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1951A - 각도 안정적인, 긴 나사를 골의 관절부에 삽입하기 위한조준 장치 - Google Patents

각도 안정적인, 긴 나사를 골의 관절부에 삽입하기 위한조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1951A
KR20070001951A KR1020067016401A KR20067016401A KR20070001951A KR 20070001951 A KR20070001951 A KR 20070001951A KR 1020067016401 A KR1020067016401 A KR 1020067016401A KR 20067016401 A KR20067016401 A KR 20067016401A KR 20070001951 A KR20070001951 A KR 200700019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hing
screw
bone
aiming
b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64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토마스 퀸지
다니엘 안데르마트
그레고리 파이겐윈테르
Original Assignee
신세스 게엠바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세스 게엠바하 filed Critical 신세스 게엠바하
Priority to KR10200670164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01951A/ko
Publication of KR200700019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19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7Guides or aligning means for drills, mills, pins or wires
    • A61B17/1728Guides or aligning means for drills, mills, pins or wires for holes for bone plates or plate screw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7Guides or aligning means for drills, mills, pins or wires
    • A61B17/1739Guides or aligning means for drills, mills, pins or wir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1B17/1778Guides or aligning means for drills, mills, pins or wir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shoul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6Measuring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2090/062Measuring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netration dep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300)의 관절 인접부에서 구멍을 천공하기 위한 조준 장치(100)에 관한 것이다. 이 장치는, 일측 단부에서 적어도 하나의 접촉 부재(120) 및 관절 인접부에서 장치(100)를 고정하기 위해 보우(110)의 다른 단부에서는 접촉 부재(120)의 어느 한 방향 또는 그 역방향으로 동작하는 회전 손잡이(132)를 구비한 나사 스핀들(130) 및 보어 부싱(140)을 갖는 U자 형태의 보우(110)를 포함한다. 보어 부싱(140)은 접촉 부재(120)를 포함하는 해당 단부에서 부착 및 제거가 가능하며, 보우(110)를 통해 발생된 골의 압박이 골접합용 나사의 삽입을 위한 보어 부싱(140)의 제거 후에 계속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준 장치.

Description

각도 안정적인, 긴 나사를 골의 관절부에 삽입하기 위한 조준 장치{AIMING DEVICE FOR INSERTING STABLE, LONG SCREW IN THE ARTICULAR REGION OF A BONE}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상완골 원위부에서 플레이트/나사 시스템을 이용해 관절내 골절을 최적으로 치료하기 위해 골의 관절부에 각도 안정적인, 긴 나사를 삽입하기 위한 조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은 예를 들어 미국 특허 US-2000200032465-A1, US-200030220651-A, US-4625718, US-4848327 및 WO-03041595-A1에 공개되어 있다.
하지만 특히 미국 특허 US 2003/0009171 A1에 대해 상세히 살펴보고자 한다. 이 특허에는 상완의지를 부착하기 위한 복수의 보조 장치, 특히 그 관절축에 따라 골의 관절부를 천공하기 위한 조준 장치가 공개되어 있다. 이 조준 장치는 나사 스핀들을 통해 관절부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보우를 포함한다. 전술한 관절축을 따라 관절부에 천공기를 삽입하기 위한 안내부가 나사 스핀들에 통합되어 있다. 이런 방식으로 제작된 보어는 핀을 삽입하기 위해 사용되며, 이 핀은 차후에 상완의지의 정렬을 가능하게 하며 그 후에 다시 제거된다. 이 장치에서는 나사의 삽입이 제공되지 않는다.
