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5233A - 화면 스크롤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화면 스크롤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5233A
KR20070005233A KR1020050060427A KR20050060427A KR20070005233A KR 20070005233 A KR20070005233 A KR 20070005233A KR 1020050060427 A KR1020050060427 A KR 1020050060427A KR 20050060427 A KR20050060427 A KR 20050060427A KR 20070005233 A KR20070005233 A KR 200700052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key
scroll
screen
mouse poi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04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재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604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05233A/ko
Publication of KR200700052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52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면 스크롤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포인트 스틱 또는 터치 패드의 동작과 특정 키의 조합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된 화면을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스크롤하는, 화면 스크롤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면 스크롤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는 키보드의 키 신호를 수신하는 키 신호 수신부와, 상기 키 신호 중 특정 키 신호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하는 판단부와,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마우스 포인터의 동작 신호를 수신하는 마우스 신호 수신부 및 상기 특정 키 신호 및 상기 마우스 포인터의 동작 신호에 따라 화면을 스크롤하는 스크롤부를 포함한다.
키보드, 마우스 포인터, 스크롤

Description

화면 스크롤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screen-scroll}
도 1은 종래의 스크롤바를 이용한 화면 스크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면 스크롤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면 스크롤이 수행되는 것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롤부로 전달되는 데이터 포맷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면 스크롤 기능을 제공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210 : 키 신호 수신부 220 : 마우스 신호 수신부
230 : 판단부 240 : 스크롤부
250 : 디스플레이부
본 발명은 화면 스크롤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포인트 스틱 또는 터치 패드의 동작과 특정 키의 조합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된 화면을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스크롤하는 화면 스크롤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마우스(Mouse)의 발명과 함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al User Interface, 이하 GUI라 한다)의 역사는 시작되었다. 최초의 GUI 컴퓨터라 불리는 제록스사(Xerox)의 알토(Alto)라는 컴퓨터는 마우스, 그래픽 윈도우, 네트워크 기능과 이를 지원하는 운영 체제(Operating System)를 가졌으며, 이것이 더욱 발전되어 개발된 최초의 상용 시스템인 스타(Star)라는 컴퓨터에는 더블 클릭 및 다중 윈도우 등이 적용되었다.
스타의 출시 이후, 애플 컴퓨터는 리사(Lisa)라는 컴퓨터를 개발하였는데, 메뉴 바, 풀다운 메뉴 등이 처음으로 사용된 리사는 상업적으로도 성공하여 일반인들에게도 알려지게 되었다. 리사의 출현으로 현재 존재하는 GUI의 모든 것이 사실상 완성되었으며, 애플사는 이후 매킨토시(Macintosh)로 불리는 컴퓨터를 통해 대중화에 기여하였다.
마이크로 소프트(Microsoft)사는 매킨토시의 응용 프로그램 제작에 참여하였는데, 이 때 습득한 기술을 바탕으로 자체 운영 체제인 윈도우 1.0을 개발하였다. 초기의 윈도우(Windows) 1.0은 소프트웨어 툴킷에 지나지 않았으나, 점차 발전되어 현재와 같이 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은 사용자를 확보하는 운영 체제가 되었다.
윈도우의 보급 및 인터넷의 등장으로 GUI는 더욱 발전하였으며, 다양한 환경에서 사용자에게 친숙하고 직관적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GUI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GUI 는 편리한 컴퓨터의 사용 및 빠르고 직관적인 정보의 전달을 위해서 사용된다. 사용자는 마우스를 이용하여 마우스 포인터(Mouse pointer)를 움직이고, 마우스 포인터가 가리키는 아이콘을 클릭 또는 더블 클릭함으로써 자신이 원하는 동작을 컴퓨터에 명령할 수 있다. 또한, GUI는 파일 또는 기타 데이터의 정보를 표시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별도의 다이얼로그 창 및 풍선 도움말 등을 통하여 정보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윈도우에 포함된 컨텐츠의 크기가 윈도우의 크기보다 큰 경우, 상하 또는 좌우 스크롤바가 표시되는데, 사용자는 마우스에 구비된 휠을 이용하여 화면 스크롤을 수행하거나 마우스 포인터를 스크롤바에 위치시킨 후에 드래그함으로써 화면 스크롤을 수행할 수 있다.
