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0644U - 무선통신을 이용한 조명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선통신을 이용한 조명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0644U
KR20070000644U KR2020070007124U KR20070007124U KR20070000644U KR 20070000644 U KR20070000644 U KR 20070000644U KR 2020070007124 U KR2020070007124 U KR 2020070007124U KR 20070007124 U KR20070007124 U KR 20070007124U KR 20070000644 U KR20070000644 U KR 2007000064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ing
wireless communication
slave
control device
light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71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주
정상옥
김상천
Original Assignee
김현주
네오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주, 네오산업(주) filed Critical 김현주
Priority to KR20200700071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00644U/ko
Publication of KR2007000064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064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6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following a pre-assigned programmed sequence; Logic control [LC]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55Coordinated control of two or more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 H05B47/19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via wireless transmiss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2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decorative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21W2121/02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decorative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founta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 F21W2131/101Outdoor lighting of tunnels or the like, e.g. under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교량, 아파트, 분수대, 공원 및 각종 건물 등에 설치된 조명 어셈블리의 조명연출 패턴을 무선으로 제어할 수 있는 조명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으로, 조명연출 실행프로그램에 따라 조명연출 패턴을 지시하는 조명연출 제어명령을 무선통신을 통해 전송하는 마스터 제어장치; 상기 마스터 제어장치로부터 무선통신을 통해 수신된 상기 조명연출 제어명령에 따라 조명연출 패턴을 유선을 통해 제어하는 하나 이상의 제 1 슬레이브 제어장치;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제 1 슬레이브 제어장치와 유선으로 접속되고, 자신과 접속된 제 1 슬레이브 제어장치에 의해 조명연출 패턴에 조절되는 하나 이상의 제 1 조명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무선통신, 조명시스템, 조명어셈블리, 마스터제어장치, 슬레이브제어장치

Description

무선통신을 이용한 조명 시스템{Illumination system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을 이용한 조명 시스템의 모식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무선통신을 이용한 조명 시스템의 동작에 대한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컴퓨터 120: 마스터 제어장치
130-1 내지 130-i, 140-1 내지 140-i: 슬레이브 제어장치
150, 160-1 내지 160-j, 170: 백라이트 어셈블리
본 고안은 무선통신을 이용한 조명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교량, 아파트, 분수대, 공원 및 각종 건물 등에 설치된 조명 어셈블리의 조명연출 패턴을 무 선으로 제어할 수 있는 조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램프나 발광다이오드(LED) 등과 같은 발광소자를 이용한 특수조명 연출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이러한 특수조명 연출기술을 교량, 아파트, 분수대, 공원 및 각종 건물 등에 적용하여 야간의 미관을 조성하는 것이 일반화되어 있다.
일예로, 서울시는 한강 다리들 및 각종 교량들에 특수조명 시스템을 설치하여 야간에 특수조명을 연출함으로써 야간의 서울시 미관을 더욱 아름답게 만들고 있다.
