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35146A - Floor structure for insulating multi-level impact sound, and fixture apparatus thereof - Google Patents

Floor structure for insulating multi-level impact sound, and fixture apparatus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35146A
KR20060135146A KR1020050054836A KR20050054836A KR20060135146A KR 20060135146 A KR20060135146 A KR 20060135146A KR 1020050054836 A KR1020050054836 A KR 1020050054836A KR 20050054836 A KR20050054836 A KR 20050054836A KR 20060135146 A KR20060135146 A KR 200601351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layer
impact sound
cushioning material
floor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483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711639B1 (en
Inventor
김범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치앤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치앤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치앤테크
Priority to KR10200500548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1639B1/en
Publication of KR200601351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514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16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163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1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A floor structure for reducing inter-story impact sound, and a fixture for an inter-story buffering member for the same are provided to basically solve a problem of a heavy impact sound hard to be relieved in a conventional floating floor. A floor structure for reducing inter-story impact sound, in a well-known floating floor structured for reducing a floor impact sound from an upper part by placing an inter-story buffering member(3) on a concrete slab structure(2), comprises a dedicated vertical connecting member(1). The vertical connecting member interconnects an upper concrete structure(100) and a lower concrete structure(200), which are separately cast with the inter-story buffering member disposed therebetween. A fixture for a buffering member for the floor structure comprises a buffering member pressing plate and a fill-in head part. The buffering member pressing plate has a flat board form to be mounted in contact with an upper surface of the inter-story buffering member. The fill-in head part is protruded over the buffering member pressing plate, to be put in the concrete cast in the upper part of the inter-story buffering member.

Description

층간 충격음 저감을 위한 바닥구조 및 이를 위한 층간완충재 고정구 {Floor Structure for Insulating Multi-Level Impact Sound, and Fixture Apparatus Thereof}Floor Structure for Insulating Multi-Level Impact Sound, and Fixture Apparatus Thereof}

도1은 종래의 일반적인 뜬바닥 구조에 대한 단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showing a cross-sectional structure of a conventional general floating floor structure.

도2는 기존 바닥구조의 중량 충격음 감쇄 성능을 조사하기 위한 실험에 사용된 장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2 is a diagram showing the device configuration used in the experiment for examining the weight impact sound attenuation performance of the existing floor structure.

도3은 상기 실험에 대한 결과를 그래프의 형태로 도시한 도면이다.3 is a diagram showing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in the form of a graph.

도4는 본 발명의 층간 충격음 저감을 위한 바닥구조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loor structure for reducing the inter-layer impact s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도5는 본 발명의 바닥구조에서 사용된 상하연결체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vertical connecting body used in the floor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6은 도5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 of FIG. 5.

도7은 기존의 일반적인 층간완충재 고정구 및 이를 이용한 바닥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7 is a view illustrating a conventional general interlayer cushioning fixture and a floor structure using the same.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상하연결체, 본 발명의 층간완충재 고정구1: up and down connector, the interlayer cushioning material fix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완충재누름판 15 : 고정침10: buffer material pressing plate 15: fixed needle

20 : 매립헤드부 25 : 플랜지20: buried head 25: flange

2 : 슬래브 구조체 3 : 층간완충재2: slab structure 3: interlayer buffer

4 : 기포콘크리트 5 : 마감몰탈4: bubble concrete 5: finishing mortar

100 : 상부 콘크리트 구조체 200 : 하부 콘크리트 구조체100: upper concrete structure 200: lower concrete structure

H : 고정철물H: fixed hardware

본 발명은 건축물 바닥 슬래브의 층간 소음 및 진동을 저감시키기 위한 바닥 구조 및 이를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층간완충재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층간소음 방지 바닥구조에 있어 기존의 일반적인 뜬바닥 구조에서는 해결이 곤란하거나 오히려 가중되고 있던 중량 충격음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건축물의 층간 바닥구조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층간완충재 고정장치로서 기본적으로는 층간완충재를 견고하게 고정시킴과 동시에 층간 완충층에 의해 분리 타설된 상하 콘크리트 구조체를 연결시켜 일체 거동하게 함으로써 중량 충격음에 대한 저감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층간완충재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or structure for reducing the floor noise and vibration of the building floor slab, and an interlayer cushioning fixture for effectively implement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in the conventional floor structure for preventing floor noise. As an interlayer floor structure of a building that can fundamentally solve the problem of weight impact sound, which is difficult or rather aggravated, and an interlayer buffer fixing device for realizing the same, it is basically fixed and firmly fixed between the layer buffer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rlayer cushioning material fixing device capable of connecting the upper and lower concrete structures so as to be integrated to obtain a reduction effect on weight impact sound.

최근 들어 급속한 산업 발달 및 경제 성장에 따라 건축물의 수요가 증가하고 이와 더불어 지가는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 결과, 지가의 수준이 높은 도심지에 건설되는 오피스 건물 등의 경우 토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방편으로 고층화 경향이 나타나고 있으며, 특히 최근에는 대도시로의 인구 집중이 심화됨에 따라 대도시에서의 주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아파트나 다세대 주택과 같은 공동주택이 널리 보급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이러한 다층 건축물들의 경우 상,하층 세대간에 상부층 바닥과 하부층 천정이 층간 슬래브라는 동일한 구조체로서 공유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상부층에서 발생된 각종 소음들이 이 층간 슬래브를 통하여 하부층으로 전달됨으로써 다른 사람의 생활이나 업무에 지장을 주게 되는 문제가 있다. Recently, with the rapid industrial development and economic growth, the demand for buildings is increasing and land prices are continuously increasing. As a result, office buildings, etc., which are constructed in urban areas with high land prices, tend to become high-rise as a way to use land efficiently.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multi-family housing such as apartments and multi-family homes is widely used. However, in the case of these multi-story buildings, the upper floor and the lower floor ceilings share the same floor slab between the upper and lower generations, and accordingly, various noises generated in the upper floor are transmitted to the lower floor through the interlayer slab, thereby making the living of others. There is a problem that interferes with the work.