랩톱(Lap-top)과 같은 휴대용 컴퓨터는 사용자로 하여금 언제 어디서나 간편하게 컴퓨터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정보 입력 수단인 키보드와 마우스 포인터의 동작 명령 수단인 터치 패드(Touch-pad) 또는 포인트 스틱(Point-stick)이 구비되어 있다. 물론, 사용자는 키보드 또는 별도의 마우스를 랩톱에 연결하여 컴퓨터 작업을 할 수도 있으나 이들을 휴대하지 않은 경우에도 자체에 구비된 키보드 및 포인트 스틱 등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컴퓨터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 것이다.
그러나, 터치 패드 또는 포인트 스틱을 이용하여 마우스 포인터를 동작시키는 것은 사용자에게 있어서 쉽지 않은 작업에 속한다. 즉, 터치 패드의 경우에는 그 크기의 협소함으로 인하여 한번의 터치로 화면 전체에 걸친 마우스 포인터의 동작을 수행하기 어렵고, 포인트 스틱의 경우에는 그 동작 방식의 특성으로 인하여 신속하고 정확한 마우스 포인터의 동작을 수행하기 어렵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마우스에 구비된 휠 또는 마우스 포인터의 드래그를 이용하여 화면 스크롤을 수행할 수 있는데, 마우스가 연결되어 있지 않은 랩톱의 경우에는 휠을 이용한 화면 스크롤을 할 수 없으며, 랩톱에 구비된 터치 패드 또는 포인트 스틱을 이용하여 마우스 포인터를 스크롤바에 위치시킨 후에 드래그하는 작업이 용이하지 않다.
도 1은 종래의 스크롤바를 이용한 화면 스크롤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마우스의 휠과 마우스 포인터의 드래그를 이용한 화면 스크롤을 나타내고 있다.
사용자는 마우스의 휠을 회전시켜 상하 또는 좌우로 화면 스크롤을 수행할 수 있고, 마우스의 휠 버튼을 클릭하여 휠 커서(30)를 디스플레이되도록 한 후에 휠 커서(30)의 중심 원과 상하 커서의 거리를 조정하여 상하 스크롤의 속도까지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마우스 포인터(20a, 20b)를 윈도우의 측면에 위치한 스크롤바(15)에 위치시킨 후에 마우스 버튼을 클릭한 상태로 드래그함으로써 화면 스크롤을 수행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화면 스크롤은 마우스가 구비된 컴퓨터에서만 가능한데, 휠 이 구비되어 있지 않고 마우스 포인터의 동작이 용이하지 않은 랩톱에서도 터치 패드 또는 포인트 스틱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화면 스크롤을 구현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포인트 스틱 또는 터치 패드의 동작과 특정 버튼의 조합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된 화면을 상하좌우 방향으로 스크롤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면 스크롤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는 키보드의 키 신호를 수신하는 키 신호 수신부와, 상기 키 신호 중 특정 키 신호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하는 판단부와,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마우스 포인터의 동작 신호를 수신하는 마우스 신호 수신부 및 상기 특정 키 신호 및 상기 마우스 포인터의 동작 신호에 따라 화면을 스크롤하는 스크롤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면 스크롤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은 키보드의 키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키 신호 중 특정 키 신호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마우스 포인터의 동작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 키 신호 및 상기 마우스 포인터의 동작 신호에 따라 화면을 스크롤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면 스크롤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로서, 장치는 키 신호 수신부(210), 마우스 신호 수신부(220), 판단부(230), 스크롤부(240) 및 디스플레이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키 신호 수신부(210)는 키보드의 키 신호를 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데스크톱 또는 랩톱 등에 사용되는 키보드는 일반적으로 문자 키, 기능 키 및 특수 키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문자 키는 숫자, 문자 및 특수 문자 등을 입력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키로서 사용자는 이를 이용하여 문서 작업에 필요한 내용을 입력할 수 있다. 기능 키는 활성화 상태인 응용 프로그램의 특정 기능을 수행하게 하기 위한 키로서 사용자는 메뉴 바에서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메뉴를 검색할 필요 없이 기능 키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특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특수 키는 기능 키와 마찬가지로 응용 프로그램의 특정 기능을 수행하게 하기 위한 키로서 독립적으로 자체 기능을 수행하는 특수 키(이하 독립 특수 키라 한다)와 다른 키와의 조합을 이용하여야만 기능을 수행하는 특수 키(이하 비독립 특수 키라 한다)로 구분될 수 있다. 독립 특수 키는 탭(Tab) 키, 삽입(Insert) 키 및 삭제(Delete) 키 등의 키로서, 사용자는 독립 특수 키에 부여된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해당 독립 특수 키만을 클릭하면 된다. 한편, 비독립 특수 키는 시프트(Shift) 키, 컨트롤(Control) 키 및 얼터네이트(Alternate) 키 등의 키로서, 일반적으로 비독립 특수 키에는 자신만의 특정 기능이 부여되어 있지 않고, 다른 키와의 조합에 의해서만 소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윈도우 운영 체제에서 얼터네이트 키와 탭 키의 조합은 활성 윈도우(응용 프로그램)의 전환을 수행하고, 마이크로 소프트 워드(MS-Word) 프로그램에서 컨트롤 키와 S키의 조합은 현재 작업 중인 문서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키 신호 수신부(210)는 키보드에 구비된 키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키에 의한 조합 신호를 수신하는 것이다.
