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36218A - 슬래브 거푸집 고정구조 - Google Patents

슬래브 거푸집 고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36218A
KR20060136218A KR1020050055821A KR20050055821A KR20060136218A KR 20060136218 A KR20060136218 A KR 20060136218A KR 1020050055821 A KR1020050055821 A KR 1020050055821A KR 20050055821 A KR20050055821 A KR 20050055821A KR 20060136218 A KR20060136218 A KR 200601362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work
copper bar
upper support
pedestal
sla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58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12064B1 (ko
KR20070000248A (ko
Inventor
안종식
Original Assignee
안종식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종식 filed Critical 안종식
Priority to KR10200500558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2064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050055821A external-priority patent/KR100712064B1/ko
Publication of KR200700002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0248A/ko
Publication of KR200601362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62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20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2064B1/ko

Links

Images

Abstract

본 발명은 거푸집을 고정하기 위해 설치되는 동바리를 보다 견고하게 구비하여 콘크리트 양생 과정에서 휨이나 변형의 발생을 최소화함과 아울러 동바리와 동바리가 서로 고정되도록 하여 한층 더 안정적인 거푸집을 고정할 수 있는 슬래브 거푸집 고정구조를 제공할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외주면을 따라 복수의 고정부재가 형성된 하부받침대와, 상기 하부받침대의 내부에 삽입되며 거푸집의 저면을 지지하는 상부받침대와, 상기 상하부받침대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상부받침대를 승,하강시키는 높이조절부와, 상기 상부받침대에 결합되며 상기 상부받침대를 보강하는 보강슬리브가 포함된 동바리와, 상기 동바리의 고정부재 사이에 연결되며 동바리를 고정하는 연결대로 구성된다.
거푸집,동바리,연결대,높이조절부

Description

슬래브 거푸집 고정구조{A Support Structure of slab-Moul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설치된 상태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A선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B-B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설치된 상태 평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동바리 20: 하부받침대
21:고정부재 22: 결합공
30: 상부받침대 31: 삽입공
40: 높이조절부 50: 보강슬리브
60: 연결대 100: 거푸집
본 발명은 슬래브 거푸집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히는 거푸집 고정 구조를 개선하여 동바리의 간격을 넓게 설치하여 설치 및 분리작업이 용이함과 아울러 동바리의 휨을 방지하여 거푸집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슬래브 거푸집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슬래브를 성형하기 위해서는 건축물의 벽체가 형성된 상태에서 그 벽체면에 직교하는 수평방향으로 거푸집을 설치하고, 복수개의 동바리와 받침대를 이용해 상기 거푸집을 지지하고, 이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주입하여서 슬래브를 양생한 후 그 거푸집을 제거하여 슬래브를 완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다수개의 동바리와 받침대 등의 부재를 이용하여 슬래브 거푸집을 지지하게 되므로 공간이 제한되어 후공정의 수행이 불가능하게 되고, 각각의 서포트의 높이를 맞추고, 일정간격으로 설치하여야 하므로 작업공정에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요되고, 제거시에도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콘크리트의 주입 또는 주입된 콘크리트의 다지기 작업시에 충격 등에 의해 거푸집을 받쳐주는 동바리가 유동되거나 휨현상이 발생되고, 이로 인해 설치된 거푸집은 하중에 의해 처지게 되어 슬래브의 표면이 고르게 양생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거푸집을 고정하기 위해 설치되는 동바리를 보다 견고하게 구비하여 콘크리트 양생 과정에서 휨이나 변형의 발생을 최소화함과 아울러 동바리와 동바리가 서로 고정되도록 하여 한층 더 안정적인 거푸집을 고정할 수 있는 슬래브 거푸집 고정구조를 제공할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외주면을 따라 복수의 고정부재가 형성된 하부받침대와, 상기 하부받침대의 내부에 삽입되며 거푸집의 저면을 지지하는 상부받침대와, 상기 상하부받침대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상부받침대를 승,하강시키는 높이조절부와, 상기 상부받침대에 결합되며 상기 상부받침대를 보강하는 보강슬리브가 포함된 동바리와, 상기 동바리의 고정부재 사이에 연결되며 동바리를 고정하는 연결대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설치된 상태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A선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B-B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설치된 상태 평단면도이다.
도 1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건축물의 벽체를 형성하고, 이 벽체에 슬래브를 형성하기 위해 거푸집(100)이 설치하고, 이 거푸집(100)을 고정하기 위한 동바리(10)가 설치된다.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은 건축물의 바닥면에서 수직으로 하부받침대(20)가 설치되고, 상기 하부받침대(20)에 결합되며 거푸집(100)의 저면에 상부받침대(30)가 지지되며, 상기 상하부받침대(20,30) 사이에는 상부받침대(30)를 승,하강시키는 높이조절부(40)가 구비되며, 상기 상부받침대(30)에 고정되어 상기 상부받침대(30)를 보강하는 보강슬리브(50)가 포함된 동바리(10)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받침대(20)는 원통형상을 가지며 양단에 플랜지가 결합되고, 이 외주면을 따라 복수의 고정부재(21)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재(21)는 전후,좌우로 서로 직교되게 설치되며, 수직 방향으로 복수의 결합공(22)이 형성된다.
상기 상부받침대(30)는 원통형상을 가지며 상단부에 플랜지가 형성되고, 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의 삽입공(31)이 형성되고, 연장되는 소정의 구간에 나사 결합가능하게 형성된다.
상기 높이조절부(40)는 통상의 방법을 채택하며, 상기 상부받침대(30)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높이조절부(40)의 회동에 따라 상기 상부받침대(30)가 승하강되는 것이다.
상기 보강슬리브(50)는 하방향으로 연장되며 관통된 장공(5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받침대(30)의 외주면에 보강슬리브(50)가 끼워지고 상기 상부받침대(30)의 삽입공(31)과 보강슬리브(50)의 장공(51) 사이에 고정바(52)가 끼워져 고정된다.
이렇게 구성된 동바리(10)는 거푸집(100)의 저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상기 동바리(10)와 동바리(10) 사이에는 연결대(60)가 결합된다.
상기 연결대(60)는 일정한 간격을 가지며, 양단부에는 고정부재(21)의 결합 공(22)에 고정수단에 의해 결합가능하게 체결공(61)이 형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높이조절부(40)를 일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보강슬리브(50)와 함께 상부받침대(30)가 상승되면서 상기 거푸집(100)의 저면을 지지하게 된다.
이처럼, 상기 상부받침대(30)에 보강슬리브(50)가 결합됨에 따라 상기 상부받침대(30)에 가해지는 충격이나 휨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하부받침대(20)의 외주면에 고정부재(21)를 형성하여 한층 더 견고하게 보강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동바리(10)를 설치한 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받침대(20)의 전후,좌우 방향으로 연결대(60)를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동바리(10)와 동바리(10)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서로 결합됨에 따라동바리(10)에 가해지는 외부충격이나 하중 등을 분산하여, 한층 더 견고하게 거푸집(100)을 고정하므써, 슬래브의 양생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이렇게 상기 동바리(10)의 외부충격이나 하중을 충분히 견딜 수 있어, 거푸집(100)을 지지하는 동바리(10)의 갯수를 줄일 수 있어, 설치작업 및 제거가 손쉽게 이루어져 코스트가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동바리의 상하부받침대에 고정부재 및 보강슬리브를 결합 하고, 이렇게 구성된 상기 동바리와 동바리 사이에 연결대를 설치하여 거푸집에 가해지는 외부충격이나 하중 등을 분산하여 안정적으로 거푸집을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동바리의 외부충격이나 하중 등을 충분히 견딜 수 있어, 거푸집을 고정하는 동바리의 갯수를 줄여 설치작업 및 제거가 손쉽게 이루어져 코스트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외주면을 따라 복수의 고정부재(21)가 형성된 하부받침대(20)와, 상기 하부받침대(20)의 내부에 삽입되며 거푸집(100)의 저면을 지지하는 상부받침대(30)와, 상기 상하부받침대(20)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상부받침대(30)를 승,하강시키는 높이조절부(40)와, 상기 상부받침대(30)에 결합되며 상기 상부받침대(30)를 보강하는 보강슬리브(50)가 포함된 동바리(10)와, 상기 동바리(10)와 동바리(10)가 연결하며 간격을 유지하는 연결대(60)로 구성된 슬래브 거푸집 고정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21)는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복수의 결합공(2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 거푸집 고정구조.
  3. 제1항 내지 제2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대(60)의 양측에는 고정부재(21)의 결합공(22)에 결합가능하게 체결공(6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 거푸집 고정구조.
KR1020050055821A 2005-06-27 2005-06-27 슬래브 거푸집 고정구조 KR1007120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5821A KR100712064B1 (ko) 2005-06-27 2005-06-27 슬래브 거푸집 고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5821A KR100712064B1 (ko) 2005-06-27 2005-06-27 슬래브 거푸집 고정구조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0248A KR20070000248A (ko) 2007-01-02
KR20060136218A true KR20060136218A (ko) 2007-01-02
KR100712064B1 KR100712064B1 (ko) 2007-05-02

