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3185A - 광시야각과 협시야각의 모드전환이 가능한 액정표시장치 및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광시야각과 협시야각의 모드전환이 가능한 액정표시장치 및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3185A
KR20070003185A KR1020050058942A KR20050058942A KR20070003185A KR 20070003185 A KR20070003185 A KR 20070003185A KR 1020050058942 A KR1020050058942 A KR 1020050058942A KR 20050058942 A KR20050058942 A KR 20050058942A KR 20070003185 A KR20070003185 A KR 200700031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viewing angle
crystal display
display device
array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8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72665B1 (ko
Inventor
장형석
진현석
Original Assignee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589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2665B1/ko
Priority to US11/316,971 priority patent/US7626656B2/en
Publication of KR200700031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31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26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26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7Arrangement of liquid crystal layers or cells in which the final condition of one light beam is achieved by the addition of the effects of two or more layers or cel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3Electrodes
    • G02F1/134309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geometrical arrangement
    • G02F1/134363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geometrical arrangement for applying an electric field parallel to the substrate, i.e. in-plane switching [IP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시야각 모드와 협시야각모드 전환이 가능한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광시야각과 협시야각 모드 전환이 가능한 액정표시장치는 어레이기판과 컬러필터기판 및 상기 어레이기판과 컬러필터기판사이에 개재된 액정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액정표시패널; 및 상기 액정표시패널과 접촉되고, 제1전극이 형성된 하판과 제2전극이 형성된 상판 및, 상기 하판과 상판사이에 개재된 디클로릭액정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시야각제어셀;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본 발명에 따른 광시야각 모드와 협시야각 모드 전환이 가능한 액정표시장치 제조방법은, 어레이기판과 컬러필터기판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상기 어레이기판과 컬러필터기판사이에 액정층을 개재하여 액정표시패널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하판에 제1전극을 형성하고, 상판에 제2전극을 형성하며, 상기 하판과 상판사이에 디클로릭액정층을 개재하여 상기 액정표시패널에 배치하는 시야각제어셀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광시야각, 협시야각, 시야각제어셀, 디클로릭액정층

Description

광시야각과 협시야각의 모드전환이 가능한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LIQUID CRYSTAL DISPLAY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광시야각과 협시야각의 모드전환이 가능한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디클로릭 액정의 성질을 보여 주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광시야각과 협시야각의 모든 전환이 가능한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시야각 제어셀이 삽입된 액정표시장치로서, 시야각 제어셀에 신호가 인가되지 않은 경우에 나타나는 광시야각모드를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광시야각과 협시야각의 모든 전환이 가능한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시야각 제어셀이 삽입된 액정표시장치로서, 시야각 제어셀에 신호가 인가된 경우에 나타나는 협시야각모드를 나타낸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00 : 액정표시패널 111 : 어레이기판
113 : 게이트전극 115 : 게이트절연막
117 : 반도체층 119 : 오믹콘택층
120 : 박막트랜지스터부 121 : 소스전극
123 : 드레인전극 125 : 보호막
127 : 화소전극 141 : 컬러필터기판
143 : 블랙매트릭스 145 : 컬러필터층
147 : 공통전극 151 : 액정층
161 : 제1편광판 163 : 제2편광판
200 : 시야각제어셀 211 : 하판
213 : 제1전극 221 : 디클로릭액정층
221a : 디클로릭액정 241 : 상판
247 : 제2전극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필요에 따라 광시야각모드와 협시야각모드 전환이 가능한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고화질, 저전력의 평판표시소자(Flat Panel Display Device)로서 주로 액정표시소자가 사용되고 있다.
상기 평판표시소자의 대표적인 액정표시장치는 두장의 기판사이에 액정을 주입하고 기판면에 형성되어 있는 전극에 가해지는 전장의 세기를 조절하여 광투과량을 조절하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노트북 PC, PDA, 화상전화, TV 및 다양한 휴대용 전자 제품 등의 분야등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사용자들의 요구가 점점 다양해짐에 따라, 액정표시장치의 대형화 및 고정세화, 과시야각 등이 가능한 다양한 액정모드가 제시되고 있다.
광시야각 특성을 가지는 액정표시장치의 대표적인 예로서, 횡전계 구동방식의 액정표시장치 및 보상필름이 적용된 수직배향(Vertical Alignment; VA) 방식의 액정표시장치를 들 수 있다.