다른 예로, 최근에는 사람들의 주거 공간으로 이용되는 아파트들에도 특수조명 시스템을 설치하여 야간에 특수조명을 연출함으로써 야간의 아파트 미관을 더욱 아름답게 만들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특수조명 시스템은 교량이나 건물 등에 설치된 조명 어셈블리의 특수조명 연출패턴을 제어하는 조명연출 제어명령을 유선통신을 통해 전송하는데 반하여, 일반적으로 조명연출 제어명령이 원거리에 위치된 조명 어셈블리까지 전송되어야 하기 때문에, 종래의 특수조명 시스템은 고가의 구리로 제조된 유선을 이용하여 원거리의 유선통신을 수행함으로써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특히, 종래의 특수조명 시스템에 사용되는 유선통신용 유선이 외부로 노출되어 배설되는 경우, 오히려 특수조명을 위해 사용된 유선이 주변의 미관을 해치고 사람들에게 불편을 초래하는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종래의 특수조명 시스템에 사용되는 유선통신용 유선을 외부에 배설할 경우, 주변 환경이나 사람들에 의해 유선 통신용 유선이 파손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교량, 아파트, 분수대, 공원 및 각종 건물 등에 설치된 조명 어셈블리의 조명연출 패턴을 무선으로 제어할 수 있는 조명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교량, 아파트, 분수대, 공원 및 각종 건물 등에 설치된 조명 어셈블리의 조명연출 패턴을 무선으로 제어함으로써, 유선을 사용할 경우 야기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조명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교량, 아파트, 분수대, 공원 및 각종 건물 등에 설치된 조명 어셈블리의 조명연출 패턴을 무선으로 제어함으로써, 외부에 배설된 유선에 의해 야기되는 주변 미관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는 조명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조명 시스템은, 조명연출 실행프로그램에 따라 조명연출 패턴을 지시하는 조명연출 제어명령을 무선통신을 통해 전송하는 마스터 제어장치; 상기 마스터 제어장치로부터 무선통신을 통해 수신된 상기 조명연출 제어명령에 따라 조명연출 패턴을 유선을 통해 제어하는 하나 이상의 제 1 슬레이브 제어장치;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제 1 슬레이브 제어장치와 유선으로 접속되고, 자신과 접속된 제 1 슬레이브 제어장치에 의해 조명연출 패턴에 조절되는 하나 이상의 제 1 조명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조명 시스템은 상기 조명연출 실행프로그램을 작성 및 저장하기 위한 컴퓨터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컴퓨터는 상기 조명연출 실행프로그램을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마스터 제어장치에 다운로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조명 시스템은, 상기 하나 이상의 제 1 슬레이브 제어장치와 유선으로 접속되고, 자신과 접속된 제 1 슬레이브 제어장치로부터 유선을 통해 상기 조명연출 제어명령을 수신받는 하나 이상의 제 2 슬레이브 제어장치;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제 2 슬레이브 제어장치와 유선으로 접속되고, 자신과 접속된 제 2 슬레이브 제어장치에 의해 조명연출 패턴에 조절되는 하나 이상의 제 2 조명 어셈블리를 더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을 이용한 조명 시스템의 모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조명 시스템(100)은, 조명연출 실행프로그램을 작성 및 저장하기 위한 컴퓨터(110)와, 컴퓨터(110)로부터 조명연출 실행프로그램을 다운로드받아 설정하고 설정된 조명연출 실행프로그램에 따라 조명연출 패턴을 지시하는 조명연출 제어명령을 무선으로 전송하기 위한 마스터 제어장치(120) 와, 마스터 제어장치(120)로부터 무선통신을 통해 수신된 조명연출 제어명령에 따라 조명연출 패턴을 유선을 통해 제어하기 위한 슬레이브 제어장치들(130-1 내지 130-i)(i는 2이상의 자연수)을 구비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조명 시스템(100)은, 슬레이브 제어장치(130-1)로부터 유선을 통해 수신되는 조명연출 제어명령에 따라 조명연출 패턴을 유선을 통해 제어하기 위한 슬레이브 제어장치들(140-1 내지 140-j)(j는 2이상의 자연수)과, 슬레이브 제어장치(130-1)에 의해 유선을 통해 조명연출 패턴이 조절되는 조명 어셈블리(150)와, 슬레이브 제어장치들(140-1 내지 140-j)에 의해 일대일로 대응되게 조명연출 패턴이 유선을 통해 조절되는 조명 어셈블리들(160-1 내지 160-j)과, 슬레이브 제어장치(130-i)에 의해 유선을 통해 조명연출 패턴이 조절되는 조명 어셈블리(170)를 구비한다.
