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2225Y1 - Floor Structure for Insulating Multi Level Impact Sound - Google Patents

Floor Structure for Insulating Multi Level Impact Soun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2225Y1
KR200352225Y1 KR20-2004-0007167U KR20040007167U KR200352225Y1 KR 200352225 Y1 KR200352225 Y1 KR 200352225Y1 KR 20040007167 U KR20040007167 U KR 20040007167U KR 200352225 Y1 KR200352225 Y1 KR 2003522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b
interlayer
floor
layer
floor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7167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상태
Original Assignee
김상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태 filed Critical 김상태
Priority to KR20-2004-00071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2225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22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2225Y1/en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188Edge insulation strips, e.g. for floor screed lay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04F15/203Separately-laid layers for sound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04F15/206Layered panels for sound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2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 E04F2290/023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for heating

Abstract

건축물 바닥 슬래브의 층간 소음 및 진동을 저감시키기 위한 바닥 구조에 관한 개선된 기술이 개시된다.An improved technique is disclosed for a floor structure for reducing interlayer noise and vibration of building floor slabs.

본 고안은 건축물의 콘크리트 슬래브 구조체 상에 층간 완층층을 형성하여 상부로부터의 바닥충격음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한 공지의 뜬바닥 구조에 있어서 상기 층간 완충층은 주변단부에 비하여 중앙부의 두께가 두껍게 솟아 오르도록 단차가 형성되어 있도록 한 것을 구성상의 특징으로 하며,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중량 충격에 의한 에너지를 강성이 높은 슬래브의 양 단부쪽으로 분산시킬 수 있음으로써 슬래브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고도 중량 충격음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well-known floating floor structure to reduce the floor impact sound from the top by forming an interlayer complete layer on the concrete slab structure of the building, the interlayer buffer layer so that the thickness of the center portion rises thicker than the peripheral end portion. It is characterized by the configuration that the step is form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disperse the energy due to the weight impact to both ends of the high rigid slab to effectively reduce the weight impact sound without increasing the slab thickness The effect can be obtained.

Description

층간 충격음 저감을 위한 바닥구조 {Floor Structure for Insulating Multi Level Impact Sound}Floor Structure for Reducing Interlayer Impact Sound {Floor Structure for Insulating Multi Level Impact Sound}

본 고안은 건축물 바닥 슬래브의 층간 소음 및 진동을 저감시키기 위한 바닥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아파트, 오피스텔, 주상복합 빌딩과 같은 다층 건물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소음, 진동 등이 층간 슬래브를 통하여 아래층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되, 특히 기존의 바닥구조에서는 해결이 곤란하였던 중량 충격음에 대한 저감 효과가 뛰어난 건축물의 층간 바닥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or structure for reducing the floor noise and vibration of the building floor slab, and more specifically, the noise, vibration, etc. generated in the interior of a multi-storey building such as an apartment, an officetel, a multi-purpose building, and the like. It is to prevent the transfer to the lower floor, but in particular relates to the inter-floor floor structure of the building excellent in reducing the impact on the weight impact sound that was difficult to solve in the existing floor structure.

최근 들어 급속한 산업 발달 및 경제 성장에 따라 건축물의 수요가 증가하고 이와 더불어 지가는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 결과, 지가의 수준이 높은 도심지에 건설되는 오피스 건물 등의 경우 토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건축물의 고층화 경향이 나타나고 있으며, 특히 최근에는 대도시로의 인구 집중이 심화됨에 따라 대도시에서의 주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아파트나 다세대 주택과 같은 공동주택이 널리 보급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이러한 다층 건축물들의 경우 상 하층 세대간에 상부층 바닥과 하부층 천정이 층간 슬래브라는 동일한 구조체로서 공유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상부층에서 발생된 각종 소음들이 이 층간 슬래브를 통하여 하부층으로 전달됨으로써 다른 사람의 생활이나 업무에 지장을 주게 되는 문제가 있다.Recently, with the rapid industrial development and economic growth, the demand for buildings is increasing and land prices are continuously increasing. As a result, in the case of office buildings, etc., which are constructed in urban areas with high level of land prices, buildings tend to become more tall in order to use land efficiently.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multi-family housing such as apartments and multi-family homes is widely used. However, in the case of multi-layered buildings, the upper floor and the lower ceiling are shared as the same structure between the upper floor and the lower floor. As a result, various noises generated in the upper floor are transmitted to the lower floor through the interlayer slab, so that other people's life or work There is a problem that interferes with.