이들중 화소전극과 공통전극이 동일한 기판에 형성되어 있는 횡전계 구동방식의 액정표시장치에서는 화소가 온 상태가 될때 화소전극과 공통전극사이에 기판면에 수평한 전계가 형성되기 때문에 화소의 온, 오프에 따라 액정분자의 장축이 기판면에 평행하게 동작한다.
따라서, 거시적으로 관찰되는 액정의 굴절율이 작아 대비비가 좋고 광시야각에 유리하다.
한편, 수직배향방식의 액정표시장치는 안쪽면에 투명전극이 형성되어 있는 한쌍의 투명기판, 두 기판사이에 주입되어 있으며, 기판면에 수직으로 배향되어 있는 액정물질, 각각의 투명기판의 바깥면에 서로 직교하는 형태로 부착되어 빛을 편광시키는 두장의 편광판으로 구성되며, 보상필름을 편광판안쪽에 부착하여 시야각을 보상하는 방식으로 광시야각을 구현한다.
최근에는 투명전극에 개구패턴을 형성하거나 돌기를 형성하므로써, 러빙을 실시하지 않고 다중 분할되는 모드가 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광시야각을 구현하는 일반적인 액정표시장치에 대해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액정표시장치는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기판(11)과 컬러필터기판(41)이 대향하여 균일한 간격을 갖도록 합착되며, 그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기판(11)과 컬러필터기판(41)사이에 액정층(51)이 개재된다.
여기서, 상기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기판(11)은 화소들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며, 그 단위 화소에는 박막트랜지스터(20), 화소전극(27) 및 커패시터(미도시)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박막트랜지터(20)는 어레이기판(11)상에 형성된 게이트전극(13)과, 상기 게이트전극(13)을 포함한 어레이기판(11)상에 형성된 게이트절연막(15)과 반도체층(17) 및 상기 반도체층(17)상에 형성되어 일정간격만큼 이격된 소스/드레인전극(21)(23)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화소전극(27)은 상기 소스/드레인전극(21)(23)을 포함한 어레이기판(11)전면에 형성된 보호막(25)내에 형성되는 드레인콘택홀(미도시)을 통해 상기 드레인전극(23)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기 컬러필터기판(41)은 상기 화소전극(27)과 함께 상기 액정층(51)에 전계를 인가하는 공통전극(47)과 실제 컬러를 구현하는 RGB 컬러필터(45) 및 블랙매트릭스(4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기판(11)과 컬러필터기판(41)의 대향면에는 배향막(미도시)이 형성되고, 이 배향막(미도시)표면에는 러빙에 의해 액정이 일정한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이때, 액정은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기판(11)의 단위 화소별로 형성된 화소전(27)과 컬러필터기판(41)의 전면에 형성된 공통전극(47)사이에 전계가 인가될 경우에 유전 이방성에 의해 회전하므로써, 단위화소별로 빛을 통과시키거나 차단시켜 문자나 화상을 표시하게 된다.
한편, 상기 컬러필터기판(41)과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기판(11)에는 각각 제1, 2 편광판(61)(63)이 마련되어 있다. 이때, 이들 편광판(61)(63)은 여러 방향으로 진동하면서 입사되는 자연광을 한쪽 방향으로만 진동하는 빛(즉, 편광)이 되도록 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일반적인 액정표시장치의 빛의 이동경로를 살펴 보면, 백라이트광원의 빛이 전방위로 흩어져서 발광하게 되고, 발광되어진 빛들은 균일한 휘도 특성을 얻기 위해 몇장의 확산시트(미도시)를 통과하게 된다.
따라서, 액정표시패널로 입사된 빛들은 전방위 방향으로 입사하게 되며, 이로 인해 넓은 시야각에서 화상을 관찰할 수 있게 된다.