Family

ID=37868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5821A KR100712064B1 (ko) 2005-06-27 2005-06-27 슬래브 거푸집 고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20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2088B1 (ko) * 2008-07-24 2011-02-07 금강공업 주식회사 슬라브 패널 설치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0540A (ko) * 2001-06-26 2003-01-06 곽영준 인터넷을 이용한 맞춤형 선물 구매 서비스 방법
KR20020032487A (ko) * 2002-04-08 2002-05-03 안종식 지붕슬래브의 거푸집 받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114876A (ko) 슬래브 지지장치
KR100893765B1 (ko) 슬래브 거푸집의 지지구조
KR101302520B1 (ko) 콘크리트 벽체 시공구조
KR20090088106A (ko) 콘크리트 구조물에 매입되는 고정수단
KR100712064B1 (ko) 슬래브 거푸집 고정구조
KR100814442B1 (ko) 무량 슬래브용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무량 슬래브 시공방법
KR20060136218A (ko) 슬래브 거푸집 고정구조
JP5620839B2 (ja) アンカーフレーム及びそれを用いた基礎構造体の構築工法
KR101028586B1 (ko) 슬래브패널 어셈블리
KR20080006053U (ko) 거푸집 지지장치
CN214658047U (zh) 钢结构混凝土建筑房屋
KR200461500Y1 (ko) 방수턱 거푸집
KR101029829B1 (ko) 거푸집용 멍에재 지지장치
KR100778139B1 (ko) 거푸집 수평 받침대 길이조절 프레임
KR20090118506A (ko) 콘크리트용 거푸집
KR20100004374U (ko) 트러스형 합벽 지지대
KR100712063B1 (ko) 거푸집 받침구조
CN218028967U (zh) 一种浇筑模板组件
CN219611313U (zh) 一种预制电缆沟转角支撑装置
JP2007217871A (ja) 乾式基礎及びその構築方法
KR101426650B1 (ko) 건축물 골조 형성 구조
CN213918873U (zh) 一种便于调节的预埋件支架
CN220035388U (zh) 一种建筑工程地基加固装置
CN217580582U (zh) 建筑隔震支座安装结构
CN219281268U (zh) 一种现浇墙柱模板加固件