컴퓨터(110)는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조명 어셈블리들(150, 160-1 내지 160-j, 170)의 조명연출 패턴을 제어하기 위한 조명연출 실행프로그램을 작성하여 설정한다. 조명연출 실행프로그램이 설정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설정된 조명연출 실행프로그램의 다운로드를 지시하면, 컴퓨터(110)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무선통신을 통해 설정된 조명연출 실행프로그램을 마스터 제어장치(120)에 다운로드시킨다.
컴퓨터(110)의 무선통신 방식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110)가 블루투스 통신모듈을 구비하고 있는 경우, 컴퓨터(110)는 블루투스통신을 통해 설정된 조명연출 실행프로그램을 마스터 제어장치(120)로 전송 한다. 이 경우, 마스터 제어장치(120)는 컴퓨터(110)로부터 블루투스통신을 통해 수신되는 조명연출 실행프로그램을 수신하기 위한 블루투스 통신모듈을 구비하여야 한다.
컴퓨터(110)가 지그비 통신모듈을 구비하고 있는 경우, 컴퓨터(110)는 지그비통신을 통해 설정된 조명연출 실행프로그램을 마스터 제어장치(120)로 전송한다. 이 경우, 마스터 제어장치(120)는 컴퓨터(110)로부터 지그비통신을 통해 수신되는 조명연출 실행프로그램을 수신하기 위한 지그비 통신모듈을 구비하여야 한다.
그리고, 컴퓨터(110)에 설정된 조명연출 실행프로그램이 사용자에 의해 갱신되는 경우, 컴퓨터(110)는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갱신된 조명연출 실행프로그램을 무선통신을 통해 마스터 제어장치(120)에 다운로드시킴으로써, 마스터 제어장치(120)에 설정된 조명연출 실행프로그램을 갱신시킨다.
마스터 제어장치(120)는 컴퓨터(110)에 의해 다운로드된 조명연출 실행프로그램을 설정하고 있는 상태에서, 파워온(Power On)되면 설정된 조명연출 실행프로그램에 따라 조명연출 패턴을 지시하는 조명연출 제어명령을 무선통신을 통해 슬레이브 제어장치들(130-1 내지 130-i)로 전송한다. 또한, 파워오프(Power Off)되면, 마스터 제어장치(120)는 설정된 조명연출 실행프로그램의 실행을 중지함과 동시에 조명연출 제어명령의 전송을 중지한다.
그리고, 마스터 제어장치(120)는 컴퓨터(110)에 의해 다운로드받은 조명연출 실행프로그램이 갱신되면, 갱신된 조명연출 실행프로그램에 따라 조명 어셈블리들(150, 160-1 내지 160-j, 170)의 조명연출 패턴을 제어한다.
이러한 마스터 제어장치(120)의 무선통신 방식은 다음 예들과 같이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마스터 제어장치(120)가 블루투스 통신모듈을 구비하는 경우, 마스터 제어장치(120)는 컴퓨터(110)로부터 블루투스통신을 통해 조명연출 실행프로그램을 다운로드받고 아울러 슬레이브 제어장치들(130-1 내지 130-i)에게 블루투스통신을 통해 조명연출 제어명령을 전송한다. 이 경우, 컴퓨터(110)와 슬레이브 제어장치들(130-1 내지 130-i)은 마스터 제어장치(120)와 블루투스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블루투스 통신모듈을 구비하여야 한다.
마스터 제어장치(120)가 지그비 통신모듈을 구비하는 경우, 마스터 제어장치(120)는 컴퓨터(110)로부터 지그비통신을 통해 조명연출 실행프로그램을 다운로드받고 아울러 슬레이브 제어장치들(130-1 내지 130-i)에게 지그비통신을 통해 조명연출 제어명령을 전송한다. 이 경우, 컴퓨터(110)와 슬레이브 제어장치들(130-1 내지 130-i)은 마스터 제어장치(120)와 지그비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지그비 통신모듈을 구비하여야 한다.
