상기 신규 CoA로 설정하여 해당 패킷을 전송하고, 홈 에이전트(HA)는 원래의 홈 주소를 목적지로 사용하여 상기 이동노드(MN)로 전송되는 패킷을 가로채서 상기 이동노드(MN)에게 터널링(tunneling)한다.
그런데, MIPv6에서는 실시간 트래픽의 요구 증가로 인해 이동 중에 패킷이 손실될 수 있는 문제가 발생된다. 이는 소위 말하는 끊김 현상으로 나타나게 된다.
이를 해결하는 방안으로 Localized Mobility Management(이하 'LMM'이라 약 칭함)이라는 개념이 제안되었다.
LMM은 이동노드(MN)가 새로운 서브넷으로 이동하더라도 홈 에이전트(HA)나 상대노드(CN)에 등록된 바인딩 데이터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상기 이동노드(MN)에 패킷이 라우팅(routing)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다. 즉, 이동노드(MN)의 홈 에이전트(HA) 또는 상대노드(CN)에게 보이는 상기 이동노드(MN)의 IP 주소는 변경됨이 없이 상기 이동노드(MN)를 이동시키는 방법이다.
상기 LMM 조건을 만족하는 기술로서 Hierachical MIPv6(이하 'HMIPv6'라 약칭함)가 제안되었다.
HMIPv6에서는 계층적 모빌리티를 지원하기 위해 이동 앵커 포인트(Mobile Anchor Point, 이하 'MAP'라 약칭함)라는 새로운 노드가 정의되었다. 상기 MAP는 이동노드(MN)가 방문한 도메인 내에 위치하는 라우터(Router)로서 지역 이동 에이전트의 역할을 수행하며, 계층적 구조의 라우터들 중 어느 계층에도 위치될 수 있다.
도1은 HMIPv6의 기본적인 토폴로지(topology)를 도시한 것이다.
도1에서 MAP(130)는 자신에게 등록되어 있는 이동노드(110)에게 전달되는 모든 패킷들을 가로채고, 상기 이동노드(110)의 현재 의탁주소, 즉 on-line CoA(이하 "LCoA"라 약칭함)로 터널링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이동노드(110)는 새로운 MAP 도메인으로 이동하는 경우 그 새로운 MAP로부터 획득한 지역 의탁주소인 Regional CoA(이하 "RCoA"라 약칭함)와 자신의 홈 주소를 바인딩(binding)하여 상대노드(140) 또는 홈 에이전트(150)에 등록한다.
도1에서 미설명부호 '121','122'는 이동노드(110)와 링크되어 통신을 수행하는 액세스 라우터(AR : Access Router)이다.
HMIPv6는 기본 모드(Basic Mode)과 확장 모드(Extended Mode)의 2가지 동작을 실행한다.
우선, 기본 모드(Basic Mode)에서는 이동노드(110)가 MAP(130)의 서브넷 프리픽스(Prefix)와 이동노드(110) 자신의 인터페이스 ID를 더하여 CoA를 Stateless Address Auto Configuration 방식으로 획득하게 된다. 이는 상대노드(140) 또는 홈 에이전트(150)의 관점에서 보았을 때 전역적으로 라우팅 가능한 어드레스이고 실질적으론 MAP(130)까지 도달 가능한 어드레스이다.
상기 Stateless Address Auto Configuration 방식은 이동노드(MN) 자신이 스스로 이용할 IP 주소를 생성하는 방식으로, 각 이동노드 간에 중복되지 않는 고유 식별자(예로, MAC 주소)를 이용하여 IP 주소를 생성한다.
그리고, 확장 모드(Extended Mode)에서는 이동노드(110)이 MAP(130)의 인터페이스 중 하나에 부여된 CoA를 MAP 옵션을 통해 수신하여 그대로 사용한다.
이하, HMIPv6에서의 메시지 흐름을 도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이동노드(110)는 이동할 때마다 패킷을 올바르게 전달하기 위하여 Binding Update(이하 "BU"라 약칭함) 메시지를 MAP(130)으로 보내게 된다. 상기 BU 메시지는 MIPv6의 BU 메시지에 M 플래그를 세팅함으로써 Home Registration이나 Route Optimization 메시지와 구별된다.
