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35137A -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35137A
KR20060135137A KR1020050054820A KR20050054820A KR20060135137A KR 20060135137 A KR20060135137 A KR 20060135137A KR 1020050054820 A KR1020050054820 A KR 1020050054820A KR 20050054820 A KR20050054820 A KR 20050054820A KR 20060135137 A KR20060135137 A KR 200601351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processing
digital image
shutter button
user
process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48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홍
윤병훈
김윤철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548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35137A/ko
Publication of KR200601351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51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5Control of camera operation in relation to power supp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7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는 셔터버튼; 및 촬영을 위하여 사용자가 본체를 그립할 때 사용자의 손이 닿은 소정 위치에 그립부 센서를 구비하고, 그립부 센서와 셔버 버튼이 동시에 터치된 경우에 파워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촬영을 위하여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를 잡고 셔터를 터치하게 되면 자동으로 파워온되어 촬영 준비상태에 진입하게 되므로 빠른 촬영을 요하는 경우에 사용자에게 매우 편리하다.
사용자가 촬영을 수행할 의도가 없이 단순히 휴대하기 위하여 디지털 카메라를 잡는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셔터버튼을 터치하지는 않는다. 사용자가 촬영을 수행할 의도가 있는 경우에는 셔터버튼을 터치하게 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촬영의사 없이 단순히 휴대하기 위하여 디지털 카메라를 잡는 동작만을 취한 경우에는 파워온이 되지 않도록 한다. 디지털 카메라를 잡고 동시에 셔터버튼을 터치한 경우에만 파워온되어 촬영 준비상태에 진입하도록 한다.

Description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Digital image processing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개념이 적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디지털 카메라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일예로서 도 1과 같은 디지털 카메라의 앞면의 일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일예로서 도 1과 같은 디지털 카메라의 뒷면의 일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디지털 카메라와 같은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디지털 카메라는 파워온(power on)시에 파워 스위치을 누르거나, 재생버튼을 누른 후에 추가조작을 하여야 한다.
빠른 촬영을 요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디지털 카메라를 잡고 파워 스위치를 누르지 않고 바로 셔터버튼을 누르게 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 때 사용자는 다시 파워 스위치를 누르고 촬영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가 촬영의도를 가지고 그립(grip)한 경우에 자동으로 파워온되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는 셔터버튼; 및 촬영을 위하여 사용자가 본체를 그립할 때 사용자의 손이 닿은 소정 위치에 그립부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그립부 센서와 상기 셔버 버튼이 동시에 터치된 경우에 파워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그립부 센서와 상기 셔터 버튼이 최초로 동시에 터치되는 경우에만 파워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는 파워온 스위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파워온 스위치가 턴온되거나, 상기 그립부 센서와 상기 셔버 버튼이 동시에 터치된 경우에 파워온될 수 있다.
본 발명 기본개념은 사용자가 촬영할 의사를 가지고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를 잡는 경우를 상정하여 파워온 되도록 함으로써 빠른 촬영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 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는 사용자가 잡는 동작과 셔터버튼을 터치하는 동작을 수행한 것을 감지하여 파워온되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과 동작을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도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개념이 적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디지털 카메라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렌즈부와 필터부를 포함한 광학계(OPS)는 피사체로부터의 빛을 광학적으로 처리한다. 광학계(OPS) 안의 렌즈부는 줌 렌즈, 포커스 렌즈, 및 보상 렌즈를 포함한다.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MOS (Complementary Metal-Oxide-Semiconductor)의 광전 변환부(OEC)는 광학계(OPS)로부터의 빛을 전기적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킨다. 여기서, DSP(7)는 타이밍 회로(2)를 제어하여 광전 변환부(OEC)와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1)의 동작을 제어한다.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로서의 CDS-ADC(Correlation Double Sampler and Analog-to-Digital Converter) 소자(1)는, 광전 변환부(OEC)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를 처리하여, 그 고주파 노이즈를 제거하고 진폭을 조정(auto gain control, AGC)한 후,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킨다. DSP(7)는 CDS-ADC 소자(1)로부터의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여 휘도 및 색도 신호로 분류된 디지털 이미지 신호를 발생시킨다.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4)에는 DSP(7)로부터의 디지털 이미지 신호 및 기타 임시 처리 데이터가 임시 저장된다.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5)에는 DSP(7)의 동작에 필요한 알고리듬 및 설정 데이터가 저장된다. 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6)에는 사용자의 메모리 카드가 착탈된다.
DSP(Digital Signal Processor, 7)로부터의 디지털 이미지 신호는 LCD 구동부(14)에서 LCD 패널의 디스플레이 신호로 변환되어 칼라 LCD 패널(17)에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된다.
한편, DSP(7)로부터의 디지털 이미지 신호는, USB(Universal Serial Bus) 접속부(18) 또는 RS232C 인터페이스(8)와 그 접속부(19)를 통하여 직렬 통신으로써 전송될 수 있고, 비데오 필터(9) 및 비데오 출력부(20)를 통하여 비데오 신호로서 전송될 수 있다.
