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3220A - 치과용 보철물 - Google Patents

치과용 보철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3220A
KR20070003220A KR1020050059000A KR20050059000A KR20070003220A KR 20070003220 A KR20070003220 A KR 20070003220A KR 1020050059000 A KR1020050059000 A KR 1020050059000A KR 20050059000 A KR20050059000 A KR 20050059000A KR 20070003220 A KR20070003220 A KR 200700032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utment
fixing member
dental prosthesis
denture
fitting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90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98931B1 (ko
Inventor
강승종
차승라
Original Assignee
강승종
차승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승종, 차승라 filed Critical 강승종
Priority to KR10200500590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8931B1/ko
Publication of KR200700032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32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89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89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225Fastening prostheses in the mouth
    • A61C13/275Fastening prostheses in the mouth removably secured by using bridging bars or rails between residual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225Fastening prostheses in the mouth
    • A61C13/26Dentures without palates; Partial dentures, e.g. brid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225Fastening prostheses in the mouth
    • A61C13/265Sliding or snap attachments
    • A61C13/2653Sliding attach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실된 치아를 대신하여 삽입되는 의치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지대치를 최소한으로 삭제할 수 있는 동시에 시술이 간편하고 장기간 사용하여도 의치가 이탈되지 않도록 한 치과용 보철물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르면, 일측에는 상실부위 양쪽의 지대치(10)에 형성된 단일의 오목부(11) 내에 삽입될 수 있는 볼록부(21)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끼움돌기(2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실부위 양쪽의 상기 지대치(10)에 서로 마주하도록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부재(20);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20)의 끼움돌기(22)가 끼워질 수 있도록 양측에 홈(31)이 형성되어 있는 의치(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보철물 및 그 설치방법이 제공된다.
치과, 보철물, 의치, 지대치, 오목부, 볼록부, 고정부재, 끼움돌기, 홈

Description

치과용 보철물 및 그 설치방법{Dental prosthesis and mounting method thereof}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치과용 보철물의 설치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또 다른 치과용 보철물의 설치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보철물을 지대치에 설치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보철물을 설치하기 위하여 지대치에 오목부를 형성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및 평면도,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보철물을 지대치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평면도 및 정면도이다.
본 발명은 치과용 보철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손실된 치아를 대신하여 삽입되는 의치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지대치를 최소한으로 삭제할 수 있는 동시에 시술이 간편하고 장기간 사용하여도 의치가 이탈되 지 않도록 한 치과용 보철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아는 음식물을 잘게 부수는 저작기능 이외에도 발음 및 심미적 기능이 있다. 이러한 치아가 상실될 경우, 음식물을 제대로 섭취하지 못해 영양공급에 문제가 생기거나 상실된 치아의 주변 치아들이 기울어져 상하 치아의 교합이 불일치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인간의 치아는 아동기의 유치가 영구치로 교체된 이후에는 치아를 상실하여도 더 이상 새로운 치아가 생겨나지 않으므로 상실부위 양 옆의 치아들을 적절한 모양으로 삭제하여 치아가 없는 부위를 의치로 연결하는 치료법이 공지되어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치료법 중 하나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치료법은, 상실부위 양쪽 치아를 지대치로 하여 이 양쪽 지대치(110)의 교합면과 주위면을 1 내지 3㎜ 정도 삭제한 후 인상재를 이용하여 모형을 체득하여 기공사에 의해 보철물(120; 일명 크라운 브리지)을 제작하고, 이 보철물(120)을 삭제한 지대치(110)에 덮어 씌우는 브리지 방식을 취한다.
이와 같은 브리지 방식의 치료법은 간편하고 저렴한 시술방법이긴 하지만, 보철물(120)이 씌워지는 정상적인 지대치(110)를 상당부분 삭제하여야 하므로 시술과정 중에 환자에게 상당한 고통을 주고, 정상치였던 지대치(110)의 가공시 치아의 신경이 훼손되거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보철물(120)을 씌운 상태에서 장기간 사용하다 보면 보철물과 지대치 사이가 벌어져 충치로 전이되어 버리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종래 치료법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턱뼈 속에 나사를 심고 이 나사에 의치를 고정시킨 임플란트 방식의 치료법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임플란트 방식 치료법은 장기간의 시술기간이 소요되고 시술비용이 고가라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신경과 혈관 등의 조직을 피해 턱뼈 내부에 나사를 심어야 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최근 이러한 브리지 방식 치료법의 문제점과 임플란트 방식 치료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치료법이 제안되었다.