마우스 신호 수신부(220)는 마우스 포인터의 동작 신호를 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마우스 포인터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하여는 마우스, 터치 패드, 포인트 스틱 및 트랙 볼 등의 수단이 사용될 수 있는데, 마우스 신호 수신부(220)는 이들 수단에 의해 발생된 마우스 포인터의 동작 신호를 수신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마우스 신호 수신부(220)는 마우스 포인터의 동작 신호 발생 수단과의 통신 수단이 구비되 어 있을 수 있는데, 그 통신 수단으로는 범용 직렬 버스(Universal Serial Bus), PS/2(Personal System/2) 및 내부 버스 통신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판단부(230)는 키 신호 수신부(210)가 수신한 키 신호 중 특정 키 신호가 수신되는지 판단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특정 키 신호는 사전에 설정된 화면 스크롤을 위한 키 신호로서 문자 키, 기능 키 및 특수 키 중 하나의 키에 의한 신호이거나 둘 이상의 조합에 의한 신호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특정 키 신호에 대한 목록을 저장하는 저장부가 장치에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화면 스크롤을 수행하려는 응용 프로그램이 문서 작업 프로그램과 같이 문자 키 또는 기능 키의 입력을 받는 프로그램인 경우, 문자 키 또는 기능 키 입력에 따라 작업 중인 문서에 영향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화면 스크롤을 위한 키로는 비독립 특수 키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키 신호는 시프트 키 신호, 컨트롤 키 신호 및 얼터네이트 키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며, 이러한 비독립 특수 키와 기타 문자 키 또는 특수 키의 조합일 수도 있는 것이다.
특정 키 신호 및 마우스 포인터의 동작 신호는 소정의 데이터 포맷으로 스크롤부(240)로 전달된다. 데이터 포맷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4를 통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스크롤부(240)는 전달받은 데이터 포맷에 따라 화면을 스크롤하는 역할을 한다. 즉, 특정 키 신호와 마우스 포인터의 동작 신호가 동시에 발생한 경우, 마우스 포인터의 동작 신호에 대응되도록 화면을 스크롤하고, 특정 키 신호와 마우스 포인 터의 동작 신호가 동시에 발생하지 않은 경우 전달받은 데이터 포맷을 무시하는 것이다.
스크롤은 상하 스크롤 및 좌우 스크롤로 구분될 수 있는데, 스크롤부(240)는 전달 받은 특정 키 신호에 따른 스크롤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하 스크롤에 해당하는 키의 조합이 컨트롤 키와 시프트 키의 조합이고, 좌우 스크롤에 해당하는 키의 조합이 컨트롤 키와 얼터네이트 키의 조합이고 그리고, 상하좌우 스크롤에 해당하는 키의 조합이 얼터네이트 키와 시프트 키의 조합이라고 가정하자.
이 때, 전달받은 특정 키 신호가 컨트롤 키와 얼터네이트 키의 조합에 의한 신호인 경우 스크롤부(240)는 마우스 포인터의 동작 신호 중 좌우 동작 신호만을 감지하여 좌우 스크롤만을 수행한다. 즉, 마우스 포인터의 동작 신호 중 상하 동작 신호는 무시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전달받은 특정 키 신호가 컨트롤 키와 시프트 키의 조합에 의한 신호인 경우 스크롤부(240)는 마우스 포인터의 동작 신호 중 상하 동작 신호만을 감지하여 상하 스크롤만을 수행한다. 즉, 마우스 포인터의 동작 신호 중 좌우 동작 신호는 무시하는 것이다.