따라서, 상기와 같은 소음 및 충격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로부터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며, 현재 이러한 층간 충격음 저감을 위한 바닥구조로서 가장 보편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방식으로는 슬래브 구조체와 상부 미장 몰탈층 사이에 층간 완충층을 설치하여 이에 의해 층간 소음을 차단할 수 있게 한 이른바 뜬바닥 구조(floating floor)를 대표적으로 들 수 있다. 도1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뜬바닥 구조에 대한 일반적인 단면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1에 나타난 것처럼 이는 슬래브 구조체(S) 위에 차음과 충격 흡수성이 좋은 완충재를 깔아 층간 완충층(F)을 설치하고 그 위에 경량 기포 콘크리트(C) 및 온돌 미장몰탈(M)을 일정 두께로 타설함으로써 상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 에너지가 슬래브 구조체에 직접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었다. 그리고, 이러한 뜬바닥 구조에 시공되는 층간완충재로는 EPS, EPE, EPP, EVA와 같은 합성수지계 재료를 비롯하여 고무 계통의 매트, 우레탄 폼, 글래스울 등 여러 가지의 재료들이 사용되고 있으며, 그 두께는 보통 10 ~ 30㎜ 정도로 시공되고 있다. Therefore, variou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in the past to solve the noise and impact sound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the method most commonly applied as the floor structure for reducing the impact noise between the slab structures and the upper plastering mortar layer is present. Typical so-called floating floors have been provided in which an interlayer cushioning layer is provided, whereby interlayer noise can be blocked. Figure 1 shows a general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conventional floating floor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ure 1, which is installed on the slab structure (S) with a cushioning material having a good sound insulation and shock absorbing to install an interlayer buffer layer (F) Lightweight foamed concrete (C) and ondol plastering mortar (M) was cast thereon to prevent the impact energy applied from the upper part to be directly transmitted to the slab structure. In addition, as the interlayer cushioning material to be constructed in such a floating floor structure, various materials such as rubber-based mats, urethane foams, glass wool, etc., including synthetic resin materials such as EPS, EPE, EPP, and EVA are used. It is constructed about 10-30 mm.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바닥구조는 기본적으로 층간완충재의 재질 특성에 기인한 자체 탄성 변형에 의해 상부로부터의 충격을 완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이러한 뜬바닥 구조는 KS F 2810이나 일본 공업규격(JIS 1419) 등에 의해 정의된 경량 충격음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효과를 보이고 있지만 실제 생활에서 문제를 야기하는 중량 충격음의 해결에는 그다지 큰 저감 효과를 보이고 있지 못할 뿐 아니라 오히려 이를 가중시키는 특성이 나타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즉, 이는 기존의 뜬바닥 구조를 이루고 있는 온돌 미장모르터, 기포 콘크리트 및 층간완충재 등의 재료가 중량 충격에 의한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감쇄시키지 못함으로써 이 에너지가 거의 그대로 슬래브 구조체에 전달되는 것으로 볼 수 있는 것이다.However, the floor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basically cushions the impact from the top by its elastic deformation due to the material properties of the interlayer buffer material, and the floating floor structure is KS F 2810 or Japanese Industrial Standard (JIS 1419). Although it shows some effect on the light impact sound defined by), etc., it is confirmed that not only does it show a significant reduction effect but also a weighting property in solving the heavy impact sound that causes problems in real life. In other words, it can be seen that this energy is almost transferred to the slab structure as the materials such as ondol plaster, foam concrete, and interlayer buffers, which are existing floor structures, do not efficiently attenuate the energy due to the weight impact. will be.

이에 본 발명자는 기존 바닥구조의 중량 충격음 감쇄 성능을 조사하기 위하여 도2에 도시된 것과 같은 실험 장치를 설계하고 이를 통하여 기존의 뜬바닥 구조의 성능을 테스트하였다. 위 실험에서는 대표적인 층간완충재인 EVA 제품과, 단열 기준에 의해 사용이 의무화된 KS 2호 스티로폼을 대상으로 중량충격음에 대한 저감 성능을 테스트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3,000×1,000×150 치수로 제작된 콘크리트 판의 상부에 층간완충재를 20㎜ 두께로 각각 설치하고 그 위에 기포콘크리트 및 미장 모르터를 소정 두께로 타설하여 시험체를 제작한 다음, 이를 표준 중량 충격음원으로 가진하여 그 진동 가속도 값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치를 완충재를 사용하지 않고 콘크리트 슬래브만으로 실험한 결과와 비교하였다.In order to investigate the weight impact sound attenuation performance of the existing floor structure, the present inventors designed an experimental apparatus as shown in FIG. 2 and tested the performance of the existing floating floor structure. In the above experiments, the reduction performance for the weight impact sound was tested on EVA products, which are representative interlayer buffers, and KS No. 2 styrofoam, which are mandatory to use by the insulation standard. Specifically, interlaminar buffers are installed in the upper part of the concrete plate manufactured in the dimensions of 3,000 × 1,000 × 150, each with a thickness of 20 mm, and foamed concrete and plaster mortar are poured to a predetermined thickness to prepare a test body, and then the standard weight impact The vibration acceleration value was measured by excitation as a sound source, and the result was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experiments using only concrete slab without using cushioning material.

도3은 상기와 같은 실험에 대한 결과를 그래프의 형태로 나타낸 것으로서, 도시된 바로부터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층간완충재를 적용하여 시험한 경우, 일반적인 예상과는 달리 시험에 사용된 2가지 완충재 모두에서 콘크리트 슬래브만으로 시험한 경우에 비해 그다지 큰 충격음 저감 효과를 보이지 못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더구나, 중량 충격음에서 특히 문제가 되고 있는 250Hz 이하의 대역에서의 결과치를 보게 되면, 층간완충재를 적용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충격음 저감 정도에서 거의 차이가 없거나 일부 대역에서는 오히려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Figure 3 shows the results of the above experiments in the form of a graph, as can be seen from the case, when tested by applying the interlayer buffer, both buffers used in the test, unlike the general expectation In comparison with the concrete slab test, the impact noise reduction effect was not found to be much larger. In addition, the results in the band below 250Hz, which is particularly problematic in weight impact sound, showed little difference in the degree of impact sound reduction or increased in some bands as compared with the case without applying the interlayer buffer.

이와 같이 층간완충재의 설치로 인하여 중량충격음이 증가한다는 결과는 아래에서 제시하는 시험 데이터에서도 확인될 수 있다. 아래 표1과 표2는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종류의 완충재 제품들에 대해 실제로 건설현장에서 그 성능을 테스트한 후 그 결과를 표로 나타낸 것으로서, 이들 현장 시험결과에서도 층간완충재를 사용함으로써 중량충격음이 더욱 증가되고 있음이 확인되고 있다. As such, the result of the increase in the weight impact sound due to the installation of the interlayer buffer may be confirmed in the test data presented below. Table 1 and Table 2 below show the results of the actual test at the construction site for various types of shock absorber products used in Korea. It is confirmed that it is increasing.