특히, 마스터 제어장치(120)는 슬레이브 제어장치들(130-1 내지 130-i)마다 부여된 아이디(ID)를 저장하고 있으며, 이 아이디(ID)를 통해 슬레이브 제어장치들(130-1 내지 130-i)을 구별하여 인식한다. 따라서, 마스터 제어장치(120)는 슬레이브 제어장치들(130-1 내지 130-i)에게 조명연출 제어명령을 전송하는 경우 조명연출 제어명령과 함께 해당 슬레이브 제어장치의 아이디(ID)를 전송한다.
한편, 본 고안은 컴퓨터(110)와 마스터 제어장치(120)를 별도로 구현하여 그 기능을 분리시키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예로서 컴퓨터(110)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을 마스터 제어장치(120)가 대신 수행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또는, 마스터 제어장치(120)의 기능을 컴퓨터(110)가 대신 수행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슬레이브 제어장치들(130-1 내지 130-i)은 마스터 제어장치(120)로부터 무선통신을 통해 수신된 조명연출 제어명령에 따라 조명연출 패턴을 유선을 통해 제어하며, 그에 대한 구체적인 과정을 예로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슬레이브 제어장치(130-1)는 마스터 제어장치(120)로부터 무선통신을 통해 조명연출 제어명령과 자신의 아이디(ID)가 수신되면, 수신된 아이디(ID)가 미리 설정된 자신의 아이디(ID)와 일치하는지를 확인한다. 확인결과 아이디(ID)가 일치하는 경우에만, 슬레이브 제어장치(130-1)는 수신된 조명연출 제어명령에 따라 조명 어셈블리(150)의 조명연출 패턴을 유선을 통해 조절함과 동시에 수신된 조명연출 제어명령을 유선을 통해 슬레이브 제어장치들(140-1 내지 140-j)로 전송한다. 이렇게 하나의 슬레이브 제어장치(130-1)가 마스터 제어장치(120)로부터 무선통신을 통해 수신된 조명연출 제어명령을 다수의 슬레이브 제어장치들(140-1 내지 140-j)에게 유선을 통해 전송하도록 하는 실시예는 다수의 건물들이 근접되어 배치된 아파트들에 적용될 수 있다.
슬레이브 제어장치(130-i)는 마스터 제어장치(120)로부터 무선통신을 통해 조명연출 제어명령과 자신의 아이디(ID)가 수신되면, 수신된 아이디(ID)가 미리 설정된 자신의 아이디(ID)와 일치하는지를 확인한다. 확인결과 아이디(ID)가 일치하 는 경우에만, 슬레이브 제어장치(130-i)는 수신된 조명연출 제어명령에 따라 자신과 유선으로 접속된 조명 어셈블리(170)의 조명연출 패턴을 유선을 통해 조절한다. 이렇게 하나의 슬레이브 제어장치(130-i)가 하나의 조명 어셈블리(170)만을 제어하도록 하는 실시예는 교량, 분수대, 또는 단독 건물 등에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슬레이브 제어장치들(130-1 내지 130-i)의 무선통신 방식은 다음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슬레이브 제어장치들(130-1 내지 130-i)이 블루투스 통신모듈을 구비하는 경우, 슬레이브 제어장치들(130-1 내지 130-i)은 마스터 제어장치(120)로부터 블루투스통신을 통해 조명연출 제어명령을 전송받는다.
슬레이브 제어장치들(130-1 내지 130-i)이 지그비 통신모듈을 구비하는 경우, 슬레이브 제어장치들(130-1 내지 130-i)은 마스터 제어장치(120)로부터 지그비통신을 통해 조명연출 제어명령을 전송받는다.
슬레이브 제어장치들(140-1 내지 140-j)은 각각, 자신과 유선으로 접속된 슬레이브 제어장치(130-1)로부터 유선을 통해 전달되는 조명연출 제어명령에 따라 조명 어셈블리들(160-1 내지 160-j) 중 자신과 유선으로 접속된 조명 어셈블리의 조명연출 패턴을 조절한다.