그리고, 전달받은 특정 키 신호가 얼터네이트 키와 시프트 키의 조합에 의한 신호인 경우 스크롤부(240)는 마우스 포인터의 동작 신호에 따른 스크롤을 수행한다. 즉, 마우스 포인터의 동작 신호가 좌우 동작인 경우 좌우 스크롤을 수행하고, 마우스 포인터의 동작 신호가 상하 동작인 경우 상하 스크롤을 수행하는 것인데 이에 따라, 좌우 스크롤 및 상하 스크롤이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다.
스크롤부(240)는 특정 키 신호의 수신과 동시에 마우스 포인터의 동작 신호가 수신되는지를 확인한 후에 스크롤을 수행하는데, 화면 스크롤은 특정 키 신호 수신 후 해제 키 신호가 수신되기 전까지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특정 키 신호가 컨트롤 키와 시프트 키의 조합이고, 해제 키 신호가 얼터네이트 키와 시프트 키의 조합인 경우, 스크롤부(240)는 컨트롤 키와 시프트 키의 조합이 눌려진 상태에서 마우스 포인터의 동작 신호에 따라 화면 스크롤을 수행하거나, 컨트롤 키와 시프트 키의 조합이 눌려진 후에 컨트롤 키와 얼터네이트 키의 조합이 눌려질 때까지 마우스 포인터의 동작 신호에 따른 화면 스크롤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스크롤부(240)는 판단부(230)로 하여금 해제 키 신호가 수신될 때까지 마우스 포인터의 동작 신호를 수신하게 할 수 있다.
스크롤이 진행 중에 마우스 포인터의 위치는 최종 위치에 고정되어 있거나 마우스 포인터의 동작 신호에 따라 움직일 수도 있다. 여기서, 마우스 포인터의 동작 신호에 따라 움직이는 경우, 마우스 포인터 동작 범위는 응용 프로그램의 활성화된 작업 영역 이내로 한정될 수 있다. 작업 영역은 스크롤이 수행되는 영역으로서 마이크로 소프트사의 워드를 예로 들면, 작업 중인 문서가 표시되는 영역이 작업 영역에 해당된다.
또한, 응용 프로그램의 내부 윈도우가 분리(split) 윈도우인 경우 각각의 윈도우는 서로 다른 작업 영역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스크롤부(240)는 커서가 위치하고 있는 작업 영역 즉, 활성화된 작업 영역에 대해서만 스크롤을 수행하고, 마우스 포인터의 동작 범위를 한정할 수 있다.
스크롤부(240)에 의한 스크롤의 속도는 기 설정되어 저장된 값 또는 특정 키 신호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사전에 본 발명에 의한 화면 스크롤을 위하여 스크롤 속도를 설정할 수 있는데 이 때, 자신이 원하는 값을 설정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크롤부(240)는 저장된 값에 따른 속도로 스크롤을 수행한다.
또한, 사용자는 특정 키의 조합을 이용하여 스크롤 속도를 설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하 스크롤에 해당하는 키의 조합이 컨트롤 키와 시프트 키의 조합이고, 좌우 스크롤에 해당하는 키의 조합이 컨트롤 키와 얼터네이트 키의 조합이고 그리고, 상하좌우 스크롤에 해당하는 키의 조합이 얼터네이트 키와 시프트 키의 조합이라고 가정하자.
이 때, 이와 같은 특정 키의 조합에 숫자 키를 추가함으로써 스크롤 속도를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숫자의 크기가 클수록 스크롤 속도가 빨라진다고 가정할 때, 스크롤부(240)가 전달받은 특정 키 신호가 컨트롤 키, 시프트 키 및 1번 숫자 키의 조합에 의한 신호인 경우 스크롤부(240)는 가장 느린 속도의 스크롤을 수행하고, 전달받은 특정 키 신호가 컨트롤 키, 시프트 키 및 9번 숫자 키의 조합에 의한 신호인 경우 스크롤부(240)는 가장 빠른 속도의 스크롤을 수행하는 것이다.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윈도우에 포함된 컨텐츠의 크기가 윈도우의 크기보다 큰 경우 상하 또는 좌우 스크롤바가 표시되는데, 일반적으로 스크롤바의 양끝 또는 한쪽 끝에는 스크롤 버튼이 표시된다. 이러한 종래의 스크롤 버튼은 마우스 포인터 에 의해 선택되어 클릭된 경우, 해당 방향으로의 스크롤을 수행하는데 사용되었다.