상기 이동노드(110)가 바인딩하는 어드레스는 자신의 LCoA이다.
또한, 이동노드(110)는 주변에 있는 MAP을 발견(Discover)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한 하나의 방법은 MAP(130)가 RA(Router Advertisement) 메시지를 보내고, 이동노드(110)가 상기 RA 메시지를 받아 처리하는 방식이다. 이때, RA 메시지의 전파 범위는 이동노드(110)에 대한 무선 인터페이스를 가진 액세스 라우터(AR)(121 또는 122)까지이다.
만일, 이동노드(110)가 새로운 MAP로 이동하였다면 상기 이동노드(110)는 새로운 RCoA를 획득하고, 그 다음에 BU 메시지를 상대노드(140)와 홈 에이전트(150)에 등록하게 된다.
이때, 가용한 확장 필드로는 MAP(130)의 부하에 따라 선택권을 줄 수 있는 Preference 옵션과 노드가 빠르게 이동할 때나 로컬(Local) CN과 통신하고 있을 때 MAP간의 업데이트를 줄이기 위해 MAP까지의 홉(hop) 수를 지정하는 필드가 있다.
따라서, 상대노드(140)가 이동노드(110)로 전송하는 패킷의 목적지를 RCoA로 설정하여 해당 패킷을 전송하면 MAP(130)가 해당 패킷을 가로채서 해당 패킷의 주소를 확인하고 해당 패킷을 액세스 라우터(nAR : new Access Router)(122)를 통해 이동노드(110)로 전송하게 된다.
결론적으로, HMIPv6에서는 계층적 모빌리티(mobility)를 지원하기 위해 MAP 역할을 하는 노드를 두고 토폴로지에 따라 지역 바인딩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바인딩 갱신 시의 지연을 줄일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이동노드(110)가 상대노드(140)로 포워딩하는 패킷 또는 상대노드(140)에서 이동노드(110)로 포워딩(forwarding)되는 패킷은 MAP(130)나 홈 에이전 트(150) 영역에서 혹은 핸드오버 시 관련된 양쪽 노드들간에 터널링(tunneling)되어 전송되게 된다. 이를 통해 이동노드(110)는 상대노드(140) 또는 기존 라우팅 환경으로부터 자신의 존재를 숨길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은 멀티캐스트 또는 대부분의 모빌리티 방법에서 사용되고 있다.
도3은 MAP(130)에서 액세스 라우터(122)로의 터널링을 도시한 것이다. 이는 HMIPv6에서 일반적으로 실행되는 터널링 방식이다. 터널링되는 데이터는 패킷 캡슐화 처리된다. 캡슐화란 IPv4 또는 IPv6 패킷의 데이터 영역에 IPv6 또는 IPv4 패킷을 포함시켜서 전송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HMIPv6 기술은 도메인간 핸드오버에서 기존의 MIPv6와 같은 지연을 가질 수밖에 없고 더구나 MIPv6에서 내세우는 투명성도 그만큼 줄어든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터널링되는 데이터를 패킷 캡슐화 처리를 이용함으로써 실시간 트래픽에서 의도하지 않은 오버헤드를 초래함은 물론 원본 패킷 헤더에 있는 QoS(Quality of Service) 정보를 숨김과 동시에 패킷 단편화(packet fragmentation)도 발생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에는 핸드오버 시에 패킷 전송을 위해 터널링 방식을 사용함으로 터널 양쪽의 노드에서 패킷 캡슐화(encapsulation) 및 디캡슐화(decapsulation)에 따른 오버헤드가 발생하게 되고, 원본 패킷에 있는 QoS가 숨겨지며, 패킷의 크기가 증가됨에 따라 패킷 단편화(packet fragmentation)가 발생할 수도 있는 문제점을 내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마이크로 모빌리티(mobility) 환경에서 계층적 핸드오버 시에 터널링(tunneling) 방식이 아닌 주소변환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오버헤드(overhead) 및 패킷 단편화를 제거하여 원활한 패킷 송수신이 이루어지도록 창안한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핸드오버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즉, 본 발명은 기존의 계층적 핸드오버 절차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터널링 방식을 주소변환 방식으로 대체하여 이동노드(MN : Mobile Node)가 받아야 할 패킷을 보존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을 