Figure 112005033667318-PAT00001
Figure 112005033667318-PAT00001

Figure 112005033667318-PAT00002
Figure 112005033667318-PAT00002

또한, 아래 표3은 포스코건설 방재시험 연구소에서 실시한 중량충격음에 대한 시험결과를 나타낸 것으로서, 여기서도 완충재를 설치하는 대신 그 두께만큼 기포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쪽이 중량충격음의 저감면에서 볼 때 오히려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In addition, Table 3 below shows the test results for the weight impact sound conducted by POSCO E & C Disaster Prevention Test Institute.In this case, it is better to place foam concrete by the thickness instead of installing the cushioning material in terms of reducing the weight impact sound. I could confirm it.

Figure 112005033667318-PAT00003
Figure 112005033667318-PAT00003

이상의 실험 결과들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슬래브 구조체의 상부에 층간완충재를 깔아 소음 및 충격의 저감을 도모하였던 기존의 뜬바닥 구조의 경우 층간완충재를 설치하지 않은 슬래브 구조에 비해 중량 충격음의 저감면에서 효과가 없거나 오히려 불리하게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층간완충재에 의해 바닥 충격음이 저감될 것이라는 일반적인 인식과는 반대의 결과로서, 이에 따르면 현재 일반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뜬바닥 구조는 중량 충격음에 대해 매우 취약하여 개선 의 필요성이 절실하다고 할 것이다. 이에 본 발명자는 그 해결 방안을 찾기 위해 노력한 결과, 완충재의 설치로 인해 중량충격음이 증가하는 원인을 찾아내고 아래에서 설명하는 것과 같은 본 발명을 제시할 수 있게 되었다. As shown in the above experimental results, in the case of the existing floating floor structure, in which the interlayer cushioning material is laid on the top of the slab structure to reduce the noise and impact, it is effective in reducing the weight impact sound compared to the slab structure without the interlayer buffering material.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no or rather adverse action. This is in contrast to the general perception that floor impact sound will be reduced by the interlayer buffer material. According to this, the floating floor structure, which is currently applied in general, is very vulnerable to heavy impact sound, and the need for improvement is urgently needed. As a result of the effort to find the solution, the inventors have been able to find the cause of the increase in the weight shock sound due to the installation of the cushioning material and to present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below.

본 발명은 기존의 뜬바닥 구조에서 나타난 중량 충격음에 대한 취약성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기존의 뜬바닥 구조에서 층간완충재에 의해 분리 타설되었던 상,하 콘크리트 구조체를 상호 연결하여 일체로 거동하게 함으로써 중량 충격음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는 개선된 바닥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그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overcome the weakness of the weight impact sound in the existing floating floor structu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by connecting the upper and lower concrete structures that were separated and laid by the interlayer buffer in the existing floating floor structure It is a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to provide an improved floor structure which can effectively reduce the occurrence of heavy impact sound by making it act integrally.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바닥구조를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층간완충재 고정장치로서, 기존에는 단순히 층간완충재를 고정하는 수단으로만 사용되었던 층간완충재 고정구의 구조를 일정하게 변형하여 층간완충재 상하에 타설된 기포콘크리트와 슬래브 구조체를 일체화하기 위한 연결체로서의 기능을 하게 함으로써 층간완충재에 대한 고정수단과 중량충격음 저감의 효과를 동시에 갖는 새로운 층간완충재 고정구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기술적 과제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s an interlayer buffer fixing device that can effectively implement the floor structure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y constantly modifying the structure of the interlayer buffer fixing fixture that was previously used only as a means for fixing the interlayer buffer between the interlayer Another technical problem is to provide a new interlayer buffer fastener having both the fixing means for the interlayer buffer and the effect of reducing the weight impact sound by acting as a connecting body for integrating the foam concrete and the slab structure placed above and below the shock absorber. .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층간 충격음 저감을 위한 바닥구조는, 건축물의 콘크리트 슬래브 구조체 상에 층간완충재를 깔아 상부로부터의 바닥충격음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한 공지의 뜬바닥 구조에서, 층간 완충재를 사이에 두고 분리 타설된 상부 콘크리트 구조체와 하부 콘크리트 구조체를 상호 연결하는 별도의 상하연결체를 바닥 평면상 소정 위치마다 설치함으로써 상기 상부 콘크리트 구조체와 하부 콘크리트 구조체가 서로 일체로 거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을 그 기본적인 기술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technical problem as described above, the floor structure for reducing the impact sound between the floors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pread the floor cushioning material on the concrete slab structure of the building so as to reduce the floor impact sound from the top. In the above, the upper concrete structure and the lower concrete structure can be integrated with each other by installing separate upper and lower connecting bodies interconnected between the interlayer cushioning material and the lower concrete structure at predetermined positions on the floor plane. Its basic technical features are made possible.

이 때, 상기 본 발명의 구성에 있어서, 상하연결체는 그 상부측이 상부 콘크리트 구조체 내부에 매립되고, 하부측은 고정철물에 의해 하부 콘크리트 구조체에 고정되게 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이 역시 바람직한 구성으로서 본 발명이 갖는 특징 중 하나이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바닥구조에 대한 더욱 바람직한 구성으로서, 상기 상,하부 콘크리트 구조체를 일체로 연결하기 위한 상하연결체로서 그 하단부에는 수평으로 완충재누름판이 구비됨과 동시에 상기 완충재누름판은 상기 층간 완충재의 상면에 접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완충재누름판은 층간 완충재를 상하로 관통하여 하부 콘크리트 구조체에 박힌 고정철물에 의해 고정되게 한 상하연결체를 이용하여 구성된 바닥구조를 제공한다.At this time, in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and lower connections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upper side is embedded in the upper concrete structure, the lower side is fixed to the lower concrete structure by a fixing hardware, which is also a preferred configuration One of the features of the invention. Furthermore, the present invention is a more preferable configuration for the floor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upper and lower connecting bodies for connecting the upper and lower concrete structures integrally at the lower end of the cushioning material pressing plate provided at the same time horizontally Is installed to contact the upper surface of the interlayer cushioning material and the cushioning material press plate provides a floor structure configured by using a vertical connecting body which is fixed by a fixed steel embedded in the lower concrete structure through the interlayer cushioning material up and down.