스크롤부(240)는 스크롤 버튼에 의한 스크롤 효과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스크롤부(240)는 마우스 버튼을 이용한다. 즉, 특정 키 신호와 마우스 버튼 신호의 조합에 따라 스크롤 버튼에 의한 효과의 스크롤을 수행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컨트롤 키와 얼터네이트 키를 누른 상태 또는 누른 후에 마우스 버튼을 클릭함으로써 화면을 스크롤 할 수도 있는 것이다.
디스플레이부(250)는 스크롤부(240)에 의해 스크롤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역할을 한다. 디스플레이부(250)는 CRT(Cathode Ray Tube) 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와 같은 디스플레이 수단이 구비된 모듈로서 장치에 부착되거나 별도의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면 스크롤이 수행되는 것을 나타낸 개념도로서, 분리 윈도우인 경우에서의 화면 스크롤을 나타내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분리 윈도우는 서로 다른 작업 영역(300a, 300b)을 형성하는데, 도 3에서는 2개의 분리 윈도우에 의한 작업 영역(300a, 300b)이 형성된 것을 나타낸다. 이하, 왼쪽의 작업 영역을 제 1 작업 영역(300a), 오른쪽의 작업 영역을 제 2 작업 영역(300b)이라 한다.
제 1 작업 영역(300a) 및 제 2 작업 영역(300b)에 있는 컨텐츠의 크기가 각 작업 영역의 크기보다 크므로 각 분리 윈도우에는 스크롤바(350a, 350b)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작업 영역상에 표시되지 않은 컨텐츠를 확인하기 위하여 화면을 스크롤하는데 이 때, 특정 키 및 마우스 포인터(310a)의 동작 조합 (390)을 이용한다.
예를 들어, 상하 스크롤에 해당하는 키의 조합이 컨트롤 키와 시프트 키의 조합이고, 좌우 스크롤에 해당하는 키의 조합이 컨트롤 키와 얼터네이트 키의 조합이고 그리고, 상하좌우 스크롤에 해당하는 키의 조합이 얼터네이트 키와 시프트 키의 조합이라고 가정하자.
이 때, 사용자가 컨트롤 키와 시프트 키를 누른 상태 또는 누른 후에 마우스 포인터를 동작시키면(390) 활성 작업 영역에서 화면 스크롤이 수행되는데, 커서의 위치가 제 2 작업 영역(300b)에 있다고 가정하면 제 2 작업 영역(300b)이 활성 작업 영역이므로 제 2 작업 영역(300b)에서 화면 스크롤이 수행된다.
도 3에서는 마우스 포인터의 위치가 아래로 향한 것을 나타내고 있고, 이에 따라 아래 방향으로 화면 스크롤이 수행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 때, 마우스 포인터(310a)의 위치는 화면 스크롤이 수행되기 바로 직전의 위치일 수도 있고, 작업 영역(300a, 300b)상의 범위를 한계로 한정될 수 있다. 즉, 특정 키가 눌려진 상태 또는 눌려진 이후에, 마우스 포인터(310a)는 제 2 작업 영역(300b) 안에서만 이동할 수 있으며, 제 2 작업 영역(300b) 밖으로는 이동할 수 없게 된다.
또한, 마우스 포인터(310a)가 작업 영역의 일측면에 도달한 경우에는 해당 방향으로의 스크롤을 알려주기 위하여 다른 모양의 마우스 포인터(310b)로 표시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눌려진 특정 키 버튼을 해제하거나 별도의 특정 키 버튼을 클릭함 으로써, 본 발명의 화면 스크롤을 중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롤부(240)로 전달되는 데이터 포맷을 나타낸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판단부(230)는 키 신호 수신부(210)가 수신한 키 신호 중 특정 키 신호가 수신되는지 판단하는 역할을 한다. 판단 결과에 따라 수신된 마우스 포인터의 동작 신호는 소정의 데이터 포맷의 형태로 스크롤부(240)로 전달되는데, 전달되는 데이터 포맷에는 특정 키 신호와 마우스 포인터의 동작 신호가 동시에 발생하였는지를 나타내는 동시 발생 필드(410)와 특정 키 신호 필드(420), 마우스 포인터의 동작 신호 필드(430) 및 마우스 버튼 신호 필드(440)가 포함될 수 있다.