따라서, 상기와 같은 소음 및 충격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로부터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며, 현재 이러한 바닥 충격음 저감을 위한 바닥구조로서 가장 보편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방식으로는 슬래브 구조체와 상부 미장 몰탈층 사이에 층간 완충층을 설치하고 이에 의해 층간 소음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 이른바 뜬바닥 구조(floating floor)를 들 수 있다. 도1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뜬바닥 구조에 대한 일반적인 단면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도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이는 슬래브 구조체(1) 위에 차음 및 충격 흡수성이 좋은 완충재를 깔아 층간 완충층(2)을 설치하고 그 위에 경량 기포 콘크리트(3) 및 온돌 미장 몰탈(4)을 일정 두께로 타설함으로써 상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 에너지가 슬래브 구조체에 직접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었다. 또한, 이러한 뜬바닥 구조에 시공되는 완충재는 EPS, EPE, EPP, EVA와 같은 합성수지계 재료를 비롯하여 고무 계통의 매트, 우레탄 폼, 글래스울 등 여러 가지의 재료들이 있으며, 그 두께는 보통 10 ~ 30㎜ 정도로 시공된다.Therefore, various researches have been conducted in the past to solve the noise and impact noise problems, and the most commonly applied method as a floor structure for reducing the impact impact of the floor between the slab structure and the upper plastering mortar layer. So-called floating floors may be provided in which an interlayer cushioning layer is provided and thereby blocks interlayer noise. FIG. 1 illustrates a general cross-sectional structure of a conventional floating floor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 1, a cushioning material having good sound insulating and shock absorbing properties is disposed on a slab structure 1 to form an interlayer buffer layer 2. It was installed and cast light foamed concrete 3 and ondol plastering mortar 4 to a certain thickness to prevent the impact energy applied from the upper part to be directly transmitted to the slab structure. In addition, the cushioning material constructed in such a floating bottom structure includes synthetic resin-based materials such as EPS, EPE, EPP, EVA, rubber-based mats, urethane foam, glass wool, and various materials, and the thickness thereof is usually 10 to 30. It is constructed about mm.

그러나 상기에서 설명한 바닥구조는 기본적으로 층간 완충재의 재질 특성에 기인한 자체 탄성 변형에 의하여 상부로부터의 충격을 완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이러한 뜬바닥 구조는 KS F 2810이나 일본 공업규격(JIS 1419) 등에 의해 정의된 경량 충격음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효과를 보이고 있으나 실제 생활에서 문제를야기하는 중량 충격음 해결에는 그다지 큰 저감 효과를 보이고 있지 못할 뿐 아니라 오히려 이를 가중시키는 특성이 나타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즉, 이는 기존의 뜬바닥 구조를 이루고 있는 온돌 미장모르터, 기포 콘크리트 및 완충재 등의 재료가 중량 충격에 의한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감쇄시키지 못함으로써 이 에너지가 거의 그대로 슬래브 구조체에 전달되는 것으로 볼 수 있는 것이다.However, the floor structure described above is basically designed to cushion the impact from the top by its elastic deformation due to the material properties of the interlayer cushioning material. The floating floor structure is KS F 2810 or Japanese Industrial Standard (JIS 1419). Although it shows some effects on the light impact sound defined by the present invention, it is confirmed that not only does it show a significant reduction effect but also a weighting property in solving the weight shock sound that causes a problem in real life. In other words, it can be seen that the energy such as ondol plaster, foam concrete, and cushioning material, which is a conventional floating floor structure, does not efficiently attenuate the energy due to the weight impact, so that the energy is almost transferred to the slab structure as it is. .

이에 본 고안자는 기존 바닥구조의 중량 충격음 감쇄 성능을 조사하기 위하여 도2에 도시된 것과 같은 실험 장치를 설계하고 이를 통하여 기존의 뜬바닥 구조의 성능을 테스트하였다. 위 실험에서는 대표적인 층간 완충재인 EVA 제품과, 단열 기준에 의해 사용이 의무화된 KS 2호 스티로폼을 대상으로 중량충격음 저감 성능을 테스트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3,000 ×1,000 ×150 치수로 제작된 콘크리트 판의 상부에 상기 층간 완충재를 20㎜ 두께로 각각 설치하고 그 위에 기포콘크리트 및 미장 모르터를 소정 두께로 타설하여 시험체를 제작한 다음, 이를 표준 중량 충격음원으로 가진하여 그 진동 가속도 값을 측정하였으며, 이를 완충재를 사용하지 않고 콘크리트 슬래브만으로 실험한 결과와 비교하였다.In this regard, the present inventors designed an experimental apparatus as shown in FIG. 2 to test the weight impact sound attenuation performance of the existing floor structure and tested the performance of the existing floating structure. In the above experiments, the weight reduction sound reduction performance was tested on EVA products, which are representative interlayer cushioning materials, and KS No. 2 styrofoam, which are mandatory to use according to the insulation standard. Specifically, the interlayer cushioning material is installed in the upper part of the concrete plate manufactured to the size of 3,000 × 1,000 × 150, each 20mm thick, and the foam concrete and the plaster mortar are poured to the predetermined thickness to prepare the test body, and then the standard weight The vibration acceleration value was measured by excitation as an impact sound source, and this value was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experiments using only concrete slab without using buffer material.