그리고, 상기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다음과 같은 새로운 형태의 층간완충재 고정구를 제공하며, 이는 층간완충재의 상면에 접하여 설치될 수 있도록 평판형태를 갖는 완충재누름판과; 층간완충재 상부에 타설된 콘크리트의 내부에 매립될 수 있도록 상기 완충재누름판의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된 매립헤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층간완충재 고정구임을 그 기본적 인 구성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new type of interlayer buffer fastener, which includes: a cushioning material press plate having a flat plate shape so as to be in contact with an upper surface of the interlayer buffer material; The interlayer buffer member is configured to include a buried head portion protrud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ushioning material pressing plate to be embedded in the interior of the concrete placed on the interlayer cushioning material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asic configuration.

이 때, 상기 본 발명의 층간완충개 고정구에 있어 상기 매립헤드부는 그 내부가 비어있고 상부가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매립헤드부는 상부의 폭이 하부의 폭보다 넓은 상광하협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와 함께 상기 매립헤드부의 외부측으로는 돌출된 플랜지가 형성되게 구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buried head portion in the interlayer shock-absorbing fix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ade in the form that the inside is empty and the top is open. In addition, the buried head portion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light-receiving narrower than the width of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it is more preferably configured to form a protruding flange to the outside of the buried head portion.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바닥구조는, 층간완충재를 사용하여 충격을 흡수하고자 했던 기존의 뜬바닥 구조에 의할 경우 중량 충격음에 대해서는 효과가 없거나 오히려 증대되었던 원인을 밝혀내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제공되는 것이며, 이러한 본 발명이 종래 기술과 구별되는 주요한 기술적 특징은 종래 층간 완충재를 경계로 하여 상,하로 분리 타설되었던 상부 콘크리트 구조물(주로, 기포콘크리트 + 마감몰탈)과 하부 콘크리트 구조물(슬래브 구조체)를 연결하는 상하연결체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상,하부 콘크리트 구조물이 일체로 거동할 수 있게 함에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한 바닥구조의 경우, 중량 충격시 층간완충재에 의해 분리 타설된 상,하부 콘크리트 구조체가 일체로 진동함으로써 상부로부터 가해진 중량 충격 에너지를 더욱 효과적으로 소산시킬 수 있게 되며, 이로써 중량 충격음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 floor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by the existing floating floor structure that was intended to absorb the impact using the interlayer cushioning material to find out the cause that was ineffective or rather increased for the impact sound weight to solve the problem It is provided as a means, the main technical features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distinguished from the prior art is the upper concrete structure (mainly, foam concrete + finishing mortar) and the lower concrete structure (slab) which was placed up and down separately on the basis of the conventional interlayer cushioning material By installing a vertical connecting body connecting the structure), the upper and lower concrete structures to be able to act integrally. Accordingly, in the case of the floo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eight impact energy applied from the upper portion can be more effectively dissipated by vibrating the upper and lower concrete structures separately placed by the interlayer cushioning material during the weight impact, thereby causing the weight impact sound An effect that can be effectively reduced can be obtained.

이러한 본 발명의 특징과 관련하여, 본 발명자는 앞서 제시한 여러 시험 데이터들을 통해 종래의 층간완충재가 적용된 뜬바닥 구조가 층간완충재를 사용하지 않는 일반 구조보다 중량 충격음이 줄어들지 않거나 오히려 더 증대됨으로써 층간완충재의 설치에 의해 충격음이 저감될 것이라는 일반적인 통념과는 차이가 있음을 밝혀 내었으며, 이에 본 발명자는 그 이유를 찾아내기 위해 노력한 결과 그 원인을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게 되었다. In connection with this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ventors have shown through the various test data presented above that the floor impact structure to which the conventional interlayer buffer is applied does not reduce or rather increase the weight impact sound than the general structure without using the interlayer buffer. It has been found that there is a difference from the general notion that the impact sound will be reduced by the instal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result, the present inventors have tried to find the reason and can explain the cause as follows.

즉, 과거 뜬바닥 구조를 사용하지 않는 일반 바닥구조는 슬래브 구조체, 기포콘크리트 및 온돌미장몰탈이 일체화되어 전체적으로 하나의 매스로서 거동하는 것이기 때문에 중량 충격에 의한 에너지는 상기 세 부분(슬래브 + 기포Con'c + 미장몰탈)이 합해진 질량을 동시에 거동시켜서 진동을 만들게 된다.In other words, the general floor structure, which does not use the floating floor structure in the past, is the slab structure, foam concrete, and ondol plaster mortar is integrated and behaves as one mass as a whole, so the energy due to the weight impact is the three parts (slab + bubble Con '). c + plaster mortar) causes the combined mass to behave simultaneously to create vibrations.

그러나 이에 비해, 층간완충재가 설치된 뜬바닥 구조에 있어서는 층간완충재에 의해 하부의 슬래브 구조체와 상부의 기포콘크리트/몰탈층이 서로 일체화되지 못하고 분리되어 있으므로, 완충재 상부 구조체(기포콘크리트+몰탈)와 하부 슬래브 구조체가 각자 개별적으로 진동하여 충격 에너지를 소산시켜야 한다. 그러나 상기 뜬바닥 구조에 있어 기포콘크리트/몰탈의 경우 단순히 완충재 상부에 얹혀져 실질적으로 건물 구조체에 전혀 구속되지 않고 있으므로 진동만 할 뿐 바닥충격을 거의 소산시키지 못하며, 이에 따라 중량충격 에너지는 거의 감쇄 없이 하부 바닥 슬래브에 전달되게 된다 (물론, 층간완충재의 자체 변형에 의해 충격에너지가 다소 흡수되기는 하지만 충분한 두께가 확보되지 않는 경우 그 정도는 미약함).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뜬바닥 구조에서는 동량의 에너지가 거동시켜야 하는 질량이 하부 슬래브 구조체 만으로 한정되는 바 슬래브의 진동이 더 커지고 이로 인하여 층간완충재를 설치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중량 충격음이 증가되는 경우가 발생하는 것이다. However, in the floating floor structure provided with the interlayer buffer material, the lower slab structure and the foamed concrete / mortar layer on the upper layer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without being integrated with each other, so that the upper structure of the buffer material (foamed concrete + mortar) and the lower slab are separated. The structures must vibrate individually to dissipate impact energy. However, in the floating floor structure, the foamed concrete / mortar is simply placed on the upper of the cushioning material, so that it is not substantially restrained by the building structure, and thus only vibrates and hardly dissipates the floor impact. Accordingly, the weight impact energy is almost reduced without attenuation. It is transferred to the floor slab (of course, the impact energy is absorbed somewhat by the self-deformation of the interlayer buffer, but it is weak if sufficient thickness is not obtained). Therefore, in the conventional floating floor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mass of the same amount of energy should be limited to only the lower slab structure, the vibration of the slab becomes larger, and thus the weight impact sound is increased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no interlayer buffer is installed. Will occur.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층간완충재의 설치에 의해 상부의 기포콘크리트/몰탈층과 하부의 슬래브 구조체가 별개로 거동함으로 인하여 충격 에너지의 소산면에서 역효과를 내고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상,하부 콘크리트 구조체를 별도 부재인 상하연결체로 연결함으로써 일체로 진동하도록 하여 중량 충격음을 효과적으로 소산시킬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oam concrete / mortar layer of the upper and the slab structure of the lower by the installation of the interlayer buffer material as described above, paying attention to the adverse effect on the dissipation surface of the impact energy, the upper and lower concrete The structure is configured to effectively dissipate the weight impact sound by vibrating integrally by connecting the structure with a vertical connecting member which is a separate member.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개념이 바람직하게 구현된 실시예와 함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이는 이 분야에서 통상을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더욱 명확히 이해하고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이에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님을 미리 밝혀 둔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examples in which the inventive concept as described above is preferably implemented. However, this is intended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more clearly understand and easily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not to limit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vance.