동시 발생 필드(410)는 특정 키 신호와 마우스 포인터의 동작 신호가 동시에 발생하였는지 여부에 따라 0 또는 1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즉, 동시에 발생하지 않은 경우 0의 값을 갖고, 동시에 발생한 경우 1의 값을 가질 수 있는데, 스크롤부(240)는 동시 발생 필드(410)의 값이 0인 경우 전달 받은 데이터 포맷을 무시하고, 동시 발생 필드(410)의 값이 1인 경우 나머지 필드의 값을 확인한다.
특정 키 신호 필드(420)는 키 신호 수신부(210)에 의해 수신된 신호를 나타내는 필드로서 키보드의 키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에 의해 발생된 신호에 대한 필드이다. 특정 키 신호 필드(420)에는 사용자에 의해 클릭된 키의 목록이 명시될 수 있으며, 각 특정 키의 조합에 대응되는 소정의 값이 명시될 수도 있다. 즉, 컨트롤 키, 얼터네이트 키, 시프트 키, 컨트롤 키와 얼터네이트 키의 조합, 컨트롤 키와 시프트 키의 조합 얼터네이트 키와 시프트 키의 조합을 각각 1~6의 값에 대응시킨 후에 특정 키 신호 필드(420)에는 특정 키 신호에 대응되는 값이 명시되는 것이다.
또한, 특정 키 신호 필드(420)에는 화면 스크롤 해제 키 신호에 대응되는 값이 명시될 수도 있는데, 스크롤부(240)는 화면 스크롤 해제 키 신호를 확인하고 화면 스크롤을 해제한다.
마우스 포인터의 동작 신호 필드(430)는 마우스 포인터의 동작 방향에 대한 필드로서 마우스 포인터의 동작 신호 필드(430)에는 특정 키 신호가 수신된 이후에 발생된 마우스 포인터의 움직임이 명시된다.
본 발명의 화면 스크롤에 따라 특정 키가 입력되면 마우스 포인터는 해당 작업 영역의 중심에 위치하고, 작업 영역의 중심을 기준으로 동작 방향에 따른 화면 스크롤이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마우스 포인터의 동작 신호 필드(430)에는 작업 영역의 중심을 기준으로 마우스 포인터의 상대적 위치가 명시되는 것인데, 여기에는 작업 영역의 중심과 마우스 포인터의 거리가 포함될 수 있으며, 거리는 화면 스크롤 속도에 이용될 수도 있다.
마우스 버튼 신호 필드(440)는 마우스 버튼 클릭에 의해 발생된 신호가 명시되는 필드로서 왼쪽 버튼 및 오른쪽 버튼에 대응되는 값이 명시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마우스 버튼 신호 필드(440)는 스크롤 버튼에 의한 스크롤 효과를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면 스크롤 기능을 제공하는 과정을 나타 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면 스크롤을 제공하기 위하여 키 신호 수신부(210)는 키보드의 키 신호를 수신한다(S510). 여기서, 키 신호는 문자 키, 기능 키, 특수 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나, 작업 영역 내에 있는 컨텐츠에 영향을 주지 않기 위하여 특수 키가 사용될 수 있으며, 특수 키와 문자 키 또는 기능 키의 조합이 사용될 수도 있다.
키 신호 수신 중 또는 수신 후에 마우스 신호 수신부(220)는 마우스 포인터의 동작 신호를 수신한다. 마우스 포인터의 동작 신호는 마우스, 터치 패드 또는 포인트 스틱을 통하여 수신될 수 있다.
수신된 키 신호는 판단부(230)로 전달되는데, 판단부(230)는 키 신호 중 특정 키 신호의 수신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한다(S520). 여기서, 특정 키 신호는 본 발명의 화면 스크롤을 수행하기 위하여 사전에 설정된 키에 의한 신호로서, 키보드의 키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에 의한 신호일 수 있다.