도3은 상기와 같은 실험에 대한 결과를 그래프의 형태로 도시한 도면으로서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로부터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상기와 같은 시험 결과 층간 완충재를 적용하여 시험한 경우에 있어 2가지 층간 완충재 모두 콘크리트 슬래브만으로 실험한 경우에 비하여 그다지 큰 충격음 저감 효과를 보이지 못하고 있음이확인되었으며, 특히 중량 충격음에서 문제가 되는 250Hz 이하의 대역에서는 그 결과면에서 거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존의 국내생산 제품 10여종에 대하여 각각 두께를 증가시켜 가며 테스트한 결과도 거의 대동소이하게 나타났으며, 이로써 기존 층간 완충재를 사용한 기존의 뜬바닥구조가 중량 충격음에는 별다른 효과가 없음이 실험적으로 입증되었다.FIG. 3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the above experiment in the form of a graph, as can be seen from the figure. It was confirmed that the shock absorbing materials did not show a significant impact sound reduction effect compared to the case of only the concrete slab, especially in the band below 250Hz, which is a problem in the weight impact sound, there was almost no difference in the results. In addition, the test results of increasing the thickness of about 10 kinds of existing domestic products were almost the same, so that the existing floating floor structure using the existing interlayer cushioning material has no effect on the weight impact sound. Has been proven.

상기와 같은 실험 결과로부터 본 고안자는 층간 완충재가 적용된 뜬바닥 구조가 일반 층간 완충재를 사용하지 않는 구조보다 중량 충격음이 줄어들지 않거나 오히려 더 증대되는 원인을 설명할 수 있게 되었다. 즉, 과거 뜬바닥 구조를 사용하지 않는 일반 바닥구조는 슬래브 구조체, 기포콘크리트 및 온돌미장몰탈이 완전히 일체화되어 전체적으로 하나의 매스로서 거동하는 것이기 때문에 중량 충격에 의한 에너지는 상기 세 부분이 합해진 질량을 동시에 거동시켜서 진동을 만들게 된다. 그러나 층간 완충재가 설치된 구조에 있어서는 이 층간 완충재에 의하여 하부의 슬래브 구조체와 상부의 기포콘크리트, 몰탈층이 서로 분리 되어지고, 중량 충격에 의한 에너지는 슬래브 구조체에 거의 감쇄 없이 전달되기 때문에(층간 완충재의 자체 변형에 의해 다소 흡수되기는 하나 충분한 두께가 확보되지 않는 경우 그 정도는 미약함) 동량의 에너지가 거동시켜야 하는 질량은 슬래브만에 한정되는 바 슬래브의 진동이 더 커지고 이에 따라 중량 충격음이 증가되는 경우가 발생하는 것이다.From the above experimental results, the present inventors have been able to explain the reason why the floating floor structure to which the interlayer cushioning material is applied does not reduce or rather increase the weight impact sound than the structure without using the general interlayer buffering material. That is, the general floor structure that does not use the floating floor structure in the past is the slab structure, foam concrete and ondol plaster mortar is completely integrated and behaves as a mass as a whole, the energy due to the impact of weight impacts the mass of the three parts at the same time It will behave to create vibrations. However, in the structure in which the interlayer cushioning material is installed, the lower slab structure, the foamed concrete and the mortar layer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the interlayer cushioning material, and the energy due to the weight impact is transmitted to the slab structure almost without attenuation (the It is absorbed somewhat by self-deformation, but the amount is weak when sufficient thickness is not secured.) The mass that the same amount of energy should behave is limited to the slab only. When the slab vibrates more and the weight impact sound increases accordingly. Will occur.

한편, 전술한 것과 같은 뜬바닥 구조 이외에 중량 충격음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슬래브의 강성을 증가시킴으로써 슬래브가 쉽게 진동하지 않도록 하는 방법을 들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슬래브의 두께를 증가시키는 방법이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슬래브의 강성을 높이는 또 다른 방법으로는 콘크리트의 설계기준강도를 높게 하거나 철근의 배근량을 증가시키는 방법도 사용되지만 이 방법들은 슬래브의 두께를 높이는 것에 비해서는 효과가 현저히 떨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On the other hand, as a method for solving the heavy impact sound in addition to the floating floor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 method of preventing the slab from vibrating easily by increasing the stiffness of the slab, the method for increasing the thickness of the slab is most widely It is used. Another method of increasing the stiffness of the slab is to increase the design reference strength of the concrete or to increase the reinforcement of the rebar. However, these methods are known to be less effective than increasing the thickness of the slab.

슬래브의 두께를 증가시키는 방법은 지금까지는 중량 충격음에 대한 해결책으로서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 인정되고 있으나 이는 일반적으로 적용되기에는 곤란한 몇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즉, 기존에 슬래브의 두께로서 가장 일반적으로 시공되던 150㎜ 슬래브를 기준으로 볼 때, 슬래브 두께의 증가로 인하여 충분한 중량 충격음 감소 효과를 볼 수 있기 위해서는 최소한 60㎜ 이상의 슬래브 두께 증가가 있어야 할 것이나 이만큼 두께를 증가시킬 경우 시공비가 현저히 증가하며 건물의 자중이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문제점에 더하여 층고가 높아짐으로써 공동주택의 각 동간에 인동간격이 증가하게 되고, 고도 제한 문제 등으로 인하여 경제성이 심각하게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다.The method of increasing the thickness of the slab has been recognized as the most effective method as a solution to the weight impact sound so far, but there are some problems that are generally difficult to apply. That is, in view of the 150 mm slab that is generally constructed as the thickness of the slab, the slab thickness must be increased by at least 60 mm in order to achieve a sufficient weight impact sound reduction effect due to the increase of the slab thickness. Increasing the thickness significantly increases the construction cost and increases the weight of the building. In addition to the above problems, the height of the floor increases the human interval between each apartment building, and the problem of serious economic deterioration due to the height limit problem.