도4는 본 발명의 층간 충격음 저감을 위한 바닥구조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5는 상기 본 발명의 바닥구조에서 사용된 상하연결체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6은 도5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상기 도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층간 충격음 저감을 위한 바닥구조는 전체적으로 건축물의 콘크리트 슬래브 구조체(2)상에 층간완충재(3)를 깔아 상부로부터의 바닥충격음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한 공지의 뜬바닥 구조를 기본 구성으로 하되, 상기 층간 완충재(2)를 사이에 두고 위,아래로 분리 타설된 상부 콘크리트 구조체(100)와 하부 콘크리트 구조체(200)를 상호 연결하는 별도의 상하연결체(1)를 설치하여 상기 상부 콘크리트 구조체(100)와 하부 콘크리트 구조체(200)가 서로 일체로 거동할 수 있도록 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이 때, 상기 상하연결체(1)는 바닥 평면상의 소정 위치마다 다수개를 설치하여 시공하며, 그 설치 간격은 구체적인 현장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대략 1m 내외 간격으로 설치함이 적당하다.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loor structure for reducing the inter-layer impact s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vertical connecting body used in the floor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t is sectional drawing along the A-A 'line | wire of 5. Referring to FIG. 4, the floor structure for reducing the impact sound between the floor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pread the floor shock absorber 3 on the concrete slab structure 2 of the building as a whole. The structure is a basic configuration, but separate the upper and lower connecting body (1) to interconnect the upper concrete structure 100 and the lower concrete structure 200, which is placed up and down separately with the interlayer cushioning material (2) therebetween. It can be seen that by installing the upper concrete structure 100 and the lower concrete structure 200 to be integrated with each other. At this time, the upper and lower connecting body 1 is installed by installing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positions on the floor plane, the installation interval may vary depending on the specific site situation, but it is appropriate to install at about 1m intervals.

도4의(a)는 기존의 뜬바닥 구조에 있어 가장 보편적인 구조에 본 발명을 적용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예의 경우 슬래브 구조체(2) 상에 층간완충재(3)를 깔고 그 위에 경량 기포콘크리트(4)과 온돌미장몰탈(5)을 타설하여 바닥구조를 시공한 것이며, 도4의(b)는 또 다른 시공예로서 슬래브 구조체(2) 상에 기포콘크리트(4)를 타설한 뒤, 그 위에 층간완충재(3)와 미장몰탈층(5)을 형성한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뜬바닥 구조에 있어 본 발명에서는 층간완충재(3)에 의해 분리되어 있는 하부 콘크리트 구조체(100)로서의 슬래브 구조체(2)와 상부 콘크리트 구조체(200)로서의 기포콘크리트(4)와 미장몰탈(5)을 상호 연결하도록 별도의 부재인 상하연결체(1)를 설치하고 있으며(도4의(a) 기준), 이 때 상기 상하연결체(1)는 그 하부가 하부 콘크리트 구조체(100)에 고정되고 상부는 상부 콘크리트 구조체(200)에 고정되어 상기 상,하부 콘크리트 구조체(100)(200)들이 일체로 거동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Figure 4 (a) shows a state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most common structure of the existing floating floor structure, in the case of laying the interlayer buffer (3) on the slab structure (2) in the case of a lightweight bubble thereon After the concrete (4) and the ondol plaster mortar (5) is poured to the floor structure, Figure 4 (b) is another construction example after pouring the foam concrete (4) on the slab structure (2), The structure in which the interlayer buffer 3 and the plaster mortar layer 5 are formed thereon is show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lab structure 2 as the lower concrete structure 100 and the foamed concrete 4 and the plaster mortar 5 as the upper concrete structure 200 are separated by the interlayer buffer 3 in the present floating structure. The upper and lower connectors 1, which are separate members, are installed to interconnect each other (see FIG. 4 (a)), wherein the upper and lower connectors 1 are fixed to the lower concrete structure 100 at the lower part thereof. The upper part is fixed to the upper concrete structure 200 to allow the upper and lower concrete structures 100 and 200 to be integrally behaved.

여기서, 상기 상하연결체(1)는 상,하부 콘크리트(100)(200)를 연결하여 일체 거동하게 하는 연결체로서의 기능을 만족시킬 수 있도록 충분한 강성을 갖는 재질로 제작될 것을 요하며, 이와 같은 재질로는 강재나 합성수지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하연결체의 고정에 있어서는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지만 바람직하게는 도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하연결체(1)의 상부측은 상부 콘크리트 구조체(200)의 내부에 매립되게 하고, 하부측은 태커나 앵커볼트와 같은 고정철물(H)을 사용하여 하부 콘크리트 구조체(100)에 고정 설치할 수 있다. Here, the upper and lower connecting bodies 1 are required to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sufficient rigidity to satisfy the function as a connecting body to connect the upper and lower concrete 100, 200 to integral behavior, such as As the material, steel, synthetic resin, or the like may be preferably used. In addition, various methods may be applied to the fixing of the vertical connecting body, but preferably, the upper side of the vertical connecting body 1 is embedded in the upper concrete structure 200, as shown in FIG. The side can be fixed to the lower concrete structure 100 using a fixing hardware (H), such as a tacker or anchor bolt.