조명 어셈블리(150, 160-1 내지 160-j, 170)는 각각, 램프나 발광다이오드 등과 같은 다수의 발광소자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며, 특히 교량, 아파트, 분수대, 공원 및 각종 건물 등에 설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조명 시스템은 교량, 아파트, 분수대, 공원 및 각종 건물 등에 설치된 조명 어셈블리의 조명연출 패턴을 무선으로 제어함으로써, 유선을 사용할 경우 야기되는 비용을 절감하고, 아울러 외부에 배설된 유선에 의해 야기되는 주변 미관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유선통신용 유선을 사용하는 경우 발생될 수 있는 유선의 파손으로 인한 조명 시스템의 고장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 및 기능을 갖는 본 고안의 조명 시스템의 동작을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 조명 어셈블리(150, 160-1 내지 160-j, 170)의 조명연출 패턴의 조절 과정이 모두 동일하므로, 도 2에 도시된 흐름도에서는 조명 어셈블리(170)의 조작 과정만을 예로서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무선통신을 이용한 조명 시스템의 동작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컴퓨터(110)는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조명 어셈블리(170)의 조명연출 패턴을 제어하기 위한 조명연출 실행프로그램을 작성하여 설정한다(S101).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설정된 조명연출 실행프로그램의 다운로드를 지시하면, 컴퓨터(110)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무선통신을 통해 설정된 조명연출 실행프로그램을 마스터 제어장치(120)에 다운로드시킨다(S102).
이렇게 컴퓨터(110)에 의해 조명연출 실행프로그램이 설정된 상태에서,마스터 제어장치(120)는 파워온되면 설정된 조명연출 실행프로그램에 따라 조명연출 제어명령과 슬레이브 제어장치(130-i)의 아이디(ID)를 무선통신을 통해 슬레이브 제어장치(130-i)로 전송한다(S103).
이때, 슬레이브 제어장치(130-i)는 수신된 아이디(ID)가 미리 설정된 자신의 아이디(ID)와 일치하는지를 확인하여(S104), 일치하지 않으면, 마스터 제어장치(120)로부터 수신된 조명연출 제어명령을 수행하지 않고 자신의 아이디(ID)가 수신될 때까지 대기상태를 유지한다(S105).
확인 과정(S104)에서의 확인 결과 아이디(ID)가 일치하면, 슬레이브 제어장치(130-i)는 수신된 조명연출 제어명령에 따라 자신과 유선으로 접속된 조명 어셈블리(170)의 조명연출 패턴을 유선을 통해 조절한다(S106).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조명 시스템이 블루투스통신이나 지그비통신을 통해 조명연출 패턴을 제어하는 것으로 개시하고 있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된 무선통신만을 이용하는 것은 아니며, 현재 개발되어 있는 다른 무선통신 방식이나 차세대 개발되는 무선통신 방식을 통해서도 조명연출 패턴을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교량, 아파트, 분수대, 공원 및 각종 건물 등에 설치된 조명 어셈블리의 조명연출 패턴을 무선으로 제어함으로써, 유선을 사용할 경우 야기되는 비용을 절감하고, 아울러 외부에 배설된 유선에 의해 야기되는 주변 미관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유선통신용 유선을 사용하는 경우 발생될 수 있는 유선의 파손으로 인한 조명 시스템의 고장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기술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 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의 기술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고안의 기술사상의 범위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5)

  1. 조명연출 실행프로그램에 따라 조명연출 패턴을 지시하는 조명연출 제어명령을 무선통신을 통해 전송하는 마스터 제어장치;
    상기 마스터 제어장치로부터 무선통신을 통해 수신된 상기 조명연출 제어명령에 따라 조명연출 패턴을 유선을 통해 제어하는 하나 이상의 제 1 슬레이브 제어장치;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제 1 슬레이브 제어장치와 유선으로 접속되고, 자신과 접속된 제 1 슬레이브 제어장치에 의해 조명연출 패턴에 조절되는 하나 이상의 제 1 조명 어셈블리
    를 포함하는 무선통신을 이용한 조명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연출 실행프로그램을 작성 및 저장하기 위한 컴퓨터
    를 더 포함하는 무선통신을 이용한 조명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는 상기 조명연출 실행프로그램을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마스터 제어장치에 다운로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을 이용한 조명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제어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직접 작성되는 상기 조명연출 실행프로그램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을 이용한 조명 시스템.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 1 슬레이브 제어장치와 유선으로 접속되고, 자신과 접속된 제 1 슬레이브 제어장치로부터 유선을 통해 상기 조명연출 제어명령을 수신받는 하나 이상의 제 2 슬레이브 제어장치;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제 2 슬레이브 제어장치와 유선으로 접속되고, 자신과 접속된 제 2 슬레이브 제어장치에 의해 조명연출 패턴에 조절되는 하나 이상의 제 2 조명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는 무선통신을 이용한 조명 시스템.