미국 특허 US 2003/0009171 A1에 공개된 이 장치가 완전히 다른 목적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발명자가 의도한 보어의 제작이 번거로운 과정을 통해 실시되는데, 이는 상당한 단점으로 작용한다. 이 공개된 장치는 관절에서의 관통 위험을 방지하는 가능성을 제공하지 않는데, 이는 관절부가 상완의지 없이 탈거되거나 이탈되므로 상완의지의 부착 시에도 부적합하다. 하지만 골접합술에 있어 최대한의 골 보존적 치료가 전제조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천공 후에 골접합술에 필요한 원위측 나사의 삽입은, 장치 또는 적어도 나사 스핀들이 제거될 경우에만 가능하다. 하지만 이로 인해 취약한 골편의 결집을 보장하기 위해 장치를 통해 가해지는 압박이 제공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이 공개된 장치가 사용되는 수술 전 과정에서 지속적인 안정성이 제공되지 않는다. 또한 바람직하지 않게도 천공기가 적어도 나사 스핀들 및 원하는 보어 홀의 길이를 가져야 하는데, 이로 인해 증가된 진동이 천공 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런 단점을 극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가능한 한 긴 원위측 나사를 관절 블록의 관절 인접부에서 골을 통해 정확하게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를 위해 보어가 이에 상응하게 정확하게 관통 없이 관절에 제작되어야 하며, 이로서 나사를 삽입한 후에 양호한 골에서 최적의 고정이 달성된다. 또한 대향측에 있는 나사는 정확하게 및 거의 하나의 축을 따라 가능한 한 서로 인접하게 충돌 없이 안내될 수 있어야 한다. 이는 가능한 한 골을 보존하기 위해 제1 시도에서 바로 성공해야 한다. 마찬가지로 관절 블록의 골편 압축이 전체 수술 기간동안 그대로 유지되어야 하는데, 이는 이를 통해 안정적 접합 및 양호한 임상 결과를 얻기 위해서이다.
청구항 1에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조준 장치는 경우에 따라서는 중량을 줄이기 위한 복수의 관통구를 갖는 보우를 포함하며, 이 조준 장치를 통해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보우에는 너트를 통해 동작시킬 수 있는 나사 스핀들이 골의 관절부에 조준 장치를 고정하기 위해 제공된다. 보우의 대향측 단부에는 실린더 가이드가 부착되는데, 이 실린더 가이드는 그 측에서 회전 가능한 형태로 조절 부싱을 지지한다. 실린더 가이드 및 조절 부싱은 한편으로 골접합용 나사를 안내하기에 적합하며, 다른 한편으로는 보어 부싱을 바람직하게도 수나사로 지지하기에 적합하다. 골판과 연결되는 조준판은, 조준판의 조절 부싱과 일시적으로 플러그인 타입으로 연결하기 위해 제공된다.
수술 진행
수술 전에 조준판이 측면 임플란트(골판)와 함께 나사로 체결된다. 플러그인 방식의 연결을 통해 조준판이 측면 임플란트와 함께 조준 장치의 조절 부싱에 장착된다. 그 다음 보어 부싱이 실린더 가이드의 개구로 삽입되고 조절 부싱과 조준판을 관통하여 임플란트의 보어에 있는 대응하는 암나사와 만난다. 이제 이 모두가 골절된 골 위에 배치되며, 조준 장치의 나사 스핀들을 통해 견고하게 고정되고 근위측 골접합용 나사와 함께 임플란트를 관통하여 고정된다. 이로서 본 발명에 따른 조준 장치를 이용해 천공 전에 강도 안정적 원위측 나사의 통과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모든 것이 정확하게 정렬된 경우에는, 내장된 보어 부싱을 통해 천공할 수 있다. 이후 과정에서 조준 장치, 특히 그 나사 스핀들에 부착된 눈금자를 통해 사용된 나사의 길이 및 이로서 천공해야 하는 구멍의 깊이를 직접 측정할 수 있다.
임플란트와 나사 체결된 보어 부싱을 제거한 후에도 플러그인 연결부와 조절 부싱 사이에는 계속 압박이 유지된다. 이는 알려진 장치와 다른 중요한 이점이다. 즉 조준판을 사용함으로써, 보어 부싱의 제거 후에도 조준 보우가 부착된 상태, 즉 압박이 가해지는 상태에서 나사를 조이는 것이 가능하다. 이제 제거된 보어 부싱은 골접합용 나사가 필요로 하는 더 큰 직경도 제공한다. 사전에 보어 부싱에 수용된 골접합용 나사는 그 헤드부를 통해 임플란트의 동일한 나사산에서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외에도 이미 삽입된 나사의 위치가 조준 장치를 통해 표시되므로 다른 나사의 정렬이 용이하고, 따라서 골접합용 나사들이 매우 정확하게 관절축에 대해 평행하게 원위부의 가장 양호한 골에 삽입된다. 이 과정이 완료되면, 조준 장치 및 조준판을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도면 및 첨부한 청구항에 명시된다.