오디오 처리기(13)는, 마이크로폰(MIC)으로부터의 음성 신호를 DSP(7) 또는 스피커(SP)로 출력하고, DSP(7)로부터의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SP)로 출력한다.
사용자 입력부(INP)에는, 셔터 버튼, 모드 선택 버튼, 기능 선택 버튼, 줌 버튼, 방향이동 버튼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INP)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각 기능 수행을 위한 명령을 발생한다.
마이크로제어기(12)는 렌즈 구동부(10)를 제어하고, 이에 따라 줌 모터(MZ), 포커스 모터(MF), 및 조리개(aperture) 모터(MA)가 광학계(OPS) 안의 줌 렌즈, 포커스 렌즈, 및 조리개를 각각 구동한다. 마이크로제어기(12)에 의하여 구동되는 발 광부(LAMP)에는, 셀프-타이머 램프, 자동-초점 램프, 플래시 대기 램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마이크로제어기(12)는 플래시-광량 센서(16)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플래시 제어기(11)의 동작을 제어하여 플래시(15)를 구동한다.
마이크로제어기(12)의 기능은 DSP(7)와 원칩(one chip)화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디지털 카메라는, 도 1의 구성요소들을 모두 구비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라면 사양에 따라 그 구성요소 중 일부가 삭제되거나, 또 다른 구성요소가 추가되거나, 일부 구성요소가 변형되거나, 여러 구성요소의 기능이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일예로서 도 1과 같은 디지털 카메라의 앞면의 일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의 디지털 카메라 앞쪽에는 셔터버튼(104), 조그다이얼(117), 모드다이얼(103), 파워 스위치(127), 그립부(128), 스피커(126), AF(auto-focus) 보조광(125), 그립부(124), 마이크(123), 리모콘 수신부(122), 렌즈(121), 그립부(120), 뷰 파인더(119), 플래시(118) 등이 구비된다.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일예로서 도 1과 같은 디지털 카메라의 뒷면의 일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의 디지털 카메라의 뒤쪽에는, 뷰 파인더(100), 자동초점램프(101), 플래시 상태램프(102), 모드다이얼(103), 셔터버튼(104), LCD버튼(105), 광각줌 버튼(106), 망원줌 버튼(107), 그립부(108), 5기능버튼(109), DC전원입력단자(110), 외 부출력단자(111), 재생모드버튼(112), LCD 모니터(113), 수동초점 버튼(114), 자동노출 잠금버튼(115), 촬영화질 조정버튼(116) 등이 구비된다.
LCD 모니터(113)에는 디지털 카메라의 현재 설정된 촬영모드와 상태를 나타내는 OSD가 표시되어 있다.
5기능 버튼(106)은 중앙에 메뉴(MENU)진입/확인(OK) 버튼, 상하좌우 방향 버튼을 구비한다. 모니터에 메뉴가 표시된 경우에 상하좌우 방향 버튼은 방향이동이 아닌 특수한 기능 버튼으로 작용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여러 기능 버튼들은 그 명칭에서 나타나는 기능 이외에도 두 가지 이상의 복합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로서, 그립부 센서(200), 셔터버튼(202), 2입력 논리곱 게이트(204), 전원제어부(208), 메인보드(210)를 구비한다.
그립부 센서(200)는 촬영을 위하여 사용자가 본체를 그립할 때 사용자의 손이 닿은 소정 위치에 구비된다.
그립부 센서(200)와 셔버 버튼(202)이 동시에 터치되면, 논리곱 게이트(204)의 입력(201, 203)이 모두 "1" 상태가 되고. 논리곱 게이트(204)는 "1" 상태 신호를 출력(205)하게 된다. 이 때 전원 제어부(208)는 파워온되어 메인보드(210)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그립부 센서(200)는 사용자가 촬영의사를 가지고 디지털 카메라를 잡는 경우에 터치될 만한 소정 지점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그립부(108, 120, 124, 128)에 설 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 도시된 그립부(108, 120, 124, 128)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지점 또는 그 이외의 지점에 사용자가 촬영을 수행하려는 의도로 디지털 카메라를 잡을 때 그립할 것으로 예측되는 지점에 그립부 센서(200)를 설치한다.
사용자가 그립부(108, 120, 124, 128)와 셔터버튼(202)을 터치함으로써 촬영을 수행할 의도로 디지털 카메라를 잡으면 파워온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로서, 그립부 센서(200), 셔터버튼(202), 3입력 논리곱 게이트(206), 전원제어부(208), 메인보드(210)를 구비한다.
도 5의 실시예는 그립부 센서(200)와 셔터 버튼(202)이 최초로 동시에 터치되는 경우에만 파워온된다. 전원 제어부(208)는 파워온 되기 전에는 "0" 상태 신호를 논리곱 게이트(206)로 피드백하고, 일단 최초로 파워온 된 후에는 전원 제어부(208)는 "1" 상태신호(211)를 피드백한다. 3입력 논리곱 게이트(206)의 제3입력단은 인버터(inverter) 입력단이다. 따라서 3입력 논리곱 게이트(206)는, 파워 오프 상태에서 최초로 그립부 센서(200)와 셔터 버튼(202)이 동시에 터치된 경우에만 "1" 상태 신호를 출력(207)하고, 그 이후에는 "0" 상태 신호를 출력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로서, 그립부 센서(200), 셔터버튼(202), 파워스위치(212), 3입력 논리곱 게이트(206), 전원제어부(208), 메인보드(210)를 구비한다.
