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35356A -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성능 개선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성능 개선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35356A
KR20060135356A KR1020050055260A KR20050055260A KR20060135356A KR 20060135356 A KR20060135356 A KR 20060135356A KR 1020050055260 A KR1020050055260 A KR 1020050055260A KR 20050055260 A KR20050055260 A KR 20050055260A KR 20060135356 A KR20060135356 A KR 200601353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folder
slide
portable terminal
feeding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52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선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552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35356A/ko
Publication of KR200601353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53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4Transmit/receive switch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 H04M1/0245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using open/close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wireless LAN inte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용 단말기의 폴더 혹은 슬라이드의 개폐상태에 따라 피딩 포인트를 가변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성능 개선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폴더 혹은 슬라이드형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일정 대역의 무선 전파를 송수신하는 안테나와; 폴더 혹은 슬라이드의 상태(닫힘/열림)에 따른 제어신호에 의해 피딩 포인트를 가변하며 상기 안테나와 접속되어 입력되는 무선 전파를 방사하는 듀플렉서와; 송신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하고, 수신신호의 주파수를 하강변환하여 무선전파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와; 폴더 혹은 슬라이드의 상태에 따라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듀플렉서로 출력하는 제어부로 구성된다.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성능 개선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ING ANTENNA EFFICIENCY IN A MOBILE TERMINAL}
도 1a-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성능 개선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2a-2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성능 개선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안테나 12: 듀플렉서
13: 송수신부 14: 제어부
21: 스위치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용 단말기의 폴더 혹은 슬라이드의 개폐상태에 따라 피딩 포인트를 가변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성능 개선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합회로(matching circuit)라 함은 두 회로를 전기적으로 결합 할 때 한 회로의 출력단에서 입력 측을 보았을 때의 임피던스와 다른 회로의 입력단 임피던스의 공액값을 같게 하여 전력 손실을 가장 적게 전송하려고 삽입하는 회로이다.
휴대용 단말기(폴더형 또는 슬라이드 형)는 폴더 혹은 슬라이드가 열려 있을때의 임피던스와 폴더 혹은 슬라이드가 닫혀있을때 임피던스가 변화한다. 이에, 안테나가 최대의 성능을 내기 위해서 정합을 해야 하며, 그 방법으로는 다음과 같은 3가지 방법이 있다.
첫째로, 안테나의 길이를 적절히 조절하여 맞추는 방법이 있을 수 있으며, 둘째로, 정합회로를 변경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으며, 셋째로, 피딩 포인트(Feeding Point)를 변경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피딩 포인트라 함은 안테나의 급전점을 의미한다.
그중, 가장 간단히 적용할 수 있는 방법으로는 피딩 포인트를 변경하는 방법이라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가변하는 안테나와 송수신기간 휴대용 단말기의 임피던스를 매칭시켜 안테나의 기능을 최적화 시킬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 휴대용 단말기의 폴더 혹은 슬라이드의 개폐상태에 따라 피딩 포인트를 가변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성능 개선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폴더 혹은 슬라이드형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일정 대역의 무선 전파를 송수신하는 안테나와;
폴더 혹은 슬라이드의 상태(닫힘/열림)에 따른 제어신호에 의해 피딩 포인트를 가변하며 상기 안테나와 접속되어 입력되는 무선 전파를 방사하는 듀플렉서와;
송신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하고, 수신신호의 주파수를 하강변환하여 무선전파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와;
폴더 혹은 슬라이드의 상태에 따라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듀플렉서로 출력하는 제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폴더 혹은 슬라이드 형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일정 대역의 무선 전파를 송수신하는 안테나와;
누름동작에 따라 스위칭하여 상기 안테나의 피딩 포인트를 가변하는 스위치와;
송신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하고, 수신신호의 주파수를 하강변환하여 무선전파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폴더 혹은 슬라이드형 휴대용 단말기에 구비된 안테나 성능을 개선하는 방법에 있어서,
폴더 혹은 슬라이드의 상태(닫힘/열림)를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감지결과, 폴더 혹은 슬라이드의 상태에 따라 피딩 포인트를 가변하며 상기 안테나와 접속되어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을 제공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성능 개선장치 및 방법의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다.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또한 이들의 변형에 의해서도 본 발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또한, 하기의 설명에서 피딩 포인트는 실험치로서, 휴대용 단말기의 폴더 혹은 슬라이드의 개폐시에 최대의 안테나 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서로 다른 안테나 급전점을 의미한다.