판단 결과에 따라, 판단부(230)는 마우스 신호 수신부(220)로 하여금 마우스 포인터의 동작 신호를 수신하게 하고(S530), 수신된 특정 키 신호 및 마우스 포인터의 동작 신호를 소정의 데이터 포맷 형태로 스크롤부(240)로 전달한다. 데이터 포맷은 도 4를 통하여 전술하였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스크롤부(240)는 전달받은 데이터 포맷을 이용하여 화면을 스크롤한다(S540). 즉, 특정 키 신호와 마우스 포인터의 동작 신호가 동시에 수신된 경우, 마우스 포인터의 동작 신호에 대응되도록 화면을 스크롤하고, 특정 키 신호와 마우스 포인터의 동작 신호가 동시에 발생하지 않은 경우 전달 받은 데이터 포맷을 무시하는 것이다. 스크롤부(240)에 의한 화면 스크롤을 좌우 스크롤, 상하 스크롤 및 상하좌우 스크롤로 구분될 수 있으며, 각 스크롤은 활성 작업 영역에서만 수행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0)는 스크롤부(240)에 의해 스크롤된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S550).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화면 스크롤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포인트 스틱 또는 터치 패드의 동작과 특정 버튼의 조합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된 화면을 상하좌우 방향으로 스크롤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마우스의 휠 또는 마우스 포인터의 드래그 없이 간편하게 화면을 스크롤 할 수 있게 하는 장점이 있다.
둘째, 포인트 스틱 또는 터치 패드의 동작과 특정 버튼의 조합을 이용하여 활성화된 윈도우를 상하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마우스 포 인터의 드래그 없이 간편하게 윈도우를 이동시킬 수 있게 하는 장점도 있다.

Claims (5)

  1. 키보드의 키 신호를 수신하는 키 신호 수신부;
    상기 키 신호 중 특정 키 신호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하는 판단부;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마우스 포인터의 동작 신호를 수신하는 마우스 신호 수신부; 및
    상기 특정 키 신호 및 상기 마우스 포인터의 동작 신호에 따라 화면을 스크롤하는 스크롤부를 포함하는 화면 스크롤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키 신호는 상기 키보드의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키의 조합에 의한 신호를 포함하는 화면 스크롤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롤부는 상기 마우스 포인터의 동작 신호에 따라 상기 화면을 상하 또는 좌우로 스크롤하는 화면 스크롤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
  4. 키보드의 키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키 신호 중 특정 키 신호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마우스 포인터의 동작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 키 신호 및 상기 마우스 포인터의 동작 신호에 따라 화면을 스크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면 스크롤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키 신호는 상기 키보드의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키의 조합에 의한 신호를 포함하는 화면 스크롤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KR1020050060427A 2005-07-05 2005-07-05 화면 스크롤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KR200700052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0427A KR20070005233A (ko) 2005-07-05 2005-07-05 화면 스크롤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0427A KR20070005233A (ko) 2005-07-05 2005-07-05 화면 스크롤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5233A true KR20070005233A (ko) 2007-01-10

Family

ID=37870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0427A KR20070005233A (ko) 2005-07-05 2005-07-05 화면 스크롤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0523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0543B1 (ko) * 2008-02-15 2014-1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0543B1 (ko) * 2008-02-15 2014-1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74352B1 (en) Dynamic expansion of data visualizations
US1011449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6037937A (en) Navigation tool for graphical user interface
US10528252B2 (en) Key combinations toolbar
US8739038B2 (en) Floating action buttons
JP4631150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方法、並びに記録媒体
US6310610B1 (en) Intelligent touch display
US10254927B2 (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workspace views
US6643721B1 (en) Input device-adaptive human-computer interface
US9465457B2 (en) Multi-touch interface gestures for keyboard and/or mouse inputs
US9588680B2 (en) Touch-sensitive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US7055110B2 (en) Common on-screen zone for menu activation and stroke input
US10901614B2 (en) Method and terminal for determining operation object
US2008023888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gramming an interactive stylus button
WO1999028811A1 (en) Contextual gesture interface
WO2014052870A1 (en) Selection of characters in a string of characters
JP2000122808A (ja) 入力処理方法及び入力制御装置
US20190050115A1 (en) Transitioning between graphical interface element modalities based on common data sets and characteristic of user input
KR20130099746A (ko) 그래픽 오브젝트 플로팅 기능을 갖는 모바일 디바이스 및 그 실행 방법
WO201416337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text in electronic device having touchscreen
US9830056B1 (en) Indicating relationships between windows on a computing device
JP2015050755A (ja)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20048966A (ko) 가상 키보드 제공 장치 및 방법
EP2746918B1 (en) Fragmented scrolling of a page
KR20070005233A (ko) 화면 스크롤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801 Dismissal of trial

Free format text: REJECTION OF TRIAL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20329

Effective date: 201207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