도 6의 실시예는 도 5의 실시예에 파워 스위치(212)가 추가된 구성이다.
도 6의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는 사용자가 파워스위치(212)를 입력(213)하 거나, 그립부 센서(200)와 셔버 버튼(202)을 최초로 동시에 터치(201, 203)한 경우에 전원 제어부(208)는 파워온되어 메인보드(210)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도 5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일단 파워온된 후에 전원 제어부(208)는 "1" 상태 신호를 피드백(211)하여 논리곱 게이트(206)의 출력(207)은 "0" 상태를 유지한다. 파워온 상태에서 사용자가 파워스위치(212)를 다시 입력(213)하면 전원 제어부(208)는 파워오프된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일예로서 디지털 카메라를 중심으로 기술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이 셔터 버튼을 구비하여 이미지 촬영이 가능한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에도 적용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PMP는 MP3와 같은 음악 재생, 방송수신, 게임, 전자사전, 동영상 재생, 디지털카메라 등의 복합적인 기능을 갖춘 휴대형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이다.
이상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촬영을 위하여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를 잡고 셔터를 터치하게 되면 자동으로 파워온되어 촬영 준비상태에 진입하게 되므로 빠른 촬영을 요하는 경우에 사용자에게 매우 편리하다.
사용자가 촬영을 수행할 의도가 없이 단순히 휴대하기 위하여 디지털 카메라를 잡는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셔터버튼을 터치하지는 않는다. 사용자가 촬영을 수행할 의도가 있는 경우에는 셔터버튼을 터치하게 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촬영의사 없이 단순히 휴대하기 위하여 디지털 카메라를 잡는 동작만을 취한 경우에는 파워온이 되지 않도록 한다. 디지털 카메라를 잡고 동시에 셔터버튼을 터치한 경우에만 파워온되어 촬영 준비상태에 진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되고 도면들에 표현된 예시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실시 예들에 의해 가르침 받은 당업자라면, 다음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 및 목적 내에서 치환, 소거, 병합 등에 의하여 전술한 실시 예들에 대해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3)

  1. 셔터버튼; 및
    촬영을 위하여 사용자가 본체를 그립할 때 사용자의 손이 닿은 소정 위치에 그립부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그립부 센서와 상기 셔버 버튼이 동시에 터치된 경우에 파워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 센서와 상기 셔터 버튼이 최초로 동시에 터치되는 경우에만 파워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파워온 스위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파워온 스위치가 턴온되거나,
    상기 그립부 센서와 상기 셔버 버튼이 동시에 터치된 경우에 파워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
KR1020050054820A 2005-06-24 2005-06-24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 KR200601351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4820A KR20060135137A (ko) 2005-06-24 2005-06-24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4820A KR20060135137A (ko) 2005-06-24 2005-06-24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5137A true KR20060135137A (ko) 2006-12-29

Family

ID=37813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4820A KR20060135137A (ko) 2005-06-24 2005-06-24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3513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73522B2 (en) Apparatus for and method of processing on-screen display when a shutter mechanism of a digital image processing device is half-pressed
KR20060135137A (ko)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
KR101156684B1 (ko)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분할촬영 방법
KR101156685B1 (ko) 디지털 이미지의 설정변경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디지털이미지 처리장치
KR101193456B1 (ko) 모드설정 조작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KR101204804B1 (ko) 디지털 촬영 장치의 음성 출력을 이용한 기능 안내 방법
KR101120024B1 (ko)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파일 관리 방법
KR101255206B1 (ko) 스트로보 충전 제어회로 및 이를 구비한 촬영장치
KR101244913B1 (ko) 디지털 이미지 촬영 장치의 이미지 처리 방법
KR101086406B1 (ko) 간략화된 전원 입력 시퀀스를 수행하는 카메라
KR101214154B1 (ko) 이미지를 확대 재생하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
KR20070012575A (ko) 디지털 이미지 합성방법
KR101105849B1 (ko) 디지털 이미지 재생방법 및 장치
KR20070016295A (ko) 디지털 이미지 컬러 효과 변경 방법
KR101156686B1 (ko) 오토 브래킷 디지털 이미지의 처리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
KR100910773B1 (ko) 이미지 확대 재생방법
KR20070118368A (ko) 플래시용 배터리가 장착된 디지털 이미지 촬영 장치
KR20060083547A (ko) 오른손잡이/왼손잡이 사용자 겸용의 카메라
KR20070118369A (ko) 디지털 이미지 촬영 장치
KR101109588B1 (ko)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이미지 저장방법
KR101109585B1 (ko) 이미지 처리장치의 이미지 재생방법
KR101080406B1 (ko) 이미지 재생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이미지 처리장치
KR101128517B1 (ko)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자동초점조정 방법
KR20110056102A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60093518A (ko)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이미지 재생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S601 Decision to reject again after remand of revocation