아울러, 상기 상하연결체(1)의 구체적인 형상 및 설치상태 역시 상기와 같은 기본적인 기능을 만족시키는 범위 내에서 특별한 제한 없이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에서는 도3 및 도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하연결체로서의 기능뿐 아니라 층간완충재 고정구로서의 기능도 함께 갖도록 한 형태의 것을 상기 상하연결체(1)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형태로서 제시한다. In addition, the specific shape and installation state of the up and down connector (1) can also be easily modifi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particular limitation within the range to satisfy the basic function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3 and 4 As shown in FIG. 1, a form having a function of not only functioning as a vertical connector but also a function of an interlayer buffer member fastener is shown a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vertical connector 1.

도5는 본 발명에 있어서 상하연결체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상기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층간완충재 고정구는 기본적으로, 층간완충재의 상면에 접하여 설치될 수 있도록 평판형태를 갖는 완충재누름판(10)과; 층간완충재 상부에 타설된 콘크리트의 내부에 매립될 수 있도록 상기 완충재누름판(10)의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된 매립헤드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vertical coupling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5 the interlayer cushioning fixture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basically, can be installed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interlayer buffer. A cushioning material pressing plate 10 having a flat plate shape so as to be provided;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buried head portion 20 formed to protrude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ushioning material pressing plate 10 so as to be embedded in the concrete poured over the interlayer buffer.

즉, 상기 도5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기본적으로는 건축물의 콘크리트 슬래브 구조체 상에 설치된 층간완충재를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층간완충재 고정구인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층간완충재 고정구를 일정하게 변형 구성함으로써 층간완충재의 고정이라는 본래의 기능을 넘어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상하연결체로서의 기능을 가질 수 있도록 구현한 것이다. That is, in the case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 5, it is basically an interlayer shock absorber fixture used to fix the interlayer cushioning material installed on the concrete slab structure of the building, in the present invention by constantly deforming such an interlayer buffer fastener Beyond the original function of the fixing of the interlayer cushioning material is implemented to have a function as a vertical connector for reducing the interlayer nois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층간완충재 고정구의 설명을 위해 기존의 일반적인 층간완충재 고정구를 도7을 참조하여 보게 되면,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존 의 층간완충재 고정구(P)는 일반적으로 둥근 원판 형태의 완충재 누름판(P1) 하부에 다수의 뾰족한 고정침(P2)이 돌출된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종래의 완충재 고정구(P)를 이용하여 층간완충재(S2)를 고정함에 있어서는 슬래브(S1) 상에 놓여진 층간완충재(S2) 상에 상기 종래의 완충재 고정구(P)를 압착시킨 후 상부로부터 태커(tacker; H)를 박아 슬래브(S1) 구조체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고 있었다.For the description of such an interlayer buffer fastener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the conventional general interlayer buffer fasteners, as shown in Figure 7, the conventional interlayer buffer fastener (P) is generally in the form of a round disc A plurality of pointed fixing needles P2 protrude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cushioning material pressing plate P1, and in fixing the interlayer buffer S2 using the conventional cushioning material fixture P, the slab S1 is placed on the slab S1. After pressing the conventional cushioning material fixture (P) on the laid interlayer buffer (S2) was a tacker (tacker; H) from the top to be firmly fixed to the slab (S1) structure.

이에 대하여 본 발명은 도5 및 도6의 도시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일반적인 층간완충재 고정구에 있어 완충재 누름판(10)의 상부에 매립헤드부(20)를 일체로 더욱 형성함으로써 설치된 후에는 상기 매립헤드부(20)가 상부 콘크리트 구조체 내에 매립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는 점에서 종래 기술과 구별되는 본 발명만의 특징을 보인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층간완충재 고정구(1)를 설치 시공함에 있어서는 도4에서와 같이 층간완충재(3)의 상부에 본 발명의 고정구(1)를 배치하되 하부 콘크리트 구조체(100)와는 고정철물(H)을 사용하여 고정하고, 그 위에 상부 콘크리트 구조체(200)로서 경량 기포콘크리트(4), 마감몰탈(5) 등을 타설함으로써 그 내부에 매립될 수 있도록 설치한다. 이 때, 상기 본 발명의 층간완충재 고정구(1)를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고정철물로는 건설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여러 고정구 형식들 중 충분한 고정력을 확보할 수 있는 형태의 것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예컨대 도4의(a)에 도시된 태커(tacker)나 도4의(b)에 도시된 앵커볼트(anchor bolt)와 같은 것들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s 5 and 6, after being installed by further integrally forming the buried head portion 20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uffer material pressing plate 10 in the conventional general interlayer buffer fixture as described above The buried head portion 20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distinguished from the prior art in that it is configured to be embedded in the upper concrete structure. In addition, in installing the interlayer cushioning material fastener 1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 4, the fastener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interlayer cushioning material 3, and fixed with the lower concrete structure 100. Fixing by using the hardware (H), and installed on top of it to be embedded therein by placing a lightweight foam concrete (4), finishing mortar (5) and the like as the upper concrete structure (200). At this time, the fixing hardware used to fix the interlayer cushioning fixture (1)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elected and used in the form of securing a sufficient fixing force among the various types of fasteners commonly used in the construction field For example, such as a tacker shown in FIG. 4A or an anchor bolt shown in FIG. 4B may be preferably used.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층간완충재 고정구(1)를 사용하여 이루어진 바닥구조의 경우 층간완충재(3)의 상,하에 타설된 콘크리트 구조체들이 일체로 연결되어 함께 거동함으로써 기존의 뜬바닥 구조에 비해 중량 충격에너지를 효과적으로 소산시킬 수 있으므로 슬래브 진동 및 중량 충격음이 저감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층간완충재 고정구(1)를 사용하게 되면, 상기 본 발명의 층간완충재 고정구(1)가 전술한 본 발명의 바닥구조에 있어서 상하연결체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바 기존의 시공방식에 비해 공정의 추가가 없으므로 작업량 및 시공 기간이 늘어남이 없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바닥 충격을 저감을 위한 바닥구조를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the floor structure made using the interlayer cushioning material fixture 1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crete structures placed above and below the interlayer cushioning material 3 are integrally connected and behave together so that the weight is lower than the existing flooring structure. Since the impact energy can be effectively dissipated, the slab vibration and the weight impact sound can be reduced. In particular, when using the interlayer cushioning fixture (1)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rlayer cushioning fixture (1)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a role as a vertical coupling in the above-described floor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existing construction method Compared with no additional process, it is possible to easily implement the floor structure for reducing the floor impact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increasing the workload and construction period.