우선, 본 발명은 폴더를 열고 닫을때, 슬라이드를 밀어 올리고 내릴때 슬라이드를 돌릴때 등과 같은 각각의 조건에 맞는 피딩 포인트가 기 설정되어 해당 조건에 따라 피딩 포인트가 가변됨을 인지해야 한다.
도 1a-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성능 개선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여기서, 상기 도 1a는 일예로 폴더 혹은 슬라이드가 닫혀 있는 상태이므로, 피딩 포인트가 제1 피딩 포인트(Feeding Point A)로 설정된 상태이고, 상기 도 1b는 폴더 혹은 슬라이드가 열려 있는 상태이므로, 피딩 포인트가 제2 피딩 포인트(Feeding Point B)로 설정된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상기 도 1a와 도 1b를 참조하면, 안테나(11)는 일정 대역의 무선 전파를 송수신한다.
듀플렉서(12)는 폴더 혹은 슬라이드형 휴대용 단말기의 상태(폴더 혹은 슬라이드의 닫힘/열림)에 따른 제어신호에 의해 피딩 포인트를 가변하며 상기 안테나(11)와 접속되어 입력되는 무선 전파를 방사한다.
송수신부(13)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고,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변환하여 무선전파를 송수신한다.
제어부(14)는 폴더 혹은 슬라이드의 상태에 따라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듀플렉서로 출력한다.
상기 도 1a-도1b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을 살펴보면, 우선 제어부(14)는 폴더 혹은 슬라이드의 개폐상태를 감지하고, 그 감지결과에 근거하여 듀플렉서(12)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듀플렉서(12)는 제어신호에 따라 제1 피딩 포인트와 제2 피딩 포인트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송수신부(13)의 경로를 제공한다. 상기 도 1a와 같은 경우는 폴더 혹은 슬라이드가 닫혀 있는 상황이므로, 제어부(14)는 이를 감지하여 듀플렉서(12)로 제1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듀플렉서(12)는 제1 피딩 포인트측으로 송수신부(13)의 경로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 듀플렉서(12)는 제어부(14)로부터 제2 제어신호를 입력받으면, 제2 피딩 포인트측으로 경로를 전환하여 송수신부(13)의 경로를 제공한다.
도 2a-2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성능 개선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여기서, 상기 도 2a는 일예로 폴더 혹은 슬라이드가 닫혀 있는 상태이므로, 피딩 포인트가 제2 피딩 포인트(Feeding Point B)로 설정된 상태이고, 상기 도 2b는 폴더 혹은 슬라이드가 열려 있는 상태이므로, 피딩 포인트가 제1 피딩 포인트(Feeding Point A)로 설정된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상기 도 2a와 도 2b를 참조하면, 우선, 상술한 도 1a-1b에서 듀플렉서(12)에 의해 제1, 제2 피딩 포인트로 가변됨은 동일하다. 다만, 폴더 혹은 슬라이드의 개폐상태에 따라 제어신호를 출력하던 제어부(14)를 생략하였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피딩 포인트를 가변시키던 듀플렉서(12)를 스위치(21)로 대체하였다.
그러면, 폴더 혹은 슬라이드의 개폐상태에 따라 자동으로 제1, 제2 피딩 포인트로 전환하던 것을 사용자가 자신의 상황에 맞게 스위치(21)를 조작하여 제1, 제2 피딩 포인트가 가변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성능 개선장치 및 방법은 폴더 혹은 슬라이드형 휴대용 단말기의 폴더 또는 슬라이드의 개폐상태에 따라 피딩 포인트를 가변시킴으로써, 폴더 또는 슬라이드의 개폐상태에 가변되는 안테나와 송수신부간의 임피던스를 최적의 상태로 매칭시킨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개폐상태에 따라 피딩 포인트가 가변됨으로써, 휴대용 단말기의 개폐 상태에 따라 안테나가 최대의 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정합상태가 되어 휴대용 단말기의 통화품질 상태를 개선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폴더 혹은 슬라이드형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일정 대역의 무선 전파를 송수신하는 안테나와;
    폴더 혹은 슬라이드의 상태(닫힘/열림)에 따른 제어신호에 의해 피딩 포인트를 가변하며 상기 안테나와 접속되어 입력되는 무선 전파를 방사하는 듀플렉서와;
    송신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하고, 수신신호의 주파수를 하강변환하여 무선전파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와;
    폴더 혹은 슬라이드의 상태에 따라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듀플렉서로 출력하는 제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성능 개선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딩 포인트는,
    휴대용 단말기의 폴더 혹은 슬라이드의 개폐시에 최대의 안테나 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서로 다른 안테나 급전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성능 개선장치.