도 2에 도시된 치료법의 시술은 다음의 수순으로 실시한다. 우선, 상실부위 양쪽 치아를 지대치로 하여 이 양쪽 지대치(210)의 일측 표면에 복수개의 구멍(211)을 형성하고, 일측에는 이 구멍(211)에 삽입 고정될 수 있는 핀(221)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횡단면이 대략 I자 형상을 가지는 끼움돌기(222)가 구비되는 고정부재(220)를 제작하여 이 고정부재(220)의 핀(221)을 지대치(210)의 구멍(211)에 삽입 고정시킴으로써 지대치(210)에 고정부재(220)를 장착시킨다. 그 다음 이 고정부재(220)의 끼움돌기(222)의 횡단면 형상에 상응하는 홈(231)이 형성되어 있는 의치(230)를 삽입 고정시킴으로써 치료가 완료된다.
그러나 도 2에 도시된 종래 치료법은 상실된 부위의 양쪽 치아에 있어서 마주보는 쪽 표면에 구멍(211)을 형성해야 하므로 치료공간이 협소하여 시술자의 시술이 불편하고, 이와 같이 불편한 자세로 행한 시술이 불완전하여 사용중에 지대치로부터 고정부재(220)가 이탈되어 버리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또한, 고정부재(220)가 지대치(210)에 튼튼히 고정되기 위해서는 적어도 2개 의 핀(221)과 구멍(211)이 요구되는데, 이 때 2개 이상의 구멍(211)은 반드시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어야만 고정부재(220)를 지대치(210)에 끼워넣을 수 있다. 그러나, 치료공간의 협소 등의 이유로 2개 이상의 이 구멍(211)들이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도록 하기 위해서 많은 노력과 시간이 필요하며, 구멍(211)들이 서로 평행하지 않게 형성되어 버린 경우에는 이를 교정하기 위한 재시술을 행해야 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손실된 치아를 대신하여 삽입되는 의치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지대치를 최소한으로 삭제할 수 있는 동시에 시술이 간편하고 장기간 사용하여도 의치가 이탈되지 않도록 한 치과용 보철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라서, 일측에는 상실부위 양쪽의 지대치에 형성된 단일의 오목부 내에 삽입될 수 있는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끼움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실부위 양쪽의 상기 지대치에 서로 마주하도록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부재;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의 끼움돌기가 끼워질 수 있도록 양측에 홈이 형성되어 있는 의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보철물이 제공된다.
여기에서, 단일의 상기 오목부는, 상기 고정부재가 어금니 부위에 적용될 경우에는 양쪽 지대치의 교합면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가 어금니 이외의 부위에 적용될 경우에는 양쪽 지대치의 구강 내측 표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를 정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끼움돌기는 치근방향으로 향할수록 구강 내측을 향하도록 기울어지게 형성되며, 상기 의치에 형성되어 있는 홈 역시 상기 끼움돌기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끼움돌기의 기울기에 상응하도록 기울어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끼움돌기는 치근방향으로 향할수록 구강 내측을 향하도록 교합면에 수직인 가상의 직선에 대하여 15 내지 25도만큼 기울어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된 치과용 보철물을 설치하는 방법으로서, 상실부위 양쪽 치아를 지대치로 하여 이 양쪽 지대치에 각각 하나씩의 오목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지대치에 오목부를 형성한 후 인상재를 이용하여 모형을 채득한 다음, 고정부재와 의치를 제작하는 단계; 제작된 상기 고정부재를 이 고정부재의 볼록부가 지대치의 오목부에 삽입되도록 하여 양쪽 지대치에 고정시키는 단계; 고정된 상기 고정부재의 끼움돌기에 상기 의치의 홈을 맞춰 끼워넣음으로써 의치를 제자리에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보철물 설치방법이 제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보철물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치 과용 보철물은, 일측에는 상실부위 양쪽의 지대치(10)에 형성된 단일의 오목부(11) 내에 삽입될 수 있는 볼록부(21)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횡단면이 대략 I자 형상을 가지는 끼움돌기(22)가 형성되어 있는 고정부재(20)와, 상기 고정부재(20)의 끼움돌기(22)가 끼워질 수 있도록 양측에 홈(31)이 형성되어 있는 의치(30)를 포함한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의 상기 오목부(11)는 양쪽 지대치(10)의 교합면에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오목부(11)는 양쪽 지대치(10) 각각의 치아 상실부위를 향한 측면과 교합면의 경계 부위로부터 교합면을 향하여 오목하게 구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필요하다면 지대치(10)는 오목부(11)가 형성되는 이외에도 적절하게 최소한으로 삭제될 수도 있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상기 고정부재(20)의 마주하는 측면에는 끼움돌기(22)가 각각 상하방향으로 뻗어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들 끼움돌기(22)는 치근방향으로 향할수록 그 두께가 미세하게 넓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의치(30)의 확실한 결합을 위해서 바람직하다.