달성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동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노드와, 상기 이동노드와 통신하는 상대노드와, 상기 이동노드와 링크되어 통신하는 복수의 라우터와, 상기 복수의 라우터 간의 통신을 중계하는 모빌리티 앵커 포인트(Mobility Anchor Point, 이하 "MAP"라 약칭함)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에서의 패킷 전송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노드가 현재 위치한 라우터로부터 의탁주소(CoA)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노드가 상기 획득한 의탁주소를 상대노드 및 상기 MAP에 등록하는 단계와, 상기 MAP가 상대노드로부터 상기 이동노드로의 패킷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MAP가 상대노드로부터 상기 이동노드로의 전송 패킷을 확인하면 상기 MAP가 해당 패킷을 가로채서 패킷 내의 목적지 주소를 상기 이동노드가 획득한 의탁주소로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노드에 링크된 상기 라우터가 상기 패킷을 상기 이동노드에 라우팅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신규 CoA는 MAP의 서브넷 프리픽스와 이동노드 자신의 인터페이스 ID를 더하여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함에 있어서, 하기 설명 및 도면에서 구체적으로 처리 흐름과 같은 많은 특정 상세들을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기재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HMIPv6 프로토콜을 기준으로 터널링을 제거 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설명할 것이다.
본 발명은 최초 등록 시에 HMIPv6 방식을 적용하고, 핸드오버의 시그널링(signaling)에 Fast Handovers for Mobile IPv6(이하 "FMIPv6"라 약칭함) 방식을 적용한다. 이는 새로운 라우터에 연결되기 전에 단말 이동을 감지하고, 라우터 광고(advertisement)를 통한 새로운 서브넷의 주소도 사전에 획득하도록 함으로써 실질적인 지연 감소 효과를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핸드오버 시에 손실될 가능성이 있는 패킷에 대해 이동노드(MN)가 존재하는 영역의 액세스 라우터가 버퍼링을 하도록 함으로써 신뢰성 있는 핸드오버를 달성할 수 있도록 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초기에 이동노드(410)는 홈 에이전트(HA)에서 브로드캐스팅하는 advertisement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홈 에이전트(HA)에 등록을 요청한다.
만일, 홈 에이전트(HA)에서의 advertisement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면 이동노드(410)는 advertisement solicitation 메시지를 상기 홈 에이전트(HA)에 전송하여 등록을 요청한다. 상기 등록 과정은 HMIPv6 기반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대노드(440)로부터 이동노드(410)에 전송되는 패킷은 홈 에이전트(HA)가 가로채서 상기 이동노드(410)에 전달하게 된다.
이후, 이동노드(410)가 홈 에이전트(HA)의 영역을 벗어나 임의의 영역으로 이동한 경우 상기 이동노드(410)는 해당 이동영역의 주소를 획득하여 MAP(430)에 등록한다.
즉, 이동노드(410)가 액세스 라우터(422)의 영역 내로 이동하였다면 상기 이동노드(410)는 액세스 라우터(422)의 주소 LCoA를 획득하여 상대노드(440) 및 MAP(430)에 등록한다.
상기 핸드오버의 시그널링은 FMIPv6 방식으로 이루어지며, 이를 도4에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동노드(410)는 RtSolPr(Router Solicitation Proxy) 메시지를 MAP(430)에 전송하고, 상기 MAP(430)는 PrRtAdv(Proxy Router Advertisement 메시지를 상기 이동노드(41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이동노드(410)는 FBU(Fast Binding Update) 메시지를 MAP(430)로 전송한다. 상기 FBU 메시지에는 이동노드(410)가 액세스 라운터(422)에서 획득한 의탁주소 LCoA가 포함된다.