한편, 도5 및 도6에 도시된 층간완충재 고정구(1)에 따르면, 상기 매립헤드부(20)는 그 형상 면에서 내부가 비어있고 상부가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져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층간완충재 고정구는 상부로부터 타설되는 기포콘크리트 또는 마감몰탈이 상기 매립헤드부(20) 내에 채워져 들어감에 의해 더욱 안정된 설치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매립헤드부(20)의 형상은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하부폭에 비해 상부폭을 더 크게 하여 상광하협(上廣下狹)의 형태를 갖게 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매립헤드부(20) 내에 콘크리트(또는 몰탈)가 용이하게 투입될 수 있어 빈 공간 없이 밀실하게 채워질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interlayer cushioning fixture 1 shown in Figs. 5 and 6, it can be seen that the buried head portion 20 is formed in the form of a hollow inside and an open top in the shape. According to such a configuration, the interlayer cushioning material fasten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aintain a more stable installation state by filling the buried foam concrete or the finishing mortar from the upper portion into the buried head portion 20. In addition, more preferably, the shape of the buried head portion 20 may have a shape of an ordinary light narrowing (上 廣 下 狹) by making the upper width larger than that of the lower width as shown in the figure. By doing so, concrete (or mortar) can be easily introduced into the buried head portion 20, so that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filling can be performed tightly without empty space.

나아가, 상기 매립헤드부(20)의 상부측에는 외측으로 연장 돌출된 플랜지(25)를 더욱 형성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플랜지(25)의 형성에 의해 본 발명의 층 간완충재 고정구(1)는 상부 콘크리트 구조체(200)에 대한 구속력이 증대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플랜지(25)는 층간완충재(3) 상부에 타설되는 경량 기포콘크리트(4)가 타설될 높이를 표시하는 마커(marker)로서의 역할도 함께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별도의 높이 표시구의 설치 없이 정확한 타설 높이로 시공할 수 있게 되는 이점도 기대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upper side of the buried head portion 20 may further form a flange 25 protruding outward, by forming the flange 25, the interlayer buffer fixing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restraint on the concrete structure 200 can be obtained. In addition, the flange 25 may also serve as a marker for indicating the height at which the lightweight foam concrete 4 to be placed on the interlayer buffer 3 is disposed, thereby installing a separate height indicator. It can also be expected that the construction can be performed at the exact pouring height without the need.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에서 설명된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부가 및 변형이 가능할 것임은 당연한 것으로,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형태들 역시 아래에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지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capable of various substitutions, additions and modific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described abov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such modified embodiments also fall within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below.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본 발명의 바닥구조에 따르면, 기존의 뜬바닥 구조에서 층간완충재에 의해 분리 타설되었던 기포콘크리트와 콘크리트 슬래브를 상호 연결하여 일체로 거동하게 함으로써 충격 에너지를 더욱 효율적으로 소산시킬 수 있으므로 중량 충격음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floor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impact energy can be more efficiently dissipated by interconnecting the bubble concrete and the concrete slab, which are separated and laid by the interlayer buffer in the existing floating floor structure, to be integrated with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reduce the occurrence of the weight impact sound.

아울러,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기존에는 단순히 층간완충재를 고정하는 수단으로만 사용되었던 층간완충재 고정구의 구조를 일정하게 변형하여 층간완충재 상하에 타설된 기포콘크리트와 슬래브 구조체를 일체화하기 위한 연결 체로서의 기능을 하게 함으로써 별도의 추가공정 없이 층간완충재의 고정 작업만으로 바닥 충격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by constantly modifying the structure of the interlayer buffer fasteners that were previously used only as a means for fixing the interlayer buffer, the connection for integrating the foam concrete and the slab structure placed above and below the interlayer buffer material By functioning as a sieve,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effect of reducing the floor impact sound only by fixing the interlayer cushioning material without any additional process.

Claims (8)