또한, 도 5c 및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고정부재(20)를 정면에서 보았을 때, 끼움돌기(22)가 치근방향으로 향할수록 구강 내측을 향하도록 기울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c에는 끼움돌기(22)의 형상이 대략 직각 삼각형을 이루는 예가 도시되어 있고, 도 5d에는 끼움돌기(22)의 형상이 대략 평행사변형을 이루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통상 음식물을 씹을 때의 힘이 치아의 상하방향으로 가해지므로, 고정부재(20)의 끼움돌기(22)가 상하방향, 즉 교합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뻗어있으면 치아의 상하방향을 따라 반복적으로 가해지는 힘에 의해서 의치(30)가 이 끼움돌기(22)를 따라서 상하방향으로 미세하게 움직일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은 의치(30)의 미세 운동이 반복되면 의치(30)가 고정부재(20)로부터 이탈되어 버릴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끼움돌기(22)가 치근방향으로 향할수록 구강 내측을 향하도록 교합면에 수직인 가상의 직선에 대하여 대략 15 내지 25도 정도 기울어지게 형성하는 것이 힘의 작용을 분산시킬 수 있어 바람직하다. 이 기울기가 15도보다 작으면 힘의 분산효과를 거의 거둘 수 없어 바람직하지 않고, 이 기울기가 25도보다 크면 의치 내에 적절한 크기의 홈을 형성할 수 없어 바람직하지 않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의치(30)에 형성되어 있는 홈(31) 역시 상기 끼움돌기(22)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끼움돌기(22)의 기울기에 상응하도록 기울어지는 것은 물론이다.
도 3 내지 도 5c에는 본 발명의 치과용 보철물이 어금니 부위에 적용된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치과용 보철물은 앞니나 송곳니 부위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만, 본 발명의 치과용 보철물은 앞니나 송곳니 부위에 적용될 경우에는 오목부의 형성 위치가 지대치의 교합면보다는 구강 내측 표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보철물을 설치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상실부위 양쪽 치아를 지대치로 하여 이 양쪽 지대치(10)에 각각 하나씩의 오목부(11)를 형성한다. 여기에서, 상기 지대치(10)가 어금니인 경우에는 교합면 상에 오목부를 형성하지만, 송곳니나 앞니인 경우에는 구강 내측 표면에 오목부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지대치(10)에 오목부(11)를 형성한 후 인상재를 이용하여 모형을 채득한 다음, 고정부재(20)와 의치(30)를 제작한다.
제작된 고정부재(20)를 이 고정부재의 볼록부(21)가 지대치의 오목부(11)에 삽입되도록 하여 양쪽 지대치(10)에 고정시키고, 고정된 고정부재의 끼움돌기(22)에 의치의 홈(31)을 맞춰 끼워넣음으로써 의치(30)를 제자리에 위치시킨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손실된 치아를 대신하여 삽입되는 의치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지대치를 최소한으로 삭제할 수 있는 동시에 시술이 간편하고 장기간 사용하여도 의치가 이탈되지 않도록 한 치과용 보철물이 제공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각각의 지대치의 교합면 혹은 구강 내측 표면에 구형상 오목부만을 형성하기 때문에 시술이 간편하고 지대치의 삭제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지대치에 고정되는 고정부재의 끼움돌기와, 이 끼움 돌기가 삽입되는 의치의 홈이 교합면에 수직인 가상의 직선에 대하여 치근쪽으로 갈수록 구강 내측을 향하여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음식물을 씹는 힘이 분산되어 장기간의 사용 후에도 의치가 이탈되어 버리는 것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Claims (5)

  1. 일측에는 상실부위 양쪽의 지대치(10)에 형성된 단일의 오목부(11) 내에 삽입될 수 있는 볼록부(21)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끼움돌기(2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실부위 양쪽의 상기 지대치(10)에 서로 마주하도록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부재(20);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20)의 끼움돌기(22)가 끼워질 수 있도록 양측에 홈(31)이 형성되어 있는 의치(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보철물.