일반적인 액정표시장치는 전술한 바와같이 광시야각 모드 지향성을 가지고 연구되고 있으나, 임의의 특수한 경우에는 협시야각모드가 요구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일반적인 액정표시장치에 의하면, 패널로 입사되는 빛들이 전방위 방향으로 입사하게 되어 이로 인해 넓은 시야각에서 화상을 관찰할 수는 있지만, 협시야각 미 광시야각을 능동적으로 제어하면서 구동할 수는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필름 타입의 필터 또는 광섬유(optical fiber)를 적용하므로써 시야각을 좁게 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광시야각과 협시야각을 필요에 따라 전환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와 함께 정면 휘도를 지나치게 감소시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필요에 따라 광시야각모드와 협시야각 모드 전환이 가능한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광시야각 모드와 협시야각 모드 전환이 가능한 액정표시장치는, 어레이기판과 컬러필터기판 및 상기 어레이기판과 컬러필터기판사이에 개재된 액정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액정표시패널; 및 상기 액정표시패널과 접촉되고, 제1전극이 형성된 하판과 제2전극이 형성된 상판 및, 상기 하판과 상판사이에 개재된 디클로릭액정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시야각제어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광시야각 모드와 협시야각 모드 전환이 가능한 액정표시장치 제조방법은, 어레이기판과 컬러필터기판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상기 어레이기판과 컬러필터기판사이에 액정층을 개재하여 액정표시패널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하판에 제1전극을 형성하고, 상판에 제2전극을 형성하며, 상기 하판과 상판사이에 디클로릭액정층을 개재하여 상기 액정표시패널에 배치하는 시야각제어셀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광시야각 모드와 협시야각 모드 전환이 가능한 액정표시장치에 대해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광시야각과 협시야각의 모드전환이 가능한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디클로릭 액정의 성질을 보여 주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광시야각과 협시야각의 모든 전환이 가능한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시야각 제어셀이 삽입된 액정표시장치로서, 시야각 제어셀에 신호가 인가되지 않은 경우에 나타나는 광시야각모드를 나타낸 액정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광시야각과 협시야각의 모든 전환이 가능한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시야각 제어셀이 삽입된 액정표시장치로서, 시야각 제어셀에 신호가 인가된 경우에 나타나는 협시야각모드를 나타낸 액정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디클로릭(dichroic) 액정(221a)은 장축과 단축에 따라 빛의 흡수율(α)이 다른 이색분자를 의미하며, 장축의 흡수율(α)이 단축에 비해 크다. 즉, 디클로릭액정(221a)은 수직방향으로 세워져 있는 경우에 비해 수평방향으로 위치하고 있을 때의 흡수율이 큰 성질을 갖고 있다. 또한, 상기 디클로릭(dichric) 액정층(221a)은 액정분자와 디클로릭 다이(dichroic dye)의 혼합물로 구성된 층이다.
이러한 성질을 갖고 있는 디클로릭액정(221a)을 시야각 제어셀에 적용시킨 경우가 도 3 및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광시야각모드와 협시야각모드로 전환가능한 액정표시장치는 백라이트(미도시)와, 상기 백라이트(미도시)상에 배치되는 시야각제어셀(200)과, 상기 시야각제어셀(200)상에 배치되는 광시야각 모드의 액정표시패널(1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협시야각 모드를 구현하는 시야각 제어셀(200)은 상기 광시야각 모드의 액정표시패널(100)상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시야각제어셀(200)은 하판(211)과 상기 하판(211)상에 형성된 제1전극(213)과, 상기 하판(211)과 일정간격만큼 이격되어 배치된 상판(241)과, 상기 상판(241)상에 형성된 제2전극(247) 및, 상기 하판(211)과 상판(241)사이에 개재된 디클로릭액정층(221)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광시야각 모드의 액정표시패널(100)은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기판(111)과 컬러필터기판(141)이 대향하여 균일한 간격을 갖도록 합착되며, 그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기판(111)과 컬러필터기판(141)사이에 액정층(151)이 개재 된다.
또한, 상기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기판(111)은 화소들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며, 그 단위 화소에는 박막트랜지스터(120), 화소전극(127) 및 커패시터(미도시)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박막트랜지터(120)는 어레이기판(111)상에 형성된 게이트전극(113)과, 상기 게이트전극(113)을 포함한 어레이기판(111)상에 형성된 게이트절연막(115)과 반도체층(117) 및 상기 반도체층(117)상에 형성되어 일정간격만큼 이격된 소스/드레인전극(121)(123)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화소전극(127)은 상기 소스/드레인전극(21)(23)을 포함한 어레이기판(11)전면에 형성된 보호막 (125)내에 형성되는 드레인콘택홀(미도시)을 통해 상기 드레인전극(123)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기 컬러필터기판(141)은 상기 화소전극(127)과 함께 상기 액정층 (151)에 전계를 인가하는 공통전극(147)과 실제 컬러를 구현하는 RGB 컬러필터 (145) 및 블랙매트릭스(14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기판(111)과 컬러필터기판(141)의 대향면에는 배향막(미도시)이 형성되고, 이 배향막(미도시)표면에는 러빙에 의해 액정이 일정한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이때, 액정은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기판(111)의 단위 화소별로 형성된 화소전극(127)과 컬러필터기판(141)의 전면에 형성된 공통전극(147)사이에 전계가 인가될 경우에 유전 이방성에 의해 회전하므로써, 단위화소별로 빛을 통과시키거나 차단시켜 문자나 화상을 표시하게 된다.