도면부호의 설명은 본 출원의 구성 요소이다.
본 발명은 도면을 근거로 상징적 및 예시적으로 상세히 설명된다.
도면은 요약적 및 개괄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품을 의미하며 서로 다른 문자가 포함된 부호는 기능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품을 의미한다.
도 1은 조립되지 않은 보어 부싱 및 조준판이 포함된 본 발명에 따른 조준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조립된 보어 부싱 및 조준판이 포함된 도 1에 따른 조준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 도 4, 도5는 복수의 방향에서 관찰한, 도 1 및 도 2에 따른 조준판에 대한 도면이다.
도 6은 조립된 보어 부싱, 조준판 및 그에 나사 체결된 임플란트를 구비한 조준 장치가 상완골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7은 임플란트 및 골접합용 나사가 부착된 상완골의 개략적 정면도이다.
도 1에는 별도의 보어 부싱(140) 및 조준판(200)을 구비한 조준 장치(100)가 도시되어 있다. 조준 장치(100)는 복수의 관통구(112)를 구비한 U자 형태의 보우(110)를 포함한다. 보우(110)의 하단 단부에는 너트(132)를 통해 조절할 수 있는 나사 스핀들(130)이 지지된다. 나사 스핀들(130)의 한 단부에는 회전 동작이 가능한 핀(131)이 배치된다. 나사 스핀들(130)에는 눈금자(133)가 부착되어 있다. 보우(110)의 상단 단부에는 실린더 가이드(111)가 부착되어 있는데, 이 실린더 가이드는 다시 조절 부싱을 회전 동작이 가능하도록 지지한다. 실린더 가이드(111) 및 조절 부싱(120)은, 한편으로 골접합용 나사(도시하지 않음)를 안내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보어 부싱(140)을 지지하기에 적합한 내경을 갖는다. 이 보어 부싱(140)은 그 단부에서 보어 부싱 나사산(141)을 갖는데, 이 나사산은 임플란트(도시하지 않음)의 사용 시 이 임플란트와 맞물린다. 조절 부싱(120)은 스냅 잠금부를 갖는데, 이 스냅 잠금부의 대응부는 조준판(200)의 보어(220)에 있다. 즉 조준판(200)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시적으로 플러그인 타입의 연결을 구축하는 기능을 한다.
도 2는 장착된 보어 부싱(140) 및 조준판(200)을 구비한 조준 장치(100)를 도시한다. 조준판(200)은 도 1에서 설명한 조절 부싱(120)과 플러그인 타입으로 연결된다. 보어 부싱(140)은 실린더 가이드(111)의 개구에 삽입되며 조절 부싱과 조준판(200)을 관통하여 그 보어 부싱 나사산(141)을 통해 밖으로 나타난다.
도 3, 도 4 및 도 5는 세 개 서로 다른 방향에서 관찰한 조준판(200)을 나타낸다. 이 조준판은 조절 부싱(도시하지 않음)을 위한 보어(220)를 포함하는데, 이 조절 부싱을 이 보어를 통해 조준판(200)과 플러그인 타입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앞 뒤 골접합용 나사를 위한 세 개의 보어(210)가 형성되어 있으며, 조준판 나사를 위한 보어(230) 및 키르시너 와이어(Kirschner wire)를 위한 보어(240)이 형성되어 있다.
도 6은 장착된 보어 부싱(140), 조준판(200) 및 그에 나사로 연결된 측면 임플란트(410a)를 구비한 조준 장치(100)에 대한 개략도를 나타내는데, 이러한 측면 임플란트는 상완골의 관절 블록(310)에 고정된다. 장치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착되며, 한편으로는 측면 임플란트(410a)가 그 측에서 조준판 나사(520)를 통해 도 3,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조준판 나사(보이지 않음)용 보어(230)를 관통하여 조준판(200)과 추가적으로 체결된다. 다른 한편으로는 보이지 않는 측면 임플란트(410a)의 나사가 보어 부싱(140), 특히 조절 부싱(120)을 관통하는 그 보어 부싱 나사산(141)과 맞물린다. 전체 구조는 너트(132)를 통해 동작시킬 수 있는 나사 스핀들(130)을 통해 상완골(300)의 관절 블록(310)에서 완전히 고정되며 근위측 골접합용 나사(510a)를 통해 임플란트(410a)를 관통하여 상완골(300)에 고착된다.