  2. 제 1 항에 있어서,
    단일의 상기 오목부(11)는, 상기 고정부재(20)가 어금니 부위에 적용될 경우에는 양쪽 지대치(10)의 교합면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20)가 어금니 이외의 부위에 적용될 경우에는 양쪽 지대치(10)의 구강 내측 표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보철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20)를 정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끼움돌기(22)는 치근방향으로 향할수록 구강 내측을 향하도록 기울어지게 형성되며, 상기 의치(30)에 형성되어 있는 홈(31) 역시 상기 끼움돌기(22)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끼움돌기(22)의 기울기에 상응하도록 기울어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보철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돌기(22)는 치근방향으로 향할수록 구강 내측을 향하도록 교합면에 수직인 가상의 직선에 대하여 15 내지 25도만큼 기울어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보철물.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치과용 보철물을 설치하는 방법으로서,
    상실부위 양쪽 치아를 지대치로 하여 이 양쪽 지대치(10)에 각각 하나씩의 오목부(11)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지대치(10)에 오목부(11)를 형성한 후 인상재를 이용하여 모형을 채득한 다음, 고정부재(20)와 의치(30)를 제작하는 단계;
    제작된 상기 고정부재(20)를 이 고정부재의 볼록부(21)가 지대치의 오목부(11)에 삽입되도록 하여 양쪽 지대치(10)에 고정시키는 단계;
    고정된 상기 고정부재의 끼움돌기(22)에 상기 의치의 홈(31)을 맞춰 끼워넣음으로써 의치(30)를 제자리에 위치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보철물 설치방법.
KR1020050059000A 2005-07-01 2005-07-01 치과용 보철물 KR1006989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9000A KR100698931B1 (ko) 2005-07-01 2005-07-01 치과용 보철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9000A KR100698931B1 (ko) 2005-07-01 2005-07-01 치과용 보철물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9124U Division KR200395917Y1 (ko) 2005-07-01 2005-07-01 치과용 보철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3220A true KR20070003220A (ko) 2007-01-05
KR100698931B1 KR100698931B1 (ko) 2007-03-27

Family

ID=37870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9000A KR100698931B1 (ko) 2005-07-01 2005-07-01 치과용 보철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893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23344A (zh) * 2007-05-09 2015-04-22 A·维赞斯基 用于牙齿修复的方法及牙基质
CN112349189A (zh) * 2019-08-06 2021-02-09 邢台医学高等专科学校 一种口腔用牙齿模具
KR102318168B1 (ko) * 2020-12-18 2021-10-27 이스트웨이브 주식회사 온라인 쇼핑 서비스를 제공하는 아파트 관리 시스템 및 서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6821B1 (ko) * 2012-03-05 2012-11-06 오영만 치과용 보철물
KR101345499B1 (ko) * 2012-03-13 2013-12-27 박형욱 치과용 보철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7957Y1 (ko) * 2004-11-30 2005-03-10 김광수 치과용 보철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23344A (zh) * 2007-05-09 2015-04-22 A·维赞斯基 用于牙齿修复的方法及牙基质
CN112349189A (zh) * 2019-08-06 2021-02-09 邢台医学高等专科学校 一种口腔用牙齿模具
KR102318168B1 (ko) * 2020-12-18 2021-10-27 이스트웨이브 주식회사 온라인 쇼핑 서비스를 제공하는 아파트 관리 시스템 및 서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98931B1 (ko) 2007-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353270A1 (en) Dental prosthesis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100598485B1 (ko) 치과용 보철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698931B1 (ko) 치과용 보철물
KR200178291Y1 (ko) 치과용 보철물
KR101476698B1 (ko) 치과용 보철물과 그 연결방법
KR100416247B1 (ko) 치과용 보철물
KR100758781B1 (ko) 치과용 보철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817305B1 (ko) 앞니용 보철물
WO2023216805A1 (zh) 一种种植牙牙冠及其种植牙
JP2008220418A (ja) 部分床義歯
KR200395918Y1 (ko) 치과용 보철물
KR100614975B1 (ko) 치과용 보철물 및 그 설치방법
KR100950627B1 (ko) 즉시 계속 가공의치
KR20050014391A (ko) 의치 브릿지 조립체
KR100544272B1 (ko) 즉시 고정 가능한 임플란트
JP4116783B2 (ja) 有床義歯
KR200395917Y1 (ko) 치과용 보철물
KR101196821B1 (ko) 치과용 보철물
KR20080026679A (ko) 치과용 보철물
KR101879550B1 (ko) 구조개선을 통한 조립의 용이성을 향상시킨 임플란트의 어버트먼트
KR20210071682A (ko) 어버트먼트 조립체 및 그 조립 방법
RU2373894C2 (ru) Зубной протез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JP7511925B1 (ja) 義歯システム及び義歯システムに用いられるインプラント
NZ564031A (en) Dental prosthesis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CA1077754A (en) Dental impla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