또한, 상기 컬러필터기판(141)과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기판(111)배면에는 각각 제1, 2 편광판(161)(163)이 마련되어 있다. 이때, 이들 편광판(161)(163)은 여러 방향으로 진동하면서 입사되는 자연광을 한쪽 방향으로만 진동하는 빛(즉, 편광)이 되도록 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광시야각모드와 협시야각모드의 전환이 가능한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시야각 제어셀의 구동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을 참조하면, 시야각 제어셀(200)에 신호가 인가되지 않은 경우에, 디클로릭액정(221a)이 수직방향으로 정렬해 있어 기존 대비 투과율 감소가 야기되나 전방위로 빛의 입사가 가능하여 광시야각 모드 구현이 가능하게 된다.
반면에, 도 4를 참조하면, 시야각제어셀(200)에 신호가 인가되는 경우에, 제1전극(213)과 제2전극(247)사이에 전계가 형성되고, 디클로릭액정(221a)은 수직방향 정렬에서 점차 수평방향 정렬을 유도하게 된다. 이때, 상기 디클로릭액정(221a)은 VA 액정의 유동방향에 따라 동일하게 정렬된다.
도 2에서와 같이, VA 액정의 틸트를 조절하면 디클로릭 액정 또한 VA 액정의 흐름에 따라 자연스레 VA와 유사한 정도로 틸트된다.
따라서, 0∼90도 사이로 디클로릭 액정(221a)을 틸트시키면 경사방향으로 입사하는 빛들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게 되어 빛의 투과성분을 대부분 정면방향으로 진행시켜 좁은 시야각을 유발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시야각모드와 협시야각 모드 전환이 가능한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수직, 수평방향에 따른 가시광선 흡수율이 다른 디클로릭액정을 이용하여 광시야각 모드 및 협시야각모드가 모두 가능한 액정표시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액정표시패널상측 또는 하측에 디클로릭 액정을 포함한 시야각제어층을 삽입하고 협시야각 모드 전환시 디클로릭액정의 틸트각을 조절하여 경사각 방향의 빛의 투과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광시야각 및 협시야각 제어가 가능하여 TN, IPS, VA, FFS 등의 모든 모드에 적용이 가능하므로, 중소형 액정표시장치에 응용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 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1)

  1. 어레이기판과 컬러필터기판 및 상기 어레이기판과 컬러필터기판사이에 개재된 액정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액정표시패널; 및
    상기 액정표시패널과 접촉되고, 제1전극이 형성된 하판과 제2전극이 형성된 상판 및, 상기 하판과 상판사이에 개재된 디클로릭액정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시야각제어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액정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레이기판상에 박막트랜지스터부와 화소전극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액정표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레이기판과 컬러필터기판배면에 편광판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액정표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야각제어셀은 상기 액정표시패널의 상측 또는 하측에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액정표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야각 제어셀은 구동시에 협시야각 모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액정표시장치.
  6. 어레이기판과 컬러필터기판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상기 어레이기판과 컬러필터기판사이에 액정층을 개재하여 액정표시패널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하판에 제1전극을 형성하고, 상판에 제2전극을 형성하며, 상기 하판과 상판사이에 디클로릭액정층을 개재하여 상기 액정표시패널에 배치하는 시야각제어셀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액정표시장치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어레이기판상에 박막트랜지스터부와 화소전극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광시야각 모드 및 협시야각 모드 전환가능한 액정표시장치 제조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어레이기판과 컬러필터기판에 편광판을 마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액정표시장치 제조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시야각제어셀은 상기 액정표시패널의 상측 또는 하측에 개재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액정표시장치 제조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시야각 제어셀은 구동시에 협시야각 모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액정표시장치 제조방법.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디클로릭액정층은 수평방향으로 위치할때의 흡수도가 수직방향으로 위치할때의 흡수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하는 액정표시장치 제조방법.