따라서,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이 근본적으로 슬래브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바닥구조만을 뜬바닥 구조로 하는 종래기술에 의할 경우 해결이 곤란하였던 중량 충격음의 문제를 해결함과 아울러 경량 충격음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키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안출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 본 고안은 콘크리트 슬래브 위에 설치하는 층간 완충재의 두께를 중앙부에는 높게 설치하고 단부에는 낮게 차등적으로 설치하여 중량 충격음이 가장 크게 발생하는 슬래브 중앙 부위의 에너지 흡수 용량을 증가시키는 동시에, 중량 충격에 의한 에너지를 강성이 높은 슬래브의 양 단부쪽으로 분산시킬 수 있음으로써 슬래브 두께의 증가 없이도 중량 충격음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는 개선된 바닥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그 기술적 과제로 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solves the problem of weight impact sound, which was difficult to solve by the prior art of using only the bottom structure with the bottom structure in a state in which the slab thickness is not fundamentally increased as described above. A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duce the weight of the slab, the present invention is more specifically designed to provide a high thickness at the center and a lower portion at the end of the slab in the middle of the slab.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improved floor structure that can effectively reduce the weight impact sound without increasing the slab thickness by increasing the energy absorption capacity of the slab and dispersing the energy due to the weight impact toward both ends of the highly rigid slab. It is a technical problem.

도1은 종래의 일반적인 뜬바닥 구조에 대한 단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showing a cross-sectional structure of a conventional general floating floor structure.

도2는 기존 바닥구조의 중량 충격음 감쇄 성능을 조사하기 위한 실험에 사용된 장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2 is a diagram showing the device configuration used in the experiment for examining the weight impact sound attenuation performance of the existing floor structure.

도3은 상기 실험에 대한 결과를 그래프의 형태로 도시한 도면이다.3 is a diagram showing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in the form of a graph.

도4는 본 고안의 기술적 개념을 설명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구성 요지를 간략화하여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4 is a simplified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ubject innovation in order to explain the technical concept of the subject innovation.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제1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제2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7은 본 고안에 따른 제3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hir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콘크리트 슬래브 구조체 10 : 층간 완충층1: concrete slab structure 10: interlayer buffer layer

20 : 미장몰탈층 25 : 와이어 메쉬 또는 보강철근20: Plaster mortar layer 25: wire mesh or rebar

30 : 경량기포 콘크리트(층) 40 : 바닥용 마감재30: lightweight foamed concrete (floor) 40: floor finishing material

50 : 입상 절연재 P : 온돌 배관 파이프50: granular insulation material P: ondol piping pipe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건축물의 콘크리트 슬래브 구조체 상에 층간 완층층을 형성하여 상부로부터의 바닥충격음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한 공지의 뜬바닥 구조에 있어서, 상기 층간 완충층은 주변단부에 비하여 중앙부의 두께가 두껍게 솟아 오르도록 단차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구조를 본 고안의 기본적인 구성으로서 제공한다. 이 때, 상기 층간 완충층의 상부에는 시멘트 몰탈을 일체로 타설하여 이루어진 미장몰탈층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미장몰탈층 내에는 와이어 메쉬 또는 보강용 철근이 매립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well-known floating floor structure to reduce the floor impact sound from the top by forming a complete layer of interlayer on the concrete slab structure of the building, the interlayer buffer layer is a peripheral It provides a floor structure as a basic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p is formed so that the thickness of the center portion rises thicker than the end portion. In this case, a plaster mortar layer formed by integrally pouring cement mortar may be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interlayer buffer layer, and the wire mesh or reinforcing bars may be embedded in the plaster mortar layer.

즉,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이 건축물의 콘크리트 슬래브 구조체 상에 충격 흡수 성능을 가지는 층간 완충층을 형성하여 상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한 뜬바닥 구조를 기본적인 구성으로 하되, 이 뜬바닥 구조가 가지는 중량 충격음에 대한 취약성을 개선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콘크리트 슬래브 상부에 설치되는 층간 완충층의 두께를 중앙부가 주변 단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두께가 두꺼워질 수 있도록 차등적으로 형성하고 있음을 구성상 주요한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has a basic structure of the floating floor structure to absorb the impact from the top by forming an interlayer buffer layer having a shock absorption performance on the concrete slab structure of the building as described above, but the floating floor structure As a technical means to improve the vulnerability to heavy impact sound, the thickness of the interlayer cushioning layer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concrete slab is formed differentially so that the center part becomes thicker than the peripheral end. It is to be done.