KR2020070007124U 2007-05-01 2007-05-01 무선통신을 이용한 조명 시스템 KR2007000064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7124U KR20070000644U (ko) 2007-05-01 2007-05-01 무선통신을 이용한 조명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7124U KR20070000644U (ko) 2007-05-01 2007-05-01 무선통신을 이용한 조명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0644U true KR20070000644U (ko) 2007-06-04

Family

ID=49297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7124U KR20070000644U (ko) 2007-05-01 2007-05-01 무선통신을 이용한 조명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00644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0775B1 (ko) * 2007-08-22 2009-08-04 (주)에스티와이드 유무선 복합용 알지비 발광다이오드의 조명 제어시스템
KR20170042537A (ko) * 2017-04-11 2017-04-19 주식회사 하남아트텍 무선 조명 제어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0775B1 (ko) * 2007-08-22 2009-08-04 (주)에스티와이드 유무선 복합용 알지비 발광다이오드의 조명 제어시스템
KR20170042537A (ko) * 2017-04-11 2017-04-19 주식회사 하남아트텍 무선 조명 제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32944B2 (en) Solid state light fixtures with integrated controls
JP6655810B2 (ja) 照明制御システム、およびこれに用いられる照明制御装置
JP2006352562A (ja) 可視光通信照明装置
JP2009021141A (ja) 照明制御装置
KR101585952B1 (ko) Led 등기구의 전력절감과 패턴제어가 가능한 제어장치
KR20110048257A (ko) 무선 조명 제어 장치 및 방법
CN103687221B (zh) 一种照明调光、遥控和联网遥控系统
KR20070000644U (ko) 무선통신을 이용한 조명 시스템
KR20150111738A (ko) 지그비 연동 전원 중첩 방식의 조명제어시스템
KR20110103124A (ko) 외부 휴대장치를 이용하는 조명제어 리모콘 장치
JP2010523037A (ja) 制御回路、装置を動作させ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このような制御回路にプログラムを書き込むための装置
KR20200120986A (ko) 사물인터넷 네트워크에서 통신 가능한 스마트 램프 및 스마트 램프 제어시스템
KR20110048816A (ko) 무선 조명 제어 장치
JP2022164873A (ja) 照明制御システム
JP2008235127A (ja) 照明制御システム
KR20180000900A (ko) 블루투스가 일체로 내장되는 엘이디조명기구의 안정기
KR101292123B1 (ko) 배광 정보를 갖는 스마트 조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명 제어 시스템
JP5374408B2 (ja) 照明装置
TWM493839U (zh) 無線燈控系統
KR20150012331A (ko) 조명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20077662A (ko) 주택 조명 기구의 원격 제어 시스템
JP2015026500A (ja) 照明制御システム
KR20150080848A (ko)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led 가로등 mtf 제어장치
JP6798570B2 (ja) 光源ユニット
KR20110106702A (ko) 조명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