KR1020050058942A 2005-06-30 2005-06-30 광시야각과 협시야각의 모드전환이 가능한 액정표시장치 및그 제조방법 KR1011726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8942A KR101172665B1 (ko) 2005-06-30 2005-06-30 광시야각과 협시야각의 모드전환이 가능한 액정표시장치 및그 제조방법
US11/316,971 US7626656B2 (en) 2005-06-30 2005-12-27 LCD device for switching display mode between wide viewing angle and narrow viewing angle and method employing control cell for controlling tilt angle of molecules of dichroic liquid crystal layer therei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8942A KR101172665B1 (ko) 2005-06-30 2005-06-30 광시야각과 협시야각의 모드전환이 가능한 액정표시장치 및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3185A true KR20070003185A (ko) 2007-01-05
KR101172665B1 KR101172665B1 (ko) 2012-08-08

Family

ID=37589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8942A KR101172665B1 (ko) 2005-06-30 2005-06-30 광시야각과 협시야각의 모드전환이 가능한 액정표시장치 및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626656B2 (ko)
KR (1) KR10117266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12008000111T5 (de) 2007-07-05 2010-01-21 Lg Chem. Ltd. Zusammensetzung, die aushärtbaren dichroitischen Farbstoff umfasst, zur Bildung einer optischen Komponente und eine optische Komponente, die unter Verwendung derselben hergestellt is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09949B1 (en) * 2006-07-25 2011-08-30 Rockwell Collins, Inc. Fiber bundle head up display
KR101970537B1 (ko) 2012-04-12 2019-04-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04851394B (zh) * 2015-06-10 2017-11-2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及显示方法
CN109031771A (zh) * 2018-09-27 2018-12-18 惠州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液晶显示模组、液晶显示器及显示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68336B2 (en) * 2002-12-13 2006-06-27 Lg.Philips Lcd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variable viewing angl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12008000111T5 (de) 2007-07-05 2010-01-21 Lg Chem. Ltd. Zusammensetzung, die aushärtbaren dichroitischen Farbstoff umfasst, zur Bildung einer optischen Komponente und eine optische Komponente, die unter Verwendung derselben hergestellt ist
US8545717B2 (en) 2007-07-05 2013-10-01 Lg Chem, Ltd. Composition comprising curable dichroic dye for forming optical component and an optical component prepared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626656B2 (en) 2009-12-01
KR101172665B1 (ko) 2012-08-08
US20070002238A1 (en) 2007-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88935B2 (en) Electronic device display with switchable film structures
KR100769389B1 (ko) 시각이 제어 가능한 액정표시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전자기기
US7728801B2 (en) Adjustable-viewing-angle liquid crystal display
KR20070003184A (ko) 광시야각과 협시야각의 모드전환이 가능한 액정표시장치 및그 제조방법
KR101170911B1 (ko) 광시야각과 협시야각의 모드전환이 가능한 액정표시장치 및그 제조방법
US7656488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7046322B2 (en) Transflective LCD with tilting direction of the LC molecules being opposite to each other in the two transmissive display areas
JP2006011451A (ja) 視角調節可能液晶ディスプレイ
KR20080003072A (ko) 협시야각 표시장치 및 광/협시야각 전환이 가능한 표시장치
KR101172665B1 (ko) 광시야각과 협시야각의 모드전환이 가능한 액정표시장치 및그 제조방법
US7843534B2 (en) Image display system
KR101157290B1 (ko) 광시야각과 협시야각의 모드전환이 가능한 액정표시장치 및그 제조방법
KR20070046354A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1186869B1 (ko) 시야각 제어 액정표시장치
KR101141944B1 (ko) 시야각 제어가 가능한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172664B1 (ko) 시야각 조절 용 필터패널을 구비한 표시장치
KR20070072194A (ko) 협시야각모드 전환이 가능한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109517B1 (ko) 시야각 제어시스템
KR101322982B1 (ko) 시야각 제어가 가능한 액정 표시 장치
KR101255309B1 (ko) 듀얼 뷰 표시 장치와 그 구동 방법
KR20070072203A (ko) 협시야각의 모드전환이 가능한 액정표시장치 및 그제조방법
KR101296669B1 (ko) 듀얼 뷰 액정 표시 장치
US7812904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esigning the same
KR101429902B1 (ko) 횡전계 방식의 액정표시장치
US20080170185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