그리고, 본 고안은 이와 같이 구성함에 의하여 중량 충격음이 가장 크게 발생하는 슬래브 중앙 부위의 층간 완충층의 두께가 두꺼워짐으로써 충분한 충격 에너지 흡수용량을 가지게 되어 진동이 가장 크게 발생하는 슬래브 구조체의 중앙부로 충격 에너지가 전달되는 것이 최소화될 수 있으며, 아울러 이러한 중량 충격에 의한 충격 에너지가 상대적으로 높은 강성을 갖는 슬래브 구조체의 양 단부쪽으로 유도됨으로써 슬래브의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고도 이와 동일한 중량 충격음 저감 효과를 발휘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ufficient impact energy absorbing capacity by thickening the thickness of the interlayer buffer layer at the center of the slab in which the heavy impact sound is generated by this configuration, and the impact energy toward the center of the slab structure in which vibration is the greatest. Can be minimized, and the impact energy due to the weight impact is induced toward both ends of the slab structure having a relatively high rigidity, thereby achieving the same weight impact sound reduction effect without increasing the thickness of the slab. .

도4는 본 고안의 기술적 개념을 설명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구성 요지를 간략화하여 도시한 도면으로서,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이 가지는 기술적 개념을 상기 도4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Figure 4 is a view showing a simplified configuration of the subject innovation in order to explain the technical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chnical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일반적으로 슬래브에서 중량 충격 에너지에 대하여 가장 취약한 부위는 진동에 의한 최대 변위가 발생하는 슬래브의 중앙 부위이며, 슬래브 중앙부에서 벽 쪽으로 갈 수록 슬래브의 강성이 높아져서 진동에 의한 변위가 줄어 들게 된다. 그런데 기존의 뜬바닥 구조에서는 중앙부 및 단부를 가리지 않고 전체 바닥면에 대하여 동일한 두께로 층간 완충재를 설치하고 있었으며 이와 같은 구조 하에서는 슬래브 중앙부에 집중되는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감쇄시킬 수 없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뜬바닥 구조에서는 층간 완충재를 설치함에 있어 통상 30㎜ 이하의 두께로 설치하고 있었는데, 이러한 두께의 층간 완충재로는 중량 충격에 의한 에너지를 흡수하기에 충분하지 못하였으며, 따라서 바닥면에 가해지는 충격 에너지는 상기 층간 완충재에 의해 다소 흡수되기는 하지만 거의 대부분의 충격 에너지가 그대로 슬래브 구조체의 중앙 부위로 집중 전달됨으로써 슬래브 구조체를 진동시켜 중량 충격음을 발생시키고 있던 것이다.In general, the most vulnerable portion of the slab with respect to the weight impact energy is the center portion of the slab where the maximum displacement due to vibration occurs, and the stiffness of the slab increases from the center portion of the slab toward the wall, thereby reducing the displacement due to the vibration. However, in the existing floating floor structure, the interlayer cushioning material was installed with the same thickness on the entire floor surface without covering the center portion and the end portion, and under such a structure, energy concentrated on the center portion of the slab could not be efficiently attenuated. 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floating floor structure, the thickness of the interlayer cushioning material is usually 30 mm or less. However, the interlayer cushioning material of this thickness was not sufficient to absorb energy due to the weight impact, and thus the Although the impact energy applied is somewhat absorbed by the interlayer cushioning material, almost all of the impact energy is transmitted to the center portion of the slab structure as it is, thereby vibrating the slab structure, thereby generating a heavy impact sound.

이에 대하여 본 고안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래브 구조체(1)의 상부에 층간 완충재(10)를 설치함에 있어 그 중앙부의 두께가 주변 단부측에 비해 상대적으로 두껍게 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바닥면 중앙 상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그 충격 에너지가 층간 완충층(10)의 자체 변형에 의해 충분히 흡수됨으로써 슬래브 구조체(1)의 중앙부로 전달되는 충격 에너지가 현저히 감소하게 된다. 또한 상기 충격에 의한 하중은 층간 완충층(10)의 상부에 형성된 미장몰탈층 및 기포콘크리트층으로 이루어진 상부 바닥구조체(20')를 통하여 슬래브의 양 단부측으로 분산 유도되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슬래브 양 단부측은 중앙부에 비하여 강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부위로서 동일한 에너지가 가해지더라도 충격음의 발생이 적어지게 되는 바, 이와 같은 이유로 인하여 본 고안에 따르면 슬래브의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더라도 슬래브의 강성이 증대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중량 충격음의 발생을 현저히 저감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On the contrary, in the present invention, in installing the interlayer cushioning material 10 on the top of the slab structure 1, as shown in FIG. Even if an impact is applied from the top, the impact energy is sufficiently absorbed by the self-deformation of the interlayer buffer layer 10, thereby significantly reducing the impact energy delivered to the center portion of the slab structure 1. In addition, the load caused by the impact is induced to be distributed to both end sides of the slab through the upper bottom structure 20 'consisting of a plaster mortar layer and the foamed concrete layer formed on the interlayer buffer layer (10), as described above The end side has a relatively high rigidity compared to the center part, and even if the same energy is applied, the generation of impact sound is reduced. For this reas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stiffness of the slab is obtained without increasing the thickness of the slab.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ignificantly reduce the occurrence of the weight impact sound.