상기 이동노드(410)가 액세스 라우터(422)의 영역으로 이동한 경우 MAP(430) 는 상기 액세스 라우터(422)에 HI(Handover Initiate)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액세스 라우터(422)는 상기 HI 메시지에 대해 HACK(Handover Acknowledgement) 메시지를 상기 MAP(430)에 전송한다. 이때, MAP(430)는 신규 바인딩 데이터 등록 동작을 실행한다.
이에 따라, 이동노드(410)는 이전의 액세스 라우터(421)의 영역으로부터 새로운 액세스 라우터(422)의 영역으로 이동함에 따른 FBAck(Fast Binding Acknowledgement) 동작을 실행한다.
상기 MAP(430)는 이동노드(410)에서 규정된 패킷을 액세스 라우터(422)로 전송하며, 상기 이동노드(410)로부터 FNA(Fast Neighbor Advertisement)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액세스 라우터(422)는 해당 패킷을 상기 이동노드(410)에 포워딩(forwarding)한다.
그리고, 상대노드(440)에서 라우터 영역이 변경된 이동노드(410)로 패킷을 전송하는 경우 상기 상대노드(440)는 소스를 CN, 목적지 주소를 RCoA로 설정하여 해당 패킷을 전송하게 된다.
이때, 상대노드(440)에서 전송된 패킷은 MAP(430)가 가로채서 목적지 주소를 확인한 후 목적지 주소 RCoA를 LCoA로 변경하여 전송하게 된다. 즉, MAP(430)는 상대노드(440)가 이동노드(410)로 전송하는 패킷을 지역 바인딩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이동노드(410)로 해당 패킷을 전송하기 위해 상기 상대패킷(440)이 설정한 주소 RCoA를 상기 이동노드(410)의 의탁주소 LCoA로 변경하여 전송하게 된다.
이에 따라, 액세스 라우터(422)는 MAP(430)에서 목적지 주소가 변경된 해당 패킷을 수신하여 이동노드(410)에 전송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은 MAP(430)가 상대노드(440)에서 전송되는 패킷에 대해 목적지 주소를 이동노드(410)의 주소 LCoA로 변경하여 상기 상대노드(440)에서 상기 이동노드(410)까지 해당 패킷의 라우팅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핸드오버 시의 시그널링을 FMIPv6 방식을 따르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이동노드(410)가 패킷을 상위 계층으로 전송하는 경우 상기 이동노드(410)는 목적지 주소를 RCoA로 설정하여 전송하게 된다.
한편, 상기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다.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HMIPv6에서 도메인 내 혹은 도메인간 핸드오버 시에 이동노드(MN)로 전송되는 패킷에 대해 액세스 라우터(AR)간의 터널링을 사용하지 않고 주소변환 방법을 사용하여 패킷을 전송하기 때문에 기존의 터널링 방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핸드오버 시에 손실될 가능성이 있는 패킷에 대해 이동노드(MN)가 존재하는 영역의 액세스 라우터가 버퍼링을 하도록 함으로써 신뢰성 있는 패킷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Claims (4)

  1. 이동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노드와, 상기 이동노드와 통신하는 상대노드와, 상기 이동노드와 링크되어 통신하는 복수의 라우터와, 상기 복수의 라우터 간의 통신을 중계하는 모빌리티 앵커 포인트(Mobility Anchor Point, 이하 "MAP"라 약칭함)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에서의 패킷 전송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노드가 현재 위치한 라우터로부터 의탁주소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노드가 상기 획득한 의탁주소를 상대노드 및 상기 MAP에 등록하는 단계와,
    상기 MAP가 상대노드에서 상기 이동노드로의 전송 패킷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MAP가 상대노드로부터 이동노드로의 전송 패킷을 확인하면 상기 MAP가 해당 패킷을 가로채서 해당 패킷 내의 목적지 주소를 상기 이동노드의 의탁주소로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노드에 링크된 상기 라우터가 상기 패킷을 상기 이동노드에 라우팅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핸드오버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의탁주소는 MAP의 서브넷 프리픽스와 이동노드 자신의 인터페이스 ID를 더하여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핸드오버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의탁주소 등록은 HMIPv6 기반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핸드오버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패킷 전송은 FMIPv6 기반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핸드오버 방법.