도 7은 임플란트 및 골접합용 나사를 포함된 상완골을 전방에서 관찰한 개략도이다. 측면 임플란트(410a)는 근위측 골접합용 나사(510a), 원위측 골접합용 나 사(510c) 및 앞 뒤 골접합용 나사(510e)를 통해 고정된다. 내측 임플란트(410b)는 근위측 골접합용 나사(510b) 및 원위측 골접합용 나사(510d)를 통해 고정된다. 특히 골접합용 나사(510c, 510d)는 관통되지 않게 가능한 한 길게 관절에 삽입되게 선택되었고 가능한 한 서로 인접하게 안내되었다.
** 도면부호의 설명
100 - 조준 장치
110 - 보우
111 - 실린더 가이드
112 - 관통구
120 - 조절 부싱 또는 접촉 부재
130 - 나사 스핀들
131 - 핀
132 - 너트 또는 회전 손잡이
133 - 눈금자
140 - 보어 부싱
141 - 보어 부싱 나사산
200 - 조준판
210 - 앞 뒤 골접합용 나사용 보어
220 - 조절 부싱용 보어
230 - 조준판 나사용 보어
240 - 키르시너 와이어용 보어
300 - 골(상완골)
310 - 관절 블록(상완골의)
410 - 임플란트
410a - 측면 임플란트
410b - 내측 임플란트
510 - 골접합용 나사
510a - 근위측 골접합용 나사(측면)
510b - 근위측 골접합용 나사(내측)
510c - 원위측 골접합용 나사(측면)
510d - 원위측 골접합용 나사(내측)
510e - 앞 뒤 골접합용 나사
520 - 조준판 나사

Claims (12)

  1. 골(300)의 관절 인접부에서 구멍을 천공하기 위한 조준 장치(100)로서,
    일측 단부에서 적어도 하나의 접촉 부재(120) 및 관절 인접부에서 장치(100)를 고정하기 위해 보우(110)의 다른 단부에서는 접촉 부재(120)의 어느 한 방향 또는 그 역방향으로 동작하는 회전 손잡이(132)를 구비한 나사 스핀들(130) 및 보어 부싱(140)을 갖는 U자 형태의 보우(110)를 포함하는 조준 장치에 있어서,
    보어 부싱(140)은 접촉 부재(120)를 포함하는 해당 단부에서 부착 및 제거가 가능하며, 보우(110)를 통해 발생된 골의 압박이 골접합용 나사의 삽입을 위한 보어 부싱(140)의 제거 후에 계속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접촉 부재가 회전 동작이 가능한 조정 부싱(120)으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조절 부싱(120)은 임플란트(410)에 나사로 체결된 조준판(200)과 플러그인 방식으로 결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보어 부싱(140)이 조절 부싱(120)을 관통하여 안내될 수 있고 임플란트(410)와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나사 스핀들(130) 또는 그와 고정 결합된 또는 맞물린 부재에서 구멍으로 삽입해야 하는 골접합용 나사(510)의 길이 측정을 위한 눈금자(133)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나사 스핀들(130)의 접촉 부재(120) 대향측 단부가 회전 동작이 가능하게 지지되며, 바람직하게도 교체 가능한 핀(13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회전 손잡이가 나사 스핀들(130)에 지지된 너트(132)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너트(132)가 보우(110)의 홈에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보우(110)가 격자 구조로서 형성되거나 또는 복수의 관통구(1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골의 관절부에서 각도 안정적인, 긴 나사를 삽입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수술 전에 조준판이 측면 임플란트(골판)와 함께 나사로 체결되며, 플러그인 방식의 연결을 통해 조준판이 측면 임플란트와 함께 조준 장치의 조절 부싱에 장착되고, 그 다음 보어 부싱이 실린더 가이드의 개구로 삽입되고 보어 부싱이 조절 부싱과 조준판을 관통하여 임플란트의 보어에 있는 대응하는 암나사와 만나고, 이 모두가 골절된 골 위에 배치되며, 조준 장치의 나사 스핀들을 통해 견고하게 고정되고 근위측 골접합용 나사와 함께 임플란트를 관통하여 고정되고, 이로서 천공 전에 강도 안정적 원위측 나사의 통과 위치를 결정할 수 있으며, 모든 것을 정확하게 정렬한 후에, 내장된 보어 부싱을 통해 천공할 수 있고, 특히 나사 스핀들에 부착된 눈금자를 통해 사용된 나사의 길이 및 이로서 천공해야 하는 구멍의 깊이를 직접 측정할 수 있으며, 그 다음 보어 부싱이 제거되고 원위측 골접합용 나사가 골의 압 박이 유지되는 상태에서 삽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특히 제10항에 따른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킷으로서,
    조절식 나사 스핀들(130), 그에 결합 가능한 조준판(200), 보어 부싱(140) 및 보어 부싱(140)을 통해 조준판(200)과 일시적으로 고정 가능한 임플란트(410)를 포함하는 U자 형태의 보우(110)를 특징으로 킷.