즉, 본 고안은 상기 도4에 도시된 바로부터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전체적으로 볼 때 마치 단부측이 기둥 등에 의해 지지된 보 또는 슬래브 구조의 형태를 이루고 있으며, 본 고안은 이와 같은 구조로 인하여 상부로부터 가해진 충격이 슬래브 구조체의 단부측으로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중량 충격음에 대한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작용하는 것이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beam or slab structure in which the end side is supported by a pillar, etc. as a whole, as can be seen from FIG. 4,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from the top due to such a structure. It is to act to reduce the occurrence of a heavy impact sound by allowing the impact applied to be transmitted to the end side of the slab structure.

한편,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본 고안의 구조를 현실적으로 적용할 수 있기 위해서는 기포콘크리트 및 미장몰탈층의 강성이 충분히 확보되어야 할 것으로, 이는 중앙부의 층간 완충층의 두께가 두꺼워지면서 상부의 기포콘크리트 및 미장몰탈층에 있어서의 하중에 대한 변위가 커져서 파괴되거나 균열이 발생하는 문제가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상부의 미장몰탈층은 직경 3㎜ 이상의 철근이나 와이어메쉬, 또는 이와 유사한 성능을 가지는 보강철물을 사용하여 보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아울러 이와 같이 보강이 이루어진 경우 강성이 증가됨으로써 충격 하중이 슬래브의 단부측으로 더욱 원활하게 전달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be able to realistically apply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rigidity of the foam concrete and plaster mortar layer should be sufficiently secured, which is the thickness of the foam concrete and plaster mortar of the upper layer as the thickness of the interlayer buffer layer in the middle This is because the displacement with respect to the load in the layer may increase, causing problems such as fracture or cracking. Therefore, in consideration of this point, the upper plastering mortar layer is preferably reinforced using reinforcing steel having a diameter of 3 mm or more, wire mesh, or the like. In addition, when the reinforcement is made, the rigidity is increased. The effect that the impact load is more smoothly transmitted to the end side of the slab can also be obtained.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과 함께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기술적 개념이 바람직하게 구현된 실시예를 통하여 본 고안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이는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더욱 명확하게 이해하고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전술한 사항들 이외에 본 고안이 가지는 또 다른 기술적 특징 및 장점들은 후술하는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당업자에게 더욱 확실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rough an embodiment in which the technical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implemented. However, this is intended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more clearly understand and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and other technical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above matters are described below. It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rough the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실시예 1]Example 1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제1실시예의 단면 구성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슬래브 구조체(1)의 상부에 층간 완충층(10)을 형성하되 상기 층간 완충층(10)의 두께는 중앙부가 주변단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두껍게 솟아오르도록 한 본 고안의 기본 구성을 따르고 있는 것임을 알 수 있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the drawings, in this embodiment, an interlayer buffer layer 10 is formed on top of a slab structure 1, but the interlayer buffer layer 10 is formed. It can be seen that the thickness of the center is following the basic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o rise relatively thick relative to the peripheral end.

본 실시예의 구성을 더욱 구체적으로 보면, 이는 콘크리트 슬래브 구조체(1)의 상부에는 중앙부와 주변단부 사이에 일정하게 단턱이 형성된 층간 완충층(10)이 형성되고, 상기 층간 완충층(10)의 상부에는 경량기포 콘크리트층(30)과 미장몰탈층(20) 및 마감용 바닥재(40)가 차례로 적층 형성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여기서 미설명 식별부호 P는 미장몰탈층(20) 내부에 설치되는 난방용 배관 파이프를, 25는 미장몰탈층(20)의 강성 보강을 위한 와이어메쉬 또는 보강 철근을 나타낸 것이며, 50은 벽체 하부를 통한 열 또는 소음 전달을 방지하기 위한 입상 절연재를 나타낸 것이다.More specifically,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which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oncrete slab structure (1) interlayer buffer layer 10 is formed with a constant step between the central portion and the peripheral end portion, the upper portion of the interlayer buffer layer (10) Bubble concrete layer 30, the plastering mortar layer 20 and the finishing floor 40 is formed in a stacked structure in order. Here, the description notation P denotes a heating pipe pipe installed in the plaster mortar layer 20, 25 denotes a wire mesh or reinforcing steel for rigid reinforcement of the plaster mortar layer 20, 50 is through the lower wall It shows a granular insulating material to prevent heat or noise transmission.