KR1020050062883A 2005-07-12 2005-07-12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핸드오버 방법 KR1007005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2883A KR100700526B1 (ko) 2005-07-12 2005-07-12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핸드오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2883A KR100700526B1 (ko) 2005-07-12 2005-07-12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핸드오버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7994A true KR20070007994A (ko) 2007-01-17
KR100700526B1 KR100700526B1 (ko) 2007-03-28

Family

ID=38010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2883A KR100700526B1 (ko) 2005-07-12 2005-07-12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핸드오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052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7898B1 (ko) * 2006-09-29 2007-09-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복수의 이동 에이전트 플랫폼들이 존재하는 네트워크에서 이동 노드에 대한 아이피 핸드오프 제공 방법
WO2012115451A2 (ko) * 2011-02-22 2012-08-30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무선 통신망 기반의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에서 이동성 지원을 위한 이동성 관리 서버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4908B1 (ko) * 2002-08-06 2007-06-04 삼성전자주식회사 차세대 인터넷망에서 지역 앵커 포인트를 사용하여 이동노드의 이동성을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0545683B1 (ko) * 2002-12-21 2006-01-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망 이동성 지원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7898B1 (ko) * 2006-09-29 2007-09-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복수의 이동 에이전트 플랫폼들이 존재하는 네트워크에서 이동 노드에 대한 아이피 핸드오프 제공 방법
WO2012115451A2 (ko) * 2011-02-22 2012-08-30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무선 통신망 기반의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에서 이동성 지원을 위한 이동성 관리 서버 및 방법
WO2012115451A3 (ko) * 2011-02-22 2012-12-20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무선 통신망 기반의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에서 이동성 지원을 위한 이동성 관리 서버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0526B1 (ko) 2007-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l-Surmi et al. Mobility management for IP-based next generation mobile networks: Review, challenge and perspective
Zhu et al. A survey of mobility support in the Internet
US8570976B2 (en) Method and system for fast handover in hierarchical mobile IPv6
JP3917623B2 (ja) 次世代インターネットにおける地域アンカーポイントを使用する移動ノードの移動性を支援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US8873507B2 (en) Distributed local mobility anchors for achieving optimized mobility routing
JP2009529265A (ja) 動的ルータ広告を使用する高速ハンドオーバの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EP2003826B1 (en) Realizing fast handover
Dong et al. A network-based mobility management scheme for future Internet
US8400980B2 (en) Fast handover system and method thereof
US8824353B2 (en) Mobility route optimization in a network having distributed local mobility anchors
Jung et al. Fast handover support in hierarchical mobile IPv6
US20110170479A1 (en) Mobilit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Al-Surmi et al. Review on mobility management for future-IP-based next generation wireless networks
EP2844024A1 (en) Mobile node registration method, intercommunication method, switching method and network element
KR100700526B1 (ko)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핸드오버 방법
JP2004080733A (ja) 階層移動体パケット通信ネットワークおよびその通信方法
Lee et al. Global mobility management scheme with interworking between PMIPv6 and MIPv6
Zhang et al. Performance analysis of seamless handover in mobile IPv6-based cellular networks
Elfadil et al. Extended Proxy Mobile IPv6 Scheme Using Global Local Mobility Anchor.
JP2010541302A (ja) 移動ネットワークにネストされた移動ノードが最適経路通信を行うためのシステム、方法及び装置
Tripathi et al. A comparative study on IPv6 based mobility management protocols
Zohra et al. Overview of ipv6 mobility management protocols and their handover performances
Wozniak Mobility management solutions for IP networks
KR101441499B1 (ko) 이종의 모바일 아이피 도메인 간 경로 최적화 방법
Mustakim et al. Simulation of Parallel Duplicate Address Detection (PDAD) for macro handover in HMIPv6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