  12. 제11항에 있어서, 임플란트(410)와의 조준판(200)의 일시적 고정이 보어 부싱(140)을 통해 나사 체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킷.
KR1020067016401A 2006-08-16 2004-02-20 각도 안정적인, 긴 나사를 골의 관절부에 삽입하기 위한조준 장치 KR200700019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16401A KR20070001951A (ko) 2006-08-16 2004-02-20 각도 안정적인, 긴 나사를 골의 관절부에 삽입하기 위한조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16401A KR20070001951A (ko) 2006-08-16 2004-02-20 각도 안정적인, 긴 나사를 골의 관절부에 삽입하기 위한조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1951A true KR20070001951A (ko) 2007-01-04

Family

ID=37869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6401A KR20070001951A (ko) 2006-08-16 2004-02-20 각도 안정적인, 긴 나사를 골의 관절부에 삽입하기 위한조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0195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7910B1 (ko) * 2017-03-06 2018-05-14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족관절 고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7910B1 (ko) * 2017-03-06 2018-05-14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족관절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014291B (zh) 移植物组装装置
CA2557153C (en) Aiming device for inserting stable-angle, long screws in the articular region of a bone
KR101313172B1 (ko) 정형외과용 임플란트 삽입 핸들 및 조준 가이드
US7785326B2 (en) System for intramedullary rod fixation and method therefor
JP2598736B2 (ja) 骨接合用取付要素、特に骨ねじ、の位置決め用外科器具
US7175631B2 (en) Radiolucent aiming guide
US7722611B2 (en) Method of treating a clavicle fracture
US8764752B2 (en) Protection sleeve holding mechanism
EP1723917A1 (en) Apparatus for bone fastener implantation
EP1723920A2 (en) Bone fixation system
US20030135211A1 (en) Intramedullary nail, device for inserting a screw into the same and method thereof
CN101953705B (zh) 组合式多功能截骨器
CN201831939U (zh) 组合式多功能截骨器
MacMillan et al. A simplified technique of distal femoral screw insertion for the Grosse-Kempf interlocking nail
JP2007504845A (ja) 照準装置
JP2009524473A (ja) 骨折部固定装置およびそのための埋め込みジグ
KR20070001951A (ko) 각도 안정적인, 긴 나사를 골의 관절부에 삽입하기 위한조준 장치
JP2001286480A (ja) 髄内釘の位置決め装置
JP3342999B2 (ja) 髄内釘のラグスクリュー挿入方向確定装置
JP3311662B2 (ja) 骨頭回転防止可能なターゲット器具
CN209864019U (zh) 经皮微创骨折复位器
ZA200606441B (en) Aiming device for inserting stable-angle, long screws in the articular region of a bone
CN110742661A (zh) 一种辅助髓内针的蝶形骨块固定系统
CN116602734A (zh) 皮质骨拉力螺钉同心定位装置及其使用方法
NZ549601A (en) Aiming device for inserting stable-angle, long screws in the articular region of a b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