한편, 본 고안에서 상기 층간 완충층(10)에 사용되는 완충재로는 특별한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며 기존에 사용되고 있던 다양한 재질의 완충재들 중에서 적절한 것을 선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완충재로는 현재 EPS, EPE, EPP, EVA, 우레탄 폼과 같은 합성수지계 재료를 비롯하여 네오프렌 고무, 글래스 울 등 여러 가지의 재료들이 있으며, 본 고안에서는 이와 같은 공지의 재료들 중 한 가지 혹은 두 가지 이상을 복합하여 (예컨대 전체적으로 스티로폼을 깐 뒤 중앙부에 EVA 완충재를 배치하는 경우) 층간 완충층(10)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층간 완충층(10)의 두께를 정함에 있어서는 주변 단부측의 경우 기존과 같이 20 내지 30㎜ 정도의 두께로 하는 것이 적당하며, 중앙부의 경우 60㎜ 정도로 하는 것이 변형 흡수 능력면이나 구조적인 면에서 적당하다고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a buffer material used for the interlayer buffer layer 10 can be used by selecting an appropriate one from a variety of buffer materials used in the prior art. Such cushioning materials include synthetic resin-based materials such as EPS, EPE, EPP, EVA, urethane foam, neoprene rubber, glass wool, and the like,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one or two such materials are known. The interlayer buffer layer 10 may be formed by compounding two or more branches (for example, when the EVA buffer material is disposed at the center after the styrofoam is entirely coated). In addition, in determining the thickness of the interlayer buffer layer 10, the thickness of the peripheral end side is preferably about 20 to 30 mm as in the past, and in the central part, the thickness is about 60 mm. It can be said to be suitable in terms of aspects.

[실시예 2 , 실시예 3][Example 2, Example 3]

본 고안에 따른 제2실시예는 상기한 제1실시예에서 경량기포 콘크리트층(30)을 생략하고 층간 완충층(10)의 상부에 직접 몰탈을 타설하여 미장몰탈층(20)을 형성시킨 경우로서 그 구체적인 구성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다. 통상 경량기포 콘크리트는 동일 층 내에서 각 실의 바닥 레벨이 다른 경우, 예컨대 화장실과 마루와 같이 레벨의 차이가 있는 경우에 높이 조절을 위하여 주로 타설되며, 본 실시예는 바닥 레벨이 낮은 실에 있어서 경량 콘크리트의 타설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2실시예의 경우, 공정 수가 적으므로 비교적 시공이 간단하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슬래브 주변부에 있어 층간 완충층(10)이 다른 부위보다 얇아지는 관계로 이 부위를 통하여 아래층과 열교 현상이 발생할 수 있고 온돌미장몰탈의 면마감 시간이 지연될 수 있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foamed concrete layer 30 is omitted in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mortar layer 20 is formed by placing mortar directly on top of the interlayer buffer layer 10. The specific configuration is as shown in FIG. In general, lightweight foamed concrete is mainly poured for height adjustment when the floor level of each room is different in the same floor, for example, when there is a difference in level such as a toilet and a floor. It can be applied where no pouring of lightweight concrete is required. However, in the case of the second embodiment,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onstruction is relatively simple because the number of processes is small, while the interlayer buffer layer 10 becomes thinner than other portions in the periphery of the slab, so that the lower layer and the thermal bridge phenomenon occur through this portion. It has a disadvantage that it can delay the surface finishing time of ondol plastering mortar.

도7은 본 고안에 따른 제3실시예에 대한 단면 구성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본 실시예는 상기 제2실시예에서 나타날 수 있는 열교에 대한 단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즉,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층간 완충층(10)에서 상대적으로 높이가 낮은 주변 단부 상면에 경량기포 콘크리트(30)를 상기 층간 완충층(10)의 중앙부 상단 높이까지 타설하여 충진시킨 형태의 것으로, 이와 같은 본 실시예의 구성에 따르면 슬래브 주변 단부를 통한 열교 현상이 상기 경량기포 콘크리트(30)에 의해 방지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7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of a thir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is embodiment is configured to solve the disadvantages of the thermal bridge that may appear in the second embodiment. That is, as shown in FIG. 7, the lightweight foamed concrete 30 is poured and filled up to the height of the center of the interlayer buffer layer 10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interlayer buffer layer 10.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the thermal bridge phenomenon through the slab peripheral end is to obtain the effect that is prevented by the lightweight foam concrete (30).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르면, 콘크리트 슬래브 위에 설치되는 층간 완충층의 두께가 주변단부에 비하여 중앙부가 두껍게 차등적으로 된 구성으로 인하여 중량 충격에 의한 에너지를 강성이 높은 슬래브의 양 단부쪽으로 분산시킬 수 있음으로써 슬래브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고도 중량 충격음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detail above, due to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thickness of the interlayer cushioning layer installed on the concrete slab is thicker at the center than the peripheral end, the energy due to the weight impact is distributed to both ends of the highly rigid slab.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effect of effectively reducing the weight impact sound without increasing the slab thickness.