건축물의 콘크리트 슬래브 구조체 상에 층간완충재를 깔아 상부로부터의 바닥충격음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한 공지의 뜬바닥 구조에 있어서,In a well-known floating floor structure in which an interlayer cushioning material is laid on a concrete slab structure of a building to reduce the floor impact sound from the top, 상기 층간 완충재를 사이에 두고 분리 타설된 상부 콘크리트 구조체와 하부 콘크리트 구조체를 상호 연결하는 별도의 상하연결체를 바닥 평면상 소정 위치마다 설치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충격음 저감을 위한 바닥구조.Floor structure for reducing the impact sound between the floor, characterized in that by installing a separate up and down connecting body connecting the upper concrete structure and the lower concrete structure to be disposed between the interlayer cushioning material at predetermined positions on the floor pla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연결체는 그 상부측이 상부 콘크리트 구조체 내부에 매립되고, 하부측은 고정철물에 의해 하부 콘크리트 구조체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충격음 저감을 위한 바닥구조.The floor structure of claim 1, wherein the upper and lower connecting bodies are buried in the upper concrete structure, and the lower side is fixed to the lower concrete structure by a fixing ir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연결체의 하단부에는 수평으로 완충재누름판이 구비됨과 동시에, 상기 완충재누름판은 상기 층간 완충재의 상면에 접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완충재누름판은 층간 완충재를 상하로 관통하여 하부 콘크리트 구조체에 박힌 고정철물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충격음 저감을 위한 바닥구조.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lower end of the upper and lower connections is provided with a cushioning material pressing plate horizontally, the cushioning material pressing plate is installed to contact the upper surface of the interlayer cushioning material, the cushioning material pressing plate penetrates the interlayer cushioning material up and down to lower concrete Floor structure for reducing the inter-layer impact sound, characterized in that fixed by a fixed hardware embedded in the structure. 건축물의 콘크리트 슬래브 구조체 상에 설치된 층간완충재를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층간완충재 고정구에 있어서,In the interlayer shock absorber fixture used to fix the interlayer buffer material installed on the concrete slab structure of the building, 층간완충재의 상면에 접하여 설치될 수 있도록 평판형태를 갖는 완충재누름판과; A cushioning material pressing plate having a flat plate shape so as to be installed in contact with an upper surface of the interlayer cushioning material; 층간완충재 상부에 타설된 콘크리트의 내부에 매립될 수 있도록 상기 완충재누름판의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된 매립헤드부;A buried head portion protruding to an upper portion of the cushioning material pressing plate so as to be embedded in the concrete poured on the interlayer buffer material; 를 포함하여 구성된 층간 충격음 저감을 위한 층간완충재 고정구.Interlayer shock absorber fixture for reducing the interlayer impact sound comprising a.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매립헤드부는 내부가 비어있고 상부가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충격음 저감을 위한 층간완충재 고정구.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buried head portion of the interlayer shock absorber fixture for reducing the impact sound of the interlayer, characterized in that the interior is made of an open shape.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매립헤드부는 상부의 폭이 하부의 폭보다 넓은 상광하협의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충격음 저감을 위한 층간완충재 고정구.The method of claim 4 or 5, wherein the buried head portion interlayer shock absorber fixture for reducing the impact sound between layers,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width is formed in the form of a light beam narrower than the lower width.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매립헤드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플랜지가 더욱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충격음 저감을 위한 층간완충재 고정구.The method of claim 4 or 5, wherein the buried head portion is an interlayer shock absorber fixture for reducing the impact sound of the interlayer, characterized in that is further formed with a flange protruding outward.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재누름판의 하부에는 뾰족한 형태의 고정침이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충격음 저감을 위한 층간완충재 고정구.The method of claim 4 or 5, wherein the lower portion of the buffer member pressing plate interlayer cushioning material fasteners for reducing the impact sound of the interlayer, characterized in that the pointed needle is formed protruding.
KR1020050054836A 2005-06-24 2005-06-24 Floor Structure for Insulating Multi-Level Impact Sound, and Fixture Apparatus Thereof KR10071163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4836A KR100711639B1 (en) 2005-06-24 2005-06-24 Floor Structure for Insulating Multi-Level Impact Sound, and Fixture Apparatus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4836A KR100711639B1 (en) 2005-06-24 2005-06-24 Floor Structure for Insulating Multi-Level Impact Sound, and Fixture Apparatus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5146A true KR20060135146A (en) 2006-12-29
KR100711639B1 KR100711639B1 (en) 2007-04-25

Family

ID=37813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4836A KR100711639B1 (en) 2005-06-24 2005-06-24 Floor Structure for Insulating Multi-Level Impact Sound, and Fixture Apparatus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1639B1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9555B1 (en) * 2016-02-24 2016-07-22 이방열 Shock absorbing pad assembly for blocking floor noise
KR101650429B1 (en) * 2015-08-31 2016-08-23 주식회사 반석티브이에스 Structure for reducing noises between stairs using stiffness of ondol layer
KR101683055B1 (en) * 2015-09-03 2016-12-06 삼성물산 주식회사 Floor slab with absorbing part for impact sound
KR102268331B1 (en) * 2020-01-15 2021-06-24 (주)티에이치엘네트웍스 Insulated Slab-Integrated Interlayer Noise Reduction Structure
KR102343095B1 (en) * 2020-07-09 2021-12-29 (주)티에이치엘네트웍스 Insulated Slab-Integrated Interlayer Noise Reduction Structure
KR102621164B1 (en) * 2022-10-20 2024-01-04 이인우 Floor structure for reducing noise between floors and its construction method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0429B1 (en) * 2015-08-31 2016-08-23 주식회사 반석티브이에스 Structure for reducing noises between stairs using stiffness of ondol layer
KR101683055B1 (en) * 2015-09-03 2016-12-06 삼성물산 주식회사 Floor slab with absorbing part for impact sound
KR101639555B1 (en) * 2016-02-24 2016-07-22 이방열 Shock absorbing pad assembly for blocking floor noise
KR102268331B1 (en) * 2020-01-15 2021-06-24 (주)티에이치엘네트웍스 Insulated Slab-Integrated Interlayer Noise Reduction Structure
KR102343095B1 (en) * 2020-07-09 2021-12-29 (주)티에이치엘네트웍스 Insulated Slab-Integrated Interlayer Noise Reduction Structure
KR102621164B1 (en) * 2022-10-20 2024-01-04 이인우 Floor structure for reducing noise between floors and its construction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1639B1 (en) 2007-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1639B1 (en) Floor Structure for Insulating Multi-Level Impact Sound, and Fixture Apparatus Thereof
KR100563097B1 (en) Construction materials for reducing noise between stories of building and method for construct the same on the floor of building
KR102311980B1 (en) Floor buffer structure equipped with a dustproof mat for reducing floor impact sound
KR20170087146A (en) Interlayer sound insulation material
KR200386633Y1 (en) Soundproof pad for multilayered building
KR101269110B1 (en) A method for manufacturing and execution of works with a panel for absorbing and cutting off impact noise
KR20120003557A (en) Interfloor noise proofing material for absorbing light-weight impact noise and heavy weight impact noise
JP4413344B2 (en) Soundproof floor structure
KR20180025420A (en) Noise reduction method between floors in reinforced concrete buildings using composite mortar with improved sound insulation and sound absorption
KR101269113B1 (en) A method for manufacturing with a panel for absorbing and cutting off impact noise
KR200413600Y1 (en) Instrument for Absorbing Layer-to-layer Vibration and Noise
KR100920200B1 (en) Plywood panel type floating floor system using damping plywood
KR100790468B1 (en) A vibration damping board
KR101639319B1 (en) Vibration Isolator Capable of Reducing the Transmission of Vibration of the Vertical Member and Floor Vibration Isolation System Using the Same
KR200404873Y1 (en) Apparatus for prevention of oscillation and noise onevery floor
KR100692315B1 (en) prevention structure for floor impact noise of building
KR200352225Y1 (en) Floor Structure for Insulating Multi Level Impact Sound
KR102629113B1 (en) Floating floor structure to reduce floor impact sound
KR101089693B1 (en) Soundproof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200392801Y1 (en) Hypocaust Structure Using Damping Materials
JP7435271B2 (en) Sound insulation structure
KR20200063444A (en) Noise Absorption Structure Of Slab Concrete Using Impact Mitigating Part
KR20040105679A (en) Soundproof pad for multilayered building
KR100629954B1 (en) Structure of isolating a crashing sound of floor of a building
KR200447815Y1 (en) Shock absobing assembly having a plurality of layers for bottom of buield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