  3.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피딩 포인트는,
    폴더 혹은 슬라이드 개폐시에 따라 안테나와 송수신부간의 임피던스를 매칭시키는 실험치의 안테나 급전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성능 개선장치.
  4. 폴더 혹은 슬라이드 형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일정 대역의 무선 전파를 송수신하는 안테나와;
    누름동작에 따라 스위칭하여 상기 안테나의 피딩 포인트를 가변하는 스위치와;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고,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변환하여 무선전파를 방사하는 송수신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성능 개선장치.
  5. 폴더 혹은 슬라이드형 휴대용 단말기에 구비된 안테나 성능을 개선하는 방법에 있어서,
    폴더 혹은 슬라이드의 상태(닫힘/열림)를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감지결과, 폴더 혹은 슬라이드의 상태에 따라 피딩 포인트를 가변하며 상기 안테나와 접속되어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을 제공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성능 개선방법.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피딩 포인트는,
    폴더 혹은 슬라이드 개폐시에 따라 안테나와 송수신단의 임피던스를 매칭시키는 실험치의 안테나 급전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성능 개선방법.
KR1020050055260A 2005-06-24 2005-06-24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성능 개선장치 및 방법 KR200601353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5260A KR20060135356A (ko) 2005-06-24 2005-06-24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성능 개선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5260A KR20060135356A (ko) 2005-06-24 2005-06-24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성능 개선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5356A true KR20060135356A (ko) 2006-12-29

Family

ID=37813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5260A KR20060135356A (ko) 2005-06-24 2005-06-24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성능 개선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3535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577259B (zh) 具有可变增益放大器的分集接收机前端系统
KR100752280B1 (ko) 휴대단말기의 안테나주파수 자동매칭 장치
EP2356751B1 (en) Variable impedance matching network and method for the same
TWI426656B (zh) 一種通訊信號處理方法及系統
TW201735447A (zh) 可切換輻射方向之天線與無線通訊裝置
KR20150122071A (ko) 다중 대역 무선 주파수 신호 라우팅을 위한 장치 및 방법
JP2017028699A5 (ko)
CN106160756B (zh) 射频前端发射方法及发射模块、芯片和通信终端
KR20080048085A (ko) 다중 대역 또는 다중 모드 전단 안테나 스위치
CN101507128A (zh) 无线通信装置
TW200709593A (en) RF transceiver having adaptive modulation
EP2369753A2 (e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CN105577258B (zh) 具有开关网络的分集接收机前端系统
KR20130093117A (ko) 정보 무선전송 장치, 정보 무선전송 통신 단말기 및 임피던스 정합 방법
EP2134000A2 (en) Multi-band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N103259091B (zh) 天线结构及具有该天线结构的无线通信装置
WO2005093897A1 (en) Antenna device
KR20060135356A (ko)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성능 개선장치 및 방법
WO2014132338A1 (ja) インピーダンスチューナ及び電力増幅装置
US9484963B2 (en) Multi-mode and multi-band front-end device
KR101114055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임피던스 매칭장치 및 방법
KR100459615B1 (ko) 휴대폰의 안테나 시스템
KR100700598B1 (ko) 기구구조가 변화 가능한 단말기에서의 안테나 다이버시티장치 및 그 방법, 그리고 그 안테나 다이버시티 장치를포함하는 단말기
KR100560939B1 (ko) 듀얼 모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듀얼 밴드 전력증폭기의효율 개선 방법
KR101104516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제어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