Claims (4)

건축물의 콘크리트 슬래브 구조체 상에 층간 완층층을 형성하여 상부로부터의 바닥충격음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한 공지의 뜬바닥 구조에 있어서,In a well-known floating floor structure in which a floor between layers is formed on a concrete slab structure of a building to reduce a floor impact sound from the top, 상기 층간 완충층은 주변단부에 비하여 중앙부의 두께가 두껍게 솟아 오르도록 단차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충격음 저감을 위한 바닥구조 .The interlayer buffer layer has a floor structure for reducing the impact sound between layers,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p is formed so that the thickness of the center portion rises thicker than the peripheral end portion. 제1항에서, 상기 층간 완충층의 상부에는 시멘트 몰탈을 일체로 타설하여 이루어진 미장몰탈층이 형성되며, 상기 미장몰탈층 내에는 와이어 메쉬 또는 보강용 철근이 매립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충격음 저감을 위한 바닥구조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laster layer mortar layer formed by integrally pouring cement mortar is formed on the upper layer of the interlayer buffer layer, the interlayer impact sound redu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wire mesh or reinforcing reinforcement is embedded in the plaster mortar layer Floor structure for. 제2항에서, 상기 층간 완충층과 미장몰탈층의 사이에는 경량 기포 콘크리트를 일체로 타설하여 이루어진 경량기포 콘크리트층이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충격음 저감을 위한 바닥구조 .[3] The floor structure of claim 2, further comprising a lightweight foamed concrete layer formed by integrally pouring lightweight foamed concrete between the interlayer buffer layer and the plaster mortar layer. 제2항에서, 상기 층간 완충층의 주변단부 상면에는 상기 층간 완충층의 중앙부 상단 높이까지 경량기포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충격음 저감을 위한 바닥구조 .[3] The floor structure for reducing the impact noise between layers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lightweight foam concrete is pour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eripheral end of the interlayer buffer layer to an upper height of the center portion of the interlayer buffer layer.
KR20-2004-0007167U 2004-03-16 2004-03-16 Floor Structure for Insulating Multi Level Impact Sound KR200352225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7167U KR200352225Y1 (en) 2004-03-16 2004-03-16 Floor Structure for Insulating Multi Level Impact Soun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7167U KR200352225Y1 (en) 2004-03-16 2004-03-16 Floor Structure for Insulating Multi Level Impact Sound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7659 Division 2004-03-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2225Y1 true KR200352225Y1 (en) 2004-06-04

Family

ID=49346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7167U KR200352225Y1 (en) 2004-03-16 2004-03-16 Floor Structure for Insulating Multi Level Impact Soun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2225Y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1643A (en) * 2014-12-31 2016-07-08 두산건설 주식회사 Sound insulation structure for splitting plane of apartment hous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20210056813A (en) * 2019-11-11 2021-05-20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Impact load concentrated floor absorbing system
KR20230105085A (en) 2022-01-03 2023-07-11 주식회사 세강스틸러스 Slab structure having a heat-generating hollow reinforcing bar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1643A (en) * 2014-12-31 2016-07-08 두산건설 주식회사 Sound insulation structure for splitting plane of apartment hous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656794B1 (en) 2014-12-31 2016-09-22 두산건설 주식회사 Sound insulation structure for splitting plane of apartment hous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20210056813A (en) * 2019-11-11 2021-05-20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Impact load concentrated floor absorbing system
KR102382006B1 (en) * 2019-11-11 2022-03-31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Impact load concentrated floor absorbing system
KR20230105085A (en) 2022-01-03 2023-07-11 주식회사 세강스틸러스 Slab structure having a heat-generating hollow reinforcing ba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3097B1 (en) Construction materials for reducing noise between stories of building and method for construct the same on the floor of building
KR102061573B1 (en) sound absorption panel for building
KR100490757B1 (en) Shock absorber, double-layered floor structure for diminishing a impact sound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20120007999A (en) Complex floor structure for damping and isolation of floor impact sound
KR200390291Y1 (en) Floor structure of apartment for decrease a heavyweight vibration using a pad herewith buff mounts
KR200352225Y1 (en) Floor Structure for Insulating Multi Level Impact Sound
KR101269113B1 (en) A method for manufacturing with a panel for absorbing and cutting off impact noise
KR20180025420A (en) Noise reduction method between floors in reinforced concrete buildings using composite mortar with improved sound insulation and sound absorption
KR101979346B1 (en) Noise reduction structure between floors in reinforced concrete buildings
KR200374808Y1 (en) Floating floor structure for reducing floor a crashing sound in apartment house
KR100629249B1 (en) Isolating structure for floor to floor impact sound of apartment building
KR100831998B1 (en) High strength concrete with high heat insulation capacity and floor stuructue for insulating muti-level impact sound using the same
KR100546445B1 (en) Floor structure of building
KR200378892Y1 (en) prevention structure for floor impact noise of building
KR200399631Y1 (en) Storey structure of floor for building
KR100705845B1 (en) Double Slab Structure of Building
KR100730094B1 (en) Construction to sound insulation of floor impact noise
KR20060078348A (en) Isolating multi panels for floor to floor impact sound of building
KR20110137921A (en) Interlayer sound insulation material
KR100739878B1 (en) Slab structure for a building
KR100786807B1 (en) floor structure of good sound and thermal performance
KR20160099823A (en) Interlayer sound insulation material
KR20160109653A (en) Double floor system for reduction of structure-borne noise
KR100758599B1 (en) Structure of isolating impact sound of floor building
KR102409190B1 (en) Floor structure for noise absorption between flo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